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101B1 -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101B1
KR102509101B1 KR1020220105350A KR20220105350A KR102509101B1 KR 102509101 B1 KR102509101 B1 KR 102509101B1 KR 1020220105350 A KR1020220105350 A KR 1020220105350A KR 20220105350 A KR20220105350 A KR 20220105350A KR 102509101 B1 KR102509101 B1 KR 10250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request
phone number
prepaid phone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술
Original Assignee
김형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술 filed Critical 김형술
Priority to KR102022010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상계좌 입금 형태로 결제된 선불폰 충전 요청에 대해, 고객이 자신의 요금제를 쉽게 확인하도록 제공되어 착오로 인한 오납을 방지하고, 충전실패 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PREPAID PHONE AUTOMATED CHARGING SERVICE}
아래 실시예들은 가상계좌 입금 형태로 결제된 선불폰 충전 요청에 대해, 고객이 자신의 요금제를 쉽게 확인하도록 제공되어 착오로 인한 오납을 방지하고, 충전실패 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급제 휴대폰 이용자나 외국인 등에게 선불폰 요금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다만, 현재 선불폰 요금제는 고객이 통신사 대리점 등을 직접 방문하여 매번 요금을 충전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수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인 등 정보에 취약하거나 국내 대리점에 방문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고객들은 매우 큰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선불폰 충전 대행 서비스들이 일부 상용화된 바 있으며, 고객으로부터 요금을 결제받은 뒤, 대행사가 통신사에 대해 요금 충전 처리를 수행하는 형태로 고객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선불폰의 경우 일반 요금제(만원, 2만원 등 필요한 만큼의 요금을 충전하여, 충전된 요금이 소진될 때까지 사용), 정액제(한 달 동안 지정된 데이터/통화/문자 사용) 등 요금제가 다양화되었으며, 정액제의 경우 요금을 충전할 때 가입된 요금제의 금액과 일치하는 정확한 금액을 결제해야만 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한계에 따라, 선불폰 충전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자신이 이용하던 정액 요금제가 '정확히' 얼마인지 스스로 기억하고 있어야만 충전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자신이 이용하는 휴대폰 요금이 얼마인지(예시 : 36,000원인지 36,300원인지) 정확하게 기억하는 고객들이 매우 적다는 것을 감안하면, 비현실적일 정도로 불편한 충전 서비스인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상계좌 입금 형태의 결제 방식에서, 정확한 금액을 입금하지 못한 경우, 입금은 완료(결제 성공)되었음에도 충전에는 실패하여 고객의 자산이 가상계좌에 묶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객이 직접 서비스 제공사에 전화하여 상담원 연결을 통해서만 환불을 받을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요금제가 36,300원인데 36,000원을 입금한 경우 결제(입금)는 되었으나 300원 부족으로 충전에는 실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신의 요금제가 36,000원인데 36,300원을 입금한 경우 300원을 환불받기 위하여 평일의 근무시간에 상담원과 연결하여 환불 요청을 해야만 한다.
KR 10-0994750 B KR 10-2014-0126452 B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선불폰 충전 대행 서비스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객이 자신의 요금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요금제에 맞게 결제할 수 있도록 제한(보조/유도)하며, 결제 또는 충전에 실패한 경우에는 신속히(자동으로) 대체충전이나 환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객단말기, 통신사서버 및 결제대행사서버와 유무선 통신 연결되는 메인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기가 접속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웹페이지에서, 고객의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에 상기 선불폰 번호 8자리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선불폰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통신사서버를 통해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기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수신된 결제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결제요청을 결제대행사서버로 송신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결제대행사서버로부터 결제 성공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한 결제 성공여부에 따라 ①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 충전 요청을 통신사서버에 송신한 뒤 고객단말기에 충전완료 메세지를 송신하거나, ② 상기 고객단말기에 충전실패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결제가 실패한 요금에 대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요청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메인서버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기하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어느 한 페이지 뷰(View) 중 유일하게 제공되는 충전정보 입력 폼(Form)을 통해, 상기 웹페이지가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표기하되,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① 일반요금제, ② 월정액 및 ③ 충전불가로 구분하여 표기하며, ①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일반요금제인 경우 1만원 내지 5만원의 요금을 콤보박스 형태로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 ②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월정액인 경우 통신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불폰 번호의 월정액 요금을 고객단말기에서 수정 불가능한 텍스트 형태로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 및 ③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충전불가인 경우 충전불가 메세지를 고객단말기에서 수정 불가능한 텍스트 형태로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결제가 실패한 요금에 대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요청의 결제방식이 가상계좌 입금인 경우,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는: 제1인증단계; 및 제2인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증단계는: 상기 메인서버가, 제1가상계좌의 예금주명 우측에 화이트 스페이스 및 소정의 3자리 인증코드를 덧붙여 제1가상계좌를 생성하도록 결제대행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가상계좌의 예금주명 및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결제요청 페이지에 상기 3자리 인증코드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시 인증을 위해 필요한 번호임을 표기하는 단계;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폼에 입력된 인증코드와,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 및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단계는: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가 고객단말기에 로딩되었을 때, 상기 웹페이지가 현재 시각 타임스탬프, 상기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를 문자열 데이터로 파싱하는 단계; 파싱된 현재 시각 타임스탬프, 상기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를 상기 웹페이지가 연결(Join)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연결된 문자열을 소정의 해시 함수 API에 입력하여 제1해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해시값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산출된 상기 제1해시값을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파일로 변환된 제1해시값을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파일로 변환된 제1해시값을 업로드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에 충전실패 시 자동환불 체크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 결제가 실패한 경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에 대해 요금의 일부분이 결제되었는지 상기 메인서버가 결제대행사서버를 통해 판별하는 단계; ⓒ 상기 자동환불 체크박스가 체크되어 있었고, 상기 결제가 실패했고, 요금의 일부분이 결제된 경우, 상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 및 결제금액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 및 결제금액에 대해 환불 승인 처리된 경우, 소정의 제2가상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금액 만큼의 금액을 제2가상계좌에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요청된 환불신청 요청을 메인서버가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가상계좌가 생성되어 있는 환불신청 요청에 대해, 제2가상계좌에 입금되어 있는 금액 전액을 환불신청 요청에 포함된 계좌로 송금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가상계좌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환불신청 요청에 대해, 상기 ⓐ 내지 ⓒ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결제금액을 환불신청 요청에 포함된 계좌로 송금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요청의 결제방식이 가상계좌 입금인 경우,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는: 제3인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인증단계는: 상기 웹페이지가, 고객의 SNS에 대한 게시물 게시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SNS에 업로드 가능한 규격의 무작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무작위 이미지를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다운로드된 이미지의 제2해시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2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된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폼에 업로드된 이미지의 제3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해시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이 선불폰 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선불폰 요금제(특히, 정액 요금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을 별도의 상담원 연결 없이도 웹에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웹페이지의 어느 한 페이지 뷰(View) 중 유일하게 제공되는 충전정보 입력 폼에 일반요금제 또는 정액요금제를 구분하여 표기함으로써, 고객이 하나의 정보만을 제공받아 혼동 없이 충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계좌인증 절차가 없는 다양한 인증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쉽고 안전하게 환불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환불신청 시 입금자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계좌인증 방법과는 달리 입금 시 별도의 인증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가상계좌에 입금했던 고객 본인만이 환불신청을 할 수 있도록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웹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웹페이지의 어느 한 페이지 뷰(View) 중 유일하게 제공되는 충전정보 입력 폼(Form)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인증받는 단계(S1100)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1인증단계(S1110)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2인증단계(S1120)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3인증단계(S1130)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서버 컴퓨터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고객단말기로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등 웹사이트에 접속 가능한 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고객단말기가 메인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은 대부분 메인서버에 의해 처리되며, 일부분은 고객단말기의 웹 브라우저(이하, '웹사이트'로 표현함)에 의해 동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고객단말기가 접속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웹페이지에서, 고객의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S100);에서는, 8자리(4자리 + 4자리)의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소정의 폼(Form)에 숫자가 입력되는 것이 동적으로(자바스크립트 등 웹페이지 내에서) 트래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숫자 이외의 문자(한/영, 특수문자 등)가 입력된 경우 별도의 경고문 출력 없이 해당 문자를 삭제처리하고, 8자리의 숫자가 입력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상기 웹페이지에 상기 선불폰 번호 8자리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선불폰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에서는, 고객이 입력한 8자리의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제를 확인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써, 고객이 별도의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입력된 8자리의 번호를 RESTful API 등 소정의 프로토콜을 통해 메인서버로 자동으로 송신한다.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통신사서버를 통해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조회하는 단계(S300);는, 입력된 선불폰 번호를 연계된 각 선불폰 서비스 제공 통신사 API에 조회하여, 해당 선불폰 번호가 선불폰 요금제 번호인지 여부, 선불폰 요금제인 경우 일반요금제인지 정액요금제인지 여부, 해당 선불폰 충전 대행사에서 충전이 가능한지 여부 등을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S400);에서는 조회된 정보를 다시 고객단말기의 웹페이지로 송신하여, 고객이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정보는 개인정보가 아닌 단순한 요금제 정보이므로, 별도의 인증절차는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기하는 단계(S500);에서는 자바스크립트 등을 활용하여 웹페이지 내에 요금정보를 동적으로 표기함으로써, 고객이 별도의 팝업창이나 페이지 이동 없이도 자신의 요금제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수신된 결제요청을 수신받는 단계(S600);에서는, 고객이 자신의 요금제를 확인하고, 결제방법을 선택한 뒤 결제요청 버튼을 클릭했을 때, 웹페이지로부터 메인서버가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결제방법이 '가상계좌 입금'인 경우에는, 웹페이지 내에(선불폰 충전 폼(Form) 내에) 입금은행 선택 콤보박스를 동적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 때, 가상계좌 문자수신용 연락처를 별도로 기입받을 수 있으며, 미입력 시에는 입력된 상기 선불폰 번호로 가상계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고객이 가상계좌 입금 방식을 선택한 뒤 결제요청 버튼을 클릭한 경우, 소정의 가상계좌를 생성한 뒤 고객의 번호(선불폰 번호 또는 문자수신용 연락처)로 해당 가상계좌번호(은행명 포함), 예금주 및 입금 금액을 포함하는 문자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메인서버 또는 결제대행사서버에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결제요청을 결제대행사서버로 송신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700);는, 결제대행사를 통해 카드결제나 가상계좌 입금 결제 등을 처리하는 단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결제대행사(PG사) 결제처리는 공지기술의 영역이므로 본 발명의 특징점 이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인서버가 결제대행사서버로부터 결제 성공여부를 수신하는 단계(S800);는, 결제대행사로부터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는지를 확인받는 단계이며, 결제대행사의 API와의 연동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한 결제 성공여부에 따라 ①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 충전 요청을 통신사서버에 송신한 뒤 고객단말기에 충전완료 메세지를 송신하거나, ② 상기 고객단말기에 충전실패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S900);는, 결제가 성공했다면(필요한 요금이 모두 정상적으로 결제되었다면) 통신사서버에 결제된 요금만큼에 대해 요금 충전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결제는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으나 결제된 금액과 요금제가 상이하여 통신사서버로부터 메인서버로 충전실패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①-2)에도, 고객단말기에 충전실패 메세지를 송신한다.
다시말해,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고, 결제된 금액에 대해 통신사서버에 충전 요청을 송신한 뒤 통신사서버로부터 메인서버로 충전 성공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①-1)에만 고객단말기에 충전완료 메세지를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충전실패된 경우를 '결제실패'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결제가 실패한 요금에 대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에서는, 선불폰 번호를 입력하여 '조회'버튼을 클릭한 뒤,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고객에게 소정의 팝업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요청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메인서버가 처리하는 단계(S1200);에서는, 결제했던 고객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해당 고객이 이미 결제한 요금을 다른 선불폰에 충전하거나(대체충전), 다른 요금제로 충전하거나(대체충전), 금액을 다시 계좌로 환불받도록(환불신청) 처리할 수 있다.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은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 수행될 것이므로, 충전에 성공한(충전완료 메세지를 수신한) 대부분의 고객들에 대해서는,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내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충전이 완료된 경우 등).
또한,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기하는 단계(S500)는: 상기 웹페이지의 어느 한 페이지 뷰(View) 중 유일하게 제공되는 충전정보 입력 폼(Form)을 통해, 상기 웹페이지가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표기하되,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① 일반요금제, ② 월정액 및 ③ 충전불가로 구분하여 표기하며, ①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일반요금제인 경우 1만원 내지 5만원의 요금을 콤보박스 형태로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S510); ②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월정액인 경우 통신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불폰 번호의 월정액 요금을 고객단말기에서 수정 불가능한 텍스트 형태로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S520); 및 ③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충전불가인 경우 충전불가 메세지를 고객단말기에서 수정 불가능한 텍스트 형태로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a)에는 상기 ① 일반요금제인 경우 충전정보 입력 폼이, 도 3의 (b)에는 상기 ② 월정액인 경우 충전정보 입력 폼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재에서 '상기 웹페이지의 어느 한 페이지 뷰(View) 중 유일하게 제공되는 충전정보 입력 폼(Form)'이란,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여러 페이지 뷰(View; 화면 구성) 중에서 어느 한 페이지 뷰에, 충전을 위해 표시되는 유일한 입력 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반요금제 충전 폼과 월정액 충전 폼이 한 페이지 뷰에 각각 표기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반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한 페이지 내에 일반요금제 충전 폼과 월정액 충전 폼이 동시에 표기되어 고객에게 혼란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유일하게 제공되는 충전정보 입력 폼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결제가 실패한 요금에 대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S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상계좌 입금이 아닌 결제방식(카드결제 등)은 카드 자체가 하나의 본인인증의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인증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가상계좌 입금의 경우에 대한 상세한 인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상계좌 입금의 경우, 외국인 등 신분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결제가 가능하여 외국인 등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결제방식이지만, 환불처리 시에는 본인이 결제자임을 증빙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아래와 같은 인증 방법들을 통해 간편하게 인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의 결제방식이 가상계좌 입금인 경우,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는: 제1인증단계(S1110); 및 제2인증단계(S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단계를 거친 인증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작위 데이터 반복 입력 등에 의한 환불금액 탈취 등의 공격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증단계(S1110)는: 상기 메인서버가, 제1가상계좌의 예금주명 우측에 화이트 스페이스 및 소정의 3자리 인증코드를 덧붙여 제1가상계좌를 생성하도록 결제대행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S1111);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가상계좌의 예금주명 및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112); 상기 웹페이지가, 결제요청 페이지에 상기 3자리 인증코드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시 인증을 위해 필요한 번호임을 표기하는 단계(S1113);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S1114); 상기 웹페이지가,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폼에 입력된 인증코드와,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S1115);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 및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검증하는 단계(S1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코드는 영문 1글자, 한글 1글자 및 숫자 1글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인증코드와 예금주명을 구분하기 위해 예금주명을 구성하는 문자의 끝문자 종류(한글/숫자/영문)와 인증코드를 구성하는 문자의 첫문자 종류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금주명(선불폰 충전 대행 서비스 제공사 명)이 '폰이슈'인 경우, '폰이슈 S표7' 의 형태로 예금주명을 무작위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메인서버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예금주명을 포함하여 결제대행사서버에 가상계좌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는, 웹페이지에서 생성한 별도의 팝업창이나,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의 일측, 고객의 번호로 송신된 문자메세지/카카오톡 메세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가상계좌 입금 방식을 선택한 뒤 결제요청 버튼을 클릭한 경우, 소정의 가상계좌를 생성한 뒤 고객의 번호(선불폰 번호 또는 문자수신용 연락처)로 해당 가상계좌번호(은행명 포함), 예금주, 입금 금액 및 '상기 예금주명 뒤의 3자리 문자는 대체입금 또는 환불신청 시 필요한 인증코드입니다'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문자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상계좌 생성단계 내지 인증코드 강조단계는 결제/충전 과정에서 수행되고, 인증코드 입력폼 생성단계 내지 검증단계는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증단계(S1120)는: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가 고객단말기에 로딩되었을 때, 상기 웹페이지가 현재 시각 타임스탬프, 상기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를 문자열 데이터로 파싱(Parsing)하는 단계; 파싱된 현재 시각 타임스탬프, 상기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를 상기 웹페이지가 연결(Join)하는 단계(S1122); 상기 웹페이지가, 연결된 문자열을 소정의 해시 함수 API에 입력하여 제1해시값을 산출하는 단계(S1123);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해시값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124); 상기 웹페이지가, 산출된 상기 제1해시값을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S1125); 상기 웹페이지가, 파일로 변환된 제1해시값을 다운로드시키는 단계(S1126);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파일로 변환된 제1해시값을 업로드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S1127);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검증하는 단계(S1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에서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가 고객단말기에 로딩되었을 때'란, 결제요청(충전하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를 의미할 수 있다.
문자열 데이터로 취급(파싱)된 타임스탬프,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는, String.Join 메서드 등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의 문자열로 조합될 수 있으며, 조합된 상태의 문자열을 해시 함수 API에 입력함으로써 제1해시값으로 변환하여 유일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1해시값은 매우 복잡한 형태의 문자열이므로 고객이 해당 값을 메모하거나 기억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해당 제1해시값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시켜 파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인증 과정에서는 해당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으로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열 파싱단계 내지 제1해시값 다운로드단계는 결제/충전 과정에서 수행되고, 제1해시값 업로드폼 생성단계 및 제1해시값 검증단계는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에 충전실패 시 자동환불 체크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 결제가 실패한 경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에 대해 요금의 일부분이 결제되었는지 상기 메인서버가 결제대행사서버를 통해 판별하는 단계; ⓒ 상기 자동환불 체크박스가 체크되어 있었고, 상기 결제가 실패했고, 요금의 일부분이 결제된 경우, 상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 및 결제금액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 및 결제금액에 대해 환불 승인 처리된 경우, 소정의 제2가상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금액 만큼의 금액을 제2가상계좌에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요청된 환불신청 요청을 메인서버가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가상계좌가 생성되어 있는 환불신청 요청에 대해, 제2가상계좌에 입금되어 있는 금액 전액을 환불신청 요청에 포함된 계좌로 송금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가상계좌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환불신청 요청에 대해, 상기 ⓐ 내지 ⓒ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결제금액을 환불신청 요청에 포함된 계좌로 송금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선불폰 가상계좌 오납 환불처리 과정은, 근무시간(월~금 09:00~17:00) 내에 상담원과의 연결을 통해서만 진행 가능했으며, 상담원 연결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환불을 위해 상당한 시간을 대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환불처리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고객이 결제시부터 자동환불을 위해 자동환불 체크박스를 체크했었던 경우에는, 미리 해당 정보를 리스트업(데이터베이스 등록)된 환불 대상을 확인한 관리자가 환불을 승인 처리하거나, 자동화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자동으로 승인 처리된 환불 대상들은 별도의 제2가상계좌로 임시 입금될 수 있다.
이후, 고객이 환불요청하는 경우 인증과정을 거쳐 해당 고객의 계좌로 제2가상계좌에 있는 금액 전액을 송금처리함으로써 환불 과정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고객이 자동환불 체크박스를 체크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웹 상에서 환불처리를 요청하도록 하여 이후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별도의 상담원 연결 없이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제요청의 결제방식이 가상계좌 입금인 경우,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는: 제3인증단계(S1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인증단계(S1130)는: 상기 웹페이지가, 고객의 SNS에 대한 게시물 게시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S1131);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SNS에 업로드 가능한 규격의 무작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1132);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무작위 이미지를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하는 단계(S1133);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단계(S1134); 상기 메인서버가, 다운로드된 이미지의 제2해시값을 추출하는 단계(S1135);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2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136);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된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S1137);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폼에 업로드된 이미지의 제3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해시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NS에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과정에서, SNS 게시물의 내용에 선불폰 번호, 충전 요청 시간, 충전금액, 요금제 등의 정보를 기재함으로써, 고객이 선불폰 충전 이력을 보다 쉽게 기억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일반적인 SNS들은 이미지를 업로드할 때 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자체적인 알고리즘에 따라 이미지를 축소/압축하므로, 업로드하기 전의 이미지와 SNS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는 서로 다른 파일이 되어, 서로 다른 해시값을 가지게 된다.
이미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이미지파일 자체도 유일하게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으나, 고객마다 서로 다른 이미지 파일(제2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도록 SNS의 이미지 변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시 권한 요청단계 내지 제2해시값 저장단계는 결제/충전 과정에서 수행되고, 이미지 업로드폼 생성단계 및 제2해시값 검증단계는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 메인서버
2 : 고객단말기
3 : 통신사서버
4 : 결제대행사서버
5 : 데이터베이스
S100 : 상기 고객단말기가 접속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웹페이지에서, 고객의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S200 : 상기 웹페이지에 상기 선불폰 번호 8자리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선불폰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S300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통신사서버를 통해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S400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S500 :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기하는 단계
S600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수신된 결제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S700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결제요청을 결제대행사서버로 송신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S800 : 상기 메인서버가 결제대행사서버로부터 결제 성공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S900 :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한 결제 성공여부에 따라 ①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 충전 요청을 통신사서버에 송신한 뒤 고객단말기에 충전완료 메세지를 송신하거나, ② 상기 고객단말기에 충전실패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S1000 :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결제가 실패한 요금에 대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S1100 :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
S1110 : 제1인증단계
S1111 : 상기 메인서버가, 제1가상계좌의 예금주명 우측에 화이트 스페이스 및 소정의 3자리 인증코드를 덧붙여 제1가상계좌를 생성하도록 결제대행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S1112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가상계좌의 예금주명 및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S1113 : 상기 웹페이지가, 결제요청 페이지에 상기 3자리 인증코드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시 인증을 위해 필요한 번호임을 표기하는 단계
S1114 :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S1115 : 상기 웹페이지가,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폼에 입력된 인증코드와,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S1116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 및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검증하는 단계
S1120 : 제2인증단계
S1121 :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가 고객단말기에 로딩되었을 때, 상기 웹페이지가 현재 시각 타임스탬프, 상기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를 문자열 데이터로 파싱하는 단계
S1122 : 파싱된 현재 시각 타임스탬프, 상기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를 상기 웹페이지가 연결(Join)하는 단계
S1123 : 상기 웹페이지가, 연결된 문자열을 소정의 해시 함수 API에 입력하여 제1해시값을 산출하는 단계
S1124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해시값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S1125 : 상기 웹페이지가, 산출된 상기 제1해시값을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S1126 : 상기 웹페이지가, 파일로 변환된 제1해시값을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S1127 :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파일로 변환된 제1해시값을 업로드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S1128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검증하는 단계
S1130 : 제3인증단계
S1131 : 상기 웹페이지가, 고객의 SNS에 대한 게시물 게시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S1132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SNS에 업로드 가능한 규격의 무작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S1133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무작위 이미지를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하는 단계
S1134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S1135 : 상기 메인서버가, 다운로드된 이미지의 제2해시값을 추출하는 단계
S1136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2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S1137 :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된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S1138 :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폼에 업로드된 이미지의 제3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해시값과 비교하는 단계
S1200 :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요청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메인서버가 처리하는 단계

Claims (3)

  1. 고객단말기, 통신사서버 및 결제대행사서버와 유무선 통신 연결되는 메인서버에 의해 처리되는,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기가 접속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소정의 웹페이지에서, 고객의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에 상기 선불폰 번호 8자리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선불폰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통신사서버를 통해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고객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기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수신된 결제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결제요청을 결제대행사서버로 송신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결제대행사서버로부터 결제 성공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수신한 결제 성공여부에 따라 ①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 충전 요청을 통신사서버에 송신한 뒤 고객단말기에 충전완료 메세지를 송신하거나, ② 상기 고객단말기에 충전실패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결제가 실패한 요금에 대한 대체충전 및 환불신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소정의 팝업창을 제공하여,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요청된 대체충전 및 환불신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요청을 메인서버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기하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어느 한 페이지 뷰(View) 중 유일하게 제공되는 충전정보 입력 폼(Form)을 통해, 상기 웹페이지가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표기하되,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① 일반요금제, ② 월정액 및 ③ 충전불가로 구분하여 표기하되,
    상기 대체충전은: 상기 결제가 실패한 요금을 다른 선불폰 번호에 충전하거나,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 충전 요청과는 다른 요금제로 충전하는 것이고,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를 상기 웹페이지에 표기하는 단계는:
    ①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일반요금제인 경우 1만원 내지 5만원의 요금을 콤보박스 형태로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
    ②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월정액인 경우 통신사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불폰 번호의 월정액 요금을 고객단말기에서 수정 불가능한 텍스트 형태로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 및
    ③ 상기 웹페이지가, 선불폰 번호에 대한 요금정보가 충전불가인 경우 충전불가 메세지를 고객단말기에서 수정 불가능한 텍스트 형태로 상기 충전정보 입력 폼에 동적으로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결제가 실패한 요금에 대한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요청의 결제방식이 가상계좌 입금인 경우,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는:
    제1인증단계; 및
    제2인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인증단계는:
    상기 메인서버가, 제1가상계좌의 예금주명 우측에 화이트 스페이스 및 소정의 3자리 인증코드를 덧붙여 제1가상계좌를 생성하도록 결제대행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가상계좌의 예금주명 및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결제요청 페이지에 상기 3자리 인증코드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시 인증을 위해 필요한 번호임을 표기하는 단계;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상기 인증코드를 입력받는 폼에 입력된 인증코드와,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입력된 인증코드 및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증단계는: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가 고객단말기에 로딩되었을 때, 상기 웹페이지가 현재 시각 타임스탬프, 상기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를 문자열 데이터로 파싱하는 단계;
    파싱된 현재 시각 타임스탬프, 상기 선불폰 번호 및 제1가상계좌 번호를 상기 웹페이지가 연결(Join)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연결된 문자열을 소정의 해시 함수 API에 입력하여 제1해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해시값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산출된 상기 제1해시값을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웹페이지가, 파일로 변환된 제1해시값을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파일로 변환된 제1해시값을 업로드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1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결제요청 페이지에 충전실패 시 자동환불 체크박스를 생성하는 단계;
    ⓑ 결제가 실패한 경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에 대해 요금의 일부분이 결제되었는지 상기 메인서버가 결제대행사서버를 통해 판별하는 단계;
    ⓒ 상기 자동환불 체크박스가 체크되어 있었고, 상기 결제가 실패했고, 요금의 일부분이 결제된 경우, 상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 및 결제금액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결제가 실패한 선불폰 번호 및 결제금액에 대해 환불 승인 처리된 경우, 소정의 제2가상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금액 만큼의 금액을 제2가상계좌에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요청된 환불신청 요청을 메인서버가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가상계좌가 생성되어 있는 환불신청 요청에 대해, 제2가상계좌에 입금되어 있는 금액 전액을 환불신청 요청에 포함된 계좌로 송금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가상계좌가 생성되어 있지 않은 환불신청 요청에 대해, 상기 ⓐ 내지 ⓒ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결제금액을 환불신청 요청에 포함된 계좌로 송금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요청의 결제방식이 가상계좌 입금인 경우, 상기 선불폰 번호에 대한 결제요청을 수행했던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받는 단계는:
    제3인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인증단계는:
    상기 웹페이지가, 고객의 SNS에 대한 게시물 게시 권한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SNS에 업로드 가능한 규격의 무작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무작위 이미지를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다운로드된 이미지의 제2해시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제2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웹페이지가 대체충전 또는 환불신청 요청 페이지에 상기 고객의 SNS에 비공개로 업로드된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폼(For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이미지를 업로드받는 폼에 업로드된 이미지의 제3해시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해시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KR1020220105350A 2022-08-23 2022-08-23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0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50A KR102509101B1 (ko) 2022-08-23 2022-08-23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50A KR102509101B1 (ko) 2022-08-23 2022-08-23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101B1 true KR102509101B1 (ko) 2023-03-09

Family

ID=8551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350A KR102509101B1 (ko) 2022-08-23 2022-08-23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5118A (zh) * 2023-04-18 2023-07-04 武汉快快充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充话费平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15B1 (ko) * 2006-05-23 2007-12-06 주식회사 유코어비즈 온라인 등록금수납 및 환불 방법
KR100994750B1 (ko) 2008-07-02 2010-11-16 주식회사 티모넷 전자지불금액을 이용한 선불폰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51450B1 (ko) * 2010-03-25 2012-06-01 주식회사 앤알커뮤니케이션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불 요금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6452A (ko) 2013-04-23 2014-10-31 (주)올넷시스 선불폰 사용자를 위한 통합충전카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681002B1 (ko) * 2015-12-02 2016-11-29 (주)인더스웰 멀티전자지갑 선불카드와 허브코드 기반 전자지갑 간의 간편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6056B1 (ko) * 2015-10-22 2017-05-16 지대호 전자 상거래용 양방향 에스크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금융서버
KR20190142682A (ko) * 2018-06-18 2019-12-27 조현준 마스터패스워드와 공개키와 비밀키 활용한 간편송금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15B1 (ko) * 2006-05-23 2007-12-06 주식회사 유코어비즈 온라인 등록금수납 및 환불 방법
KR100994750B1 (ko) 2008-07-02 2010-11-16 주식회사 티모넷 전자지불금액을 이용한 선불폰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51450B1 (ko) * 2010-03-25 2012-06-01 주식회사 앤알커뮤니케이션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불 요금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6452A (ko) 2013-04-23 2014-10-31 (주)올넷시스 선불폰 사용자를 위한 통합충전카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736056B1 (ko) * 2015-10-22 2017-05-16 지대호 전자 상거래용 양방향 에스크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금융서버
KR101681002B1 (ko) * 2015-12-02 2016-11-29 (주)인더스웰 멀티전자지갑 선불카드와 허브코드 기반 전자지갑 간의 간편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42682A (ko) * 2018-06-18 2019-12-27 조현준 마스터패스워드와 공개키와 비밀키 활용한 간편송금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5118A (zh) * 2023-04-18 2023-07-04 武汉快快充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充话费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582B2 (en) Launching a client application based on a message
CN103164792B (zh) 无线终端上的支付服务提供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EP3079326B1 (en) Network pay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2876594A1 (en) Payment method and device
WO2012098556A1 (en) Direct carrier billing
KR20040104660A (ko) 통신 운영자가 금융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시스템 및 상기 거래를 구현하는 방법
KR102509101B1 (ko) 선불폰 충전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11216808B2 (en) Token-based system for excising data from databases
CN107769928A (zh) 一种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171517A (zh) 一种支付方法、服务器及系统
CN204926177U (zh) 通过识别码实现刷卡的系统
US20120278214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third party charging authorization for mobile service providers
CN110580652A (zh) 通过链上数字货币结算的链上资产质押融资系统和方法
CN106899679B (zh) 终端处理业务数据的方法及装置
CN108156206B (zh) 一种数据转移方法、服务器、客户端以及系统
CN110086761B (zh) 一种提供资源的方法和设备
KR20210043267A (ko) 모바일 기반의 대금 수납 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750394B (zh) 一种信息输入方法、账号信息输入方法及终端
JP6993475B1 (ja) アカウント管理システム、アカウント管理方法及びアカウント管理プログラム
KR102437080B1 (ko) 휴대폰 번호 기반의 결제 전용계좌를 이용한 결제 처리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JP2008210283A (ja) 支払処理システム、支払処理方法及び支払処理プログラム
JP2011227537A (ja) 信用情報照会システム、信用情報開示サーバ及び信用情報照会方法
KR101866549B1 (ko) 임대료 자동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334291A (ja) 請求代行方法およびその装置ならびに決済確認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031959A (ja)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