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186B1 -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186B1
KR102510186B1 KR1020210048993A KR20210048993A KR102510186B1 KR 102510186 B1 KR102510186 B1 KR 102510186B1 KR 1020210048993 A KR1020210048993 A KR 1020210048993A KR 20210048993 A KR20210048993 A KR 20210048993A KR 102510186 B1 KR102510186 B1 KR 10251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cylinder
cylinder body
rear en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669A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창
Priority to KR102021004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18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61M5/345Adaptors positioned between needle hub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4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tal end, i.e. end closest to the tip of the needl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13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 A61M5/502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for blocking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2005/3142Modular constructions, e.g. supplied in separate pieces to be assembled by end-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2005/31516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reducing dead-space in the syringe barrel after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일회용 주사기는 실린더, 분리 헤드, 밀대, 약액 가압부를 포함한다. 실린더는 실린더 몸체, 연장 원통부, 헤드 결합부를 구비한다. 분리 헤드는 연장 원통부를 내장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는 주사바늘 결합공간을 형성하고, 후단에는 헤드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실린더 결합부를 구비하고, 내면에는 주사바늘의 후단을 내장 고정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약액 가압부는 후단이 밀대의 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약액을 전방으로 밀어낸다.

Description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Disposable Syringe with Separated Head}
본 발명은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출 공정으로도 주사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정밀한 양액 주입량 조절, 밀대의 후진 방지, 재사용 차단 등을 도모할 수 있는 일회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주사기는 보통 약액이 저장되는 실린더, 실린더의 일측 개방구로 삽입되어 실린더 내부로 약물을 흡입하거나 실린더에 채워진 약액을 실린더 외부로 배출시키는 밀대, 그리고 보통 밀대의 전방 단부에 결합하여 실린더 내면과 밀대 사이를 밀폐시키고 약액을 가압하는 약액 가압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일회용 주사기는 실린더의 전방 헤드에 주사바늘을 결합한 후 환자의 피부에 주사바늘을 찔러 약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회용 주사기는 실린더를 구성하는 실린더 몸체와 전방 헤드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주사기는 보통 사출 공정으로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의 전방 헤드에는 주사바늘을 내장하여 결합하기 위한 연통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전방 헤드의 구성은 사출 공정으로 주사기를 제조할 때 성형을 어렵게 하여 불량률이 높아지고, 그 결과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는 약액 가압부가 약액을 주사바늘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어낼 때 실린더와 주사바늘의 결합부에 약액이 상당량 남아 있어, 약액 사용 효율을 떨어뜨리고, 나아가 잔존 약액으로 인해 2차 사고까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일회용으로 사용하도록 강제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주사기를 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재 사용으로 인한 의료 사고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특허등록 제10-0660317호(일회용 안전주사기)
2.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137560호(주사기용 어댑터, 주사기용 어댑터 조립체, 주사기 및 주사기의 제조방법)
3. 한국특허등록 제10-1678074호(재사용 차단용 주사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사출 성형으로 주사기를 제조할 때 불량률을 낮출 수 있고,
둘째, 주사가 완료되면 실린더 내의 잔존 약액을 최소화할 수 있고,
셋째, 사용자가 주사기를 재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하여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일회용 주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회용 주사기는 실린더, 분리 헤드, 밀대, 약액 가압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는 실린더 몸체, 연장 원통부, 헤드 결합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몸체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몸체 연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 원통부는 실린더 몸체의 전방에 실린더 몸체보다 작은 직경으로 전방으로 돌출하고, 길이방향으로 몸체 연통 공간과 연통하는 연장 연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헤드 결합부는 실린더 몸체의 전단 또는 연장 원통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분리 헤드의 후단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분리 헤드는 실린더의 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연장 원통부를 이격 내장하면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는 주사바늘 결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분리 헤드는 헤드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실린더 결합부를 후단에 구비할 수 있다. 분리 헤드는 내면에 주사바늘의 후단을 내장 고정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밀대는 일부가 실린더 몸체의 몸체 연통 공간을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약액 가압부는 후단이 밀대의 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약액을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주사기에서, 약액 가압부는 가압 몸체, 방출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몸체는 후단이 밀대의 전단에 결합하고 가장자리가 실린더 몸체의 내면과 기밀 접촉하면서 실린더 몸체의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방출핀은 후단이 가압 몸체의 전단에 결합하고 전방은 연장 원통부의 연장 연통 공간에 삽입되어 연장 연통 공간 내의 약액을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주사기에서, 밀대는 후진 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후진 방지판은 중심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후방으로 경사지고, 수평으로 펼쳤을 때 실린더 몸체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적어도 가장자리 영역이 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주사기에서, 밀대는 밀대를 절단하는 절단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함몰부는 적어도 일부가 중심 방향으로 함몰되어 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회용 주사기는 실린더와 분리 헤드를 따로 사출 성형한 후 이들을 끼움 결합 등으로 결합하여 주사기를 완성함으로써, 주사기를 사출 성형으로 제조할 때 발생하는 높은 불량률을 큰 폭으로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 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주사기는 약액 가압부의 전방에 방출핀을 추가함으로써 연장 원통부 내의 약액을 실린더 몸체에서 전방으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방출핀의 길이를 조절하면 주사 완료 후에 실린더 몸체에 남아있는 약액을 없게 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어 약액 사용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잔존 약액으로 인한 2차 사고까지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주사기는 후진 방지판을 통해 밀대의 후진을 차단하고, 나아가 밀대 절단부를 통해 밀대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없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사기를 재 사용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에서 밀대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주사기는 실린더(100), 밀대(200), 약액 가압부(300), 분리 헤드(40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약액을 내장하는 것으로, 실린더 몸체(110), 연장 원통부(120), 저지판(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몸체(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하는 공간, 몸체 연통 공간(H1)을 내부에 갖는 원통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 몸체(110)는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연장 원통부(120)는 주사바늘(미도시)의 후단 내부에 삽입 결합하는 것으로,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원통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연장 원통부(120)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는 연장 연통 공간(H2)을 형성하면서 후단이 실린더 몸체(110)의 몸체 연통 공간(H1)과 연통할 수 있다. 연장 원통부(120)는 실린더 몸체(110)에서 멀어지면서 직경이 감소하는, 소위 정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연장 원통부(120)는 실린더 몸체(11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저지판(130)은 밀대(200)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으로, 실린더 몸체(110)의 후단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저지판(130)은 중앙이 비어있고 실린더 몸체(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헤드 결합부(140)는 분리 헤드(400)의 후단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 또는 연장 원통부(120)의 후단에 형성할 수 있다. 헤드 결합부(140)는 예를 들어 실린더 몸체(110) 또는 연장 원통부(120)의 외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로 구성할 수 있다. 함몰부는 실린더 몸체(110) 또는 연장 원통부(120)의 외면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라인 돌기로 둘러싸인 형태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린더 몸체(110), 연장 원통부(120), 저지판(130)은 하나의 사출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밀대(200)는 실린더 몸체(110)의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실린더 몸체(110) 내부의 약액을 연장 원통부(120)를 통해 주사바늘로 가압 배출하는 것으로, 밀대 몸체(210), 밀대 가압판(220), 가압부 고정부(230), 후진 방지판(240), 밀대 절단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밀대 몸체(210)는 실린더 몸체(1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주체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 등을 고려하여 방사상 및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다수의 날개를 원주 방향으로 배치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밀대 가압판(220)은 손가락으로 밀대 몸체(210)를 전방으로 가압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밀대 몸체(210)의 후단에 밀대 몸체(21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밀대 가압판(220)은 실린더 몸체(11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밀대 가압판(220)은 저지판(130)에 걸려 이동이 저지되는데, 이를 통해 밀대 몸체(210)가 실린더 몸체(110) 내부로 더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압부 고정부(230)는 약액 가압부(300)의 후단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밀대 몸체(210)의 전방 단부에 구비할 수 있다. 가압부 고정부(230)는 밀대 몸체(21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단부에 결합하는 고정 원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지지대는 고정 원판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후진 방지판(240)은 밀대(20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경사지는 원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후진 방지판(240)은 적어도 가장자리 영역이 밀대 몸체(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후진 방지판(240)은 수평으로 펼쳤을 때 실린더 몸체(11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후진 방지판(240)은, 밀대 몸체(21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는 가장자리 영역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밀대 몸체(210)의 전방 이동을 방해하지 않지만, 밀대 몸체(2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후진 방지판(240)의 가장자리 단부가 실린더 몸체(11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면서 밀대 몸체(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저지할 수 있다.
후진 방지판(240)은 전방으로 이동한 밀대(200)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실린더(100)에서 분리(이탈)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일회용 주사기를 재 사용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밀대 절단부(250)는 적어도 일부가 밀대 몸체(210)의 반경 중심 방향으로 함몰되어 측방 지탱력이 약화된 절단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밀대 절단부(250)를 경계로 밀대 몸체(210)의 일측을 측방으로 꺾으면, 밀대 몸체(210)가 밀대 절단부(250)를 경계로 절단되면서 분리될 수 있다.
밀대 절단부(250)는 밀대(200)를 절단하여 사용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일회용 주사기를 재 사용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약액 가압부(300)는 실린더 몸체(110)의 내부, 즉 몸통 연통 공간(H) 내의 약액을 전방으로 가압 배출하는 것으로, 가압 몸체(310), 방출핀(32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압 몸체(310)는 외측 가장자리가 실린더 몸체(110)의 내면에 기밀 접촉하면서 실린더 몸체(1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몸체(310)는 후단이 밀대 몸체(210)의 전방 단부, 즉 가압부 고정부(230)의 고정 원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가압 몸체(310)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방출핀(320)는 연장 원통부(120)에 삽입되면서 연장 원통부(120) 내부의 약액을 전방, 즉 주사바늘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방출핀(320)은 연장 원통부(120)의 길이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구성하여 연장 원통부(120) 내의 약액을 주사바늘 방향으로 전부 밀어내게 구성할 수 있다.
분리 헤드(400)는 주사바늘의 후단 가장자리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는 주사바늘 결합공간(H3)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주사바늘 결합공간(H3)에는 연장 원통부(120)가 내측으로 이격되어 내장될 수 있다. 분리 헤드(400)는 동일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거나 전방으로 가면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 소위 역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분리 헤드(400)는 연장 원통부(120)의 외경과 주사바늘 후단의 직경을 고려하여 그 내경을 결정할 수 있으며, 분리 헤드(400)를 역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면 연장 원통부(120)의 외경과 주사바늘 후단의 직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분리 헤드(400)는 후단이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 또는 연장 원통부(120)의 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 헤드(400)는 후단 내면에 실린더 결합부(410)를 구비할 수 있다. 실린더 결합부(410)는 예를 들어 후단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로 구성할 수 있다. 절곡부는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 또는 연장 원통부(120)의 후단에 형성되는 헤드 결합부(140), 예를 들어 함몰부에 끼움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분리 헤드(400)는 내면에 주사바늘의 후단을 내장 고정하는 결합 돌기(420)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돌기(420)는 주사바늘의 후단 가장자리를 걸림 고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나사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분리 헤드(400)를 역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고 결합 돌기(420)를 나사산 형태로 구성하면, 주사바늘 후단은 회전을 통해 분리 헤드(400)의 내면 소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주사기에서 밀대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대 절단부(250)는 절단 함몰부를 경사부, 단턱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경사부와 단턱을 모두 형성하고 있으나, 이들 중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대(200)를 밀대 절단부(250)를 경계로 하여 일측을 측방으로 가압하면, 밀대 절단부(250)에서 가장 약한 부분이 절단되어 밀대(200)가 2개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대(200)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실린더 110 : 실린더 몸체
H1 : 몸체 연통 공간 120 : 연장 원통부
H2 : 연장 연통 공간 130 : 저지판
140 : 헤드 결합부 200 : 밀대
210 : 밀대 몸체 220 : 밀대 가압판
230 : 가압부 고정부 240 : 후진 방지판
250 : 밀대 절단부 300 : 약액 가압부
310 : 가압 몸체 320 : 방출핀
400 : 분리 헤드 410 : 실린더 결합부
420 : 결합 돌기 H3 : 주사바늘 결합공간

Claims (4)

  1.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몸체 연통 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 몸체(110), 상기 실린더 몸체의 전방에 상기 실린더 몸체보다 작은 직경으로 전방으로 돌출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 연통 공간과 연통하는 연장 연통 공간을 형성하는 연장 원통부(120), 그리고 상기 실린더 몸체의 전단 또는 상기 연장 원통부의 후단에 헤드 결합부(140)를 구비하는 실린더(100);
    길이방향으로 연통하면서 상기 연장 원통부를 이격 내장하고 동일 직경 또는 전방으로 가면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의 주사바늘 결합공간(H3)을 내부에 형성하고, 후단에는 상기 헤드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실린더 결합부(410)를 구비하며, 내면에는 주사바늘의 후단을 내장 고정하는 결합 돌기(420)를 구비하는 분리 헤드(400);
    일부가 상기 실린더 몸체의 몸체 연통 공간을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밀대(200); 및
    후단은 상기 밀대의 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약액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약액 가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밀대(200)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후방으로 경사지고 수평으로 펼쳤을 때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적어도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고, 전방으로 이동할 때는 가장자리 영역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밀대의 전방 이동을 허용하고 후방으로 이동할 때는 가장자리 단부가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면에 밀착 고정되면서 상기 밀대의 후방 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밀대가 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후진 방지판(240); 및
    적어도 일부가 중심 방향으로 함몰되어 폭이 감소하는 절단 함몰부를 구비하는 밀대 절단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 가압부(300)는
    후단은 상기 밀대의 전단에 결합하고 가장자리가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면과 기밀 접촉하면서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탄성 재질로 구성하는 가압 몸체(310); 및
    후단은 상기 가압 몸체의 전단에 결합하고 전방은 상기 연장 원통부의 연장 연통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연장 연통 공간 내의 약액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방출핀(320)을 포함하는,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48993A 2021-04-15 2021-04-15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 KR10251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93A KR102510186B1 (ko) 2021-04-15 2021-04-15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93A KR102510186B1 (ko) 2021-04-15 2021-04-15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69A KR20220142669A (ko) 2022-10-24
KR102510186B1 true KR102510186B1 (ko) 2023-03-15

Family

ID=8380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993A KR102510186B1 (ko) 2021-04-15 2021-04-15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1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317B1 (ko) * 2005-10-27 2006-12-22 백우인 일회용 안전주사기
JP2008525059A (ja) 2004-12-24 2008-07-17 ムーア, イアン, マーシャル 安全注射器
JP2012530586A (ja) 2009-06-24 2012-12-06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改善されたルアーコネクタ
KR101282209B1 (ko) 2012-06-01 2013-07-04 백우인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1678074B1 (ko) * 2016-06-27 2016-12-06 류종현 재사용 차단용 주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526B1 (ko) * 2004-06-23 2006-08-25 (주)모노메디코리아 재사용 방지 일회용 주사기
KR101239947B1 (ko) * 2010-06-17 2013-03-06 메디칸(주) 주사기용 어댑터, 주사기용 어댑터 조립체, 주사기 및 주사기의 제조방법
KR20200068525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나눔컴퍼니 잔량 배출 기능을 갖는 시린지용 개스킷
KR20200069539A (ko) * 2018-12-07 2020-06-17 박선명 이중격실 사전충진 안전주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5059A (ja) 2004-12-24 2008-07-17 ムーア, イアン, マーシャル 安全注射器
KR100660317B1 (ko) * 2005-10-27 2006-12-22 백우인 일회용 안전주사기
JP2012530586A (ja) 2009-06-24 2012-12-06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改善されたルアーコネクタ
KR101282209B1 (ko) 2012-06-01 2013-07-04 백우인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1678074B1 (ko) * 2016-06-27 2016-12-06 류종현 재사용 차단용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69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7512A (en) Retractable dental syringe
US10286160B2 (en) Dual chamber passive retraction needle syringe
US6572584B1 (en) Retractable syringe with reduced retraction force
EP1011758B1 (en) Syringe plunger assembly and barrel
US5578011A (en) Tamperproof retractable syringe
AU706359B2 (en) Tamperproof retractable syringe
EP1011766B1 (en)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ssembly
EP2903663B1 (en) Injector apparatus
US6494863B1 (en) One-use retracting syringe with positive needle retention
KR100518097B1 (ko) 주사기 및 그 제조장치
WO2001024852A1 (en) Retractable dental syringe
EP2928529B1 (en) Thumb press frangible feature for re-use prevention
JP2004524931A (ja) ディスペンサー
AU2007225005B2 (en) A needle containing medical device with variable locking to needle holder
CN102971033B (zh) 具有切割冠的可回缩注射器
JP2703592B2 (ja) 再使用不能な注射器
EP1797921B1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KR102510186B1 (ko) 헤드 분리형 일회용 주사기
EP1260343B1 (en) Apparatus for making syringes
KR102296522B1 (ko) 일회용 주사기
JP2008142565A (ja) ポジティブな針保持を具えた1回使用引込み式シリンジ
CN111617346B (zh) 具有多功能针托和固定环组件的注射器
JP7178102B2 (ja) 安全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