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239B1 - Bod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Bod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6239B1 KR102506239B1 KR1020200185491A KR20200185491A KR102506239B1 KR 102506239 B1 KR102506239 B1 KR 102506239B1 KR 1020200185491 A KR1020200185491 A KR 1020200185491A KR 20200185491 A KR20200185491 A KR 20200185491A KR 102506239 B1 KR102506239 B1 KR 102506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ssis frame
- coupled
- frame
- assembly
- cen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는 ⅰ)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된 프론트 백빔 조립체, 프론트 샤시 프레임, 센터 샤시 프레임, 리어 샤시 프레임, 그리고 리어 백빔 조립체를 포함하는 언더 바디와, ⅱ)언더 바디 상에 장착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A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is disclosed. A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i) an underbody including a front back beam assembly, a front chassis frame, a center chassis frame, a rear chassis frame, and a rear back beam assembly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It may include a body and ii) an upper body mounted on the under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목적 기반의 초 소형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body structur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dy structure for a micro electric vehicle based on various purposes.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이다. 전기자동차는 매연이 없고, 소음이 적으며, 차체가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an electric vehicle is a vehicle that can use electric energy stored in a battery as a power source. Electric vehicles have the advantages of no exhaust, low noise, and light weight.
더 나아가, 최근 들어 자동차 업계에서는 인간 중심의 역동적 미래도시 구현을 위한 신개념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중의 하나가 목적 기반 모빌리티로서의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이다.Furthermore, recently, the automobile industry has introduced a new concept of future mobility vision for realizing a human-centered, dynamic future city. One of these future mobility solutions is a Purpose Built Vehicle (PBV) vehicle as purpose-based mobility.
PBV 차량은 지상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탑승객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으로, 전기 차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해 상황 별 최적 경로 설정 및 군집주행도 가능한 친환경 이동 솔루션 차량이다.The PBV vehicle is a vehicle that provides customized services necessary for passengers during the journey from the ground to the destination. It is an eco-friendly mobility solution vehicle that can set the optimal route for each situation and platooning using electric vehicl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이와 같은 PBV 차량과 같은 전기자동차는 다양한 목적 기반의 모빌리티를 구현하기 위해, 초 소형의 박스 타입 디자인으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자동차 업계에서는 넓은 실내 공간과 화물 적재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의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실정이다.Electric vehicles such as PBV vehicles must be manufactured with a compact box-type design in order to realize mobility based on various purposes. It is currently busy with development.
더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자동차는 사용 목적에 따라 승용, VAN, 화물 차량의 차체 구조를 적용해야 하는데, 차체 조립 라인에서는 차량의 목적성에 부합하는 차체들을 별개로 조립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종래에는 다양한 목적 기반의 차체를 조립하는데 따른 설비 투자비 및 생산 비용의 상승을 야기하고 있다.Furthermore, the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needs to apply the body structure of passenger cars, vans, and cargo vehicl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but in the body assembly line, it is inevitable to separately assemble the bodies that meet the purpose of the vehicle.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equipment investment costs and production costs are increased according to assembling vehicle bodies based on various purposes.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art section are prepar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ique belong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다양한 목적성에 부합할 수 있는 공용 플랫폼을 사용하며, 넓은 실내 공간과 화물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uses a common platform that can meet various purposes of a vehicle and secures a wide interior space and cargo loading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는, ⅰ)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된 프론트 백빔 조립체, 프론트 샤시 프레임, 센터 샤시 프레임, 리어 샤시 프레임, 그리고 리어 백빔 조립체를 포함하는 언더 바디와, ⅱ)상기 언더 바디 상에 장착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 an underbody including a front back beam assembly, a front chassis frame, a center chassis frame, a rear chassis frame, and a rear back beam assembly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ii) An upper body mounted on the under body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언더 바디는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에 장착되는 센터 플로워 조립체와,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어 플로워 조립체와,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의 리어 단과 상기 리어 백빔 조립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전장 가변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 body includes a center follower assembly mounted on the center chassis frame, a rear follower assembly mounted on the rear chassis frame, and the rear chassis frame. A variable length memb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ear beam assembly and the rear back beam assembly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센터 플로워 조립체는 상기 어퍼 바디를 통해 센터 캐빈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follower assembly may form a center cabin through the upper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는 상기 어퍼 바디를 통해 리어 캐빈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loor assembly may form a rear cabin through the upper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에 결합되는 스페이스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may include a space frame coupled to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the rear floor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 및 상기 전장 가변 멤버는 상기 어퍼 바디를 통해 러기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loor assembly and the variable length member may form a luggage portion through the upper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에 결합되는 스페이스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 및 상기 전장 가변 멤버에 결합되는 러기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includes a space frame coupled to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a luggage frame coupled to the rear floor assembly and the variable length member.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 프레임은 차체 전후 방향, 차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 및 상기 전장 가변 멤버와 결합되는 다수의 러기지 멤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ggage frame is connec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s coupled to the rear follower assembly and the length variable member. It may contain luggage memb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백빔 조립체는 리어 백빔과, 상기 리어 백빔의 양측에 연결되는 리어 크래쉬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back beam assembly may include a rear back beam and a rear crash box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ear back beam.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장 가변 멤버는 사각 단면 형상의 폐 단면을 지니며, 상기 리어 크래쉬 박스의 전단과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의 양측 리어 단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length member has a closed cross section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ear crash box and both rear ends of the rear chassis frame. I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과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은 제1 마운팅부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Also,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the space frame may be coupled through a first mount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팅부는 단차 면을 가지며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의 아웃터 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사이드 실과, 상기 사이드 실의 인너 면과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벌크 헤드들과, 상기 단차 면에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의 로워 사이드를 두고 상기 사이드 실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조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unting part has a stepped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chassis fram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side sills; A plurality of bulkheads coupled to the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spaced apart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ith the lower side of the space frame on the stepped surface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ill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joi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와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은 제2 마운팅부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loor assembly and the space frame may be coupled through a second mount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팅부는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의 로워 리어를 내측에 두고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에 결합되는 U 형상의 제2 조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ounting part may include U-shaped second joints coupled to the rear follower assembly with the lower rear of the space frame on the insid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는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의 양측 각각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반대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플로워 지지 멤버들과, 상기 제1 플로워 지지 멤버들의 상단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2 플로워 지지 멤버와, 상기 제2 플로워 지지 멤버에 차폭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플로워 지지 멤버들과, 상기 제2 플로워 지지 멤버와 상기 제3 플로워 지지 멤버들에 결합되는 리어 플로워 판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ollower assembly includes a pair of first floor support members coupled to each side of the rear chassis frame at an opposite inclination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 a second floor support member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first floor support member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plurality of third floor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second floor support membe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floor A support member and a rear floor panel module coupled to the third floor support member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언더 바디를 공용 플랫폼으로 사용하며, 전장 가변 멤버를 통해 언더 바디의 전장을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목적성에 부합하는 넓은 실내 공간 및 화물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차체를 조립하는데 따른 설비 투자비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the underbody as a common platform, and by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underbody through a variable length memb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interior space and cargo loading space that meets the purpose of the vehicle, and assemble the vehicle body. It can reduce equipment investment and production cost.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or predicted du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rectly or implicitly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exp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with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언더 바디의 리어 플로워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에 적용되는 언더 바디와 어퍼 바디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Since these drawings are for reference in explain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ic vehicle to which a bod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rear follower assembly of an under body applied to a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n under body and an upper body applied to a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lectric vehicle to which a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ivided into first, second, etc. to classify them based o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nd the ord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comprehensive unit of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lectric vehicle to which a bod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체 구조(100)는 예를 들면, 목적 기반 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 이하 PBV 라고 한다) 타입의 차량과 같은 초 소형의 전기자동차(1A)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여기서, 상기 PBV 타입의 전기자동차(1A)는 지상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탑승객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 차 기반의 친환경 이동 차량이다.Here, the PBV-type
나아가, 상기 PBV 타입의 전기자동차(1A)는 넓은 실내 공간을 지닌 박스형 디자인 차량일 수 있다. 상기한 박스형 디자인의 전기자동차(1A)는 윈드 실드 글라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차체의 최 전방에 구성하고 있다.Furthermore, the PBV type
더 나아가, 상기 PBV 타입의 전기자동차(1A)는 센터 측에 센터 캐빈부(3)를 형성하고, 리어 측에 리어 캐빈부(5)를 형성하며, 넓은 실내 공간을 갖는 박스 디자인형 승용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BV type electric vehicle (1A) forms a center cabin portion (3) on the center side, forms a rear cabin portion (5) on the rear side, and is a box design type passenger vehicle having a wide interior space. can include
당 업계에서는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체 길이 방향(차체 전후 방향)을 T 방향, 그리고 차체의 높이 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방향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LTH 방향으로 설정하는 대신, 차폭 방향, 차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정하여 하기에서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rt,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L direction, the vehicle body length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s the T direction, and the vehicle body height direction as the H direction.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setting the L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reference directio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set, and the following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또한,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nd (one/one end or the other end/one end) in the following may be defined as either end, and is defined as a certain portion (one/one end or the other end/one end) including the end. It could be.
상기에서와 같은 전기자동차(1A)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100)는 차량의 목적성에 부합할 수 있는 공용 플랫폼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100)는 기본적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갖는 승용 차량의 전기자동차(1A)를 구성할 수 있는 언더 바디(10)와 어퍼 바디(6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3,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언더 바디(10)는 전체 차체 구조(100)의 하부 프레임으로서, 스케이트 보드 타입(당 업계에서는 롤링 샤시 타입 이라고도 한다)으로 구비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
이러한 언더 바디(10)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된 프론트 백빔 조립체(11), 프론트 샤시 프레임(21), 센터 샤시 프레임(25), 리어 샤시 프레임(31), 그리고 리어 백빔 조립체(51)를 포함하고 있다.The under
상기 프론트 백빔 조립체(11)는 언더 바디(10)의 최 전방 측에 구비되며, 프론트 샤시 프레임(21)은 프론트 백빔 조립체(11)의 후방 측에 연결된다.The front back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25)은 프론트 샤시 프레임(21)의 후방 측에 연결되며, 리어 샤시 프레임(31)은 센터 샤시 프레임(25)의 후방 측에 연결된다.The
상기 리어 백빔 조립체(51)는 언더 바디(10)의 최 후방 측에서 리어 샤시 프레임(31)의 후방 측에 연결된다.The rear back
상기에서 프론트 백빔 조립체(11)는 프론트 백빔(13)과, 그 프론트 백빔(13)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프론트 크래쉬 박스(1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크래쉬 박스(15)는 사각 단면 형상의 폐 단면을 지니며, 프론트 백빔(13)과 프론트 샤시 프레임(21)을 연결한다.In the above, the front back
상기 프론트 샤시 프레임(21)에는 대시 판넬 조립체(23)가 장착되며, 구동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25)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센터 캐빈부(3)를 형성하며, 리어 샤시 프레임(31)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리어 캐빈부(5)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25)에는 크로스 멤버 등을 통해 배터리 어셈블리(9)가 장착(탑재)된다.A
그리고, 상기 리어 백빔 조립체(51)는 리어 백빔(53)과, 그 리어 백빔(53)의 전방 측에 연결되는 리어 크래쉬 박스(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리어 크래쉬 박스(55)는 사각 단면 형상의 폐 단면을 지니며, 리어 백빔(53)과 리어 샤시 프레임(31)을 연결한다.And, the rear back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100)에서 언더 바디(10)는 센터 플로워 조립체(27)와, 리어 플로워 조립체(33)를 더 포함하고 있다.Meanwhile, in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센터 플로워 조립체(27)는 센터 샤시 프레임(25)에 장착되는 것으로, 프론트 샤시 프레임(21)을 통해 대시 판넬 조립체(23)와 연결된다. 상기 센터 플로워 조립체(27)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어퍼 바디(60)를 통해 센터 캐빈부(3)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센터 플로워 조립체(27)는 차폭 방향을 따른 양단 부를 통해 센터 샤시 프레임(25)과 결합되는 센터 플로워 판넬(28)을 포함한다. 상기한 센터 플로워 판넬(28)에는 시트 마운트, 스티어링 마운트 등과 같은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33)는 리어 샤시 프레임(31)에 장착되는 것으로, 센터 샤시 프레임(25)을 통해 센터 플로워 조립체(27)와 연결된다.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33)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어퍼 바디(60)를 통해 리어 캐빈부(5)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리어 플로워 조립체(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로워 지지 멤버(35)들, 제2 플로워 지지 멤버(37), 제3 플로워 지지 멤버(39)들, 그리고 리어 플로워 판넬 모듈(41)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상기 제1 플로워 지지 멤버(35)들은 리어 샤시 프레임(31)의 양측 각각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플로워 지지 멤버(35)들은 리어 샤시 프레임(31)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리어 샤시 프레임(31)의 양측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반대로 상호 경사지게 결합된다.The first
상기 제2 플로워 지지 멤버(37)는 제1 플로워 지지 멤버(35)들의 상단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상기 제3 플로워 지지 멤버(39)들은 복수 개로서 제2 플로워 지지 멤버(37)에 차폭 방향으로 연결된다.The second
그리고, 상기 리어 플로워 판넬 모듈(41)은 제2 플로워 지지 멤버(37) 및 제3 플로워 지지 멤버(39)들에 결합된다.And, the rear
상기한 리어 플로워 판넬 모듈(41)은 제2 및 제3 플로워 지지 멤버(37, 39)들의 상면에 결합되는 리어 플로워 판넬(43)과, 그 리어 플로워 판넬(43)의 상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보강 판넬(45)들을 포함한다.The above rear
상기에서 보강 판넬(45)들은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된 판재 구비되고, 리어 플로워 판넬(43)의 상면에 차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그 리어 플로워 판넬(43)의 상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In the above, the reinforc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어퍼 바디(60)는 전체 차체 구조(100)의 상부 프레임(또는 캐빈 프레임)으로서, 언더 바디(10) 상에 장착(결합)된다.1 to 3,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어퍼 바디(60)는 언더 바디(10)의 센터 샤시 프레임(25) 및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에 결합되는 스페이스 프레임(6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61)은 센터 플로워 조립체(27) 및 리어 플로워 조립체(33)를 통해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센터 캐빈부(3) 및 리어 캐빈부(5)를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61)은 예를 들면, 파이프 타입의 프레임 멤버들이 용접 또는 조인트를 통해 연결된 프레임 골격으로 구비되며, 그 스페이스 프레임(61)에는 각종 판넬(6)들이 결합된다. 이러한 판넬(6)들은 사이드 판넬 앗세이, 루프 판넬 앗세이, 펜더 판넬 앗세이, 후드 판넬 앗세이, 그리고 테일 게이트 판넬 앗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스페이스 프레임(6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운팅부(71)(당 업계에서는 바디 결합부 라고도 한다)를 통해 센터 샤시 프레임(25)에 결합(마운팅)되며, 바디 결합부로서의 제2 마운팅부(72)를 통해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와 결합(마운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제1 마운팅부(71)는 사이드 실(73), 복수 개의 벌크 헤드(75)들, 그리고 복수 개의 제1 조인트(77)들을 포함하고 있다.The first mounting
상기 사이드 실(73)은 스페이스 프레임(61)의 로워 사이드를 센터 샤시 프레임(25)의 양측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차 면(74)을 지닌 단면 형상의 판넬로 구비되며, 센터 샤시 프레임(25)의 아웃터 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The
상기에서 단차 면(74)은 사이드 실(73)의 하부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면으로 구비되며, 그 단차면(74)에는 스페이스 프레임(61)의 로워 사이드가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In the above, the stepped
상기 벌크 헤드(75)들은 사이드 실(7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사이드 실(73)의 인너 면과 센터 샤시 프레임(25)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며, 사이드 실(73)의 인너 면과 센터 샤시 프레임(25)의 아웃터 면 사이에서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bulk heads 75 are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그리고, 상기 제1 조인트(77)들은 사이드 실(73)의 단차 면(74)에 스페이스 프레임(61)의 로워 사이드를 두고 사이드 실(73)의 아웃터 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조인트(77)는 대략 ㄷ 형상의 단면을 지닌 마운팅 브라켓으로 구비된다.The
상기 제2 마운팅부(72)는 스페이스 프레임(61)의 로워 리어를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제2 조인트(79)들을 포함한다.The second mounting
상기 제2 조인트(79)들은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와의 사이에 스페이스 프레임(61)의 로워 리어를 내측에 두고 그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의 리어 플로워 판넬(43)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조인트(79)들은 U 형상의 단면을 지닌 마운팅 브라켓으로 구비된다.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100)에 의하면,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차량으로서, 박스 디자인형 승용 차량의 전기자동차(1A)를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센터 플로워 조립체(27)와 리어 플로워 조립체(33)를 가진 언더 바디(10) 상에 스페이스 프레임(61)으로서의 어퍼 바디(60)를 결합하며, 센터 캐빈부(3)와 리어 캐빈부(5)를 갖는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lectric vehicle to which a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200)는 실내 공간과 화물 적재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PBV 타입의 전기자동차(1B)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이와 같은 PBV 타입의 전기자동차(1B)는 센터 측에 센터 캐빈부(3)를 형성하고, 리어 측에 러기지부(7)를 형성하고 있는 초 소형의 화물 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Such a PBV typ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200)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공용 플랫폼으로서의 언더 바디(10)를 어퍼 바디(160)와 결합하며, 박스 디자인형 화물 차량의 전기자동차(1B)를 구성할 수 있다.6 to 8, a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언더 바디(10)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전장 가변 멤버(81)를 더 포함하고 있다.To this end, the und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장 가변 멤버(81)는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와 뒤에서 더욱 설명될 어퍼 바디(160)를 통해 화물 차량의 전기자동차(1B)에 러기지부(7)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33) 및 전장 가변 멤버(81)는 어퍼 바디(160)를 통해 러기지부(7)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전장 가변 멤버(81)는 러기지부(7)의 화물 공간을 조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것으로서, 언더 바디(10)에서 리어 샤시 프레임(31)의 리어 단과 리어 백빔 조립체(51)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The length
이러한 전장 가변 멤버(81)는 사각 단면 형상의 폐 단면을 지니며, 리어 백빔 조립체(51)의 리어 크래쉬 박스(55)의 전단과 리어 샤시 프레임(31)의 양측 리어 단에 결합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어퍼 바디(160)는 언더 바디(10) 상에 결합되며,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센터 플로워 조립체(27)를 통해 센터 캐빈부(3)를 형성하고,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와 전장 가변 멤버(81)를 통해 러기지부(7)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어퍼 바디(160)는 스페이스 프레임(161)과, 러기지 프레임(191)을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61)은 언더 바디(10)의 센터 샤시 프레임(25)에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61)은 센터 플로워 조립체(27)를 통해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센터 캐빈부(3)를 형성할 수 있다.The
상기한 스페이스 프레임(161)은 예를 들면, 파이프 타입의 프레임 멤버들이 용접 또는 조인트를 통해 연결된 프레임 골격으로 구비되며, 그 스페이스 프레임(161)에는 각종 판넬(6)들이 결합된다.The above-described
더 나아가,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161)은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제1 마운팅부(71)를 통해 센터 샤시 프레임(25)에 결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러기지 프레임(191)은 언더 바디(10)의 리어 플로워 조립체(33) 및 전장 가변 멤버(81)에 결합된다. 상기 러기지 프레임(191)은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와 전장 가변 멤버(81)를 통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러기지부(7)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러기지 프레임(191)은 차체 전후 방향, 차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결된 다수 개의 러기지 멤버(193)들을 포함한다. 상기 러기지 멤버(193)들은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의 상면 및 전장 가변 멤버(81)의 상면에 볼팅 또는 용접 식으로 결합된다.The
이로써,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200)에 의하면,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공용 플랫폼으로서의 언더 바디(10)에서 리어 크래쉬 박스(55) 전단과 리어 샤시 프레임(31)의 양측 리어 단을 전장 가변 멤버(81)를 통해 연결하며, 언더 바디(10)의 전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언더 바디(10)의 센터 샤시 프레임(25), 리어 플로워 조립체(33) 및 전장 가변 멤버(81)에 어퍼 바디(160)로서의 스페이스 프레임(161)과 러기지 프레임(191)을 결합하며, 센터 플로워 조립체(27)를 통해 센터 캐빈부(3)를 형성하고, 리어 플로워 조립체(33)와 전장 가변 멤버(81)를 통해 러기지부(7)를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차량으로서, 박스 디자인형 화물 차량의 전기자동차(1B)를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200)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effects of 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언더 바디(10)를 공용 플랫폼으로 사용하며, 전장 가변 멤버(81)를 통해 언더 바디(10)의 전장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so far, the und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차량의 목적성에 부합하는 승용 차량, 화물 차량 등의 전기자동차(1A, 1B)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목적 기반의 차체를 조립하는데 따른 설비 투자비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A, 1B: 전기자동차 3: 센터 캐빈부
5: 리어 캐빈부 6: 판넬
7: 러기지부 9: 배터리 어셈블리
10: 언더 바디 11: 프론트 백빔 조립체
13: 프론트 백빔 15: 프론트 크래쉬 박스
21: 프론트 샤시 프레임 23: 대쉬 판넬 조립체
25: 센터 샤시 프레임 27: 센터 플로워 조립체
28: 센터 플로워 판넬 31: 리어 샤시 프레임
33: 리어 플로워 조립체 35: 제1 플로워 지지 멤버
37: 제2 플로워 지지 멤버 39: 제3 플로워 지지 멤버
41: 리어 플로워 판넬 모듈 43: 리어 플로워 판넬
45: 보강 판넬 51: 리어 백빔 조립체
53: 리어 백빔 55: 리어 크래쉬 박스
60, 160: 어퍼 바디 61, 161: 스페이스 프레임
71: 제1 마운팅부 72: 제2 마운팅부
73: 사이드 실 74: 단차 면
75: 벌크 헤드 77: 제1 조인트
79: 제2 조인트 81: 전장 가변 멤버
191: 러기지 프레임 193: 러기지 멤버
100, 200: 차체 구조1A, 1B: electric vehicle 3: center cabin
5: rear cabin part 6: panel
7: luggage support 9: battery assembly
10: under body 11: front back beam assembly
13: front back beam 15: front crash box
21: front chassis frame 23: dash panel assembly
25: center chassis frame 27: center floor assembly
28: center floor panel 31: rear chassis frame
33: rear floor assembly 35: first floor support member
37: second floor support member 39: third floor support member
41: rear floor panel module 43: rear floor panel
45: reinforcement panel 51: rear back beam assembly
53: rear back beam 55: rear crash box
60, 160:
71: first mounting part 72: second mounting part
73: side seal 74: stepped surface
75: bulk head 77: first joint
79 second joint 81 full length variable member
191: luggage frame 193: luggage member
100, 200: body structure
Claims (7)
상기 언더 바디 상에 장착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 바디는,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에 장착되는 센터 플로워 조립체와,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어 플로워 조립체와,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의 리어 단과 상기 리어 백빔 조립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전장 가변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에 결합되는 스페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과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은 제1 마운팅부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제1 마운팅부는, 단차 면을 가지며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의 아웃터 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사이드 실과, 상기 사이드 실의 인너 면과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벌크 헤드들과, 상기 단차 면에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의 로워 사이드를 두고 상기 사이드 실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조인트들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an underbody including a front back beam assembly, a front chassis frame, a center chassis frame, a rear chassis frame, and a rear back beam assembly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nd
Including; an upper body mounted on the under body,
The under body includes a center follower assembly mounted on the center chassis frame, a rear follower assembly mounted on the rear chassis frame, a rear end of the rear chassis frame, and the rear back beam assembly connect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including members,
The upper body includes a space frame coupled to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the rear floor assembly,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the space frame are coupled through a first mounting part,
The first mounting part includes a side sill having a stepped surface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chassis frame along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i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A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bulk hea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irst joint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sill with a lower side of the space frame on the stepped surface.
상기 센터 플로워 조립체는 상기 어퍼 바디를 통해 센터 캐빈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는 상기 어퍼 바디를 통해 리어 캐빈부를 형성하는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floor assembly forms a center cabin through the upper body,
The rear floor assembly is a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forming a rear cabin portion through the upper body.
상기 언더 바디 상에 장착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 바디는,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에 장착되는 센터 플로워 조립체와,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에 장착되는 리어 플로워 조립체와,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의 리어 단과 상기 리어 백빔 조립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전장 가변 멤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 및 상기 전장 가변 멤버는 상기 어퍼 바디를 통해 러기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어퍼 바디는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에 결합되는 스페이스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 및 상기 전장 가변 멤버에 결합되는 러기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러기지 프레임은 차체 전후 방향, 차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 및 상기 전장 가변 멤버와 결합되는 다수의 러기지 멤버들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과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은 제1 마운팅부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제1 마운팅부는, 단차 면을 가지며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의 아웃터 면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사이드 실과, 상기 사이드 실의 인너 면과 상기 센터 샤시 프레임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며,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벌크 헤드들과, 상기 단차 면에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의 로워 사이드를 두고 상기 사이드 실의 아웃터 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조인트들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an underbody including a front back beam assembly, a front chassis frame, a center chassis frame, a rear chassis frame, and a rear back beam assembly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nd
Including; an upper body mounted on the under body,
The under body includes a center follower assembly mounted on the center chassis frame, a rear follower assembly mounted on the rear chassis frame, a rear end of the rear chassis frame, and the rear back beam assembly connect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including members,
The rear floor assembly and the variable length member form a luggage portion through the upper body;
The upper body includes a space frame coupled to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a luggage frame coupled to the rear floor assembly and the variable length member;
The luggag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luggage members connected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coupled to the rear floor assembly and the variable length member,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the space frame are coupled through a first mounting part,
The first mounting part includes a side sill having a stepped surface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chassis frame along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il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 chassis frame, an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longitudinal direction. A vehicle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bulk hea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irst joint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sill with a lower side of the space frame on the stepped surface.
상기 리어 백빔 조립체는 리어 백빔과, 상기 리어 백빔의 양측에 연결되는 리어 크래쉬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 가변 멤버는 사각 단면 형상의 폐 단면을 지니며, 상기 리어 크래쉬 박스의 전단과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의 양측 리어 단에 결합되는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rear back beam assembly includes a rear back beam and a rear crash box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ear back beam,
The electric vehicle body structure of claim 1 , wherein the variable length member has a closed cross section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hape and is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rear crash box and both rear ends of the rear chassis frame.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와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은 제2 마운팅부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제2 마운팅부는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의 로워 리어를 내측에 두고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에 결합되는 U 형상의 제2 조인트들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rear floor assembly and the space frame are coupled through a second mounting portion,
The second mounting part includes U-shaped second joints coupled to the rear floor assembly with the lower rear of the space frame inside.
상기 리어 플로워 조립체는,
상기 리어 샤시 프레임의 양측 각각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반대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플로워 지지 멤버들과,
상기 제1 플로워 지지 멤버들의 상단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2 플로워 지지 멤버와,
상기 제2 플로워 지지 멤버에 차폭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제3 플로워 지지 멤버들과,
상기 제2 플로워 지지 멤버와 상기 제3 플로워 지지 멤버들에 결합되는 리어 플로워 판넬 모듈
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차체 구조.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rear floor assembly,
a pair of first floor support members coupled to each side of the rear chassis frame at an opposite inclination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second floor support members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first floor support member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plurality of third floor support members connected to the second floor support member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 rear floor panel module coupled to the second floor support member and the third floor support member
A body structure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5491A KR102506239B1 (en) | 2020-12-29 | 2020-12-29 | Bod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5491A KR102506239B1 (en) | 2020-12-29 | 2020-12-29 | Bod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5272A KR20220095272A (en) | 2022-07-07 |
KR102506239B1 true KR102506239B1 (en) | 2023-03-07 |
Family
ID=8239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5491A Active KR102506239B1 (en) | 2020-12-29 | 2020-12-29 | Bod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623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305253A1 (en) * | 2014-10-08 | 2017-10-26 | Interactive Fully Electrical Vehicles S.R.L. | Electric car with pre-assembled modular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6248B1 (en) * | 2003-12-17 | 2006-06-07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tabilizer Bar Mounting Structure |
KR20110019134A (en) * | 2009-08-19 | 2011-02-25 | 옥윤선 | Frame extension for four-wheeled vehicle |
-
2020
- 2020-12-29 KR KR1020200185491A patent/KR1025062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305253A1 (en) * | 2014-10-08 | 2017-10-26 | Interactive Fully Electrical Vehicles S.R.L. | Electric car with pre-assembled modular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5272A (en) | 2022-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24208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US20230242195A1 (en) | Modular vehicle structure | |
CN101712337A (en) | Bearing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 |
CN110015344B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US12103595B2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EP4015354A1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KR20220086891A (en) | Vehicle body joint structure | |
JP2001097048A (en) | Body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 |
CN114475811A (en) | Vehicle body connecting structure, vehicle body structure and vehicle | |
JPH09175433A (en) | Front structure of passenger car with support structure | |
US12221166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tubular type pillars | |
US20230202576A1 (en) |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 |
KR20240068417A (en) | Chassis cab vehicle | |
CN112441126B (en) |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 |
KR102506239B1 (en) | Bod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 |
US11299210B2 (en) | Structural integration brace for front vehicle compartment | |
GB2276128A (en) | Goods vehicles with separable cab and load space sections. | |
US12258070B2 (en) | Roof body structure for vehicle | |
US11167806B2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CN113968290A (en) | Pickup truck sidewall structural assembly and structural support method | |
KR20220085231A (en) | Rear vehicle body structure | |
US20240124065A1 (en) | Roof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
JP2019151132A (en) | Front-section vehicular body structure for vehicle | |
US20230382464A1 (en) | Vehicle Roof Structure | |
US20240300589A1 (en) | Joint structure of vehicle b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