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517B1 -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 Google Patents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517B1
KR102505517B1 KR1020210070135A KR20210070135A KR102505517B1 KR 102505517 B1 KR102505517 B1 KR 102505517B1 KR 1020210070135 A KR1020210070135 A KR 1020210070135A KR 20210070135 A KR20210070135 A KR 20210070135A KR 102505517 B1 KR102505517 B1 KR 10250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frame
auxiliary
bench
auxiliary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866A (ko
Inventor
홍정우
Original Assignee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filed Critical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21007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51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라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벤치의 중앙부에 이용자가 앉을 수 없도록 하여 이용자 간의 물리적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측다리프레임 및 우측다리프레임의 상부 일 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수평프레임 및 우측수평프레임의 각 끝 단부가 상호 일정간격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좌측수평프레임 및 우측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을 구성하여 이용자가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이 상호 이격을 이루는 거리만큼 거리를 두며 띄워 앉을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라 이용자 간의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A bench that can be floated}
본 발명은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라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벤치의 중앙부에 이용자가 앉을 수 없도록 하여 이용자 간의 물리적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합실, 역광장, 공원, 놀이시설, 약수터, 휴게소, 정류장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는 공중의 편의를 위해 이용자가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벤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2019년 말에 전 세계에 확산된 코로나19(COVID-19)의 영향으로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우리의 생활양식을 바꾸고 있다.
먼저, 전염성이 높은 병원균에 의해 마스크, 손소독제, 방역 등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들어왔으며, 많은 사람이 같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공공장소, 공공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이용자 상호간에 일정한 물리적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천은 전염병 확산 예방에 실제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10-0932566호(특) 지면에 고정 설치되어 일정한 높이를 형성하는 받침수단과; 상기 받침수단 위에 다수의 프레임이 고정된 사람이 앉는 좌대와; 등받이지지수단에 다수의 프레임이 고정 설치된 상기 좌대에 앉는 사람의 등을 받치어 주는 등받이와; 상기 받침수단의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고 손잡이의 타측방향에는 걸림홈이 구비된 잠금헤드부로 이루어진 잠금수단과; 상기 등받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받침수단의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등받이지지수단과; 상기 등받이지지수단을 관통하여 잠금헤드부의 걸림홈에 일 끝단이 걸려지게 설치되는 로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좌대와 등받이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부에는 한 쌍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에 요홈을 구비한 쿠션부재가 상기 프레임 상부의 돌기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과 쿠션부재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치 겸용 평상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받이가 구비된 벤치로 사용하다가 등받이가 회전되어 좌대와 같은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그 위에 사람이 누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풀밭 및 대지 위에 사람이 직접 드러눕지 않아 옷의 더러워짐이나 유행하는 전염병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같이 이용할 수밖에 없는 공공장소에 상기 벤치 겸용 평상이 설치되어 사용될 시, 이용자들 상호 간의 거리가 불가피하게 가까워지거나 지인들과의 모임 등 다수의 이용자들이 모여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강제적으로 띄워 앉을 수밖에 없도록 하는 벤치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좌측다리프레임 및 우측다리프레임의 상부 일 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수평프레임 및 우측수평프레임의 각 끝 단부가 상호 일정간격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 좌측수평프레임 및 우측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을 구성하여 이용자가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이 상호 이격을 이루는 거리만큼 거리를 두며 띄워 앉을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라 이용자 간의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벤치에 있어서, 좌측다리프레임 및 우측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다리프레임과, 상기 좌측다리프레임 및 우측다리프레임의 상부 일 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며 연장되어 형성되되 각각의 끝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수평프레임 및 우측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좌측수평프레임 및 우측수평프레임의 끝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는 좌측보조다리프레임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조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일 측에 구성되는 등받이부; 상기 좌측수평프레임 및 우측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으로 구성되는 상판부; 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은 상기 좌측수평프레임 및 우측수평프레임의 끝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되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벤치에는,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이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에 결합될 시, 상기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의 사이에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보조상판으로 구성되는 보조상판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에 의하면,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편하게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판부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좌측상판과 우측상판으로 구성하여 이용자가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에 띄워 앉아 이용자 간의 물리적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어 종료될 시,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의 사이에 보조상판부를 결합하여 기존의 벤치와 같이 중앙부에도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및 시행에 따라 상기 보조상판부를 결합 및 분리하여 이용자 간의 거리두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벤치의 구성 중 상판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벤치의 구성 중 보조상판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벤치의 구성 중 표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벤치의 구성 중 표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벤치의 구성 중 보조상판부가 분리된 벤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벤치의 구성 중 보조상판부가 결합된 벤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에 따라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벤치의 중앙부에 이용자가 앉을 수 없도록 하여 이용자 간의 물리적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벤치에 있어서, 좌측다리프레임(110a) 및 우측다리프레임(110b)으로 구성되는 다리프레임(110)과, 상기 좌측다리프레임(110a) 및 우측다리프레임(110b)의 상부 일 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며 연장되어 형성되되 각각의 끝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으로 구성되는 수평프레임(120)과,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끝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는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으로 구성되는 보조다리프레임(130)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부(100); 상기 지지프레임부(100)의 일 측에 구성되는 등받이부(200);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상부에 각각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으로 구성되는 상판부(300); 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인 벤치는 지지프레임부(100), 등받이부(200) 및 상판부(300)로 구성되고, 실시 예에 따라 보조상판부(400) 및 표시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부(100)는 다리프레임(110), 수평프레임(120) 및 보조다리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프레임(110)은 하측 단부가 지면에 설치 가능토록 구성되되 상호 이격을 이루며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길게 구성되는 좌측다리프레임(110a) 및 우측다리프레임(110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다리프레임(110a) 및 우측다리프레임(110b)은 종래의 일반적인 벤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다리가 단일 또는 다수개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측다리프레임(110a) 및 우측다리프레임(110b)이 각각 전, 후방으로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되 각각의 상부 일 측이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수평프레임(120)은 상기 좌측다리프레임(110a) 및 우측다리프레임(110b)의 상부 일 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며 연장되어 형성되되 각각의 끝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은 상기 좌측다리프레임(110a)의 상부 일 측에서 우측다리프레임(100b)의 상부 일 측을 향해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우측수평프레임(120b)은 상기 우측다리프레임(110b)의 상부 일 측에서 좌측다리프레임(100a)의 상부 일 측을 향해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각각의 끝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만큼 연장하여 끝 단부가 상호 맞닿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상부에 구성되는 하기될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이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하여 이용자가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이 상호 이격을 이루는 거리만큼 거리를 두며 띄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다리프레임(130)은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끝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는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은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끝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되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은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의 끝 단부로부터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되 하측 끝 단부가 상기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의 상측 단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은 상기 우측 수평프레임(120b)의 끝 단부로부터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되 하측 끝 단부가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의 상측 단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이 ‘X’자 형상을 이루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과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은 상호 교차되는 ‘X’자 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인 벤치의 외관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기될 좌측상판(300a) 또는 우측상판(300b)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분산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등받이부(200)는 이용자가 하기될 상판부(300)에 앉아 등을 기댈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부(100)의 일 측에 구성된다.
상기 상판부(300)는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상판(300a)은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우측상판(300b)은 상기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상부에 구성된다.
즉,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각각의 끝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거리만큼 좌측상판(300a)과 우측상판(300b)이 이격을 이루도록 하여 이용자가 거리를 두며 띄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벤치에는, 연결프레임(410) 및 보조상판(420)으로 구성되는 보조상판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410)은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상판(420)은 상기 연결프레임(410)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10)이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에 결합될 시, 상기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의 사이에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410)은 상기 보조상판(420)의 하부에 하측으로 길게 구성되되 상기 보조상판(420)의 하측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대향을 이루는 좌측연결프레임(410a) 및 우측연결프레임(4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의 상부 경사면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삽 되는 제 1삽입홈(135a) 및 제 2삽입홈(135b)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좌측연결프레임(410a) 및 우측연결프레임(410b)의 하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상판부(400)는 벤치가 설치된 지역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어 종료될 시, 좌측상판(300a) 및 오측상판(300b)의 사이에 보조상판부(400)를 결합하여 기존의 벤치와 같이 중앙부에도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재차 시행될 시에 상기 보조상판부(400)를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로부터 분리하여 이용자 간의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치에는, 마스크걸이부(510), 감지모듈(520) 및 발광부(530)로 구성되는 표시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걸이부(510)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0) 또는 등받이부(300)의 일 측에 마스크를 걸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걸이부(510)는 마스크(m)의 끈 부분을 걸어둘 수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다양한 걸이 형태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받이부(300)의 전면부 일 측 및 타 측에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에 앉은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음식물이나 물 등을 취식할 시에 마스크(m)의 끈 부분을 걸어둘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갖는 마스크걸이부(510)가 각각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감지모듈(520)은 상기 마스크걸이부(51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마스크걸이부(510)에 마스크가 걸림 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모듈(520)은 상기 마스크걸이부(510)에 마스크(m)가 걸림 될 시에 마스크(m)의 걸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중량 감지 센서, 동작 감지 센서 등 다양한 감지 센서가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0)는 상기 등받이부(300)의 후면부에 하트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감지모듈(520)과 연동되어, 마스크걸이부(510)에 마스크가 걸림 될 시에 발광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표시부(500)는 이용자가 상기 상판부(300)에 앉아 음식물이나 물 등을 취식하기 위해 마스크(m)를 벗어 마스크걸이부(510)에 걸어두고 있을 시, 상기 감지모듈(520)이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500)가 발광될 수 있도록 하여 주변의 보행자들이 이용자가 마스크(m)가 벗고 있음을 인지하여 거리두기 및 전염병 확산 예방에 각별히 주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치에는, 상기 감지모듈(520) 및 발광부(530)와 연동되어 구성되되 상기 보조상판부(400)의 연결프레임(410)이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에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보조감지모듈(600)이 포함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감지모듈(600)은 상기 보조상판부(400)의 연결프레임(410)이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에 결합되어 있을 시, 발광부(530)가 발광하지 않도록 감지모듈(520) 또는 발광부(53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감지모듈(600)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되어 종료됨에 따라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의 사이에 보조상판부(400)가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530)가 발광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에 의하면,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편하게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판부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는 좌측상판과 우측상판으로 구성하여 이용자가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에 띄워 앉아 이용자 간의 물리적인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어 종료될 시, 좌측상판 및 우측상판의 사이에 보조상판부를 결합하여 기존의 벤치와 같이 중앙부에도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및 시행에 따라 상기 보조상판부를 결합 및 분리하여 이용자 간의 거리두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지지프레임부
110 : 다리프레임
110a : 좌측다리프레임 110b : 우측다리프레임
120 : 수평프레임
120a : 좌측수평프레임 120b : 우측수평프레임
130 : 보조다리프레임
130a : 좌측보조다리프레임 130b : 우측보조다리프레임
135a : 제 1삽입홈 135b : 제 2삽입홈
200 : 등받이부
300 : 상판부
300a : 좌측상판 300b : 우측상판
400 : 보조상판부
410 : 연결프레임
410a : 좌측연결프레임 410b : 우측연결프레임
420 : 보조상판
500 : 표시부
510 : 마스크걸이부
520 : 감지모듈
530 : 발광부
600 : 보조감지모듈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벤치에 있어서,
    좌측다리프레임(110a) 및 우측다리프레임(110b)으로 구성되는 다리프레임(110)과,
    상기 좌측다리프레임(110a) 및 우측다리프레임(110b)의 상부 일 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상호 대향을 이루며 연장되어 형성되되 각각의 끝 단부가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으로 구성되는 수평프레임(120)과,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끝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는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으로 구성되는 보조다리프레임(130)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부(100);
    상기 지지프레임부(100)의 일 측에 구성되는 등받이부(200);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상부에 각각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구성되는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으로 구성되는 상판부(300)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은 상기 좌측수평프레임(120a) 및 우측수평프레임(120b)의 끝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며 형성되되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벤치에는,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는 연결프레임(410)과,
    상기 연결프레임(410)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10)이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에 결합될 시, 상기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의 사이에 좌측상판(300a) 및 우측상판(300b)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보조상판(420)으로 구성되는 보조상판부(4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벤치에는,
    상기 지지프레임부(100) 또는 등받이부(300)의 일 측에 마스크를 걸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되는 마스크걸이부(510)와,
    상기 마스크걸이부(51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상기 마스크걸이부(510)에 마스크가 걸림 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모듈(520)과,
    상기 등받이부(300)의 후면부에 구성되되 상기 감지모듈(520)과 연동되어, 마스크걸이부(510)에 마스크가 걸림 될 시에 발광토록 구성되는 하트 형상의 발광부(530)로 구성되는 표시부(5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벤치에는,
    상기 감지모듈(520) 및 발광부(530)와 연동되어 구성되되 상기 보조상판부(400)의 연결프레임(410)이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에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보조감지모듈(600)이 포함 구성되고,
    상기 보조감지모듈(600)은 상기 보조상판부(400)의 연결프레임(410)이 상기 좌측보조다리프레임(130a) 및 우측보조다리프레임(130b)에 결합되어 있을 시, 발광부(530)가 발광하지 않도록 감지모듈(520) 또는 발광부(53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KR1020210070135A 2021-05-31 2021-05-31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KR10250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135A KR102505517B1 (ko) 2021-05-31 2021-05-31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135A KR102505517B1 (ko) 2021-05-31 2021-05-31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66A KR20220161866A (ko) 2022-12-07
KR102505517B1 true KR102505517B1 (ko) 2023-03-02

Family

ID=8444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135A KR102505517B1 (ko) 2021-05-31 2021-05-31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5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479A (ja) * 2001-12-21 2003-07-02 New Industry Research Organization ユニット組椅子
JP2014525298A (ja) * 2011-09-01 2014-09-29 グスト・プロダクツ・アンド・サービスイズ・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テーブル機能を統合した椅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479A (ja) * 2001-12-21 2003-07-02 New Industry Research Organization ユニット組椅子
JP2014525298A (ja) * 2011-09-01 2014-09-29 グスト・プロダクツ・アンド・サービスイズ・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テーブル機能を統合した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66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ristenson et al. Aging in the designed environment
US6030039A (en) Rim chair
USD573805S1 (en) Chair frame
ATE66793T1 (de) Wasserstuhl.
KR100905314B1 (ko) 외부의 도움 없이 혼자 탈 수 있는 그네
CN101646374B (zh) 婴儿马桶训练器
KR102505517B1 (ko) 띄워 앉기가 가능한 벤치
KR102505496B1 (ko)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테이블이 구비된 벤치
US5947557A (en) Rocking chair
Christenson et al. Adaptation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o compensate for sensory changes
CN108835912B (zh) 一种防地震桌椅组合体
CN2899688Y (zh) 一种坐便椅
CN213216111U (zh) 一种方便靠背拆卸的餐椅
CN212938889U (zh) 一种防尘园林座椅
CN211021744U (zh) 一种公共私人座椅
CN219353451U (zh) 一种多功能新型公寓床
CN201091381Y (zh) 吊椅
CN204561502U (zh) 一种耐用的新型柳编吊椅
CN205164119U (zh) 一种多功能跷跷板
CN220292794U (zh) 一种人猫共用椅
CN208524236U (zh) 一种智能防疲劳舒适型座椅
ES2211369B1 (es) Conjunto de mobiliario con mesa y sillas colgables.
CN211608826U (zh) 一种适老化移动座椅
CN202005405U (zh) 一种用具与坐具脚踩板
CN105520418B (zh) 一种趣味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