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675B1 - 침대보료 - Google Patents

침대보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675B1
KR102505675B1 KR1020200162337A KR20200162337A KR102505675B1 KR 102505675 B1 KR102505675 B1 KR 102505675B1 KR 1020200162337 A KR1020200162337 A KR 1020200162337A KR 20200162337 A KR20200162337 A KR 20200162337A KR 102505675 B1 KR102505675 B1 KR 102505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unctional
upper cushion
cushion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155A (ko
Inventor
임지연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이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헌 filed Critical 이상헌
Priority to KR102020016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6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2Holders for loose bed elements, e.g. sheet holders; bed cov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6Mattress under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성향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극대화되도록;
상부의 개구를 통해 상부쿠션이 수용고정되며 상기 상부쿠션의 하부에 기능성향기를 방출하도록 된 기능성물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보료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보료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쿠션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되며 다수의 프레임부재들을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태로 연결결합되어 상기 상부쿠션의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지지하도록 된 지지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보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보료{Fancy mattress}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거치하면서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된 침대보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성향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극대화되도록 된 침대보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주거문화의 향상과 생활양식 등이 서구화됨에 따라 보편화되고 있으며, 침대의 전체 형태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스프링 형식의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매트리스는, 집먼지진드기 등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각종 호흡기 질환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온돌문화에 익숙한 세대는 허리 통증 등의 이유로 사용을 꺼리고 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표면을 천연피혁이나 인조피혁 등의 마감재를 마감처리하며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쿠션재를 형성하여 인체와 접촉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침대보료가 제안도히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28964호(명칭: 침대용 보료/2006.11.0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쿠션재를 가지며, 표면에 장착홈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장착홈에 설치하는 보호프레임과; 상기 보호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전열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열판의 발열 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와; 상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내부에 기능성 물질을 충전하여, 상기 보호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전열판의 상부에 배열 설치하는 다수의 패널; 및 상기 보호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패널의 상면에 부착하는 표면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침대용 보료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34203호(명칭: 전열선이 내입된 발열수단과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및 보료/2017.101.1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전열선이 내입된 발열수단과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및 보료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전열선이 내입된 발열수단은 전기를 공급하면 전열이 발생되는 전열선과, 상하로 마주보는 사이로 전열선이 지그재그로 내입 고정되게 재봉 결합된 한 쌍의 고정부직포와, 전열선이 내입 고정된 한 쌍의 고정부직포가 내입 후 진공흡입기로 내부 공기 및 수분을 흡입하여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게 밀착 포장된 진공팩으로 이루어진 진공발열체 또는 상기 진공발열체의 진공팩 상면 일측에 전열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구와, 전선인출구의 인출공으로 전열선이 인출된 상태에서 인출공을 밀폐토록 구성된 밀폐수단이 더 구비된 진공발열체가 포함된 온열 보료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28964호(2006.11.0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34203호(2017.101.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대보료들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성향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부여할 수 없어 사용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아울러, 상부에 구비되는 쿠션매트리스의 쿠션하중에 대하여 전체면적으로 고르게 받침하여 지지하지 못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거치되는 국부적인 위치에서의 인가하중에 따라 집중되는 편심하중에 따라, 국부적인 처짐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를 제대로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성향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극대화되도록 된 침대보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에 구비되는 쿠션매트리스의 쿠션하중에 대하여 전체면적으로 고르게 받침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침대보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침대보료는, 상부의 개구를 통해 상부쿠션이 수용고정되며 상기 상부쿠션의 하부에 기능성향기를 방출하도록 된 기능성물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보료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침대보료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쿠션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되며 다수의 프레임부재들을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태로 연결결합되어 상기 상부쿠션의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지지하도록 된 지지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틀은, 다수의 프레임부재들을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태로 연결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분할공간들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공간적으로 폐쇄하면서 결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하부판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상기 기능성물질들에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그물망' 형태의 상부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분할공간에 수용된 기능성물질들에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배출하도록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배출그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침대보료는, 보료틀의 수납공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수납되는 기능성물질을 통해 기능성향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이 극대화되도록 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보료틀의 상부에 구비되는 쿠션매트리스의 쿠션하중에 대하여 지지틀을 통해 전체면적으로 고르게 받침하여 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국부적으로 과도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를 보인 개략 본리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를 구성하는 보료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를 구성하는 보조패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의 전기적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1)는, 사용자가 거치하면서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성향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부여하도록 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1)는, 상부의 개구를 통해 상부쿠션(2)이 수용고정되며 상기 상부쿠션(2)의 하부에 기능성향기를 방출하도록 된 기능성물질(3)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보료틀(4);을 가진다.
즉, 상기 보료틀(4)의 수납공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수납되는 상기 기능성물질(3)을 통해 기능성향기를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품질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보료틀(4)은, 상기 수납공간의 저면을 형성하여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된 바닥면(미도시됨)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와 하부가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관통된 '프레임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보료틀(4)에는, 전원공급부(51)의 전원을 제어수단(5)을 통해 제어된 전원을 조작수단(52)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조절된 상태로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된 발열수단(53)이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온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부(51)와 상기 제어수단(5)과 상기 조작수단(52) 및 상기 발열수단(53)들은,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부쿠션(2)에는, '구조적 및/또는 재질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메트리스의 구성 및/또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쿠션(2)은,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쿠션(2)에는, 상기 전원공급부(51)의 전원을 상기 제어수단(5)을 통해 제어된 전원을 상기 조작수단(52)의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조절된 상태로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된 상기 발열수단(53)이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온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쿠션(2)에 구비될 수 수 있는 상기 발열수단(53)은,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기능성물질(3)은,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향기를 방출하도록 된 '편백나무' 및/또는 '황토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1)는, 상기 보료틀(4)의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쿠션(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되며 다수의 프레임부재들을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태로 연결결합되어 상기 상부쿠션(2)의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지지하도록 된 지지틀(6);을 더 가진다.
즉, 상기 지지틀(6)을 통해 그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쿠션(2)에 대한 국부적인 상기 상부쿠션(2)의 쿠션하중에 대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받침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쿠션(2)에서의 국부적으로 과도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1)에서, 상기 지지틀(6)은, 다수의 프레임부재들을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태로 연결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기능성물질(3)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분할공간들이 형성된 지지프레임(61)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를 공간적으로 폐쇄하면서 결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하부판(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61)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분할공간들에 상기 기능성물질(3)들이 수납되도록 됨에 따라, 상기 기능성물질(3)들이 국부적으로 편중되어 집중분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능성물질(3)들이 상기 수납공간에 대하여 전체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어, 균질한 기능성향기의 방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하부판(62)에는, 상기 지지프레임(61)의 분할공간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물질들에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배출하도록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배출그릴(6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그릴(63)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분할공간에서 발산되는 기능성향기를 외부로 방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1)에서, 상기 지지틀(6)은,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상기 기능성물질(3)들에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그물망' 형태의 상부패드(6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패드(64)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61)의 분할공간에서 발산되는 기능성향기는 외부로 방출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분할공간에 수용된 상기 기능성물질(3)이 무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다.
한편, 상기 보료틀(4)의 수납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틀(6)이 거치되어 지지되는 지지플랜지(4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플랜지(41)를 통해 상기 지지틀(6)을 상기 수납공간에서 선택된 높이를 가지면서 지지결속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1)에서, 상기 보료틀(4)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는,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6)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틀(6)의 하부공간과 상기 지지틀(6)의 상부공간을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출그릴(63)을 통해 상기 지지틀(6)의 하부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상부로 전달하도록 된 유도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도홈(42)을 통해 상기 배출그릴(63)을 통해 상기 지지틀(6)의 하부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상기 상부쿠션(2)에서 휴식 및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을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유도홈(42)은,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간격을 가지면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 및 모양은,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침대보료(1)에서, 상기 지지틀(6)과 상기 상부쿠션(2)의 사이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6)과 상기 상부쿠션(2)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쿠션(2)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하도록 된 보조패드(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패드(7)를 통해 상기 상부쿠션(2)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하도록 된 작용 힘을 가지는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상부쿠션92)의 과도한 처짐없이 안정적으로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패드(7)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용융수지'들이 얽히는것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편성 수지 망상 구조체(network structu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편성 수지 망상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조패드(7)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가벼우면서 탄성반발력을 형성하도록 되며, 사용자의 사용하중에 대하여 1차적인 탄성지지함은 물론, 탁월한 복원력을 통해 장기간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패드(7)는, '폴리에틸렌수지' 및 '폴리프로필렌수지' 등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질 때보다 두께가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침대보료 2 : 상부쿠션
3 : 기능성물질 4 : 보료틀
41 : 지지플랜지 42 : 유도홈
5 : 제어수단 51 : 전원공급부
52 : 조작수단 53 : 발열수단
6 : 지지틀 61 : 지지프레임
62 : 하부판 63 : 배출그릴
64 : 상부패드 7 : 보조패드

Claims (3)

  1. 상부의 개구를 통해 상부쿠션(2)이 수용고정되며 상기 상부쿠션(2)의 하부에 기능성향기를 방출하도록 수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보료틀(4)과;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되며 다수의 프레임부재들을 서로 교차하여 격자형태로 연결결합되어 내부에 기능성물질(3)들이 수납되는 다수의 분할공간들이 형성된 지지프레임(61)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하부를 공간적으로 폐쇄하면서 결합되는 '판(板;plate)' 형상의 하부판(62)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상부에 적층고정되며 상기 기능성물질(3)들에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상기 지지프레임(6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그물망' 형태의 상부패드(64)를 구비하는 지지틀(6)과; 상기 하부판(62)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61)의 분할공간에 수용된 기능성물질(3)들에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배출하도록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배출그릴(63);을 포함하는 침대보료(1)에 있어서;
    상기 보료틀(4)의 수납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틀(6)이 거치되어 지지되는 지지플랜지(41)과, 상기 지지틀(6)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틀(6)의 하부공간과 상기 지지틀(6)의 상부공간을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출그릴(63)을 통해 상기 지지틀(6)의 하부로 방출되는 기능성향기를 상부로 전달하도록 된 유도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틀(6)과 상기 상부쿠션(2)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틀(6)과 상기 상부쿠션(2)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쿠션(2)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하도록 실'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용융수지'들이 얽히는것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편성 수지 망상 구조체(network structure)'로 이루어진 보조패드(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보료.
  2. 삭제
  3. 삭제
KR1020200162337A 2020-11-27 2020-11-27 침대보료 KR102505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37A KR102505675B1 (ko) 2020-11-27 2020-11-27 침대보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337A KR102505675B1 (ko) 2020-11-27 2020-11-27 침대보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55A KR20220074155A (ko) 2022-06-03
KR102505675B1 true KR102505675B1 (ko) 2023-03-03

Family

ID=8198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337A KR102505675B1 (ko) 2020-11-27 2020-11-27 침대보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6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73Y1 (ko) * 2000-11-16 2001-05-15 양인상 침대
KR200405673Y1 (ko) * 2005-10-15 2006-01-11 이상빈 침대용 보료
KR100932652B1 (ko) * 2009-08-31 2009-12-21 주식회사 토성흙침대 광물 및 방향제가 함유된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007B1 (ko) 2016-05-27 2019-06-20 (주)메디젠휴먼케어 Snp를 이용한 질병 관련 유전체 분석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73Y1 (ko) * 2000-11-16 2001-05-15 양인상 침대
KR200405673Y1 (ko) * 2005-10-15 2006-01-11 이상빈 침대용 보료
KR100932652B1 (ko) * 2009-08-31 2009-12-21 주식회사 토성흙침대 광물 및 방향제가 함유된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155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94039A1 (en) Mattress assembly with convertible topper
WO2011152636A2 (ko) 냉방 및 난방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AU2004212978B2 (en) Fire-retardant mattress
KR102505675B1 (ko) 침대보료
CN201831386U (zh) 高透气竹炭弹簧床垫结构
KR20110021448A (ko) 온열매트
KR20150025541A (ko) 쿨 매트
CN113271822A (zh) 组合式休息用结构
JP3173560U (ja) 多層スプリングマットレス
KR102325271B1 (ko) 온열 매트리스
KR20210156700A (ko) 음이온 온열매트
CN211380484U (zh) 一种具有矫正背部用的家用床垫
KR200180912Y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2052267B1 (ko) 매트리스
KR20110132775A (ko) 면상발열체에 의한 전열식 스프링 매트리스
KR200463375Y1 (ko) 전열 매트
KR20110132778A (ko) 열선관이 내장된 전열식 스프링 매트리스
CN206651623U (zh) 电动按摩床垫
KR200423601Y1 (ko) 방사체 및 이를 이용한 매트
JP2017158798A (ja) 体圧分散用クッション及びマットレス
CN216754020U (zh) 一种具有抗菌活性碳纤维的床垫
KR102029892B1 (ko) 다기능 어싱 쇼파
KR102497451B1 (ko) 안마 매트리스
CN211632526U (zh) 一种可水洗驱寒暖脚床护垫
KR102391193B1 (ko) 온열소파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