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284B1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 Google Patents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284B1
KR102507284B1 KR1020180027697A KR20180027697A KR102507284B1 KR 102507284 B1 KR102507284 B1 KR 102507284B1 KR 1020180027697 A KR1020180027697 A KR 1020180027697A KR 20180027697 A KR20180027697 A KR 20180027697A KR 102507284 B1 KR102507284 B1 KR 10250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ignal
terminal
typ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5873A (en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392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40026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80027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284B1/en
Publication of KR2018004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2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 a data conversion unit that analyze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and converts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structure typ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There is provided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comprising a.

Description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system and metho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본 발명은,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구조물에 접근하였을 때 그에 대한 알림을 줄 수 있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a system and a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structure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space, when a user terminal approaches a structure, notification thereof can be given It relates to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최근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일상 생활에서 대중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기반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나 터치 위치의 파악이 어려워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소리나 촉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 절실한 상황이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smart watches, and smart glasses has achieved remarkable growth, providing a convenient environment for the public in daily life. However, since most smart devices are based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t is difficult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o use these smart devic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grasp a mouse pointer or touch location. Therefore, in order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these smart devices, a user environment in which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using sound or tactile sense is urgently needed.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foregoing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구조물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수치 이하가 때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도 공간의 구조물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recognize structures in a space without using visual information by providing a tactile signal to a user when a distance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structure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촉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조물의 위치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easily locate a structure by providing a tactile signal for guiding a direction of a structure even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 a data conversion unit that analyze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and converts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structure typ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There is provided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comprising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존재 또는 구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guide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the structure or the typ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부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 abnormal situation detecting unit that detect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direction or location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wherei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ng unit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When detecting,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may additionally include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시간과,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점멸하는 신호로서,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주파수가 증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by comparing the transmission time included i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the reception time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The structure guide signal is a signal that flickers with a certain frequency, and the frequency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decreas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guide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subsequent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상기 거리에 대한 상기 소정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ance signal generation unit may determine the predetermined value for the distance to generate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단말은 기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terminal may automatically recognize the user terminal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transmit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for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구조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communicate with the structure terminal using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있는 구조물 단말; 상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capable of generating a tactile signal by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space and generating an approach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n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A space guidance system including a server for receiving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generat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server. a data receiving unit;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There is provided a space guidance system including an output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uni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조물 단말; 수신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변환된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space and generat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first user terminal including a data convers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ance signal by analyzing the receiv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to convert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including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A space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data conversion unit of the first user terminal,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Including, there is provided a space guidanc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 a data conversion step of generating a structure guide signal by analyz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The data conversion step includes: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d an output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Including,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으로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 detects the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to generate an approach detection signal; receiving, by a server,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generat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an output step of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s a tactile signal by the user terminal; A space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wherein the outputting step comprises: a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server;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d an output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utput unit; including, a space guidance method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구조물 단말이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변환된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로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 generat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ata conversion step in which a first user terminal analyzes the receiv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and converts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outputting step of a second user terminal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A space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Including, there is provided a space guidance metho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행 시 고려해야 할 공간의 구조물들에 대하여 비시각적인 알림이 가능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n-visual notification of structures in a space to be considered by a user while walking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불시에 방향을 잃는 경우에도 구조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user unexpectedly loses his/he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locate the structure.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 단말과 사용자 단말이 통신하는 구체적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communication between a structure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user terminal having an out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output unit of a user terminal.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of the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performed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aken as encompassing the scope claimed by the claims and all scopes equivalent thereto.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pace guidance system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조물 단말(201), 상기 하나 이상의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301), 그리고 구조물 단말 및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40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pace guidance system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at least one structure terminal 201 and the one or more structure terminals, generates a structure guidance signal, and generates a structure guidance signal. It may include a user terminal 301 outputting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401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tructure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기존에는, 보행 시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구조물들을 시각 장애인에게 안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노면 상에 점자 블록을 설치하는 방법, 청각 안내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혹은 시각 장애인이 스스로 구조물들을 인지하기 위하여, 지팡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점자 블록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구조물의 종류에는 한계가 있고, 오직 점자 블록의 유무로만 표현하기에는 구조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공간의 모든 구조물들을 표현하도록 점자 블록을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각 안내를 사용하는 것은 신호등 점멸 안내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지팡이를 사용하는 것은 보행 속도를 현격히 늦추고 바로 앞에 위치한 구조물이 아닌 이상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s a method for guiding the blind to structures that may become obstacles while walking, a method of installing braille blocks on a road surface, a method of using auditory guidance, and the like have been used. Alternatively, the blind used a cane to recognize the structures on their ow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types of structures that can be expressed with braille blocks, the types of structures are diverse to express on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aille blocks, and it is not easy to install braille blocks to express all structures in the space. .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auditory guidance is possible only in special situations such as guidance for flashing traffic lights.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using a cane significantly slowed walking speed and was difficult to recognize unless it was a structure located right in front of it.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과 같이 시각적으로 공간 구조물을 알기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공간 구조물을 안내하기 위한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a system and a method for guiding a space structure even to a user who has difficulty visually understanding a space structure, such as a blind pers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 시 방해가 될 수 있는 공간의 구조물들(예를 들어, 기둥, 계단, 턱 등)에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될 수 있다. 구조물 단말(201)이 발송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1)이 통신망(401)을 통해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301)은 수신된 구조물 정보 데이터로부터 구조물과의 거리 및 종류를 획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변환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사용자 단말(301)에 포함된 출력부는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구조물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terminal 201 may be installed on structures (eg, pillars, stairs, ledges, etc.) in a space that may interfere with walk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30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 The user terminal 301 obtains the distance and type of the structure from the receiv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converts it to generate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the output unit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301 controls the output. By outputting the signal as a tactile signal, the user can recognize structure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점자 블록 혹은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1)을 장착하고 있는 것 만으로도 공간에 위치한 구조물들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넘어지는 등의 이상 상황으로 불시에 방향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도, 주변의 공간 구조물이 위치하는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out using a braille block or a cane, the user can recognize structures located in space just by wearing the user terminal 301 . 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irections in which surrounding spatial structures are located can be effectively presented even when a user unexpectedly fails to recognize a direction due to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a fall.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물 단말(201), 사용자 단말(301) 및 통신망(401)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terminal 201, the user terminal 301,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구조물 단말(201)은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301) 혹은 다른 컴퓨팅 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단말이다. 구조물 단말(201)은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설치 당시부터 갖고 있을 수 있다. 이때, 구조물 정보 데이터는 구조물의 종류 및 형상, 위치, 구조물 상으로 통행이 가능한지 여부 등 구조물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One or more structure terminals 2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space structure, and are terminals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301 or another computing device. The structure terminal 201 may have data on the type of installed structure from the time of installation. At this time,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such as the type and shape of the structure, location, and whether or not passage is possible on th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은 사람이 해당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모든 물리적 공간들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은 하나 이상의 구조물이 존재하는 건물 내부 공간, 지하 공간과 같은 일부 폐쇄형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공간 내의 구조물들은, 사람이 이동할 때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구조물들로서, 보행 시 장애물이 될 가능성이 있는 구조물들, 예를 들어 기둥, 계단, 막다른 곳 등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구조물이란, 시각 장애인이 인지할 필요가 있는 모든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ll physical spaces in which a person can move. In particular, th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artially enclosed space such as an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in which one or more structures exist and an underground space. In addition, the structures in the space are structur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a person moves, and may be structures that may become obstacles when walking, such as pillars, stairs, dead ends, and the like. That is, structures of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structures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needs to recognize.

보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은 지하철 역사(驛舍) 내부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의 구조물은 지하철 역사 내부의 기둥, 계단, 엘리베이터, 선로, 정지선, 환승통로, 개찰구, 개찰기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공간 및 공간의 구조물은 반드시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In a more specific example, th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inside of a subway station, and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space may include pillars, stairs, elevators, tracks, stop lines, transfer passages, It can be a ticket gate, a ticket gate, etc. However, the space and the structure of the space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또한, 사용자 단말(301)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1)은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후술할 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은 구조물 단말(201)로부터 수신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조물 안내 신호를 변환하여 촉각 신호로 출력부(330)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근처에 존재하는 구조물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301)의 각 부의 구성 및 그 역할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와 관련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1 is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using a web service in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user terminal 3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unit (to be described later) capable of providing a tactile signal to a user. 330) may be included. The user terminal 301 analyze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structure terminal 201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converts the generated structure guide signal, and outputs it as a tactile signal to the output unit 330, allowing the user to Be aware of nearby structures. The configuration and role of each unit of the user terminal 30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FIG. 3 below.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1)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촉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휴대 가능한 장치들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301)은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로서, 안경, 시계 등과 같은 액세서리형, 의류와 같은 직물 일체형 혹은 신체에 부착 또는 이식할 수 있는 신체 부착/이식형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3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type of portable devices capable of directly providing a tactile signal to a user.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301 is a wearable device having comput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may be an accessory type such as glasses or a watch, a fabric-integrated type such as clothing, or a body-attached/implantable wearable that can be attached or implanted on the body. may be a device.

또한, 통신망(401)은 구조물 단말(201)과 사용자 단말(301)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서, 모든 무선 통신망 형태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401)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401)은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두 단말이 라우터와 같은 중계 장치 없이도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망(401)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UWB(Ultra-wideband), 비콘(Beacon) 통신망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structure terminal 201 and the user terminal 301, and all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an be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allows two terminal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to communicate directly without a relay device such as a rout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may b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Ultra-wideband (UWB), or Beacon communication networks.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 단말(201)과 사용자 단말(301)이 통신하는 구체적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xample of communication between a structure terminal 201 and a user terminal 3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공간은 지하철 역사(驛舍)이고, 구조물 단말(201)은 지하철 역사 내의 기둥에 설치되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1)로서 스마트 시계를 착용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pace is a subway station,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installed on a pillar in the subway station, and the user wears a smart watch as the user terminal 301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it did

도 2 를 참조하면, 지하철 역사 내부를 보행 중인 시각 장애인은 진행 방향에 기둥이 존재할 때, 기둥의 존재를 안내받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 의 기둥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201)은 통신망(401)을 통해 사용자 단말(301)에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1)은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임을 고려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200)간의 거리가 d 이하가 될 때, 사용자에게 근처에 기둥이 있음을 알리는 구조물 안내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2 , a visually impaired person walking inside a subway station needs to be informed of the existence of a pillar when a pillar exists in the direction of travel. Accordingly, the structure terminal 201 installed on the pillar of FIG. 2 transmits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30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 The user terminal 301 receiv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considers that the type of structure is a pillar,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200 becomes d or less, tactile a structure guide signal informing the user that there is a pillar nearby converted to a signal and output.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301)의 내/외부 구조 및 그 역할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external structure of the user terminal 301 and its role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1)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3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1)은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변환부(320) 및 출력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320)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321), 거리 산출부(322), 안내 신호 생성부(323), 이상 상황 감지부(324) 및 출력 신호 변환부(32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a user terminal 3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310 , a data conversion unit 320 and an output unit 330 . In addition, the data conversion unit 320 includes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321, a distance calculation unit 322, a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323, an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unit 324, and an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325. .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310)는 구조물 단말(201)로부터 통신망(401)을 통해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310)는 통신망(401)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수신장치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First, the data receiver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structure terminal 201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 The data receiving unit 310 may be a receiving device using the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 For reference, the data receiving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may be an interfa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such as a control signal or a data sig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다음으로, 데이터 변환부(320)는 데이터 수신부(310)로부터의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부(330)는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Next, the data converter 320 generates a structure guide sig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data receiver 310 and converts it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the output unit 330 outputs the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do.

보다 상세히, 데이터 변환부(320)의 구조물 종류 판단부(321)는 수신된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때, 구조물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이 통행할 때 유의할 필요성이 있는 모든 종류의 구조물들의 종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술한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이 지하철 역사인 경우, 공간의 구조물 종류는 기둥, 계단, 개찰구, 벽, 플랫폼과 선로의 경계 등이 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321 of the data conversion unit 320 determines the type of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installed based on the receiv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ype of structure may be all types of structures that need attention when the blind pass through.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way station as in the above example, the structure type of the space may be a pillar, a staircase, a ticket gate, a wall, a boundary between a platform and a track, and the like.

다음으로, 거리 산출부(322)는 획득된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산출부(322)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시간과, 사용자 단말(301)의 데이터 수신부(310)가 수신한 수신 시간을 분석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거리 산출부(322)가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거리 측정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Next, the distance calculating unit 322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301 based on the obtain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2 analyzes the transmission time included i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the reception time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310 of the user terminal 301 to determine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 can be calculated. A method of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by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2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tance measuring method may be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401)을 사용하는 구조물 단말(40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401)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감지하고 통신할 수 있는 커버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단말(201)의 커버 범위에 사용자 단말(301)이 들어가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더라도, 사용자가 알림을 받을 정도로 구조물이 가깝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되었을 때 이를 안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 거리를 산출할 필요가 존재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terminal 400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401 may have different coverage ranges capable of det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area network 401. .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terminal 301 can enter the coverage range of the structure terminal 201 and receive structure information data, the structure may not be close enough for the user to receive a notification.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 signal for guiding this is generated. To this end, there is a need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다음으로,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321)가 결정한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거리 산출부(322)가 산출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 안내 신호는 구조물의 존재 또는 구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구조물 안내 신호는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323 considers the type of structure determined by the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321 and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calculat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2 and the user terminal 301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n it i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structure guidance signal. In this case, the structure guide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existence of a structure or the type of structure. Alternatively, the structure guide signal may additionally include information on a subsequent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of structure.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이고,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5m 이하인 경우,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기둥이 존재함을 알리는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 신호는,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에서 기둥을 의미하는 점자로 출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햅틱 신호 등 다양한 형태의 촉각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기둥의 종류를 알려주는 것 외에도,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의 거리 등 추가적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type of structure is a pilla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is 5 m or less, the guide signal generating unit 323 generates a guide signal notifying that a pillar exists in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can Such a guide signal may be output in braille meaning a pillar from the output unit 330 of the user terminal 301 or may be output in various types of tactile signals, such as a preset haptic signal. The guide signal generating unit 323 may generate a guide signal that further include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 distance between a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in addition to notifying the type of pillar.

다른 구체적인 예시로, 구조물의 종류가 막다른 벽이고,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5m 이하인 경우, 사용자는 보행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보행 방향을 변경하라는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안내 신호는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에서 보행 방향 변경을 의미하는 점자로 출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햅틱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As another specific example, when the type of structure is a dead-end wal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is 5 m or less, since the user needs to change the walking direction, the structure guide signal is sent to the follow-up action to change the walking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Similarly, such a guide signal may be output in Braille indicating a walking direction change from the output unit 330 of the user terminal 301 or may be output as a preset haptic signal.

또한,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사용자 단말(301)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거리에 대한 소정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301)의 이동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빠른 경우 구조물과의 거리가 7m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느린 경우 구조물과의 거리가 3m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ance signal generation unit 323 may determine a predetermined value for a distance to generate a structure guidance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terminal 301 .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terminal 301 is fast compared to a preset standard, a structure guide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distance from the structure is 7 m or less, and when the distance to the structure is 3 m or less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terminal 301 is slow, the structure A guide signal can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내 신호는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점멸하는 신호로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주파수가 증가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신호 생성부(323)가 생성한 구조물 안내 신호가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되었을 때 출력부(330)의 돌기들을 상하운동하게 만드는 신호인 경우, 안내 신호생성부(323)는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에 따라 돌기들이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상하운동하도록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돌기들이 상하운동하는 주파수가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 정보 없이도 촉각 신호에 의해 구조물과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guid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ignal that flickers with a certain frequency, and the frequency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becomes closer. For example, when the structure guide signal generated by the guide signal generator 323 is converted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is a signal that causes the protrusions of the output unit 330 to move up and down, the guide signal generator 323 generates a structure A structure guidance signal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protrusions move up and down with a certain frequenc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301 . At this time, if the frequency at which the protrusions move up and down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decrea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grasp the distance from the structure by the tactile signal without additional information. can

다음으로, 이상 상황 감지부(324)는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상황이란, 사용자가 갑자기 넘어지거나 어떤 것에 부딪히는 등의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진행 방향을 잃어버리는 상황을 말한다. 이상 상황 감지부(324)는 사용자 단말(301)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상 상황 감지부(324)가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하는 경우, 안내 신호 생성부(323)가 생성하는 구조물 안내 신호는 구조물의 존재를 알리는 것에서 더 나아가,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unit 324 serves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The abnormal situation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unintentionally loses the direction of travel, such as when the user suddenly falls down or bumps into something.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unit 324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301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ng unit 324 determines that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generated by the guidance signal generating unit 323 goes beyond notifying the existence of a structure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may additionally be included.

시각 장애인의 경우, 의도치 않게 넘어지면 일어나서 방향을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을 때 근방에 구조물이 존재함을 안내하더라도, 사용자는 넘어진 경우 일어났을 때 움직이고 있었던 방향 자체를 잃어버리므로 어느 방향으로 진행했을 때 해당 구조물이 가까워지는지 알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서, 이상 상황 감지부(324)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경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존재를 알리는 것에 후속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은 넘어졌다 잃어나더라도 기존에 제공받았던 구조물 안내 데이터에 더하여 구조물이 있는 방향까지 안내받을 수 있으므로, 불시에 사용자가 방향을 잃게 되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구조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blind people, if they fall unintentionally, they have difficulty getting up and recognizing the dire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is informed that a structure exists nearby while moving, the user loses the direction in which he was moving when he gets up when he falls, so when he moves in any direction, the corresponding structure is close. It's hard to know if you're losing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ng unit 324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structure guide signal is used to inform the existence of the structure. Subsequently,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may be included. Th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visually impaired person falls and loses, he or she can be guided to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provided structure guidance data, so that even if the user unexpectedly loses the direction, the user can guide the user to the structure. location can be easily identified.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출력부(330)의 돌기는, 구조물 안내 신호에 따라 '기둥'을 나타내는 점자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을 나타내는 점자가 일정 시간 지속된 후,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구조물이 왼쪽 방향에 위치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점자를 추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a specific embodiment, projections of the output unit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generate Braille characters representing 'pillars' according to a structure guidance signal. In addition, when an abnormal situation is detected by the user after the braille indicating 'column' continu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raille indicating that the structure is located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additionally output.

다음으로,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생성된 구조물 안내 신호를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330)가 해석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이 돌기의 상하운동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게 돌기들이 제어되도록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이 진동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진동이 생성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이 신경 또는 세포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변환부(150)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자극, 감각 등이 생성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사용자의 뇌 신경, 뇌 세포로 바로 전달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감각을 감지할 수 있는 신경 또는 세포로 바로 전달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출력 신호 변환부(325)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제어 신호의 형식, 형태, 포맷은 전달되는 방식, 방법,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Next, the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325 may convert the generated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that can b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330 of the user terminal 301 . That is, the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325 may convert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that the output unit 330 can interpret. When the user terminal 301 outputs information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ojections, the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325 may control the output signal so that the projections are controlled to correspond to the output data. When the user terminal 301 outputs information through vibration, the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325 may generate an output control signal so that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data can be generated. When the user terminal 301 outputs information through nerves or cells, the conversion unit 150 may generate an output control signal so that stimulation and sens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data may be generated. The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325 may generate an output control signal tha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s brain nerves and brain cells, or may generate an output control signal tha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nerves or cells capable of detecting other senses. may be The form, form, and format of the output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325 varies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method, method, and algorithm.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는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히, 출력부(330)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되거나 비접촉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330)는 점자 돌기 신호, 햅틱 신호 등의 촉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출력 장치가 될 수 있다.Next, the output unit 330 of the user terminal 301 is a device controlled by an output control signal to deliver a tactile signal to the user. In more detail, the output unit 330 may directly contact the user or deliver data to the user in a non-contact manner. The output unit 330 may be any type of output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tactile signal such as a braille projection signal or a haptic signal to a user.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1차원인 점과 같은 형태의 자극을 주거나, 좌우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2차원인 선과 같은 형태의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들은 동시에 사용자를 타격하거나 순차적으로 타격함으로써, 현실 세계에서의 액션 및 가상 세계에서의 액션과 대응되는 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제어 신호는 돌기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가 움직이는 방향, 움직이는 시점, 지속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330 may transmit data to the user through one or more projections. Each protrusion can give a one-dimensional point-like stimulus to the user by linearly moving in an up-and-down direction, or give a two-dimensional line-like stimulus to the user by linearly moving in a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hit the user, thereby generating stimuli corresponding to actions in the real world and actions in the virtual world. The output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direction in which one or more protrusions move, a moving time point, and a duration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protrusion.

이때, 출력부(330)는 사용자의 신경, 세포 또는 혈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경, 세포 또는 혈관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출력부(330)는 사용자가 신경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자극, 및/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부(330)는 사용자의 뇌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뇌를 통해 이해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unit 33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nerves, cells, or blood vessels, and can transmit data through the user's nerves, cells, or blood vessels, and the output unit 330 can be felt by the user through the nerves. stimuli, and/or signals that are present. In addition, the one or more information output units 3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s brain and transmit data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user's brain.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330)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301)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user terminal 301 having an output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3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일 부분에 구비된 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표현 면이 사용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돌기들(30n)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면에 현출되는 상기 돌기들(30n)의 선택적 출입에 의한 돌출 신호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으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돌기들(30n)에 의해 타격을 받은 위치에서의 직접적인 진동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에 의해 형성된 돌출 신호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진동 신호와는 달리 타겟 주위에 잔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출 신호에 의해 점자와 같이 촉각을 통해 취득되는 신호를 구현할 수 있고, 그 외에도 군사 신호, 그림 신호, 부호 신호, 방향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4 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1)의 표현 면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301 may include the output unit 330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330 has an expression surface facing the user. It may include protrusions 30n provided to be positioned. Therefore, the protrusion signal by the selective entry and exit of the protrusions 30n that appear on the expression surface can be recognized as a direct and local hit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directly perceive the hit at the position hit by the protrusions 30n. vibration can be received. Unlike general vibration signal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e salient signal formed by such a direct and local impact does not cause residual vibration to occur around the target, so an accurate signal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Accordingly, signals acquired through the tactile sense, such as Braille, can be implemented by the protruding signal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signals such as military signals, picture signals, code signals, and direction signals can be accurately implemented. That is, the expression surface of the user terminal 301 shown in FIG. 4 is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예를 들어,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출력부(330)를 가진 사용자 단말(30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301)은 시계줄을 포함하는 스마트 시계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스마트 시계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301) 내부에는, 비록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술한 데이터 수신부(310) 및 데이터 변환부(3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1)은 돌기(30n)의 직선운동에 의해 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기기 일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1)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30n)를 접촉하여 객체 정보와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1)은 돌기들(30n)의 선택적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a) of FIG. 4 , an appearance of a user terminal 301 having an independent output unit 330 including protrusions 30n is shown, and the user terminal 301 has a clock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mart watch containing a line. Inside the user terminal 301 implemented as a smart watch, although not shown in FIG. 4 , the aforementioned data receiver 310 and data converter 320 are further provided. This user terminal 301 may be a brail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output data by linear motion of the protrusion 30n. In the user terminal 301 shown in (a) of FIG. 4 , the user may directly contact the protrusion 30n with a hand to recognize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object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301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for controlling selective access of the protrusions 30n.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b)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1)에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출력부(33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중 하나로 구현되어 있고, 스마트 시계의 하부는 출력부(330)의 돌기(30n)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1)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시계를 착용한 신체의 일부분이 돌기(30n)의 직선운동을 감지하여 검출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1)은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referring to (b) of FIG. 4 , an appearance in which an output unit 330 including protrusions 30n is coupled to a user terminal 301 as a smart watch that works with a smart phone is shown. are doing In the case of (b) of FIG. 4, the upper part of the smart watch is implemented as on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nit,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the lower part of the smart watch is implemented with the protrusion 30n of the output unit 330. It shows that it can. In the case of the user terminal 301 as a smart watch shown in FIG. 4 (b), a part of the user's body wearing the smart watch senses the linear motion of the protrusion 30n and outputs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ction. Recognizable.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301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또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1)과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출력부(33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c)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유닛과 사용자 단말(301)의 돌기(30n)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1)과 결합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1)의 의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를 접촉하여 검출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1)은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c) of FIG. 4 , a user terminal 301 as a smart watch that works with a smart phone and an output unit 330 including protrusions 30n are combined. In the case of (c) of FIG. 4, it is shown that the display unit and the protrusion 30n of the user terminal 301 can be implemented on the top of the smart watch. In the case of the user terminal 301 as a smart watch combined with the user terminal 301 shown in (c) of FIG. 4, the user can directly contact the projection with his hand to recognize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ction. there is.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301 may include a vibration motor.

도 5 는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output unit 330 of the user terminal 301. Referring to FIG.

도 5a를 참조하면, 출력부(330)는 복수개의 돌기(331), 복수개의 구동부(332) 및 돌기 제어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돌기(331)는 예를 들어, 가로 8열 세로 3행의 총 24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구동부(332)는 24개의 돌기(331) 각각에 연결된 총 24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331) 각각은 복수개의 구동부(33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구동부(332) 각각은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선 선택된 돌기는 선택되지 않은 돌기 보다 더 상승되는 위치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돌기 제어부(333)는 수신된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신호 즉, 사전에 약속된 돌기 선택신호, 돌기 돌출 시간, 돌기 돌출 주기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구동부(332)로 출력하고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구동부(332)는 해당 돌기(331)를 직선운동 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사용자 단말(301)을 구비한 사용자는 돌기(331)의 직선운동으로 객체가 설명하고자 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A , the output unit 3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331,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332, and a protrusion control unit 333. Her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31 may include, for example, a total of 24 pieces of 8 columns by 3 rows, and the plurality of driving parts 332 may include a total of 24 pieces connected to each of the 24 protrusions 331. can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33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332 receives a driving control signal from the protrusion control unit 333 and drives one or more selected protrusions 331. can be moved in a straight line. Here, the selected protrusion can be linearly moved to a position that is higher than the non-selected protrusion. The projection control unit 333 generates one or more of a driving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utput control signal, that is, a projection selection signal, a projection selection signal, a projection projection time, and a projection projection period, and outputs the generated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332. The one or more driving units 332 receiving the may linearly move the corresponding protrusion 331 . From this, the user equipped with the user terminal 301 can recognize the information to be explained by the object through the linear motion of the protrusion 331 .

도 5b를 참조하면, 출력부(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331) 각각이 하나의 구동부(3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구동부(332)는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31 included in the output unit 3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driving unit 332, and the driving unit 332 receives a driving control signal from the protrusion control unit 333. One or more protrusions 331 that are received and selected may be linearly moved.

도 5c를 참조하면, 출력부(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331) 중 일부의 돌기(331) 각각이 복수개의 구동부(332) 중 어느 한 구동부(3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구동부(332)는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 some of the projections 331 among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331 included in the output unit 3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driving unit 332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units 332, and each The driving unit 332 may linearly move one or more selected protrusions 331 by receiving a driving control signal from the protrusion control unit 333 .

상술한 도 4 및 도 5에서 예시한 돌기들의 운동에 의해, 사용자는 구조물 안내 신호를 촉각 신호로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돌기에 의한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330)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력부(330)는 촉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Due to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perceive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as a tactile sig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utput unit 330 that generates tactile signals by protrusions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and the output unit 330 can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can transmit tactile signals. can

도 6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of the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를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 수신부(310)는 구조물 단말(201)로부터 구조물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11).Referring to FIG. 6 , first, the data receiving unit 310 receiv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including structure type information from the structure terminal 201 (S11).

다음으로, 구조물 종류 판단부(321)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한다(S12).Next, the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321 determines the type of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S12).

다음으로, 거리 산출부(322)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S13).Next,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322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301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S13).

다음으로,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한다(S14).Next, the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323 generates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structure (S14).

다음으로,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S15).Next, the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325 converts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S15).

마지막으로, 출력부(330)는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S16).Finally, the output unit 330 outputs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S16).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20)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 space guidance system 2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을 참조하면, 공간 안내 시스템은 서버(100), 구조물 단말(202), 사용자 단말(302) 및 통신망(402)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 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guidance system is composed of a server 100 , a structure terminal 202 , a user terminal 302 and a communication network 402 . Sinc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S. 1 to 6 , hereinafter, difference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202)은 사용자 단말(302)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근 감지 신호를 서버(100)로 송신한다. 이때, 접근 감지 신호에는 해당 신호를 송신하는 구조물 단말(202) 및 구조물 단말(202)이 설치된 구조물에 대한 정보, 그리고 감지된 사용자 단말(30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단말(202)이 사용자 단말(302)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을 따를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terminal 202 installed in the structure of the space detects the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302 to generate an approach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roximity detection signal to the server ( 100). At this time,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terminal 202 transmitting the signal,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202 is installed, and information about the detected user terminal 302 . In addition, the structure terminal 202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302 may follow the method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구조물 단말(202)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한 서버(100)는 접근 감지 신호로부터 구조물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은 초기 구축 시, 구조물에 설치되는 구조물 단말(202)에 해당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물 단말(202)은 접근 감지 신호에 구조물 단말 및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서버(100)는 접근 감지 신호로부터 구조물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100)는 접근 감지 신호로부터 구조물 단말(202)에 접근한 사용자 단말(302)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Next, the server 100 receiving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from the structure terminal 202 generat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by extracting structur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When the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itially constructed,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structure may be stored in the structure terminal 202 installed in the structure.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terminal 202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terminal and the structure in the proximity detection signal, and the server 100 may extract structure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proximity detection signal. Additionally, the server 100 may extract use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2 approaching the structure terminal 202 from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서버(100)는 추출된 구조물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가 생성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는,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조물 단말(201)이 생성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추출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참고하여, 생성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2)로 전송한다.The server 100 may generate structure information data using the extracted structure terminal informati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generated by the server 100 may include the same information a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generated by the structure terminal 201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generat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302 by referring to the extracted user terminal information.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2)의 동작은 제1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301)의 동작을 제2 실시예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2)은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며, 데이터 변환부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에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용자 단말(301)의 각 구성의 기능들은 제2 실시예의 제2 사용자 단말(302)에 적합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2)은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2) 간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짧은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서버(100)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는 접근 감지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2)간의 거리가 포함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302 receiv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can be applied as it is afte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301 of the first embodiment to be suitable for the second embodiment.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302 includes a data conversion unit, and the data conversion unit analyze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to generate a structure guidance signal, converts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outputs the output control signal. It can be printed from the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user terminal 301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modified to suit the second user terminal 302 of the second embodiment.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302 may continuously receive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server 100 at short time intervals in order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2 . In this case,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may include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calculated from the approach detection data and the user terminal 302 .

서버(100), 구조물 단말(202) 및 사용자 단말(302)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망(402)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망이 해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통신망(402)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굳이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데이터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7 에서는 하나의 통신망(402)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통신망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물 단말(202)과 사용자 단말(302)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통신하고, 사용자 단말(302)과 서버(100)는 중장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402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100, the structure terminal 202, and the user terminal 302 may be any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n access path to transmit and receive packet data. That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402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known data communication networks without necessarily being limited to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as one communication network 402 in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tructure terminal 202 and the user terminal 302 ) communicates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 302 and the server 100 may communicate through a mid-to-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302)의 일부 기능이 서버(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2)의 구조물 종류 판단부에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대신, 서버(100)에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여 그 정보를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302)의 데이터 변환부에서 수행되는 기능들 중 일부가 서버(100)에서 대신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in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302 may be implemented in the server 100 . For example, instead of determining the type of structure in the structure type determin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302, the server 100 may determine the type of structure and include the information i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More specifically, in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data conversion unit of the user terminal 302 may be performed by the server 100 instea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구조물 단말(202)이 직접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2)로 전송하는 대신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302)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구조물 단말(202)은 접근 감지 데이터만을 서버(100)로 전송하면 되므로 개별 구조물 단말(202)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구조물 단말(202)의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301)의 개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접근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2)의 경로를 알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Whe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00 to the user terminal 302 instead of the structure terminal 202 directly transmitt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302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terminal (202)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individual structure terminal (202) because only the approach detection data needs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In addition, since the server 100 can know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301 by utilizing the information of the structure terminal 202, when analyzing a plurality of proximity detection data, the path of the user terminal 302 can be known. have beneficial effects.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을 참조하면, 먼저 구조물 단말(201)은 사용자 단말(302)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S21).Referring to FIG. 8 , first, the structure terminal 201 detects the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302 and generates an approach detection signal (S21).

다음으로,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한 서버(100)는 접근 감지 신호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2)에 전송한다(S22).Next, the server 100 receiving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generat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302 (S2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2)이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한다(S23).Next, the user terminal 302 receiv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server and determines the type of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202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S2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2)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S24).Next, the user terminal 302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302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S24).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2)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한다(S25).Next, the user terminal 302 generates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2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structure (S25).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S26).Next, the user terminal 302 converts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S26).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S27).Finally, the user terminal 302 outputs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S27).

도 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30)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showing a space guidance system 3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30)은 구조물 단말(203), 제1 사용자 단말(303), 제2 사용자 단말(304) 및 통신망(40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space guidance system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terminal 203, a first user terminal 303, a second user terminal 304, and a communication network 403. do.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 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S. 1 to 6 , hereinafter, differences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신부(310) 및 데이터 변환부(320)의 기능을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하고, 출력부(330)의 기능을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수행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s of the data receiving unit 310 and the data conversion unit 320 in the first embodiment are perform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function of the output unit 330 is performed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300.

보다 상세히, 제1 사용자 단말(303)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3)은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4)은 제1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를 포함하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단말(303)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고, 제2 사용자 단말(304)은 촉각 신호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user terminal 303 may be a user's personal computer or a user's portable terminal. Describing this in more detail, the user terminal 303 is a computer (eg, desktop, laptop, tablet, etc.), a media computing platform (eg, cable, satellite set-top box, digital video recorde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 eg, PDAs, email clients, etc.), any type of cell phone, or any type of other kind of computing or communication platform,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ny device including the output unit 330 of the user terminal 301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used as the second user terminal 304 without limitation. For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user terminal 303 may be a user's smart phone,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4 may be a wearable device having a tactile signal output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단말(203)으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고,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4)은 제1 사용자 단말(303)으로부터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ser terminal 303 receiv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structure terminal 203, an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Determines,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 structure guidanc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structure, and outputs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can be converted into control signals. In addi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304 receives an output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303 and outputs it as a tactile signal through an output unit.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변환 기능과 출력 기능을 분리하여 각기 다른 단말에서 구현하는 것은, 데이터 처리를 위해 사용자가 원래 휴대하는 컴퓨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의 컴퓨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ing the data conversion function and the output function and implementing them in different terminals reduces the computing burden of the terminal having an output unit by using a computing device originally carried by the user for data processing. It has the beneficial effect of reducing it.

도 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10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pace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단말(201)로부터 구조물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31).Referring to FIG. 10 , first, the first user terminal 303 receives structure information data including structure type information from the structure terminal 201 (S31).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한다(S32).Next, the first user terminal 303 determines the type of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S32).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S33).Next, the first user terminal 303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201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301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S33).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한다(S34).Next, the first user terminal 303 generates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301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structure (S34).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S35).Next, the first user terminal 303 converts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S35).

마지막으로, 제2 사용자 단말(304)은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S36).Finally, the second user terminal 304 outputs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S36).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be a componen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indicating terms may correspond to both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n invention in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as Finally, unless an order is explicitly stated or stated to the contrary for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due to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 is not going to b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A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may seek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100: 서버 201, 202, 203: 구조물 단말
301, 302, 303, 304: 사용자 단말
401, 402, 403: 통신망
100: server 201, 202, 203: structure terminal
301, 302, 303, 304: user terminal
401, 402, 403: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4)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부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기둥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막다른 벽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보행 방향을 변경하라는 상기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the space;
a data conversion unit that analyze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and converts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As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The data conversion unit,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unit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s lost the direction,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additionally provide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changed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a subsequent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structure, and when the type of structure is a pillar,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forms that a pillar exists in the user's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type of the structure is a dead-end wall,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ubsequent action of changing a walk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존재 또는 구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existence of the structure or the type of structure,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시간과,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by comparing a transmission time included i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with a reception time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점멸하는 신호로서,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주파수가 증가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guide signal is a signal that flickers with a certain frequency, and the frequency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gets clos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상기 거리에 대한 상기 소정 수치를 결정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signal generating unit determines the predetermined value for the distance to generate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단말은 기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terminal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user terminal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transmit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for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to the data receiv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구조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structure terminal using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terminal for space guidance.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구조물 단말;
상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를 제어하는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부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기둥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막다른 벽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보행 방향을 변경하라는 상기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
a user terminal capable of generating an output control signal by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space and capable of generating an approach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n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A space guidance system including a server for receiving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generat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a data receiving unit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server;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that controls the output unit; and
An abnormal situation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unit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s lost the direction,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additionally provide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a subsequent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structure, and when the type of structure is a pillar,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forms that a pillar exists in the user's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type of the structure is a dead-end wall,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ubsequent action of changing a walking direction.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조물 단말;
수신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변환된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부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기둥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막다른 벽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보행 방향을 변경하라는 상기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space and generat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first user terminal including a data convers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ance signal by analyzing the receiv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to convert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including an output unit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As a space guidance system comprising a,
The data conversion unit of the first user terminal,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or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abnormal situation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unit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s lost the direction,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additionally provide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a subsequent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structure, and when the type of structure is a pillar,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forms that a pillar exists in the user's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type of the structure is a dead-end wall,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ubsequent action of changing a walking direction.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 단계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기둥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막다른 벽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보행 방향을 변경하라는 상기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a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a space;
a data conversion step of generating a structure guide signal by analyz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including,
The data conversion step,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And
Including; an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Whe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step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s lost the direction,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provide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dditionally included,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a subsequent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structure, and when the type of structure is a pillar,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forms that a pillar exists in the user's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type of the structure is a dead-end wall,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ubsequent action of changing a walking direction.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으로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를 제어하는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 단계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기둥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막다른 벽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보행 방향을 변경하라는 상기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
generating an approach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a user terminal by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the space;
receiving, by a server, the approach detection signal, generat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an output step in which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nd generates an output control signal;
As a space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The output step is
a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from the server;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utput unit; and
Including; an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Whe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step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s lost the direction,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provide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dditionally included,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a subsequent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structure, and when the type of structure is a pillar,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forms that a pillar exists in the user's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type of the structure is a dead-end wall,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ubsequent action of changing a walking direction.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구조물 단말이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변환된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로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 단계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기둥이 존재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의 종류가 막다른 벽인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보행 방향을 변경하라는 상기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
generating structure information data by a structure terminal installed in a structure of the space;
a data conversion step in which a first user terminal analyzes the received structure information data to generate a structure guide signal, and converts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an output control signal; and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converted output control signal as a tactile signal by a second user terminal; As a space guidance method comprising a,
The output step is
a structure typ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distanc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where the structure terminal is installed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the structure information data;
a guide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structure guide signal when a distanc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structure;
An output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ructure guide signal into the output control signal; And
Including; an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by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When the abnormal situation detection step detects an abnormal situ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has lost the direction,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provide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chang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dditionally included,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a subsequent action to be taken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structure, and when the type of structure is a pillar,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forms that a pillar exists in the user's mo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type of the structure is a dead-end wall, the structure guidance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ubsequent action of changing a walking direction.
KR1020180027697A 2016-10-25 2018-03-08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KR102507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97A KR102507284B1 (en) 2016-10-25 2018-03-08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286A KR101840026B1 (en) 2016-10-25 2016-10-25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KR1020180027697A KR102507284B1 (en) 2016-10-25 2018-03-08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286A Division KR101840026B1 (en) 2016-10-21 2016-10-25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73A KR20180045873A (en) 2018-05-04
KR102507284B1 true KR102507284B1 (en) 2023-03-08

Family

ID=8550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697A KR102507284B1 (en) 2016-10-25 2018-03-08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284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610A (en) *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guiding blind person and a mobile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339398B1 (en) * 2012-01-31 2013-12-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ccess alarm apparatus and method
KR20130115042A (en)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온비트 Pedestrian obstacle warn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warning method thereof
KR20150097043A (en) * 2014-02-17 2015-08-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ystem for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using eyeglasses with camera and a cane with control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73A (en)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097B2 (en) Media stream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KR101730266B1 (en) IoT-based Road Guid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and Method thereof
JP2020508440A (en) Personal navigation system
KR101501062B1 (en) Navigating system to guide the blind using active RFID/NFC Tag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KR1020050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management service based on context aware
KR201901290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to prevent accident
KR20190099170A (en) A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an intelligent terminal and a device therefor
KR102507284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KR2020000335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050825A1 (en) Hands-Free Crowd Sourced Indoo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rsons
KR2018004587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us ride
KR101840026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KR102225456B1 (en) Road mate system, and road mate service providing method
KR101330622B1 (en) Sound guide system for the blind with gps and smartphone application
Akram et al.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novel wearable assistiv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20190318624A1 (en) Boarding inform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and procedur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101799391B1 (en) A smart block system
KR101298526B1 (en) Announce system for visually-impaired people using ir sensor
KR1018400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us ride
KR20130115042A (en) Pedestrian obstacle warn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warning method thereof
Scalvini et al. Visual-auditory substitution device for indoor navigation based on fast visual marker detection
Strumillo Electronic systems aiding spatial orientation and mo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Walkera et al. SWAN 2.0: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New System for Wearable Audio Navigation
KR101849594B1 (en) Wireless headset, walking assista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ant with li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