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997B1 -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6997B1 KR102506997B1 KR1020220143266A KR20220143266A KR102506997B1 KR 102506997 B1 KR102506997 B1 KR 102506997B1 KR 1020220143266 A KR1020220143266 A KR 1020220143266A KR 20220143266 A KR20220143266 A KR 20220143266A KR 102506997 B1 KR102506997 B1 KR 102506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current
- devices
- state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4 energy con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는 1 이상의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고, 충전보드에 의해 부하 예측 및 편중처리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의 충전전류를 차단함으로 자율적인 소비전력 관리를 할 수 있고, 제어부에 의해 전체적인 충전전류를 차단함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는 1 이상의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고, 충전보드에 의해 부하 예측 및 편중처리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의 충전전류를 차단함으로 자율적인 소비전력 관리를 할 수 있고, 제어부에 의해 전체적인 충전전류를 차단함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매년 지구온난화가 심화되어 기상이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대표적인 에너지로 전기에너지가 있고, 한국전력공사의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1인당 전력소비량은 1990년 2,202kWh, 2000년 5,067kWh, 2010년 8,883kWh, 2018년 10,195kWh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2020년 현재 조금 감소하여 9,826kWh다. 매년 증가하는 전기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낭비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대기전력은 전원을 끈 상태에서 전기제품이 소비하는 전력을 말하는 것으로 가전기기가 동작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전기를 소모하며, 전기를 잡아먹는다는 의미이고, 본원 발명에서는 완충된 기기에 완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가하는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한국전기연구원의 발표한 2011년 대한민국 대기전력 실측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가정용 대기전력의 총량(순시전력)은 618메가와트(MW)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국 가정의 모든 가전기기가 동작하지 않고 플러그만 꽂혀 있어도 500메가와트급 화력발전소 1기 이상의 전력을 소모한다는 의미이다.
가구당 대기전력 소비는 연 평균 209킬로와트아워(kWh)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 가구당 연간 총 전력소비(3400kWh)의 6.1%에 해당하는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를 충전할 때, 사용자가 플러그를 뽑지 않고도 자동으로 완충된 디바이스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제거하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는 1 이상의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고, 충전보드에 의해 부하 예측 및 편중처리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의 충전전류를 차단함으로 자율적인 소비전력 관리를 할 수 있고, 제어부에 의해 전체적인 충전전류를 차단함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로서, 상기 충전기는, 1 이상의 디바이스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를 충전하고,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충전상태를 수신하고, 디바이스 충전에 있어서, 미세전류를 차단하고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충전보드; 상기 충전보드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메인SMPS; 상기 메인SMPS에 전류를 공급 혹은 차단하는 전류스위치; 상기 전류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SMPS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충전스위치; 및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복수의 격벽구조체에 의해 구별된 공간에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충전선반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보드는,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에 대한 미세전류를 차단하는 충전전류차단부; 및 복수의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돌입전류방지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전류차단부는, 충전 중인 1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충전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충전상태판단단계; 및 상기 충전상태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에 대한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충전전류차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입전류방지부는, 충전 중인 디바이스의 개수를 확인하는 개수확인단계; 상기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중인 디바이스 각각에 공급할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량산출단계; 및 상기 전력량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전력량을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공급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전력공급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대기전력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전력차단부는, 상기 충전보드로부터,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상태를 수신하는 충전상태수신단계; 및 상기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의 충전상태가 충전완료인 경우, 혹은 연결된 디바이스가 없어 충전상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류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SMPS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선반함은 상기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격벽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구조체는, 상면 및 하면은 평행하고, 옆면의 일단은 경사면을 갖는 다각형 형태의 몸체부; 상기 충전선반함에 체결되어 상기 충전선반함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체결부; 격벽 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몸체부의 경사면의 상부부터 중앙부까지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몸체부의 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보드로부터 연결된 충전선을 수용하여, 충전선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고정부;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타단이 회전가능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타단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나온 상기 충전선을 고정 할 수 있는 회전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MPS대기전력차단부는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가 충전되는 경우에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므로, 비 절감형 시스템 대비 전력 소모량이 절감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전류차단부는 자율 소비전력 관리 기술인 연결된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충전전류를 차단하므로, 상기 자율 소비전력 관리 기술 미적용 충전기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입전류방지부는, 1 이상의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충전되는 경우, 연결된 디바이스 개수에 기초하여 부하 예측 및 편중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SMPS의 효율을 높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선반함은 충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격벽구조체를 포함하므로, 충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를 제공하는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전류차단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입전류방지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PS대기전력차단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선반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전류차단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입전류방지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PS대기전력차단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선반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를 제공하는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로서, 상기 충전기는, 1 이상의 디바이스(6000)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6000)를 충전하고,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6000) 각각에 대한 충전상태를 수신하고, 디바이스(6000) 충전에 있어서, 미세전류를 차단하고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충전보드(2000); 상기 충전보드(2000)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메인SMPS(3000); 상기 메인SMPS(3000)에 전류를 공급 혹은 차단하는 전류스위치(4000);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SMPS(300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100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디바이스(6000)에 대한 충전명령을 상기 제어부(1000)에 송신하는 충전스위치(5000); 및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복수의 격벽구조체에 의해 구별된 공간에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충전선반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보드(2000)는,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6000)에 대한 미세전류를 차단하는 충전전류차단부(2100); 및 복수의 디바이스(6000)를 충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돌입전류방지부(2200);를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에너지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는 외부전력인입부(10000), 누전차단기(9000), 분전반(8000), 소형SMPS(7000), 제어부(1000), 충전스위치(5000), 전류스위치(4000), 메인SMPS(3000), 충전보드(2000) 및 충전선반함(1100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는 1 이상의 디바이스(600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6000)는 충전이 필요한 소형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력인입부(10000)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충전기로 전력을 인입할 수 있고, 상기 누전차단기(9000)로 일정한 전류값 이상이 흐르면 회로를 차단하여 누전에 대한 안전문제를 대처할 수 있다. 상기 분전반(8000)은 상기 충전기의 회로 등 각종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전반(8000)은 외부전력인입부(10000), 누전차단기(9000), 소형SMPS(7000), 제어부(1000), 전류스위치(4000), 메인SMPS(3000), 충전보드(2000)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형SMPS(7000)는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형SMPS(7000)는 상기 제어부(1000)에 DC +12V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상시에 상기 제어부(10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SMPS대기전력차단부(11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전기에서 메인보드 역할을 하여, 상기 충전스위치(5000)의 버튼 신호를 받아 1 이상의 디바이스(6000)에 대한 충전 시작 및 충전 중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On/Off 컨트롤하여, 상기 메인SMPS(3000)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어, 1 이상의 디바이스(6000)에 대한 충전 시작 및 충전 중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류스위치(4000)의 기본상태는 Off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00)의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디바이스(6000)의 충전이 중단된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전류스위치(4000)는 전자접촉기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00)에 의해서 상기 전류스위치(4000)의 동작 전압이 인가되어서, 상기 전류스위치(4000)가 ON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전류스위치(4000)는 상기 제어부(1000)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충전스위치(5000)의 상태가 On으로 전환되는 경우, 제어부(1000)에서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On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SMPS(3000)에 상기 외부전력인입부(10000)에서 인가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어, 연결된 디바이스(6000)들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메인SMPS(3000)는 상기 외부전력인입부(10000)로부터 AC 220V의 입력전압을 공급받아 DC +24V 전압을 출력하여, 충전보드(200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충전보드(2000)는 공급받은 전압을 DC 0V 또는 5V에서 19V까지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전류는 0A에서 3A까지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충전보드(2000)는 가변적으로 조절한 전압 및 전류에 따라, 상기 충전보드(2000)에 연결된 1 이상의 디바이스(6000)의 충전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보드(2000)는 연결된 1 이상의 디바이스(6000)에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충전보드(2000)는,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6000)와 충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00)와는 케이블로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1000)로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6000)의 각각의 충전상태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보드(2000)는 충전전류차단부(2100) 및 돌입전류방지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전류차단부(2100)에 의해서, 완충된 디바이스(6000)의 충전전류를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제거하여, 절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돌입전류방지부(2200)에 의해서,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6000)에 공급되는 전류에 대한 돌입전류를 방지하여, 충전 중인 디바이스(6000)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포함 관계는 일 예일뿐,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충전선반함(1100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전류차단부(2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전류차단부(2100)는, 충전 중인 1 이상의 디바이스(6000) 각각으로부터 충전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6000)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충전상태판단단계; 및 상기 충전상태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6000)에 대한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충전전류차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충전기는, 충전 중인 디바이스(6000)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 해당하더라고, 지속적으로 배터리의 전력을 소모하는 디바이스(6000)에 따라, 완전히 충전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미세전류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고 있어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보드(2000)가 포함하는 충전전류차단부(2100)에 의해서, 충전상태판단단계, 및 충전전류차단단계가 수행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상태판단단계에서 상기 충전전류차단부(2100)는 상기 충전보드(2000)에 연결된 충전 중인 1 이상의 디바이스(6000) 각각에 대해 충전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상태는 상기 디바이스(6000)의 배터리의 충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보드(2000)에는 충전 목표치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충전상태가 입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기설정된 충전상태는 상기 제어부(1000)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충전상태판단단계에서는, 각각의 디바이스(6000)에 대해서 상기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충전상태는 충전율이 100%에 해당할 수 있고, 각각의 디바이스(6000)의 충전율이 100%에 해당하면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100%미만의 충전율이 기설정된 충전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충전율 이상의 충전율에 해당하는 디바이스(6000)에 대해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된 디바이스(6000)의 대부분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충전이 완료되면, 더 이상의 충전 전류가 필요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충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완료 상태에서 충전기가 지속적으로 미세전류를 공급하게 되면, 더 이상 충전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충전기와 디바이스(6000) 간의 연결 관련 동작에 필요한 전력만을 소비하게 되어, 에너지가 낭비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상기 충전전류차단단계에서는, 상기 충전상태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6000)에 대한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보드(2000)는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6000)에 대한 충전 전류를 차단하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보드(2000)는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전전류차단단계에서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6000)에 대해서, 해당 충전상태를 해당 디바이스(6000)에 대한 LED로 표시할 수 있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미세전류를 공급할 수 있고, 이후에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ED는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초록불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입전류방지부(22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중인 디바이스(6000)의 개수를 확인하는 개수확인단계; 상기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중인 디바이스(6000) 각각에 공급할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량산출단계; 및 상기 전력량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전력량을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공급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전력공급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충전기가 디바이스(60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순간 돌입전류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디바이스(6000)에 정격전류보다 더 많은 전류가 흘러 디바이스(6000)가 손상될 수 있고, 상기 메인SMPS(3000)에 열 발생 등으로 인해 효율이 떨어질 수 있어 실제 충전에 소비되어야 하는 전력량 보다 많은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보드(2000)가 포함하는 돌입전류방지부(2200)에 의해서, 개수확인단계, 전력량산출단계 및 전류공급단계가 수행되어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수확인단계에서 상기 돌입전류방지부(2200)는 상기 충전보드(2000)에 연결된 충전 중인 디바이스(6000)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산출단계에서는, 상기 개수확인단계에서 확인한 충전 중인 디바이스(6000)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6000) 각각에 공급할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전력량은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량은 상기 메인SMPS(3000)가 상기 충전보드(2000)에 공급하는 총 전력량(도 3에서의 2a)에 상기 개수를 나눈 값(도 3에서의 a)에 해당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력공급단계에서는, 상기 전력량산출단계에서 각각의 디바이스(6000)에 대해 산출된 전력량을 점진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낮은 전력부터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전력공급단계에서 산출한 전력량까지 도달할 수 있고, 상기 시간은 디바이스(6000)의 종류, 상기 전력량, 해당 디바이스(6000)의 충전상태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디바이스(6000) 마다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량-시간 그래프는 곡선, 혹은 기울기가 양의 값을 갖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디바이스(6000)가 1개여도, 상기 전력공급단계가 수행되어, 해당 디바이스(6000)에 전력이 점진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PS대기전력차단부(11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0)는 SMPS대기전력차단부(1100)를 포함하고, 상기 SMPS대기전력차단부(1100)는, 상기 충전보드(2000)로부터,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6000)에 대한 충전상태를 수신하는 충전상태수신단계; 및 상기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6000)의 충전상태가 충전완료인 경우, 혹은 연결된 디바이스가 없어 충전상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SMPS(3000)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6000)가 충전 완료 상태이고, 상기 충전전류차단부(2100)에 의해서, 각각의 디바이스(6000)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SMPS(3000) 및 상기 충전보드(2000)에는 대기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000)가 포함하는 SMPS대기전력차단부(1100)에 의해서, 충전상태수신단계, 및 전류차단단계가 수행되어 충전기의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상태수신단계에서 상기 SMPS대기전력차단부(1100)는 상기 충전보드(2000)로부터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6000)에 대한 충전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전류차단단계에서는, 상기 충전상태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6000)에 대한 충전상태가 충전완료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OFF상태로 변경할 수 있어, 상기 메인SMPS(3000)의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상태수신단계에서 상기 SMPS대기전력차단부(1100)는 충전보드에 연결된 디바이스가 없어 충전상태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메인SMPS(3000)는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어 대기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류차단단계에서는, 상기 메인SMPS(3000)에서 소모하고 있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OFF상태로 변경할 수 있어, 상기 메인SMPS(3000)의 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SMPS(3000), 상기 충전보드(2000) 및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6000)에는 상기 모든 디바이스(6000)가 완충되거나, 상기 충전보드(2000)에 디바이스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충전을 위한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어,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류차단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6000)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혹은 연결된 디바이스가 없어 충전상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전류스위치(4000)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SMPS(3000)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SMPS대기전력차단부(1100)는 충전선연결상태수신단계, 및 충전선전류차단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선연결상태수신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0)는 충전선에 디바이스(6000)가 연결되었는지에 대한 충전선연결상태를 모든 충전선에 대해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선전류차단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충전선연결상태에 기초하여, 모든 충전선에 디바이스(60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류스위치(4000)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SMPS(3000)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SMPS(3000), 상기 충전보드(2000)에는 충전을 위한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어,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선반함(1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선반함은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복수의 격벽구조체에 의해 구별된 공간에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다. 학교, 군부대 등 많은 개수의 디바이스(6000)를 충전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충전선, 및 복수의 디바이스(6000)를 수용할 수 있고,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상기 충전기는 1 이상의 디바이스(6000)를 보관할 수 있는 충전선반함(1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선반함(11000)은 충전선반본체, 복수의 선반 및 복수의 격벽구조체(1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선반본체는 직각육면체 형태의 함에 해당할 수 있고, 시건장치를 포함하는 문, 쉬운 이동을 위해서 하측에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고정이 가능하여, 상기 충전선반함(11000)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충전보드 및 상기 충전보드에 연결된 복수의 충전선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선반의 상면에는 상기 격벽구조체(12000)가 결합될 수 있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어, 복수의 격벽구조체(1200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반의 상면에 서로 이격된 복수의 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격벽구조체(12000)의 배치에 따라 두께가 서로 다른 디바이스(60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선반 11100.1처럼 제일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선반은 상기 충전선반본체의 상부와 맞닿을 수 있어, 격벽구조체(120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없을 수 있고, 충전보드 및 상기 충전보드에 연결된 복수의 충전선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디바이스(6000)의 충전선은 디바이스(6000)가 위치한 선반에 배치되어 있는 충전선이 아니라, 해당 선반의 상측에 위치한 선반에서 배치된 충전선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디바이스(6000)의 충전선은 디바이스(6000)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선반에서부터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선반 11100.3 제일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충전선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반은 충전선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하지 않고, 디바이스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선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구조체(12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선반함(11000)은 상기 디바이스(6000)를 거치할 수 있는 격벽구조체(12000)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구조체(12000)는, 상면 및 하면은 평행하고, 옆면의 일단은 경사면을 갖는 다각형 형태의 몸체부(12100); 상기 충전선반함(11000)에 체결되어 상기 충전선반함(1100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체결부(12200); 격벽 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몸체부(12100)의 경사면의 상부부터 중앙부까지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몸체부(12100)의 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보드(2000)로부터 연결된 충전선을 수용하여, 충전선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고정부(12300);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12100)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타단이 회전가능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타단은 상기 몸체부(12100)와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12300)로부터 나온 상기 충전선을 고정 할 수 있는 회전고정부(12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구조체(12000)는 몸체부(12100), 제1고정부(12300), 제2고정부(12400), 회전고정부(12500), 및 체결부(12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기준으로 몸체부(12100)의 상, 하, 좌, 우를 정의하여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 서술하도록한다.
상기 몸체부(12100)는 오각형으로, 상면 및 하면은 평행하고, 좌측면의 일단은 경사진면에 해당하고, 타단은 우측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상면에는 제1고정부(12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12300)는 다양한 굵기의 충전선을 삽입할 수 있게 탄성력을 갖는 집게모양의 구조에 해당할 수 있고, 1 이상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부(12300)는 충전선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충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하면에는 체결부(12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200)는 상기 충전선반함(11000)의 선반에 체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200)는 화살표 형태의 체결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면의 일단인 경사진면에는 제2고정부(12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2400)는 상기 경사진면을 따라 형성된 옆면이 막힌 격벽형태에 해당할 수 있고, 충전선이 상기 격벽구조체(12000)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하고 은닉할 수 있어, 충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12400)의 일측은 상기 경사면의 상부부터 중앙부까지 배치될 수 있고, 타측은 상부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길이 및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타측은 후술할 회전고정부(12500)가 회전될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일측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회전고정부(12500)는 회전체결부(125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체결부(12511)는 상기 몸체부(12100)의 회전체결홀과 체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고정부(12500)는 상기 몸체부(12100)의 고정부체결홈과 체결되어, 충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회전고정부(12500)의 일단인 회전체결부(12511)는 몸체부(12100)의 체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될 수 있고, 상기 회전고정부(12500)의 타단은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체결홈과 체결되어 상기 몸체부(12100)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고정부(12500)의 일단은 상기 제2고정부(12400)의 타측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12100)의 고정부지지대(1211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2100)는 상기 몸체부(1210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충전선지지부(12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충전선지지부(12130)는 상기 회전고정부(12500)가 상기 몸체부(12100)에 체결했을 때, 충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상기 회전고정부(12500)가 몸체부(12100)에 체결됐을 때 제2충전선지지부(12531) 및 제3충전선지지부(125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12100)는 복수의 경량홀을 포함할 수 있어서, 막혀있지 않아 심미적인 효과와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고정부(125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도 7의 (A)는 회전고정부(12500)가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회전고정부(12500)가 열려있는 상태는 상기 회전고정부(12500)의 타단이 몸체부(12100)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회전고정부(12500)는 회전몸체부(12510), 고정벽(12520), 지지체결부(12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부(12510)는 1 이상의 회전체결걸이를 포함하는 회전체결부(12511)를 포함할 수 있고, 일단은 직선이고,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타단은 30도 내지 60도 각도를 갖게 꺾일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상기 몸체부(12100)에서 상면과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벽(12520)은 상기 회전몸체부(12510)의 타단의 측면에서부터 연장되어 직사각형 형태로써, 충전선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벽(12520)은 상기 회전몸체부(12510)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고정벽(12520)은 상기 회전몸체부(12510)의 경사진 타단보다 일정 부분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결부(12530)는 상기 고정벽(12520)과 수직을 이루게 상기 고정벽(12520)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충전선지지부(12531), 제3충전선지지부(12532) 및 고정부체결부(12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선지지부(12531) 및 제3충전선지지부(12532)는 상기 지지체결부(12530)의 상측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구조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2충전선지지부(12531) 및 상기 제3충전선지지부(12532)의 높이는 상기 고정벽(12520)의 너비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체결부(12533)는 상기 지지체결부(12530)의 하측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구조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회전고정부(12500)가 회전했을 때, 상기 몸체부(12100)의 고정부체결홀(12120)에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부(12510)에는 상기 지지체결부(12530)의 형태보다 조금 더 크게 상기 지지체결부(12530)의 모양으로 구멍이 파져있을 수 있어, 상기 기기체결부(12200)의 파손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의 (B)는 회전고정부(12500)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상기 회전고정부(12500)가 닫혀있는 상태는 상기 회전고정부(1250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고정부(12500)의 타단이 상기 몸체부(12100)에 체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고정부(12500)는 회전하면, 상기 고정벽(12520)의 일부가 도 6에 도시된 고정부지지대(12110)에 닿아 회전이 제한될 수 있고, 도 7의 (A)에 도시된 고정부체결부(12533)가 도 6에 도시된 고정부체결홀(12120)에 체결될 수 있다.
충전선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12400)를 따라 배치되어 고정되어 상기 회전고정부(125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선은 상기 제1 내지 제3충전선지지부(12130, 12531, 12532)에 의해 물려서 곡률을 형성하며 보다 힘있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선은 제1고정부(12300)에 끼워져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000) 및 충전보드(200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000) 및 충전보드(2000)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제어부(1000) 및 충전보드(20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제어부(1000) 및 충전보드(20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사용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MPS대기전력차단부는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가 충전되는 경우에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므로, 비 절감형 시스템 대비 전력 소모량이 절감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전류차단부는 자율 소비전력 관리 기술인 연결된 디바이스가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충전전류를 차단하므로, 상기 자율 소비전력 관리 기술 미적용 충전기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입전류방지부는, 1 이상의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충전되는 경우, 연결된 디바이스 개수에 기초하여 부하 예측 및 편중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SMPS의 효율을 높혀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선반함은 충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격벽구조체를 포함하므로, 충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로서,
상기 충전기는,
1 이상의 디바이스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를 충전하고,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충전상태를 수신하고, 디바이스 충전에 있어서, 미세전류를 차단하고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충전보드;
상기 충전보드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메인SMPS;
상기 메인SMPS에 전류를 공급 혹은 차단하는 전류스위치;
상기 전류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SMPS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충전스위치; 및
복수의 선반을 포함하고, 복수의 격벽구조체에 의해 구별된 공간에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충전선반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보드는,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에 대한 미세전류를 차단하는 충전전류차단부; 및
복수의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돌입전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선반함은 상기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격벽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구조체는,
상면 및 하면은 평행하고, 옆면의 일단은 경사면을 갖는 다각형 형태의 몸체부;
상기 충전선반함에 체결되어 상기 충전선반함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체결부;
격벽 형태로서, 일측은 상기 몸체부의 경사면의 상부부터 중앙부까지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몸체부의 경사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보드로부터 연결된 충전선을 수용하여, 충전선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1고정부;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에 회전축으로 체결되어 타단이 회전가능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타단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나온 상기 충전선을 고정 할 수 있는 회전고정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전류차단부는,
충전 중인 1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충전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1 이상의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했는지 판단하는 충전상태판단단계; 및
상기 충전상태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기설정된 충전상태에 도달한 디바이스에 대한 전류 공급을 차단하는 충전전류차단단계;를 수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입전류방지부는,
충전 중인 디바이스의 개수를 확인하는 개수확인단계;
상기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중인 디바이스 각각에 공급할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량산출단계; 및
상기 전력량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전력량을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공급하여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전력공급단계;를 수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MPS대기전력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SMPS대기전력차단부는,
상기 충전보드로부터,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상태를 수신하는 충전상태수신단계; 및
상기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의 충전상태가 충전완료인 경우, 혹은 연결된 디바이스가 없어 충전상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류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메인SMPS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단계;를 수행하는,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3266A KR102506997B1 (ko) | 2022-11-01 | 2022-11-01 |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3266A KR102506997B1 (ko) | 2022-11-01 | 2022-11-01 |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6997B1 true KR102506997B1 (ko) | 2023-03-08 |
Family
ID=8550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3266A KR102506997B1 (ko) | 2022-11-01 | 2022-11-01 |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699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8503A (ko) * | 2001-07-28 | 2001-09-28 | 박수식 | 절전형 배터리 충전 장치 |
KR101378427B1 (ko) * | 2013-09-02 | 2014-03-26 | 주식회사 지오나스 |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충전식 보관장치 |
KR20160043481A (ko) * | 2014-10-13 | 2016-04-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릴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80049457A (ko) * | 2016-11-02 | 2018-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부하 구동전류 제어방법 및 시스템 |
-
2022
- 2022-11-01 KR KR1020220143266A patent/KR1025069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8503A (ko) * | 2001-07-28 | 2001-09-28 | 박수식 | 절전형 배터리 충전 장치 |
KR101378427B1 (ko) * | 2013-09-02 | 2014-03-26 | 주식회사 지오나스 |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충전식 보관장치 |
KR20160043481A (ko) * | 2014-10-13 | 2016-04-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릴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
KR20180049457A (ko) * | 2016-11-02 | 2018-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부하 구동전류 제어방법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782606B (zh) | 外壳功率控制器 | |
JP6038395B2 (ja) |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2009006387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management | |
US839014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upply wear leveling in a blade server chassis | |
JP2001195134A (ja) | 先取りクローズドループ熱管理 | |
EP2812767A1 (en) | Computer cart | |
KR102571808B1 (ko) |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장치의 운영환경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
KR102506997B1 (ko) | 에너지 절감형 소형기기 충전기 | |
CN102789301A (zh) | 一种计算机的电源管理方法 | |
KR102311735B1 (ko) | 냉각 장치 | |
WO2021040837A1 (en) | Using a supplemental power source to provide temporary performance boosts in computing devices | |
US8656201B2 (en) | CPU status controll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EP3529875B1 (en) | Charging control | |
JP2014120072A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 |
JP2022548013A (ja) |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 |
WO2017119702A1 (ko) |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전원 어댑터 및 그 제어 방법 | |
CN114461003B (zh) | 输出功率调整方法、装置和插座 | |
US11799318B2 (en) | Predictive battery management for applications using battery energy to overcome electrical circuit voltage and current limitations | |
TW201546605A (zh) | 整合型不斷電供電系統與方法 | |
TW202226016A (zh) | 安全的裝置電力啟動設備及方法 | |
KR101213816B1 (ko) | 대기모드용 배터리를 갖는 절전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 |
US10379589B2 (en) | Power controls | |
Sankur et al. | Dynamic programming for optimal load-shedding of office scale battery storage and plug-loads | |
TWI443490B (zh) | 具電能管理功能之供電系統及其管理方法 | |
US11791630B1 (en) | Multi-functional building power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