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655B1 - 탈취 열풍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열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655B1
KR102506655B1 KR1020220123322A KR20220123322A KR102506655B1 KR 102506655 B1 KR102506655 B1 KR 102506655B1 KR 1020220123322 A KR1020220123322 A KR 1020220123322A KR 20220123322 A KR20220123322 A KR 20220123322A KR 102506655 B1 KR102506655 B1 KR 10250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torage space
net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일
Original Assignee
서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창일 filed Critical 서창일
Priority to KR102022012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부분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나머지 일부분에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하우징; 공급관과 배출관 사이의 저장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우징의 외측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히터; 및 저장 공간에서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고,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네트를 포함하되, 저장 공간에서 히터는 네트 및 공기를 가열하고, 공기는 네트를 통과하면서 네트의 열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취 열풍 장치{Hot air device for deodorizing}
본 발명은 탈취 열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탱크에 저장된 공기와 탱크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및 혼합한 후에 피가열물에 공급하여 피가열물에 대한 탈취 및 건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탈취 열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조 시설에 설치되는 물품 중 일부에 대한 탈취 및 건조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된 공기가 물품에 공급되어, 물품은 탈취 및 건조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는 저장 탱크에 유입되어 저장된 상태로 가열된 이후에 배출되어 물품의 탈취 및 건조에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공기는 저장 탱크에 저장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가열되어 균일한 온도를 가진 상태로 배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탈취 및 건조에 따른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저장 탱크의 공기를 균일하게 가열한 상태로 배출하기 위해서 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장된 공기와 공급받은 공기를 혼합시키고 간단하면서도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는 탈취 열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정적으로 가열된 공기를 생성하여 별도의 장치에서 탈취 및 건조를 위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탈취 열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부분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나머지 일부분에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하우징; 공급관과 배출관 사이의 저장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우징의 외측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히터; 및 저장 공간에서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고,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네트를 포함하되, 저장 공간에서 히터는 네트 및 공기를 가열하고, 공기는 네트를 통과하면서 네트의 열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히터는, 하우징의 외측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는 히터 플랜지; 및 히터 플랜지에 연결되어 저장 공간의 횡단면 상에 위치되고,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히터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평평한 판 형태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장 공간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호 간에 평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네트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형 판 형태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길이 및 상이한 둘레 크기를 가지면서 동일한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의 상측에 위치되는 네트들의 개수는 히터의 하측에 위치되는 네트들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저장된 공기와 공급받은 공기가 혼합되고 간단하면서도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2) 가열된 공기가 안정적으로 생성되어 별도의 장치에 탈취 및 건조를 위하여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에서 네트의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에서 네트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100)는 하우징(101), 히터(102) 및 네트(103)를 포함하고,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탈취 및 건조에 이용되도록 배출할 수 있다.
하우징(101)은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는 탱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저장 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1)에는 공기가 공급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급관(111) 및 배출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관(111)은 하우징(101)의 하단 부분에 연결되어 저장 공간(110)에 연결될 수 있고, 배출관(113)은 하우징(101)의 상단 부분에 연결되어 저장 공간(11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공급관(111)은 하우징(101)의 상단 부분에 연결되어 저장 공간(110)에 연결될 수 있고, 배출관(113)은 하우징(101)의 하단 부분에 연결되어 저장 공간(1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공급관(111)은 하우징(101)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배출관(113)은 공급관(11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우징(101)의 나머지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급관(111)을 통해 저장 공간(110)에 공급되고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배출관(1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는 저장 공간(110)을 통과하도록 유동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1)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하나의 하우징(101)의 배출관(113)은 다른 하나의 하우징(101)의 공급관(111)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는 하나의 하우징(101)에서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배출관(113)을 통해 다른 하나의 하우징(101)의 공급관(111)으로 유도되고, 다른 하나의 하우징(101)의 저장 공간(110)에 공급될 수 있다.
히터(102)는 저장 공간(110)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01)의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히터(102)는 하우징(101)의 외측면으로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면서 공급관(111)과 배출관(1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히터(102)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저장 공간(110)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는 저장 공간(110)에 공급되어 가열된 상태로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히터(102)는 히터 플랜지(121) 및 히터 몸체(123)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플랜지(121)는 하우징(101)의 외측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히터 플랜지(121)의 제 1 면은 저장 공간(1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히터 플랜지(121)의 제 1 면의 반대편인 제 2 면은 저장 공간(1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 플랜지(12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인접하면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고, 공급관(111)과 배출관(1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히터 몸체(123)는 히터 플랜지(121)의 제 2 면에 연결되어 저장 공간(110)의 횡단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히터 몸체(123)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저장 공간(110)의 공기와 접촉되어 저장 공간(110)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 플랜지(121)가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될 때, 히터 몸체(123)는 히터 플랜지(121)에 의해 저장 공간(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네트(103)는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히터(102)로부터 이격되어 저장 공간(110)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103)는 히터(102)가 위치된 부분을 제외한 저장 공간(110)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네트(103)는 금속 등과 같은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히터(102)가 저장 공간(110)의 공기를 가열할 때, 네트(103)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공급관(111)을 통해 저장 공간(110)에 공급될 때, 공급된 공기는 저장 공간(110)의 공기와 혼합되고 히터(102)에 의해 가열되기도 하고 네트(103)를 통과하면서 네트(103)의 열을 흡수하기도 한다. 즉, 공기는 저장 공간(110)에서 히터(102) 및 네트(103)의 조합으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공급된 공기는 저장 공간(110)에서 히터(102)에 의해 가열되면서 네트(103)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네트(103)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모이거나 퍼질 수 있고(도 2의 확대된 부분 화살표 참조), 네트(103)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는 저장 공간(110)에서 고르게 유동하면서 가열된 상태로 유지되어 배출관(1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네트(103)는 다양한 형태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장 공간(110)에서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10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평평한 판 형태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네트(103)는 저장 공간(110)에서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호 간에 평행하면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도 3(a) 참조).
또한, 네트(10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형 판 형태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네트(103)는 동일한 길이 및 상이한 둘레 크기를 가지면서 동일한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3(b) 참조).
상기와 같은 경우, 저장 공간(110)에 가열된 공기는 상측 방향으로 유동하기에, 히터(102)의 상측에 위치되는 네트(103)의 개수는 히터(102)의 하측에 위치되는 네트(103)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배 내지 6배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2)의 상측에 위치되는 네트(103)는 100겹 내지 300겹을 형성할 수 있고, 히터(102)의 하측에 위치되는 네트(103)는 50겹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네트(103)의 개수는 저장 공간(110)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네트(10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하나의 베이스 네트(131) 및 복수 개의 서브 네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도 3(c) 참조).
베이스 네트(131)는 기둥형 판 형태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저장 공간(110)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네트(131)의 상면 및 하면은 개방된 형태이다. 또한, 베이스 네트(131)는 저장 공간(11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서브 네트(13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베이스 네트(131)의 내부에 위치되어 베이스 네트(131)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서브 네트(133)는 베이스 네트(131)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평평한 판 형태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100)에서 하우징(101)은 저장 공간(110)을 통해 공기를 저장할 수 있고, 히터(102)는 저장 공간(110)의 공기를 가열하면서 네트(103)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공기는 공급관(111)을 통해 저장 공간(110)에 공급되고 저장된 공기와 혼합되며 히터(102)에 의해 가열되면서 네트(103)를 통과하면서 네트(103)의 열을 흡수하고 저장 공간(110)에서 고르게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 열풍 장치(100)는 저장된 공기와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되고 간단하면서도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고, 가열된 공기를 안정적으로 생성하여 탈취 및 건조를 위한 장치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탈취 열풍 장치
101: 하우징
102: 히터
103: 네트

Claims (10)

  1.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일부분에 연결되는 공급관 및 나머지 일부분에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하우징;
    공급관과 배출관 사이의 저장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우징의 외측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히터; 및
    저장 공간에서 히터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고, 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네트를 포함하되,
    저장 공간에서 히터는 네트 및 공기를 가열하고, 공기는 네트를 통과하면서 네트의 열을 흡수하며,
    네트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기둥형 판 형태의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길이 및 상이한 둘레 크기를 가지면서 동일한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열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히터는,
    하우징의 외측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는 히터 플랜지; 및
    히터 플랜지에 연결되어 저장 공간의 횡단면 상에 위치되고,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히터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열풍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히터의 상측에 위치되는 네트들의 개수는 히터의 하측에 위치되는 네트들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열풍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23322A 2022-09-28 2022-09-28 탈취 열풍 장치 KR10250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22A KR102506655B1 (ko) 2022-09-28 2022-09-28 탈취 열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22A KR102506655B1 (ko) 2022-09-28 2022-09-28 탈취 열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655B1 true KR102506655B1 (ko) 2023-03-03

Family

ID=8551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22A KR102506655B1 (ko) 2022-09-28 2022-09-28 탈취 열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6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698A (ja) * 1992-09-30 1994-04-28 Nippon Chem Plant Consultant:Kk 気体加熱装置
KR20130098544A (ko) * 2012-02-28 2013-09-05 김영규 공기 가열식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698A (ja) * 1992-09-30 1994-04-28 Nippon Chem Plant Consultant:Kk 気体加熱装置
KR20130098544A (ko) * 2012-02-28 2013-09-05 김영규 공기 가열식 난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4760B (zh) 用于颗粒状塑料材料除湿的除湿设备和方法及料斗结构
US8789288B2 (en) Pedestal drying machine using PTC heater
US1523509A (en) Drier
KR102506655B1 (ko) 탈취 열풍 장치
US1607841A (en) Drying apparatus
KR102529948B1 (ko) 좁은 공간에서도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물 수분 증발기
KR101902210B1 (ko) 건조기
KR20130114451A (ko) 열펌프를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KR101728093B1 (ko)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
US505967A (en) Sterilizing apparatus
KR20090129689A (ko) 수산물 열풍건조기
KR200399675Y1 (ko) 농수산물 건조장치
JPH0560463A (ja) 混合乾燥機
CN210020277U (zh) 一种新型药材蒸薰装置
US126455A (en) Improvement in grain-driers
US1629943A (en) Electrical heating unit for drying apparatus
KR20080024604A (ko) 농산물건조장치
KR20170119265A (ko) 세라믹 히터를 구비한 식품 건조기
US64581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fixing of tubular fabric
CN103453745A (zh) 可控制物料厚度的红外干燥器
KR20180091591A (ko) 건조 장치
US411649A (en) Albert j
SU890046A2 (ru) Тепломасс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US843332A (en) Cloth-pressing buck.
US10132564B1 (en) Plant dryer with improved convection 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