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351B1 - 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 - Google Patents

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351B1
KR102506351B1 KR1020200127812A KR20200127812A KR102506351B1 KR 102506351 B1 KR102506351 B1 KR 102506351B1 KR 1020200127812 A KR1020200127812 A KR 1020200127812A KR 20200127812 A KR20200127812 A KR 20200127812A KR 102506351 B1 KR102506351 B1 KR 10250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ell
unit
clean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5290A (en
Inventor
조선남
김갑돌
김용석
고광필
홍예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0012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351B1/en
Publication of KR2022004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3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정 외부 지상의 권양기에 감겨 있는 와이어, 와이어의 상승 또는 하강 기동, 정지, 속도 조절, 및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며 지하수 우물자재의 내부로 장입되고 표면에 브러쉬가 장착되어 있는 세척부, 관정 외부 지상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승 및 하강에 상관없이 관정 깊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와이어를 왕복시키는 상하 왕복 구동부, 및 와이어의 상하 왕복 기동, 상하 왕복 거리, 상하 왕복 기동의 정지, 상하 왕복 기동의 속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와이어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관정 내부에 투입되며,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하 왕복 구동하여 우물자재 표면의 오염물을 마찰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 세척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wound on a hoist on the ground outside the well, a first wire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fting or lowering of the wire, stopping, speed control, and moving distanc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to the inside of the groundwater well material. A cleaning unit that is charged and equipped with a brush on the surface, installed on the ground outside the well, and a vertical reciprocating driving unit that reciprocates the wire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well depth direction regardless of the rise and fall of the wire, and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of the wire, A second wire driving controller controlling the vertical reciprocating distance, the stop of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vement, and the control of the speed of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vement, wherein the cleaning unit is inside the well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wire driving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is maintained by the wire. and is reciprocally driven up and down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wire drive control unit to physically remov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by friction.

Description

지하수 관정 세척 시스템 {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하수 관정 내부우물자재에 투입되어 브러쉬부의 상하 운동을 통해 우물자재 표면을 세척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well clea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proposes a new device capable of cleaning the surface of a well material through an up-and-down movement of a brush unit after being put into a well material inside a groundwater well.

지하수는 지표에 내린 빗물이나 눈이 땅속으로 침투하여 고여 있거나 흐르는 상태의 물로서 하천수 등의 지표수와 함께 주요 수자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비상용수 또는 대체수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Groundwater is used as a major water resource along with surface water such as river water as rainwater or snow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ground and is in a state of stagnant or flowing state. value is increasing.

농업용, 공업용 등의 용수 및 농어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반에 관정을 뚫고, 관정의 내부에 케이싱을 설치하며,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여 관정의 내부에 양수관을 삽입한 다음 펌프를 사용하여 지하수를 양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추기와 콤퓨레셔 등 장비를 이용하여 지면(G) 아래로 굴착하여 지하수 관정을 형성하며, 소공, 중공, 대공에 따라 관정 깊이가 달라지지만 최소 20m 에서 많게는 500m 이상 굴착하는 경우도 있다. 굴착된 관정 내부에는 지하수맥에 연결되는 파쇄층(F)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가 모이게 되며 관정 내부 일정 깊이에 지하수의 자연수위(UW)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공 상태의 관정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VC나 스테인리스 재질의 파이프 형태의 내부우물자재(P)가 투입되며, 관정 내부 깊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파이프가 연결소켓부(P1)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유공부(P2)를 통해 관정의 수맥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를 우물자재 내부로 유입시켜 우물자재 내부에서 자연수위가 마련되도록 한다. 암반 사이에 흐르고 있는 지하수는 암반공을 통하여 관정에 모이게 되고, 관정에 모인 지하수는 수중모터펌프의 작동에 의해 강제 흡입된 후 양수관을 따라 송수배관으로 공급된다.In order to supply water for agriculture, industry, etc., and living water for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 pipe well is drilled into the ground, a casing is installed inside the pipe well, a pumping pipe is inserted into the pipe well by penetrating the casing, and then a pump is used to supply groundwater It is a common form to use positive numb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n underground water well is formed by excavating below the ground (G) using equipment such as a drilling machine and a compressor. In some cases, the excavation is more than 500m. Inside the excavated well, the groundwater flowing through the fracture layer (F)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water vein is collected, and the natural water level (UW) of groundwater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inside the well. As shown in FIG. 2, an internal well material (P) in the form of a pipe made of PVC or stainless steel is put into the bare well, and a plurality of pipes are coupled by the connection socket part (P1) to correspond to the inner depth of the well. The groundwater flowing from the water vein layer of the well through the perforated part (P2)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well material so that the natural water level is provided inside the well material. The groundwater flowing between the bedrock is collected in the well through the bedrock hole, and the groundwater collected in the well is forcibly sucked by the operation of the submersible motor pump and then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along the pumping pipe.

지하수는 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용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크다. 그러나 지하수는 빗물 등에 의해 보충되는 양보다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오염물질이 침투되어 수질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재생과 회복에 오랜 시일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하수를 개발한 후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와 더불어, 물 부족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지하수 관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Groundwater is very useful in that it can secure safe water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at low cost. However, when groundwater is used in excess of the amount replenished by rainwater or the like, or when water quality deteriorates due to infiltration of pollutants, long time and effort are required for regeneration and recovery. Therefore, after developing groundwater,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manage groundwater well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wells and to ensure stable water supply without causing water shortage problems.

초기 개발 당시 지하수 관정의 무너짐에 대비하고 돌가루 등의 이물질이 관정 내부에 쌓이지 않도록 관정 내부에 설치되는 우물자재는 사용 시간이 오래됨에 따라 물에 잠겨 있는 우물자재 부근에 대량의 물때가 발생하여 지하수의 수질을 변화시키며 농업용, 공업용, 생활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지하수 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우물자재 표면에 발생하는 물때는 물에 녹아있는 수산화철 등의 물질이 침전 또는 벽면에 부착되어 다갈색으로 변하는 현상인데, 주요 원인은 예를 들어 우기 시 빗물이 지표면에 침투하고 지하수 관정 내부로 스며들면서 관정 내 자연수위 윗단에서부터 우물자재 표면에 발생되는 것이며 다갈색으로 미끌거리는 오염층이 형성된다. 안타깝게도 현재 사용 중인 지하수 관정 내부의 우물자재는 물때가 발생하더라도 그대로 방치되고 있으며, 자연적으로는 우물자재 표면에 형성된 물때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At the time of initial development, the well materials installed inside the well to prepare for the collapse of the underground well an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tone dust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well, caused a large amount of scale to occur near the submerged well material as it was used for a long time. It is a direct cause of contaminating the quality of groundwater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griculture, industry, and living. Water stains on the surface of well materials is a phenomenon in which substances such as iron hydroxide dissolved in water precipitate or adhere to the wall surface and turn brown. It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from the upper end of the natural water level, and a dark brown, slippery contamination layer is formed. Unfortunately, the well material inside the groundwater pipe well currently being used is left unattended even if scale occurs, and there is no way to remove the scal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naturally.

종래에 관정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 압축 공기 또는 고압수 분사 방식에 의해 관정 내부를 세척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Conventionally, as a technique for removing pollutants from a well, a method of cleaning the inside of a well by means of compressed air or high-pressure water injection has been proposed.

예를 들어, 등록특허 10-0497815호에 따르면, 관정 내부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측방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와류를 생성하여 강력한 세척력에 의해 내벽에 고착된 오염물질이 말끔히 제거됨은 물론 막힌 암반공을 뚫어주며, 관정의 바닥면에 적재된 오수 및 슬러지 등을 양력을 이용하여 상부로 자동 흡입하여 외부로 완전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정 세척장치를 제안하고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Registered Patent No. 10-0497815,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ell is discharged to the side and at the same time creates a vortex, so that contaminants adhered to the inner wall are completely removed by strong cleaning power, as well as by piercing the clogged rock hole. In addition, it proposes a well clea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sucks sewage and sludge loa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ell to the top using lift and completely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또한, 등록특허 10-0747738호에 따르면, 에어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인접한 고압수 유도관을 통해 흡입챔버의 내부에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하면서 관정 내부의 물을 고압수 분사관으로 흡입하며, 상기 고압수 분사관이 흡입한 물을 압축공기로 가압하여 생성한 고압수를 측방으로 분사하여 관정의 내벽에 고착된 오염물질을 말끔하게 제거함은 물론 암반공을 뚫어줄 수 있도록 하는 고압수를 분사하는 관정 세척장치를 제안하였다.In addition, according to Registered Patent No. 10-0747738, the compressed air injected from the air nozzle generates a strong suction force inside the suction chamber through the adjacent high-pressure water induction pipe, while sucking the water inside the well into the high-pressure water injection pipe. The high-pressure water generated by pressurizing the water sucked in by the high-pressure water jetting pipe with compressed air is sprayed sideways to cleanly remove contaminants adhered to the inner wall of the well as well as to drill the rock hole. A well cleaning device was proposed.

이와 같은 기존의 관정 세척장치는 관정 내부로 투입되는 장비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세척을 위한 압축 공기나 고압수 발생에 과도한 동력이 요구되어 에너지 소모가 많으며, 깊은 관정의 내부로 투입하는데 한계가 있어 지상부 근처의 관정 내부 이외에 오염원이 발생된 위치에서 실질적인 관정 세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Such an existing well cleaning device has a very complicated structure of equipment injected into the well, requires excessive power to generate compressed air or high-pressure water for cleaning, consumes a lot of energy, and has limitations in inserting into a deep wel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tually clean the well at the location where the contamination source is generated other than the inside of the well near the ground part.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 관정 내 세척이 용이한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under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device that facilitates cleaning in groundwater wel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깊이가 큰 관정에 있어서 세척부의 투입 동작과 더불어 세척 작용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관정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ll cleaning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ing a cleaning operation along with an input operation of a cleaning unit in a well with a large depth.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정 지상부의 설치 구조물의 규모를 줄이면서도 빠르고 안정적으로 관정 내부 세척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stably cleaning the inside of a well while reducing the size of an installation structure on the ground of a well.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정 외부 지상의 권양기에 감겨 있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상승 또는 하강 기동, 정지, 속도 조절, 및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며 지하수 우물자재의 내부로 장입되고 표면에 브러쉬가 장착되어 있는 세척부, 관정 외부 지상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승 및 하강에 상관없이 관정 깊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와이어를 왕복시키는 상하 왕복 구동부, 및 상기 상하 왕복 구동부에 의한 와이어의 상하 왕복 기동, 상하 왕복 거리, 상하 왕복 기동의 정지, 상하 왕복 기동의 속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와이어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관정 내부에 투입되며,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하 왕복 구동하여 우물자재 표면의 오염물을 마찰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세척부와 수직 방향으로 중심축이 일치하게 배치하여 연결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척부가 관정 내부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우물자재 표면을 세척하고,
상기 모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한 세척부의 회전 시, 상기 와이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커 및 상기 세척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부가 회전시 편심을 방지하는 브레이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커는 각각, 브레이커 바디; 및 상기 브레이커 바디의 내부에 서로 대향 배치되며, 피스톤 로드가 상기 관정 내벽을 향해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상기 브레이커를 상기 관정 내벽에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 세척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wire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wire wound on a hoist on the ground outside the well, a lifting or lowering start, stop, speed control,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 and one end of the wire. A cleaning unit that is connected and charged into the groundwater well material and equipped with a brush on the surface, an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e unit that reciprocates the wire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well regardless of the rise and fall of the wire, installed on the ground outside the well and a second wire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actuation of the wire by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driver,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distance, the stop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actuation, and the control of the speed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actuation, wherein the cleaning unit is tensioned by the wire. In the maintained state, it is put into the well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wire drive control unit, and is driven up and down reciprocally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wire drive control unit to physically remov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by friction,
Further comprising a motor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by aligning its central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by driving the motor, the cleaning unit cleans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by a rotational operation inside the well,
A breaker disposed above the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preventing rotation of the wire when the washing unit rotates by driving the motor, and a breaker disposed below the washing unit to prevent eccentricity when the washing unit rotates. Further comprising a breaker to prevent,
Each of the breakers includes a breaker body; and a cylinder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side the breaker body and having a piston rod move forward or backwar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well to fix or release the breaker to the inner wall of the well.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 왕복 구동부는 일정 거리로 직선 왕복 구동하는 실린더와, 실린더 구동 시 와이어의 이동 가이드 및 장력 인가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ing unit is linearly reciprocat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may include a cylinder, a guide for moving the wire when the cylinder is driven, and a roller for applying tensi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 왕복 구동부는 일정 거리로 상대적인 직선 왕복 구동하는 랙피니언 기어부, 기어 구동 모터, 및 와이어의 이동 가이드 및 장력 인가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reciprocating drive unit may include a rack and pinion gear unit that reciprocates relatively linear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gear driving motor, a wire movement guide, and a roller for applying tens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분사 노즐이 세척모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pray nozzl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part is disposed above or below the washing hair.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장치를 관정 내부에 투입하여 지하수 관정 내부 표면의 오염원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the contamina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ll by inserting a simple device into the well.

본 발명은 특히 와이어의 장력에 의지하여 관정 내부 원하는 깊이에 세척장치를 투입할 수 있고, 세척부의 단순한 왕복 기동에 의해 우물자재 표면의 물때 등 오염물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device can be introduced to a desired depth inside the well by relying on the tension of the wire, and contaminants such as water scale on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can be quickly removed by a simple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cleaning uni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관정 외부에 설치되는 장비나 관정 내부에 투입되는 장치의 규모가 단순하고 에너지 소모가 적어 정기적으로 관정 세척 작업을 실시하는데 적합하며, 규모에 상관없이 모든 지하수 관정에 두루 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지하수 수질을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performing regular well cleaning work because the scale of the equipment installed outside the well or the device inserted inside the well is simple and energy consumption is low, and it is suitable for all groundwater wells regardless of size. It can be installed throughout to manage groundwater quality more effectively.

도 1은 지하수 관정의 나공 상태를 보인 모식도
도 2는 지하수 관정 내부에 우물자재가 삽입된 후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수 관정 세척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도 4는 세척 시스템의 상하 왕복 구동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모식도
도 5는 세척 시스템의 상하 왕복 구동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모식도
도 6은 세척 시스템의 세척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중첩 세척 과정을 보인 모식도
도 8은 세척 시스템의 회전 동작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보인 모식도
도 9는 회전 동작부의 브레이커 구조를 보인 모식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of a groundwater pipe well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after the well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groundwater well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groundwater well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ing unit of the washing system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ing unit of the washing system;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unit of the washing system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verlapping washing process;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cluding a rotating operation unit of the washing system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reaker structure of the rotating operation unit

본 발명은 관정 내부에 침투되어 관정 내벽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부를 구비하며, 세척부의 관정 투입 후 또는 투입 동작과 함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한 물리적 세척을 진행할 수 있는 지하수 관정용 세척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leaning system for groundwater wells, including a cleaning unit capable of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a well and cleaning the inner wall of the well, and capable of performing physical cleaning by up-and-down reciprocating motion after the clean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well or together with the input operation.

본 발명의 세척 시스템은 관정 지상부에 와이어 및 권양기, 와이어의 상하 왕복 구동부를 구비하고, 관정 내부로 세척부를 투입하면서 세척부의 상하 왕복 동작을 제어하여 고압수나 압축 공기 등을 발생시키는 복잡한 장치없이도 관정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a winch, and a vertical reciprocating drive of the wire on the ground of the well, and controls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of the cleaning unit while inserting the cleaning unit into the well to generate high-pressure water or compressed air inside the well without a complicated device. can be easily cleaned.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와이어를 통해 세척부를 관정 내부의 원하는 위치로 투입하며, 와이어 길이를 제어하여 와이어에 매달린 세척부의 투입 깊이를 조절한다. 또한, 와이어의 투입 동작과 별도로 와이어의 상하 왕복 운동을 통한 세척부의 상하 왕복 구동이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 내지 폭으로 와이어의 반복 동작이 가능한 장치를 제안하며, 예를 들어 실린더나 랙앤피니언 기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하 왕복 구동부는, 권양기에서 감김 상태가 해제되는 와이어의 풀림 속도(속도 V1)와 상관없이, 관정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세척부의 상하 왕복 운동(속도 V2)을 가능하게 하여 세척부의 관정 내 깊이 방향의 이동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관정 내벽의 세척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unit is basically introduced into a desired position inside the well through a wire, and the length of the wire is controlled to adjust the insertion depth of the cleaning unit hanging on the wire. In addition, we propose a device capable of repetitive operation of the wir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width so that the washing unit can be driven up and down through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of the wire separately from the input operation of the wire, and for example, a cylinder or a rack and pinion gear can be used. can This up-and-down reciprocating drive unit enables the up-and-down reciprocating motion (speed V2) of the cleaning unit inserted into the well regardless of the unwinding speed (speed V1) of the wire at which the winding state is released in the hoisting machine, thereby increasi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in the well at the same time as the movement of Alternatively, the cleaning a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well can be performed sequentially.

또한, 본 발명의 세척 시스템은 와이어의 상하 왕복 구동을 통한 세척부의 상하 동작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세척부의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회전 모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motor unit to enable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leaning unit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through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ing of the wir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chnical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수 관정 세척 시스템을 보인 개략도이다. 와이어(110)가 관정 외부 지상에 설치된 권양기(120)에 감겨 있다. 와이어의 관정 내부에서의 상승(감김 동작) 또는 하강(풀림 동작)과 관련된 기동, 상승 또는 하강의 정지, 상승 또는 하강 속도 조절, 및 상승 또는 하강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130)가 권양기 자체에 또는 권양기와 별도로 설치된다. 세척부(200)는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어 지하수 우물자재의 내부로 장입되며 표면에 브러쉬 등의 세척모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관정 외부 지상에, 와이어가 권양기로부터 풀리거나 감기는 동작에 따라 관정 내에서 와이어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 M1 동작)에 상관없이 관정 깊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수직 간격)로 와이어를 왕복시키는 상하 왕복 구동부(300)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왕복 구동부는 권양기로부터 풀린 와이어가 관정 내부로 투입되기 전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groundwater well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110 is wound around a hoist 120 installed on the ground outside the well. A first wire drive control unit 130 that controls start-up related to the rise (winding operation) or descent (unwinding operation) of the wire inside the tube, stop of the rise or fall, adjustment of the speed of the rise or fall,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rise or fall is installed on the hoist itself or separately from the hoist. The washing unit 2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wire and charged into the groundwater well material, and washing hair such as a brush is mounted on the surface. In addition, on the ground outside the well,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raising or lowering the wire in the well (M1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unwinding or winding the wire from the winder,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wire at a certain distance (vertical interval)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well A reciprocating drive unit 300 is installed.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e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before the wire released from the hoist is introduced into the well.

와이어가 권양기로부터 풀리면서 와이어 일단에 매달려 있는 세척부(200)에 장력을 제공하면서 관정(W) 내부로 투입시킨다. 권양기로부터 풀린 와이어는 관정 지상부에 설치된 상하 왕복 구동부(300)에 의해 풀림 동작과 별개로 상하 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관정 내 투입된 세척부의 상하 왕복 동작(M2 동작)을 전달한다. 상기 상하 왕복 구동부에 의한 와이어의 상하 왕복 기동, 상하 왕복 거리, 상하 왕복 기동의 정지, 상하 왕복 기동의 속도 조절은 별도의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As the wire is unwound from the winder, it is introduced into the well (W) while providing tension to the cleaning unit (200) hanging from one end of the wire. The wire unwound from the winch repeats the up and down motion separately from the unwinding motion by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ing unit 300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well, and transmits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motion (M2 operation) of the cleaning unit inserted into the well.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actuation of the wire by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drive unit,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distance, the stop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start-up, and the speed control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start-up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second wire driving control unit.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의 깊이를 갖는 지하수 관정 내부로 세척부를 투입하기 위해서 와이어는 고장력의 금속 재질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권양기로는 예를 들어 전동윈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insert the washing part into the groundwater well having a depth of tens to hundreds of meters, it is preferable to use a high-tension metal wire as a wire, and an electric winch or the like can be used as a hoist.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에 의해 권양기로부터 와이어의 풀림 동작, 즉 와이어 하강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 50 cm/sec의 속도로 와이어를 언와인딩시켜 관정 내부로 와이어를 투입할 수 있다. 와이어 하강 속도는 관정의 깊이나 세척부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와이어의 풀림에 따른 관정 내 세척부의 하강과 동시에 또는 교대로 와이어의 상하 왕복 운동이 진행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상하 왕복 운동은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에 의해 그 속도가 제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0.1 ~ 5 회/초의 속도로 와이어를 상하 왕복시킴으로써 와이어의 일단에 매달린 세척부의 관정 내 상하 왕복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는 와이어의 상하 왕복 거리를 통제함으로써 세척부가 관정 내부에서 관정 표면을 세척하는 범위를 제어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와이어 상하 왕복 거리를 5 ~ 20 cm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이 왕복 거리는 세척부의 길이나 관정 내부 직경, 관정의 깊이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The unwinding operation of the wire from the winch, that is,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ire, can be controlled by the first wire drive control unit, and the wire can be introduced into the well by unwinding the wire at a speed of, for example, 10 to 50 cm/sec. The wire descending speed can be adjus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ell or the size of the cleaning part.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ire may proceed simultaneously with or alternately with the descending of the washing part in the well due to the loosening of the wire, and the speed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ire may be controlled by the second wire driving control unit. By reciprocating the wire up and down at a rate of 5 times/sec,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in the well of the cleaning unit suspended from one end of the wire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second wire driving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ange in which the cleaning unit cleans the surface of the well inside the well by controlling the vertical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wire. For example, the vertical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wire may be controlled in the range of 5 to 20 cm The reciprocating distanc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cleaning part, the inner diameter of the well, the depth of the well, and the like.

도 4는 세척 시스템의 상하 왕복 구동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왕복 구동부는 일정 거리로 직선 왕복 구동하는 실린더(310)와, 실린더 구동 시 와이어의 이동 가이드 및 장력 인가용 다수의 롤러(112)를 포함한다. 실린더는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린더 축이 연장된 피스톤 로드(312) 끝단에 롤러가 결합된 상태로 피스톤 로드의 전진 및 후진 동작에 의해 와이어의 상하 반복 구동이 진행된다. 실린더의 왕복 구동 제어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에어나 유압 공급용 호스(312), 컴프레셔(316)나 유압펌프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vertical reciprocating driving unit of a washing system. 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reciprocating driving unit drives a linear reciprocating drive at a certain distance. It includes a cylinder 310 and a plurality of rollers 11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wire and applying tension when the cylinder is driven. Cylinders are, for example, pneumatic cylinders or hydraulic A cylinder may be used, and the wire is repeatedly driven up and down by forward and backward motions of the piston rod in a state in which a roller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312 to which the cylinder shaft is extended. A limit switch or the like can be used to control the reciprocating drive of the cylinder, and a hose 312 for supplying air or hydraulic pressure, a compressor 316 or a hydraulic pump can be provided together.

실린더형 상하 왕복 구동부에 의한 와이어의 상하 왕복 동작의 기동, 상하 동작의 왕복 거리, 상하 왕복 동작의 정지, 상하 왕복 동작의 속도 조절은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314)를 통해 제어되며, 피스톤 로드의 왕복 구동으로 롤러의 제1위치(112a) 및 제2위치(112b) 사이의 거리(D1) 만큼 관정 내부로 투입되어 있는 와이어가 동일한 거리(D2))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와이어의 일단에 매달려 관정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세척부가 관정 수직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The activation of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ire,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vertical motion, the stop of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speed adjustment of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by the cylindrical vertical reciprocating drive unit are controlled through the second wire driving control unit 314, and the piston rod The reciprocating drive causes the wire inserted into the well to reciprocate as much a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position (112a) and the second position (112b) of the roller at the same distance (D2). As a result, the washing unit inserted into the well hanging from one end of the wire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l.

도 5는 세척 시스템의 상하 왕복 구동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모식도로서, 와이어의 상하 왕복 구동을 위해 랙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rtical reciprocating driving unit of the cleaning system,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rack and pinion gear for the vertical reciprocating drive of the wire.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 왕복 구동부는 일정 거리로 상대적인 직선 왕복 구동하는 랙(320)과 피니언(321) 기어부,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구동 모터(326), 및 와이어의 이동 가이드 및 장력 인가용 다수의 롤러(112)를 포함하고 있다. 랙은 지지 구조물(322)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피니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모터는 예를 들어 전동모터나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피니언에 전달되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감속기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도면에는 피니언과 모터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지 않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시스템 구현 시 회전 방향을 일치시키거나 모터 회전과 피니언의 회전을 매개하는 별도의 부품을 부가할 수 있고, 피니언은 지지 구조물 상부에 고정된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p-and-down reciprocating drive unit includes a rack 320 and a pinion 321 gear unit for relatively linear reciprocating driv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gear driving motor 326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and a number of wire guides and tension applications. It includes a roller 112 of. The rack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upport structure 322 and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inion. As the motor,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or a hydraulic motor may be used, and a reducer may be further added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transmitted to the pinion. Although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pinion and the motor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tation directions may be matched when the actual system is implemented, or a separate part that mediates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pinion may be added, and the pinion is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structure. It can be mounted so that it can rotate in a fixed position.

랙피니언 방식의 상하 왕복 구동부에 있어서, 와이어의 상하 왕복 동작의 기동, 상하 동작의 왕복 거리, 상하 왕복 동작의 정지, 상하 왕복 동작의 속도 조절은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324)를 통해 제어되는데, 모터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피니언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통제하고 그 결과, 랙 상부 끝단에 결합된 롤러의 제1위치(112a) 및 제2위치(112b) 사이의 거리(D1) 만큼 관정 내부로 투입되어 있는 와이어가 동일한 거리(D2))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와이어에 매달려 관정 내부에 투입된 세척부가 관정 수직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In the rack-and-pinion type vertical reciprocating driving unit, starting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ir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vertical motion, stopping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and adjusting the speed of the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are controlled by the second wire drive control unit 324, By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speed of the motor, the rotation speed and direction of the pinion are controlled, and as a result,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position 112a and the second position 112b of the rolle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ack The wire inserted into the well is reciprocated at the same distance (D2). As a result,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leaning unit suspended on the wire and inserted into the well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ll.

상하 왕복 구동부로서 실린더 방식 또는 랙피니언 기어 방식의 선택은 관정의 위치, 규모, 설치 장소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selection of the cylinder type or the rack and pinion gear type as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ing unit can be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location, size, and installation situation of the well.

도 6은 세척 시스템의 세척부 구조를 보인 것으로, 세척부는 원통 형상의 세척바디(210)와 세척바디 표면에 결합된 복수의 세척모(212)를 포함한다. 세척바디의 외경은 대략 관정 내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세척모의 길이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세척부가 관정 내경에 가깝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모는 예를 들어 탄성재질의 브러쉬 형태로 장착될 수 있고, 세척부가 관정 내부로 투입하는데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세척부 상하 왕복 운동 시 관정 내면을 마찰에 의해 세척하기에 용이한 길이와 탄성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세척모는 세척바디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나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6 shows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unit of the washing system, and the washing part includes a cylindrical washing body 210 and a plurality of washing bristles 212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washing body. The outer diameter of the washing body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ell,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ing portion is substantially close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well due to the length of the washing hair. The cleaning bristles can be mount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brush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re formed to have a length and elasticity that facilitate clea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well by friction when the cleaning unit reciprocates up and dow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put of the cleaning unit into the well. can do. In addition, the washing hairs may be formed in different lengths or direction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washing body.

상기 세척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분사 노즐(220a, 220b)이 세척모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은 세척수 공급관(222)을 통해 제공되는 세척수가 분사되어 세척부의 상하 왕복 구동 중에 관정 내면의 세척을 보조할 수 있으며, 특히 지하수 관정의 자연수위 윗단에는 수분이 없어 세척모의 세척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데 지상부로부터 별도로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공급하여 자연수위 윗단에서도 세척 작용이 원활하게 한다. 분사 노즐은 세척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배치하여 분사 위치나 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세척부에 배치된 분사 노즐은 세척 작업 종료 후 지하수 관정 내부의 살균 작업을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In the washing unit, spray nozzles 220a and 220b for supplying washing water may be disposed above or below the washing hair. The spray nozzle sprays the wa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shing water supply pipe 222 to assist in cleaning the inside of the well during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washing unit. Washing water is separately supplied from the ground to the spray nozzle so that the washing action is smooth even at the top of the natural water level. The spray nozzl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eaning unit, or may be disposed separately to change the spray position or direction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spray nozzle disposed in the cleaning unit may be used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groundwater well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is finished.

세척부는 와이어 일단에 결합되어 관정 내부로 투입된 후 관정 내면에 세척부의 세척모가 부분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관정 내면의 물때 등 오염물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세척부는 와이어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관정 내부에 투입되고,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하 왕복 구동하여 우물자재 표면의 오염물을 마찰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거한다. The cleaning uni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inserted into the well, and then the cleaning hair of the cleaning unit is partially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well to remove contaminants such as water scale from the inside of the well. Specifically, the cleaning unit is put into the well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wire driving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maintained by the wire, and is driven up and down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wire driving control unit to physically remov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by friction. Remove with

세척부의 관정 내 깊이 방향으로의 이동(하강) 및 왕복 구동에 의한 세척 작업은 동시에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일정 깊이로 이동 후 왕복 구동 세척이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 작업은 관정 깊이 방향에 대해 중첩되는 간격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세척 과정의 예를 보인 모식도로서, 세척부는 와이어의 풀림 동작에 따른 하강으로 단위 깊이로 순차적인 이동을 진행하며(200a, 200b, 200c 의 순서), 각각의 위치에서 세척부의 수직 길이와 동일하거나 세척부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더 연장된 길이로 상하 왕복 구동이 진행되어(C1, C2, C3의 순서)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정 깊이 방향으로 순차적인 이동과 상하 왕복 구동이 중첩된 동작에 의해 미세척 영역이 발생되지 않고 관정 내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in the direction of depth in the well (lowering) and the cleaning operation by the reciprocating drive may be simultaneously and continuously performed, or the reciprocating cleaning may be alternately repeated after moving to a certain depth.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washing operation at overlapping intervals in the well depth direc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leaning process, in which the cleaning unit moves sequentially to a unit depth by descending according to the unwinding operation of the wire (in the order of 200a, 200b, and 200c), and the vertical length and The up-and-down reciprocating drive is performed at the same or extend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leaning unit (in the order of C1, C2, and C3) to perform cleaning.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well can be effectively cleaned without generating a non-cleaning area by the overlapping operation of the sequential movement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well and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e.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시스템은 전술한 상하 왕복 구동부에 부가하여 세척 동작을 보조하는 회전 모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모터는 방수모터를 사용하는 한편, 세척부의 세척바디와 수직 방향으로 중심축이 일치하게 배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세척 시스템의 회전 동작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보인 모식도로서, 회전 모터(400)가 세척부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 모터의 회전 축(404)은 세척바디 중심과 수직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회전 모터의 전원선(402)는 관정 상부로부터 관정 내로 연장되어 모터에 연결되며,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력이 세척부에 전달된다. 이 경우 세척부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와이어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관정 내부에 투입되며,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척부가 관정 내부에서 수평적 회전 동작에 의해 우물자재 표면을 세척한다. 이러한 수평적 회전과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상하 왕복 구동이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motor that assists the cleaning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vertical reciprocating driving unit. In this case, while a waterproof motor is used as the rotating mo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axis of the washing part and the washing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be aligned and connected.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cluding a rotating operation unit of the cleaning system, wherein a rotation motor 400 is disposed above the cleaning unit, and a rotation axis 404 of the rotation motor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cleaning body. It is connected. The power line 402 of the rotational motor extends into the well from the top of the well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leaning unit by the rotational motor. In this cas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leaning unit is introduced into the well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wire driving control unit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is maintained by the wire, and the cleaning unit is driven to rotate horizontally inside the well by the driving of the rotary motor. Clean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by The horizontal rotation and the up-and-down reciprocating driv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proceed simultaneously, or may proceed sequentially,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터부는 필요에 따라 상하 왕복 구동부를 대체하여 단독으로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관정 지상부 장비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관정 주변이 협소한 경우에 적합하다. The rotary mot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cleaning unit alone by replacing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e unit as needed.

회전 모터부를 포함하는 경우, 모터의 상부에 브레이커(410a)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브레이커는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며, 모터 구동에 의한 세척부의 회전 시 와이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세척부의 하부에 브레이커(410b)를 추가로 배치하여 세척부 회전 시 편심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including the rotary motor unit, it is preferable to dispose the breaker 410a on top of the motor. This breake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serves as a stabiliz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wire when the cleaning unit rotates by motor driv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place a breaker 410b under the washing unit to prevent eccentricity during rotation of the washing unit.

회전 모터의 구동 시 브레이커 자체는 회전하지 않으며, 회전 축이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유지하여 모터와 세척부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부에 배치되는 브레이커에는 모터 전원선과 더불어 세척수 분사 노즐이 관통될 수 있다. 브레이커는 회전 모터 구동 시에만 관정 내에서 고정력을 발휘하며 와이어 풀림에 의한 세척부 하강 시 관정 내벽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도 9는 회전 동작부의 브레이커 구조를 보인 모식도로서, 브레이커 바디(411) 내부에 두 개의 실린더(412, 414)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관정 내벽을 향해 전진(413b, 415b)하거나 후진(413a, 415a)하여 브레이커를 관정 내벽에 대해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세척부의 회전을 위해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 브레이커의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가 전진된 상태로 세척부와 모터를 관정 내벽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고 편심도 방지한다. 세척 동작 후 세척부가 관정 깊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브레이커의 실린더는 피스톤 로드를 후진시켜 세척부와 모터의 이동에 장애가 없도록 한다. When the rotary motor is driven, the breaker itself does not rotate, and the rotating shaft maintains its center without shaking, so that the motor and cleaning unit rotate stably. A motor power line and a washing water spray nozzle may pass through the break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he breaker exerts a fixing force within the well only when the rotary motor is driven, and needs to be design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ner wall of the well when the cleaning part descends due to wire loosenin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reaker structure of the rotational operation unit, and two cylinders 412 and 414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side the breaker body 411. The piston rod of each cylinder is advanced (413b, 415b) or backward (413a, 415a) toward the inner well wall to lock or release the breaker against the inner well wall. When the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washing part, the cylinder of the breaker keeps the position of the washing part and the motor fixed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well while the piston rod is advanced, preventing twisting of the wire and preventing eccentricity.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when the cleaning part moves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well, the cylinder of the breaker moves the piston rod backward so that there is no obstacle in the movement of the washing part and the motor.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ively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forms are provi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laims.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110:와이어 112:롤러
120:권양기 130: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
200:세척부 210:세척바디
212:세척모 220a,220b:분사 노즐
222:세척수 공급관 300:상하 왕복 구동부
310:실린더 311:피스톤 로드
312:에어(유압)호스 314,324: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
316:컴프레셔 320:랙
321:피니언 322:지지 구조물
326:구동 모터 400:회전 모터
402:전원선 404:회전 축
406:베어링 410a,410b:브레이커
411:브레이커 바디 412,414:실린더
413,415:피스톤 로드
110: wire 112: roller
120: winch 130: first wire drive control unit
200: washing unit 210: washing body
212: washing hair 220a, 220b: spray nozzle
222: washing water supply pipe 300: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e unit
310: cylinder 311: piston rod
312: air (hydraulic) hose 314 324: second wire drive control unit
316: compressor 320: rack
321: pinion 322: support structure
326: drive motor 400: rotation motor
402: power line 404: axis of rotation
406: bearing 410a, 410b: breaker
411: breaker body 412, 414: cylinder
413,415: Piston rod

Claims (5)

관정 외부 지상의 권양기에 감겨 있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상승 또는 하강 기동, 정지, 속도 조절, 및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며 지하수 우물자재의 내부로 장입되고 표면에 브러쉬가 장착되어 있는 세척부,
관정 외부 지상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상승 및 하강에 상관없이 관정 깊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와이어를 왕복시키는 상하 왕복 구동부, 및
상기 상하 왕복 구동부에 의한 와이어의 상하 왕복 기동, 상하 왕복 거리, 상하 왕복 기동의 정지, 상하 왕복 기동의 속도 조절을 제어하는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에 의해 상기 권양기로부터 와이어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되, 10 ~ 50cm/sec의 속도로 와이어를 언와인딩시켜 관정 내부로 와이어를 투입하고,
상기 와이어의 상하 왕복 운동은 상기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에 의해 그 속도가 제어되되, 0.1 ~ 5 회/초의 속도로 상기 와이어를 상하 왕복시킴으로써 상기 세척부의 관정 내 상하 왕복 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는 상기 와이어의 상하 왕복 거리를 통제함으로써, 상기 세척부가 상기 관정 내부에서 관정 표면을 세척하는 범위를 제어하되, 와이어 상하 왕복 거리를 5 ~ 20 cm의 범위로 제어하고,
상기 세척부는 와이어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제1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관정 내부에 투입되며, 제2 와이어구동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하 왕복 구동하여 우물자재 표면의 오염물을 마찰에 의해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세척부와 수직 방향으로 중심축이 일치하게 배치하여 연결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척부가 관정 내부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우물자재 표면을 세척하고,
상기 모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한 세척부의 회전 시, 상기 와이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커 및
상기 세척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부가 회전시 편심을 방지하는 브레이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기 상하 왕복 구동부는,
일정 거리로 상대적인 직선 왕복 구동하는 랙과 피니언 기어부;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구동 모터; 및
와이어의 이동 가이드 및 장력 인가용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커는 각각,
브레이커 바디; 및
상기 브레이커 바디의 내부에 서로 대향 배치되며, 피스톤 로드가 상기 관정 내벽을 향해 전진하거나 후진하여 상기 브레이커를 상기 관정 내벽에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분사 노즐이 세척모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 세척 시스템.
Wire wound on a hoist on the ground outside the well,
A first wire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lifting or lowering start, stop, speed control,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wire;
A clean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charged into the groundwater well material, and equipped with a brush on the surface;
An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e unit installed on the ground outside the well and reciprocating the wire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well depth direction regardless of the rise and fall of the wire, and
And a second wire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of the wire by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driver,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distance, the stop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and the control of the speed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on,
The first wire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ire from the winch, unwinds the wire at a speed of 10 to 50 cm / sec, and inserts the wire into the well,
The speed of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ire is controlled by the second wire driving control unit, and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motion in the well of the cleaning unit can be controlled by reciprocating the wire up and down at a speed of 0.1 to 5 times/sec,
The second wire drive control unit controls the range in which the cleaning unit cleans the surface of the well inside the well by controlling the vertical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wire, and controls the vertical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wire in the range of 5 to 20 cm,
The clean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well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wire driving control unit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is maintained by the wire, and is driven up and down reciprocally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wire driving control unit to physically remov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by friction. do,
Further comprising a motor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by aligning its central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by driving the motor, the cleaning unit cleans the surface of the well material by a rotational operation inside the well,
A breaker disposed above the mo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 and preventing rotation of the wire when the cleaning unit rotates by driving the motor; and
Further comprising a breaker disposed under the washing unit to prevent eccentricity when the washing unit rotates,
The up and down reciprocating drive unit,
A rack and pinion gear unit that drives a relative linear reciprocating distance at a constant distance;
a gear drive motor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pinion; and
It includes a wire movement guide and a roller for applying tension,
Each of the breakers,
breaker body; and
A cylinder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side the breaker body and having a piston rod move forward or backwar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well to fix or release the breaker to the inner wall of the w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unit has a spray nozzle for supplying washing water disposed above or below the washing hair
Groundwater well clean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27812A 2020-10-05 2020-10-05 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 KR1025063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12A KR102506351B1 (en) 2020-10-05 2020-10-05 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12A KR102506351B1 (en) 2020-10-05 2020-10-05 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90A KR20220045290A (en) 2022-04-12
KR102506351B1 true KR102506351B1 (en) 2023-03-06

Family

ID=8118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812A KR102506351B1 (en) 2020-10-05 2020-10-05 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35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26B1 (en) * 2009-01-12 2009-09-21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Groundwater cardiac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brush with vertical dri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092U (en) * 1992-11-30 1994-06-24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Cutting device for rod
KR100872509B1 (en) * 2007-01-08 2008-12-08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Groundwater well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a synchro-rotator to apply pressure to the groundwater well wall
KR101345722B1 (en) * 2011-11-30 2013-12-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cleaning well using bru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526B1 (en) * 2009-01-12 2009-09-21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Groundwater cardiac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brush with vertical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290A (en)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037B1 (en) Groundwater core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up and down brush
KR100918526B1 (en) Groundwater cardiac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brush with vertical drive
RU2423600C2 (en) Borehole cleaning with downhole pumps
KR100872509B1 (en) Groundwater well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using a synchro-rotator to apply pressure to the groundwater well wall
JP2007527962A5 (en)
KR102506351B1 (en) Clean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well
KR200800910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sediment in closed conduit
KR20120017624A (en) Well cleaning apparatus with rotary and high pressure water
JP2017043942A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ttachment on inner surface of hollow pile
US20050023039A1 (en) Method for sinking a borehole in the ground and wet boring tool
JP2008223444A (en) Method for washing cutting edge of caisson and washing device thereof
KR100835138B1 (en) Cleaning device for natural water system
CN217538655U (en) Oil borehole operation well-flushing auxiliary device
CN112900530B (en) Environment-friendly hydraulic engineering ditch desilting device
CN216429483U (en) Miniature ground foundation reinforcement drilling machine for rock-soil construction
CN211397940U (en) Submersible pump capable of preventing sludge from being blocked
CN108518179A (en) A kind of baseboard of coal mine roadway minor diameter anchor cable clean-out machine and construction method
CN210523257U (en) Building tool cleaning equipment
JP2013060774A (en) Pull-out method for underground pile and device therefor
CN114856469B (en) Cementing skin cleaning device for water injection well
CN218407307U (en) Self-cleaning wheel type mountain drilling machine
CN213538959U (en) Pile driver
CN218049457U (en) Device for flushing accumulated mud of inclined tube packing
CN108978649B (en) High-pressure jet grouting foundation construction process
RU2013127628A (en) INSTALLATION FOR SIMULTANEOUS PRODUCTION AND MAINTENANCE WITH MECHANICAL PUMPING ON A FLEXIBLE PIPE FOR REMOVING FL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