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108B1 -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108B1
KR102507108B1 KR1020210077961A KR20210077961A KR102507108B1 KR 102507108 B1 KR102507108 B1 KR 102507108B1 KR 1020210077961 A KR1020210077961 A KR 1020210077961A KR 20210077961 A KR20210077961 A KR 20210077961A KR 102507108 B1 KR102507108 B1 KR 10250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display panel
circuit board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472A (ko
Inventor
윤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앤라이프
Priority to PCT/KR2021/0076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31060A1/ko
Publication of KR2022014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덮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제2 회로 보드; 및 상기 제1 회로 보드를 상기 제2 회로 보드에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85°~95° 사이의 각도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로 보드와 상기 케이블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로 보드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미들 커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들을 덮는 제2 미들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로 보드는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은닉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SUPPORT Device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발광 표시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대별된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라 함)가 픽셀들 각각에 형성된다.
투명 표시장치는 정보와 영상이 표시 가능한 투명한 표시패널을 통해 실제 사물을 볼 수 있다. 투명 표시장치는 비디오월(Videowall), 쇼윈도, 실외 전광판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대중 교통, 가전 기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투명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백라이트(Back light, BLU)가 필요 없는 자발광 표시패널의 특성으로 인하여 기존 투명 액정표시장치(LCD)의 투명도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투명도를 구현할 수 있다.
투명 표시장치는 투명 표시패널과, 투명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각종 불투명한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투명 표시패널의 화면에 불투명한 전자 부품들이 보이지 않도록 적절한 지지 처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 및/또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 표시패널에 연결된 불투명한 전자 부품들이 보이지 않도록 한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는 픽셀들에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된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연성 회로 필름에 연결된 제1 회로 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덮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제2 회로 보드; 및 상기 제1 회로 보드를 상기 제2 회로 보드에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85°~95° 사이의 각도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로 보드와 상기 케이블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로 보드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미들 커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들을 덮는 제2 미들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로 보드는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은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는 픽셀들에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패널들,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들, 및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 연결된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에 연결된 복수의 제1 회로 보드들을 포함한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의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덮는 복수의 제1 프레임들;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서 상기 제1 프레임들에 상기 소정의 각도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서 제1 프레임들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 브라켓들; 및 상기 고정 브라켓들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들을 고정하는 복수의 서포트 트러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은 표시패널들의 폭 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 결합되어 하나의 표시패널의 폭 방향 보다 두 배 이상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회로 보드는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은닉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덮는 제1 프레임에 소정의 각도로 결합된 제2 프레임 내에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보드를 은닉하여 표시패널의 베젤 크기를 줄여 화면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 상기 회로 보드에 연결된 케이블들도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은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패널들 각각에 결합된 제1 프레임들을 고정 브라켓을 통해 확장된 화면 크기에 대응하여 연장된 서포트 트러스들에 결합하여 상기 표시패널들의 화면 크기를 확장하여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 브라켓과 서포트 트러스들 내에 케이블들을 은닉하여 대화면으로 확장된 복수의 표시패널들 각각에 연결된 케이블들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들을 분해하지 않고 관리용 커버들을 이용하여 케이블들을 회로 보드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너 프레임과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표시패널들을 연결하고, 표시패널들을 서포트 트러스들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표시패널의 투명 화면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구동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표시패널에 연결된 회로 보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회로 보드가 표시패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결된 예를 보여 주는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를 여러 각도에서 보여 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5a에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b에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프레임의 구성 요소들을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프레임의 구성 요소들을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표시장치의 스탠드와 콘트롤 박스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D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확대하여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E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단일 표시패널에 결합된 프레임들과, 프레임들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들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F 부분을 확대하여 제1 브라켓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G 부분을 확대하여 제2 브라켓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프레임들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들과, 고정 브라켓들에 결합되는 서포트 트러스의 중공을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1 고정 브라켓의 구조를 자세히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2 고정 브라켓의 구조를 자세히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서포트 트러스들의 결합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서포트 트러스들과 플로어 플레이트의 결합을 보여 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3은 서포트 트러스들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에서 서포트 트러스들이 트러스 상단 연결부와 플로워 플레이트에 결합된 예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과 같이 조립된 지지 장치에 표시패널들이 조립된 예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제2 프레임, 제1 고정 브라켓, 및 서포트 트러스를 경유하는 은닉 케이블 패스를 보여 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선 "I-I"에서 바라 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의 단면 구조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실시예 설명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여러 실시예들의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100)의 픽셀들(P)을 구동하기 위한 표시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입력 영상을 재현하고 픽셀들(P)을 통해 외부의 실물이 보이는 화면(101)을 포함한다. 투명 표시장치에서 화면(1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 밖의 실제 사물이 표시패널(100)을 통해 보여 지는 투명 화면일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X 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 그리고 Z축 방향의 두께를 갖는다. 표시패널(100)은 입력 영상의 데이터가 기입되어 발광되는 픽셀들(P)을 포함한다. 픽셀들(P)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적색(Red,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청색(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 각각은 픽셀 회로와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투명한 투명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패널(100)의 화면에서 재현된 영상을 볼 수 있고, 표시패널(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패널(100) 밖의 실물을 볼 수 있다. 표시패널(10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면 표시패널(100)의 화면(101)은 투명한 유리창으로 보인다.
표시패널(100)은 기판 상에 배치된 회로층과, 회로층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100)은 발광 소자층을 덮는 보호막, 보호막을 덮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 봉지층 상에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화면(101) 상에 터치 센서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투명 표시장치에서 투명 표시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로층은 데이터 라인들(DL), 게이트 라인들(GL), 전원 라인들 등의 배선들에 연결된 픽셀 회로, 게이트 라인들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픽셀 회로는 TFT(Thin Film Transistor)로 구현된 트랜지스터들과, 커패시터 등의 회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은 픽셀 회로들에 각각 연결된 발광 소자 예를 들면, 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발광 소자는 OLED로 예시된다.
OLED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OLED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여 발광층(EML)에서 가시광이 방출된다. 발광 소자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픽셀 회로는 발광 소자(OLED), 발광 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 소자(M2),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 펄스(SCAN)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을 구동 소자(M2)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하는 스위치 소자(M1), 및 구동 소자(M2)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에 연결된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구동 소자(M2)와 스위치 소자(M1) 각각은 트랜지스터들로 구현될 수 있다.
픽셀 구동 전압(VDD)은 전원 라인을 통해 구동 소자(M2)의 드레인 전극에 인가된다. 구동 소자(M2)는 게이트-소스간 전압에 따라 발광 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한다. 발광 소자(OLED)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의 순방향 전압이 문턱 전압 이상일 때 턴-온되어 발광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소자(M2)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구동 소자(M2)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1 프레임 기간 동안 유지한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서브 픽셀들에 기입하여 표시패널(100)의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재현한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부(110)와, 게이트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이하 “DAC”라 함)를 이용하여 타이밍 콘트롤러(13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되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감마 보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DATA)을 출력한다. 데이터 전압(DATA)은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픽셀 회로에 인가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게이트 신호 즉,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GL)로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이용하여 스캔 신호(SCAN)를 시프트시킴으로써 그 스캔 신호(SCAN)를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와, 픽셀 데이터와 동기되는 타이밍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10)로 전송하고, 데이터 구동부(110)와 게이트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표시장치는 도면에서 생략된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전원부는 표시패널 구동부(110, 120)와 픽셀 회로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발생한다.
호스트 시스템은 TV(Television) 시스템, 모니터 시스템, 비디오월 시스템, 쇼윈도우 시스템, 전광판 시스템 등의 메인 회로 보드와 메인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표시패널(100)에 연결된 회로 보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표시패널(100)에 연결된 제1 회로 보드(140)와, 제2 회로 보드(140)에 연결된 제2 회로 보드(140)를 포함한다.
제1 회로 보드(140)는 표시패널(100)에 하나 이상 연결될 수 있다. 경성 PCB(Printed Circuit Board)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140)는 COF(Chip on film), FPCB(Flexible PCB) 등의 연성 회로 필름(142)을 통해 표시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142)의 입력단은 커넥터를 통해 제1 회로 보드(140)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s, ACF)를 통해 표시패널(100)의 입력 패드들에 접착될 수 있다. COF는 데이터 구동부(110)가 집적된 IC(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ACF를 통해 표시패널(100)의 기판 상에 직접 접착될 수도 있다. 제1 회로 보드(140)는 제2 회로 보드(142)로부터의 입력 신호와 전원을 표시패널 구동부(110, 120)와 픽셀들에 공급하기 위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140)의 출력단은 케이블들(144)을 통해 제2 회로 보드(150)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들(144)은 동축 케이블일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15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와 전원부가 실장된 IC들을 포함한다. 제2 회로 보드(150)의 입력단은 호스트 시스템의 메인 회로 보드에 연결되어 입력 영상 신호와 메인 전원을 공급 받는다.
본 발명은 화면(101)을 최대화하고, 표시패널(100)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가장 자리의 베젤(Bezel)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지 장치를 포함한다.
지지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로 보드(140)를 표시패널(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80°~100° 사이의 각도로 고정하고 표시패널(100)에 결합된 프레임 내에 은닉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회로 보드(140)가 표시패널(10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에 가까운 각도 예를 들어, 85°~95° 사이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연성 회로 필름(142)은 표시패널(100)과 제1 회로 보드(140) 사이에서 구부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는 제1 회로 보드(140)에 연결된 케이블들(144)이 표시패널(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80°~100° 사이 의 각도를 이루는 면 바람직하게는, 직각인 면 상에서 나란히 배열되도록 케이블들(144)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들(144)은 픽셀들(P)이 없는 표시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표시패널(100)에 대하여 80°~100° 사이의 각도로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면(101)을 바라 볼 때 제1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들(144)을 볼 수 없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를 여러 각도에서 보여 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지지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감싸는 제1 프레임(200)과, 제1 프레임(200)에 80°~100° 사이 의 각도로 연결되어 제1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144)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에 복수의 제1 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2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의 전면 가장자리와 측면들을 덮는 메인 프레임(202)과, 표시패널(100)의 배면 가장자리를 덮는 서브 프레임들(204), 및 표시패널(100)의 배면 코너부들을 덮는 코너 프레임들(206)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202)의 구조는 표시패널(10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00)이 장방형 패널인 경우, 메인 프레임(202)은 장방형 표시패널(100)의 전면과 측면에서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덮는 장방형 또는 사각 프레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들(204)과 코너 프레임들(206)은 메인 프레임(20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202)이 표시패널(100)을 감싼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들(204)과 코너 프레임들(206)이 표시패널(100)의 배면 가장자리와 배면 코너부들을 덮는다.
서브 프레임들(204)은 표시패널(100)의 배면 직선 가장 자리 구간을 덮는 직선 형태의 평판 구조로 제작되어 메인 프레임(202)의 직선 구간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코너 프레임들(205)은 표시패널(100)의 코너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코너 프레임들(205)은 동일한 구조로 제작되어 공용화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이 장방형 패널일 때, 코너 프레임들(205)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두 변이 만나는 코너부 형상에 대응하는 직각 프레임 구조로 제작되어 메인 프레임(202)의 직각 코너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들(204)과 코너 프레임들(206)은 나사(screw)가 삽입되는 나사 홀들(208)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들(204)과 코너 프레임들(206)은 나사로 메인 프레임(202)에 고정되거나 메인 프레임(20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코너 프레임들(206)은 돌출된 하나 이상의 보스들(boss)(2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300) 내에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들(144)이 배치된다.
제2 프레임(300)은 제1 프레임(200)에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00)은 표시패널(100)과 직접 결합되지 않으며, 표시패널(100)에 중첩되지 않는다.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들(144)은 제2 프레임(300) 내에서 은닉된다. 연성 회로 필름(142)도 제2 프레임(300) 내에서 은닉된다.
제2 프레임(300)은 제1 프레임(200)에 80°~100° 사이의 각도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302)와, 베이스 플레이트(30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들(144)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302)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304)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02)는 제1 프레임(200)의 일측 서브 프레임(204)과, 그 서브 프레임(204)의 양측에 배치된 코너부 프레임들(206)에 80°~100° 사이의 각도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2)는 제1 프레임(200)의 서브 프레임(204)과 코너부 프레임들(206)에 나사 또는 자석으로 고정되거나 그 프레임들(204, 20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2)는 제1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들(144)이 수용되는 공간을 확보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02)는 평면부와,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길이 방향에서 평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 측벽들(302a)을 포함한다. 평면부와 측벽들(302a)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제1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들(144)이 배치된다. 케이블들(144)은 베이스 플레이트(302) 내에서 제1 프레임(20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80°~100° 사이의 각도를 이루는 면 상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2)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들(144)을 평면 상에서 구획하여 케이블들(144)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격벽들(3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304)는 개방된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상부를 덮는다. 커버 플레이트(304)는 나사 또는 자석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02)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00)은 베이스 플레이트(302)와, 커버 플레이트(304)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미들 커버(306, 3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들 커버(306)는 베이스 플레이트(302)와 커버 플레이트(304) 사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평면부 상에 놓여진 제1 회로 보드(14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제1 미들 커버(306)는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평면부로부터 돌출된 보스(30)에 삽입되는 나사로 베이스 플레이트(302)에 고정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3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미들 커버(308)는 베이스 플레이트(302)와 커버 플레이트(304) 사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평면부 상에 놓여진 케이블들(144)을 덮는다. 제2 미들 커버(308)는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평면부로부터 돌출된 보스(30)에 삽입되는 나사로 베이스 플레이트(302)에 고정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3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00)은 제1 관리용 커버들(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2)는 제1 회로 보드(140)와 케이블들(144)을 노출하는 개구부(30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리용 커버들(310)은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개구부(302b)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회로 보드(140)와 동출 케이블들(144)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베이스 플레이트(3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관리용 커버들(310)은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개구부(302b)를 포함한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저면과 측벽에 대응하는 절곡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관리용 커버들(310)은 나사 또는 자석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02)의 저면과 측벽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회로 보드(140)와 동출 케이블들(144)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베이스 플레이트(3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는 제1 프레임(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220)는 제1 프레임(200)의 하단 코너 프레임들(206)에 나사로 결합되어 소정 높이에서 표시장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콘트롤 박스(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 박스(132) 내에 제2 회로 보드(150)가 내장된다. 케이블들(144)은 제2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의해 정의된 은닉 케이블 패스(cable path)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콘트롤 박스(132)에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블들(144)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구간이 적다.
콘트롤 박스(132)는 케이블들(144)과 제2 회로 보드(150)를 연결하는 부분을 개방하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덮도록 콘트롤 박스(132)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20)는 나사 또는 자석으로 콘트롤 박스(13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320)가 콘트롤 박스(13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블들(144)과 제2 회로 보드(150)를 연결할 수 있고, 그 접점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는 복수의 표시패널들(100)을 멀티비젼 형태로 조합하여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비디오월, 쇼윈도, 실외 전광판 등 대화면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E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F 부분을 확대하여 제1 브라켓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G 부분을 확대하여 제2 브라켓의 구조를 상세히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프레임들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들과, 고정 브라켓들에 결합되는 서포트 트러스의 중공을 보여 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서포트 장치는 복수의 표시패널들(100)을 대화면으로 조합하는 복수의 서포트 트러스(Support truss)(400), 및 서포트 트러스들(400)을 제1 프레임(200)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브라켓(510, 520)을 더 포함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은 표시패널들(100)의 폭 방향(Y)을 따라 두 개 이상 결합되어 표시패널(100)의 폭 방향 보다 두 배 이상 긴 길이를 갖는다. 표시패널(100)의 폭 방향에서 길이가 연장된 서포트 트러스들(400)은 표시패널들(100)의 길이 방향(X)에서 하나의 표시패널(10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이격된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트러스 상단 연결부(430)과 플로워 플레이트(440)에 결합될 수 있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은 표시패널들(100)을 평면 상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표시패널들(100)의 화면이 평면 상에서 조합되어 대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은 서로 연결되어 그 길이가 연장될 수 있고, 표시패널들(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 각각은 케이블들(144)이 삽입되는 중공(402)을 포함하여 케이블 자켓(cable jacket) 역할을 겸한다.
고정 브라켓들(510)은 제1 프레임(200)의 하단 코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고정 브라켓(510)과, 제1 프레임(200)의 상단 코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고정 브라켓(520)으로 나뉘어진다.
표시패널들(100)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임들(200, 300)에 결합된다. 고정 브라켓들(510, 520)은 표시패널들(100) 각각에서 제1 프레임(200)의 코너부들에 나사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은 고정 브라켓들(510, 52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은 고정 브라켓들(510, 520)에 결합되어 복수의 표시패널들(100)을 지지한다.
제1 고정 브라켓들(510)은 제2 프레임(300)의 은닉 케이블 패스를 형성하는 케이블 홈을 포함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은 제2 프레임(300)의 은닉 케이블 패스와 연결되어 케이블들(144)이 지나는 은닉 케이블 패스를 제공하는 중공(40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프레임(300)의 내부 공간, 제1 고정 브라켓(510)의 케이블 홈,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중공(402)을 따라 연결되는 은닉 케이블 패스트를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1 회로 보드들(140)에 연결된 케이블들(144)이 지나게 된다.
고정 브라켓들(510, 520)에는 은닉 케이블 패스를 따라 케이블들을 연결하고 케이블들을 구부리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케이블들을 노출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들(510, 520)은 고정 브라켓들(510, 520)의 개구부를 덮는 제2 관리용 커버들(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제1 고정 브라켓(510)의 구조를 자세히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2 고정 브라켓(520)의 구조를 자세히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고정 브라켓(510)은 소정 길이의 상부 및 하부 가로 연결부들(513, 514), 가로 연결부들(513, 514)의 양측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측벽들(511, 512), 및 가로 연결부들(513, 514) 사이에 마련된 케이블 홈(515)을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가로 연결부들(513, 514)는 서포트 트러스(400)의 직경 보다 큰 길이를 갖는다. 가로 연결부들(513, 514) 사이에 케이블들(144)이 지나는 케이블 홈(515)이 형성된다. 케이블들(144)은 제2 프레임(300)의 은닉 케이블 패스를 따라 연장된 케이블들(144)은 제1 고정 브라켓(510)에서 직각으로 구부러져 케이블 홈(515)을 따라 서포트 트러스(400) 쪽으로 연장된다.
제1 측벽(511)은 제1 프레임(200) 특히, 하부 코너 프레임(206)에 나사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고정 브라켓(510)을 제1 프레임(200)에 고정한다. 제2 측벽(512)은 제1 측벽(511)과 나란하게 이격된다. 제2 측벽(512)은 서포트 트러스(400)에 나사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포트 트러스(400)를 제1 고정 브라켓(510)에 고정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고정 브라켓(520)은 소정 길이의 가로 연결부(523, 524), 가로 연결부(523, 524)의 양끝단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양 측벽들(521, 522)을 포함한다.
가로 연결부(523, 524)는 단일 가로 연결부로 제작되거나, 제1 고정 브라켓(510)과 유사하게 케이블들(144)이 지나는 케이블 홈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상부 및 하부 가로 연결부들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측벽(521)은 제1 프레임(200) 특히, 상부 코너 프레임(206)에 나사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고정 브라켓(520)을 제1 프레임(200)에 고정한다. 제2 측벽(522)은 제1 측벽(521)과 나란하게 이격된다. 제2 측벽(522)은 서포트 트러스(400)에 나사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포트 트러스(400)를 제2 고정 브라켓(520)에 고정한다.
표시패널들(100)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들(200), 제1 프레임들(200)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들(510, 520), 및 고정 브라켓들(510, 520)에 결합된 서포트 트러스들(400)을 통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 대화면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 브라켓(510)의 가로 연결부들(513, 514)와 제2 고정 브라켓(520)의 가로 연결부(523, 524)가 맞대어진다. 제1 고정 브라켓(510)의 측벽들(511, 512)과, 제2 고정 브라켓(520)의 측벽들(521, 52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이웃한 표시패널들(100)이 이웃할 때 제1 프레임들과 서포트 트러스들(400) 사이에서 제1 및 제2 고정 브라켓들(510, 520)은 대칭으로 이웃한다.
도 21은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결합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2는 서포트 트러스들(400)과 플로어 플레이트(Floor plate)(440)의 결합을 보여 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23은 서포트 트러스들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에서 서포트 트러스들이 트러스 상단 연결부와 플로워 플레이트에 결합된 예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서포트 트러스들(400) 각각은 홈과 돌기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일측 끝단에 돌출부(410)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 돌출부(410)에 대응하는 결합 홈(420)이 형성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 제1 서포트 트러스(400)의 돌출부(410)와 제2 서포트 트러스(400)의 결합 홈(420)이 대향된 상태에서 그 서포트 트러스들(400)을 끼워 맞춤 구조로 밀으면 간단히 결합된다. 제1 및 제2 서포트 트러스들(4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410)와 결합 홈(420)에 형성된 나사 홀에 삽입되는 나사로 그 서포트 트러스들(400)이 체결될 수 있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연장 길이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표시패널들(100)의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표시패널들(100)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표시패널(100)을 사이에 두고 횡 방향(X)을 따라 배열되는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개수가 결정된다.
표시패널(100)을 사이에 두고 횡 방향에서 이격된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최상단은 트러스 상단 연결부(430)에 결합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최상단과 트러스 상단 연결부(430)는 홈과 돌기의 결합 구조와 나사를 이용하여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표시패널(100)을 사이에 두고 횡 방향에서 이격된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최하단은 지면에 놓여지는 플로워 플레이트(440)에 결합된다.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최하단과 플로워 플레이트(440)는 홈과 돌기의 결합 구조와 나사를 이용하여 탈 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로워 플레이트(440)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서포트 트러스들(400)과 트러스 상단 연결부(430)가 결합되어 복수의 표시패널들(100)을 대화면으로 구성하기 위한 뼈대 조립이 완성된다. 이어서, 표시패널(100)에 제1 및 제2 프레임들(200, 300)이 서포트 트러스들(400)에 결합된다. 이 때, 위쪽에 배치되는 표시패널(100)부터 제1 프레임(200)과 서포트 트러스(400)가 결합되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아래에 배치되는 표시패널(100)의 제1 프레임(200)이 서포트 트러스(4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방법으로 케이블들(144)이 제2 프레임(300)과 서포트 트러스들(400)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표시패널들(100)이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화면이 확장될 수 있다.
케이블들(144)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300)의 내부 공간, 제1 고정 브라켓(510)의 케이블 홈(515), 및 서포트 트러스들(400)의 중공(402)을 따라 형성된 은닉 케이블 패스를 따라 은닉 상태에서 길게 연장된다. 케이블들(144)은 제2 프레임(300)과 제1 고정 브라켓(510) 사이에서 제1 방향(Z)으로 구부러지고, 제1 고정 브라켓(510)과 서포트 트러스(400)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표시패널들(100) 각각에 연결된 케이블들(144)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300), 제1 고정 브라켓(510), 및 서포트 트러스(400)를 따라 형성된 은닉 케이블 패스를 따라 연장되어 표시패널들(100) 각각에 대응하는 콘트롤 박스들(132)에 연결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선 “I-I”에서 바라 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의 단면 구조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은 표시패널(100)의 상단을 덮는 제1-1 프레임(610), 표시패널(100)의 우측을 덮는 제1-2 서브 프레임(620), 및 표시패널(100)의 좌측을 덮는 제1-3 서브 프레임(630)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300)은 표시패널(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표시패널(100)의 하단에 고정된다. 제2 프레임(300)은 제1-2 및 제1-3 서브 프레임(620, 630)에 나사로 체결되어 표시패널(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적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명세서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명세서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패널 110: 데이터 구동부
120: 게이트 구동부 130: 타이밍 콘트롤러
132: 콘트롤 박스 140: 제1 회로 보드
142: 연성 회로 필름 144: 케이블
150: 제2 회로 보드 200, 610, 620, 630: 제1 프레임
202: 메인 프레임 204: 서브 프레임
206: 코너 프레임 220: 스탠드
300: 제2 프레임 302: 베이스 플레이트
304: 커버 플레이트 400: 서포트 트러스
402: 서포트 트러스의 중공 430: 트러스 상단 연결부
440: 플로워 플레이트 510: 제1 고정 브라켓
520: 제2 고정 브라켓

Claims (23)

  1. 픽셀들에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연결된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연성 회로 필름에 연결된 제1 회로 보드를 포함한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덮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제2 회로 보드; 및
    상기 제1 회로 보드를 상기 제2 회로 보드에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보드는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은닉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85°~95° 사이의 각도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로 보드와 상기 케이블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회로 보드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미들 커버;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들을 덮는 제2 미들 커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은닉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단을 덮는 제1-1 서브 프레임;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을 덮는 제1-2 서브 프레임; 및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을 덮는 제1-3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2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1-3 서브 프레임에 체결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표시패널의 전면과 측면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덮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직선 구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들;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코너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코너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회로 보드와 상기 케이블들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개구부를 포함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과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시패널들을 조합하고, 상기 케이블들이 지나는 내부 중공을 포함한 복수의 서포트 트러스; 및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을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 코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 코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브라켓들 각각은,
    소정 길이의 상부 가로 연결부;
    상기 케이블들이 지나는 케이블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가로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소정 길이의 하부 가로 연결부;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로 연결부들의 일측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코너부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 측벽;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로 연결부들의 타측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트러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측벽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들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 공간, 상기 제1 고정 브라켓의 케이블 홈, 및 상기 서포트 트러스의 중공을 따라 형성된 은닉 케이블 패스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서포트 트러스에 의해 은닉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서포트 트러스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브라켓들 각각은,
    소정 길이의 가로 연결부;
    상기 가로 연결부의 일측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코너부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 측벽; 및
    상기 가로 연결부의 타측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트러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측벽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픽셀들을 통해 외부의 실물이 보이는 투명 표시패널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5. 픽셀들에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패널들,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들, 및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 연결된 상기 연성 회로 필름들에 연결된 복수의 제1 회로 보드들을 포함한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의 가장자리와 코너부들을 덮는 복수의 제1 프레임들;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서 상기 제1 프레임들에 소정의 각도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프레임;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서 제1 프레임들에 결합된 복수의 고정 브라켓들; 및
    상기 고정 브라켓들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패널들을 고정하는 복수의 서포트 트러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은 표시패널들의 폭 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 결합되어 하나의 표시패널의 폭 방향 보다 두 배 이상 긴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회로 보드는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은닉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들의 폭 방향에서 길이가 연장된 서포트 트러스들은,
    상기 표시패널들의 길이 방향에서 하나의 표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이격된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의 최상단과 최하단이 결합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지면에 놓여져 상기 하나의 표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의 최하단과 결합되는 플로워 플레이트; 및
    상기 하나의 표시패널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의 최상단과 결합되는 트러스 상단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제2 회로 보드; 및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에서 상기 제1 회로 보드를 상기 제2 회로 보드에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들은 상기 제2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은닉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이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은닉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 각각은,
    상기 케이블들이 지나는 내부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들은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 공간과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의 중공과 연결되는 케이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들이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 공간, 상기 고정 브라켓의 케이블 홈, 및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의 케이블 홈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프레임, 상기 고정 브라켓들, 및 상기 서포트 트러스들에 의해 은닉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 코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 코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브라켓들 각각은,
    소정 길이의 상부 가로 연결부;
    상기 케이블들이 지나는 케이블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가로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소정 길이의 하부 가로 연결부;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로 연결부들의 일측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코너부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 측벽;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가로 연결부들의 타측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트러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측벽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들은,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고정 브라켓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서포트 트러스 사이에서 제2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들 각각이 상기 픽셀들을 통해 외부의 실물이 보이는 투명 표시패널인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KR1020210077961A 2021-04-27 2021-06-16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KR10250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7606 WO2022231060A1 (ko) 2021-04-27 2021-06-17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4295 2021-04-27
KR1020210054295 2021-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72A KR20220147472A (ko) 2022-11-03
KR102507108B1 true KR102507108B1 (ko) 2023-03-07

Family

ID=8404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961A KR102507108B1 (ko) 2021-04-27 2021-06-16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1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760B1 (ko) * 2015-10-30 2022-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34153A (ko) * 2016-05-27 201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72A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222B1 (ko) 표시장치 및 표시패널
CN108538907B (zh) 有机发光显示面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CN101488516B (zh) 有机发光显示器
CN110838265B (zh) 拼接显示装置
CN103000636A (zh) 显示面板、显示器和电子单元
JP2007232795A (ja) 有機el表示装置
US8593053B2 (en) Display device in which a sub-pixel has a plurality of aperture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JP2006224697A (ja) 移動体の表示モジュール
EP1677276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751458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having pixel capable of enhancing transparency
KR100984311B1 (ko)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WO2020248837A1 (zh)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00350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85999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표시 장치
JP2011128442A (ja) 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7665668B (zh) 显示装置
KR102507108B1 (ko) 표시장치용 지지 장치
KR102613421B1 (ko) 칩온필름 및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220011841A (ko) 표시장치
CN113498534A (zh)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20130027421A (ko) 화소 회로,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13097050A5 (ko)
EP4174837A1 (en) Display modu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23010692A (ja) ゲート駆動部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JP2013218922A (ja) バックライト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