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170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170B1
KR102508170B1 KR1020190179793A KR20190179793A KR102508170B1 KR 102508170 B1 KR102508170 B1 KR 102508170B1 KR 1020190179793 A KR1020190179793 A KR 1020190179793A KR 20190179793 A KR20190179793 A KR 20190179793A KR 102508170 B1 KR102508170 B1 KR 10250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electrode
battery cell
battery pack
compressibl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093A (ko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70B1/ko
Priority to US17/133,881 priority patent/US20210203030A1/en
Priority to EP20217625.1A priority patent/EP3846274A1/en
Priority to CN202011605590.2A priority patent/CN113161693A/zh
Publication of KR20210086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6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button or coin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05K3/32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the printed circuit having integral resilient or deformable parts, e.g. tabs or parts of flexible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37Printed or non-printed batte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78Flat pressure, e.g. for connecting terminals with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팩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팩은, 각각 제1, 제2 전극이 형성된 것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제2 면과, 제1, 제2 면을 연결해주는 측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과, 제1 면 상에 배치되어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과, 제2 면 상에 배치되어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회로기판, 및 배터리 셀의 측면을 가로질러 제1, 제2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배선을 포함하고, 제1 회로기판은, 제1 전극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 및 제1 전극과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된 제1 가압면 및 제1 가압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실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슬림화에 유리하면서도, 배터리 셀의 충, 방전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인 연결 구조가 단순화되어, 컴팩트화에 유리한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모듈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가 선호되며,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슬림화에 유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배터리 셀의 충, 방전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인 연결 구조가 단순화되어, 컴팩트화에 유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각각 제1, 제2 전극이 형성된 것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제2 면과, 상기 제1, 제2 면을 연결해주는 측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어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어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회로기판;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전극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 및
상기 제1 전극과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된 제1 가압면 및 상기 제1 가압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실장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압면은,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면은,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면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압면은, 상기 제1 전극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1 회로기판의 편평한 외면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면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를 둘러싸도록 제1 절연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 접착층은,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상기 제2 전극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 및
상기 제2 전극과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된 제2 실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상기 제2 실장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2 가압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외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실장부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외면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압면은 제2 전극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2 회로기판의 편평한 외면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는 접촉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실장부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외면 상에서 제2 압축성 도전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로기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를 둘러싸도록 제2 절연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절연 접착층은, 상기 제2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면의 직경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배터리 셀을 적용하면서, 가압 압축에 따른 높이 감소의 효과가 큰 압축성 도전체를 통하여 배터리 셀과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슬림화에 유리한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셀의 제1, 제2 전극과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회로기판과, 제1,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성배선을 포함하는 회로 패키지를 적용함으로써, 충, 방전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인 연결 구조가 단순화되며, 컴팩트화에 유리한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제2 회로기판과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성배선을 포함하는 회로 패키지의 사시도로서, 각각 제1, 제2 회로기판의 내면 및 외면을 보여주는 서로 다른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으로서, 제1, 제2 회로기판의 내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는 도 5a에 도시된 제1, 제2 회로기판의 외면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배터리 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제2 회로기판과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해주는 연성배선을 포함하는 회로 패키지의 사시도로서, 각각 제1, 제2 회로기판의 내면 및 외면을 보여주는 서로 다른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각각 제1, 제2 전극(10a,10b)이 형성된 것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제2 면(11,12)과, 상기 제1, 제2 면(11,12)을 연결해주는 측면(13)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10)과, 상기 제1 면(11) 상에 배치되어 제1 전극(10a)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S1)과, 상기 제2 면(12) 상에 배치되어 제2 전극(10b)에 연결되는 제2 회로기판(S2)과, 상기 배터리 셀(10)의 측면(13)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S1,S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배선(W)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S1)은, 상기 제1 전극(10a)을 향하는 내면(S11)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상기 제1 전극(10a)과 반대되는 외면(S12)에 형성된 제1 가압면(SP1) 및 상기 제1 가압면(SP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실장부(CM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은,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11,12)과, 상기 제1, 제2 면(11,12)을 연결해주는 측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셀(10)은, 원형의 제1, 제2 면(11,12)과, 원형의 제1, 제2 면(11,12)을 연결하도록 원주면 형태로 라운드진 측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제1, 제2 면(11,12) 상에 배치되는 제1, 제2 회로기판(S1,S2)은, 배터리 셀(10)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원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S1,S2)이 라운드진 원주면을 포함한다는 것은,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원주면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테두리 전체가 원주면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S1,S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 예를 들어, 제1 회로기판(S1)의 테두리를 따라 일부 위치에는 외부 기기(미도시)와의 정렬을 위한 정렬 홈(L)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셀(10)의 제1, 제2 면(11,12) 상에 배치되는 제1, 제2 회로기판(S1,S2)은, 배터리 셀(10)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진 원주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터리 셀(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체로 배터리 셀(10)로부터 추가적인 부피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이 장착되는 소형 기기의 제한된 장착 공간을 고려하여, 배터리 셀(10)의 외주를 따라 특정한 방향으로 일 측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셀(10)은, 원형의 제1 면(11)의 직경(D) 보다 낮은 높이(H)로 형성된 슬림화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셀(10)의 종횡비에 대해, 높이(H) 대비 제1 면(11)의 직경(D)의 종횡비는, 5.4:12 ~ 5.4:14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제1, 제2 면(11,12) 상에는,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제1, 제2 전극(10a,10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극(10a)은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10b)은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10a)은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의 전체로부터 측면(13) 일부까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10b)은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의 전체로부터 측면(13) 나머지 일부까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측면(13)에서, 제1, 제2 전극(10a,10b)은 서로 이격되어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극(10a)은, 제1 면(1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10b)은 제2 면(12)의 전체로부터 측면(13)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13)으로부터 제1 전극(10a)을 둘러싸는 제1 면(11)의 주변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면(11)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는 제1, 제2 전극(10a,10b)이 함께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제2 전극(10a,10b)은, 각각 제1 면(11)의 중앙 영역과, 제1 면(11)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제1, 제2 전극(10a,10b)이 배터리 셀(10)의 제1, 제2 면(11,12) 상에 형성된다는 것은, 제1, 제2 전극(10a,10b)이 제1, 제2 면(11,12)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제2 전극(10a,10b)이 제1, 제2 면(11,12)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구조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의 제1, 제2 전극(10a,10b)은, 각각 배터리 셀(10)의 제1, 제2 면(11,12) 상에 배치되는 제1, 제2 회로기판(S1,S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은 제1 회로기판(S1)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10)은 제1 전극(10a)이 형성된 제1 면(11)이 제1 회로기판(S1)과 마주하도록 제1 회로기판(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셀(10)은 상하 반전되도록, 상부의 제1 면(11)과 하부의 제2 면(12)이 상하로 서로 뒤집어지게 제1 회로기판(S1) 상에 배치되면서,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상에 형성된 제1 전극(10a)이 제1 회로기판(S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상에는 제1 회로기판(S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과 제1 회로기판(S1)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도전성 연결을 매개하기 위한 제1 압축성 도전체(C1)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C1)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와 같은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C1)로서의 이방성 도전 접착제는, 제1 전극(10a)과 제1 회로기판(S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1 전극(10a)과 제1 회로기판(S1)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이방성 도전 접착제의 절연성 기재(미도시) 내에 분산되어 있는 도전성 입자(미도시)가 서로 연결되어 도전성을 띨 수 있고,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통하여 제1 전극(10a)과 제1 회로기판(S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C1)는, 제1 전극(10a)을 향하는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에는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함께,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둘러싸도록 제1 절연 접착층(A1)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C1)는,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 중에서 중앙 영역(CA1)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은,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 중에서 중앙 영역(CA1)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1)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이란,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을 향하는 제1 회로기판(S1)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이란,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과 반대되는 제1 회로기판(S1)의 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의 중앙 영역(CA1)에는,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전극 패드(E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의 주변 영역(PA1)에는, 충, 방전 전류나 서로 다른 전기 신호가 소통되는 도전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의 중앙 영역(CA1)이란,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 중에서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전극 패드(E1) 또는 제1 전극 패드(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가 형성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의 주변 영역(PA1)이란,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1 전극 패드(E1) 또는 제1 전극 패드(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둘러싸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의 중앙 영역(CA1) 및 주변 영역(PA1)은, 제1 회로기판(S1)에 형성된 제1 전극 패드(E1) 또는 제1 전극 패드(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의 위치와 무관하게,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된 제1 회로기판(S1)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위치와, 상기 중앙 위치를 둘러싸는 주변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의 중앙 영역(CA1)에서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개재하여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1 전극 10a)과 제1 회로기판(S1, ex. 제1 회로기판 S1의 제1 전극 패드 E1)이 서로 도전성 결합될 수 있고,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의 주변 영역(PA1)에서는,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을 개재하여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1 전극 10a)과 제1 회로기판(S1, ex. 제1 회로기판 S1의 제1 도전 패턴)이 서로 절연성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에는 중앙 영역(CA1) 및 주변 영역(P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에도 중앙 영역(CA1) 및 주변 영역(PA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 형성된 중앙 영역(CA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 형성된 주변 영역(PA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 형성된 중앙 영역(CA1) 및 주변 영역(PA1)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의 중앙 영역(CA1)이란,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전극 패드(E1) 또는 제1 전극 패드(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가 형성된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 측과 반대되는 외면(S12) 측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의 주변 영역(PA1)이란, 상기 제1 전극 패드(E1) 또는 제1 전극 패드(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둘러싸는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 측과 반대되는 외면(S12) 측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의 중앙 영역(CA1) 및 주변 영역(PA1)은, 제1 회로기판(S1)에 형성된 제1 전극 패드(E1) 또는 제1 전극 패드(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의 위치와 무관하게,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된 제1 회로기판(S1)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위치와, 상기 중앙 위치를 둘러싸는 주변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의 중앙 영역(CA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의 주변 영역(PA1)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은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1 전극 10a)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성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은, 제1 회로기판(S1, ex. 제1 회로기판 S1의 주변 영역 PA1)과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1 전극 10a) 사이를 절연성 결합시킴으로써,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1 전극 10a) 사이의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하도록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며,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을 서로 물리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은,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사이에 함께 개재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유사하게,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는,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1 전극 10a)과 도전성 결합을 형성하는 한편으로, 제1 회로기판(S1)의 주변 영역(PA1)에 형성된 제1 절연 접착층(A1)은,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1 전극 10a)과 절연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은, 양면으로 접착층이 형성된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에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둘러싸는 제1 절연 접착층(A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에는 제1 가압면(SP1)과 제1 가압면(SP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실장부(CM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 및 외면(S12)은, 각각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과 마주하는 일면과,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과 반대되는 타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 및 외면(S12)은,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 각각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제1 가압면(SP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제1 가압면(SP1)은,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서 중앙 영역(CA1)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 각각 형성된 제1 절연 접착층(A1)과 제1 실장부(CM1)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과 제1 실장부(CM1)는,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서 중앙 영역(CA1)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면(SP1)은, 제1 회로기판(S1)의 편평한 외면(S12)이 배터리 셀(10)과 반대 방향으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가 실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가압면(SP1)은, 회로소자가 실장되지 않은 편평한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에 해당될 수 있으며, 다수의 회로소자들로부터 노출된 제1 회로기판(S1)의 편평한 외면(S12)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가압면(SP1)은,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제1 실장부(CM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압면(SP1)은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 상에서 중앙 영역(CA1)에 형성되어, 주변 영역(PA1)에 형성된 제1 실장부(CM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압면(SP1)이,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 상에서 제1 실장부(CM1)에 의해 둘러싸인다는 것은,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제1 실장부(CM1)가 배치되는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제1 실장부(CM1)가 배치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장부(CM1)는,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장부(CM1)는,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장부(CM1)는,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실장부(CM1)란,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를 집단적으로 지칭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 내지는 제1 실장부(CM1)가 배치되면서,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고, 또는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압면(SP1)이란,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의 주변 영역(PA1)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들이 배치되면서, 중앙 영역(CA1)에는 회로소자들이 배제된 공백이 형성됨으로써, 회로소자들이 배제되면서 노출된 제1 회로기판(S1)의 편평한 중앙 영역(CA1)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1 가압면(SP1)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는 상기 제1 실장부(CM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압면(SP1)이란,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 상에서 회로소자가 배제되어 노출된 제1 회로기판(S1)의 편평한 중앙 영역(CA1)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1 실장부(CM1)란, 제1 가압면(SP1)이 형성된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가압면(SP1)은,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 상에서 회로소자가 배제됨으로써 노출된 제1 회로기판(S1)의 편평한 중앙 영역(CA1)을 의미할 수 있고, 제1 회로기판(S1)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1 가압면(SP1)을 이용하여 제1 회로기판(S1)을 배터리 셀(10)에 대해 압박함으로써, 제1 가압면(SP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에 대해 도전성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제1 가압면(SP1)은,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서 서로 대응되는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을 가압 포인트로 하여,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 개재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압축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가압면(SP1)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기와 같은 가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제1 회로기판(S1)을 배터리 셀(10)에 대해 압박함으로써, 제1 가압면(SP1)과 대응되는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가 압축되면서,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이 도전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의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1 가압면(SP1)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고, 회로소자가 배제된 편평한 제1 가압면(SP1)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가압면(SP1)과 대응되는 위치의 제1 압축성 도전체(C1)가 위치에 따른 편차 없이 균등하게 압축될 수 있고, 또한,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제1 가압면(SP1)으로부터 회로소자가 배제됨으로써, 제1 가압면(SP1) 상에 제공되는 압력에 따른 회로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가압면(SP1)이 회로소자가 배제된 편평한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가압면(SP1)과, 제1 가압면(SP1)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기와 같은 가압수단(미도시)과의 안정적인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회로소자들로부터 노출된 편평한 회로기판의 제1 가압면(SP1)을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을 향하여 압박함으로써, 제1 가압면(SP1)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의 압축에 따라 제1 압축성 도전체(C1)로서의 이방성 도전 접착제가 압축되면서, 이방성 도전 접착제의 절연성 기재(미도시) 내에 분산되어 있던 도전성 입자(미도시)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통하여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0a)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주변 영역(PA1)에는, 제1 절연 접착층(A1)과 제1 실장부(CM1)가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절연 접착층(A1)과 제1 실장부(CM1)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서 제1 절연 접착층(A1)과 제1 실장부(CM1)가 전체적으로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을 제한적으로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은,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절연성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절연 접착층(A1)은 제1 회로기판(S1)의 내면(S11)에서 제1 압축성 도전체(C1)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과 달리, 상기 제1 실장부(CM1)는, 제1 회로기판(S1)의 외면(S12)에서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가압면(SP1)의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제1 절연 접착층(A1)과 제1 실장부(CM1)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제1 절연 접착층(A1)과 제1 실장부(CM1)가 제1 회로기판(S1)의 주변 영역(PA1)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겹쳐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주변 영역(PA1)에서 제1 절연 접착층(A1)을 개재하여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절연성 결합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에서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개재하여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도전성 결합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1 가압면(SP1)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가압면(SP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의 압축에 따라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의 도전성 결합을 형성하면서, 제1 가압면(SP1) 상으로부터의 압력에 따라 제1 회로기판(S1)의 주변 영역(PA1)에서는 제1 절연 접착층(A1)이 압축되면서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의 절연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에서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개재하여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의 도전성 결합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제1 회로기판(S1)의 주변 영역(PA1)에서는 제1 절연 접착층(A1)을 개재하여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의 절연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 개재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제1 절연 접착층(A1)은,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각각 도전성 결합과 절연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제1 절연 접착층(A1)은,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전체 배터리 팩의 높이가 감소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을 따라 슬림화된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압축성 도전체(C1)로서, 가압 압축에 따른 높이 감소의 효과가 큰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적용함으로써, 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과 같은 접촉 탄성체 보다 높이 방향으로 슬림화에 유리한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 접착층(A1)은, 제1 회로기판(S1)의 주변 영역(PA1)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회로기판(S1)의 주변 영역(PA1)을 따라, 그러니까, 제1 회로기판(S1)의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면서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넓은 결합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이들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밀봉하도록 둘러싸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제1 면(11) 상에는 제1 회로기판(S1)이 배치되며,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 상에는, 제2 면(12)에 형성된 제2 전극(10b)과 연결되는 제2 회로기판(S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과 제2 회로기판(S2)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도전성 연결을 매개하기 위한 제2 압축성 도전체(C2)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는,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와 같은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로서의 이방성 도전 접착제는, 제2 전극(10b)과 제2 회로기판(S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때, 제2 전극(10b)과 제2 회로기판(S2)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이방성 도전 접착제의 절연성 기재(미도시) 내에 분산되어 있는 도전성 입자(미도시)가 서로 연결되어 도전성을 띨 수 있고,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통하여 제2 전극(10b)과 제2 회로기판(S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는, 제2 전극(10b)을 향하는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에는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함께,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둘러싸도록 제2 절연 접착층(A2)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는,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 중에서 중앙 영역(CA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은,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CA2)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은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2 전극 10b)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성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이란,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 또는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을 향하는 제2 회로기판(S2)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이란,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 또는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과 반대되는 제2 회로기판(S2)의 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의 중앙 영역(CA2)에는,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전극 패드(E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의 주변 영역(PA2)에는, 충, 방전 전류나 서로 다른 전기 신호가 소통되는 도전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의 중앙 영역(CA2)이란,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 중에서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전극 패드(E2) 또는 제2 전극 패드(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가 형성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의 주변 영역(PA2)이란, 제2 회로기판(S2)의 중앙 영역(CA2)에 형성된 제2 전극 패드(E2) 또는 제2 전극 패드(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둘러싸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의 중앙 영역(CA2) 및 주변 영역(PA2)은, 제2 회로기판(S2)에 형성된 제2 전극 패드(E2) 또는 제2 전극 패드(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의 위치와 무관하게,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된 제2 회로기판(S2)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위치와, 상기 중앙 위치를 둘러싸는 주변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의 중앙 영역(CA2)에서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개재하여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2 전극 10b)과 제2 회로기판(S2, ex. 제2 회로기판 S2의 제2 전극 패드 E2)이 서로 도전성 결합될 수 있고,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의 주변 영역(PA2)에서는,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을 개재하여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2 전극 10b)과 제2 회로기판(S2, ex. 제2 회로기판 S2의 도전 패턴)이 서로 절연성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에는 중앙 영역(CA2) 및 주변 영역(PA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에도 중앙 영역(CA2) 및 주변 영역(PA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 형성된 중앙 영역(CA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 형성된 주변 영역(PA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 형성된 중앙 영역(CA2) 및 주변 영역(PA2)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의 중앙 영역(CA2)이란,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전극 패드(E2) 또는 제2 전극 패드(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가 형성된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 측과 반대되는 외면(S22) 측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의 주변 영역(PA2)이란, 상기 제2 전극 패드(E2) 또는 제2 전극 패드(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둘러싸는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 측과 반대되는 외면(S22) 측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의 중앙 영역(CA2) 및 주변 영역(PA2)은, 제2 회로기판(S2)에 형성된 제2 전극 패드(E2) 또는 제2 전극 패드(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의 위치와 무관하게,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된 제2 회로기판(S2)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앙 위치와, 상기 중앙 위치를 둘러싸는 주변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의 중앙 영역(CA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의 주변 영역(PA2)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은,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 함께 개재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유사하게,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로기판(S2)의 중앙 영역(CA2)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는,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2 전극 10b)과 도전성 결합을 형성하는 한편으로, 제2 회로기판(S2)의 주변 영역(PA2)에 형성된 제2 절연 접착층(A2)은 배터리 셀(10)의 제2 면(12, 또는 배터리 셀 10의 제2 전극 10b)과 절연성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은,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에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둘러싸는 제2 절연 접착층(A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에는 제2 가압면(SP2)과 제2 가압면(SP2)을 둘러싸는 제2 실장부(CM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 및 외면(S22)은, 각각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과 마주하는 일면과,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과 반대되는 타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 및 외면(S22)은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 각각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가압면(SP2)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가압면(SP2)은,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서 중앙 영역(CA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 각각 형성된 제2 절연 접착층(A2)과 제2 실장부(CM2)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과 제2 실장부(CM2)는,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서 중앙 영역(CA2)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면(SP2)은, 제2 회로기판(S2)의 편평한 외면(S22)이 배터리 셀(10)과 반대 방향으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가 실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가압면(SP2)은, 회로소자가 실장되지 않은 편평한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에 해당될 수 있으며, 다수의 회로소자들로부터 노출된 제2 회로기판(S2)의 편평한 외면(S22)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가압면(SP2)은,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제2 실장부(CM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압면(SP2)은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 상에서 중앙 영역(CA2)에 형성되어, 주변 영역(PA2)에 형성된 제2 실장부(CM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압면(SP2)이,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 상에서 제2 실장부(CM2)에 의해 둘러싸인다는 것은, 제2 가압면(SP2)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제2 실장부(CM2)가 배치되는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가압면(SP2)의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제2 실장부(CM2)가 배치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실장부(CM2)는, 제2 가압면(SP2)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실장부(CM2)는, 제2 가압면(SP2)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압면(SP2)이란,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의 주변 영역(PA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들이 배치되면서, 중앙 영역(CA2)에는 회로소자들이 배제된 공백이 형성됨으로써, 회로소자들이 배제되면서 노출된 제2 회로기판(S2)의 편평한 중앙 영역(CA2)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로기판(S2)의 중앙 영역(CA2)에 형성된 제2 가압면(SP2)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는 상기 제2 실장부(CM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2 회로기판(S2)의 중앙 영역(CA2)에 형성된 제2 가압면(SP2)을 이용하여 제2 회로기판(S2)을 배터리 셀(10)에 대해 압박함으로써, 제2 가압면(SP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에 대해 도전성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압면(SP2)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기와 같은 가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제2 회로기판(S2)을 제2 배터리 셀(10)에 대해 압박함으로써, 제2 가압면(SP2)과 대응되는 중앙 영역(CA2)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가 압축되면서,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이 도전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의 중앙 영역(CA2)에 형성된 제2 가압면(SP2)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고, 회로소자가 배제된 편평한 제2 가압면(SP2)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제2 가압면(SP2)과 대응되는 위치의 제2 압축성 도전체(C2)가 위치에 따른 편차 없이 균등하게 압축될 수 있고, 또한,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제2 가압면(SP2)으로부터 회로소자가 배제됨으로써, 제2 가압면(SP2)에 제공되는 소정의 압력에 따른 회로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가압면(SP2)이 회로소자가 배제된 편평한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가압면(SP2)과, 제2 가압면(SP2)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는 프레스기와 같은 가압수단(미도시)과의 안정적인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다수의 회로소자들로부터 노출된 편평한 회로기판의 제2 가압면(SP2)을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을 향하여 압박함으로써, 제2 가압면(SP2)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의 압축에 따라 제2 압축성 도전체(C2)로서의 이방성 도전 접착제가 압축되면서, 이방성 도전 접착제의 절연성 기재(미도시) 내에 분산되어 있던 도전성 입자(미도시)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통하여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주변 영역(PA2)에는, 제2 절연 접착층(A2)과 제2 실장부(CM2)가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절연 접착층(A2)과 제2 실장부(CM2)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서 제2 절연 접착층(A2)과 제2 실장부(CM2)가 전체적으로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을 제한적으로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은,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절연성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절연 접착층(A2)은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에서 제2 압축성 도전체(C2)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과 달리, 상기 제2 실장부(CM2)는,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에서 제2 가압면(SP2)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가압면(SP2)의 둘레를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제2 절연 접착층(A2)과 제2 실장부(CM2)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제2 절연 접착층(A2)과 제2 실장부(CM2)가 제2 회로기판(S2)의 주변 영역(PA2)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겹쳐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주변 영역(PA2)에서 제2 절연 접착층(A2)을 개재하여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절연성 결합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중앙 영역(CA2)에서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개재하여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도전성 결합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2 회로기판(S2)의 중앙 영역(CA2)에 형성된 제2 가압면(SP2)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제2 가압면(SP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의 압축에 따라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의 도전성 결합을 형성하면서, 제2 가압면(SP2) 상으로부터의 압력에 따라 제2 회로기판(S2)의 주변 영역(PA2)에서는 제2 절연 접착층(A2)이 압축되면서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의 절연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 개재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절연 접착층(A2)은,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각각 도전성 결합과 절연성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절연 접착층(A2)은,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전체 배터리 팩의 높이가 감소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을 따라 슬림화된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2 압축성 도전체(C2)로서, 가압 압축에 따른 높이 감소의 효과가 큰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적용함으로써, 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과 같은 접촉 탄성체 보다 높이 방향으로 슬림화에 유리한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은, 제2 회로기판(S2)의 주변 영역(PA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주변 영역(PA2)을 따라, 그러니까, 제2 회로기판(S2)의 중앙 영역(CA2)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면서 제2 회로기판(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넓은 결합 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이들 사이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밀봉하도록 둘러싸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10)의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11,12) 상에 배치된 제1, 제2 회로기판(S1,S2)은, 연성배선(W)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배선(W)은, 배터리 셀(10)의 측면(13)을 가로질러 배터리 셀(10)의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11,12) 상에 배치된 제1, 제2 회로기판(S1,S2)을 서로 연결해줄 수 있다. 상기 연성배선(W)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제2 회로기판(S1,S2)은, 배터리 셀(10)의 충, 방전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협력하여 배터리 셀(1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셀(1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은, 제1, 제2 회로기판(S1,S2)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S1,S2)에 분산되어 배치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셀(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배터리 셀(10)의 충, 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의 과열, 과전압, 과전류와 같은 이상 상황을 포착하여, 충, 방전 동작을 중지시키는 등의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회로기판(S1)은, 배터리 팩의 출력 단자(미도시)가 형성된 메인 회로기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회로기판(S2)은, 배터리 셀(10)의 온도와 같은 배터리 셀(10)의 상태 정보를 입수하고, 입수된 배터리 셀(10)의 상태 정보를 제1 회로기판(S1)으로 전달해주거나, 사용자의 조작 신호, 예를 들어, 온/오프 조작 신호를 제1 회로기판(S1)으로 전달해주는 서브 회로기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로기판(S2) 상에는, 배터리 셀(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미스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S1,S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연성배선(W)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배선(W)은, 제1, 회로기판(S1,S2)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제1 측(P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배선(W)은, 제1, 제2 회로기판(S1,S2)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1 회로기판(S1)의 제1 측(P1)으로부터 연장되어 배터리 셀(10)의 측면(13)을 둘러싸도록 연장되면서, 제2 회로기판(S2)의 제1 측(P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제1 측(P1)이란, 배터리 셀(10)의 제1, 제2 면(11,12) 상에 배치된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테두리를 따라 같은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셀(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같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제1 측(P1)과 반대되는 제2 측(P2)에는, 제1, 제2 회로기판(S1,S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제1, 제2 회로기판(S1,S2)을 구조적으로 결속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성배선(W)은,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제1 측(P1)에 연결되면서 제1, 제2 회로기판(S1,S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연성배선(W)은 배터리 셀(10)의 서로 반대되는 제1, 제2 면(11,12)에 배치된 제1, 제2 회로기판(S1,S2)을 서로 연결하면서 전체적으로 배터리 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키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연성배선(W)이 제1, 제2 회로기판(S1,S2)에 연결된다는 것은, 연성배선(W)이 별도의 접속구조를 통하여, 제1, 제2 회로기판(S1,S2)에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는 연성배선(W)이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1, 제2 회로기판(S1,S2)에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배선(W)은, 제1, 제2 회로기판(S1,S2) 상에 형성된 접속 패드(미도시)와 같은 별도의 접속구조를 통하여 제1, 제2 회로기판(S1,S2)과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연성배선(W)은, 제1, 제2 회로기판(S1,S2)의 일부로서 제1, 제2 회로기판(S1,S2) 상에 겹쳐지게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의 일부가 제1, 제2 회로기판(S1,S2)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연성배선(W)이 제1, 제2 회로기판(S1,S2)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a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팩으로서, 제1, 제2 회로기판의 내면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는 도 5a에 도시된 제1, 제2 회로기판의 외면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배터리 셀(10)의 제1 전극(11)과 제1 회로기판(S1) 사이에는 제1 압축성 도전체로서,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와 같은 이방성 도전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고, 배터리 셀(10)의 제2 전극(10b)과 제2 회로기판(S2) 사이에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로서 접촉 스프링(spring contact)과 같은 접촉 탄성체가 개재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회로기판(S1,S2)과 배터리 셀(10)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 제2 압축성 도전체(C1,C2`)가 서로 이질적인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기판(S1)의 내외면(S11,S12)에는 각각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제1 가압면(SP1)이 서로 대응되는 중앙 영역(CA1)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제1 절연 접착층(A1)과 제1 실장부(CM1)가 서로 대응되는 주변 영역(PA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면(SP1) 상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가압면(SP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C1)로서의 이방성 도전 접착제가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를 도전성 결합시킬 수 있고,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절연 접착층(A1)이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제1 회로기판(S1)과 배터리 셀(10) 사이를 절연성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기판(S2)은,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제2 실장부(CM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장부(CM2)는,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에서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회로기판(S2)의 중앙 영역(CA2) 또는 주변 영역(PA2)을 포함하여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회로기판(S1) 측에 구비되는 제1 압축성 도전체(C1)는 압축에 따라 도전성을 띄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로 제공됨으로써, 제1 압축성 도전체(C1)가 도전성을 띄기 위하여 제1 압축성 도전체(C1)를 가압 압축시키는 것이 요구되므로,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 포인트로서의 제1 가압면(SP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달리, 제2 회로기판(S2) 측에 구비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는 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과 같은 접촉 탄성체로 제공되며, 제1 압축성 도전체(C1)와 달리, 접촉 탄성체로 마련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는 그 자체로서 도전성을 띄며 별도의 압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압면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과 같은 접촉 탄성체는 금속 소재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그 자체로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대응되는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의 중앙 영역(CA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제2 실장부(CM2)가 배제되어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이 노출된 형태의 가압면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의 중앙 영역(CA2)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제2 실장부(CM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대응되는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의 중앙 영역(CA2)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제2 실장부(CM2)는, 제2 회로기판(S2)의 내외면(S21,S22)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실장부(CM2)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실장부(CM2)가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겹쳐지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실장부(CM2)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내면(S21)에는, 중앙 영역(CA2)의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둘러싸는 제2 절연 접착층(A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은 중앙 영역(CA1)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둘러싸도록 제2 회로기판(S2)의 주변 영역(PA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절연 접착층(A2)은, 제2 압축성 도전체(C2`)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에는 제2 실장부(CM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장부(CM2)는 제2 회로기판(S2)의 외면(S22)에서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면(S21) 측의 제2 절연 접착층(A2)과 대응되는 주변 영역(PA2)은 물론이고, 내면(S21) 측의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대응되는 중앙 영역(CA2)에도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과 같은 접촉 탄성체로 마련되는 제2 압축성 도전체(C2`)는, 그 자체로서 도전성을 띄며 별도의 압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제2 압축성 도전체(C2`)와 대응되는 중앙 영역(CA2)에 가압면이 형성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배터리 셀 10a: 제1 전극
10b: 제2 전극 11: 제1 면
12: 제2 면 13: 측면
S1: 제1 회로기판 S11: 제1 회로기판의 내면
S12: 제1 회로기판의 외면 S2: 제2 회로기판
S21: 제2 회로기판의 내면 S22: 제2 회로기판의 외면
CA1: 제1 회로기판의 중앙 영역 CA2: 제2 회로기판의 중앙 영역
PA1: 제1 회로기판의 주변 영역 PA2: 제2 회로기판의 주변 영역
C1: 제1 압축성 도전체 C2,C2`: 제2 압축성 도전체
A1: 제1 절연 접착층 A2: 제2 절연 접착층
SP1: 제1 가압면 SP2: 제2 가압면
CM1: 제1 실장부 CM2: 제2 실장부
E1: 제1 전극 패드 E2: 제2 전극 패드
W: 연성배선

Claims (20)

  1. 각각 제1, 제2 전극이 형성된 것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 제1, 제2 면과, 상기 제1, 제2 면을 연결해주는 측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어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제1 회로기판;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어 제2 전극에 연결되는 제2 회로기판;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전극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 및
    상기 제1 전극과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된 제1 가압면 및 상기 제1 가압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실장부를 포함하며,
    제1 압축성 도전체와 제1 가압면은 서로 대응되는 회로기판의 내면 및 외면에 각각 형성되며,
    회로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제1 가압면 상으로부터 압력을 제공하여 제1 가압면과 반대되는 회로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제1 압축성 도전체의 압축에 따라 회로기판의 내면과 배터리 셀의 제1 전극 간의 도전성 결합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의 가압 압축을 위하여 압력이 제공되는 제1 가압면 상에는 회로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면은,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면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면은, 상기 제1 전극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1 회로기판의 편평한 외면의 일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배터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외면 상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를 둘러싸도록 제1 절연 접착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성 도전체는,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 접착층은, 상기 제1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상기 제2 전극을 향하는 내면에 형성된 제2 압축성 도전체; 및
    상기 제2 전극과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된 제2 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기판은, 상기 제2 실장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2 가압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외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실장부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외면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면은 제2 전극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2 회로기판의 편평한 외면의 일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는 접촉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장부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외면 상에서 제2 압축성 도전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로기판의 내면에는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를 둘러싸도록 제2 절연 접착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축성 도전체는, 상기 제2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중앙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절연 접착층은, 상기 제2 회로기판의 내면 중에서 상기 중앙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90179793A 2019-12-31 2019-12-31 배터리 팩 KR10250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793A KR102508170B1 (ko) 2019-12-31 2019-12-31 배터리 팩
US17/133,881 US20210203030A1 (en) 2019-12-31 2020-12-24 Battery pack
EP20217625.1A EP3846274A1 (en) 2019-12-31 2020-12-29 Battery pack
CN202011605590.2A CN113161693A (zh) 2019-12-31 2020-12-30 电池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793A KR102508170B1 (ko) 2019-12-31 2019-12-31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093A KR20210086093A (ko) 2021-07-08
KR102508170B1 true KR102508170B1 (ko) 2023-03-09

Family

ID=7400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793A KR102508170B1 (ko) 2019-12-31 2019-12-31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03030A1 (ko)
EP (1) EP3846274A1 (ko)
KR (1) KR102508170B1 (ko)
CN (1) CN113161693A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0035B1 (en) * 1998-04-24 2003-06-17 Amerasia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Flexible adhesive membrane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KR20020070653A (ko) * 2002-05-09 2002-09-10 (주) 모비파워 충전지 팩
US8067109B2 (en) * 2007-12-05 2011-11-29 Hon Hai Precision Inc. Co., Ltd. Battery holder
KR100971339B1 (ko) * 2008-04-18 2010-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036071B1 (ko) * 2008-12-02 2011-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201528000U (zh) * 2009-11-09 2010-07-14 李牧昆 一种电池盒
US8858270B2 (en) * 2011-01-25 2014-10-14 The Gillette Company Rechargeable battery pack including low-resistance battery-pack interconnect
KR101249918B1 (ko) * 2011-03-10 2013-04-03 신흥에스이씨주식회사 부품을 접착시킨 캡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6023416B2 (ja) * 2011-10-19 2016-11-0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1679412B1 (ko) * 2014-07-31 2016-11-25 (주)오렌지파워 중공형 이차전지
CN204596965U (zh) * 2015-05-12 2015-08-26 深圳市嘉姆特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nfc天线
KR101856965B1 (ko) * 2016-07-07 2018-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를 구비하는 센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6274A1 (en) 2021-07-07
KR20210086093A (ko) 2021-07-08
US20210203030A1 (en) 2021-07-01
CN113161693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5279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190173134A1 (en) Battery pack
CN112133876B (zh) 电池及终端设备
KR20210073888A (ko) 배터리
KR102367368B1 (ko) 케이블 배터리를 구비한 데이터 케이블 장치
CN113131099B (zh) 电池组
CN111433968B (zh) 电池组
KR102508170B1 (ko) 배터리 팩
KR101117705B1 (ko) 배터리 팩
CN114361613B (zh) 电池及终端设备
KR102505608B1 (ko) 배터리 팩
CN116896824B (zh) 电池保护板模组、方法、装置、电池模组以及电子设备
EP4060787A2 (en) Battery pack
CN111052438A (zh) 层叠型电池
CN219106272U (zh) 电池模组及电子设备
US11575184B2 (en) Electronic equipment
KR20230168817A (ko) 배터리
US9819000B2 (en) Battery module positioning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WO2023126358A2 (en) Secondary battery assembly
CN116805733A (zh) 电池组
WO2023126357A1 (en) Automotive platform
KR20090026698A (ko) 전지 팩
JP2000114679A (ja) 実装基板及び電池
KR20080057580A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