KR102510376B1 -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376B1
KR102510376B1 KR1020210066648A KR20210066648A KR102510376B1 KR 102510376 B1 KR102510376 B1 KR 102510376B1 KR 1020210066648 A KR1020210066648 A KR 1020210066648A KR 20210066648 A KR20210066648 A KR 20210066648A KR 102510376 B1 KR102510376 B1 KR 10251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user terminal
content
device information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969A (ko
Inventor
허정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캔딧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캔딧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캔딧
Priority to KR102021006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3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서비스 대상 오디오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 또는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지시하는 기기정보를 수신하여,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omprising Audio}
본 기술은 통신망을 통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및 초고속 통신 산업의 발달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 특히 모바일을 통한 고품질 멀티미디어 소비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고품질 영상 신호에 부응하기 위한 고품질 오디오 신호를 서비스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콘텐츠 소비자는 주변 환경에 따라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 다양한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하지만,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에 따라 청취자가 지각하는 음상(Sound image)이 달라지므로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대로 오디오를 감상하기 어렵다.
최근의 오디오 콘텐츠는 적어도 스테레오 신호인 입체 음향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입체 음향을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은 헤드셋을 통해 재현하기 위해서 바이노럴(Binaural) 렌더링 기술이 개발되었다.
바이노럴은 사람이 두 개의 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여러 현상 및, 그 현상과 스테레오 음향을 이용하여 3차원의 입체 음향을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바이노럴 프로세싱 또는 바이노럴 렌더링은 머리 전달 함수(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필터링하여 바이노럴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헤드폰 또는 이어폰으로 재생시켜 원하는 위치에 음상이 정위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바이노럴 프로세싱을 위한 신호 처리에 수반되는 계산량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프로세서가 필요하고, 전자기기의 전력 소모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바이노럴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기술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재생 환경에 적합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서비스 대상 오디오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 또는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지시하는 기기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제공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콘텐츠 제공 서버가, 서비스 대상 오디오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 또는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콘텐츠 서비스 요청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지시하는 기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오디오 재생 장치의 종류에 적응적인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여, 콘텐츠 제작자가 의도한 의도 및 음감을 청취자에게 최대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버(100) 및 이와 통신망(500)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적어도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오디오 콘텐츠에 더하여 비디오 콘텐츠,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자 상거래 콘텐츠 등 통신망(5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내장 스피커를 구비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 예를 들어 멀티 채널 오디오 기기와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마스터 장치(300) 및 슬레이브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300)는 통신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망(500)에 접속될 수 있고, 내장 스피커를 구비하거나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멀티 채널 오디오 기기와 접속될 수 있다. 아울러,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슬레이브 장치(400)와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300)는 스마트폰, 스마트 TV 등과 같이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슬레이브 장치(400)는 적어도 오디오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는 이어폰, 헤드폰,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마스터 장치(3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그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300)는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콘텐츠를 요청할 때, 또는 콘텐츠를 요청한 후,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오디오 출력 장치에 대응하는 기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30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슬레이브 장치(400)의 접속 여부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가 내장 스피커 또는 멀티채널 오디오 기기인지,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은 귀 밀착형 장치인지, 외부 스피커인지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마스터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기기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에 최적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마스터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중 오디오 출력 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마스터 장치(300)는 이를 감지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변경된 기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변경된 오디오 출력 장치에 최적화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마스터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컨트롤러(110), 메모리(120), 스토리지(130), 통신망 인터페이스(IF)(140), 운용자 인터페이스(150), 기기정보 추출부(160) 및 오디오 데이터 선택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메모리(120)에 저장 및 로딩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코드 형태의 명령 또는 알고리즘을 해독 및 구동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OM 및 RAM을 포함할 수 있다. ROM에는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시스템 데이터, 펌웨어 코드,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RAM은 컨트롤러(110)의 동작에 수반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동작 메모리일 수 있다.
스토리지(130)는 응용 프로그램, 복수의 콘텐츠, 콘텐츠 제공 서버(100)가 동작하기 위해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망 인터페이스(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100)가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망(500)을 통해 콘텐츠 생성 서버 그룹(200) 또는 마스터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운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운용자나 작업자가 콘텐츠 제공 서버(100)에 접근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동작 상황 및 처리 결과를 운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인터페이스는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정보 추출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마스터 장치(300)로부터 기기정보를 수신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 선택부(170)는 기기정보 추출부(160)에서 판단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에 최적화하여 제작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서비스 대상 음원을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 별로 다양한 타입의 오디오 신호로 제작하여 스토리지(1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요청할 때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포함하는 기기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기기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그에 적합한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별 최적의 오디오 신호는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출력 장치 오디오 신호 타입
내장 스피커
멀티 채널 오디오 기기
제 1 타입 오디오 신호
예: 스테레오/입체 오디오 신호
귀 밀착형 스피커 제 2 타입 오디오 신호
예: 바이노럴 신호
외장 스피커 제 3 타입 오디오 신호
예 : 스테레오/입체 오디오 신호, 튜닝된 스테레오/입체 오디오 신호
즉,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서비스 대상 오디오 콘텐츠에 대응하여 제 1 타입 오디오 신호, 제 2 타입 오디오 신호 및 제 3 타입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오디오 신호를 각각 생성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기기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타입 오디오 신호의 하나인 바이노럴 오디오 신호는 제 1 타입 오디오 신호인 스테레오 또는 입체 오디오 신호를 바이노럴 프로세싱(렌더링)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노럴 오디오 신호는 제작 단계에서 바이노럴 레코딩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타입 오디오 신호의 하나인 튜닝된 스테레오 또는 입체 오디오 신호는 마스터 장치(300)에 접속되는 외장 스피커의 출력 주파수 특성에 맞추어 제 1 타입 오디오 신호를 튜닝하여 생성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스피커는 기 설정된 튜닝 주파수, 예를 들어 0.8~1.2kHz를 중심으로 저주파 성분과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스피커일 수 있다. 따라서, 튜닝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강조하도록 제 1 타입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외장 스피커용 오디오 신호로 제공할 수 있다. 제 3 타입 오디오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튜닝 주파수 별로 제작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3 타입 오디오 신호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오디오 콘텐츠를 전송할 때 기기정보에 근거하여 파악한 외장 스피커의 사양에 따라 튜닝 주파수를 선택하고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마스터 장치(300)는 컨트롤러(310), 통신망 인터페이스(320), 입력부(330), 표시부(340), 저장부(350), 근거리 통신모듈(360), 오디오 출력부(370) 및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저장부(350)에 저장 및 로딩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코드 형태의 명령 또는 알고리즘을 해독 및 구동하여 마스터 장치(3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망 인터페이스(320)는 마스터 장치(300)가 통신망(500)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망 인터페이스(340)는 유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사용자가 마스터 장치(300)에 접근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마우스,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40)는 마스터 장치(300)의 동작 상황 및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모니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ROM, RAM, 및 불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ROM에는 마스터 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시스템 데이터, 펌웨어 코드, 소프트웨어 코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RAM은 컨트롤러(310)의 동작에 수반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동작 메모리일 수 있다. RAM의 일부 영역은 오디오 출력 장치의 기기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60)은 슬레이브 장치(4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36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출력부(370)는 마스터 장치(300)에 내장된 스피커, 또는 마스터 장치(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접속되는 멀티채널 오디오 기기일 수 있다.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마스터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동작하는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오디오 출력 장치의 기기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에서 생성한 기기정보는 저장부(350)에 일시 저장되고, 통신망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콘텐츠의 재생 중에 오디오 출력 장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이를 감지하여, 변경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기기정보를 재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슬레이브 장치(400)가 근거리 통신모듈(360)을 통해 마스터 장치(300)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300)에 접속된 슬레이브 장치(4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오디오 출력 장치가 내장 스피커 또는 멀티 채널 오디오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300)에 접속된 슬레이브 장치(400)가 존재하는 경우,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슬레이브 장치(400)가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기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300)와 슬레이브 장치(400)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페어링할 때, 마스터 장치(300)는 슬레이브 장치(400)로 질의(Inquiry) 신호를 전송하고, 슬레이브 장치(400)는 마스터 장치(300)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CoD(Class of Device)를 전송하여 응답 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장치들에는 장치를 구분 및 식별할 수 있는 CoD가 할당되어 있으며, 페어링시 이를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CoD는 주요 서비스 클래스(Major Service Class), 주요 장치 클래스(Major Device Class), 부 장치 클래스(Minor Device Class)의 세가지 분류 코드를 포함하며, 주요 장치 클래스를 식별정보로 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슬레이브 장치(40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장 스피커 또는 멀티 채널 오디오 기기를 기기정보로 생성하고, 슬레이브 장치(400)가 접속된 경우에는 CoD로부터 획득한 주요 장치 클래스로부터 기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기기정보는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오디오 재생을 준비하고 있는 오디오 출력 장치에 최적화된 오디오 신호가 선택 및 서비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300)에는 오디오 출력 단자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가 접속될 수 있다.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오디오 출력 단자에 오디오 출력 장치가 접속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기기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마스터 장치(300) 및 슬레이브 장치(40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요청하고(S101) 기기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기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근거리 통신 모듈(360)을 통해 접속한 슬레이브 장치(400)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03).
마스터 장치(300)에 접속된 슬레이브 장치(4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103:N),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오디오 출력 장치가 내장 스피커 또는 멀티 채널 오디오 기기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7). 마스터 장치(300)에 접속된 슬레이브 장치(400)가 존재하는 경우(S103:Y),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슬레이브 장치(400)가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한 식별정보를 추출하여(S105) 기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7).
일 실시예에서, 마스터 장치(300)와 슬레이브 장치(400)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페어링하는 경우, 기기정보는 CoD(Class of Device)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기기정보는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전송되고(S109),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기기정보에 부합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S111).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상술한 [표 1]에 정리한 것과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로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가 내장 스피커 또는 멀티 채널 오디오 기기인 경우 스테레오/입체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가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은 귀 밀착형 장치인 경우 바이노럴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외장 스피커인 경우 스테레오/입체 오디오 신호 또는 특정 중심 주파수로 튜닝된 스테레오/입체 오디오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 오디오 데이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콘텐츠 제공 서버(100)는 단계 S111에서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S113), 사용자 단말기(200)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 장치는 이를 재생한다(S115).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콘텐츠 재생 중에 오디오 출력 장치가 변경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S117). 오디오 출력 장치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S117:N) 콘텐츠를 계속해서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가 변경된 경우(S117:Y) 기기정보 모니터링부(380)는 단계 S103로 복귀하여 변경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기기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고, 그에 적합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에 맞게 최적화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콘텐츠 제작자가 의도한 의도 및 음감을 청취자에게 최대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 콘텐츠 제공 서버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마스터 장치
400 : 슬레이브 장치

Claims (15)

  1.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서비스 대상 오디오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지시하는 기기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중 상기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내장 스피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는 귀 밀착형 스피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는 외장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내장 스피커에 대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상기 귀 밀착형 스피커에 대한 바이노럴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외장 스피커에 대하여 출력 주파수 특성에 맞게 튜닝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귀 밀착형 스피커 또는 상기 외장 스피커가 전달하는 CoD(Class of Device)의 주요 장치 클래스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중 변경된 기기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변경된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재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활성화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지시하는 상기 기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중 활성화된 오디오 출력 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기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마스터 장치 및;
    상기 마스터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콘텐츠 제공 서버가, 서비스 대상 오디오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콘텐츠 서비스 요청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를 지시하는 기기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중 상기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내장 스피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는 귀 밀착형 스피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는 외장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종류별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내장 스피커에 대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상기 귀 밀착형 스피커에 대한 바이노럴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외장 스피커에 대하여 출력 주파수 특성에 맞게 튜닝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귀 밀착형 스피커 또는 상기 외장 스피커가 전달하는 CoD(Class of Device)의 주요 장치 클래스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디오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도중에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활성화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기기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디오 콘텐츠 재생 중에 변경된 기기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변경된 기기정보에 대응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210066648A 2021-05-25 2021-05-25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1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48A KR102510376B1 (ko) 2021-05-25 2021-05-25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48A KR102510376B1 (ko) 2021-05-25 2021-05-25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69A KR20220158969A (ko) 2022-12-02
KR102510376B1 true KR102510376B1 (ko) 2023-03-15

Family

ID=8441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48A KR102510376B1 (ko) 2021-05-25 2021-05-25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3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26B1 (ko) * 2011-09-20 2013-04-08 (주)골든이어스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음향기기의 특성에 대한 보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991B1 (ko) * 2013-07-25 2019-08-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의 바이노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KR102553250B1 (ko) * 2017-09-22 202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69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3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lti-channel sound using cable/wireless device
US8565458B2 (en) Media player and adapter for providing audio data to hearing aid
US20150081905A1 (en) Cloud hosted audio rendering based upon device and environment profiles
CN110049428B (zh) 用于实现多声道环绕立体声播放的方法、播放设备及系统
CN102104680A (zh) 音频播放方法、外挂播放终端及移动终端
KR101910545B1 (ko) 웨어러블 무선 음향 변환 장치
JP2020109968A (ja) ユーザ固有音声情報及びハードウェア固有音声情報に基づくカスタマイズされた音声処理
CN111447600A (zh) 无线耳机的音频共享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140376754A1 (en) Method, apparatus, and manufacture for wireless immersive audio transmission
CN111970613A (zh) 无线发射装置、控制方法及显示装置
CN105392032A (zh) 控制多媒体播放的方法和装置
KR102510376B1 (ko)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8650592B (zh) 一种实现颈带式环绕立体声的方法及立体声控制系统
US11361773B2 (en) Using non-audio data embedded in an audio signal
CN116017312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200021854A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648151B1 (ko) 동적 렌더링 디바이스 메타데이터 정보에 근거한 오디오 향상 시스템
CN105072538B (zh) 一种立体声播放系统及立体声播放方法
JP5281695B2 (ja) 音響変換装置
CN114885261A (zh) 耳机组件、无线音频播放系统及其通信方法
US202201036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imultaneous data streams from multiple sources
TW202224444A (zh) 多媒體播放同步
CN108684028B (zh) 基于ble的音频播放设备适配方法及蓝牙音频接收器
KR20130125112A (ko) 오디오 출력 관리 가능한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관리 방법
KR100566131B1 (ko) 음상 정위 기능을 가진 입체 음향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