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728B1 -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728B1
KR102505728B1 KR1020210128548A KR20210128548A KR102505728B1 KR 102505728 B1 KR102505728 B1 KR 102505728B1 KR 1020210128548 A KR1020210128548 A KR 1020210128548A KR 20210128548 A KR20210128548 A KR 20210128548A KR 102505728 B1 KR102505728 B1 KR 10250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hembank
storage group
reagent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되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되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되고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2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4Labware with identification means
    • B01L3/545Labware with identification means for laboratory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은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따른 혼재보관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가 탑재된 켐뱅크 서버와, 시약병의 성상별 분리 보관 가능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켐뱅크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프린트하는 태그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Color barcod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ach chemical storage group}
본 발명은 화학물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색상만으로도 분리보관 판단이 가능한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학 관련 실험실 내 시약들의 관리를 위해 관리자가 실험실 내에 보관되어 있는 시약들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고 수기로 작성된 시약목록을 비치하고, 시약 관리자가 실험실 내에 보관되어 있는 시약들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 시약목록에 기재된 내역과 비교함으로써 시약의 관리가 수행되어 왔으며, 필요한 시약을 찾는 경우에도 시약목록을 확인하여 해당 시약이 보관된 위치를 알아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특정 시약을 찾기 위해 시약목록을 모두 확인해 보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실수로 시약목록이 잘못 기재 되었을 경우 찾을 수 없고, 시약목록에 기재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잘못 보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약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할애되는 불편함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화학물질 시약병이 보관된 시약장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중/고 과학실 및 기업/대학 연구실의 경우 시약장 내 화학물질이 정보 부족으로 유해위험에 따른 성상별 분리 보관이 아닌 시약을 찾기 쉬운 A, B, C... 등 이름 순으로 보관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폐시약의 혼합처리로 화재/폭발이 발생하거나, 유기산과 무기산 혼재 보관으로 지진 또는 화재 및 폭발과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2차 피해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818795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시약병의 성상별 분리 보관 가능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따른 혼재보관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가 탑재된 켐뱅크 서버와, 시약병의 성상별 분리 보관 가능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켐뱅크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프린트하는 태그 프린터를 포함하는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켐뱅크 서버는 시약병의 성분에 대한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산화성 고체, 산화성 액체, 무기산을 포함하는 그린 보관그룹과, 인화성/가연성 고체, 인화성 액체, 유기산, 무기염기를 포함하는 옐로우 보관그룹과, 자연 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블루 보관그룹과, 폭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레드 보관그룹과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브라운 보관그룹과, 비 위험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이트 보관그룹으로 각각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켐뱅크 서버는, 외부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의 화학물질 관리법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하고자 하는 시약을 신청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구매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입력된 규제정보가 저장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시약이 허가, 신고 및 건강검진이 필요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켐뱅크 서버와, 시약병의 성상별 분리 보관 가능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켐뱅크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프린트하는 태그 프린터를 포함하는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켐뱅크 서버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따른 혼재보관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마스터 데이터베이스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켐뱅크 서버는 시약병의 성분에 대한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산화성 고체, 산화성 액체, 무기산을 포함하는 그린 보관그룹과, 인화성/가연성 고체, 인화성 액체, 유기산, 무기염기를 포함하는 옐로우 보관그룹과, 자연 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블루 보관그룹과, 폭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레드 보관그룹과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브라운 보관그룹과, 비 위험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이트 보관그룹 등 색상으로 각각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은, 시약병의 성상별 분리 보관 가능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시약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화학물질 시약병이 보관된 시약장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1)의 구성도
도 3은 시약병의 성상별로 보관그룹을 구분하는 과정을 나타난 제1 예시도
도 4는 시약병의 성상별로 보관그룹을 구분하는 과정을 나타난 제2 예시도
도 5는 성상별로 구분된 복수의 보관그룹의 예시도
도 6은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의 예시도
도 7 내지 도 7c는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따른 혼재보관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켐뱅크 서버(200)와, 태그 프린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1)의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구매하고자 하는 시약을 신청하기 위한 장치로 정의된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업무용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업무에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사용자 단말기(100)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켐뱅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구매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입력된 규제정보가 저장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시약이 허가, 신고 및 건강검진이 필요한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허가, 신고 및 건강검진에 필요한 절차와 방법을 표시하며, 허가 및 신고가 필요한 시약의 경우 허가 및 신고에 필요한 입력사항을 튜토리얼 형태로 입력하는 메뉴를 제공한다. 켐뱅크 서버(200)는 허가 및 신고가 완료된 이후에 해당 시약의 구매가 진행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건강검진이 필요한 시약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해당 시약을 취급하는 사용자들을 입력하는 메뉴와, 건강검진 항목 및 검진주기를 표시하고, 해당 시약을 취급하는 사용자의 정보는 켐뱅크 서버(200)로 전송되어 관리된다.
태그 프린터(300)는 구매가 승인된 시약이 반입될 경우, 시약병의 성상별 분리 보관 가능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켐뱅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프린트한다.
참고적으로, 태그 프린터(300)에서 프린트된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는 관리자에 의해 구매된 시약병에 수동으로 붙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구매된 시약병이 태그 프린터(300)에 일괄적으로 보관된 후, 태그 프린터(300)에 의해 자동 식별되면서 동시에 프린트된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가 태그 프린터(300)에 의해 자동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켐뱅크 서버(200)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따른 혼재보관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가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켐뱅크 서버(200)는 구매하고자 하는 시약병의 성분에 대한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산화성 고체, 산화성 액체, 무기산을 포함하는 그린 보관그룹과,
인화성/가연성 고체, 인화성 액체, 유기산, 무기염기를 포함하는 옐로우 보관그룹과,
자연 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블루 보관그룹과,
폭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레드 보관그룹과,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브라운 보관그룹과,
비 위험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이트 보관그룹으로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프린트할 수 있는 정보를 태그 프린터(300)에 제공한다.
켐뱅크 서버(200)는 외부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의 화학물질 관리법규를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이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여 반영할 수 있다.
켐뱅크 서버(200)는 기존에 태그를 프린트한 시약병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대한 정보 변경으로 인해 기존에 기 발행된 시약병의 태그에 대한 혼재보관 가능 여부가 변경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해당 시약 구매를 신청한 사용자와, 시약 취급자의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태그를 다시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시약병의 성상별로 보관그룹을 구분하는 과정을 나타난 제1 예시도이고, 도 4는 시약병의 성상별로 보관그룹을 구분하는 과정을 나타난 제2 예시도이고, 도 5는 성상별로 구분된 복수의 보관그룹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의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켐뱅크 서버(200)는 시약병의 성분에 대한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산화성 고체, 산화성 액체, 무기산을 포함하는 그린 보관그룹으로 분류 - 초록색 태그 - 하고,
인화성/가연성 고체, 인화성 액체, 유기산, 무기염기를 포함하는 옐로우 보관그룹 - 노란색 태그 - 으로 분류하고,
자연 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블루 보관그룹 - 파란색 태그 - 으로 분류하고,
폭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레드 보관그룹 - 빨간색 태그 - 으로 분류하고,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브라운 보관그룹 - 갈색 태그 - 으로 분류하고,
비 위험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이트 보관그룹 - 흰색 태그 - 으로 각각 구분하여 분류한다.
참고적으로 각각의 태그에는 시약병 및 제품에 대한 고유 바코드 또는 큐알코드도 인쇄된다.
또한, 시약병의 성분이 단일성분이 아닌 혼합물질일 경우, 위험도 또는 함유량을 고려하여 보관그룹을 결정한다. 즉, 함유량에 따라 복수의 주성분을 고려하여 대표성상에 대한 보관그룹을 결정한다.
도 7 내지 도 7c는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따른 혼재보관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7c을 참조하면, 켐뱅크 서버(200)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는 그린 보관그룹, 옐로우 보관그룹, 블루 보관그룹, 레드 보관그룹, 브라운 보관그룹, 화이트 보관그룹에 해당하는 물질정보를 개별적으로 설정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수동 입력된 정보는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새로운 정보를 바탕으로 등록정보가 자동 갱신되어 반영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시약구매를 신청할 때, 건강검진이 필요한 시약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해당 시약을 취급하는 사용자들을 입력하는 메뉴와, 건강검진 항목 및 검진주기를 표시하고, 해당 시약을 취급하는 사용자의 정보는 켐뱅크 서버(200)로 전송되어 관리된다.
이때, 해당 시약을 취급하는 사용자들은 해당 시약이 구매됨과 동시에 개인별로 스마트 밴드가 지급되고, 모든 스마트 밴드가 켐뱅크 서버(200)에 등록되었을 경우, 켐뱅크 서버(200)가 해당 시약의 내부 사용허가를 자동 승인하도록 동작한다.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는 해당 시약을 취급할 때의 취급시간, 혈압, 맥박 정보,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건강데이터가 켐뱅크 서버(200)로 전송되고, 켐뱅크 서버(200)는 해당 시약에 대한 신체위험요소를 건강데이터와 실시간 비교하면서 위험요소 발생시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 밴드로 전송한다.
이때, 켐뱅크 서버(200)는 모든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건강검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개인건강정보(고혈압 등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데이터를 고려하여 위험요소 검출한다.
또한, 실험실 내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스마트 밴드와 카메라가 연동되어 카메라는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의 방향으로 영상촬영을 진행하고, 촬영영상을 켐뱅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켐뱅크 서버(200)는 촬영영상을 바탕으로 스마트 밴드에서 전송되는 건강데이터의 정확성 여부를 재판정할 수 있다. 즉, 켐뱅크 서버(200)는 사용자의 얼굴의 촬영영상을 바탕으로 혈압 및 맥박정보를 산출한 후, 스마트 밴드의 건강데이터와 비교한 후, 신뢰성 여부를 재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켐뱅크 서버(200)는 카메라가 촬영한 안면 이미지 중 관심영역을 선택한 후 RGB(Red Green Blue) 채널로 분리하고, RGB 채널 중 각 채널에 비선형 스케일 팩터(Scale Factor)를 부여하여 신호대 잡음비(SNR)를 조절하고, 비선형 스케일 팩터(Scale Factor)가 부여된 신호를 토대로 심장 박동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켐뱅크 서버(200)는 비선형 스케일 팩터(Scale Factor)가 부여된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후, 심장 박동수에 해당하는 주파수 도메인 중 가장 큰 파워 스펙트럼 주파수 값을 토대로 호흡수를 산출할 수 있다.
켐뱅크 서버(200)는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바탕으로 스마트 밴드의 고장여부를 검출한 후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주변환경의 화재 등과 같은 위험요소와, 소정의 범위 내에서 반응할 수 있는 다른 시약을 취합하고 있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 이러한 위험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태그 프린터(300)에서 프린트 되는 태그는 라벨지 형태로 구성되는데, 라벨지에 위험물질 노출시 라벨지의 색변화 또는 경고글자가 드러나도록 하여 시약병의 위험물질 노출여부를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기산이 저장되는 시약병에는 무기산에 반응하는 라벨지를 부착하고, 무기산이 저장되는 시약병에는 유기산에 반응하는 라벨지를 부착하여 시약병에 저장된/저장예정인 시약과 반응시 유해물질을 발생시키거나 폭발의 위험이 있는 위험물질 노출여부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라벨지는 베이스 기재와, 베이스 기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위험물질 노출여부를 알리는 경고 문구가 프린팅되거나 색상이 코팅된 표지층과, 표지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 반응시 에칭되거나 투명하게 변하여 하부의 표지층의 경고문구 또는 색상이 드러나도록 한 반응층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재는 천연소재, 합성소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천연소재로는 셀룰로오스, 합성소재로는 PP, PE 등의 고분자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베이스 기재의 하부에 접착제층을 추가로 구비하여 시약병에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지층은 베이스 기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위험물질 노출여부를 알리는 경고 문구가 프린팅되거나 빨간색 등의 경고 색상이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표지층은 베이스 기재 상부에 직접적으로 경구 문구를 프린팅하거나 도료 및 잉크를 코팅하여 형성되거나 별도의 기재를 구비하여 기재상에 프린팅 및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응층은 표지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 반응시 에칭되거나 투명하게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약병에 유기산이 저장되는 경우에는 반응층이 무기산에 반응하도록 형성(이하, ‘제 1실시예’)하고, 시약병에 무기산이 저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반응층이 유기산에 반응하도록 형성(이하, ‘제 2실시예’)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 따른 반응층은, 구리(Cu), 은(Ag)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박막으로 코팅하여 박막코팅막을 형성하고, 무기산에 노출시 박막코팅막이 에칭되면서 하부 표지층의 경고문구 또는 경고색상이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박막코팅막은 구리(Cu), 은(Ag)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진공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박막코팅막의 두께는 1 내지 100 ㎛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른 반응층은, 표면에 형성되며, 수산기를 포함하는 산촉매가 구비되는 산촉매층과, 산촉매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산촉매층의 반응 부산물로 발생되는 물을 흡수하여 투명하게 변하는 고흡수층을 포함한다.
유기산은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카르복실산은 산촉매하에서 수산기 함유 물질과 반응하여 에스테르와 물을 생성한다. 산촉매층은 수산기를 포함하는 산촉매가 구비되어 유기산에 노출되었을 때, 유기산과 수산기를 포함하는 산촉매가 반응하여 부산물로 물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 발생된 물을 하부의 고흡수층이 흡수하여 흡수전 불투명상태인 고흡수층을 투명하게 변화시키면서 상기 고흡수층 하부 표지층의 경고문구 또는 경고색상이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산촉매는 고체 산촉매일 수 있으며, 제올라이트, 헤테로폴리산, 양이온교환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산촉매는 평균입경 10 내지 1000nm를 가질 수 있으며, 기공크기 0.01 내지 5nm, 공극률 30 내지 60%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를 포함하는 산촉매는 산 촉매에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함침시킨 후 소성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산 촉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15 내지 50 중량부가 담지되며, 소성은 250 내지 1000℃에서 2 내지 6시간 수행된다.
수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수산화암모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를 포함하는 산촉매는 고분자수지, 용매를 혼합한 바인더와 혼합되어 코팅액을 제조하고, 상기 코팅액을 스프레이 코팅, 롤코팅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산촉매층을 형성할 수 있다.
고흡수층은 산촉매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고흡수성 수지로 구성된다. 고흡수성 수지는 물을 흡수하기 전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 산촉매층의 반응 부산물로 발생되는 물을 흡수하여 3차원 망상구조를 형성하며 팽창하게 되고 투명하게 변하게 되고, 이로써 고흡수층의 하부의 표지층의 경고문구 또는 경고색상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제 1실시예 적층구조: 시약병 내 유기산이 저장되어 있고, 라벨지가 무기산에 변화되는 경우]
반응층: 구리/은이 증착된 박막코팅막, 무기산과 반응하면 에칭됨.
표지층:
- 경고문구가 프린팅 또는 경고색상이 코팅
- 무기산에 의해 박막코팅막이 에칭되면 경고문구/색상이 드러남.
기재
접착층: 시약병에 접착
시약병: 내부에 유기산이 저장
[제 2실시예 적층구조: 시약병 내 무기산이 저장되어 있고, 라벨지가 유기산에 변화되는 경우]
반응층: 1) 산촉매층: 유기산과 만나면 에스테르반응을 통해 물을 생성
2) 고흡수층: 반응 부산물인 물을 흡수하면 투명하게 변함.
표지층:
- 경고문구가 프린팅 또는 경고색상이 코팅
- 유기산에 의해 고흡수층이 투명하게 변하면 경고문구/색상이 드러남.
기재
접착층: 시약병에 접착
시약병 : 내부에 무기산이 저장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은, 시약병의 성상별 분리 보관 가능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시약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켐뱅크 서버
300 : 태그 프린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구매하고자 하는 시약을 신청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구매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입력된 규제정보가 저장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시약이 허가, 신고 및 건강검진이 필요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켐뱅크 서버;
    시약병의 성상별 분리 보관 가능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켐뱅크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보관그룹별로 서로 다른 식별색상을 갖는 태그를 프린트하는 태그 프린터;
    건강검진이 필요한 시약을 취급하는 사용자에게 지급되어 착용되는 스마트 밴드; 및
    상기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의 방향으로 영상촬영을 진행하고, 촬영영상을 상기 켐뱅크 서버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켐뱅크 서버는,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화학물질 관리법규에 따른 혼재보관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마스터 데이터베이스가 탑재되고, 외부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화학물질 관리법규를 업데이트 하고, 건강검진이 필요한 시약을 취급하는 사용자들은 해당 시약이 구매됨과 동시에 개인별로 상기 스마트 밴드가 지급되고, 모든 스마트 밴드가 상기 켐뱅크 서버에 등록되었을 경우, 상기 켐뱅크 서버가 해당 시약의 내부 사용허가를 자동 승인하고, 상기 스마트 밴드를 착용한 사용자는 해당 시약을 취급할 때의 취급시간, 혈압, 맥박 정보,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건강데이터가 상기 켐뱅크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켐뱅크 서버는 해당 시약에 대한 신체위험요소를 건강데이터와 실시간 비교하면서 위험요소 발생시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 밴드로 전송하고,
    상기 켐뱅크 서버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바탕으로 스마트 밴드에서 전송되는 건강데이터의 정확성 여부를 재판정함에 있어서, 얼굴의 촬영영상을 바탕으로 혈압 및 맥박정보를 산출한 후, 스마트 밴드의 건강데이터와 비교한 후 신뢰성 여부를 재판정하고,
    상기 태그 프린터에서 프린트되는 상기 태그는 라벨지 형태이며, 상기 라벨지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에 반응하여 색변화 또는 경고글자가 표시되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는,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부에 형성되며, 위험물질 노출여부를 알리는 경고 문구가 프린팅되거나 색상이 코팅된 표지층; 및 상기 표지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 반응시 에칭되거나 투명하게 변하여 하부의 표지층의 경고문구 또는 색상이 드러나도록 한 반응층;을 포함하는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켐뱅크 서버는 시약병의 성분에 대한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번호를 기준으로,
    산화성 고체, 산화성 액체, 무기산을 포함하는 그린 보관그룹과,
    인화성/가연성 고체, 인화성 액체, 유기산, 무기염기를 포함하는 옐로우 보관그룹과,
    자연 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블루 보관그룹과,
    폭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레드 보관그룹과
    독성 물질을 포함하는 브라운 보관그룹과,
    비 위험성 물질을 포함하는 화이트 보관그룹으로 각각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210128548A 2021-09-29 2021-09-29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0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548A KR102505728B1 (ko) 2021-09-29 2021-09-29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548A KR102505728B1 (ko) 2021-09-29 2021-09-29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728B1 true KR102505728B1 (ko) 2023-03-03

Family

ID=8551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548A KR102505728B1 (ko) 2021-09-29 2021-09-29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7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95B1 (ko) 2007-12-03 2008-04-03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KR20160018178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엔티지 건강 및 위험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6232A (ko) * 2015-11-13 2017-05-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방식의 생체신호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2206525B1 (ko) * 2020-02-24 2021-01-22 주식회사 되고시스템 시약정보 등록요청이 가능한 화학물질 종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95B1 (ko) 2007-12-03 2008-04-03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KR20160018178A (ko) *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엔티지 건강 및 위험관리를 위한 웨어러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6232A (ko) * 2015-11-13 2017-05-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 방식의 생체신호 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2206525B1 (ko) * 2020-02-24 2021-01-22 주식회사 되고시스템 시약정보 등록요청이 가능한 화학물질 종합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58165A1 (en) Inventory Tracking System
CN106062783B (zh) 用于眼平扫描器和显示器的指针跟踪
EP2867654B1 (en) Sample collection and bioluminescent analysis system
US20090243856A1 (en) System for managing chemicals using rfid
WO201001846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objects in a validation process
EP3343822B1 (en)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206525B1 (ko) 시약정보 등록요청이 가능한 화학물질 종합관리시스템
KR102505728B1 (ko) 화학물질 보관그룹별 칼라 바코드 통합관리 시스템
KR102264747B1 (ko) 시약용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시약장과 실험실을 관리하는 화학물질 종합관리 시스템
GB2056061A (en) Toxic fluid monitoring material and its use
KR101542920B1 (ko) 스마트 안전실험실 시스템
CN102243729A (zh) 基于车牌信息识别的物资出厂管理系统及管理方法
US20140337056A1 (en) Sampling method for performing sampling in an unmistakeable manner
CA2963682A1 (en) Storage and monitoring system with smart holders
KR102247492B1 (ko) 화재시 위험물질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화학물질 종합관리 시스템
CN110533844A (zh) 一种化学试剂存取管理方法及其系统
CN105308642B (zh) 通过使用在线测量仪器管理作业的系统和方法
US20140368443A1 (en) System for Automating Laboratory Experiments
JP7100620B2 (ja) 自動分析システム
CN113159559B (zh) 一种化学试剂存放的自动识别、分类、排查和预警方法
Ji et al. A simulation system of radiation field and its detection for nuclear and radiological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training
Scungio Chemical management in today's laboratory.
CN212624137U (zh) 一种实验设备与危险料剂管理系统
KR102432871B1 (ko) 키오스크형 능동시약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능동시약관리방법
Brantom et al. Supply, coding and distribution of samples for validatio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