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131B1 -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 Google Patents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131B1
KR102509131B1 KR1020200094173A KR20200094173A KR102509131B1 KR 102509131 B1 KR102509131 B1 KR 102509131B1 KR 1020200094173 A KR1020200094173 A KR 1020200094173A KR 20200094173 A KR20200094173 A KR 20200094173A KR 102509131 B1 KR102509131 B1 KR 102509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animal
animal hair
filter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506A (ko
Inventor
전대형
Original Assignee
전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형 filed Critical 전대형
Priority to KR102020009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1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3Devices for applying insecticides or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01M29/2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1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a controlling temperatur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1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means, e.g. with air buffers, air v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3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suction, e.g. for removing d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는 동물의 털을 말리고 털을 브러쉬로 빗어주면서 다양한 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기능을 장착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이다.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필터를 장착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이며 동시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UV LED, 적외선, 이온, 피부염 치료제, 탈취제가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소직경의 관통홀로부터 분사되는 기능을 갖춘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이다. 본체에 드라이기와 흡입기구가 일체로 형성되며, 팬과 청정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Brush manager for animals}
본 발명은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필터를 장착하여 동물의 털과 이, 진드기 등의 해충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동물이 인간의 반려 대상이 됨에 따라 동물의 케어 예를 들어 평소는 물론 목욕 후 동물의 털을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8-0067773호는 애완 동물을 목욕시킨 후 털을 말리기 위한 장치로 히터와 복수의 팬을 구비한 하우징을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790322호는 브러쉬가 구비된 동물용 드라이어로, 미용실에서 흔히 보는 형상의 드라이어의 입구부에서 열풍을 토출하여 털을 말리고, 털을 고르기 위해서 별도로 브러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드라이어를 개시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33849호는 동물의 털을 말리기 위해 사용하는 드라이어 빗에 관한 것으로서 빗의 다리 끝 옆 부분마다 구멍을 형성하여 이곳에서 드라이어의 바람이 나오도록 하는 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635호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부(100‘)와, 드라이부(200’)와, 포집부(300‘)를 구비한 애완 동물 관리기(10’)를 개시하고 있다. 털을 말리기 위해서는 본체부(100‘)에 드라이부(200’)를 끼우고 열 발산부(210‘)에서 열을 방출한다. 반대로 털을 고르기 위해서는, 드라이부(200’)를 분리하고 포집부(300‘)를 끼운 후, 브러쉬(400’)로 털을 빗으면서 음압을 이용하여 흡입구(410’)를 통해 털과 진드기를 흡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은 동물의 털을 말릴 때와, 고르기 하면서 털, 진드기나 이등의 해충을 수거할 때 별도의 부품을 장착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털, 진드기 등의 해충을 흡입구를 통해 수거할 때 동물의 털로 인해 공간의 털이 무수히 날라 다녀 주변 공간의 환경 및 호흡기 질환 외 각종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단점까지 해결해주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선행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드라이어로 동물의 털을 말리면서 털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흡입하며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필터를 장착한 편리하면서 경제적인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와 바디를 포함하는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로서, 상기 바디의 중앙에는 회전하는 블로어를 구비한 팬이 위치하고, 팬의 제1측면에는 히터와, 바디의 노출된 상부를 이루는 제1브러쉬부가 차례로 위치하고, 제1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도록 형성되며, 팬의 제2측면에는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수거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와, 바디의 노출된 하부를 이루는 제2브러쉬부가 차례로 위치하고,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거나 고르도록 형성되며,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는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히터의 열을 전달하고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고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필터를 장착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브러쉬부의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도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의 시스템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팬드라이버를 제어하고, 팬드라이버는 제어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블로어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팬의 블로어는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며, 브러쉬 사이의 소직경의 관통홀로부터 이물질을 흡입하면서 동시에 공기 청정 기능이 있는 필터가 동시에 흡수하여 공기 청정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 형성된 브러쉬의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정점에서 본체의 두께를 관통하기까지 수거필터와 연통하는 제2관통홀을 브러쉬에 형성하여,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더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공기청정기능, 탈취기능 및 자외선 LED 살균 기능을 수행하도록 추가의 필터, LED 광원 또는 탈취제를 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필터 각각은 바디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손잡이와 바디를 포함하는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로서, 상기 바디의 노출된 상부를 이루는 제1브러쉬부가 위치하고, 제1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도록 형성되며, 제2측면에는 바디의 노출된 하부를 이루는 제2브러쉬부가 위치하고,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거나 고르도록 형성되며,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는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탈취제가 브러쉬 사이의 소직경의 관통홀로부터 나오며, 탈취제가 묻어 있는 빗으로 동물 털을 빗어줌으로서 동물의 피부염을 방지하고 유해 세균을 제거하도록 한,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를 제공한다.
자외선 LED로 살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초음파로 진드기 퇴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동물의 피부염 치료제를 내부에 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UV LED, 적외선, 이온, 또는 소독제가 분사되는,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 손잡이와 바디를 포함하는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로서, 상기 바디의 중앙에는 회전하는 블로어를 구비한 팬이 위치하고, 팬의 제1측면에는 히터와, 바디의 노출된 상부를 이루는 제1브러쉬부가 차례로 위치하고, 제1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도록 형성되며, 팬의 제2측면에는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수거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와, 바디의 노출된 하부를 이루는 제2브러쉬부가 차례로 위치하고,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거나 고르도록 형성되며,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는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히터의 열을 전달하고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필터를 장착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브러쉬부의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도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어의 시스템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팬드라이버를 제어하고, 팬드라이버는 제어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블로어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팬의 블로어는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 형성된 브러쉬의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정점에서 본체의 두께를 관통하기까지 수거필터와 연통하는 제2관통홀을 브러쉬에 형성하여,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더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공기청정기능, 탈취기능 및 자외선 LED 살균 기능을 수행하도록 추가의 필터, LED 광원 및 탈취제를 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필터 각각은 바디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와 바디를 포함하는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로서, 상기 바디의 노출된 상부를 이루는 제1브러쉬부가 위치하고, 제1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도록 형성되며, 제2측면에는 바디의 노출된 하부를 이루는 제2브러쉬부가 위치하고,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거나 고르도록 형성되며,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는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탈취제가 브러쉬 사이의 소직경의 관통홀로부터 나오며, 탈취제가 묻어 있는 빗으로 동물 털을 빗어줌으로서 동물의 피부염을 방지하고 유해 세균을 제거하도록 한,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를 제공한다.
자외선 LED로 살균기능을 구비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드기 퇴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동물의 피부염 치료제를 내부에 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UV LED, 적외선, 갈바닉 이온, 또는 소독제가 분사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는 드라이어의 상하면 중 어느 면을 사용하여도 털을 말리는 것이 가능하며, 적어도 일면 이상을 통하여 털을 고를 수 있으므로, 드라이와 고르기 작업을 위하여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는 털과 해충 및 크기가 큰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팬과 필터를 구동시키며, 브러쉬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이들을 흡수하므로, 동물의 청소 및 소제를 확실히 하고 주변의 털로인한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디를 이루는 각 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각 부품을 결합하여 바라 본 바디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제2브러쉬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의 시스템 구성도; 그리고
도 6은 선행기술의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1)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관리기(1)는 손으로 파지하고 동물의 털을 말리고 소제하기 편하게 설계된다. 관리기(1)는 손잡이(4)와 바디(2)를 포함한다. 손잡이(4)는 손으로 쥘 수 있는 형상이며, 온/오프 버튼(6), 드라이 또는 말림 버튼(8) 및 소제 또는 고르기 버튼(10)이 형성된다. 드라이 버튼(8)을 눌러 동물의 털을 말리며, 고르기 버튼(10)을 눌러 털, 진드기 또는 이등의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바디(2)는 다소 큰 빗과 같은 형상이며, 털을 빗기 위한 솔, 즉 브러쉬가 상하 양면에 형성된다. 바디(2)의 넓은 양면을 통하여 열풍이 공급되며, 종래 기술과 같이 입구를 통하여 열풍이 토출되는 드라이기가 아님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디(2)를 이루는 각 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바디(2)의 중앙에는 팬(12)이 위치한다. 팬(12)에는 4개의 블레이드가 셋트를 이룬 블로어(B)가 열을 이루어 3개 정렬 배치된다. 블레이드와 블로어(B)의 숫자나 형상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팬(12)의 상부에는 히터(22)가 위치한다. 히터(22)에는 열선코일(24)이 히터(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고르게 분포한다.
히터(22) 상부에는 바디(2)의 노출된 상부를 이루는 제1브러쉬부(100a)가 위치한다. 제1브러쉬부(100a)의 본체(102a)에는 솔, 즉 브러쉬(104a)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러쉬(104a) 사이의 공간에는 소직경의 관통홀(106a)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관통홀(106a)은 히터(22)의 열을 전달하도록 본체(102a)의 두께 전체를 관통한다.
다음, 팬(12)의 하부에는 필터(14)가 위치한다. 필터(14)는 예를 들어,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헤파필터(16), 황사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복합필터(18) 및 동물의 털과 진드기 및 이를 걸러내기 위한 수거필터(20)의 3층 구조를 가진다. 헤파틸터(16)는 0.3마이크로미터의 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하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대장균 등의 균에 대하여 완벽한 항균력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한다. 복합필터(18)는 황사를 걸러내며, ‘피톤 치드’를 함유하여 이산화질소와 이산화항 화합물인 유해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가진다. 수거필터(20)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물의 털과 진드기 및 이와 같은 해충을 걸러낸다.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도 필터링 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필터(14)는 3층이 아닌 2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는 동물의 털과 해충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다른 필터를 생략하고 수거필터(20)를 공극이 다른 여러 층으로 쌓아 복합 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달리 또는 이상과 병행하여, 본 발명에서는 필터(14)를 이용하여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동물을 키우다보면 동물의 털로 인해 공간의 털이 무수히 날라 다녀 호흡기 질환 외 각종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 부분을 해결해줄 필요가 있다. 특히 털갈이 시기의 경우, 털이 많이 나오기 ?문에 이물질 흡입 기능이 있는 브러쉬로 빗어주면서 동시에 흡입하더라도 연속적으로 빗질을 해주지 않는 이상, 견주의 털로 인한 건강을 염려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빗질과 흡입기기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공기청정 기능을 함께 사용하면 흡입되는 털 부분 외 그 밖의 이물질을 공기청정기능이 있는 필터 어셈블리가 흡수해주니 털 관리 및 견주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 공기청정기능을 위하여 필터(14)를 더 다층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소형의 공기청정기를 필터(14)에 인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시, 필터(14)의 하부에는 바디(2)의 노출된 하부를 이루는 제2브러쉬부(100b)가 위치한다. 제2브러쉬부(100b)는 제1브러쉬부(100a)와 동일하다. 즉, 제2브러쉬부(100b)의 본체(102b)에는 솔, 즉 브러쉬(104b)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러쉬(104b) 사이의 공간에는 소직경의 관통홀(106b)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관통홀(106b)은 히터(22)의 열을 전달하고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본체(102b)의 두께 전체를 관통한다.
본 발명은 드라이어기능(열, 건조), 공기청정기능, 탈취기능 및 UV LED 기능(살균기능), 갈바닉 이온 외 기능 그리고 각 기능과 연관된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염 치료제를 탈취제 넣는 곳에 넣어 탈취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치료제가 관통홀을 통해 나오는 기능, 치료제가 묻은 브러쉬로 빗어주면서 피부염 치료제를 피부에 바르는 투약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히터(22) 대신 PCB 또는 LED 자외선을 사용하여 살균 소독할 수 있으며, 팬(12) 대신 소독제를 담는 용기 또는 치료제를 담는 용기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리기(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제어부(c)는 팬드라이버(d)를 제어하고, 팬드라이버(d)는 제어부(c)로부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블로어(B)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어부(c)는 히터드라이버(d‘)를 제어하고, 히터드라이버(d’)는 제어부(c)로부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히터(22)를 가열한다. 제어부(c)는 드라이 버튼(8) 및 고르기 버튼(10) 각각과 연결되어, 드라이 버튼(8)이 작동하면 제어부(c)를 경유하여 블로어(B)는 일방향, 즉 공기를 송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고르기 버튼(10)이 작동하면 제어부(c)를 경유하여 블로어(B)는 타방향, 즉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은 도 2의 각 부품을 결합하여 바라 본 바디(2)의 측단면도이다.
팬(12)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히터(22) 및 제1브러쉬부(100a)가 차례로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필터(14) 및 제2브러쉬부(100b)가 차례로 배치된다.
히터(22)가 가열된 상태에서 동물의 털을 말리기 위하져 작업자가 드라이 버튼(8)을 누르면, 팬(12)의 블로어(B)는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가열된 공기가 필터(14)를 통하여 제2브러쉬부(100b)의 관통홀(106b)을 통과하고 동물의 털 사이로 공급된다. 반대편인 제1브러쉬부(100a)에는 팬(12)의 영향이 미치지 않지만, 좁은 통로로서 관통홀(106a)이 형성되어 있고 히터(22)와 동물의 털 사이는 아주 미세한 간격만 존재하므로, 히터(22)가 가열한 공기는 베르누이 법칙에 의하여 관통홀(106a)을 통하여 또는 복사열로 동물의 털로 전달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드라이어(1)의 양쪽을 사용하여 편하고 신속하게 털을 말릴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사열을 이용할 수 있다면, 제1브러쉬부(100a)에는 관통홀(106b)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동물의 털을 소제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고르기 버튼(10)을 누르면, 팬(12)의 블로어(B)는 일방향과 반대인 타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블로어(B)의 흡입에 의하여 동물의 털, 진드기 및 이등의 해충과 이물질이 관통홀(106b)을 통과하여 필터(14), 특히 필터(14)의 수거필터(20)에 포집된다. 팬(12)의 흡입 효과는 제1브러쉬부(100a)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어(1)의 어느 면을 사용하여도 털을 말리는 것이 가능하며, 적어도 일면을 통하여 털을 고를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드라이와 고르기 작업을 위하여 어떤 부품도 교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달리 제1브러쉬부(100a) 측에도 추가로 필터를 설치하면 드라이어의 양면을 활용하여 털을 말리고 소제할 수 있다.
또, 드라이와 고르기 기능을 각각의 버튼으로 구동하는 방법을 토대로 설명하였지만, 복사열에 의한 말리기가 가능하다면 팬(12)은 항상 흡입 모드로 구동하고, 제1브러쉬부(100a)로는 털을 말리고, 제2브러쉬부(100b)로는 털을 소제하도록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앞서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동물의 털 소제 작업을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본체(102b)에 형성된 브러쉬(104b)의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정점에서 본체(102b)의 두께를 관통하기까지 수거필터(20)와 연통하는 제2관통홀(108b)을 브러쉬(104b)에 형성하고 있다. 브러쉬(104b)는 털과 직접 접촉하므로 브러쉬(104b)에 제2관통홀(108b)을 형성함으로써 털과, 털에 달라붙은 해충을 더욱 확실히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2관통홀(108b)은 블로어(B)가 일방향 회전할 때 열풍이 더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2관통홀(108B)을 통해서는 공기청정기능이 있는 필터 어셈블리 뿐만 아니라 UV LED, 적외선, 이온, 피부염 치료제 또는 소독제 등이 나올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품 바디(2) 안에 탈취 기능이 있는 탈취제를 포함하거나, 탈취 필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탈취 버튼을 누르면 탈취제가 브러쉬 사이의 관통홀로부터 나오게 된다. 탈취제가 묻어 있는 빗으로 동물 털을 빗어줌으로써 동물 피부염을 막고 유해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자외선 LED광원을 설치하여, 살균 소독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자외선 LED는 공기와 산화 반응을 일으켜 기체 속의 세균을 박멸시키며 주변 환경을 무균 상태로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동물과 가족들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피부질환, 독감, 신종플루 등 각종 질병의 예방이 가능하다. 나아가, LED 파장대를 청색 또는 적색으로 변경시키면서 피부 치료 관리를 하거나, 갈바닉 전류 요소를 삽입하여 갈바닉 이온을 통하여 피부염의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LED외 초음파 발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경우, 필터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공기청정기능, 탈취기능, LED 기능 등 각종 기능은 제품 내부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였으며, 이는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에까지 미치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1)

  1. 손잡이와 바디를 포함하는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로서, 상기 바디의 중앙에는 회전하는 블로어를 구비한 팬이 위치하고, 팬의 제1측면에는 히터와, 바디의 노출된 상부를 이루는 제1브러쉬부가 차례로 위치하고, 제1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도록 형성되며, 팬의 제2측면에는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수거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와, 바디의 노출된 하부를 이루는 제2브러쉬부가 차례로 위치하고,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거나 고르도록 형성되며,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는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히터의 열을 전달하고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필터를 장착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부의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도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의 시스템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팬드라이버를 제어하고, 팬드라이버는 제어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블로어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팬의 블로어는 일방향 회전에 의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타방향 회전에 의해 브러쉬 사이의 소직경의 관통홀로부터 동물의 털과 진드기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면서 동시에 공기 청정 기능이 있는 필터가 흡입되는 털 부분 외 그 밖의 공간의 이물질까지 흡수하여 공기 청정 환경을 조성하는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 형성된 브러쉬의 중앙 길이 방향을 따라 정점에서 본체의 두께를 관통하기까지 수거필터와 연통하는 제2관통홀을 브러쉬에 형성하여, 동물의 털과 진드기, 이 및 입자가 큰 먼지나 이물질을 더 흡입하는,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공기청정기능, 탈취기능, 피부치료기능 및 자외선 LED 살균 기능을 수행하도록 추가의 필터, 탈취제, 피부염 치료제 및 LED 광원을 더 장착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필터, 탈취제, 피부염 치료제, 또는 LED 광원 각각은 바디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7. 손잡이와 바디를 포함하는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로서, 상기 바디의 노출된 상부를 이루는 제1브러쉬부가 위치하고, 제1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도록 형성되며, 제2측면에는 바디의 노출된 하부를 이루는 제2브러쉬부가 위치하고, 제2브러쉬부의 본체에는 브러쉬가 전체 면적에 걸쳐 촘촘한 간격으로 동물의 털을 빗거나 고르도록 형성되며, 브러쉬 사이의 공간에는 소직경의 관통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탈취제가 브러쉬 사이의 소직경의 관통홀로부터 나오며, 탈취제가 묻어 있는 빗으로 동물 털을 빗어줌으로서 동물의 피부염을 방지하고 유해 세균을 제거하도록 한,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자외선 LED로 살균기능을 구비한,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
  9. 제 7항에 있어서,
    초음파로 진드기 퇴치 기능을 구비한,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
  10. 제 7항에 있어서,
    동물의 피부염 치료제를 내부에 더 장착한,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UV LED, 적외선, 갈바닉 이온, 피부염 치료제, 탈취제 또는 소독제가 분사되는, 동물의 털 브러쉬 관리기.
KR1020200094173A 2020-07-29 2020-07-29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KR102509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173A KR102509131B1 (ko) 2020-07-29 2020-07-29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173A KR102509131B1 (ko) 2020-07-29 2020-07-29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06A KR20220014506A (ko) 2022-02-07
KR102509131B1 true KR102509131B1 (ko) 2023-03-10

Family

ID=8025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173A KR102509131B1 (ko) 2020-07-29 2020-07-29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938A (ko) 2022-11-07 2024-05-14 빅디퍼주식회사 송풍 및 배기기능을 갖는 반려동물용 드라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9661A1 (en) 2015-03-02 2016-09-09 David Bachar Double sided pet brush
WO2017046588A1 (en) 2015-09-14 2017-03-23 Jemella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KR101790322B1 (ko) 2016-02-29 2017-10-25 박성민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101809163B1 (ko) 2015-10-28 2017-12-14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그루밍용 에어 브러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626A (ko) * 2003-07-22 2005-01-29 백웅기 애완동물 전용 드라이어
KR100941657B1 (ko) * 2008-04-11 2010-02-11 안석환 초음파 진동식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9661A1 (en) 2015-03-02 2016-09-09 David Bachar Double sided pet brush
WO2017046588A1 (en) 2015-09-14 2017-03-23 Jemella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air
KR101809163B1 (ko) 2015-10-28 2017-12-14 주식회사 이주코리아 펫 그루밍용 에어 브러쉬
KR101790322B1 (ko) 2016-02-29 2017-10-25 박성민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506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US20050166863A1 (en) Sterilizing comb for pets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US20150181858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edbugs
KR102509131B1 (ko) 동물용 브러쉬 관리기
CN105361832A (zh) 利用排气热的具有除湿功能的清洁器
KR20100029789A (ko)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2385347B1 (ko) 동물축사용 바닥깔개 청소장치
KR101966438B1 (ko)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KR102203323B1 (ko) 공기순환 살균기
KR100718249B1 (ko) 모듈형 공기정화장치
KR102230261B1 (ko) 다기능의 반려동물용 빗
KR102234350B1 (ko) 반려동물 관리기
KR102015799B1 (ko) 글로브 박스형 펫 드라이룸
KR20180000416U (ko) 애완동물용 진공빗
KR20100001770U (ko) 애완동물용 살균 탈취장치
KR101580186B1 (ko) 휴대용 살균집진장치
JP2009504178A (ja) シラミ駆除システムと方法
US20100049285A1 (en) Ectoparasite Erad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1707093B1 (ko) 살균기
NO20200104A1 (en) Hand disinf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KR200331705Y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20240065938A (ko) 송풍 및 배기기능을 갖는 반려동물용 드라이기
KR20050002114A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다기능 브러쉬
KR20180067036A (ko) 애완동물 배설물 냄새제거용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