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077B1 -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077B1
KR102507077B1 KR1020220011260A KR20220011260A KR102507077B1 KR 102507077 B1 KR102507077 B1 KR 102507077B1 KR 1020220011260 A KR1020220011260 A KR 1020220011260A KR 20220011260 A KR20220011260 A KR 20220011260A KR 102507077 B1 KR102507077 B1 KR 102507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factor
time
user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유리
Original Assignee
웨이즈플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즈플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웨이즈플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검색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사검색도가 증가할수록 키워드와 검색품목의 일치도가 감소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키워드 별로 검색품목과의 유사한 정도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전체 여행 일정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유동적으로 여행 일정을 변경하거나 품목을 추가할 수 있어 여행 일정의 검색 및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METHOD FOR SERCHING AND MANAGE TRAVEL PLAN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여행과 관련된 검색 입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각각의 키워드의 유사검색도를 조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사검색도의 조절로서 키워드와 검색품목 사이의 일치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여행 관련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의 일정을 계획하는 작업은 이동 수단, 숙박 장소, 다양한 액티비티 등의 검색 및 각각의 예약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여행 계획에 있어 각각의 예약 품목들을 검색하고 예약한 품목들을 관리하는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 키워드를 기초로 유사한 품목을 검색하고 있으나, 각각의 키워드 별로 검색되는 품목들과 키워드의 연관된 정도를 조절할 수는 없었다. 이에, 사용자는 입력하는 키워드를 지속적으로 변경시키며 검색을 진행해야 하는 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행 일정에 포함되는 이동 수단, 숙박 장소 등의 검색 및 예약을 하나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나, 여행 중 접할 수 있는 공연, 관람, 체험, 스포츠/레저 등의 다양한 즐길거리까지 함께 검색 및 예약을 진행할 수 있는 서비스는 존재하지 못하였고, 이에, 사용자들은 각각의 품목에 대한 검색 및 예약을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사용자의 검색 입력으로부터 추출한 키워드들 각각과 검색되는 품목 사이의 유사한 정도를 개별적인 키워드 별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보다 적합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전체 여행 일정을 하나의 타임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고, 타임라인을 유동적으로 변경하거나 새로운 즐길거리가 추천되어 타임라인에 추가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여행 관련 품목의 검색 및 관리가이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융합될 수 있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장치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검색 입력으로부터 추출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하여 검색품목과의 유사한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여행 품목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며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여행 관련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여행의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타임플랜을 제공하고, 타임플랜의 시간 및 위치에 기초하여 다양한 즐길거리를 추천품목으로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검색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사검색도가 증가할수록 키워드와 검색품목의 일치도가 감소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키워드 별로 검색품목과의 유사한 정도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전체 여행 일정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유동적으로 여행 일정을 변경하거나 품목을 추가할 수 있어 여행 일정의 검색 및 관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검색 키워드별로 유사검색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검색품목을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여행 일정을 전체 타임플랜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추천 품목을 제공받고 원하는 품목을 추가하여 유동적으로 변경된 타임플랜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1000)은 여행 일정의 검색을 위하여 검색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검색 입력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며, 각각의 키워드에 대한 유사검색도 조절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며, 이에, 사용자에게 검색품목에 대한 선택을 제공하여 선택된 품목을 대여(예약)품목으로서 여행 일정에 추가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전체 여행 일정을 검색 및 생성하고 여행 일정이 포함하는 각각의 대여품목을 생성 및 관리하는 여행 일정에 대한 검색 및 관리 서비스는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1000)은 메인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품목 제공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1000)의 메인 서버(100)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 및 품목 제공자 단말(300)과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여행 일정의 예약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메인 서버(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 및 품목 제공자 단말(300)과 서로 통신하여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메인 서버(100)와 연결된 외부 시스템 또는 외부 장치와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신호 및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키워드에 대한 유사검색도 조절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여행 일정의 시작시점, 종료시점, 출발지, 목적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여행의 타임플랜을 생성할 수 있으며, 타임플랜의 각 시점별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점별 예상 위치를 이용하여 인접한 예약 가능한 품목을 추천품목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추천품목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품목을 사용자가 대여한 품목을 의미하는 대여품목으로 생성하여 기존의 타임플랜에 추가시킴으로써 수정 타임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수행하는 다양한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은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메인 서버(100)의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200) 및 품목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타임플랜, 수정 타임플랜, 타임플랜이 포함하는 대여품목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구성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RT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RT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RT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서버(100)가 저장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메인 서버(100)는 저장부(130) 전체 또는 저장부(130)의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1000)은 메인 서버(100)와 이격된 외부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 베이스는 본 실시예에서의 저장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메인 서버(10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인 서버(100)의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저장부(130)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1000)의 사용자 단말(200)은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대여를 원하는 품목을 검색하고, 검색된 품목 중 대여를 원하는 품목을 결정하여 대여품목이 포함된 여행 일정을 생성하고, 여행의 타임플랜 원하는 추가적인 품목을 예약하여 대여품목으로서 타임플랜에 추가하는 등 다양한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이러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 데스크톱,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메인 서버(100)가 제공하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시작시점, 종료시점, 출발지, 목적지, 대여를 원하는 품목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여행의 타임플랜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타임플랜과 함께 제공되는 추천 품목 중 원하는 품목을 선택하여 원하는 품목이 대여품목으로 추가된 수정 타임플랜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1000)의 품목 제공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자신의 전체 여행 타임플랜에 추가(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대여 가능한 품목들을 제공하는 품목 제공자가 이용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대여 가능한 품목은 이동수단(자동차, 캠핑용 자동차(이하 '캠핑카') 등), 장소(호텔, 숙소, 캠핑장 등), 물품(캠핑에 이용되는 캠핑물품 등), 및 예술문화품목(공연, 관람, 스포츠/레저 액티비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의 품목은 위의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여행 일정을 위하여 사용자가 메인 서버(100)에 의하여 예약(대여)할 수 있는 모든 품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품목 제공자 단말(300)은 이러한 품목 제공자가 이용하는 휴대용 단말, 데스크톱,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품목 제공자 단말(300)은 품목 제공자가 이용하는 단말이 아닌 외부 서버일 수 있다. 외부 서버인 경우, 외부 서버는 다양한 품목 제공자 단말(300)들과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메인 서버(100)는 외부 서버를 통하여 품목 제공자 단말(300)들과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1000)의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장치인 메인 서버(100)가 수행하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메인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검색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검색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S110). 메인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복수의 단어, 하나의 문장 또는 단락으로 작성된 검색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단어, 하나의 문장 또는 단락으로 구성된 검색 입력에서 여행 일정과 관련된 키워드(시작시점, 종료시점, 출발지, 목적지, 종료지, 대여일, 반납일, 대여장소, 대여품목, 인원, 여행 참여자들의 관계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메인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120). 이어서,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검색품목을 제공할 수 있다(S130).
유사검색도란 추출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품목을 검색함에 있어 키워드와 동일하지 않으나 유사한 다른 키워드를 포함하여 검색을 진행할지 여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다른 키워드 사이의 유사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유사검색도는 0 내지 100 사이의 특정한 값일 수 있으며, 유사검색도의 최저값과 최고값은 메인 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유사검색도가 0일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그대로 검색을 진행하며 입력한 키워드와 동일하지 않은 모든 키워드는 배제한 검색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인원 키워드가 '4인'으로 인식되었고, 인원 키워드의 유사검색도가 0인 경우, 여행 일정에 참여하는 인원은 '4인'으로 고정되어 4인 이외의 다른 인원수(예를 들면, 3인, 5인 등)는 검색에서 배제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사검색도가 증가할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키워드와 검색품목의 일치도는 감소할 수 있다. 유사검색도가 0보다 큰 상태에서 100을 향하여 증가할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키워드와 유사한 다른 키워드를 포함하여 검색이 진행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다른 키워드 사이의 유사한 정도는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검색된 품목은 입력된 키워드와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키워드와 검색된 품목 사이의 일치도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목적지 키워드로 '춘천'을 입력할 수 있고, 목적지 키워드의 유사검색도를 0이 아닌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목적지로서 가능한 품목을 검색할 경우 '춘천'이 아닌 목적지로서 '춘천'과 인접한 다른 목적지도 검색 키워드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유사검색도가 증가할 경우, 검색 키워드로 포함시지는 다른 목적지 키워드와 '춘천'과의 지리적 일치도(인접도)는 감소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120)가 복수의 단어, 하나의 문장 또는 단락으로 작성된 검색 입력에서 키워드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키워드별로 직접 입력을 수행하거나 입력하는 키워드의 순서를 지키지 않고 자유롭게 원하는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가 유사검색도를 키워드별로 상이하게 입력받아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검색되는 품목들과 입력한 키워드 사이의 일치도를 유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어, 보다 세부적인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대여품목이 이미 존재할 경우, 대여품목과 연관된 품목, 대여품목이 포함하지 않는 세부품목, 대여품목이 포함하는 세부품목 중 상태평가 등급이 기준 등급 이하인 세부품목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여행 일정에 대응되는 타임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이 포함하는 대여품목을 기초로 대여품목과 연관된 다른 품목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임플랜에는 이미 캠핑카라는 이동수단이 대여품목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캠핑카 품목과 연관된 다른품목인 캠핑장과 같은 품목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에 포함된 대여품목의 세부품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품목에 포함되지 않은 품목, 즉, 대여품목이 포함하지 않는 세부품목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임플랜은 캠핑카라는 대여품목을 이미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대여한 캠핑카가 포함하는 세부품목으로서 다양한 캠핑용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캠핑카가 포함할 수 있는 세부품목들 중 타임플랜에 대여한 품목으로 표시되는 해당 캠핑카가 포함하지 않는 세부품목(예를 들면, 캠핑의자)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추천품목으로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이 포함하는 대여품목의 세부품목에 대한 정보 중, 세부품목 각각의 평가등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세부품목 각각의 평가등급이 기 설정된 등급 이하인 경우(즉, 평가등급이 낮아 사용자가 사용하기 부적합할 확률이 높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세부품목을 대여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여행의 시작시점, 종료시점, 출발지, 목적지, 종료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210). 이어서,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의 타임플랜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20).
구체적으로, 메인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여행의 타임플랜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행의 시작시점은 타임플랜의 시작시점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자택 등에서 여행을 시작하는 시점, 또는 캠핑카 등의 품목을 대여하기 시작하는 시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행의 종료시점은 타임플랜의 종료시점으로서 사용자가 여행을 모두 종료하여 사용자의 자택 등에 도착하는 시점, 또는 캠핑카 등의 여행 일정 동안 사용하는 품목의 대여를 종료하는 반납 시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행의 출발지는 사용자가 여행 일정을 시작하는 자택 등의 장소, 또는 여행을 위하여 대여하는 캠핑카, 자동차 등의 이동수단의 대여를 시작하는 장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행의 목적지는 전체 여행 일정 중 사용자가 특정 시간(예를 들면, 1시간으로서 메인 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이상 머무는 장소로서, 여행 일정 중 사용자가 투숙하는 호텔, 캠핑장, 사용자가 예약한 공연, 관람, 스포츠/레저 액티비티 등의 예술문화품목이 수행되는 장소, 사용자가 예약한 품목(대여품목)은 아니지만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시간 이상 머무는 장소로 선택된 장소(예를 들면, 여행을 함께하는 다른 사용자와 합류하는 장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행의 종료지는 사용자가 여행 일정을 종료하는 장소로서, 사용자가 여행 일정을 종료하는 자택 등의 장소, 또는 여행의 위하여 대여한 이동수단의 대여를 종료하는 반납지 등의 장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행의 종료지는 기본적으로 여행의 출발지와 동일할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하여 여행의 출발지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출발지, 목적지, 종료지에 대한 수신과 함께 각각의 장소에 도착할 시간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출발지, 목적지, 종료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신과 함께, 출발지, 목적지, 종료지 중 적어도 하나 각각에 도달해야만 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출발지, 목적지, 종료지 중 앞서 설명한 도달해야만 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하지 않은 장소에 대하여, 각각의 장소에 대한 예상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출발지에 대한 예상 시점을 여행의 시작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고, 종료지에 대한 예상 시점을 여행의 종료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여행의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도달해야만 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도달해야만 하는 시점을 수신한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목적지들의 순서에 기초하여 각각의 목적지들에 대한 예상 시점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목적지에 대한 순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하나 이상의 목적지를 특정 순서에 따라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목적지의 수신 순서에 따라(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에 하나 이상의 목적지를 입력한 상기 특저 순서에 따라) 목적지들을 정렬할 수 있다. 정렬된 목적지들은 전체 여행 일정 중 출발지와 종료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정렬된 목적지들의 순서 변경 입력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순서에 따라 정렬된 하나 이상의 목적지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목적지의 순서를 변경시키는 명령을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목적지의 순서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서버(100)는 출발지, 정렬된 하나 이상의 목적지, 종료지 각각의 장소들을 순서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서 인접한 장소들 간의 예상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렬된 장소들은 출발지(예를 들면, 사용자의 자택), 출발지의 다음 순서로 제1 목적지(예를 들면, 캠핑카의 대여 장소), 및 제1 목적지의 다음 장소로 제2 목적지(예를 들면, 캠핑장)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출발지와 제1 목적지 사이의 이동 시간, 제1 목적지와 제2 목적지 사이의 이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인 서버(100)는 출발지, 하나 이상의 정렬된 목적지, 종료지 각각 사이의 이동 시간을 모두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서버(100)는 출발지, 정렬된 하나 이상의 목적지, 및 종료지 각각의 장소들에서의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출발지 및 종료지에서의 소요 시간은 0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메인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목적지는 목적지의 종류 및 대여품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에서의 소요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적지의 종류가 예술문화품목인 경우(즉, 사용자가 예술문화품목을 대여품목으로 예약하였고, 예약한 예술문화품목이 수행되는 장소가 해당 목적지인 경우), 해당 예술문화품목에 대한 정보는 예술문화품목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해당 목적지에서의 소요 시간을 해당 예술문화품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예술문화품목의 소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목적지의 종류가 호텔, 숙소, 캠핑장 등의 숙박 장소인 경우(즉, 사용자가 해당 숙박 장소를 대여 품목으로 예약하였고, 예약한 숙박 장소가 목적지인 경우), 숙박 장소에 대한 정보는 숙박 장소를 대여한 총 일수(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해당 목적지에서의 소요 시간을 해당 숙박 장소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는 숙박 장소의 대여 일수(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모든 정보, 즉, 출발지, 하나 이상의 목저지, 종료지에 대한 정보, 각각의 장소들 사이의 이동 시간에 대한 정보, 각각의 장소에서의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여행 일정, 즉, 여행의 타임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행의 타임플랜은 여행의 시작시점과 종료시점 각각을 시작과 끝으로 하는 여행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타임플랜은 전체 시간범위(시작시점에서 종료시점까지)에서 출발지, 종료지, 하나 이상의 목적지 각각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시점(시간 범위)이 표시된 시각적인 도표 등일 수 있다. 타임플랜에는 각각의 장소(출발지, 종료지, 하나 이상의 목적지)가 순서대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고, 각각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머무는 시간(소요 시간)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임플랜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단계(S210)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초기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출발지, 하나 이상의 목적지, 종료지를 입력함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타임플랜을 시각적으로 제공받으로 타임플랜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목적지들의 순서를 드래그 등의 간편한 사용자 툴(tool)을 이용하여 변경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여행의 타임플랜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목적지 각각에서의 소요 시간, 목적지 사이의 이동시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예술문화품목 등의 수행 시점(예술문화품목을 수행하는 목적지에서의 시점과 종점)을 타임플랜 상에서 변경시키는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메인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시작시점, 종료시점, 출발지, 목적지, 종료지, 대여품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플랜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타임플랜에 목적지를 추가하거나, 목적지(대여품목)의 시점(시작시점부너 종료시점)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의 여행 일정을 타임플랜을 통하여 용이하게 확인 및 변경할 수 있어 여행 일정을 효과적으로 예약 및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목적지 들 중 일부는 서로 중첩되어 타임 플랜 상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목적지 중 목적지의 종류가 숙박 장소인 목적지는 목적지의 종류가 예술문화품목인 목적지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여행 일정 중 특정 숙박 장소에 머무는 시간동안 특정 예술문화품목(공연, 관람, 스포츠/레저 액티비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숙박 장소에서 머무는 시간(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사이에 특정 예술문화품목의 수행시간(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이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임플랜 상에서 숙박 장소에 해당하는 목적지는 예술문화품목에 해당하는 목적지와 중첩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숙박 장소와 예술문화품목 각각에 대응되는 목적지의 순서는 예술문화품목에 대응되는 목적지의 앞 순서와 뒤 순서 각각에 숙박 장소에 대응되는 목적지가 배치되는 순서로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술문화품목에 대응되는 목적지, 품목을 대여하는 장소에 대응되는 목적지 등은 서로 중첩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예술문화품목이 목적지의 종류로 설정되어 있는 목적지들은 서로 중첩되지 못할 수 있으며, 대여하는 장소가 목적지의 종류로 설정되어 있는 목적지들 또한 서로 중첩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예술문화품목, 대여하는 장소가 목적지의 종류로 설정되어 있는 목적지들 또한 서로 중첩되지 못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120)는 목적지의 종류에 기초하여 목적이의 중첩 가능 여부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보다 사용자의 실제 여행 일정에 대응되는 타임플랜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을 이용하여 타임플랜의 각 시점별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산출한다(S230).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앞서 수행한 단계들을 통하여 사용자의 전체 여행 일정에서 출발지, 목적지들, 종료지 각각의 시작시점 및 종료시점, 각각의 장소들의 이동시간 등이 표시된 타임플랜을 생성하였다. 타임플랜은 전체 여행 일정에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š,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에서 이동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시간이란, 각각의 장소(출발지, 목적지, 종료지 등) 사이를 이동하는 시간으로서, 타임플랜의 모든 시간 구간에서 각각의 장소에서의 소요시간(장소에서 머무는 시작시점에서 종료시점까지의 시간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시간 구간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는 이동중인바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의 시간 구간들 중 이동시간 구간의 시작시점을 이동시간 구간의 시작시점에 대응되는 목적지(예를 들면, 제3 목적지로서 이동시간 구간의 직전에 배치된 목적지)에 대응시킬 수 있고, 이동시간 구간의 종료시점을 이동시간 구간의 종료시점에 대응되는 목적지(예를 들면, 제4 목적지로서 이동시간 구간의 직후에 배치된 목적지)에 대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동시간 구간의 전체 시간을 미리 설정된 단위시간(예를 들면 10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이동시간 구간 각각을 제3 목적지와 제4 목적지 사이의 지점들 각각에 대응시킴으로써 이동시간 구간에 대한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메인 서버(100)는 타임플랜 전체 시간 구간의 각 시점별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모두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의 각 시점, 및 예상 위치를 이용하여, 각 시점별 예상 위치와 인접한 추천품목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40). 이어서,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추천품목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품목이 추가된 수정 타임플랜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50).
구체적으로, 메인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의 각각의 시점에 대한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산출할 수 있고, 각각의 시점 및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대여 가능한 품목들을 추천 품목으로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의 전에 시간 구간 중 에술문화품목에 대응되는 목적지(시간 구간), 대여품목의 대여지에 대응되는 목적지(시간 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으로서, 예를 들면, 목적지와 목적지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시간 구간, 숙박 장소에 대응되는 시간구간, 숙박 장소에 대응되는 시간 구간 중 예술문화품목에 대응되는 목적지(시간 구간)을 제외한 시간 구간을 한정하여 추천품목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예술문화품목이 대여품목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에술문화품목을 수행하는 시간구간은 제외할 수 있으며, 대여품목(예를 들면, 캠핑카, 자동차 등의 이동 수단)을 대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구간(대여지에 대응되는 목적지에 머무는 구간)도 제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체 타임플랜의 시간 구간 중 목적지 사이를 이동하는 시간 구간에 대하여 각각의 시점별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기초로 해당 위치에 인접한(관리자가 기 설정한 이격거리만큼 이격된) 예술문화품목을 추천품목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체 타임플랜의 시간 구간 중 숙박 장소(호텔, 캠핑장 등)인 목적지에 머무는 시간 구간 중 다른 예술문화품목을 수행하는 시간 구간을 제외한 범위의 구간에 대하여 각각의 시점별 사용자의 예상 위치(이 경우에는 숙박 장소)에 인접한 예술문화품목을 추천품목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추천품목으로서 생성할 예술문화품목의 소요 시간의 시간 구간이 타임플랜이 이미 포함하는 다른 예술문화품목의 소요 시간의 시간 구간과 중첩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추천품목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추천품목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체 여행 일정 동안 추가할 수 있는 다른 예술문화품목(공연, 관람, 체험, 스포츠/레저 액티비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존의 타임플랜에 해당 품목을 추가하여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추가품목에 대한 예약을 사용자 대신 진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추가품목의 예약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품목 제공자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고, 품목 제공자 단말(300)과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추가품목의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예약이 완료된 경우, 추가품목을 대여품목으로서 사용자의 타임플랜에 추가하여 수정 타임플랜을 생성할 숭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메인 서버(100)가 사용자로부터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S110),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20), 및 유사검색도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130)는 단계(S220) 이후, 단계(S23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 서버(100)는 단계(S220)에서 타임플랜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검색 입력, 유사검색도 조절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품목을 검색품목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검색 입력의 수신, 키워드 추출, 유사검색도 조절 입력 수신, 및 검색품목의 생성/제공 단계는 단계(S210) 이전에 수행되거나 수정 타임플랜을 제공하는 단계(S250)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S210)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계(S210)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품목, 즉, 검색품목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품목들은 사용자의 대여품목으로 결정될 수 있고, 단계(S220) 생성되는 타임플랜에는 해당 대여품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계(S250)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수정 타임플랜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검색 입력, 유사검색도 조절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수정 타임플랜에 더 추가하길 원하는 품목을 검색품목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40)에서의 추천품목은 하나 이상의 팩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평가점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팩터는 종류 팩터, 활동성 팩터, 거리 팩터, 체험도 팩터, 총시간 팩터, 시간대 팩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가점수는 아래의 '수식 1'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식 1>
평가점수 = A*X1 + B*X2 + C*X3 + D*X4 + E*X5 + F*X6
구체적으로, '수식 1'에 의한 추천품목의 평가점수는 종류 팩터(A*X1), 활동성 팩터(B*X2), 거리 팩터(C*X3), 체험도 팩터(D*X4), 총시간 팩터(E*X5), 시간대 팩터(F*X6)의 합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평가점수는 '수식 1'의 모든 팩터들 중 적어도 하나만을 포함하는 변형된 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아래의 '수식 1'에 대한 설명은 변형된 수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수식 1'에 대한 설명은 변형된 수식이 포함하는 팩터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팩터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종류 팩터(A*X1)는 추천품목의 종류에 따라 값이 결정되는 'X1' 및 X1의 가중치에 대응되는 'A'의 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천품목의 종류는 공연, 관람, 체험, 스포츠/레저 액티비티(산악, 수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종류별로 상이한 값 'X1'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별 'X1'의 값은 메인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가중치 A가 증가할 경우 종류 팩터(A*X1)가 평가점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활동성 팩터(B*X2)는 추천품목의 종류에 따라 값이 결정되는 'X2' 및 X2의 가중치에 대응되는 'B'의 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추천품목의 종류는 공연, 관람, 체험, 스포츠/레저 액티비티(산악, 수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종류별로 활동성(즉, 사용자의 신체를 사용하는 정도)에 대한 상이한 값 'X2'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성 별 'X2'의 값은 메인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가중치 B가 증가할 경우 활동성 팩터(B*X2)가 평가점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 팩터(C*X3)는 추천품목의 수행지와 사용자의 위치(예상 위치)의 이격 거리에 따라 값이 결정되는 'X3' 및 X3의 가중치에 대응되는 'C'의 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의 모든 시점(시간 구간)에서의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추천품목의 수행지와 타임플랜에 추천품목을 추가시킬 예상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예상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도록 'X3'를 설정할 수 있다. 가중치 C가 증가할 경우 거리 팩터(C*X3)가 평가점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체험도 팩터(D*X4)는 추천품목의 종류에 따라 값이 결정되는 'X4' 및 X4의 가중치에 대응되는 'D'의 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추천품목의 종류는 공연, 관람, 체험, 스포츠/레저 액티비티(산악, 수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종류별로 체험도(즉, 추천품목의 수행시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는 정도)에 대한 상이한 값 'X4'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체험도 별 'X4'의 값은 메인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가중치 D가 증가할 경우 체험도 팩터(D*X4)가 평가점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총시간 팩터(E*X5)는 추천품목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총시간의 길이에 따라 값이 결정되는 'X5' 및 X5의 가중치에 대응되는 'E'의 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추천품목 각각에 대한 소요시간 정보를 저장부(130) 또는 품목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추천품목 별로 총시간에 대한 상이한 값 'X5'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소요 시간 별 'X5'의 값은 메인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X5'는 총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추천품목이 추가될 타임플랜 상의 시간 구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추천품목의 소요시간과 추천품목이 추가될 타임플랜 상의 시간 구간의 길이 사이의 차이가 감소할수록(보다 구체적으로, 추천품목이 추가될 타임플랜 상의 시간 구간의 길이에서 추천품목의 소요시간을 감한 시간이 감소할수록) 'X5'의 값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가중치 E가 증가할 경우 총시간 팩터(E*X5)가 평가점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 팩터(F*X6)는 추천품목을 수행할 시간대(오전, 낮, 저녁, 밤)에 따라 값이 결정되는 'X6' 및 X6의 가중치에 대응되는 'F'의 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추천품목 각각의 수행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30) 또는 품목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추천품목의 수행 시간대에 따라 상이한 값 'X6'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행 시간대 별 'X6'의 값은 메인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이 이미 포함하는 대여품목 중 예술문화품목의 시간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를 산출할 수 있고, 선호 시간대에 기초하여 'X6'값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타임플랜이 이미 포함하는 에술문화품목의 시간대가 어떤 시간대(오전, 낮, 저녁, 밤)인지 개수를 셀 수 있고, 예술문화품목을 시간대별로 카운팅한 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가 더 선호하는 시간대라고 판단하여 더 높은 'X6'값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중치 F가 증가할 경우 시간대 팩터(F*X6)가 평가점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식 1'이 포함하는 각각의 팩터들의 가중치는 필요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단계(S240)에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타임플랜의 특정 시간대에 대한 선택, 추천품목의 종류에 대한 선택, 추천품목의 활동성에 대한 선택, 추천품목의 체험도에 대한 선택, 예상 위치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대한 선택, 예상 위치 중 특정 위치에 대한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평가점수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팩터의 가중치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선택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타임플랜의 특정 시간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타임플랜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예술문화품목을 추가하고 싶은 특정 시간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추가할 예술문화품목을 수행하는 시간에 대한 팩터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총시간 팩터(E*X5) 및 시간대 팩터(F*X6)의 가중치를 다른 팩터들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추천품목의 종류, 활동성, 체험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추천품목의 종류(공연, 관람, 체험, 스포츠/레저 액티비티(산악, 수상)) 중 특정한 종류를 선택하거나, 추천품목의 활동성의 정도, 체험도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추가할 예술문화품목의 종류, 해당 종류의 활동성, 해당 종류의 체험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종류 팩터(A*X1), 활동성 팩터(B*X2) 및 체험도 팩터(D*X4)의 가중치를 다른 팩터들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자신의 위치와 추천품목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대한 선택, 타임 플랜 상의 다양한 위치(사용자의 시점별 예상 위치) 중 특정한 위치에 대한 선택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과 품목 사이의 이격 거리를 5KM로 선택하거나, 타임 플랜 상의 각각의 시점 별 예상 위치 중 특정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추가할 추천품목이 사용자의 위치에서 선택된 거리(예를 들면, 5KM)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지 않고 가까운 곳에 위치하길 원하며, 사용자가 이격 거리를 중요한 팩터로 인식하고 있다고 판단하거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추천 품목을 추가하길 원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추천품목의 수행 위치가 중요하기에 추천품목의 총 소요시간, 수행되는 시간대도 사용자가 중요하게 고려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20)는 거리 팩터(C*X3), 총시간 팩터(E*X5) 및 시간대 팩터(F*X6)의 가중치를 다른 팩터들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이 서로 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하나 이상 서로 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 중 적어도 일부만이 새로운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은 (a) 사용자로부터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검색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c)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사검색도가 증가할수록 키워드와 검색품목의 일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대여품목이 존재할 경우, 대여품목과 연관된 품목, 대여품목이 포함하지 않는 세부품목, 대여품목이 포함하는 세부품목 중 상태평가 등급이 기준 등급 이하인 세부품목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c) 단계 후에, 사용자의 여행의 시작시점, 종료시점, 출발지,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정보를 이용하여 여행의 타임플랜(Time Plan)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타임플랜을 이용하여 타임플랜의 각 시점별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타임플랜의 각 시점, 및 예상 위치를 이용하여, 각 시점별 예상 위치와 인접한 추천품목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추천품목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품목이 추가된 수정 타임플랜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추천품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추천품목은 하나 이상의 팩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평가점수에 의하여 생성되고, 하나 이상의 팩터는 종류 팩터, 활동성 팩터, 거리 팩터, 체험도 팩터, 총시간 팩터, 시간대 팩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 품목 제공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사용자 정보, 품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검색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통신부가 수신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유사검색도가 증가할수록 키워드와 검색품목의 일치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시스템
100: 메인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저장부
200: 사용자 단말
300: 품목 제공자 단말

Claims (6)

  1. (a) 메인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d-1)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여품목이 존재할 경우,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하는 세부품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2)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할 수 있는 세부품목 중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하는 세부품목을 제외한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하지 않는 세부품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
    (d-3)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하는 세부품목 각각의 평가등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d-4)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평가등급이 기 설정된 등급 이하인 세부품목에 대한 대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 및
    (e) 상기 메인 서버가 평가점수에 의하여 생성된 추천품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검색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키워드와 상기 검색품목의 일치도가 감소하고,
    상기 평가점수는, 상기 추천품목의 종류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종류 팩터, 상기 추천품목의 활동성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활동성 팩터, 상기 추천품목의 수행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거리 팩터, 상기 추천품목의 체험도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체험도 팩터, 상기 추천품목의 소요시간과 여행의 타임플랜(Time Plan) 상의 시간 구간의 길이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총시간 팩터,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시간대 팩터의 합으로 산출되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임플랜의 특정 시간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평가점수의 상기 총시간 팩터의 가중치 및 상기 시간대 팩터의 가중치를 상기 종류 팩터, 상기 활동성 팩터, 상기 거리 팩터, 및 상기 체험도 팩터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추천품목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상기 타임플랜 상의 특정한 위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평가점수의 상기 거리 팩터의 가중치, 상기 총시간 팩터의 가중치, 상기 시간대 팩터의 가중치를 상기 종류 팩터, 상기 활동성 팩터, 및 상기 체험도 팩터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품목의 활동성에 대한 선택 및 체험도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평가점수 중 상기 종류 팩터, 상기 활동성 팩터 및 상기 체험도 팩터의 가중치를 상기 거리 팩터, 상기 총시간 팩터 및 상기 시간대 팩터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대여품목과 연관된 품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여행의 시작시점, 종료시점, 출발지, 목적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여행의 타임플랜(Time Plan)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타임플랜을 이용하여 상기 타임플랜의 각 시점별 상기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타임플랜의 각 시점, 및 상기 예상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시점별 상기 예상 위치와 인접한 추천품목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상기 추천품목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품목이 추가된 수정 타임플랜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5. 삭제
  6. 사용자 단말, 품목 제공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사용자 정보, 품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상기 검색 입력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하나 이상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유사검색도의 조절 입력에 기초하여 검색품목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검색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키워드와 상기 검색품목의 일치도가 감소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대여품목이 존재할 경우,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하는 세부품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할 수 있는 세부품목 중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하는 세부품목을 제외한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하지 않는 세부품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고, 상기 대여품목이 포함하는 세부품목 각각의 평가등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평가등급이 기 설정된 등급 이하인 세부품목에 대한 대여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평가점수에 의하여 생성된 추천품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평가점수는, 상기 추천품목의 종류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종류 팩터, 상기 추천품목의 활동성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활동성 팩터, 상기 추천품목의 수행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의 이격 거리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거리 팩터, 상기 추천품목의 체험도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체험도 팩터, 상기 추천품목의 소요시간과 여행의 타임플랜 상의 시간 구간의 길이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총시간 팩터, 및 상기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시간대 팩터의 합으로 산출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임플랜의 특정 시간대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평가점수의 상기 총시간 팩터의 가중치 및 상기 시간대 팩터의 가중치를 상기 종류 팩터, 상기 활동성 팩터, 상기 거리 팩터, 및 상기 체험도 팩터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키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추천품목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상기 타임플랜 상의 특정한 위치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평가점수의 상기 거리 팩터의 가중치, 상기 총시간 팩터의 가중치, 상기 시간대 팩터의 가중치를 상기 종류 팩터, 상기 활동성 팩터, 및 상기 체험도 팩터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키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천품목의 활동성에 대한 선택 및 체험도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평가점수 중 상기 종류 팩터, 상기 활동성 팩터 및 상기 체험도 팩터의 가중치를 상기 거리 팩터, 상기 총시간 팩터 및 상기 시간대 팩터의 가중치보다 증가시키는,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장치.
KR1020220011260A 2022-01-26 2022-01-26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50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260A KR102507077B1 (ko) 2022-01-26 2022-01-26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260A KR102507077B1 (ko) 2022-01-26 2022-01-26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077B1 true KR102507077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260A KR102507077B1 (ko) 2022-01-26 2022-01-26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0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057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연어 기반 여행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90080277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알플레이 유저의 여행 상태 조건을 고려한 여행 스케줄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08478B1 (ko) * 2018-01-29 2019-08-07 (주)저니앤조이트래블 여행경로 및 여행상품을 포함하는 여행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00125412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여행 속성 언어 개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99275A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로이쿠 사용자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행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057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연어 기반 여행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90080277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알플레이 유저의 여행 상태 조건을 고려한 여행 스케줄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08478B1 (ko) * 2018-01-29 2019-08-07 (주)저니앤조이트래블 여행경로 및 여행상품을 포함하는 여행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00125412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여행 속성 언어 개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99275A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로이쿠 사용자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행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6990B1 (en) Parking resource management
US5924075A (en) Itinerary preparing system
US8996304B2 (en) Customized travel route system
EP2836792B1 (en) Parking based route navigation
US8082186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generating a custom itinerary according to user specifications
KR100234598B1 (ko) 여행 계획 작성 시스템
US20130036139A1 (en) Travel Planning Decision Tool
US20160109252A1 (en) Locating place of lodging along a route
US9992630B2 (en) Predicting companion data types associated with a traveler at a geographic region including lodging
WO2020062926A1 (zh) 景点推荐方法、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502060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best fit travel service recommendation
AU2006237319B2 (en) Fare and yield driven travel services optimizer for a budget based request system
JP6728029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および提供プログラム
Modsching et al. Effectiveness of mobile recommender systems for tourist destinations: A user evaluation
JP2014119990A (ja) 訪問先提案装置及び訪問先提案方法
Walek et al. Proposal of expert system for hotel booking system
KR102507077B1 (ko) 여행 일정 검색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14429410A (zh) 个性化旅游行程定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370988B1 (ko) 사용자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행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69110B1 (ko) 여행 일정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2907394A (zh) 基于旅游场景的行程推荐方法及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05235144A (ja) 有名店舗・スポット等を推薦・案内す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50117209A (ko) 여행 계획 시스템
KR20240057033A (ko) 오프라인 거점 기반 여행 정보 생성 방법,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Nomiyama et al. Xnavi: Travel planning system based on experience fl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