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044B1 - 경륜 선수용 클릿 - Google Patents

경륜 선수용 클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044B1
KR102507044B1 KR1020210079894A KR20210079894A KR102507044B1 KR 102507044 B1 KR102507044 B1 KR 102507044B1 KR 1020210079894 A KR1020210079894 A KR 1020210079894A KR 20210079894 A KR20210079894 A KR 20210079894A KR 102507044 B1 KR102507044 B1 KR 102507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t
cleats
holes
adjustment holes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614A (ko
Inventor
김학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등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등자
Priority to KR102021007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044B1/ko
Priority to JP2021117845A priority patent/JP2023001832A/ja
Publication of KR2022016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62M3/086Attachments between shoe and pedal other than toe clips, e.g. clea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4Shoes for cyc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 수동 주행차의 페달을 답입하는 신발에 부착되는 클릿을,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으로 나누고, 상부클릿에 복수의 상부조절구멍을 형성하고, 하부클릿에 복수의 하부조절구멍을 형성하고, 상부조절구멍중의 어느 하나와 하부조절구멍 중의 어느 하나가 각각 대향하도록 일대일로 위치시켜 체결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이 조립된, 클릿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륜 선수용 클릿 {Cleat for cycle racer}
본 발명은 경륜 선수용 클릿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이클이나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클릿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경륜 선수용 클릿에 관한 것이다.
이륜 수동 주행차에 속하는 자전거나 사이클의 페달에 신발이 일체로 부착되는 경우 신발의 하면에는 클릿(cleat)이 장착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릿(1')의 아래로 페달 구조체(A)가 결합되며, 구조체(A)의 측면에서 연장된 페달 축이 자전거의 아암이나 로드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자전거의 주행 중 클릿(1')과 페달 구조체(A)는 상대적 이동이 불가능하며, 페달축의 위치도 변경될 수 없다.
그런데, 이륜 수동 주행차로 평지를 주행할 때는 도 8(a)에 도시한 노란 실선의 위치에 페달 축이 위치하는 것이 속도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주행 중에 급가속과 같이 강한 힘을 줄 때는 도 8(b)에 도시한 위치로 페달 축이 약간 뒤로 이동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이유는 페달에 선수의 체중을 더 가하여 토크를 중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행 중 페달축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대부분의 선수나 운전자는 두 모드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목적지까지 달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클릿에 관한 특허 문헌을 살펴 보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2581호는 신발의 하면에 제1클릿과, 제2클릿과, 제3클릿을 나누어 설치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클릿은 모두 신발에서 이동하지 않는 논슬립(non-slip)형이다.
한국 특허 제10-1977068호는 클릿을 상부와 하부로 이분할하고 각각의 부위에 자석을 배치하여 기계식이 아닌 자력으로 신발과 페달 구조체가 결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페달축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도 9는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클릿(1')을 도시한 것으로, 도 9a는 선수의 신발 하면에 부착되는 클릿(1a')의 상면, 도 9b는 신발 하면에 부착되는 클릿(1a')의 하면(1b')이다. 도면의 위가 신발의 앞쪽이며 아래가 신발의 뒷쪽이다. 클릿(1a')의 양측면에는 긴 가이드형의 조절슬롯(2a')이 형성되어 있다. 경륜 선수가 페달축을 기준으로 신발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슬롯(2a')을 위 아래로 움직이면서, 스스로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위치에 체결한다. (3b')은 페달 축과 연결된 페달의 발판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릿이 페달 조립체에 결합된다. 선수의 선호도에 따라 클릿(1')의 위치는 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이 제품은 정밀하게 클릿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사용 중에 고정된 클릿의 위치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 단점은 특히 기록 경기인 경륜 경기에 있어 선수에게 불리할 수 있다. 경륜 선수들은 아주 미세한 시간 단축을 위하여 정밀하게 신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한번 고정한 위치가 사용 중에 변하지 않는 견고한 클릿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고려하여, 경륜 경기에 있어, 주행 여건을 고려하여 정밀하고 편리하게 클릿의 위치를 변경하여 최적의 컨디션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륜 수동 주행차에 사용되는 클릿의 구조를 개선하여 페달축의 위치를 전환할 수 있는 클릿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륜 수동 주행차의 페달을 답입하는 신발에 부착되는 클릿을,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으로 나누고, 상부클릿에 복수의 상부조절구멍을 형성하고, 하부클릿에 복수의 하부조절구멍을 형성하고, 상부조절구멍중의 어느 하나와 하부조절구멍 중의 어느 하나가 각각 대향하도록 일대일로 위치시켜 체결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이 조립된, 클릿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 클릿의 상부조절구멍은, 각각의 행마다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m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조절구멍세트를, 상부 클릿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n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클릿의 하부조절구멍은, 하부 클릿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위치에 형성된 n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클릿의 상부조절구멍은, 상부클릿의 전후 방향에서 보아, 소정의 거리(d)만큼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차례로 위치하여 배열되며, 상부클릿을 하부클릿에 포개어 평행하게 이동시킬 때 상부조절구멍중의 어느 하나의 구멍과 하부조절구멍의 어느 하나의 구멍이 거리(d)를 주기로 차례로 일대일로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이륜 수동 주행차는 사이클이며, m과 n은 3으로, 상부조절구멍은 모두 9개이며, 하부조절구멍은 모두 3개이고, 거리(d)는 2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륜 수동 주행차의 페달을 답입하는 신발에 부착되는 클릿을,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으로 나누고, 상부클릿에 복수의 상부조절구멍을 형성하고, 하부클릿에 복수의 하부조절구멍을 형성하고, 상부조절구멍중의 어느 하나와 하부조절구멍 중의 어느 하나가 각각 대향하도록 일대일로 위치시켜 체결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이 조립되며, 상기 하부 클릿의 하부조절구멍은, 각각의 행마다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m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조절구멍세트를, 하부 클릿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n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클릿의 상부조절구멍은, 상부 클릿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n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클릿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클릿을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신발을 포함하는 이륜 수동 주행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에 한번 고정된 클릿의 위치가 조금의 이동이나 회전 없이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며, 마모된 클릿 교체 시 교체한 클릿의 위치가 이전에 사용하던 클릿 위치와 동일한 곳에 장착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클릿은 미세한 간격으로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경륜 선수의 기호나 주행 경로에 따라 페달에 대한 신발의 위치를 가장 최적의 위치로 셋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릿은 간편한 구조로 튼튼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다량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신발, 클릿 및 페달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클릿을 이루며, 신발의 하면에 부착되는 상부클릿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릿을 이루며, 상부클릿을 수용하며 결합되는 하부클릿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하부클릿의 하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페달 축을 최대한 발 앞으로 위치를 보인 도면;
도 8(b)는 페달 축을 발 뒤쪽으로 위치 조정을 보인 도면;
도 9는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클릿을 도시한 것으로, 도 9(a)는 선수의 신발 하면에 부착되는 클릿의 상면, 그리고 도 9(b)는 상용화 클릿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 실시 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및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경륜의 대상인 사이클을 주로 설명하지만, 자전거 및 주행용 운동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이 규정하는 “이륜 수동 주행차”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클릿(1)을 이루며, 신발의 하면에 부착되는 상부클릿(1A)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오른쪽이 신발의 앞을 향하는 방향,즉 사이클의 주행 방향이다. 상부클릿(1A)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높이가 낮은 입체 형상이다. 클릿(1)은 좌우 신발에 부착되므로 2개 필요하지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클릿(1)을 설명한다.
사각 형상의 상부(2)에는 상부조정구멍(8a, 8b, …10c)이 9개 형성되어 있다. 제1행의 상부조정구멍(8a, 9a, 10a)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같은 높이에 형성된다. 제2행의 상부조정구멍(8b, 9b, 10b)과 제3행의 상부조정구멍(8c, 9c, 10c) 각각도 일렬로 같은 높이에 형성된다. 상부조정구멍(8a, 8b, …10c)은 숫자와 알파벳 순으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d)를 두고 배열된다. 즉, 상부조절구멍(8a)과 상부조절구멍(8b)의 거리는 “d”, 상부조절구멍(8b)과 상부조절구멍(8c)의 거리는 “d”상부조절구멍(8c)과 상부조절구멍(9a)의 거리는 “d”, 상부조절구멍(10b)과 상부조절구멍(10c)의 거리는 “d”이다. 따라서, 상부조절구멍(8a)과 상부조절구멍(9a) 사이의 거리는 “3d”이다. 발명자의 테스트에 의하면 “d”는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d”는 클릿(1)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준이 되는 점에서 중요하다.
폭 방향을 따른, 각각의 열의 상부조정구멍 사이의 거리(D')는 예를 들어 6mm가 바람직하다. 거리(D')는 거리(d) 처럼 미세한 간격일 필요는 없으며, 클릿(1)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상부(2)의 양측면에는 신발의 하면에 상부클릿(1A)을 결합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체결도구가 결합되는 긴 사각 형상의 개구(6)가 형성된다. 상부(2)의 후방 양측면으로부터는 뒤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플랩(flap)형의 리딩부(leading portion; 4)가 연장된다. (3)은 상부(2)의 옆을 덮는 측면이다.
도 4및 도 5는 본 발명의 클릿(1)을 이루며, 상부클릿(1A)을 수용하며 결합되는 하부클릿(1B)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하부클릿(1B)의 하면의 사시도이다. 하부클릿(1B)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높이가 낮은 입체 형상이다.
하부클릿(1B)의 상부(20)는 사각형이며, 상부(20)의 약간 아래쪽에는 폭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3개의 하부조절구멍(20a, 20b, 20c)이 형성된다. 하부조절구멍(20a, 20b, 20c) 사이의 거리(D')는 폭방향을 따른 상부조정구멍 사이의 거리(D')와 동일하다.
상부(20)의 양측단에서는 측벽(16)이 기립하고, 상부(20)의 아래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터워지는 하부(18)가 형성된다. 하부(18)의 후방에는 페달발판 삽입홈(25)이 형성된다. 상부(20)의 후방에는 리딩부(12)가 연장된다. 리딩부(12)의 양측에는 오목홈(14)이 천공되어 이 부분의 무게는 작은데, 리딩부(12)가 상부클릿(1A)의 리딩부(4)와 맞닿아 접할 때, 리딩부(4)의 두터운 부분이 주로 오목홈(14)과 대면하므로, 전후 방향을 따른 두 개의 리딩부(4, 12)의 전체 무게는 균형을 이루게 되어 클릿(1) 전체적으로 고른 중량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상부클릿(1A)과 하부클릿(1B)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좌측이 신발의 앞을 향하는 방향이다.
도 7a에서와 같이, 하부클릿(1B)의 측벽(16)이 상부클릿(1A)의 측면(3)을 긴밀하게 수용하도록 하면서, 상부클릿(1A)의 하면이 하부클릿(1B)의 상부(20)와 접한 상태로 상부클릿(1A)을 점점 우측으로 이동시킨다(또는 하부클릿(1B)을 좌측으로 이동시켜도 동일하다). 제1행의 상부조정구멍(8a, 9a, 10a)은 하부조정구멍(20a)과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며, 마찬가지로 제2행의 상부조정구멍(8b, 9b, 10b)은 하부조정구멍(20b)과, 또 제3행의 상부조정구멍(8c, 9c, 10c)은 하부조정구멍(20c)와 일렬로 배열된다. 상부클릿(1A)을 이동시키면 최초로 가장 전방의 상부조정구멍(10c) 하부조정구멍(20c)과 대향하게 되며, 이때 체결부재로 두 구멍(10c, 20c)을 동시에 관통시켜 결합하면, 클립(1)이 결합되어 고정된다.이때, 페달축은 신발을 기준으로 가장 전방에 위치하여 도 8(a)에 대응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클릿(1A)을 더 거리(d) 만큼 이동시키면, 상부조정구멍(10b)이 하부조정구멍(20b)과 대향하며, 또 거리(d) 민큼 이동시키면, 상부조정구멍(10a)이 하부조정구멍(20a)과 대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후에는 상부조정구멍(8a)이 하부조정구멍(20a)과 대향하며, 이때 체결부재로 두 구멍(8a, 20a)을 동시에 관통시켜 결합하면, 클립(1)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페달축은 신발을 기준으로 가장 후방에 위치하여 도 8(b)에 대응하는 상태가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조정구멍(8a, 8b, …10c)은 거리(d)의 균등 간격으로 배열된 9개의 홀을 제공하며, 하부조정구멍(20a, 20b, 20c)은 9개의 홀 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는1개의 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1:1의 결합 방식을 제공한다. 경륜 선수는 미세한 거리(d) 만큼 상대적으로 제1또는 제2클릿(1A, 2A)을 이동시켜, 당일 자신의 몸 상태에 맞추어 그리고 경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페달축에 대하여 신발의 위치를 최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7a는, 상부조정구멍(9b)이 하부조정구멍(20b)과 대향하는 예를, 도 7b는 상부조정구멍(10c)이 하부조정구멍(20c)과 대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의 상부클릿(1A)과 하부클릿(1B)의 실제 제품으로 조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상부조정구멍(10a)이 하부조정구멍(20a)과 대향하는 예를, 도 7d는 상부조정구멍(8b)이 하부조정구멍(20b)과 대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신발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클릿(1)의 상부클릿(1A)과 하부클릿(1B)의 각각의 조정구멍을 1:1로 대응시켜 체결하는 한 각 부품의 형상과 크기는 적절히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부클릿(1A)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하부클릿(1B)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어 상부클릿(1A)과 하부클릿(1B)의 조정구멍을 이상 설명과 반대로 서로 바꾸어 형성(상부클릿(1A)에 3개, 하부클릿(1B)에 9개)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신발에 클릿(1)이 부착되어 수동으로 구동되는 운행 수단이라면 사이클에 국한되지 않고 자전거에도 적용 가능하며, 경륜 선수에 가장 적합하지만 일반인이 사용하는 신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범위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Claims (7)

  1. 이륜 수동 주행차의 페달을 답입하는 신발에 부착되는 클릿을,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으로 나누고, 상부클릿에 복수의 상부조절구멍을 형성하고, 하부클릿에 복수의 하부조절구멍을 형성하고, 상부조절구멍중의 어느 하나와 하부조절구멍 중의 어느 하나가 각각 대향하도록 일대일로 위치시켜 체결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부클릿과 하부클릿이 조립되며,
    상기 상부 클릿의 상부조절구멍은, 각각의 행마다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m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조절 구멍세트를, 상부 클릿의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n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클릿의 하부조절구멍은, 하부 클릿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위치에 형성된 n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클릿의 상부조절구멍은, 상부클릿의 전후 방향에서 보아, 소정의 거리(d)만큼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차례로 위치하여 배열되며, 상부클릿을 하부클릿에 포개어 평행하게 이동시킬 때 상부조절구멍중의 어느 하나의 구멍과 하부조절구멍의 어느 하나의 구멍이 거리(d)를 주기로 차례로 일대일로 대향하는, 클릿.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 수동 주행차는 사이클이며, m과 n은 3으로, 상부조절구멍은 모두 9개이며, 하부조절구멍은 모두 3개이고, 거리(d)는 2mm인, 클릿.
  5. 삭제
  6. 제 1항의 클릿을 포함하는 신발.
  7. 제 6항의 신발을 포함하는 이륜 수동 주행차.
KR1020210079894A 2021-06-21 2021-06-21 경륜 선수용 클릿 KR10250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894A KR102507044B1 (ko) 2021-06-21 2021-06-21 경륜 선수용 클릿
JP2021117845A JP2023001832A (ja) 2021-06-21 2021-07-16 競輪選手用クリー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894A KR102507044B1 (ko) 2021-06-21 2021-06-21 경륜 선수용 클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614A KR20220169614A (ko) 2022-12-28
KR102507044B1 true KR102507044B1 (ko) 2023-03-07

Family

ID=8453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894A KR102507044B1 (ko) 2021-06-21 2021-06-21 경륜 선수용 클릿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3001832A (ko)
KR (1) KR10250704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2625A1 (en) * 1987-09-08 1989-03-23 Winwood Technologies, Inc. Shoe and ped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WO2009012042A2 (en) * 2007-07-17 2009-01-22 Speedplay, Inc. Cleat assembly for clipless pedal
US20110048167A1 (en) 2009-09-02 2011-03-03 Hope Industrial Corporation Shoe positioning device of a bicycle
US20110083530A1 (en) 2009-10-14 2011-04-14 Shimano Inc. Bicycle pedal
US20120291590A1 (en) 2011-05-19 2012-11-22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Bicycle pedal
US10517349B2 (en) 2014-09-20 2019-12-31 Christopher Martin Bicycle shoe to pedal cleat shim and mounting
KR102091244B1 (ko) 2018-09-10 2020-03-19 김대현 페달 및 신발 연결 구조체
US20210163096A1 (en) 2019-11-28 2021-06-03 Haidong Gu Bicycle shoe cleat for clipless peda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5173A (en) * 1990-01-16 1992-06-30 Shimano Industrial Co., Ltd. Cycling sho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2625A1 (en) * 1987-09-08 1989-03-23 Winwood Technologies, Inc. Shoe and ped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
WO2009012042A2 (en) * 2007-07-17 2009-01-22 Speedplay, Inc. Cleat assembly for clipless pedal
US20110048167A1 (en) 2009-09-02 2011-03-03 Hope Industrial Corporation Shoe positioning device of a bicycle
US20110083530A1 (en) 2009-10-14 2011-04-14 Shimano Inc. Bicycle pedal
US20120291590A1 (en) 2011-05-19 2012-11-22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Bicycle pedal
US10517349B2 (en) 2014-09-20 2019-12-31 Christopher Martin Bicycle shoe to pedal cleat shim and mounting
KR102091244B1 (ko) 2018-09-10 2020-03-19 김대현 페달 및 신발 연결 구조체
US20210163096A1 (en) 2019-11-28 2021-06-03 Haidong Gu Bicycle shoe cleat for clipless ped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01832A (ja) 2023-01-06
KR20220169614A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094B2 (en) Golf club head
US8672758B2 (en) Steering column game controller
JP5637864B2 (ja) 目標とする加重特性を有する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764210B2 (en) Golf club head with internal cap
JP5309130B2 (ja) 靴の滑り留め具、これを有する靴底および靴
DK2455139T3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130190105A1 (en) Golf Club And Golf Club Head Structures
US5213009A (en) Cleat for clipless pedals
EP2445596B1 (en) Golf club head having an interchangeable bridge member
US20110250985A1 (en) Iron Type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Having Adjustable Weighting Features
NL8005086A (nl) Voetplaat.
NO173169B (no) Sykkeltreningsapparat med innstillbar belastning
KR102507044B1 (ko) 경륜 선수용 클릿
JP4775681B2 (ja) 自転車のペダル
US20110048167A1 (en) Shoe positioning device of a bicycle
CN105691546A (zh) 自行车变速设备
US4398746A (en) Adjustable waxless ski base
US9468825B2 (en) Lacrosse stick pocket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079532A1 (en) Golf club
US4056268A (en) Apparatus for motorcycle polo game
JP3169560U (ja) ゴルフ用パターヘッド
US20220017179A1 (en) Cleat capable of multi-stage power adjustment
KR200360894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킥보드 신발
CN114618127B (zh) 用于体育舞蹈的体能训练系统
US20020060441A1 (en) Device for adjusting front wheel of tr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