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233B1 -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233B1
KR102508233B1 KR1020220131663A KR20220131663A KR102508233B1 KR 102508233 B1 KR102508233 B1 KR 102508233B1 KR 1020220131663 A KR1020220131663 A KR 1020220131663A KR 20220131663 A KR20220131663 A KR 20220131663A KR 102508233 B1 KR102508233 B1 KR 10250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amps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인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인조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인조명
Priority to KR102022013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서 거치되는 3개의 등기구로 조명 디자인의 심미감을 높이면서 등기구들 중 하나로 화재를 감지하면, 등기구들 중 다른 하나에서 소화 약제가 분사되게 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여 진화할 수 있게 하는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는, 천장에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저면에 거치되어 장착되되, 각각 광원을 구비한 3개의 등기구, 천장에 매설되는 소화 약제 분사기, 상기 3개의 등기구 중 하나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에 연결된 소화 약제 분사관부, 상기 3개의 등기구 중 다른 하나의 하측 끝단에 장착된 화재 감지센서로 구성된 화재 진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조명 기구{LIGHTING}
본 발명은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서 거치되는 3개의 등기구로 조명 디자인의 심미감을 높이면서 등기구들 중 하나로 화재를 감지하면, 등기구들 중 다른 하나에서 소화 약제가 분사되게 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여 진화할 수 있게 하는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 기구는 일반적인 천장등 형태로써 실내나 실외를 밝히는 용도를 기본으로 하며, 최근에는 조명 기구 자체의 디자인을 다변화시켜 인테리어 소품으로써 실내나 실외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조명 기구, 특히 인테리어 소품으로써의 조명 기구는 그 형태가 천차만별로 매우 다양하고, 빛의 조사 방식이나 방향 등에서도 차이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조명 기구의 기본적인 조명 기능에 더불어, 일종의 스프링클러와 같은 기능으로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조기 진압하여 진화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 기능의 조명 기구는 각각의 형태나 구조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한 후 소화 약제(물 포함)를 분사하게 설계되어 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881285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천장에서 하부로 길게 늘어져 거치되는 등기구들로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높이면서, 화재 발생 시 이를 즉각 감지하고 소화 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여 진화할 수 있게 하는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는,
천장에 설치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저면에 거치되어 장착되되, 각각 광원을 구비한 3개의 등기구,
천장에 매설되는 소화 약제 분사기, 상기 3개의 등기구 중 하나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에 연결된 소화 약제 분사관부, 상기 3개의 등기구 중 다른 하나의 하측 끝단에 장착된 화재 감지센서로 구성된 화재 진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에서,
상기 3개의 등기구는 모두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에서,
상기 분사관부는 상기 3개의 등기구 중 길이가 제일 긴 등기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는 상기 3개의 등기구 중 중간 길이의 등기구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에서,
상기 3개의 등기구는 각각 동일한 길이의 광원부를 가지며,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거치봉으로 각 광원부가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는,
브래킷 하부로 3개의 등기구가 길에 늘어져 거치되어 있어 일반적인 천장등과 다른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줄 수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 시 이를 즉각 감지 후 소화 약제를 바로 분사시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여 진화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길이의 등기구들로 조명 공간을 더욱 분위기 있게 연출하면서, 가장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등기구에 소화 약제 분사관부를 설치하여 소화 약제가 보다 빠르게 화재 발생 공간을 덮어서 신속한 진화를 가능하게 하며,
동일한 모양의 광원부들이 서로 다른 길이의 거치봉에 연결되어 있어 분위기 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C)에 설치되는 조명 기구에 관한 것으로, 크게 브래킷(10), 3개의 등기구(20A)(20B)(20C), 화재 진화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장(C)에 설치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의 저면에 거치되어 장착되되, 각각 광원(미도시)을 구비한 3개의 등기구(20A)(20B)(20C),
천장(C)에 매설되는 소화 약제 분사기(F),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 중 하나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F)에 연결된 소화 약제 분사관부(중공부(211)),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 중 다른 하나의 하측 끝단에 장착된 화재 감지센서(S)로 구성된 화재 진화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10)은 천장(C) 직착형으로, 상면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그 모양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브래킷(10)은 상면부측에 광원의 전원 공급 및 제어를 위한 안정기와 제어기 등이 장착되는 장착프레임(11)이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볼트(12)가 브래킷(10)의 저면으로 끼워져 천장(C)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고정볼트(12)가 천장(C)에 직결되어 조립될 수도 있고 또는 천장(C)에 설치된 별도의 조명프레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는 각각 구비된 광원으로 빛을 조사하여 기본적인 램프 기능을 한다.
이러한 3개의 등기구(20A)(20B)(20C)는 모두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높이며, 도면에서는 원형의 브래킷(10)을 따라 방사상으로 원형(삼각) 배열된 3개의 등기구(20A)(20B)(20C)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는 각각 동일한 길이의 광원부(21)를 가지며,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거치봉(22A)(22B)(22C)으로 각 광원부(21)가 상기 브래킷(10)에 연결되어 있어, 각 광원부(21)의 설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광원부(21)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11)가 형성된 파이프 타입으로 광원부(21)에 상기 광원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211)는 상기 거치봉(22A)(22B)(22C)을 관통하여 상기 브래킷(10)까지 연결되어 있어, 상기 광원과 화재 감지센서(S)의 전기 배선 연결 용도로 활용되거나, 상기 화재 진화수단으로써 분사관부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다양한 형태로 각 광원부(21)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바(bar) 타입의 엘이디 기판을 광원부(2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장착하여 광원이 빛이 측방향으로 조사되게 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일례로 링 또는 캡 타입의 엘이디 램프를 등기구(20A)(20B)(20C)의 하측 끝단에 장착하여 광원의 빛이 하부로 조사되게 할 수 있는 등,
상기 광원의 장착 타입이나 모양, 조사 방향 등에 제한이 없다.
이러한 광원부(21)는 최상단에 상기 거치봉(22A)(22B)(22C)의 하측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봉(22A)(22B)(22C)의 최상단이 상기 브래킷(10)의 저면에 결합되어 등기구(20A)(20B)(20C)가 브래킷(10)에 거치되어 조립된다.
이때 상기 거치봉(22A)(22B)(22C)은 최상단에 수나사부(221)를 가져, 상기 수나사부(221)가 상기 브래킷(10)의 결합공(13)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부(221)에 너트(23)가 조여져 장착된다(수나사부(221) 및 결합공(13)은 도 4참고).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F)는 천장(C) 내부에 매립 설치되며, 그 안에는 일정량의 소화 약제가 저장되어 있고, 소화 약제의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상기 화재 감지센서(S)에 연동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소화 약제이란, 화재 진화에 사용되는 각종 소화 분말 또는 이를 포함한 소화액은 물론, 일반적인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분사관부는 상기 등기구(20A)(20B)(20C)들 중 하나의 중공부(211)를 활용한 것으로써, 본 명세서의 도 1에서는 중공부(211) 자체가 분사관부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중공부(211) 상에 소화 약제 분사를 위한 별도의 관이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재 감지센서(S)는 공지된 것으로써, 상기 광원부(21)의 하측단 중공부(211)에 캡 형태로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F)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F)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소화 약제가 즉각적으로 분사되게 한다.
특히 상기 분사관부는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 중 길이가 제일 긴 등기구(20A)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S)는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 중 중간 길이의 등기구(20B)에 장착되어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길이가 긴 순서대로 등기구(20A)(20B)(20C)들을 구분하면,
길이가 제일 긴 제1 등기구(20A)는 그 하측 끝단의 설치 높이가 제일 낮게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바닥에서 가장 인접한 높이에서 상기 소화 약제가 하부로 분사되게 하고,
길이가 중간인 제2 등기구(20B)는 그 하측 끝단의 설치 높이가 중간 높이로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화재의 열과 온도 및 연기를 복합적으로 감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길이가 제일 짧은 제3 등기구(20C)는 별도의 화재 진화 기능이 없이 일반적인 램프 용도로 사용되며,
이때 상기 제1 등기구(20A)와 제2 등기구(20B) 역시 상기 제3 등기구(20C)와 함께 기본적인 램프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천장(C)으로부터 길게 늘어진 3개의 등기구(20A)(20B)(20C), 특히 서로 다른 길이의 등기구(20A)(20B)(20C)들로 일반적인 천장 설치형 조명장치와 달리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매우 높여주며,
중간 높이의 제2 등기구(20B)에서 화재의 발생을 열과 온도 및 연기로 즉각 감지한 후, 화재 발생 신호를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F)에 전달하면,
가장 낮은 높이의 제1 등기구(20A)에서 소화 약제가 분사됨에 따라 조명 기구 하부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여 진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등기구(20A)(20B)(20C)들의 각 거치봉(22A)(22B)(22C)은 상기 너트(23)를 통해 브래킷(10)에 조립되는 바, 구조 상 등기구(20A)(20B)(20C)들을 브래킷(10)에 조립한 상태에서 브래킷(10)을 천장(C)에 설치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브래킷(10)을 천장(C)에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20A)(20B)(20C)를 추가로 쉽게 조립하여 장착할 수 있으면서, 상기 분사관부의 연결 시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신속 조립수단을 도입하였다.
먼저 상기 거치봉(22A)(22B)(22C)은 최상단 끝단 외주면에 상기 너트(23)의 제1 암나사부(231)에 결합되는 제1 수나사부(221)가 형성되고, 최상단 끝단 내주면에 제2 암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브래킷(10)의 결합공(13) 상면에는 너트(23)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1 암나사부(231)가 결합공(13)의 상부로 연통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F)는 소화 약제의 분사 통로를 형성하는 유로관(24)이 상기 너트(23)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로관(24)은 상기 너트(23)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에 다른 부위보다 외경이 작은 승강부(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241)에는 상기 제2 암나사부(222)가 결합되는 제2 수나사부(251)를 갖는 체결부재(25)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241)의 상측단에 끼워진 오링(26)을 포함한다.
상기 유로관(24)의 승강부(241) 상, 하측단에는 외경 차이로 형성된 제1 걸림턱(242)과 제2 걸림턱(243)이 형성되어, 제1 걸림턱(242)에 상기 오링(26)이 걸려서 끼워지고, 제2 걸림턱(243)은 상기 체결부재(25)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부재(25)는 상기 승강부(241) 상에서 자유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등기구(20A)의 거치봉(22A)을 대표하여 설명하면,
상기 브래킷(10)을 천장(C)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봉(22A)을 상기 결합공(13)으로 끼워서 너트(23)에 나사 결합한다.
이에 상기 너트(23)의 제1 암나사부(231)에 상기 거치봉(22A)의 제1 수나사부(221)가 결합되며, 이때 제1 암나사부(231)와 제2 수나사부(251)의 나사산 배열이 다르므로 상기 제1 수나사부(221)만이 제1 암나사부(231)에 조립되고, 상기 제2 암나사부(222)와 제2 수나사부(251)는 나사 결합하지 않으면서 상기 체결부재(25)가 상기 승강부(241)를 타고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 수나사부(221)가 점점 조여짐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25)가 상기 오링(26)에 걸려 승강이 멈추면, 제2 수나사부(251)가 상기 제2 암나사부(222)에 맞춰지도록 상기 체결부재(25)가 회전한 후 멈춤 상태에서 상기 제2 수나사부(251)와 제2 암나사부(222)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거치봉(22A)의 나사 결합을 완료하면, 상기 거치봉(22A)이 상기 너트(23)와 유로관(24)의 체결부재(25)에 2중으로 나사 결합되어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며, 이때 상기 체결부재(25)가 상기 오링(26)을 압축시켜 유로관(24)과 체결부재(25)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상기 유로관(24)에서 중공부(211), 즉 분사관부로 이어지는 소화 약제의 유로가 기밀되어, 소화 약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조명 기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브래킷 11 : 장착프레임
12 : 고정볼트 13 : 결합공
20A, 20B, 20C : 등기구 21 : 광원부
22A, 22B, 22C : 거치봉
F : 소화 약제 분사기 S : 화재 감지센서

Claims (4)

  1. 천장(C)에 설치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의 저면에 거치되어 장착되되, 각각 광원을 구비한 3개의 등기구(20A)(20B)(20C),
    천장에 매설되는 소화 약제 분사기(F),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 중 하나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F)에 연결된 소화 약제 분사관부,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 중 다른 하나의 하측 끝단에 장착된 화재 감지센서(S)로 구성된 화재 진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는 각각 동일한 길이의 광원부(21)를 가지며, 각각 서로 다른 길이의 거치봉(22A)(22B)(22C)으로 각 광원부(21)가 상기 브래킷(1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거치봉(22A)(22B)(22C)은 최상단에 제1 수나사부(221)를 가져, 상기 제1 수나사부(221)가 상기 브래킷(10)의 결합공(13)을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수나사부(221)에 너트(23)가 조여져 장착되되,
    상기 거치봉(22A)(22B)(22C)은 최상단 끝단 외주면에 상기 너트(23)의 제1 암나사부(231)에 결합되는 제1 수나사부(221)가 형성되고, 최상단 끝단 내주면에 제2 암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10)의 결합공(13) 상면에는 너트(23)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제1 암나사부(231)가 결합공(13)의 상부로 연통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소화 약제 분사기(F)는 소화 약제의 분사 통로를 형성하는 유로관(24)이 상기 너트(23)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로관(24)은 상기 너트(23)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에 다른 부위보다 외경이 작은 승강부(2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부(241)에는 상기 제2 암나사부(222)가 결합되는 제2 수나사부(251)를 갖는 체결부재(25)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241)의 상측단에 끼워진 오링(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은 상면부측에 장착프레임(11)이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볼트(12)가 브래킷(10)의 저면으로 끼워져 천장(C)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부는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 중 길이가 제일 긴 등기구(20A)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S)는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 중 중간 길이의 등기구(20B)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등기구(20A)(20B)(20C)는 방사상으로 삼각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구.
KR1020220131663A 2022-10-13 2022-10-13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조명 기구 KR102508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663A KR102508233B1 (ko) 2022-10-13 2022-10-13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663A KR102508233B1 (ko) 2022-10-13 2022-10-13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조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233B1 true KR102508233B1 (ko) 2023-03-09

Family

ID=8551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663A KR102508233B1 (ko) 2022-10-13 2022-10-13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2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946A (ja) * 1994-02-22 1995-09-05 Mitsui Constr Co Ltd 照明器具ユニット
KR20040101199A (ko) * 2002-01-04 2004-12-02 야넥 피티와이 리미티드 모듈라 서비스 유닛
JP2010153215A (ja) * 2008-12-25 2010-07-08 Toyoda Gosei Co Ltd 天井吊り下げ灯
KR20190037410A (ko) * 2017-09-29 2019-04-08 김문기 안개 분사가 가능한 가로등
CN214147647U (zh) * 2021-02-23 2021-09-07 上海梵辰空间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用吊灯
CN113694427A (zh) * 2021-08-27 2021-11-26 西安理工大学 一种模块化农田灭火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946A (ja) * 1994-02-22 1995-09-05 Mitsui Constr Co Ltd 照明器具ユニット
KR20040101199A (ko) * 2002-01-04 2004-12-02 야넥 피티와이 리미티드 모듈라 서비스 유닛
JP2010153215A (ja) * 2008-12-25 2010-07-08 Toyoda Gosei Co Ltd 天井吊り下げ灯
KR20190037410A (ko) * 2017-09-29 2019-04-08 김문기 안개 분사가 가능한 가로등
CN214147647U (zh) * 2021-02-23 2021-09-07 上海梵辰空间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用吊灯
CN113694427A (zh) * 2021-08-27 2021-11-26 西安理工大学 一种模块化农田灭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0252B2 (en)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conventional lighting fixtures
EP2132483A4 (en) LED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SYSTEMS
KR200454250Y1 (ko) 비상구 안내 기능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102508233B1 (ko)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조명 기구
US78747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internal components of a suspended light fixture
KR101137293B1 (ko) 가로등 장치
CN102252227B (zh) 一种可调整照明效果的灯具
US20080247156A1 (en) Illumination apparatus
CN206191389U (zh) 多功能组合电器
KR20140035703A (ko) Led조명을 구비한 cctv용 지주
CN217521645U (zh) 一种多功能消防报警装置
JP2019133899A (ja) 非常用照明装置
KR102654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변압기 연결과 우수유입 차단 시스템 제공방법
KR101463353B1 (ko) 엘이디 전구
KR200379815Y1 (ko) 방폭형 피난구 유도등 구조
US10119695B1 (en) LED lamp
CN210891263U (zh) 一种可喷水灭火的灯具
US20100060196A1 (en) Device for protecting against parasites
CN209484405U (zh) 一种便于安装的筒灯
CN107559695A (zh) 带有烟雾报警功能的led吸顶灯
KR101456372B1 (ko) 엘이디 전구
CN107191836A (zh) 一种自适应led草坪灯
CN210891198U (zh) 一种照明灯具
KR10187296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조명장치
CN206739239U (zh) 一种嵌入式的防火led射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