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772B1 -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 Google Patents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772B1
KR102505772B1 KR1020200174439A KR20200174439A KR102505772B1 KR 102505772 B1 KR102505772 B1 KR 102505772B1 KR 1020200174439 A KR1020200174439 A KR 1020200174439A KR 20200174439 A KR20200174439 A KR 20200174439A KR 102505772 B1 KR102505772 B1 KR 10250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ody
side wall
fixed
floating
anch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705A (ko
Inventor
박경수
오지운
조일현
박희문
김태교
천창희
김이철
김진성
신동준
최우영
박동환
서성완
홍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20017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77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는,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구조를 가진 앵커유닛;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부유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구조를 가진 앵커유닛이 구성됨으로써, 수용된 물의 중량만큼 구조체를 포함한 전체 무게중심이 낮춰지면서 구조체를 지지하여, 앵커유닛의 폐쇄된 하부로 인하여 파랑에 의한 수직성분이 감소되어 파랑통과가 저지됨에 따라, 부유체의 흔들림을 저감시켜 앵커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SUPPORT FOR FLOATING PHOTOVOLTAICS SYSTEM}
본 발명은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로서, 해상에 설치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태양전지(solar battery) 또는 태양광모듈(solar module)(이하, 태양광모듈) 등은 태양에서 조사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광전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태양광모듈은 전자시계, 라디오, 무인등대, 무인중계기, 부표등, 인공위성, 로켓 등의 전력뿐만 아니라 태양열 난방을 위한 주택, 도로 상에서 운전자에게 경보를 알려주는 안개 경보등, 송전탑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항공 장애등, 가로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태양광모듈은 태양전지 셀(cell)을 필요한 수만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태양전지판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작된 태양전지판을 필요한 수만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필요한 발전량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태양광모듈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주간에는 직접 발생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고, 태양광을 받을 수 없는 야간에는 전력을 생산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지만 주간에 축전지에 저장시켜 둔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력발생시 환경 오염 등의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발전방법 중에 하나에 속한다.
이와 같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판을 필요한 만큼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한 태양전지판이 정남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예컨대, 약 35도)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태양전지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태양광의 입사각과 태양전지판이 직각 상태를 이루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태양광 발전에 의해 전기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판을 대량을 설치할 수 있는 넓은 장소가 필요하다.
그러나, 육상에서는 넓은 장소를 찾기 어렵고 매입 단가도 높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을 위한 적당한 장소를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태양전지판을 값싸고 넓은 수상에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는, 수상에 부유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와 결합된 구조체, 상기 구조체 상에 설치된 태양전지판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수상에 설치되는 관계로 파랑에너지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음에 따라,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29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상에서 파랑에너지에 의해 영향을 잘 받지 않도록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는,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구조를 가진 앵커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앵커유닛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부와 하부가 폐쇄되어, 측부와 하부로 둘러싸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부유체의 측부에 연계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고정측벽; 상기 고정측벽으로부터 상기 부유체의 반대 측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고정측벽의 양측부와 연결측벽으로 연결된 이격측벽; 및 상부에 상기 고정측벽, 연결측벽, 및 이격측벽이 연결된 바닥판;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측벽은 상기 부유체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측벽은 상기 고정측벽보다 높이가 낮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이격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고정측벽 측으로 상방경사지게 연장된 걸림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부유체로부터 상기 앵커유닛이 이격배치되어, 상기 부유체와 앵커유닛 사이에서 물의 수직유동이 발생하는 수직유동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유닛은 수평배치된 바 구조의 수평링크바에 의해 상기 부유체와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에는 복수 개의 수직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연계고정되면서 상기 부유체의 하측에 이격배치된 수평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부유체와 수평판 사이에서 물의 수평유동이 발생하는 수평유동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판은 수직배치된 바 구조의 수직링크바에 의해 상기 부유체와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는, 부유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구조를 가진 앵커유닛이 구성됨으로써, 수용된 물의 중량만큼 구조체를 포함한 전체 무게중심이 낮춰지면서 구조체를 지지하여, 앵커유닛의 폐쇄된 하부로 인하여 파랑에 의한 수직성분이 감소되어 파랑통과가 저지됨에 따라, 부유체의 흔들림을 저감시켜 앵커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측벽의 하단이 부유체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측 연장됨으로써, 수용된 물의 중량을 늘림에 따라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아울러, 본 발명은 즉, 이격측벽의 상단이 고정측벽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도록 구성됨으로써, 월파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내측 수용공간으로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앵커유닛의 앵커력을 향상시키고, 반사파랑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격측벽의 상단으로부터 고정측벽 측으로 상방경사지게 연장된 걸림턱이 구성됨으로써, 내측 수용공간에서 물의 수용력을 키움에 따라 앵커링 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한편, 본 발명은 부유체와 앵커유닛 사이에서 물의 수직유동이 발생하는 수직유동부가 구성됨으로써, 수직으로 물입자 운동을 유도하여 수평으로 들어오는 파랑에너지를 교란함에 따라, 통과파랑의 에너지를 감쇄시켜서 저지하여 주변으로 확산되는 방사파의 양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앵커유닛의 바닥판에 복수 개의 수직홀이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와류를 형성시킴에 따라, 앵커링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유체의 하측에 이격배치된 수평판이 구성되어 수평유동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수직유동부의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유체 주변의 물길을 미로처럼 형성시켜, 앵커유닛의 고정측벽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는 물의 수직운동, 수직유동부에서의 수직운동, 수평판 위에서의 수평운동이 복합적으로 작용됨에 따라, 부유체를 수상의 일정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위치고정하는 앵커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를 나타낸 측면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로서 수직유동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의 바닥판에 수직홀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로서 수평판에 의해 수평유동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를 나타낸 측면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는 태양전지판(S)을 지지하는 구조체(10)를 부유시키면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조체(10)는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바닥프레임(11)과, 상기 바닥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되어 태양전지판을 경사지게 배치고정시키는 지지프레임(1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는 부유체(100)와, 앵커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부유체(100)는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구조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일례로서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여 구조체(10)를 물에 띄우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앵커유닛(200)은 부유체(100)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구조를 가진다.
즉, 앵커유닛(200)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부와 하부가 폐쇄되어, 측부와 하부로 둘러싸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앵커유닛(200)은 수상에서 그릇과 같은 형태를 취하여, 내측 수용공간(200a)에 물이 수용됨으로써, 수용된 물의 중량만큼 구조체(10)를 포함한 전체 무게중심이 낮춰지면서 구조체(10)를 지지함에 따라, 부유체(100)에 대한 흔들림을 최대한 저감시키면서 일정 위치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파도(파랑)에 의해 물이 원운동을 하는데 이러한 원 형태의 유동운동에서 수직성분이, 앵커유닛(200)의 폐쇄된 하부로 인하여 감소됨으로써 파랑통과가 저지됨에 따라, 부유체(100)의 흔들림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유닛(200)은 고정측벽(210), 이격측벽(220), 및 바닥판(230)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측벽(210)은 부유체(100)의 측부에 연계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격측벽(220)은 고정측벽(210)으로부터 부유체(100)의 반대 측으로 이격배치되며, 고정측벽(210)의 양측부와 연결측벽(240)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고정측벽(210)의 일측부와 이격측벽(220)을 연결하는 연결측벽(240)만이 도시되었고, 고정측벽(210)의 타측부와 이격측벽(220)을 연결하는 연결측벽은 생략되었다.
아울러, 상기 바닥판(230)은 상부에 고정측벽(210), 연결측벽, 및 이격측벽(220)이 연결된다.
이때, 고정측벽(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100)의 측부에 직접적으로 설치고정되며, 하측으로 연장되되 부유체(100)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측벽(210)의 하단이 부유체(100)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측 연장됨으로써, 수용된 물의 중량을 늘림에 따라 구조체(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측벽(220)은 고정측벽(210)보다 높이가 낮은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이격측벽(220)의 상단이 고정측벽(210)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도록 구성됨으로써, 파도에 의해 앵커유닛(200)의 내부 수용공간(200a)에 물이 유입 시, 파도가 이격측벽(220)의 타고 넘는 월파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앵커유닛(200)의 내측 수용공간(200a)으로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상술된 지지력인 앵커유닛(200)의 앵커 역할이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월파에 의해 반사파랑도 줄어들게 된다.
나아가, 상기 앵커유닛(200)은 걸림턱(2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21)은 이격측벽(220)의 상단으로부터 고정측벽(210) 측으로 상방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걸림턱(221)은 이격측벽(22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되, 고정측벽(210)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앵커유닛(200)의 내측 수용공간(200a)에 수용된 물이 외측으로 쉽게 유출되지 않고 일정 시간 이상 머물 수 있도록 한다.
즉, 파도에 의해 고정측벽(210)에 부딪히면서 수용공간(200a) 측으로 유동된 물은 하강한 후, 바닥판(230)에 의해 이격측벽(220) 측으로 유동하면서 이격측벽(220)을 타고 수용공간(200a)으로부터 빠져나올려고 할 때 걸림턱(221)에 의해 걸림됨으로써, 수용공가 내에서의 수용시간이 좀 더 길어지게 됨에 따라, 앵커유닛(200)의 앵커기능이 보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로서 수직유동부(30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부유체(100)로부터 앵커유닛(200)이 이격배치되어, 부유체(100)와 앵커유닛(200) 사이에서 물의 수직유동이 발생하는 수직유동부(300)를 형성시키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의 수직유동이 가능한 수직유동부(300)를 형성시키기 위해, 앵커유닛(200)은 수평배치된 바 구조의 수평링크바(301)에 의해 부유체(100)와 이격되어 연결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유동부(300)는, 파도에 의한 물의 원운동에서 수평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상쇄시킴으로써, 통과파랑과 반사파랑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유동부(300)는 앵커유닛(200)과 부유체(100) 사이에 실린더 형상에서의 수직피스톤 운동형상과 같은 루트를 형상시킴으로써, 이격측벽(220)과 고정측벽(210)을 순차적으로 월파한 파랑이 수직형 공진운동 공간으로 유입됨으로써, 물의 수평운동이 수직운동으로 상쇄됨에 따라 통과파랑과 반사파랑이 줄어들게 된다.
나아가, 상기 수직유동부(300)인 수직형 공진실에서 발생하는 수주운동에 의해 수직운동을 하는 물기둥이 아래로 확산되면서 횡방향 물입자 운동을 교란함으로써, 추가적인 횡방향 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유동부(300)는 부유체(100) 주변에서 와류운동을 일으켜 부유체(100)를 정위치시키는 앵커링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직으로 물입자 운동을 유도하여 수평으로 들어오는 파랑에너지를 교란함으로써, 통과파랑의 에너지를 감쇄시켜서 저지함에 따라 주변으로 확산되는 방사파의 양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의 바닥판(230)에 복수 개의 수직홀(230a)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앵커유닛(200)의 바닥판(230)에는 복수 개의 수직홀(230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직홀(230a)은 물의 와류를 발생시킨다.
파랑에 의해 앵커유닛(200)의 내측 수용공간(200a)에 들어와서 유동하는 물은, 수직홀(230a)에 의해 수직홀(230a)과 인접된 영역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아울러 이러한 수직홀(230a)이 복수 개 마련됨에 따라 많은 와류가 발생하게 되며, 나아가 수용공간(200a)의 외부에서 바닥판(230)과 인접된 영역에서도 많은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 부유체(100)가 정위치되는 앵커링 기능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로서 수평판(410)에 의해 수평유동부(42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평판(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판(410)은 부유체(100)의 하부에 연계고정되면서 부유체(100)의 하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판(410)에 의해 부유체(100)와 수평판(410) 사이에서 물의 수평유동이 발생하는 수평유동부(4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물의 수평유동이 가능한 수평유동부(420)를 형성시키기 위해, 수평판(410)은 수직배치된 바 구조의 수직링크바(411)에 의해 부유체(100)와 연결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수평유동부(420)로 인하여, 수직유동부(300)로 유입된 물이 수직운동에 의해 수직하강하는 과정에서, 부유체(100)와 수평판(410) 사이의 높이에서 단순히 확산되지 않고, 수부유체(100)와 수평판(410) 사이의 수평유동부(420)에 의해 수평운동으로 전환됨에 따라, 물의 수직운동이 수평운동으로 상쇄된다.
이와 같이 부유체(100)의 하측에 추가적으로 수평판(410)을 배치함으로써, 부유체(100) 주변의 물길을 미로처럼 형성시켜, 앵커유닛(200)의 고정측벽(210)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는 물의 수직운동, 수직유동부(300)에서의 수직운동, 수평판(410) 위에서의 수평운동이 복합적으로 작용됨에 따라, 부유체(100)를 일정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위치고정하는 앵커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부유체(100)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구조를 가진 앵커유닛(200)이 구성됨으로써, 수용된 물의 중량만큼 구조체(10)를 포함한 전체 무게중심이 낮춰지면서 구조체(10)를 지지함에 따라, 앵커유닛(200)의 폐쇄된 하부로 인하여 파랑에 의한 수직성분이 감소되어 파랑통과가 저지됨에 따라, 부유체(100)의 흔들림을 저감시켜 앵커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측벽(210)의 하단이 부유체(100)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측 연장됨으로써, 수용된 물의 중량을 늘림에 따라 구조체(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즉, 이격측벽(220)의 상단이 고정측벽(210)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도록 구성됨으로써, 월파가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내측 수용공간(200a)으로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앵커유닛(200)의 앵커력을 향상시키고, 반사파랑도 저감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격측벽(220)의 상단으로부터 고정측벽(210) 측으로 상방경사지게 연장된 걸림턱(221)이 구성됨으로써, 내측 수용공간(200a)에서 물의 수용력을 키움에 따라 앵커링 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부유체(100)와 앵커유닛(200) 사이에서 물의 수직유동이 발생하는 수직유동부(300)가 구성됨으로써, 수직으로 물입자 운동을 유도하여 수평으로 들어오는 파랑에너지를 교란함에 따라, 통과파랑의 에너지를 감쇄시켜서 저지하여 주변으로 확산되는 방사파의 양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앵커유닛(200)의 바닥판(230)에 복수 개의 수직홀(230a)이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와류를 형성시킴에 따라, 앵커링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유체(100)의 하측에 이격배치된 수평판(410)이 구성되어 수평유동부(420)를 형성시킴으로써, 수직유동부(300)의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유체(100) 주변의 물길을 미로처럼 형성시켜, 앵커유닛(200)의 고정측벽(210)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는 물의 수직운동, 수직유동부(300)에서의 수직운동, 수평판(410) 위에서의 수평운동이 복합적으로 작용됨에 따라, 부유체(100)를 일정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위치고정하는 앵커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부유체 200 : 앵커유닛
200a : 수용공간 210 : 고정측벽
220 : 이격측벽 221 : 걸림턱
230 : 바닥판 230a : 수직홀
300 : 수직유동부 301 : 수평링크바
410 : 수평판 420 : 수평유동부
411 : 수직링크바

Claims (11)

  1.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구조를 가진 앵커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유닛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부와 하부가 폐쇄되어, 측부와 하부로 둘러싸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부유체의 측부에 연계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고정측벽;
    상기 고정측벽으로부터 상기 부유체의 반대 측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고정측벽의 양측부와 연결측벽으로 연결된 이격측벽; 및
    상부에 상기 고정측벽, 연결측벽, 및 이격측벽이 연결된 바닥판;을 구비하며,
    상기 부유체로부터 상기 앵커유닛이 이격배치되어, 상기 부유체와 앵커유닛 사이에서 물의 수직유동이 발생하는 수직유동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앵커유닛은 수평배치된 바 구조의 수평링크바에 의해 상기 부유체와 이격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벽은 상기 부유체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측벽은 상기 고정측벽보다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이격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고정측벽 측으로 상방경사지게 연장된 걸림턱;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복수 개의 수직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10.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물수용구조를 가진 앵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유닛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부와 하부가 폐쇄되어, 측부와 하부로 둘러싸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유닛은,
    상기 부유체의 측부에 연계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고정측벽;
    상기 고정측벽으로부터 상기 부유체의 반대 측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고정측벽의 양측부와 연결측벽으로 연결된 이격측벽; 및
    상부에 상기 고정측벽, 연결측벽, 및 이격측벽이 연결된 바닥판;을 구비하며,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연계고정되면서 상기 부유체의 하측에 이격배치된 수평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부유체와 수평판 사이에서 물의 수평유동이 발생하는 수평유동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은 수직배치된 바 구조의 수직링크바에 의해 상기 부유체와 이격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KR1020200174439A 2020-12-14 2020-12-14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KR102505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39A KR102505772B1 (ko) 2020-12-14 2020-12-14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439A KR102505772B1 (ko) 2020-12-14 2020-12-14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05A KR20220084705A (ko) 2022-06-21
KR102505772B1 true KR102505772B1 (ko) 2023-03-06

Family

ID=8222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439A KR102505772B1 (ko) 2020-12-14 2020-12-14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04398B (zh) * 2023-10-10 2024-03-15 华南理工大学 一种以抗浪板为基础的水下海上光伏发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48B1 (ko) 2014-02-11 2015-02-11 백인남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31942B1 (ko) * 2015-01-02 2015-07-15 (주)에코원 요동방지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발전소
KR102141588B1 (ko) 2019-10-16 2020-08-07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161B1 (ko) * 2009-07-09 2011-10-2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해상 양식장
KR101892970B1 (ko) 2017-10-30 2018-08-30 주식회사 코와스 수상 태양광 발전용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90129353A (ko) * 2018-05-10 2019-11-20 주대성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부력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448B1 (ko) 2014-02-11 2015-02-11 백인남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31942B1 (ko) * 2015-01-02 2015-07-15 (주)에코원 요동방지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발전소
KR102141588B1 (ko) 2019-10-16 2020-08-07 주식회사 에스에너지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705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358B1 (ko) 수상 태양광용 모듈 일체형 부력체
KR101535511B1 (ko) 수상태양광발전장치 및 콘크리트 부유체
KR100975212B1 (ko) 부유식 태양전지판 설치용 구조물
KR101682856B1 (ko) 플렉서블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642387B1 (ko)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류장치
KR101679538B1 (ko) 기둥고정형 플렉서블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
KR101042728B1 (ko) 추에 의해 지지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JP2013546187A (ja) ボイアントソーラーパネル及び前記パネルのアセンブリからなるソーラーパワープラント
KR101785579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2760785A (zh) 太阳能装置
KR102505772B1 (ko) 수상 태양광발전 지지체
KR102160784B1 (ko)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 설비
US20180102732A1 (en) Waterborne photovoltaic system
KR101215402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30065B1 (ko)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239490B1 (ko) 수상용 태양전지 모듈 장치
KR101257804B1 (ko)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도방지 부력체
KR102349219B1 (ko) 태양광 발전 장치용 부유식 구조물
KR101770957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294449B1 (ko)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561847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58516B1 (ko) 해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7317542A (zh) 一种水上太阳能电池板的漂浮装置
KR200466821Y1 (ko) 수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30064B1 (ko) 수상용 태양전지 모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