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553B1 -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 Google Patents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553B1
KR102509553B1 KR1020220060253A KR20220060253A KR102509553B1 KR 102509553 B1 KR102509553 B1 KR 102509553B1 KR 1020220060253 A KR1020220060253 A KR 1020220060253A KR 20220060253 A KR20220060253 A KR 20220060253A KR 102509553 B1 KR102509553 B1 KR 10250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valuation
demand
graph
evaluation fa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승훈
Original Assignee
백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훈 filed Critical 백승훈
Priority to KR102022006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5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5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prediction system, which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which selects evaluation factors which affect product demand and collects data of the evaluation factors; a data analysis unit which recombines the evaluation factors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and weight of the evaluation factors; and a demand forecasting unit which predicts the future demand of the product based on the data recombined in the data analysis unit.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prediction system using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본 발명은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온라인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이하 'BAFP'라 함)을 활용하여 과거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미래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nalyzing consumption patterns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and more particularly, by analyzing past consumption patterns using an online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FP') to predict future demand. It is about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prediction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that can predict demand.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로, 웹 정보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특정 웹사이트의 게시판, 블로그, 커뮤니티인 카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다. 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the use of web inform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and many people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through online media such as bulletin boards of specific websites, blogs, community caf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사용자들은 특정 정보의 가치를 평가할 때 다른 사용자들의 온라인상 의견을 참조하여 결정하기도 한다.When users evaluate the value of a particular piece of information, they often make decisions based on the opinions of other users online.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수요자들은 상품 품평에서 맛집 품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견을 표출한다. For example, through the Internet or mobile applications, consumers express various opinions ranging from product reviews to restaurant reviews.

이러한 의견들은 타 수요자들이 해당 상품을 구매하거나 맛집을 찾아가기 전에 참조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수요자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알고자 하는 경우에도 빅데이터화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se opinions can be used as data for other consumers to refer to before purchasing the product or going to a restaurant,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ervice provider, it can be used as big data when indirectly wanting to know the position of the consumer.

최근에는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우리 주변에는 규모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와 데이터가 생산되는 빅데이터 환경이 확대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spread of the digital economy, the big data environment in which an immeasurable amount of information and data is produced around us is expanding.

빅데이터는 과거 아날로그 환경에서 생산되던 데이터에 비하면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빅데이터는 최근 여러 방면에서 분석되어 사용되고 있다.Compared to the data produced in the analog environment in the past, big data is vast in size, has a short generation cycle, and includes large-scale data including text and image data as well as numerical data in form. analyzed and used.

하지만, 이와 같이 방대한 빅데이터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수요자들의 과거 동향이나 구매 경향성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자들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even if such a vast amount of big data is used, it is not easy to predict the future demand of consumers for a specific product beyond identifying the past trends or purchasing tendencies of consumer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201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20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583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583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4559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8455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203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220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722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472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연관성이 있는 여러 요소들의 변화율을 조합하여 수요자들의 소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analyzing consumption patterns of consumers by combining the rate of change of various factors that are related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과거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분석된 수요자들의 소비 패턴을 토대로 특정 상품의 미래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predicting future demand for a specific product based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sumers analyzed by combining various past data.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의 데이터를 합성해 해당 상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계산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culation algorithm capable of predicting future demand for a product by synthesizing data of various factors affecting demand for the product.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품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요소들을 선정하고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평가요소들의 관계도와 가중치를 계산하여 평가요소들을 재조합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재조합된 데이터를 토대로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evaluation factors that affect product demand and collects data of evaluation factors, and a data collec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relationship and weight of the evaluation factors to recombine the evaluation factors. Disclosed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omprising a data analysis unit and a demand forecasting unit for predicting future demand for products based on the data recombined in the data analysis unit.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선정된 평가요소들의 관계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관계도에 근거하여 평가요소들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평가요소들의 순위를 설정하고, 순위가 높은 평가요소에 순위가 낮은 평가요소 데이터를 병합하여 수요 예측 그래프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unit calculat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evaluation factors, groups the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onship, sets a rank of the grouped evaluation factors, and ranks the evaluation factors. Disclosed is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a demand forecast graph is generated by merging data of evaluation elements with low rankings with high evaluation ele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요예측부는 상기 수요 예측 그래프를 통해 선택된 제품의 수요 예측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수요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제품의 수요 예측 데이터를 보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and forecasting unit outputs demand forecast data of a product selected through the demand forecast graph, and compares demand forecast data of the selected product and similar products to obtain demand forecast data of the selected product. Disclosed is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corr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가요소들의 순위는 설정된 구간 범위 내에서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클수록 높은 순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using the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k of the evaluation factors has a higher rank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data within the set interval range increases. and a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가장 높은 순위(1순위)의 평가요소를 제외한 다른 평가요소들의 데이터에 변환 팩터를 곱하여 데이터의 변화폭을 상기 1순위 데이터와 일치시킨 후 최초 구간에서 평가요소들이 동일한 값을 갖도록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unit multiplies data of other evaluation factors except for the evaluation element of the highest rank (first rank) by a conversion factor to match the range of change of the data with the first rank data, and then in the first section. Disclosed is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data is corrected so that evaluation factors have the same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평가요소들의 다항식 추세선을 추정한 후 상기 다항식 추세선의 미분 그래프를 작성하여 변곡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변곡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병합하여 수요 예측 그래프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unit estimates a polynomial trend line of the evaluation factors, creates a differential graph of the polynomial trend line, identifies a location of an inflection point,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an inflection point, and data of the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nflection point. Disclosed is a system for analyzing consumption patterns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a demand forecast graph is created by merg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요예측부는 상기 수요 예측 그래프에 의하여 예측된 1순위 평가요소의 값과 최근 측정된 1순위 평가요소의 값의 비율에 근거하여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and forecasting unit predicts future demand based on a ratio between a value of a first-rank evaluation factor predicted by the demand prediction graph and a value of a recently measured first-rank evaluation factor.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가요소들의 데이터 병합은 두번째 순위(2순위)의 평가요소 추세선의 변곡점을 확인하고, 상기 변곡점 이후의 구간들에서 상기 1순위 평가요소의 데이터들을 상기 2순위 평가요소의 데이터와 상기 1순위 평가요소의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ta merging of the evaluation factors, the inflection point of the trend line of the evaluation elements of the second rank (second rank) is identified, and the data of the first rank evaluation elements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rank evaluation elements in the intervals after the inflection point. Disclosed is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of the evaluation factor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ata of the first ranking evaluation element are substitu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요 예측 그래프는 상기 병합된 1순위 평가요소의 데이터들 중 상기 변곡점 직전 구간부터 최근 측정된 구간 이후의 구간까지의 다항식 추세선으로 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and forecast graph is big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awn as a polynomial trend line from the section immediately before the inflection point to the section after the recently measured section among the data of the merged first ranking factors. Introduce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n analysis framework plat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요 예측 그래프는 상기 2순위 평가요소의 변곡점의 수에 1을 더한 차수의 다항식 추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and forecast graph is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nomial trend line of the degree obtained by adding 1 to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the second-order evaluation factor. Initiate a demand forecasting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운용되고 있는 시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시장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시장 분석 모델로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s a market analysis model by predicting market demand by analyzing data acquired in real time from the market in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빅데이터 시대의 개방되고 공유된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분석을 가능케 하고 빅데이터 분석의 타겟 확장성을 높여 다양한 업종 및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utilize a large amount of open and shared data in the big data era, enabling accurate analysis and increasing the target scalability of big data analysis. It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country-by-countr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 패턴에 따라 각 세대별, 국가별 분석이 가능하게 하여 세대간의 행동 유형 분석과 해외 소비 패턴을 이용해 각각의 대상에 따른 맞춤형 수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sis by generation and country is possible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s, and customized demand prediction according to each target is possible using analysis of behavior types between generations and overseas consumption patterns.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복수의 요소들의 순위를 매기고 낮은 순위 요소의 변화율을 높은 순위 요소의 변화율에 병합함으로써 수요의 변화율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predict the change rate of demand by ranking a plurality of factors influencing demand and merging the rate of change of a low-ranking factor with the rate of change of a high-ranking fa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의 기능 모듈의 데이터 처리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의 복수 태스크 (task) 처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동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평가요소들을 재조합 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품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BAFP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원본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배율 변환에 따른 초기값 일치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c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승폭 및 초기값 보정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d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다항식(Polynomial) 추세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e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다항식(Polynomial) 추세선의 미분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f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1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g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2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h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3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h는 추세 예측 그래프를 통해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미래 수요 예측 결과에 근거한 리포팅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ata processing structure of a functional module of a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processing multiple tasks of a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ructure of a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nalyzing consumption patterns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step of recombining evaluation elements' shown in FIG. 4 .
FIG.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tep of predicting demand for a product' shown in FIG. 4 .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step of generating a demand forecasting graph' shown in FIG. 5 .
8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fields in which BAF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n original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n initial value match graph according to magnification conversion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 graph.
9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ep of generating a rise and initial value correction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 graph.
9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 polynomial trend line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 graph.
9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 differential graph of a polynomial trend line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 graph.
9F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 primary merged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9G is a diagram explaining a step of generating a secondary merged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9H is a diagram explaining a step of generating a tertiary merged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9H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edicting future demand through a trend prediction graph.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porting based on future demand prediction results.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Singular expressions used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의 기능 모듈의 데이터 처리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data processing structure of a functional module of a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실시간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의 연관성을 정의하여 연산 세트(set)를 구성하며, 연산된 세트 데이터들(case 1, case 2, case 3 등)을 비교하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configures a calculation set by defining the correlation of data collected in real time, and calculates the calculated set data (case 1, case 2, case 3, etc.) Errors can be corrected by comparison.

도시된 바에 따르면,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에서 수행하는 작업은 크게 3개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As shown, the work performed by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eps.

첫번째 단계(I)에서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의 연관성을 정의하여 평가요소 세트(set)를 구성한다. In the first step (I), a set of evaluation factors is formed by defining the correlation of the data collected in real time.

예를 들어, 온라인 판매량을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판매량과 연관성이 있는 요소들을 세트에 포함시킨다. 이 경우 평가요소 세트에는 조회수, 좋아요수, 댓글수, 후기, 평점, 해쉬태그 등이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analyze online sales, you include factors related to sales in your set. In this case, the evaluation factor set may include the number of views, the number of likes, the number of comments, reviews, ratings, hash tags, and the like.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판매량과 평가요소들의 연관성을 계산한 후 연관성이 낮은 요소를 세트에서 제외하고 연관성이 높은 요소를 세트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좋아요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모듈은 좋아요수와 판매량의 연관성을 낮게 평가하여 좋아요수 데이터를 세트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can calculate the correlation between sales volume and evaluation factors, exclude elements with low correlation from the set, and add elements with high correlation to the set. For example, if it i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likes is rapidly decreasing while the number of sales is increasing, the module may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likes and sales as low and exclude the number of likes data from the set.

두번째 단계(II)에서는 세트에 포함된 평가요소들의 관계도와 가중치를 계산하여 평가요소들을 재조합한다. In the second step (II), the evaluation elements are recombined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and weight of the evaluation elements included in the set.

예들 들어, BAFP 모듈은 댓글수 데이터(B), 평점평균 데이터(C), 조회수 데이터(D) 간의 관계도와 가중치를 계산하여 관계도가 높은 평가요소들끼리 재조합하며 이 때 가중치가 높은 평가요소에 가중치가 낮은 평가요소를 병합시키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재조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AFP module calculates the relationship and weight between the number of comments data (B), the rating average data (C), and the number of views data (D), and recombines evaluation elements with a high degree of relationship. Data can be recombined by merging evaluation factors with low weight.

재조합 시 2개의 데이터만 재조합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데이터가 모두 관계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련 데이터들을 모두 재조합할 수도 있다. When recombining, only two pieces of data may be recombined, or all related data may be recombi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lurality of pieces of data have a high degree of relationship.

도 1에서는 case1은 ABC의 재조합 데이터, case 2는 ACD의 재조합 데이터, case 3은 BCD의 재조합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각 case 에서는 서로 다른 평가요소들을 이용해 데이터를 추출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BAFP는 각 case 에서 추출한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오차를 보정한 후 III 단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 FIG. 1, case 1 represents recombination data of ABC, case 2 represents recombination data of ACD, and case 3 represents recombination data of BCD. In each case, errors may occur because data are extracted using different evaluation factors. BAFP can perform step III work after correcting errors by comparing data extracted from each case.

세번째 단계(III)에서는 세트에 포함된 평가요소들의 관계도와 가중치를 계산하여 평가요소들을 재조합한다. In the third step (III), the evaluation elements are recombined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and weight of the evaluation elements included in the set.

III 단계에서는 II 단계에서 도출된 데이터 값을 패턴 분류 모듈 (Pattern Classification Module), A 상관도 계수 모듈(A Correlation Coefficient Module), 가중 비율 모듈(Weighted ratio Module) 등의 모듈을 이용해 교차, 순차 연산하여 예측 가능한 데이터로 가공할 수 있다. In step III, the data values derived in step II are intersected and sequentially calculated using modules such as the Pattern Classification Module, A Correlation Coefficient Module, and Weighted Ratio Module. It can be processed with predictable data.

도 1에 도시된 패턴 분류 모듈 (Pattern Classification Module), A 상관도 계수 모듈(A Correlation Coefficient Module), 가중 비율 모듈(Weighted ratio Module)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러한 모듈들이 본 발명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 The pattern classification module, A correlation coefficient module, and weighted ratio module shown in FIG. 1 are merely exampl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se modules are necessarily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included i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의 복수 태스크 (task) 처리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processing multiple tasks of a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각 태스크(task)들은 서로 대등한 레벨의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소비자들은 국내 오픈마켓들 (11번가, 옥션, G마켓 등), 국내에서 직접 주문 가능한 해외 종합쇼핑몰 (아마존, 알리익스프레스 등) 또는 해외직구 사이트(몰테일 등) 등을 통해 같은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task may be data collected through different paths of equal levels. For example, when purchasing a product online, consumers can use domestic open markets (11st, Auction, G Market, etc.), overseas shopping malls (Amazon, Ali Express, etc.) Tail, etc.), etc. to purchase the same product.

이와 같이 같은 제품이라도 서로 다른 경로의 사이트들을 통해 구매가 가능하며, 각 사이트들은 구매 방식이나 구매자 피드백을 기록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직접 일대일로 비교하는 것이 쉽지 않다. In this way, even the same product can be purchased through different channels, and it is not easy to directly compare one-to-one because each site has a different way of purchasing or recording buyer feedback.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으로 빅데이터를 수집 및 유입함에 있어서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의 태스크(Task)가 구비된다. 각 태스크 별로 타사 홈페이지 사이트에서 개별 정보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수집처(site) 별로 수집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수집 환경이 상이하므로 환경에 맞는 모듈을 태스크로 구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asks are provided to respond to various environments in collecting and introducing big data online. For each task, individual information collection can be performed on the third party website. Since the type of data collected and the collection environment are different for each information collection site, a module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can be configured as a task.

빅데이터 분석 모듈은 각 태스크들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은 연관성을 분석하고 공통 요소들을 추출해 보다 정확한 미래 수요 예측 매커니즘을 생성할 수 있다.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can create a more accurate future demand forecasting mechanism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each task and extracting common elements.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상이한 환경에서 수집되는 상이한 변수를 분석 용도에 맞게 분류하여 로그데이터 데이터베이스(Log Data DB)에 저장하고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비교 분석된 데이터를 모듈화된 클라우드 데이터 셋 (Cloud Data set)에 가공하여 분석에 유용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can classify different variables collected in different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store them in a log data database (Log Data DB), and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can store data useful for analysis by processing comparatively analyzed data into a modular cloud data set.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각각 타사 홈피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요소(변수)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타 추출군과 비교하여 추출하지 못한 데이터를 역산하여 데이터값을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Task 1(T1) 내지 Task N(TN) 판매량과 조회(view)와 리뷰(review)를 분석한 후 Task-i의 리뷰를 통해 판매량과 조회 횟수를 유추할 수 있으며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타사 홈페이지 사이트에서 필요 정보를 수집하는 요소로서 업종, 분류, 가격 등의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데이터 값을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analyzes the correlation of elements (variables) that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 from each other company's homepage site, compares it with other extraction groups, and inversely calculates the data that could not be extracted to infer the data value. For example, after analyzing the sales volume, view, and review of Task 1 (T1) to Task N (TN), the sales volume and number of views can be inferred through the review of Task-i, and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is an element that collects necessary information from other companies' homepages, and it is possible to infer more accurate data values by applying weights such as industry, classification, and pr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동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ructure of a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서버를 통해 유저, 다른 서버,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may be connected to a user, another server,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server.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은 데이터 수집부, 데이터 분석부, 수요예측부,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part)'들은 빅데이터 분석 모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구분한 것일 뿐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부' 말고 다른 '부'가 더 존재하거나, 복수의 '부'들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may include a data collection unit, a data analysis unit, a demand forecasting unit, a management unit, and the like. These 'parts' are only classified to explain the function of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and may not be separated in terms of hardwa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there are more 'units' other than the 'unit' shown in FIG. 3 or that a plurality of 'units' are combined into one.

데이터 수집부는 통신 모듈(111)과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un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11 and a database 112 .

통신모듈(111)은 빅데이터 분석 모듈과 서버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enabl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and the server.

데이터베이스(112)는 빅데이터 분석 모듈이 수집한 데이터들과 데이터 분석부(120), 수요예측부(130), 관리부(140) 등에서 수집, 분석, 가공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The database 112 stores data collected by the big data analysis module and data collected, analyzed, and processed by the data analysis unit 120, the demand forecasting unit 130, and the management unit 140.

데이터 수집부(110)는 웹 크롤러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may collect data using a web crawler method.

웹 크롤러(web crawler)는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와이드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 크롤링 혹은 스파이더링(spidering)이라 부른다. 검색 엔진과 같은 여러 사이트에서는 데이터의 최신 상태 유지를 위해 웹 크롤링을 수행한다. 웹 크롤러는 그 방문한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의 복사본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검색 엔진은 이렇게 생성된 페이지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해 인덱싱을 수행한다. 또한 크롤러는 링크 체크나 HTML 코드 검증과 같은 웹 사이트의 자동 유지 관리 작업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 자동 이메일 수집과 같은 웹 페이지의 특정 형태의 정보를 수집하는 데도 사용된다.A web crawler is a computer program that navigates the World Wide Web in an organized and automated way. In general, the work that web crawlers do is called web crawling or spidering. Many sites, such as search engines, perform web crawling to keep their data up to date. Web crawlers are used to create copies of every page on the site they visit, and search engines index these pages for quick retrieval. Crawlers are also used for automatic maintenance of web sites, such as link checking and HTML code verification, and are also used to collect certain types of information from web pages, such as automatic e-mail collection.

웹 크롤러는 봇이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형태이다. 웹 크롤러는 대개 시드(seeds)라고 불리는 URL 리스트에서부터 시작하는데, 페이지의 모든 하이퍼링크를 인식하여 URL 리스트를 갱신한다. 갱신된 URL 리스트는 재귀적으로 다시 방문한다.A web crawler is a form of bot or software agent. Web crawlers usually start with a list of URLs, called seeds, and update the URL list by recognizing every hyperlink on a page. The list of updated URLs is revisited recursively.

이처럼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와이드웹을 탐색하는 기능을 갖춘 컴퓨터 프로그램 검색엔진의 작동 구조는 웹 크롤링(Web crawling), 인덱싱 (Indexing), 추출(Searching)의 세 단계로 작동한다.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computer program search engine, which has the ability to search the World Wide Web in an organized and automated way, operates in three stages: web crawling, indexing, and searching.

먼저, 웹 크롤링 과정은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를 복사한다. 이는 최신 데이터를 우선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덱싱 과정은 정확하고 빠른 검색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추출 과정은 검색어를 구성하는 단어가 포함된 제목, 주제 등을 추출한다.First, the web crawling process copies all the pages of your site. This is done with the latest data first. And, the indexing process collects, stores, and analyzes data to enable accurate and fast retrieval. Finally, the extraction process extracts titles and subjects that contain the words constituting the search term.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검색이 이루어진다. 검색엔진의 검색능력은 검색어와 데이터 간의 관련성에 의해 결정된다. 그 검색된 수많은 웹 페이지들 중에서 검색 키워드와 상대적으로 연관성이 더 높은 페이지가 존재하기 마련인데, 검색엔진은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결과를 우선순위값에 대한 인덱싱(Indexing) 분석을 통해 피드백(feedback)을 지속적으로 조정한다.The search is performed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retrieval ability of a search engine is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arch term and data. Among the many searched web pages, there are pages with relatively higher relevance to the search keyword, and the search engine continuously provides feedback through indexing analysis of the most relevant results for priority values adjust to

데이터 분석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수집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편집하거나 가공한다. The data analysis unit 120 analyzes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and edits or processes the data into a form usable by users.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부(120)는 빅데이터 내에서 서로 연관성이 있는 평가요소들을 선정하고, 평가요소들의 관계도와 가중치를 계산하고, 관계도에 따라 평가요소들을 그룹화 하거나, 평가요소들의 가중치에 따라 배열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빅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의미있는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ata analysis unit 120 selects evaluation factors that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within the big data, calculates the relationship and weight of the evaluation factors, groups the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or assigns weights to the evaluation factors. It is possible to process big data into a form that is meaningful to the user by performing tasks such as arranging according to the data.

수요예측부(130)는 데이터 분석부(120)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 수요 예측 매커니즘을 생성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자들의 미래 수요를 예측한다. The demand forecasting unit 130 generates a future demand forecasting mechanism based on the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120 to predict the future demand of consumers for a specific produc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this in more detail.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평가요소들을 재조합 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도 6에서는 '제품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 7에서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pecifically, in FIG. 5, the 'step of recombining evaluation factors'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 6, the 'step of predicting product demand' is specifically described, and in FIG. 7, the 'step of generating a demand prediction graph' is described in detail. Explain in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방법은 평가요소들을 선정하는 단계(S100)와,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00)와, 평가요소들의 관계도와 가중치를 계산하여 평가요소들을 재조합하는 단계(S300)와, 제품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S40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method includes selecting evaluation factors (S100), collecting data of evaluation factors (S200), and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factors and their weights to evaluate evaluation factors. It includes a step of recombination (S300) and a step of predicting demand for a product (S400).

평가요소들을 선정하는 단계(S100)와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00)는 서로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스템은 특정 평가요소들을 선정한 후 해당 평가요소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이미 수집된 데이터들 중에서 평가요소들을 선정하여 해당 평가요소들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order of selecting evaluation factors (S100) and collecting data of evaluation factors (S200) may be reversed. In other words, the system can collect data on the evaluation factors after selecting specific evaluation factors, or extract data on the evaluation factors by selecting evaluation factors from among already collected data.

평가요소들은 판매량, 조회수, 좋아요수, 댓글수, 후기의 숫자 또는 내용, 평점, 해쉬태그의 숫자 또는 내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Evaluation factors may include the number of sales, the number of views, the number of likes, the number of comments, the number or content of reviews, the rating, the number or content of hash tags, and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평가요소들을 선정하는 단계(S100)는 I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위에서 설명한 판매량, 조회수, 좋아요수, 댓글수, 후기의 숫자 또는 내용, 평점, 해쉬태그의 숫자 또는 내용 등의 평가요소들이 I 단계에 표시된 A 내지 D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tep of selecting evaluation factors (S100) is performed in step I. Evaluation factors such as sales volume, number of views, number of likes, number of comments, number or content of reviews, rating, number or content of hash tag described above may correspond to data A to D displayed in step I.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00)에서는 시스템이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부(110)는 웹 크롤러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collecting data of evaluation factors (S200), the system collects data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As described above, the data collection unit 110 may generate big data by collecting data in a web crawler method and storing the data in a database.

평가요소들의 관계도와 가중치를 계산하여 평가요소들을 재조합하는 단계(S300)에서는 S100 및 S200 단계에서 선정되고 수집된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요 예측에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한다. In the step of recombining the evaluation factors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and weight of the evaluation factors (S300), the data of the evaluation elements selected and collected in the steps S100 and S200 are analyzed and processed into a form that can be used for demand forecast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요소들을 재조합 하는 단계(S300)는 평가요소들의 관계도를 계산하는 단계(S310)와, 관계도에 따라 평가요소들을 그룹화 하는 단계(S320)와, 그룹 내 평가요소들을 가중치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S330)와, 평가요소들의 변화율을 그래프화 하여 표시하는 단계(S430)와, 가중치가 높은 평가요소의 그래프에 가중치가 낮은 평가요소의 그래프를 병합하여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S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combining evaluation factors (S300) includes calculating a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factors (S310), grouping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S320), and evaluating within a group. The step of arranging elements according to their weights (S330), the step of displaying a graph of the rate of change of evaluation factors (S430), merging the graph of evaluation elements with high weight with the graph of evaluation elements with low weight to cre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It may include a step of generating (S350) and the like.

평가요소들의 관계도를 계산하는 단계(S310)에서는 평가요소들 간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에 대한 조회수나, 댓글수가 증가할 때 판매량이 증가하였다면 조회수와 댓글수는 판매량과의 관계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평가요소가 증가하였는데 판매량의 변화가 미비하다면 상기 특정 평가요소와 판매량은 관계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factors (S310), the tendency between the evaluation factors is analyzed. For example, if sales volume increases when the number of views or comments on a specific product increase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views and the number of comments have a high relationship with sales volume. In addition, if a specific evaluation factor increases but the change in sales volume is insignifican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evaluation element and sales volume is low.

관계도에 따라 평가요소들을 그룹화 하는 단계(S320)에서는 관계도가 높은 평가요소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II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가요소들(A data, B data, C data, D data)들 중 관계도가 높은 (A,B,C) 그룹과, (B,C,D) 그룹과, (A,C,D) 그룹을 만들고 각 그룹별로 각각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grouping the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lationship (S320), evaluation factors having a high degree of relationship may be grouped into one group. For example, as shown in II of FIG. 1,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A data, B data, C data, D data), the (A, B, C) group having a high degree of relationship, (B, C, D) Group and (A, C, D) groups can be created and analysis can be performed for each group.

그룹 내 평가요소들을 가중치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S330)에서는 그룹 내 평가요소 데이터들 중 베이스가 되는 데이터를 선정하고, 각 데이터들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순위에 맞게 데이터들을 배열한다. In step S330 of arranging the evaluation elements within the group according to the weight, base data is selected from among the evaluation element data within the group, weights are assigned to each data, and the data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ranking.

베이스가 되는 데이터 선정 기준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se data selection criterion can be made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구간 내 변화 폭이 가장 큰 평가요소를 베이스 데이터로 선정하고, 다른 평가요소들에 변환 팩터를 곱하여 변화폭을 일치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9c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valuation factor having the largest change in the measurement interval is selected as base data, and the change width is matched by multiplying other evaluation factors by a conversion facto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C below.

평가요소들의 변화율을 그래프화 하여 표시하는 단계(S340)에서는 이전 단계들에서 수집되고 분석된 데이터들을 그래프로 표시한다.In the step of graphing and displaying the rate of change of evaluation factors (S340), the data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previous steps are displayed as a graph.

예를 들어, 시스템은 도 9a 내지 도 9i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평가요소들의 수치를 그래프화 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이러한 평가요소들의 수치 그래프들의 다항식 추세선 그래프를 생성시킬 수 있고, 다항식 추세선 그래프들의 미분 그래프를 작성한 후 상기 다항식 추세선 그래프의 변곡점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한 그래프들의 기울기 값 또는 변곡점 값을 이용해 평가요소들의 변화율, 변화의 동향, 변화의 상관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ystem may graph the numerical values of evaluation factors as shown in the graphs of FIGS. 9A to 9I . In addition, the system may generate a polynomial trend line graph of the numerical graphs of these evaluation factors, and after creating a differential graph of the polynomial trend line graphs, check the inflection point value of the polynomial trend line graph. Using the slope values or inflection point values of the graphs check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ate of change of the evaluation factors, the trend of chang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가중치가 높은 평가요소의 그래프에 가중치가 낮은 평가요소의 그래프를 병합하여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S350)에서는 평가요소들의 비교 기준을 설정한 후 변환 팩터(factor)를 계산하여 그래프들의 스케일을 맞추고 다항식 추세선 그래프, 미분 그래프, 변곡점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그래프들을 병합하고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시킨다. In the step of generating a demand forecasting graph by merging the graph of evaluation factors with high weight with the graph of evaluation factors with low weight (S350), the scale of the graphs is adjusted by calculating conversion factors after setting comparison standards for evaluation factors. Align and merge graphs using polynomial trend line graphs, differential graphs, and inflection point data, and create a demand forecast graph.

이를 위해 가중치가 높은 평가요소의 그래프에 가중치가 낮은 평가요소의 그래프를 병합하여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S350)는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시계열 그래프로 표현하는 단계(S351)와, 시계열 그래프를 다항식 추세선으로 변환하는 단계(S352)와, 다항식 추세선의 미분 그래프를 작성하는 단계(S353)와, 변곡점 발생 시점 이후의 평가요소 A의 다항식 추세선과 평가요소 B의 추세선을 합성하는 단계(S355)와, 합성 추세선을 토대로 수요예측 그래프를 작성하는 단계(S3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tep of generating a demand forecast graph by merging the graph of evaluation factors with a high weight with the graph of evaluation factors with a low weight (S350) includes the step of expressing the data of evaluation factors as a time series graph (S351), and the time series graph Converting to a polynomial trend line (S352), creating a differential graph of the polynomial trend line (S353), synthesizing the polynomial trend line of evaluation factor A and the trend line of evaluation element B after the inflection point occurs (S355) , creating a demand forecasting graph based on the synthesized trend line (S356), and the like.

제품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S400)에서는 S300 단계에서 생성된 수요예측 그래프를 활용하여 특정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한다. In the step of predicting demand for a product (S400), future demand for a specific product is predicted by using the demand forecast graph generated in step S300.

제품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S400)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통해 선택된 제품의 수요 예측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S410)와, 선택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수요예측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S420)와, 선택된 제품의 수요 예측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S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predicting demand for a product (S400) includes outputting demand forecast data of the selected product through a demand forecast graph (S410), comparing demand forecast data of the selected product and similar products (S420), and It may include a step of correcting the demand forecast data of the product (S430), and the like.

위에서 설명한 단계들은 반드시 기재한 순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특정 단계를 생략하거나 다른 단계들이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teps described above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writte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mit a specific step or to further include other steps as need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BAFP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타사 홈피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변수 데이터 분류법, 상관도 가중치 조정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8 is a diagram showing examples of fields in which BAF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Referring to FIG. 8 , variable data classification methods and correlation weight adjustment methods for collecting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ird-party homepage site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1) 시간, 요일, 계절별 분포도 분석, 2) 상승도, 하락도의 변화 분석, 3) 산발적 급변화 분석, 4) 매출분포 분석, 5) 시장점유율 분석 등을 통해 각각 추출된 수치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시각적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아이템에 대한 자동리포팅 평가서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gures extracted through 1) time, day, and season distribution analysis, 2) rise and fall change analysis, 3) sporadic sudden change analysis, 4) sales distribution analysis, 5) market share analysis, etc.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atic reporting evaluation report for overall items through different visual analysis.

이하에서는 본 시스템에서 제품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미래 판매수량 또는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관련성이 있는 평가요소들 중 '좋아요수', '댓글수', '평점평균', '조회수'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요예측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edicting product demand in this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In the following embodiment, in order to predict future sales volume or future demand for products, 'likes', 'comments', 'average rating', and 'views' data among relevant evaluation factors are used to predict demand graphs. Let's see how to write

아래 표 1을 참조하면, 특정 제품에 관련된 좋아요수, 댓글수, 평점평균, 조회수의 수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표 1에서는 구간을 12개로 나누어 수치값을 기록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구간을 1개월 단위로 정의하고 있으나, 1구간을 1개월 단위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구간을 1일 단위, 1주일 단위, 1월 단위 등으로 정의하거나 조사기간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Table 1 below, changes in the number of likes, number of comments, average rating, and number of views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can be confirmed. In Table 1, the numerical values were recorded by dividing the interval into 12 sec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ection is defined in units of one month, but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one section in units of one month, and if necessary, the section is defined in units of one day, one week, one month, etc. It is also possible to extend or shorten the period.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1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태스크(task, 도 2 참조)에 속하는 평가요소들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다른 태스크에 속하는 동일한 평가요소들의 총 합을 이용하거나 이들의 평균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only evaluation factors belonging to one task (see FIG. 2),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total sum of the same evaluation factors belonging to different tasks or to use the average value thereof. .

예를 들어, 네이버 쇼핑 사이트를 통해 수집한 좋아요수, 댓글수, 평점평균, 조회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래 수요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네이버 쇼핑, 쿠팡, G마켓 사이트에서 좋아요수, 댓글수, 평점평균, 조회수 데이터 또는 이들 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analyze future demand using the number of likes, comments, average ratings, and number of views collected through the Naver Shopping site.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and analyze the number, rating average, number of hits data, or data corresponding to these data.

도 9a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원본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9a는 표 1에 기재된 수치값들을 꺾은선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n original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9a represents the numerical values listed in Table 1 as a line graph.

도 9a를 참조하면, 좋아요수는 최초 조사 구간(1구간)에서 15회로 최저값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6구간에서 31회로 최고값으로 기록되어 있다. 좋아요수의 최저값과 최고값 차이는 16회이다. Referring to FIG. 9A, the number of likes is recorded as the lowest value of 15 times in the first survey section (section 1) and the highest value of 31 times in the 6th s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and highest number of likes is 16 times.

댓글수는 1구간에서 8개로 최저값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4구간에서 16개로 최대값으로 기록되어 있다. 댓글수는 최저값과 최고값 차이는 8개이다. The number of comments is recorded as the lowest value at 8 in section 1, and the maximum value at 16 in section 4.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and highest values for the number of comments is 8.

평점평균은 1구간에서 4.5점으로 최저값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4구간에서 4.8점으로 최저값으로 기록되어 있다. 평점평균의 최저값과 최고값 차이는 0.3점이다. The rating average is recorded as the lowest value with 4.5 points in the 1st section, and the lowest value with 4.8 points in the 4th s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and highest values of the rating average is 0.3 points.

조회수는 2구간에서 66회로 최저값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7구간에서 81회로 최고값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회수의 최저값과 최고값 차이는 15회이다. The number of views is recorded as the lowest value with 66 times in the 2nd section, and the highest value with 81 times in the 7th s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west and highest number of views is 15 times.

이와 같이 평가요소들의 변화값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이들을 바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평가요소들에 변환 팩터를 곱하여 변화폭을 일치시킨 후 평가요소들의 변화율을 확인해 본다. As such, since the change values of the evaluation factors are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mpare them.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e of change of the evaluation factors is checked after matching the ranges of change by multiplying the evaluation factors by the conversion factor.

본 실시예에서는 변화 폭이 가장 큰 평가요소를 베이스 데이터로 선택한다. 베이스 데이터에 해당하는 평가요소의 변화폭과 일치시키도록 다른 평가요소들에 가중치 값(변환 팩터)을 곱한다. 아래 표 2에는 평가요소별 변환 팩터 값을 기재하였다. In this embodiment, an evaluation factor having the largest change range is selected as base data. The weight value (conversion factor) is multiplied by other evaluation factors to match the change range of the evaluation factor corresponding to the base data. Table 2 below describes conversion factor values for each evaluation factor.

평가요소evaluation factor 변화폭width of change 변환 팩터conversion factor 좋아요수number of likes 1616 1One 댓글수number of comments 99 1.7781.778 평점평균average rating 0.30.3 53.33353.333 조회수views 1515 1.06671.0667

도 9b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배율 변환에 따른 초기값 일치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c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승폭 및 초기값 보정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n initial value matching graph according to a magnification conversion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and FIG. 9C describes a step of generating a rise and initial value correction graph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It is a drawing to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9b와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집된 데이터들의 배율을 변환하여 이를 비교한 후, 상승폭을 일치시켜 비교한다. As shown in FIGS. 9B and 9C ,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magnifications of the collected data and compares them, and then compares them by matching the rising widths.

도 9b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각 평가요소들에 특정값을 곱하여 초기값을 일치시킨다. 예를 들어, 댓글수의 초기값은 8이므로 1.875를 곱하여 15로 변환하고, 평점평균의 초기값은 4.5이므로 3.333을 곱하여 15로 변환하고, 조회수의 초기값은 67이므로 0.224를 곱하여 15로 변환한다. Referring to FIG. 9B, the system matches the initial values by multiplying each evaluation factor by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since the initial value of comments is 8, multiply by 1.875 to convert to 15. Since the initial rating average is 4.5, multiply by 3.333 to convert to 15. Since the initial value of views is 67, multiply by 0.224 to convert to 15. .

이와 같이 변환을 하면 특정시점(초기값) 이후로 각 평가요소들의 변화 동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경우 평가요소들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을 뿐 평가요소 그래프들을 합성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평가요소들의 변화폭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By convert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hange trend of each evaluation factor after a specific point in time (initial value). Howev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synthesize graphs of evaluation factors, only the trend of evaluation factors can be grasp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tch the range of change of the evaluation factors.

도 9c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표 2에서 계산한 변환 팩터를 각 평가요소에 곱하여 아래 표 3과 같은 데이터를 생성한다. Referring to FIG. 9C, the system generates data shown in Table 3 below by multiplying each evaluation factor by the conversion factor calculated in Table 2.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2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2

그 후 시스템은 초기값 이후 평가요소들의 변화 동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초기값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한다. 이 때 변화폭은 동일하게 유지시켜야 하므로 이 단계에서는 합 또는 차를 통해 초기값을 일치시킨다. After that, the system performs correction to match the initial values so that the change trend of the evaluation factors can be confirmed after the initial values. At this time, since the range of change must be kept the same, the initial value is matched through sum or difference in this step.

아래 표 4는 상기 표 3에서 댓글수, 평점평균, 조회수 데이터에 특정 값을 더하거나 빼서 초기값을 15로 맞춘 데이터이다. Table 4 below shows data set to an initial value of 15 by adding or subtracting a specific value to the number of comments, average rating, and number of views in Table 3 above.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3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3

표 4의 데이터를 이용해 그래프를 그리면 도 9c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If a graph is drawn using the data in Table 4, a graph as shown in FIG. 9c can be obtained.

도 9d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다항식(Polynomial) 추세선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9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 polynomial trend line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 graph.

도 9c의 각 평가요소 그래프의 추세선 그래프를 그려보면 도 9d와 같다. 도 9d에서는 편의상 각 평가요소들의 6차 다항식 추세선 그래프를 확인해 본다. When the trend line graph of each evaluation factor graph of FIG. 9c is drawn, it is shown in FIG. 9d. In FIG. 9D, for convenience, a 6th order polynomial trend line graph of each evaluation factor is checked.

이에 따르면, 좋아요수의 6차 다항식 추세선 수식은 아래 수학식 1과 같고, 댓글수의 6차 다항식 추세선 수식은 아래 수학식 2와 같고, 평점평균의 6차 다항식 추세선 수식은 아래 수학식 3과 같고, 조회수의 6차 다항식 추세선 수식은 아래 수학식 4와 같다. According to this, the formula for the 6th order polynomial trend line of the number of likes i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e formula for the 6th order polynomial trend line for the number of comments i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and the formula for the 6th order polynomial trend line for the rating average is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 The formula for the 6th order polynomial trend line of hits is shown in Equation 4 below.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4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4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5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5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6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6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7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7

도 9d와 위의 수학식들을 살펴보면 각 그래프들은 서로 유사하지만 다른 지점에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즉, 평가요소들은 전체적으로 비슷한 동향을 보이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특정 시점에서 어떤 요소들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다른 요소들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Looking at FIG. 9D and the above equations, each graph is similar to each other, but increases and decreases are repeated at different points. In other words, the evaluation factors show a similar trend as a whole, but when examined in detail, some factors show a tendency to increase while other factors show a tendency to decreas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서로 연관된 평가요소들이 서로 다른 평가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여 미래 수요를 예측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uture demand is predicted by reflecting the influence of these mutually related evaluation factors on other evaluation factors.

구체적으로, 수요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평가요소를 베이스 데이터로 설정한 후 차순위 평가요소의 증가율을 반영시킨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모든 평가요소들의 증가율을 반영하여 추세선을 그릴 경우 어느 한 데이터만을 가지고 예측하는 것보다 전체적인 추세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after setting the evaluation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demand as base data, the rate of increase of the next priority evaluation factors is reflected. In this way, when a trend line is drawn by sequentially reflecting the rate of increase of all evaluation factors, the overall trend can be accurately predicted rather than predicted using only one data.

이를 위해 각 그래프에서 변화율이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시점과 변화율이 음에서 양으로 바뀌는 시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변화율이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시점(또는 변화율이 음에서 양으로 바뀌는 시점)은 수요자들의 관심도가 급격히 변하는 임계 시점이므로 이를 수요 예측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oint at which the rate of change changes from positive to negative and the point at which the rate of change changes from negative to positive in each graph. The point at which the rate of change changes from positive to negative (or when the rate of change changes from negative to positive) is a critical point in time when consumers' interests change rapidly, so it needs to be reflected in demand forecasting.

도 9e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다항식(Polynomial) 추세선의 미분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시스템은 추세선의 변곡점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식 미분 그래프를 분석한다. 9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 differential graph of a polynomial trend line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 graph. The system analyzes the polynomial differential graph to identify the inflection points of the trend line.

좋아요수의 미분 추세선 수식은 아래 수학식 5과 같고, 댓글수의 미분 추세선 수식은 아래 수학식 6와 같고, 평점평균의 미분 추세선 수식은 아래 수학식 7과 같고, 조회수의 미분 추세선 수식은 아래 수학식 8와 같다. The formula for the differential trend line for the number of likes is as shown in Equation 5 below, the formula for the differential trend line for the number of comments is as shown in Equation 6 below, the formula for the differential trend line for average ratings is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and the formula for the differential trend line for the number of views is as shown in Equation 6 below. Same as Equation 8.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8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8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9
Figure 112022052137770-pat00009

Figure 112022052137770-pat00010
Figure 112022052137770-pat00010

Figure 112022052137770-pat00011
Figure 112022052137770-pat00011

수학식 5 내지 8, 도 9e를 참조하면 각 그래프의 변곡점은 아래 표 5와 같다. Referring to Equations 5 to 8 and FIG. 9E, the inflection points of each graph are shown in Table 5 below.

평가요소evaluation factor 변곡점inflection point 좋아요수number of likes 5.678(감소)5.678 (decreasing) 댓글수number of comments 4.802(감소), 9.133(증가)4.802 (decrease), 9.133 (increase) 평점평균average rating 10.651(증가)10.651 (increase) 조회수views 6.512(감소)6.512 (decrease)

도 9f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1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위에서 확인한 변곡점 데이터를 이용해 1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한다. 9F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a primary merged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generates a primary merged graph using the inflection point data identified above.

도 9b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가중치 순위를 1순위 좋아요수, 2순위 댓글수, 3순위 조회수, 4순위 평점평균 순서로 설정하였다. Referring to FIG. 9B , the system sets the weight order in the order of number of likes, number of comments, number of views, number of views, and average ratings of number 1 and number 2, respectively.

1차 병합 그래프에서는 3순위 데이터에 4순위 데이터를 병합하여 그래프를 생성시킨다. In the primary merged graph, the graph is created by merging the 4th rank data with the 3rd rank data.

4순위 평점평균 데이터는 위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0.651 이후 큰 변화가 생긴다. 구체적으로, 평점평균의 변화율이 10.651에서 마이너스(감소추세)에서 플러스(증가추세)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평점평균의 추세 변화는 3순위 조회수의 변화를 선반영 하거나 조회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은 10.651 이후 구간의 조회수 그래프에 평점평균 데이터를 반영한다. As can be seen in Table 5 above, the 4th rank average data changes significantly after 10.651. Specif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average score changes from negative (decreasing trend) to positive (increasing trend) at 10.651. Since this change in rating average trend can pre-reflect changes in the number of third-ranked views or affect changes in the number of views, the system reflects the rating average data in the graph of views in the section after 10.651.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 추세 예측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그래프의 변화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10.651 이후 구간에서 3순위 데이터와 4순위 데이터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추세선을 보정한다. Since the purpose of this embodiment is to generate the final trend prediction grap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nge trend of the graph.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trend line is correct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third and fourth rank data in the interval after 10.651.

이를 반영한 1차 병합 그래프는 도 9f와 같다. A primary merged graph reflecting this is shown in FIG. 9F.

도 9f를 참조하면, 1차 병합 전 조회수 그래프보다 1차 병합 후 그래프의 감소율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조회수 데이터만을 가지고 미래 수요를 예측할 때 보다 평점평균 데이터를 반영하였을 때 미래 수요에 대한 예측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F , it can be seen that the decrease rate of the graph after the first merge is lower than that of the graph of the number of hits before the first merge.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edicted value for future demand increased when the rating average data was reflected than when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only the number of hits data.

정성적으로 해석할 때도,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자들의 평가가 좋아졌다면 추후 평점 리뷰를 보고 제품을 선택하는 수요자들이 증가할 것이며, 이는 좋아요수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1차 병합 데이터는 병합 전 데이터보다 정확도가 높다고 생각할 수 있다. Even in qualitative analysis, if buyers' evaluation of a particular product improves, the number of consumers who select the product after looking at rating reviews will increase, which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ikes. It can be considered more accurate than data.

도 9g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2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위에서 생성한 1차 병합 데이터를 이용해 2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한다. 9G is a diagram explaining a step of generating a secondary merged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generates a secondary merged graph using the primary merged data generated above.

2차 병합 그래프는 2순위 댓글수 데이터에 1차 병합 데이터를 병합하여 그래프를 생성시킨다. The second-order merge graph is created by merging the first-order merge data with the second-order number of comments data.

3순위 조회수 데이터는 위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6.510 이후 큰 변화가 생긴다. 구체적으로, 조회수의 변화율이 6.510에서 플러스(증가추세)에서 마이너스(감소추세)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조회수의 추세 변화는 2순위 댓글수의 변화를 선반영 하거나 댓글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은 6.510 이후 구간의 댓글수 그래프에 조회수 데이터를 반영한다.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이 때 반영되는 조회수 데이터는 4순위 데이터에 의하여 보정된 데이터(앞에서 생성된 1차 병합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can be seen in Table 5 above, the third-ranked hit data changes significantly after 6.510. Specif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views changes from plus (increasing trend) to negative (decreasing trend) at 6.510. Since this change in the number of views can pre-reflec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econd-ranked comments or affec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comments, the system reflects the number of views data in the graph of the number of comments in the section after 6.510. For more accurate predi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it count data reflected at this time is data corrected by the 4th rank data (the primary merged data generated above).

이를 반영한 2차 병합 그래프는 도 9g와 같다. A secondary merged graph reflecting this is shown in FIG. 9G.

도 9g를 참조하면, 2차 병합 전 댓글수 그래프보다 2차 병합 후 댓글수 그래프의 변화폭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댓글수 데이터만을 가지고 미래 수요를 예측할 때는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조회수 및 평점평균 데이터를 반영하여 예측하는 경우 미래 수요가 완만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Referring to FIG. 9G , it can be seen that the range of change in the graph of the number of comments after the secondary merge is reduced compared to the graph of the number of comments before the secondary merge. In other words, when forecasting future demand using only comment count data,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but when forecasting with view count and rating average data reflected, future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moderately.

정성적으로 해석할 때도, 최근 댓글수는 증가하였지만 조회수가 감소추세로 전환되었다면 앞으로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한다고 예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정성적인 측면에서 볼 때 2차 병합 데이터를 통한 미래 수요 예측이 댓글수 만으로 수요를 예측하는 것보다 정확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ven in qualitative analysis, if the number of comments has recently increased, but the number of views has turned to a decreasing trend, it is not desirable to expect a rapid increase in demand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from a qualitative point of view, it can be confirmed that forecasting future demand through secondary merged data will be more accurate than predicting demand based on the number of comments alone.

도 9h는 수요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3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위에서 생성한 2차 병합 데이터를 이용해 3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한다. 9H is a diagram explaining a step of generating a tertiary merged graph in order to generate a demand forecasting grap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generates a tertiary merged graph using the 2nd order merged data generated above.

3차 병합 그래프는 1순위 좋아요수 데이터에 2차 병합 데이터를 병합하여 그래프를 생성시킨다. The third-order merge graph is created by merging the second-order merge data with the first-order number of likes data.

2순위 댓글수 데이터는 위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4.802와, 9.133 값에서 큰 변화가 생긴다. 구체적으로, 댓글수의 변화율은 4.802에서 플러스(증가추세)에서 마이너스(감소추세)로 변화고, 9.133에서 마이너스(감소추세)에서 플러스(증가추세)로 변화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Table 5 above, the data on the number of second-ranked comments has a large change in the values of 4.802 and 9.133. Specifically,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change in the number of comments changes from positive (increasing trend) to negative (decreasing trend) at 4.802, and changes from negative (decreasing trend) to positive (increasing trend) at 9.133.

이러한 댓글수의 추세 변화는 1순위 좋아요수의 변화를 선반영 하거나 좋아요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은 4.802 및 9.133 이후 구간의 좋아요수 그래프에 댓글수 데이터를 반영한다.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이 때 반영되는 댓글수 데이터는 3,4순위 데이터에 의하여 보정된 데이터(앞에서 생성된 2차 병합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is trend change in the number of comments can reflec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first-ranked likes in advance or affec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likes, the system reflects the number of comments data in the graph of the number of likes in the intervals after 4.802 and 9.133. For more accurate predic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data on the number of comments reflected at this time be data corrected by the 3rd and 4th ranking data (secondary merged data generated previously).

이를 반영한 3차 병합 그래프는 도 9h와 같다. A cubic merged graph reflecting this is shown in FIG. 9H.

도 9h를 참조하면, 3차 병합 후 좋아요수 그래프는 3차 병합 전 좋아요수 그래프보다 감소추세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좋아요수 데이터만을 가지고 미래 수요를 예측할 때는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댓글수, 조회수 및 평점평균 데이터를 반영하여 예측하는 경우 미래 수요가 증가 추세로 변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H , it can be seen that the graph of the number of likes after the 3rd merge has a decreasing trend compared to the graph of the number of likes before the 3rd merge. In other words, when predicting future demand with only the number of likes data, demand is expected to decrease, but when forecasting with the number of comments, number of views, and average rating data reflected, it can be predicted that future demand will change to an increasing trend.

정성적으로 해석할 때도, 좋아요수는 아직 감소하고 있지만 다른 모든 평가요소들(댓글수, 평점평균, 조회수)이 증가 추세로 전환되고 있다면 추후 좋아요수도 증가추세로 전환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성적인 측면에서 볼 때 3차 병합 데이터를 통한 미래 수요 예측이 좋아요수 만으로 수요를 예측하는 것보다 정확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ven in qualitative analysis, if the number of likes is still declining but all other evaluation factors (number of comments, average rating, number of views) are shifting to an increasing trend, it is desirable to expect that the number of likes will also shift to an increasing trend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from a qualitative point of view, it can be confirmed that forecasting future demand through tertiary merged data will be more accurate than predicting demand based on the number of likes alone.

도 9h는 추세 예측 그래프를 통해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9H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edicting future demand through a trend prediction graph.

시스템은 위에 설명한 방식으로 3차 병합 그래프를 생성한 후 이를 토대로 추세 예측 그래프를 생성한다. The system generates a trend prediction graph based on the cubic merged graph crea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추세 예측 그래프에서는 변곡점 발생 직전 구간(4구간)부터 최근 구간(12구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세 예측 그래프를 생성하고, 최근 구간 보다 2구간 이후의 값을 예측한다. In the trend prediction graph, a trend prediction graph is generated using data from the section immediately before the inflection point (section 4) to the latest section (section 12), and values 2 sections after the latest section are predicted.

추세 예측 그래프는 다항식(Polynomial) 추세선 그래프로 생성되며 다항식의 차수는 '(2순위 데이터의 변곡점의 수)+1'로 한다. 변곡점의 수는 그래프의 미분값이 0이 되는 x 값의 갯수를 말하기 때문에 그래프의 차수는 이를 적분한 값인 '(2순위 데이터의 변곡점의 수)+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end prediction graph is created as a polynomial trend line graph, and the degree of the polynomial is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the second-order data) + 1'. Since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refers to the number of x values at which the differential value of the graph becomes 0, the degree of the graph is preferably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the second-order data) + 1', which is the value obtained by integrating i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추세 예측 그래프는 3차 다항식 추세선 그래프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3차 다항식 추세선 그래프에 따르면 14 구간에서 y 값은 대략 26이 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trend prediction graph is composed of a 3rd order polynomial trendline graph, and according to this 3rd order polynomial trendline graph, the y value is approximately 26 in 14 intervals.

시스템은 이러한 수요 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리포팅 결과를 제시한다. The system presents a reporting result to the user using the demand prediction result.

도 10은 이래 수요 예측 결과에 근거한 리포팅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reporting based on demand prediction results thereafter.

도 10에서 상/하락도 수치는 (예측된 구간의 값/최근 구간의 값)으로 계산한다. In FIG. 10, the up/down values are calculated as (predicted section value/recent section value).

본 실시예에서는 예측된 구간(14구간)의 값은 26이고, 최근 구간(12구간)의 값은 20.3이므로 상/하락도 수치는 약 1.28이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value of the predicted section (section 14) is 26, and the value of the latest section (section 12) is 20.3, so the value of the up/down is about 1.28.

도 10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상/하락도 수치 1.28에 대응되는 '트랜드에는 적합하나 성장성이 약함으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아이템입니다' 라는 리포팅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system provides a report to the user, 'This item is appropriate for the trend but requires a careful approach due to its weak growth potential' corresponding to the up/down figure of 1.28.

도 10에 기재된 분석 예제 리포팅 멘트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필요에 따라 구체적인 문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analysis example reporting statement described in FIG. 10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specific phrases as needed.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운용되고 있는 시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시장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시장 분석 모델로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대량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빅데이터 분석 모듈(BAFP)을 통해 정확한 분석을 가능케 하고 빅데이터 분석의 타겟 확장성을 높여 다양한 업종 및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소비 패턴에 따라 각 세대별, 국가별 분석이 가능하게 하여 세대간의 행동 유형 분석과 해외 소비 패턴을 이용해 각각의 대상에 따른 맞춤형 수요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복수의 요소들의 순위를 매기고 낮은 순위 요소의 변화율을 높은 순위 요소의 변화율에 병합함으로써 수요의 변화율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등 종래 기술에 비해 양적/질적으로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s a market analysis model by predicting market demand by analyzing data acquired in real time from the market in operation in real time, and to utilize a large amount of data. The designed big data analysis module (BAFP) enables accurate analysis and increases the target scalability of big data analysis, enabling analysis for various industries and countries, and analysis by generation and country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s. It enables customized demand forecasting according to each target using intergenerational behavior type analysis and overseas consumption patterns, ranks multiple factors influencing demand, and changes the rate of change of low-ranking factors to the rate of change of high-ranking factors By merging with,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predict the rate of change of demand, etc., and quantitatively/qualitatively improved effects can be expected compared to the prior ar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빅데이터 분석 모듈
110 : 데이터 수집부
111 : 통신 모듈
112 : 데이터베이스
120 : 데이터 분석부
130 : 수요예측부
140 : 관리부
100: big data analysis module
110: data collection unit
111: communication module
112: database
120: data analysis unit
130: demand forecasting unit
140: management department

Claims (10)

제품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요소들을 선정하고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평가요소들의 관계도와 가중치를 계산하여 평가요소들을 재조합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재조합된 데이터를 토대로 제품의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선정된 평가요소들의 관계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관계도에 근거하여 평가요소들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평가요소들의 순위를 설정하고, 순위가 높은 평가요소에 순위가 낮은 평가요소 데이터를 병합하여 수요 예측 그래프를 생성시키고,
상기 평가요소들의 순위는,
설정된 구간 범위 내에서 데이터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클수록 높은 순위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가장 높은 순위(1순위)의 평가요소를 제외한 다른 평가요소들의 데이터에 변환 팩터를 곱하여 데이터의 변화폭을 상기 가장 높은 순위(1순위) 데이터와 일치시킨 후 최초 구간에서 평가요소들이 동일한 값을 갖도록 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a data collection unit that selects evaluation factors that affect product demand and collects data of evaluation factors;
a data analysis unit that recombines the evaluation factors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and weight of the evaluation factors; and
A demand forecasting unit for predicting future demand for products based on the data recombined by the data analysis unit;
The data analysis unit cal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evaluation factors, groups the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onship, sets the ranks of the grouped evaluation factors, and evaluates the evaluation elements with high rankings to those with low rankings. Merge element data to create a demand forecast graph;
The ranking of the evaluation factors is,
Within the set interval range, the hig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data, the higher the rank.
The data analysis unit,
After multiplying the data of other evaluation factors except for the highest ranking (ranking 1) evaluation factor by the conversion factor to match the range of change of the data with the highest ranking (ranking 1) data, the evaluation elements in the first section have the same value.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ibrat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예측부는,
상기 수요 예측 그래프를 통해 선택된 제품의 수요 예측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제품과 유사 제품의 수요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제품의 수요 예측 데이터를 보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mand forecasting unit,
Big data analysis frame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correct the demand forecast data of the selected product by outputting demand forecast data of the selected product through the demand forecast graph and comparing demand forecast data of the selected product and similar products. A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the platfor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평가요소들의 다항식 추세선을 추정한 후 상기 다항식 추세선의 미분 그래프를 작성하여 변곡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변곡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평가요소들의 데이터를 병합하여 수요 예측 그래프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analysis unit,
After estimating the polynomial trend line of the evaluation factors, creating a differential graph of the polynomial trend lin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inflection point, and merging the data of the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nflection point to create a demand forecast graph. Characterized in that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예측부는,
상기 수요 예측 그래프에 의하여 예측된 1순위 평가요소의 값과 최근 측정된 1순위 평가요소의 값의 비율에 근거하여 미래 수요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demand forecasting unit,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using the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future demand is predicted based on the ratio of the value of the first evaluation factor predicted by the demand prediction graph and the value of the recently measured first evaluation factor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요소들의 데이터 병합은,
두번째 순위(2순위)의 평가요소 추세선의 변곡점을 확인하고, 상기 변곡점 이후의 구간들에서 상기 1순위 평가요소의 데이터들을 상기 2순위 평가요소의 데이터와 상기 1순위 평가요소의 데이터의 평균값으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Data merging of the evaluation factors,
The inflection point of the trend line of the second-ranked (second-ranked) evaluation element is identified, and in the intervals after the inflection point, the data of the first-rank evaluation element is replaced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data of the second-rank evaluation element and the data of the first-rank evaluation element.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예측 그래프는,
상기 병합된 1순위 평가요소의 데이터들 중 상기 변곡점 직전 구간부터 최근 측정된 구간 이후의 구간까지의 다항식 추세선으로 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demand forecast graph,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using the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awn as a polynomial trend line from the section immediately before the inflection point to the section after the recently measured section among the data of the merged first-rank evaluation factors.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예측 그래프는,
상기 2순위 평가요소의 변곡점의 수에 1을 더한 차수의 다항식 추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플랫폼을 활용한 소비 패턴 분석 및 미래 수요 예측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demand forecast graph,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and future demand forecasting system using a big 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nomial trend line of the order of adding 1 to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of the second-order evaluation factor.
KR1020220060253A 2022-05-17 2022-05-17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KR102509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53A KR102509553B1 (en) 2022-05-17 2022-05-17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53A KR102509553B1 (en) 2022-05-17 2022-05-17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553B1 true KR102509553B1 (en) 2023-03-10

Family

ID=8551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253A KR102509553B1 (en) 2022-05-17 2022-05-17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553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164A (en) * 2011-03-03 2012-09-12 주식회사 디에스이트레이드 System and method for supply chain management using demend forecast
KR20140037384A (en) * 2012-09-17 2014-03-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on of merchandise demand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data
KR20160143503A (en)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한국리서치 Method and apparatus of analyzing customer's needs about analyzing target, terminal, and server
KR101784559B1 (en) 2015-09-03 2017-11-06 임대환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attern of consumption/interest
KR101922031B1 (en) 2017-09-28 2018-11-27 주식회사 스타코프 Watt-hour method and watt-hour meter f unctioning analysis of realtime power pattern, arc information extraction and arc fault alert on the basis of bigdata
KR20190132016A (en) 2018-05-18 2019-11-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Azide-containing Crosslinking Agents having Excellent Luminescent Property or Charge-Transfer Property
KR20200010624A (en) * 2018-06-22 2020-01-31 주식회사 링크트리 Big Data Integrated Diagnosis Prediction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KR20200055835A (en) 2018-11-12 2020-05-22 주식회사 어반포레스트 Customer-seller centered fitting service method through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based on big data
KR102347224B1 (en) 2021-06-28 2022-01-03 유민경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in online shopping malls through consumption pattern of online shopping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164A (en) * 2011-03-03 2012-09-12 주식회사 디에스이트레이드 System and method for supply chain management using demend forecast
KR20140037384A (en) * 2012-09-17 2014-03-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on of merchandise demand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data
KR20160143503A (en)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한국리서치 Method and apparatus of analyzing customer's needs about analyzing target, terminal, and server
KR101784559B1 (en) 2015-09-03 2017-11-06 임대환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pattern of consumption/interest
KR101922031B1 (en) 2017-09-28 2018-11-27 주식회사 스타코프 Watt-hour method and watt-hour meter f unctioning analysis of realtime power pattern, arc information extraction and arc fault alert on the basis of bigdata
KR20190132016A (en) 2018-05-18 2019-11-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Azide-containing Crosslinking Agents having Excellent Luminescent Property or Charge-Transfer Property
KR20200010624A (en) * 2018-06-22 2020-01-31 주식회사 링크트리 Big Data Integrated Diagnosis Prediction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KR20200055835A (en) 2018-11-12 2020-05-22 주식회사 어반포레스트 Customer-seller centered fitting service method through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based on big data
KR102347224B1 (en) 2021-06-28 2022-01-03 유민경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in online shopping malls through consumption pattern of online shop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1174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US201000577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earch Ranking Score For A Web Page
US201400399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satisficing in surveys
JP5633944B1 (en) Evaluation method, evaluation apparatus, and program
CN109918563B (en) Book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public data
US11599892B1 (en) Methods and systems to extract signals from large and imperfect datasets
JP2012523643A (en) Proposal of network object information for users
CN105765573A (en) Improvements in website traffic optimization
JP5588811B2 (en) Data analysis support system and method
JP2014209376A (en) Application of advertisement source and key word set in online commercial transaction platform
US112269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performance index
CN111506727A (en) Text content category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5424393B2 (en) Word theme relevance calculation device, word theme relevance calculation program, and information search device
US8700625B1 (en) Identifying alternative products
CN106294410A (en) A kind of determination method of personalized information push time and determine system
KR20140133633A (en) Goods exposure system in online shopping mall with keyword analyzing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20190055963A (en) Goods exposure system in online shopping mall with keyword analyzing
CN106815277B (en)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 engine optimization
KR102594165B1 (en) System of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sales volume prediction model for temperature change
US20210090105A1 (en) Technology opportunity mapping
KR102509553B1 (en) Analyzing comsumption pattern and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bigdata analysis framework platform
KR102602448B1 (en) System of predicting future demand using deep-learning analysis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oh yeah
Farsani et al. A semantic recommendation procedure for electronic product catalog
Serrano-Cinca et al. A structural model for sales in the e-retailing industry
JP2017151731A (en) Demand amount prediction program, demand amount predic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