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904B1 -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 - Google Patents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904B1
KR102507904B1 KR1020230000035A KR20230000035A KR102507904B1 KR 102507904 B1 KR102507904 B1 KR 102507904B1 KR 1020230000035 A KR1020230000035 A KR 1020230000035A KR 20230000035 A KR20230000035 A KR 20230000035A KR 102507904 B1 KR102507904 B1 KR 10250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information
vehicle
surface informatio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0262A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23000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904B1/en
Publication of KR2023001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2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a selec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takes place i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중차량의 증가와 급변하는 기후 영향으로 도로의 노면이 파손되어 각종 사고 및 운전자 불편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골절환자 등의 이송 차량에 있어서는 진동을 최소화해야하는 필요가 있으나, 종래에는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차량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면서 효율적으로 노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방법은, 노면 관리 서버는 경찰차가 이동하는 후방을 촬영하여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생성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촬영 기준 값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여, 후방을 촬영하는 기준은 촬영 기준 값 제공 단계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Road surfaces are damaged due to the increase in heavy vehicles and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resulting in various accidents and driver inconvenience.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minimize vibration in transport vehicles such as fracture patients, but conventional methods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have limitatio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in real time while being economical and easily installable in a vehicle.
A method for detecting potholes in real time using a police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rear of a police car moving by a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and providing the generated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a user terminal. and the step of genera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roviding a shooting reference value, so that the criterion for photographing the rear is determined by a signal provided in the providing shooting reference value.

Description

경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방법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

본 발명은 경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potholes in real time using a police car.

중차량의 증가와 급변하는 기후 영향으로 도로의 노면이 파손되어 각종 사고 및 운전자 불편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Due to the increase in heavy vehicles and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road surfaces are damaged, resulting in various accidents and driver inconvenience.

해빙기와 장마기간을 거치면서 포장도로면에 웅덩이가 발생하는 포트홀(pothole)로 인해 도로 교통사고를 유발하며,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2013년 국정감사 국토교통위원회 제출 자료에 의하면, 포트홀 발생 건수가 일반국도의 경우 2009년 2만 5천 여 건에서 2012년 3만 8천 여 건으로 약 50% 이상 상승하였다고 보고되었다. During the thawing period and the rainy season, potholes in which puddles are generated on the pavement surface cause road traffic accidents, and socio-economic damages caused by this are increasing. According to data submitted by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mmittee for the 2013 parliamentary audit, it was reported that the number of potholes on general national roads increased by more than 50% from 25,000 in 2009 to 38,000 in 2012.

특히, 골절환자 등의 이송 차량에 있어서는 진동을 최소화해야하는 필요가 있으나, 종래에는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한계가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minimize vibration in transport vehicles such as fracture patients, but conventional methods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have limitations.

상기와 같은 이유로 노면 정보를 효과적, 경제적이면서 차량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이상 노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노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환자 이송 차량에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For the above reasons,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effectively, economically, and easily installed in a vehicle, and providing abnormal road surface information in real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a computer-readable program recorded thereon.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2034호 (2013.06.12)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2034 (2013.06.12).

본 발명은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제적이고 차량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한 노면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a road surf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is economical and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도가 높은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afe driving by providing a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with high reli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격을 피해야 하는 환자 이송 차량에 노면 정보를 제공하여 더욱 안전하게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road surface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that needs to avoid impact so that it can drive on the road more safely.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경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방법은, 노면 관리 서버는 경찰차가 이동하는 후방을 촬영하여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생성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촬영 기준 값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여, 후방을 촬영하는 기준은 촬영 기준 값 제공 단계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한다.In the real-time porthole detection method using a police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photographs the rear of the police car to generat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step of genera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roviding a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so that the reference for photographing the rear is determined by a signal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providing step.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경제적이고 차량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providing an economical and easily installable device and method in a vehicle. there is.

또한, 신뢰도가 높은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더욱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enabling safer driving by providing a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with high reliability.

또한, 충격을 피해야 하는 환자 이송 차량에 노면 정보를 제공하여 더욱 안전하게 환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atient can be transported more safely by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that needs to avoid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road surf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구성 및 작용을 도면의 부호와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module,” and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ere is.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which are present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sense. There is no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장치는 제1차량, 상기 제1차량의 차체에 연결되어 노면의 이상 정보를 생성하는 노면 정보 생성부, 상기 제1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1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노면 이상 정보와 상기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노면 정보를 상기 제1차량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 및 상기 무선송신부와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노면 정보를 관리하는 노면 관리 서버, 및 상기 노면 관리 서버와 소정의 거리에서 주행하고, 제2위치 정보 획득부, 무선수신부, 노면 정보를 표시하는 노면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2차량을 포함하며, 상기 노면 관리 서버에서 송신되는 상기 노면 정보가 상기 제2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차량의 상기 노면 정보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apparatus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ehicle, a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nnected to a body of the first vehicle to generate road surface abnormality information, and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vehicle.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road surfac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abnormality information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of the first vehicle, and a road management server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and manag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a second vehicle travel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and includ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 wireless receiver, and a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road surface information, wherein the road surface is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Preferabl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of the second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량(05), 상기 제1차량(05)의 차체에 연결되어 노면의 이상 정보를 생성하는 노면 정보 생성부(10), 상기 제1차량(05)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1위치 정보 획득부(30), 및 상기 노면 이상 정보와 상기 제1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노면 정보를 상기 제1차량(05)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60), 및 상기 무선송신부(60)와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노면 정보를 관리하는 노면 관리 서버(70), 및 상기 노면 관리 서버(70)와 소정의 거리에서 주행하고, 제2위치 정보 획득부(32), 제2무선수신부(64), 노면 정보를 표시하는 노면 정보 표시부(82)를 포함하는 제2차량(07)을 포함하며, 상기 노면 관리 서버(70)에서 송신되는 상기 노면 정보가 상기 제2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2차량(07)의 상기 노면 정보 표시부(82)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 which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nected to a first vehicle 05 and a vehicle body of the first vehicle 05 to provide abnormal road surface information. A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to generate,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vehicle 05, and road surfac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abnormality information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for transmitt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vehicle 05, a road management server 7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and manag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road management server ( 70) and a second vehicle 07 travel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2, a second wireless receiver 64, and a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82 displaying road surface information. Preferably,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is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82 of the second vehicle 07 according to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영상촬영기, 레이저 센서, 레이저 스캐너, 공간 스캐너, 음향 센서, 진동센서, 속도센서, 가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ing device, a laser sensor, a laser scanner, a space scanner, a sound sensor, a vibration sensor, a speed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차량(05)에 레이저센서, 비전카메라를 설치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종합적으로 맨홀, 과속방지턱, 또는, 포트홀의 위치, 크기, 깊이를 포함하는 노면의 이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or 10 collects information obtained by installing a laser sensor and a vision camera in the vehicle 05 to comprehensively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road surface, including the location, size, and depth of manholes, speed bumps, or potholes. Including obtaining information.

상기 음향 센서는 상기 차량(05)의 차체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량(05)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제1 음향 센서(미도시)와 상기 차량(05)의 바퀴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량의 바퀴와 도로 노면과의 마찰음을 감지하는 제2 음향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차량(05)의 본래 음향과 바퀴와 노면의 마찰음에 의한 음향을 비교하여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acoustic sensor is located on a body part of the vehicle 05 and detects noise generated from the vehicle 05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 first acoustic sensor (not shown) and a wheel part of the vehicle 05 Including a second acoustic sensor (not shown) located and detecting the frictional sound between the wheels of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comparing the original sound of the vehicle 05 with the sound caused by the frictional sound between the wheels and the road surface. This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차량(05)에 영상촬영기를 설치하여 도로의 영상을 입력받고, 이를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includes an image camera installed in the vehicle 05 to receive an image of the road and compare it with a reference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상기 가속도 센서는 X축, Y축, 및 Z축으로 구성된 3축 방향의 3차원 공간에서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3축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란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소자로써 종래에는 기계식 가속도 센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을 적용하여 소형으로 정밀한 검출이 가능하며 저전력을 소비하는 반도체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1차원 검출 기능을 갖는 가속도 센서를 복수개 사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2차원 또는 3차원 검출 기능을 갖는 다축 가속도 센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검출 방식에 따라서 피에조 저항식, 정전용량식, 및 열분포 검출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a 3-axis accelera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movement in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in a 3-dimensional space in a 3-axis direction composed of X-axis, Y-axis, and Z-axis. Here, the acceleration sensor is an element for detecting a change in speed per unit time. Conventionally, a mechanical acceleration sensor has been mainly used, but recently,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technology is applied to enable precise detection in a small size and consumes low power. A semiconductor type is mainly used, and a multi-axis acceleration sensor with a 2-dimensional or 3-dimensional detection function is mainly used, away from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nsors with a 1-dimensional detection function. In addition, acceleration sensors may be classified into piezoresistive, capacitance, and thermal distribution detection types according to detection methods.

또한,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진동센서(15) 및 상기 제1차량(05)의 차속을 측정하는 속도센서(25)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속도센서(25)에서 측정되는 차속 및 상기 진동센서(15)에서 생성되는 진동량에 의해 상기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sensor 15 and a speed sensor 25 for measuring the vehicle speed of the first vehicle 05, and the vehicle speed measured by the speed sensor 25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based on the amount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sensor 15 .

일반적으로 주행 중에 이상 노면을 인지하면 대부분의 운전자가 속도를 줄이게 되는데, 이는 차속이 빠른 경우에는 더욱 큰 충격(진동)을 느끼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 노면 여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면 정보 생성부(10)에 속도센서(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노면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의 기준 값이 속도센서(25)에 의해 검출되는 속도(차속)를 기준으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주행인 경우에는 진동의 기준 값을 높여 노면의 작은 이상은 검출되지 않도록 하여 검출 우선순위를 낮추어 효율을 높이고, 반대로 저속 주행인 경우에는 진동의 기준 값을 낮추어 검출되어야 하는 이상 노면이 읽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general, when an abnormal road surface is recognized while driving, most drivers reduce their speed. This is to prevent this, since a greater shock (vibration) is felt when the vehicle speed is high.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peed sensor 25 i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value of vibration for detecting the abnormal road surface is set differently based on the speed (vehicle speed)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25 .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high-speed driving, the vibration reference value is increased so that small abnormalities on the road surface are not detected, and the detection priority is lowered to increase efficiency. It is desirable to set it so that it can be read.

다른 바람직한 예로, 낮은 진동 값이 감지되더라도 속도가 급격히 감속되다가 감지되는 진동에 대해서는 더욱 낮은 기준 값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해당 노면을 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트홀을 포함하는 이상 노면을 발견할 시에는 속도를 급격히 줄이며 피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습관을 감안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주행 속도를 일정 시간 (수초) 동안 기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 중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다가 기준 값에 해당되는 진동이 없는 경우에는 읽지 않고, 기준 값에 해당되는 진동이 감지된 경우에는 노면을 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other preferred example, even if a low vibration value is detected, it is desirable to read the corresponding road surface by setting a lower reference value for the vibration detected after the speed is rapidly decelerated. When an abnormal road surface including a pothole is found, it is desirable to set it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habit of rapidly reducing the speed and avoiding it.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memorize the driving spe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everal seconds). It is preferable to read the road surface when the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is detected and not read when there is no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after the speed rapidly decreases while driving.

상기의 바람직한 예와 같이, 진동 정보와 속도 정보를 함께 적용하면 더욱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in the above preferred example, if vibr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are applied together,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후방카메라(55)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정된 차속에 따른 상기 진동센서(15)에 의한 진동량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후방카메라(55)가 촬영되어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further includes a rear camera 55, so that the rear camera 55 takes pictures when the amount of vibration by the vibration sensor 15 according to the measured vehicle speed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genera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또한,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후방카메라(55)를 더 포함하여, 상기 노면이 비정상이라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카메라(55)가 촬영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further includes a rear camera 55 so that when the road surface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rear camera 55 captures a picture.

차량(05)에 레이저 센서, 비전카메라, 영상 촬영 및 비교 등의 방법은 그림자, 얼룩, 패치 또는 조명 등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장착한 후 주요 도로를 모두 점검하는데에 많은 시간과 장비, 인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사용되는 장치들이 모두 고가라는 한계가 있다. The vehicle 05 has a laser sensor, a vision camera, and a method of capturing and comparing images, which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shadows, stains, patches, or lights. In addition, it takes a lot of time, equipment, and manpower to inspect all major roads after installing these devices, and there is a limit in that all the devices used are expensive.

따라서, 상기와 같은 후방카메라(55)를 통하여 노면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매우 현저한 효과가 있다. 여러 종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 후, 이상 노면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후방카메라(55)를 통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사진 또는 영상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정보로 보수해야할 노면을 결정할 수 있으며, 포트홀의 크기나 깊이를 유추하여 해당 노면의 위험도를 분석하고 제2차량(07)을 포함하는 다수의 차량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알고리즘은 해당 포트홀의 크기와 깊이 및 해당 노면의 교통량, 해당 노면의 통행 차량의 평균 속도 등이 결정 요소가 될 수 있다. 분석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그림자, 얼룩, 패치, 조명에 의해 구분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렇게 신뢰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육안으로도 포트홀의 크기나 깊이를 유추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육안으로 유추하더라도 제2차량(07)을 포함하는 다수의 차량에 노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차선이 함께 촬영되기 때문에 유추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method of obtaining road surface information through the rear camera 55 as described above has a very remarkable effect.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using at least one of several types of senso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a picture or video is taken through the rear camera 55. Using a photo or image analysis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oad surface to be repaired with the photographed photo or image information, and analyze the risk of the road surface by inferring the size or depth of the porthole, and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the second vehicle (07).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he risk can be analyzed through a simple algorithm, and the size and depth of the porthole, the amount of traffic on the corresponding road surface, and the average speed of vehicles passing on the corresponding road surface can be determining factors in the algorithm. In the case of using an analysis device,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due to shadows, stains, patches, and lighting. In this case, when reliability is lowered, it is also possible to infer the size or depth of a porthole with the naked eye. Even if it is inferred with the naked eye, it is self-evident that road surface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into data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the second vehicle 07. In addition, since the lanes are photographed togeth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nalogize.

도 1에서는 진동센서(15) 및 속도센서(25)로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 후, 촬영 제어부(52)에서 후방카메라(55)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여 촬영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차량(05)의 주행 중, 제1위치 정보 획득부(30)에 의해 위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서 발생되는 진동 정보를 진동센서(15)에 의해 알게 된다.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진동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기준 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이상 노면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며, 진동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에, 후방카메라(55)를 통해 차량(05)의 진행 방향의 후미 방향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촬영하게 된다. 1 shows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ar camera 55 is operating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using the vibration sensor 15 and the speed sensor 25, and then taking pictures. While the vehicle 05 is driv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 and vibration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can be obtained by the vibration sensor 15.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when vibration is detected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and when the vibration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vehicle 05 proceeds through the rear camera 55. The trail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 is taken as a photo or video.

또한, 상기 제1차량(05)의 상기 후방카메라(55)와 연결되어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52), 및 상기 노면 관리 서버(70)와 연결되는 촬영 기준 값 제어부(9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후방카메라(55)의 촬영 명령을 위한 상기 촬영 제어부(52)의 촬영 기준은 상기 촬영 기준 값 제어부(90)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촬영 제어부(52)로 전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shooting controller 52 connected to the rear camera 55 of the first vehicle 05 to control shooting, and a shooting reference value controller 90 connected to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are further included. Accordingly, the shooting criterion of the shooting controller 52 for the shooting command of the rear camera 55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hooting reference value controller 90 to the shooting controller 52. desirable.

제1차량(05)의 상기 후방카메라(55)와 연결되어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52), 및 상기 노면 관리 서버(70)와 연결되는 촬영 기준 값 제어부(9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후방카메라(55)의 촬영 명령을 위한 상기 촬영 제어부(52)의 촬영 기준은 상기 촬영 기준 값 제어부(90)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촬영 제어부(52)로 전달된다. 보수가 필요 없는 이상 지점까지 지속적으로 획득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유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촬영 제어부(52)에서는 일정 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게 될 경우 촬영을 하지 않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미 획득된 이상 지점에서의 진동 원인이 포트홀이 아닌, 과속방지턱이라면 이미 다른 기술로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같은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보수가 요구되는 지점이라 할지라도 반복적으로 정보가 취득되는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다. 첫 차량(또는 제1차량(05))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있음에도 다른 차량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집될 가능성이 있게 되므로,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는 촬영 기준 값 제어부(90)에서 신호가 송신되고, 송신된 신호를 통하여 제1무선수신부(82)를 거쳐서 촬영 제어부(52)로 전달되어, 촬영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 제어부(52)의 명령에 의해 후방카메라(55)의 동작이 결정된다. A shooting controller 52 connected to the rear camera 55 of the first vehicle 05 to control shooting, and a shooting reference value controller 90 connected to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As for the photographing reference of the photographing controller 52 for the photographing command of the rear camera 55,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controller 90 is transferred to the photographing controller 52. Since the information may not be useful if it is continuously obtained to an abnormal point where maintenance is not requir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hooting control unit 52 does not shoot when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information is acquired. If the cause of vibration at the already obtained abnormal point is not a pothole but a speed bump, the information is already known by another technology, so there is no need to acquire the same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even at a point where maintenance is required, it is inefficient when information is repeatedly acquired.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rst vehicle (or the first vehicle 05) may be repeatedly collected by other vehicles,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hooting reference value controller 9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hooting controller 52 via the first wireless receiver 82 and used as a shooting standard. The operation of the rear camera 55 is determined by the command of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52 .

또한, 촬영 기준은 상황에 따라 변경이 요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위해 큰 진동에 의한 정보만을 전달하는 경우와 작은 진동량에 의한 이상 노면 정보도 전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standard may be requir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s a preferred example, there is a case in which only information by a large vibration is transmitted for efficienc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n abnormal road surface information by a small amount of vibration is also transmitted.

노면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되는 진동량과 차속의 정보가 제1위치 정보 획득부(30)를 통한 상기 제1위치 정보와 함께 무선송신부(60)로 전달되어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03)에 포함되는 노면 관리 서버(70)에 전달된다. 이 때, 촬영제어부(52)에서 후방카메라(55)를 제어하여 후방 촬영을 하여 획득된 사진 또는 영상 정보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촬영 기준이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이상 노면 여부 판단 기준이 변경될 수 있다. 촬영 기준 값 제어부(90)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촬영 제어부(52)에서의 촬영 기준이 변경된다. 상기 노면 관리 서버(70)에서는 제1위치 정보에 따른 노면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2위치 정보 획득부(32)에서 획득되는 제2차량(07)의 제2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의 경로에 맞는 노면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송신된 정보는 제2무선수신부(64)에서 수신하여 노면 정보 표시부(82)에 전달 및 표시되어 제2차량(07)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formation on the amount of vibration and vehicle speed generated by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or 1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60 together with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 and the control center 03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 and is transmitted to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included in. 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rear camera 55 to perform rear photographing, and the obtained photo or im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Shooting criteria can be changed as needed. Alternatively,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may be changed. The shooting standard in the shooting controller 52 is changed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hooting reference value controller 90 .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stores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second location of the second vehicle 07 acquired by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2, the route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It transmits road surface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receiver 64 and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82 so that the driver of the second vehicle 07 can recognize it.

상기 노면 정보 표시부(82)에서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은 음성안내, 경고음,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o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82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voice guidance, warning sound, and display on the display screen.

제1위치 정보 획득부(30) 및 제2위치 정보 획득부(32)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카메라(55)는 후방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제어부(52)는 제어모듈, 제어장치, 제어단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송신부 및 제1무선수신부, 제2무선수신부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 기준 값 제어부는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어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2 may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The rear camera 55 may include a rear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The shooting control unit 52 may include one of a control module,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unit. The wireless transmitting unit, the first wireless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wireless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and wirelessly transmits/receives the control modu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장치는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노면 정보 생성부,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1GPS 모듈, 상기 노면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모듈,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 상기 제1GPS 모듈, 상기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제1차량, 및 제2GPS 모듈,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듈, 상기 무선수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노면 정보 표시부, 상기 제2GPS 모듈, 상기 무선수신모듈, 상기 노면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2차량, 및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노면 정보 및 상기 제1GPS 모듈에서 획득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GPS 모듈에서 획득된 상기 제2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른 상기 노면 정보를 상기 무선수신모듈에 송신하는 노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n apparatus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 first GPS module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transmit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genera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unit, the first vehicle including the first GPS module,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econd GPS module, a wireless reception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 road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eption module,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2GPS module, the wireless reception module, the second vehicle includ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and the first GPS module, the second GPS modu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that transmit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of the second vehicle acquired in the wireless receiving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진동센서(15) 및 속도센서(25)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제1GPS 모듈(35), 상기 노면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1무선통신모듈(65),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 상기 제1GPS 모듈(35), 상기 무선송신모듈(65)을 포함하는 제1차량(05), 및 제2GPS 모듈(37), 외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제2무선통신모듈(67),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67)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노면 정보 표시부(82), 상기 제2GPS 모듈(37),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67), 상기 노면 정보 표시부(82)를 포함하는 제2차량(07)을 포함한다.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65)는 무선송신모듈을 포함하며, 제2무선통신모듈(67)은 무선수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상기 노면 정보 및 상기 제1GPS 모듈(35)에서 획득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GPS 모듈(37)에서 획득된 상기 제2차량(07)의 주행 경로에 따른 상기 노면 정보를 상기 제2무선통신모듈(67)에 송신하는 노면 관리 서버(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 which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road surfa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that generates road surface information includes a vibration sensor 15 and a speed sensor 25 includes A first GPS module 35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 for transmit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or 10, the first GPS module 35, From the first vehicle 05 includ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65, the second GPS module 37,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7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7 A second vehicle 07 including a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82 displaying received information, the second GPS module 37,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7,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82 .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 includes a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7 includes a wireless reception module. In additi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GPS module 35 are received, and the second vehicle 07 obtained by the second GPS module 37 is receiv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that transmit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of )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7 .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영상촬영기, 레이저 센서, 레이저 스캐너, 공간 스캐너, 음향 센서, 진동센서, 속도센서, 가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ing device, a laser sensor, a laser scanner, a space scanner, a sound sensor, a vibration sensor, a speed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차량(05)에 레이저센서, 비전카메라를 설치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종합적으로 맨홀, 과속방지턱, 또는, 포트홀의 위치, 크기, 깊이를 포함하는 노면의 이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or 10 collects information obtained by installing a laser sensor and a vision camera in the vehicle 05 to comprehensively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road surface, including the location, size, and depth of manholes, speed bumps, or potholes. Including obtaining information.

상기 음향 센서는 상기 차량(05)의 차체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량(05)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제1 음향 센서(미도시)와 상기 차량(05)의 바퀴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량의 바퀴와 도로 노면과의 마찰음을 감지하는 제2 음향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차량(05)의 본래 음향과 바퀴와 노면의 마찰음에 의한 음향을 비교하여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acoustic sensor is located on a body part of the vehicle 05 and detects noise generated from the vehicle 05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 first acoustic sensor (not shown) and a wheel part of the vehicle 05 Including a second acoustic sensor (not shown) located and detecting the frictional sound between the wheels of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comparing the original sound of the vehicle 05 with the sound caused by the frictional sound between the wheels and the road surface. This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차량(05)에 영상촬영기를 설치하여 도로의 영상을 입력받고, 이를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includes an image camera installed in the vehicle 05 to receive an image of the road and compare it with a reference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또한,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진동센서(15) 및 상기 제1차량(05)의 차속을 측정하는 속도센서(25)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속도센서(25)에서 측정되는 차속 및 상기 진동센서(15)에서 생성되는 진동량에 의해 상기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sensor 15 and a speed sensor 25 for measuring the vehicle speed of the first vehicle 05, and the vehicle speed measured by the speed sensor 25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based on the amount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sensor 15 .

일반적으로 주행 중에 이상 노면을 인지하면 대부분의 운전자가 속도를 줄이게 되는데, 이는 차속이 빠른 경우에는 더욱 큰 충격(진동)을 느끼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 노면 여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노면 정보 생성부(10)에 속도센서(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노면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의 기준 값이 속도센서(25)에 의해 검출되는 속도(차속)를 기준으로 다르게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주행인 경우에는 진동의 기준 값을 높여 노면의 작은 이상은 검출되지 않도록 하여 검출 우선순위를 낮추어 효율을 높이고, 반대로 저속 주행인 경우에는 진동의 기준 값을 낮추어 검출되어야 하는 이상 노면이 읽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general, when an abnormal road surface is recognized while driving, most drivers reduce their speed. This is to prevent this, since a greater shock (vibration) is felt when the vehicle speed is high.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peed sensor 25 i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value of vibration for detecting the abnormal road surface is set differently based on the speed (vehicle speed)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25 .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high-speed driving, the vibration reference value is increased so that small abnormalities on the road surface are not detected, and the detection priority is lowered to increase efficiency. It is desirable to set it so that it can be read.

다른 바람직한 예로, 낮은 진동 값이 감지되더라도 속도가 급격히 감속되다가 감지되는 진동에 대해서는 더욱 낮은 기준 값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해당 노면을 읽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트홀(12)을 포함하는 이상 노면을 발견할 시에는 속도를 급격히 줄이며 피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습관을 감안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주행 속도를 일정 시간 (수초) 동안 기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 중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다가 기준 값에 해당되는 진동이 없는 경우에는 읽지 않고, 기준 값에 해당되는 진동이 감지된 경우에는 노면을 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other preferred example, even if a low vibration value is detected, it is desirable to set a lower reference value for the vibration detected after the speed is rapidly decelera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road surface is read. When an abnormal road surface including a porthole 12 is found, it is preferable to set it in consideration of the driver's habit of rapidly reducing the speed and avoiding it.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memorize the driving spe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everal seconds). It is preferable to read the road surface when the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is detected and not read when there is no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value after the speed rapidly decreases while driving.

상기의 바람직한 예와 같이, 진동 정보와 속도 정보를 함께 적용하면 더욱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in the above preferred example, if vibration information and speed information are applied together,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후방카메라(55)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정된 차속에 따른 상기 진동센서(15)에 의한 진동량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후방카메라(55)가 촬영되어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further includes a rear camera 55, so that the rear camera 55 takes pictures when the amount of vibration by the vibration sensor 15 according to the measured vehicle speed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genera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또한, 상기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후방카메라(55)를 더 포함하여, 상기 노면이 비정상이라 판단되는 경우, 상기 후방카메라(55)가 촬영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further includes a rear camera 55 so that when the road surface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rear camera 55 captures a picture.

차량(05)에 레이저 센서, 비전카메라, 영상 촬영 및 비교 등의 방법은 그림자, 얼룩, 패치 또는 조명 등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장착한 후 주요 도로를 모두 점검하는데에 많은 시간과 장비, 인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사용되는 장치들이 모두 고가라는 한계가 있다. The vehicle 05 has a laser sensor, a vision camera, and a method of capturing and comparing images, which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shadows, stains, patches, or lights. In addition, it takes a lot of time, equipment, and manpower to inspect all major roads after installing these devices, and there is a limit in that all the devices used are expensive.

따라서, 상기와 같은 후방카메라(55)를 통하여 노면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매우 현저한 효과가 있다. 여러 종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 후, 이상 노면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후방카메라(55)를 통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사진 또는 영상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정보로 보수해야할 노면을 결정할 수 있으며, 포트홀의 크기나 깊이를 유추하여 해당 노면의 위험도를 분석하고 제2차량(07)을 포함하는 다수의 차량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간단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알고리즘은 해당 포트홀의 크기와 깊이 및 해당 노면의 교통량, 해당 노면의 통행 차량의 평균 속도 등이 결정 요소가 될 수 있다. 분석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그림자, 얼룩, 패치, 조명에 의해 구분이 어려울 수 있는데, 이렇게 신뢰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육안으로도 포트홀의 크기나 깊이를 유추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육안으로 유추하더라도 제2차량(07)을 포함하는 다수의 차량에 노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차선이 함께 촬영되기 때문에 유추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method of obtaining road surface information through the rear camera 55 as described above has a very remarkable effect.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using at least one of several types of senso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a picture or video is taken through the rear camera 55. Using a photo or image analysis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oad surface to be repaired with the photographed photo or image information, and analyze the risk of the road surface by inferring the size or depth of the porthole, and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the second vehicle (07).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The risk can be analyzed through a simple algorithm, and the size and depth of the porthole, the amount of traffic on the corresponding road surface, and the average speed of vehicles passing on the corresponding road surface can be determining factors in the algorithm. In the case of using an analysis device, it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due to shadows, stains, patches, and lighting. In this case, when reliability is lowered, it is also possible to infer the size or depth of a porthole with the naked eye. Even if it is inferred with the naked eye, it is self-evident that road surface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into data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the second vehicle 07. In addition, since the lanes are photographed togeth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nalogize.

도 2에서는 진동센서(15) 및 속도센서(25)로 노면의 이상 여부를 판단 후, 촬영제어모듈(54)에서 후방카메라(55)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여 촬영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차량(05)의 주행 중, 제1GPS 모듈(35)에 의해 위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서 발생되는 진동 정보를 진동센서(15)에 의해 알게 된다. 노면 정보 생성부(10)는 진동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기준 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이상 노면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며, 진동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에, 후방카메라(55)를 통해 차량(05)의 진행 방향의 후미 방향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촬영하게 된다. 2 shows an examp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ar camera 55 operates in the shooting control module 54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by the vibration sensor 15 and the speed sensor 25, and taking pictures. While the vehicle 05 is driving, location information can be known by the first GPS module 35, and vibration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can be known by the vibration sensor 15.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when vibration is detected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r more, and when the vibration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vehicle 05 proceeds through the rear camera 55. The trail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 is taken as a photo or video.

또한, 상기 제1차량(05)의 상기 후방카메라(55)와 연결되어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모듈(54), 및 상기 노면 관리 서버(70)와 연결되는 촬영 기준 제어단(95)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후방카메라(55)의 촬영 명령을 위한 상기 촬영제어모듈(54)의 촬영 기준은 상기 촬영 기준 제어단(95)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촬영제어모듈(54)로 전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shooting control module 54 connected to the rear camera 55 of the first vehicle 05 to control shooting and a shooting reference control unit 95 connected to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are further provided. Including, the shooting criterion of the shooting control module 54 for the shooting command of the rear camera 55 is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hooting criterion control terminal 95 is transmitted to the shooting control module 54.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제1차량(05)의 상기 후방카메라(55)와 연결되어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모듈(54), 및 상기 노면 관리 서버(70)와 연결되는 촬영 기준 제어단(95)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후방카메라(55)의 촬영 명령을 위한 상기 촬영제어모듈(54)의 촬영 기준은 상기 촬영 기준 제어단(95)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촬영제어모듈(54)로 전달된다. 보수가 필요 없는 이상 지점까지 지속적으로 획득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유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촬영제어모듈(54)에서는 일정 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하게 될 경우 촬영을 하지 않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미 획득된 이상 지점에서의 진동 원인이 포트홀(12)이 아닌, 과속방지턱(14)이라면 이미 다른 기술로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같은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보수가 요구되는 지점이라 할지라도 반복적으로 정보가 취득되는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다. 첫 차량(또는 제1차량(05))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있음에도 다른 차량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집될 가능성이 있게 되므로, 소정의 거리에 배치되는 촬영 기준 제어단(95)에서 신호가 송신되고, 송신된 신호를 통하여 제1무선통신모듈(65)를 거쳐서 촬영제어모듈(54)로 전달되어, 촬영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제어모듈(54)의 명령에 의해 후방카메라(55)의 동작이 결정된다. A shooting control module 54 connected to the rear camera 55 of the first vehicle 05 to control shooting, and a shooting reference control unit 95 connected to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As for the photographing standard of the photographing control module 54 for the photographing command of the rear camera 55,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standard control unit 95 is transmitted to the photographing control module 54. Since the information may not be useful if it is continuously obtained to an abnormal point where maintenance is not requir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photographing control module 54 not photograph when a certain number of information is acquired. If the source of vibration at the already obtained abnormal point is not the porthole 12 but the speed bump 14, since the information is already known by another technology, there is no need to acquire the same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even at a point where maintenance is required, it is inefficient when information is repeatedly acquired. Even though there i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rst vehicle (or the first vehicle 05), there is a possibility of it being repeatedly collected by other vehicles, so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hooting reference control terminal 95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hooting control module 54 via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 and used as a shooting standard. The operation of the rear camera 55 is determined by the command of the shooting control module 54 .

또한, 촬영 기준은 상황에 따라 변경이 요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위해 큰 진동에 의한 정보만을 전달하는 경우와 작은 진동량에 의한 이상 노면 정보도 전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standard may be requir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s a preferred example, there is a case in which only information by a large vibration is transmitted for efficiency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n abnormal road surface information by a small amount of vibration is also transmitted.

노면 정보 생성부(10)에서 생성되는 진동량과 차속의 정보가 제1GPS 모듈(35)을 통한 상기 제1위치 정보와 함께 제1무선통신모듈(65)로 전달되어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03)에 포함되는 노면 관리 서버(70)에 전달된다. 이 때, 촬영제어모듈(54)에서 후방카메라(55)를 제어하여 후방 촬영을 하여 획득된 사진 또는 영상 정보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촬영 기준이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이상 노면 여부 판단 기준이 변경될 수 있다. 촬영 기준 제어단(95)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 촬영제어모듈(54)에서의 촬영 기준이 변경된다. 상기 노면 관리 서버(70)에서는 제1위치 정보에 따른 노면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2GPS 모듈(37)에서 획득되는 제2차량(07)의 제2위치에 따라, 해당 위치의 경로에 맞는 노면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송신된 정보는 제2무선통신모듈(67)에서 수신하여 노면 정보 표시부(82)에 전달 및 표시되어 제2차량(07)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The vibration amount and vehicle spe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0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 together with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GPS module 35, and the control center 03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 and is transmitted to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included in. 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control module 54 controls the rear camera 55 to perform rear photographing, and the acquired photo or imag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Shooting criteria can be changed as needed. Alternatively,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may be changed. The shooting standard in the shooting control module 54 is changed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hooting standard control unit 95 .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stores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second location of the second vehicle 07 obtained from the second GPS module 37, the road surface suitable for the route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sent.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7 and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82 so that the driver of the second vehicle 07 can recognize it.

상기 노면 정보 표시부(82)에서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은 음성안내, 경고음, 디스플레이 화면에의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o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82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voice guidance, warning sound, and display on the display screen.

후방카메라(55)는 후방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제어모듈(54)는 제어모듈, 제어장치, 제어단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기준 제어단(95)는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어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무선통신모듈(65) 및 제2무선통신모듈(67)은 무선송신모듈 또는 무선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r camera 55 may include a rear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The shooting control module 54 may include one of a control module,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unit. The shooting standard control unit 95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and wirelessly transmits/receives the control module. Preferabl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7 include a wireless transmitting module or a wireless receiving modul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방법은 제1차량이 주행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차량이 주행하는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노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노면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제2차량이 주행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라 상기 저장된 상기 노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노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 first vehicle is driving, genera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on which the first vehicle is driving,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Receiving and storing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second vehicle is traveling; receiving the stored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travel route of the second vehic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displaying the received road surface information.

또한,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면의 진동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차량의 차속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enerating o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an amount of vibration of the road surface and measuring a vehicle speed of the first vehicle.

또한, 상기 측정된 차속에 따른 상기 진동량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hotographing the rear side when the amount of vibr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vehicle speed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genera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rear.

또한, 상기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는 촬영 기준 값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후방을 촬영하는 기준은 상기 촬영 기준 값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hotographing of the rear further includes receiving a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and the criterion for photographing the rear includes a signal received i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receiving step.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 차량에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차량이 주행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차량이 주행하는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노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노면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환자 이송 차량이 주행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환자 이송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라 상기 저장된 상기 노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노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 first vehicle is driving, genera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on which the first vehicle is dr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oad surface. Transmitting information, receiving and storing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patient transport vehicle travels, the stored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traveling route of the patient transport vehicle and displaying the received road surface information.

또한,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면의 진동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차량의 차속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enerating o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an amount of vibration of the road surface and measuring a vehicle speed of the first vehicle.

또한, 상기 측정된 차속에 따른 상기 진동량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hotographing the rear side when the amount of vibr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vehicle speed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genera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rear.

또한, 상기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는 촬영 기준 값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후방을 촬영하는 기준은 상기 촬영 기준 값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hotographing of the rear further includes receiving a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and the criterion for photographing the rear includes a signal received i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receiving step.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량이 주행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차량이 주행하는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속도를 검출하고(S22), 진동량을 측정하여(S12), 상기 속도에 따른 진동량이 기준 값 이상인 경우에 이상 노면으로 판단하여(S42), 후방을 촬영하는 것(S52)을 포함한다. 제1차량은 주행상태이고, 촬영된 위치는 이상 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지나온 상태이므로, 획득된 위치 정보(S32)와 상기 검출된 속도(S22)에 의하여 위치 값을 보정(S34)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노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62)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노면 정보를 수신하고 노면 관리 서버에 저장(S72)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차량이 주행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4)를 포함하며, 획득된 제2위치 정보는 노면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제2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라 상기 저장된 상기 노면 정보를 송신(S76)하여, 제2차량에서 상기 노면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된 상기 노면 정보는 제2차량에 포함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S7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which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S32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first vehicle is traveling is included. In addition, in the step of genera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on which the first vehicle travels, the speed is detected (S22) and the amount of vibration is measured (S12). S42) and photographing the rear (S52). Since the first vehicle is in a driving state and the captured location has pass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abnormal road surface, it is preferable to correct the location value (S34)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S32) and the detected speed (S22). .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S62), and receive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store them in a road management server (S72). In addition, it includes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second vehicle is driving (S74), and the obtained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to store the stored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driving route of the second vehicle. By transmission (S76),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received in the second vehicle. Preferably, the received road surfa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second vehicle (S78).

또한, 상기 제2차량은 환자 이송 차량을 포함한다. 골절환자 등의 이송 차량에 있어서는 진동을 최소화해야하는 필요가 있으며, 상기의 방법으로 노면의 이상 여부 정보를 주행 경로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lso, the second vehicle includes a patient transport vehicle. There is a need to minimize vibration in a vehicle for transporting a patient with a fracture, and the above method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receiv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road surface is abnormal according to the driving rou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방법은 제1사용자단말기가 이동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이동하는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노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노면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제2사용자단말기가 이동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의 주행 경로에 따라 상기 저장된 상기 노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노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 first user terminal moves, genera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on which the first user terminal moves,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Step, receiving and storing the transmitted location information and road surface information,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second user terminal moves, receiving the stored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traveling rout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received road surface information.

또한,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면의 진동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enerating o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the amount of vibration of the road surface and measuring a moving speed of the first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측정된 이동 속도에 따른 상기 진동량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rear when the amount of vibr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moving speed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genera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hotographing the rear.

또한, 상기 후방을 촬영하는 단계는 촬영 기준 값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후방을 촬영하는 기준은 상기 촬영 기준 값 수신 단계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hotographing of the rear further includes receiving a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and the criterion for photographing the rear includes a signal received i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receiving step.

또한, 노면 관리 서버(70)에서는 상기 촬영된 정보가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하여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further includes classifying and storing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2에서, 진동을 기준으로 할 때, 노면의 이상 지점은 보수가 요구되는 포트홀(12) 뿐 아니라, 보수가 필요 없는 과속방지턱(14), 맨홀(16)을 포함하게 된다. 같은 지점에서 지속적으로 송신되는 사진이나 영상 정보는 오히려 비효율적인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획득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노면 관리 서버(70)에서 위치 정보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 중 유용한 정보와 유용하지 않은 정보를 구분하는 데에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In FIG. 2, on the basis of vibration, abnormal points on the road surface include portholes 12 requiring repair, as well as speed bumps 14 and manholes 16 that do not require repair. Photo or image information tha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same point may be rather inefficient inform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classify and store by location information in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70 based on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convenient to distinguish useful information from information that is not useful amo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is.

한편, 상기한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implement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methods is recorded.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 an optical disk, and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상기 후방카메라(55)는 블랙박스일 수 있다. 이미 촬영하고 있는 영상 중 진동이 감지되면 해당 정보를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하거나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rear camera 55 may be a black box. When vibration is detected in an image that is already being captured, it is possible to store or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진동 정보 생성부(10)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진동센서(15)는 하이패스단말기와 일체화시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At least on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vibr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0 or the vibration sensor 15 can be manufactured by integrating with the high-pa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정보 제공 장치는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다수의 차량에 설치가 가능하며, 또는 다수의 사용자단말기의 이동을 감시함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다수의 해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위치별 이상 노면을 관제센터(03)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지역을 관할하는 관제센터(03)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여 다른 다수의 차량에게 이동 경로에 맞추어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apparatus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expensive, and thus can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vehicles, or can be implemented by monitoring the movement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t is desirable to have the control center 03 manage the abnormal road surface by location by receiv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real tim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03 having jurisdiction over a certain area so that it is provided to a number of other vehicles according to the moving route.

종래에는 도로의 노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고가의 차량과 인원이 동원되어야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1차량 또는 제1사용자단말기를 경찰차, 택배차, 통학버스, 구급차, 영업차량, 물류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 적용시키면, 어차피 주행되어야 하는 차량에서 정보를 송신하고, 이를 통해 관제센터(03)에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위치 및 예상 위험도의 크기 등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정하여 해당 경로를 이동하는 제2차량 또는 환자 이송 차량 또는 제2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차량을 구급차로 하는 경우, 일일 주행량이 많고, 버스전용차로 및 일반도로의 여러 차로로 주행하여 이상 지점 검출 확률을 높일 수 있고, 긴급인 경우와 일반인 경우 속도를 달리 하기 때문에 하나의 차량에 설치하여 같은 지점을 지난다하더라도 속도가 달라질 가능성이 높아, 저속 또는 고속 중 한 번이라도 촬영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더욱 포괄적인 정보 수집이 가능하다. Conventionally, expensive vehicles and personnel had to be mobilized to obtain road surface information, but the first vehicle or the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lice car, delivery truck, school bus, ambulance, business vehicle, or logistics vehicle. When applied to one or more vehicle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o be driven anyway, and through this, the control center (03) collects information in real time, prioritizes it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expected risk, and moves the rout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the second vehicle or the patient transfer vehicle or the second user terminal.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vehicle is an ambulance, the daily driving volume is large, the probability of detecting an abnormal point can be increased by driving on multiple lanes of bus-only lanes and general roads, and the speed is different in the case of emergency and the general public, so one vehicle Even if it is installed on the same point, the speed is likely to be different, so the possibility of being photographed at either low speed or high speed is higher, and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collection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노면의 이상 지점을 고가의 전문 측정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실시간으로 정확한 정보를 제3의 차량에게 유용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conomically obtain an abnormal point on the road surface without using expensive professional measuring equipment, and also transmit accurate information in real time to a third vehicle.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there.

03 관제센터 15 진동센서
05 제1차량 25 속도센서
07 제2차량 32 제2위치 정보 획득부
10 노면 정보 생성부 55 후방카메라
30 제1위치 정보 획득부 64 제2무선수신부
52 촬영 제어부 82 노면 정보 표시부
60 무선송신부 35 제1GPS 모듈
62 제1무선수신부 37 제2GPS 모듈
70 노면 관리 서버 65 제1무선통신모듈
03 Control center 15 Vibration sensor
05 First vehicle 25 Speed sensor
07 Second vehicle 32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 Road surface information generator 55 Rear camera
30 Fir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64 Second wireless reception unit
52 Shooting control unit 82 Road information display unit
60 wireless transmitter 35 1st GPS module
62 1st wireless receiver 37 2nd GPS module
70 Road management server 65 1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laims (1)

노면 관리 서버는 경찰차가 이동하는 후방을 촬영하여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생성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촬영 기준 값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후방을 촬영하는 기준은 상기 촬영 기준 값 제공 단계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경찰차를 활용한 포트홀 실시간 탐지 방법
genera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by the road surface management server by photographing the rear of the police car moving;
Including; providing the generated road su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terminal;
The generating o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roviding a shooting reference value,
The criterion for photographing the rear is determined by a signal provided in the photographing reference value providing step. Porthole real-time detection method using a police car.
KR1020230000035A 2015-06-11 2023-01-02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 KR1025079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035A KR102507904B1 (en) 2015-06-11 2023-01-02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315A KR102359893B1 (en) 2015-06-11 2015-06-1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KR1020220110614A KR102487631B1 (en) 2015-06-11 2022-09-01 Pot-hole real-time detection device
KR1020230000035A KR102507904B1 (en) 2015-06-11 2023-01-02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614A Division KR102487631B1 (en) 2015-06-11 2022-09-01 Pot-hole real-time det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262A KR20230010262A (en) 2023-01-18
KR102507904B1 true KR102507904B1 (en) 2023-03-07

Family

ID=57735002

Famil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315A KR102359893B1 (en) 2015-06-11 2015-06-1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KR1020210118002A KR102359895B1 (en) 2015-06-11 2021-09-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KR1020210118000A KR102359892B1 (en) 2015-06-11 2021-09-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KR1020210118001A KR102359894B1 (en) 2015-06-11 2021-09-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KR1020220014162A KR102395963B1 (en) 2015-06-11 2022-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KR1020220055125A KR102440852B1 (en) 2015-06-11 2022-05-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afety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KR1020220110615A KR102487630B1 (en) 2015-06-11 2022-09-01 Pot-hole real-time detection method
KR1020220110614A KR102487631B1 (en) 2015-06-11 2022-09-01 Pot-hole real-time detection device
KR1020230000034A KR102507905B1 (en) 2015-06-11 2023-01-02 Real-time Port Hall Detection Device Using Police Cars
KR1020230000035A KR102507904B1 (en) 2015-06-11 2023-01-02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
KR1020230026287A KR102609017B1 (en) 2015-06-11 2023-02-27 A method of providing road safety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using a school bus
KR1020230026292A KR102566557B1 (en) 2015-06-11 2023-02-27 Roadsid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Using Ambulances
KR1020230026295A KR102566559B1 (en) 2015-06-11 2023-02-27 Method of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using an ambulance
KR1020230026261A KR102609016B1 (en) 2015-06-11 2023-02-27 Real-time Port Hall Detection Device Using a Delivery Vehicle
KR1020230026267A KR102609019B1 (en) 2015-06-11 2023-02-27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a Delivery Vehicle
KR1020230026280A KR102609018B1 (en) 2015-06-11 2023-02-27 A device that provides road safety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using a school bus
KR1020230168715A KR20230166066A (en) 2015-06-11 2023-11-28 Road Information Control Method
KR1020230168714A KR102630855B1 (en) 2015-06-11 2023-11-28 Road Information Control System
KR1020240011241A KR102639056B1 (en) 2015-06-11 2024-01-24 Road information control method based on rear camera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315A KR102359893B1 (en) 2015-06-11 2015-06-1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KR1020210118002A KR102359895B1 (en) 2015-06-11 2021-09-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KR1020210118000A KR102359892B1 (en) 2015-06-11 2021-09-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KR1020210118001A KR102359894B1 (en) 2015-06-11 2021-09-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KR1020220014162A KR102395963B1 (en) 2015-06-11 2022-02-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KR1020220055125A KR102440852B1 (en) 2015-06-11 2022-05-0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afety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KR1020220110615A KR102487630B1 (en) 2015-06-11 2022-09-01 Pot-hole real-time detection method
KR1020220110614A KR102487631B1 (en) 2015-06-11 2022-09-01 Pot-hole real-time detection device
KR1020230000034A KR102507905B1 (en) 2015-06-11 2023-01-02 Real-time Port Hall Detection Device Using Police Cars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287A KR102609017B1 (en) 2015-06-11 2023-02-27 A method of providing road safety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using a school bus
KR1020230026292A KR102566557B1 (en) 2015-06-11 2023-02-27 Roadsid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Using Ambulances
KR1020230026295A KR102566559B1 (en) 2015-06-11 2023-02-27 Method of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using an ambulance
KR1020230026261A KR102609016B1 (en) 2015-06-11 2023-02-27 Real-time Port Hall Detection Device Using a Delivery Vehicle
KR1020230026267A KR102609019B1 (en) 2015-06-11 2023-02-27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a Delivery Vehicle
KR1020230026280A KR102609018B1 (en) 2015-06-11 2023-02-27 A device that provides road safety information to a patient transport vehicle using a school bus
KR1020230168715A KR20230166066A (en) 2015-06-11 2023-11-28 Road Information Control Method
KR1020230168714A KR102630855B1 (en) 2015-06-11 2023-11-28 Road Information Control System
KR1020240011241A KR102639056B1 (en) 2015-06-11 2024-01-24 Road information control method based on rear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9) KR1023598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910B1 (en) * 2018-05-14 2020-02-12 한국도로공사 System for evaluating comfort in road
KR102026685B1 (en) * 2018-11-12 2019-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server for providing dangerous road information using image data and vibration
KR102235232B1 (en) * 2019-11-15 2021-04-02 주식회사 아이티텔레콤 Pot hol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g data using v2x communication
KR102167291B1 (en) * 2020-04-24 2020-10-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tatus information
KR102167292B1 (en) * 2020-04-24 2020-10-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tatus information
KR102396146B1 (en) 2020-09-02 2022-05-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A Road Surface Surveillance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 Of
KR102310105B1 (en) * 2020-11-09 2021-10-08 주식회사 해담디앤씨 Method,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managing abnormal protrusions and depressions of road pav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1113A (en) 2013-11-21 2015-06-04 住友ナコ マテリアル ハンドリング株式会社 Steering device, industrial vehicle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44A (en) * 2001-04-10 2002-10-23 유양준 The compound panel of building interior decoration
KR100818398B1 (en) * 2001-05-26 2008-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road surface state and traffic information supply
KR20040012171A (en) * 2002-08-01 2004-02-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40090044A (en) * 2003-04-16 2004-10-22 장병화 Automatic Broadcasting System for Disaster Warning and Living Information with 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Apparatus
JP5836208B2 (en) 2012-06-20 2015-12-24 株式会社フジクラ Optical fiber preform manufacturing method
CN103632848B (en) * 2012-08-29 2016-08-03 尼吉康株式会社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KR20150029080A (en) * 2013-09-09 2015-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oad state information gathering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1113A (en) 2013-11-21 2015-06-04 住友ナコ マテリアル ハンドリング株式会社 Steering device, industrial vehicle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987A (en) 2022-02-14
KR102359893B1 (en) 2022-02-07
KR20230009520A (en) 2023-01-17
KR102609017B1 (en) 2023-11-30
KR20230010262A (en) 2023-01-18
KR102507905B1 (en) 2023-03-07
KR20230031878A (en) 2023-03-07
KR102566559B1 (en) 2023-08-11
KR20230166066A (en) 2023-12-06
KR102639056B1 (en) 2024-02-21
KR20230034279A (en) 2023-03-09
KR20220123628A (en) 2022-09-08
KR102566557B1 (en) 2023-08-11
KR20230031880A (en) 2023-03-07
KR20230031879A (en) 2023-03-07
KR20220062472A (en) 2022-05-17
KR20230031881A (en) 2023-03-07
KR102359895B1 (en) 2022-02-08
KR20210111239A (en) 2021-09-10
KR20240016384A (en) 2024-02-06
KR20230166065A (en) 2023-12-06
KR102487631B1 (en) 2023-01-10
KR20210111740A (en) 2021-09-13
KR102630855B1 (en) 2024-01-29
KR20160145937A (en) 2016-12-21
KR20230033697A (en) 2023-03-08
KR102487630B1 (en) 2023-01-10
KR102359892B1 (en) 2022-02-08
KR102359894B1 (en) 2022-02-08
KR102609018B1 (en) 2023-11-30
KR102440852B1 (en) 2022-09-05
KR102609019B1 (en) 2023-11-30
KR20210111238A (en) 2021-09-10
KR102395963B1 (en) 2022-05-09
KR20220123629A (en) 2022-09-08
KR102609016B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904B1 (en) Real-time detection of potholes using police cars
JP2010067262A (en) Intelligent driving assistant system
JP2014182007A (en) Inter-vehicular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inter-vehicular distance measuring method
JP72943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KR20180136601A (en) Pothole detector and Pothole management system
KR201601429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US20190143926A1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inspec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vehicle management program, inspec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KR101127511B1 (en) Vehic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event and casting information
TWI787888B (en) Image coparison system for car
CN116118743A (en) Method for detecting and reporting road surface concave-convex condition of vehicle and vehicle sid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