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092B1 -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 Google Patents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092B1
KR102508092B1 KR1020210059812A KR20210059812A KR102508092B1 KR 102508092 B1 KR102508092 B1 KR 102508092B1 KR 1020210059812 A KR1020210059812 A KR 1020210059812A KR 20210059812 A KR20210059812 A KR 20210059812A KR 102508092 B1 KR102508092 B1 KR 10250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refractive power
model eye
corn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655A (ko
Inventor
김용운
한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텍
Priority to KR102021005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0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 굴절력을 측정하는 검안기의 성능을 점검하기 위해 다양한 굴절력을 제공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델아이 장치는 검안기의 성능을 테스트 하기 위한 모델아이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전후를 관통하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일측에 형성된 곡률 반지름(21)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 전면 외부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각막렌즈(20)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에서 각막렌즈(20)의 후면에 이격 설치되어, 각막렌즈(20)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조절하는 조절렌즈(30)와; 상기 조절렌즈(30)를 지지하여, 조절렌즈(30)가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각막렌즈(2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절레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Test Model Eye Device for Optometer}
본 발명은 모델아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구 굴절력을 측정하는 검안기의 성능을 점검하기 위해 다양한 굴절력을 제공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검안기(Optometer, 검안용굴절력측정기)는 피검자의 눈에 측정용 광을 조사한 후, 피검자의 망막에서 반사된 광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안구의 굴절력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피검자의 시력을 자동으로 측정할 때 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검안기의 제조업체에서는 사용자가 검안기의 성능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검안기의 사용 방법을 연습할 수 있도록 인체안의 구조를 간략화한 테스트 모델아이(시험모형안)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모델아이 렌즈의 구조 일례로서,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는 일반적으로 광학 유리로 제작되며, 전면은 광학 연마를 통하여 곡률 반지름이 대략 8mm 내외로 제작되고, 검안기에 표시되는 굴절력은 대부분 -5D 내외가 된다.
사용자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를 이용하여 검안기의 굴절력 이상 유무를 점검하게 되는데, 이때 테스트 모델아이는 -5D와 같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고정된 굴절력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외 다른 범위의 굴절력에서 검안기의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지를 점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8994호 (2012.01.1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2214호 (2020.07.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모델아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절력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범위에서 검안기의 굴절력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델아이 장치는 검안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모델아이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전후를 관통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일측에 형성된 곡률 반지름이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의 전면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각막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서 각막렌즈의 후면에 이격 설치되어, 각막렌즈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조절하는 조절렌즈와; 상기 조절렌즈를 지지하여, 조절렌즈가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각막렌즈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절레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막렌즈와 조절렌즈는 광학유리로 이루어져, 상기 각막렌즈는 전면 및 후면이 광학 연마되고, 조절렌즈는 전면이 광학 연마되고 후면은 빛의 난반사를 위해 황삭 가공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렌즈의 후면에는 각막렌즈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레버는 하우징의 수용 공간 외측과 나사 결합되어, 위치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 내측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위치조절레버에는 상기 위치조절레버와 함께 이동하는 조절렌즈와 각막렌즈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굴절력 조절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위치조절레버에 표시된 굴절력 조절눈금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굴절력 기준선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점검하고자 하는 굴절력을 나타내는 굴절력 조절눈금이 하우징의 굴절력 기준선에 일치되게 위치조절레버를 이동시켜 검안기를 점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검안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모델아이의 굴절력은 -15D, -10D, -5D, 0D, +5D, +10D, +15D의 7종류로 결정되고, 상기 모델아이의 각 굴절력을 형성하기 위한 각막렌즈와 조절렌즈의 거리가 광선추적을 통해 산출되며, 상기 산출된 각막렌즈와 조절렌즈 간의 거리를 형성하는 위치조절레버의 각 위치에 굴절력 조절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위치조절레버의 후단에는 위치조절레버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레버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의 일단에는 콘텍트렌즈 베이스커브를 확인하기 위하여 콘텍트렌즈를 부착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콘텍트렌즈 부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막렌즈의 전면에 형성된 곡률 반지름은 8mm이고, 상기 각막렌즈가 결합되는 하우징의 내측 공간 전단 직경은 7mm∼10mm이고, 각막렌즈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 내부 직경은 10mm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검안기의 턱받침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립형 스탠드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는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검안기의 굴절력 점점 시 각 굴절력 별로 모델아이를 교체하지 않고도 하나의 모델아이 장치로 검안기의 굴절력을 다양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모델아이의 구조 일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델아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델아이 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규격 일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렌즈 및 조절렌즈의 규격 일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렌즈와 위치조절레버의 결합 구조 일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델아이 굴절력 별 각막렌즈와 조절렌즈 간의 거리 일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레버의 굴절력 조절눈금과 하우징의 기준선 일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레버의 이동에 따른 조절렌즈의 위치 변화 일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텍트렌즈 부착부(45)의 규격 일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텍트렌즈 부착부(45)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모델아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모델아이 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델아이 장치는 내측에 수용 공간(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수용 공간(11)의 전면에 일측이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는 각막렌즈(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서 각막렌즈(2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조절렌즈(30)와, 상기 조절렌즈(30)를 지지하여 조절렌즈(30)가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 내측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조절하는 위치조절레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및 위치조절레버(4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은 스탠드(50)에 의해 지지되어, 검안기의 턱받침대에 설치되어 굴절력 점검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측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및 위치조절레버(40)를 내재하여 지지하는 장치로서, 이 하우징(10)은 검안기의 턱받침대에 고정되기 위해 스탠드(50)에 결합되어 자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탠드(50)는 하부 받침대의 양측에 검안기 거치용 홈(51)이 형성되어, 검안기의 턱 받침대 하부에 형성되는 핀과 결합하여 하우징(10)을 검안기의 턱받침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의 규격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직경 32mm, 길이가 30mm인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11)은 외부와 관통하는 입구 부분인 Clear Aperture가 7mm∼10mm(도 5의 예에서는 9mm)로 형성되고, 각막렌즈(20)가 결합되는 내측 전면에는 10mm로 형성되어, 각막렌즈(20)의 전면에 형성된 곡률 반지름(21)이 하우징(10)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다.
또한, 조절렌즈(30)가 결합되는 수용 공간(11)은 앞쪽의 10mm 보다 더 크게(도 5의 예에서는 13mm) 제작되어, 10mm의 직경을 가지는 조절렌즈(30)가 수용 공간(11)을 따라 전후로 걸림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위치조절레버(40)가 결합되는 수용 공간(11)에는 암나사(12)가 형성되어, 위치조절레버(40)의 외주에 형성되는 수나사(42)와 나사 결합하여, 위치조절레버(40)의 회전에 따라 위치조절레버(40)가 수용 공간(11)에 형성된 나사를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막렌즈 및 조절렌즈의 규격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렌즈(20)는 전면에는 곡률 반지름(21)이 형성되고 후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렌즈로서, 이 각막렌즈(20)의 전면에 형성된 곡률 반지름(21)은 외부의 광이 입사되도록 하우징(10)의 전면에 돌출되어 하우징(10)의 내측 공간 전면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이 실시 예에서 상기 각막렌즈(20)는 광학유리로 전/후면을 광학 연마하고 측면을 황삭 가공하여 제작되는데, 전면의 곡률 반지름(21)은 "KS P ISO 10342, 안과용 시구-시력굴절계·부속서A"(이하, "KS P ISO 10342"로 약칭한다)의 안구계에 제시된 사양인 8mm(R8±0.05mm)로 형성되고, 두께(지름)는 10mm가 되며, 길이는 12mm로 제작된다. 한편, 이러한 각막렌즈(20)의 사양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각막렌즈(20)는 7∼10mm의 Clear Aperture를 갖는 하우징(10)의 내측 공간 전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조절렌즈(30)는 위치조절레버(40)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 내측에서 각막렌즈(20)의 후면에 배치되는데, 이 조절렌즈(30)의 광축은 전면에 설치된 각막렌즈(20)의 광축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조절렌즈(30)는 위치조절레버(40)에 의해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 내측에서 전후로 이동함으로써 전면에 설치된 각막렌즈(20)와의 거리에 따라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조절렌즈(30)는 각막렌즈(20)와 같은 광학유리로 전면은 광학 연마되고, 측면과 후면은 빛의 난반사를 유도하여 측정에 영향을 주는 잡광을 줄이기 위해 황삭 가공되어 제작된다. 이 조절렌즈(30)의 직경은 각막렌즈(20)와 동일(10mm)하거나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각막렌즈(20)의 길이와 이동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조절렌즈(30)의 길이는 5mm 내외로 제작된다. 한편, 이 조절렌즈(30)의 후면에는 사람의 망막과 동일 내지 유사한 반사율을 갖는 반사체(31)가 형성되는데, 이 반사체(31)는 조절렌즈(30)의 후면에 반사물질을 도포하거나 부착하는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렌즈(30)는 위치조절레버(4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데, 이 조절렌즈(30)와 위치조절렌즈(3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렌즈와 위치조절레버의 결합 구조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치조절레버(40)의 내측에 조절렌즈 결합홈(41)을 형성하고, 이 위치조절레버(40)의 조절렌즈 결합홈(41)에 조절렌즈(30)를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때, 끼움 결합되는 조절렌즈(30)의 측면과 위치조절레버(40)의 조절렌즈 결합홈(41) 외주면이 접착제 등의 결합제를 통해 결합되어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제 대신 리테이너를 가공하여 조절렌즈(30)를 위치조절레버(40)에 조립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위치조절레버(40)는 조절렌즈(30)를 결합하여 지지하며, 하우징(10)에 형성된 내측 수용 공간(11)과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조절렌즈(30)를 전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조절레버(40)는 하우징(10)과 나사 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하우징(10)의 내측 수용 공간(11)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즉, 하우징(10)의 수용 공간에는 위치조절레버(40)가 결합되는 부분에 암나사(12)가 형성되고, 위치조절레버(4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42)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며, 위치조절레버(40)의 회전에 의해 위치조절레버(40)가 하우징(10)의 내측 수용 공간(11)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위치조절레버(40)의 후단에는 손잡이(44)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44)를 잡고 위치조절레버(40)를 쉽게 회전시켜 위치조절레버(4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하우징(10) 및 위치조절레버(40)에 형성되는 나사의 피치는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간 거리를 이동하고자 하는 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레버(40)의 하우징(10) 내측 수용 공간(11) 전후 이동에 따라 조절렌즈(3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 조절렌즈(30)가 이동하게 되면 각막렌즈(20)와의 거리가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에 의해 형성되는 모델아이의 전체 굴절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테스트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렌즈(30)의 이동범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모델아이의 굴절력은 각막렌즈(20) 및 조절렌즈(30)를 형성하는 광학유리의 종류, 각막렌즈(20) 및 조절렌즈(30)의 길이, 각막렌즈(20) 전면에 형성된 곡률 반지름의 함수로써,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간의 거리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테스트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KS P ISO 10342"에서 검안기 측정범위로 제시한 -15D, -10D, -5D, 0D, +5D, +10D, +15D의 7종류로 선정하였다.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간의 거리와 모델아이의 굴절력 사이의 관계를 계산하기 위해, 먼저 "KS P ISO 10342"에 제시된 다음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각막렌즈(20)부터 점광원 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Figure 112021053518166-pat00001
여기서, P:모델 아이의 굴절력(디옵터), d:굴절 표면부터 점광원까지의 거리(m)를 나타내는데, 점광원은 렌즈에 빛을 조사하는 임의의 한 점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거리 d는 사람의 각막 표면에서 안경 후면까지의 거리인 vertex distance(이하, 'VD"로 약칭한다)에 영향을 받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대부분 검안기의 기본 세팅거리인 VD=12mm를 기준으로 측정한다.
점광원까지의 거리 d가 결정되면, 동공 크기 3mm를 기준으로 조절렌즈(30)의 후면에 최소 평균 평방근(rms) 점을 형성하도록 광선추적(KS P ISO 10342)을 실시하여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의 거리를 결정한다. 여기서, 검안기에서 표시되는 굴절력은 피검자가 사용하게 될 안경의 굴절력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굴절력도 검안기에 사용되는 굴절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거리 측정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광학 설계 부분에서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광학설계 소프트웨어인 ZEMAX를 사용하여 광선 추적을 실시하였다.
다음의 표 1은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결정하는 기본 입력 정보 값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21053518166-pat00002
또한, 표 2는 측정 결과에 따른 모델아이 굴절력 별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모델아이 굴절력 별 각막렌즈와 조절렌즈 간의 거리를 나타낸 일례이다.
Figure 112021053518166-pat00003
상기 표 2와 같이, 모델아이의 각 굴절력 별로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간의 거리가 결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위치가 조절되는 위치조절레버(40)에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간의 거리에 따른 모델아이 굴절력 조절눈금(43)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굴절력에 해당하는 굴절력 조절눈금(43)을 하우징(10)에 표시된 굴절력 기준선(13)에 맞추어 검안기를 점검하도록 하였다. 즉, 모델아이의 각 굴절력에 대응하는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간의 거리를 형성하는 위치조절레버(40)의 위치에 해당 모델아이 굴절력을 나타내는 굴절력 조절눈금(43)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위치조절레버(40)를 조절하는 경우 형성되는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확인하여 검안기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조절레버의 굴절력 조절눈금과 하우징의 굴절력 기준선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하우징(10)의 후면 끝단에 수직으로 굴절력 기준선(13)이 표시되고, 위치조절레버(40)의 각 위치별로 굴절력을 나타내는 굴절력 조절눈금(43)이 새겨져 있다. 상기 위치조절레버(40)에 새겨진 굴절력 조절눈금(43)의 한 눈금 사이 거리는 표 2의 5D 차이의 거리가 되는데, 사용자는 위치조절레버(40)를 돌려 위치조절레버(40)의 굴절력 조절눈금(43)을 하우징(10)의 굴절력 기준선(13)에 일치시켜 해당 굴절력을 점검하게 된다. 도 10은 위치조절레버(40)의 이동에 따른 조절렌즈(30)의 위치 변화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의 (a)는 굴절력이 -15D인 경우이고, (b)는 +15D일 때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하우징(10)과 위치조절레버(40)의 가공 정도에 따라 굴절력 기본 위치(OD)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위치조절레버(40)에 형성된 굴절력 조절눈금(43)은 굴절력 위치를 조절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눈금 스티커 등을 위치조절레버(40)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조절레버(40)의 후면에 형성된 손잡이(44)의 일단에는 콘텍트렌즈 베이스커브를 확인하기 위하여 콘텍트렌즈(CL)를 부착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콘텍트렌즈 부착부(45)가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부착부의 규격 일례이고, 도 12는 콘텍트렌즈 부착부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텍트렌즈 부착부(45)에 형성된 오목한 면에 물을 떨어뜨리고, 콘텍트렌즈(CL)의 볼록한 부분을 올려 놓으면 물의 흡착력으로 콘텍트렌즈 부착부(45)에 고정되게 된다. 그 후 모델아이 하우징(10)을 반대로 설치하여 콘텍트렌즈(CL)의 베이스커브를 검안기에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는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간의 거리를 위치조절레버(40)를 통하여 조절함으로써,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변화시켜 검안기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하우징 11 : 수용 공간
12 : 암나사 13 : 굴절력 기준선
20 : 각막렌즈 21 : 곡률 반지름
30 : 조절렌즈 31 : 반사체
40 : 위치조절레버 41 : 조절렌즈 결합홈
42 : 나사 43 : 굴절력 조절눈금
44 : 손잡이 45 : 콘텍트렌즈 부착부
50 : 스탠드 51 : 검안기 거치용 홈

Claims (10)

  1. 검안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모델아이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전후를 관통하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일측에 형성된 곡률 반지름(21)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의 전면 외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각막렌즈(20)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에서 각막렌즈(20)의 후면에 이격 설치되어, 각막렌즈(20)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조절하는 조절렌즈(30)와;
    상기 조절렌즈(30)를 지지하여, 조절렌즈(30)가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각막렌즈(2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조절레버(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는 광학유리로 이루어져,
    상기 각막렌즈(20)는 전면 및 후면이 광학 연마되고, 조절렌즈(30)는 전면이 광학 연마되고 후면은 빛의 난반사를 위해 황삭 가공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렌즈(30)의 후면에는 각막렌즈(2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레버(40)는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 외측과 나사 결합되어, 위치조절레버(4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 내측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위치조절레버(40)에는 상기 위치조절레버(40)와 함께 이동하는 조절렌즈(30)와 각막렌즈(20) 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모델아이의 굴절력을 나타내는 굴절력 조절눈금(43)이 표시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위치조절레버(40)에 표시된 굴절력 조절눈금(43)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굴절력 기준선(13)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점검하고자 하는 굴절력을 나타내는 굴절력 조절눈금(43)이 하우징(10)의 굴절력 기준선(13)에 일치되게 위치조절레버(40)를 이동시켜 검안기를 점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검안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모델아이의 굴절력은 -15D, -10D, -5D, 0D, +5D, +10D, +15D의 7종류로 결정되고,
    상기 모델아이의 각 굴절력을 형성하기 위한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의 거리가 광선추적을 통해 산출되며,
    상기 산출된 각막렌즈(20)와 조절렌즈(30) 간의 거리를 형성하는 위치조절레버(40)의 각 위치에 굴절력 조절눈금(43)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레버(40)의 후단에는 위치조절레버(4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4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레버(40)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44)의 일단에는 콘텍트렌즈 베이스커브를 확인하기 위하여 콘텍트렌즈를 부착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콘텍트렌즈 부착부(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렌즈(20)의 전면에 형성된 곡률 반지름(21)은 8mm이고,
    상기 각막렌즈(20)가 결합되는 하우징(10)의 내측 공간 전단 직경은 7mm∼10mm이고, 각막렌즈(2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1) 내부 직경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검안기의 턱받침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자립형 스탠드(5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KR1020210059812A 2021-05-10 2021-05-10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KR10250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812A KR102508092B1 (ko) 2021-05-10 2021-05-10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812A KR102508092B1 (ko) 2021-05-10 2021-05-10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55A KR20220152655A (ko) 2022-11-17
KR102508092B1 true KR102508092B1 (ko) 2023-03-09

Family

ID=8423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812A KR102508092B1 (ko) 2021-05-10 2021-05-10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0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994B1 (ko) 2011-04-11 2012-01-31 뷰라이트 주식회사 모델아이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검안기, 및 검안기의 보정방법
KR101241764B1 (ko) * 2011-04-11 2013-03-14 주식회사 휴비츠 망막 카메라용 모형안
KR102132214B1 (ko) 2019-04-29 2020-07-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모델아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55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3916C (en) Compact binocular adaptive optics phoropter
WO2015070672A1 (zh) 一种手持视力检测装置及视力检测方法
TW200303737A (en) Aberrometer calibration
WO2003049606A2 (en) Model eye and aberrometer calibration method
US7742244B2 (en) Cylindrical model eye, cylindrical test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3841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hthalmometery
WO2006001013A2 (en) Goggles for improved ocular vision
US20100091241A1 (en) Method and system to assess objectively visual characteristics
KR102508092B1 (ko) 검안기용 테스트 모델아이 장치
US82727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retinoscopes
CN108371541A (zh) 一种用于检测与校准眼科成像、眼科生物参数测量仪器的工具
Soper et al. Corneal topography, keratometry and contact lenses
JP2003000541A (ja) 検眼装置用模型眼
US4682867A (en) Apparatus for the self-examination of the human eye
JP3114819B2 (ja) 眼科用測定装置
JP2736741B2 (ja) 屈折度測定装置
US10537241B1 (en) Subjective optometer for home use
US82727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retinoscopes
CN215914543U (zh) 一种用于眼科光学生物测量仪的校准工具
CN219962840U (zh) 一种光路模组及手持式视力筛查仪
KR102660158B1 (ko) 콘택트렌즈 피팅 상태 검사 장치
KR101538129B1 (ko) 검안용 굴절력계용 표준렌즈
Holden An accurate and reliable method of measuring soft contact lens curvatures
US20210015356A1 (en) Optometer for Home Use
CN116564171A (zh) 用于眼生物参数测量的一次性全眼标定标准模型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