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307B1 - 살균로봇 - Google Patents

살균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307B1
KR102505307B1 KR1020210108488A KR20210108488A KR102505307B1 KR 102505307 B1 KR102505307 B1 KR 102505307B1 KR 1020210108488 A KR1020210108488 A KR 1020210108488A KR 20210108488 A KR20210108488 A KR 20210108488A KR 102505307 B1 KR102505307 B1 KR 10250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sterilization
ozone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652A (ko
Inventor
남용일
Original Assignee
(주)성삼
남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삼, 남용일 filed Critical (주)성삼
Priority to KR102021010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3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in combination with power supplies for loads other than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몸체와, 공기를 압축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게 만드는 공기 이송부와,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는 공기에 살균물질을 투입하는 살균물질 공급부와, 공기에 혼합된 살균물질이 방출되는 노즐과, 상기 공기 이송부로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와, 상기 공기 이송부에서 상기 노즐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전달받아 발전하며 생산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발전부; 를 포함하는 살균로봇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로봇{Sterilization robot}
본 발명은 살균물질을 방출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압축공기 중 사용되지 않는 여분의 압축공기로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 및 장치의 총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살균로봇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로봇 몸체와; 상기 로봇 몸체의 적어도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연장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수용하우징; 상기 수용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소독 및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유닛; 상기 수용하우징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바닥면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회전바퀴; 및 상기 회전바퀴를 회전구동시키는 바퀴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 몸체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몸체의 서로 접하는 모서리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몸체를 서로 병렬 및 직렬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및 살균로봇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단방향 자외선 광을 방출하고 3 자유도 운동이 가능하여 소독대상을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그리고 상기 자외선 살균장치를 지지하며 자외선 광이 도달하지 못하는 사각영역을 판독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자외선 광의 조사거리를 기초로 공간지도에 자외선 살균범위를 매핑하고 자외선 광이 도달하지 못하여 살균처리 되지 아니하는 사각영역을 검출하는 살균스케줄 모듈과, 원거리 사각영역에 위치하는 소독대상 또는 소독영역에 자외선 소독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자외선 살균로봇의 새로운 위치를 설정하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동작스케줄 모듈을 포함하여 소독작업의 전반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스케줄 모듈은 초음파 센서에서 수집된 초음파 정보를 기초로 소독공간을 격자화시키는 격자지도를 생성하고, 자외선 조사거리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자외선 광의 조사거리에 대한 정보를 공간지도에 매핑하여 자외선 살균로봇이 현재 위치하는 지점에서 살균 가능한 지역을 표시하여 자외선 살균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로봇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지면에 대하여 주행 가능한 이동 유닛; 및 상기 이동 유닛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고, 자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살균부를 구비하는 살균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살균 로봇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인공 지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동바퀴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이를 구동하는 모터가 내장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청소되는 바닥면과 대향되어 흡입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수단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집진 케이스에 흡입공기로부터 청소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어셈블리가 내장된 집진수단과, 상기 흡입노즐 또는 상기 집진수단 내측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청소되는 바닥면 또는 흡입공기/필터 어셈블리를 살균시키는 자외선 광원과, 상기 자외선 광원과 연결되어 자외선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 로봇청소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635593 B1 (2016년06월27일) KR 10-1724447 B1 (2017년04월11일) KR 10-2020-0048184 A (2020년05월08일) KR 10-2007-0066673 A (2007년06월27일)
본 발명은 살균물질을 방출하기 위하여 만들어지는 압축공기 중 사용되지 않는 여분의 압축공기로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 및 장치의 총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살균로봇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살균로봇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동력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몸체(100); 공기를 압축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게 만드는 공기 이송부(200);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는 공기에 살균물질을 투입하는 살균물질 공급부(300); 공기에 혼합된 살균물질이 방출되는 노즐(400);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500); 상기 공기 이송부(200)에서 상기 노즐(400)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전달받아 발전하며, 생산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500)로 공급하는 발전부(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발전부(6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500) 또는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공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인버터(I);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노즐(400) 및 상기 발전부(600)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제어부(7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발전부(600)는 공기가 이동하며 전달되는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터빈부(610); 상기 터빈부(610)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복수개의 자성체(621)를 회전시키는 회전자(620); 상기 회전자(620)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내면에 복수개의 코일(631)이 상기 자성체(62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스테이터(630); 상기 스테이터(6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기 자성체(621)와 상기 코일(631)의 면적 또는 개수를 조절하는 토크조절수단(64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공기 이송부(20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송하는 압축팬(21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공기 이송부(200)는 공기가 압축 저장되는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24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와 상기 피스톤(240)을 연결하는 탄성체(25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26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잉여 공기로 전기를 생산하므로 배터리 크기를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살균로봇의 경우 이동, 압축공기 생성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장치의 전체 부피 상승으로 이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잉여 압축공기로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배터리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준 것이다.
본 발명은 발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는 자성체와 코일의 면적 또는 개수가 조절되므로, 보다 높은 발전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살균로봇의 살균물질 방출 및 발전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인 살균로봇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살균로봇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살균로봇의 제어부를 구체화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인 살균로봇의 살균경로 설계 및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인 살균로봇의 발전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인 살균로봇의 공기 이송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인 살균로봇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동력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몸체(100); 공기를 압축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게 만드는 공기 이송부(200);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는 공기에 살균물질을 투입하는 살균물질 공급부(300); 공기에 혼합된 살균물질이 방출되는 노즐(400);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500); 상기 공기 이송부(200)에서 상기 노즐(400)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전달받아 발전하며, 생산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500)로 공급하는 발전부(6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하측에 이동수단(111)이 형성되어 설계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몸체(110), 상기 상기 노즐(400)이 결합되는 상부몸체(120), 상기 하부몸체(110)와 상부몸체(1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몸체(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중앙몸체(1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기 하부몸체(110) 또는 상기 중앙몸체(13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초음파센서(1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400)은 서로 다른 분사각도 및 분사반경을 가지는 제1 노즐(410) 및 제2 노즐(420); 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6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500) 또는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공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인버터(I); 를 포함한다.
종래의 살균로봇은 이동, 살균물질 방출 등 작동에 소모되는 많은 에너지 소모를 감당하기 위하여 부피가 큰 대형 배터리가 장착되었다. 그러나, 살균로봇에 대형 배터리 장착 시, 살균로봇 전체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살균로봇 무게가 늘어남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또한 늘어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살균물질 방출 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재활용 함으로써, 장착되는 배터리 용량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살균물질을 방출에 사용되는 압축 공기 중 사용되지 않는 잉여 공기를 상기 발전부(600)로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500)로 공급하여 배터리(500)를 충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발전부(600)에서 생산된 전기는 상기 인버터(I)에서 충전에 적합한 형태로 전환된 후 배터리(500)에 충전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공기 이송부(200)에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 가능한 형태로 전환된 후 배터리(500)를 거치지 않고 공기 이송부(200)로 즉시 공급되고, 부족한 전력을 배터리(500)에서 공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인버터(I)가 하이브리드 인버터일 경우 배터리(500)가 공기 이송부(200)로 전기를 공급할 경우에도 배터리(500)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살균로봇(1000)은 이동 및 살균이 가능한 장치로, 상기 공기 이송부(200), 살균물질 공급부(300), 노즐(400), 배터리(500), 발전부(600)가 수용되는 몸체(100)를 포함하며, 몸체(100) 가장자리에 초음파센서(140)가 부착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형태 및 장애물 유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 중 상부몸체(120)는 중앙몸체(130)와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400)에서 살균물질 분사 시 분사되는 살균물질이 보다 넓은 영역에 고르게 퍼질 수 있는 것을 권장하며, 노즐(400)은 상부몸체(120) 최상측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넓은 분사반경을 가지는 제1 노즐(410)과, 상부몸체(120) 하측에 수직 결합되며 제1 노즐(410)과 비교하여 분사반경이 좁고 분사거리가 긴 제2 노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개의 노즐이 동일한 분사반경 및 분사거리를 가질경우, 노즐에서 방출되는 살균물질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므로, 제1 노즐(410)이 살균이 이루어져야 하는 영역 중 인접한 내측 영역에 살균물질을 고르게 퍼트리고, 제2 노즐(420)이 살균이 이루어져야 하는 영역 중 멀리 위치한 가장자리 영역에 살균물질을 퍼트릴 수 있게 한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400) 및 상기 발전부(600)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제어부(7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살균공간의 구조정보를 획득하는 구조 파악부(710), 살균공간에 설치된 충전장치(C)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충전위치 파악부(720), 상기 구조 파악부(710)에서 파악된 구조정보와 상기 충전위치 파악부(720)에서 파악된 충전장치(C)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충전장치(C)를 거치는 살균경로와 정지상태로 살균물질을 방출하는 살균위치 및 살균영역 결정하는 살균경로 설계부(7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살균경로 설계부(730)에서 결정된 복수개의 살균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충전장치(C)가 설치된 위치; 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살균경로 설계부(730)에서 결정된 살균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노즐(400) 및 발전부(600)로 공급되는 공기 비율을 조절하는 배출압 조절부(740); 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초음파센서(140)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구조 파악부(710)에서 획득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살균공간의 구조를 파악하고, 상기 충전위치 파악부(720)에서 살균공간에 설치된 충전장치(C)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살균경로 설계부(730)에서 파악된 정보를 이용하여 살균로봇이 이동하는 이동경로 및 살균로봇이 정지한 상태에서 살균물질을 분사하는 살균위치를 결정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넓은 영역 살균을 위하여 이동, 정지, 살균물질 방출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살균경로 설계부(730)에서 상기 구조 파악부(710)에서 파악된 살균공간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400)에서 방출되는 살균물질이 퍼져나갈 수 있는 복수개의 세부영역(S1, S2, S3, S4, S5, S6, S7, S8, S9)으로 구분하고, 복수개의 세부영역 중 충전장치(C1, C2, C3)가 위치되는 세부영역(S2, S5, S7)을 복수개의 세부영역 사이에 이격 배치하여, 살균로봇이 세부영역을 순차 이동하며 살균공간을 살균 시, 자연스럽게 충전장치(C1, C2, C3)에 의해 충전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충전장치(C)는 무선/유선 충전장치를 포함하며, 살균로봇이 살균을 위하여 정지된 상태 및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배터리(500)를 충전 가능하면 충분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구조 파악부(710)에서 파악하는 정보는 살균공간의 넓이, 살균공간을 구성하는 벽면의 위치, 살균공간의 출입구, 살균공간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위치 파악부(720)는 살균공간에 위치한 충전장치(C)와 통신하여 충전장치(C)의 위치를 파악하는 통신수단(721)과, 충전장치(C)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충전정보 저장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600)는 공기가 이동하며 전달되는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터빈부(610); 상기 터빈부(610)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복수개의 자성체(621)를 회전시키는 회전자(620); 상기 회전자(620)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내면에 복수개의 코일(631)이 상기 자성체(62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스테이터(630); 상기 스테이터(6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기 자성체(621)와 상기 코일(631)의 면적 또는 개수를 조절하는 토크조절수단(640); 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터빈부(6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터빈 하우징(611),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빈 하우징(611)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612); 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620)는 상기 터빈(612)에 결합되어 터빈(612)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622), 상기 자성체(621)가 결합되는 자성체 결합부(623); 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630)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회전축(622)이 삽입되는 슬라이드공(632)이 형성되는 샤프트(633), 상기 샤프트(633)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며 내면에 상기 코일(631)이 결합되는 스테이터 하우징(634); 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토크조절수단(640)은 상기 샤프트(633)의 길이를 조절하는 리프트부(641); 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600)는 상기 터빈부(6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과 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공기정보 획득부(65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공기정보 획득부(650)에서 측정되는 공기의 속도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는 자성체(621)와 코일(631)의 면적 또는 개수를 조절하는 발전효율 증강부(76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8)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서로 마주보는 자성체(621)와 코일(631)의 면적 또는 개수를 점진적으로 늘리는 초기 발전동력 저감부(770); 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터빈 하우징(611)의 유입공(611-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터빈(612)을 회전시키고, 터빈(612) 회전 시 터빈(612)과 연결된 회전축(622)이 회전하므로, 회전축(622)에 결합된 자성체(621)가 회전하며 코일(631)에서 전기가 전기가 생산된다.
이때, 생산되는 전기의 양은 자성체(621)와 마주보는 코일(631)의 면적 또는 코일(631)의 개수에 비례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622)에 복수개의 자성체(621)를 이격 배치하고, 스테이터 하우징(634)에 복수개의 코일(631)을 이격 배치한 후, 터빈부(6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 및 양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는 자성체(621) 및 코일(631)의 면적 및 개수를 조절 가능하게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출압 조절부(740)에서 설정되는 비율에 따라 발전부(6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 및 양이 가변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발전효율 증강부(760)에서 발전에 사용되는 자성체(621) 및 코일(631)의 개수 및 면적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발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발전효율 증강부(760)는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에 사용되는 자성체(621)와 코일(631)의 개수 및 면적을 조절 가능하며, 일 실시예로는 토크조절수단(640)을 이용하여 샤프트(633)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터빈(612)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은 터빈(612)이 정지해 있는 초기에 크고, 터빈(612)의 회전이 시작된 이후에 줄어드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초기 발전동력 저감부(770)에서 터빈(612)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일 경우 서로 마주보는 자성체(621)와 코일(631)의 개수 및 면적을 최소화 하고, 터빈(612) 회전이 시작되면 마주보는 자성체(621)와 코일(631)의 개수 및 면적을 점진적으로 늘려, 터빈(612)으로 유입되는 공기 양이 적고 속도가 느릴 경우에도 발전이 빠르게 시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부(20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송하는 압축팬(210); 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부(200)는 압송되는 공기가 이송되는 이송관(10)의 내경을 조절하는 유로면적 조절수단(220); 을 포함한다.
공기 이송부(200)에서 공기가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게 만드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10)에 압축팬(210)이 설치되어, 압축팬(210)이 공기가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게 만드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전부(600)로 공기가 이송되는 분기관(20) 타측에 이송관(10)의 내경을 조절하는 유로면적 조절수단(220)이 위치되며, 유로면적 조절수단(220)은 배출압 조절부(740)에 의해 제어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부(200)는 공기가 압축 저장되는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24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와 상기 피스톤(240)을 연결하는 탄성체(25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260); 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는 복수개인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인 살균로봇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는 상기 탄성체(250)와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다른 방향에 위치되는 것; 을 포함한다.
공기 이송부(200)에서 공기가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게 만드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에 공기를 저장한 후, 노즐(400)과 연결된 배출구(231)로 저장된 공기를 방출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240)은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250)와 연결되어, 배출구(231)를 통해 방출되는 공기의 양 및 속도가 항상 일정하도록 조절 가능하며, 배출공기의 양 및 속도 조절은 개방되는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의 배출구(231) 개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개의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에 공기를 압축 저장한 후 방출하는 형태의 살균로봇은, 살균물질을 방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가능하며, 제어부(700)에는 사용자가 압축공기 저장위치를 설정하는 압축공기 저장위치 입력부(780)가 형성되어, 살균과정에서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에 저장된 공기가 떨어질 경우 설정된 방음공간으로 이동하여 압축공기를 충전 후 살균을 재수행 가능하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살균로봇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살균물질 공급부(30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수단(310); 상기 오존발생수단(310)에서 만들어진 오존을 물에 주입하는 오존투입수단(320); 오존이 함유된 물을 상기 노즐(400)로 공급하는 공급수단(330); 을 포함한다.
살균물질은 살균 능력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높은 살균능력을 가지는 오존이 함유된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오존이 함유된 물 생산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관(301)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오존발생수단(310)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에서 오존을 추출하고, 상기 오존투입수단(320)에서 생성된 오존을 오존발생 하우징(302) 하부에 위치된 물로 공급하여 물에 오존이 녹아들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오존이 함유된 물은 공급수단(330)을 통해 노즐(400)로 공급되어 외부 살균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존발생 하우징(302) 내부에는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하는 잔량 확인수단이 구비되며, 잔량 확인수단에서 남아있는 물의 양이 일정 이하인 것으로 확인되면 물주입관(303)을 통해 물이 오존발생 하우징(302) 내부로 추가 주입된다. 또한, 물에 함유된 오존은 물 분자보다 가볍기 때문에 일정시간 이상 물에 잔류하지 못하고 부상하게 되므로, 상기 오존투입수단(320)은 새롭게 만들어지는 오존 및 물에서 이탈한 오존을 지속적으로 물에 재주입 하는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오존발생 하우징(302) 하부에는 주입된 오존이 물에 최대한 많이 녹아들 수 있도록 분배 공급하기위한 분배공급판(30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배공급판(302-1)의 경우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공(302-1A)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100 : 몸체 110 : 하부몸체
120 : 상부몸체 130 : 중앙몸체
140 : 초음파센서
200 : 공기 이송부 210 : 압축팬
220 : 유로면적 조절수단 230 :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
240 : 피스톤 250 : 탄성체
260 : 공기주입부
300 : 살균물질 공급부
400 : 노즐 410 : 제1 노즐
420 : 제2 노즐
500 : 배터리
600 : 발전부 610 : 터빈부
611 : 터빈 하우징 612 : 터빈
620 : 회전자 621 : 자성체
622 : 회전축 623 : 자성체 결합부
630 : 스테이터 631 : 코일
632 : 슬라이드공 633 : 샤프트
634 : 스테이터 하우징 640 : 토크조절수단
641 : 리프트부 650 : 공기정보 획득부
700 : 제어부 710 : 구조 파악부
720 : 충전위치 파악부 730 : 살균경로 설계부
740 : 배출압 조절부 760 : 발전효율 증강부
I : 인버터

Claims (7)

  1. 동력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몸체(100);
    공기를 압축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게 만드는 공기 이송부(200);
    방향성을 가지고 이동하는 공기에 살균물질을 투입하는 살균물질 공급부(300);
    공기에 혼합된 살균물질이 방출되는 노즐(400);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전기를 제공하는 배터리(500);
    상기 공기 이송부(200)에서 상기 노즐(400)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전달받아 발전하며, 생산된 전기를 상기 배터리(500)로 공급하는 발전부(600); 를 포함하는 살균로봇.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6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500) 또는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공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인버터(I); 를 포함하는 살균로봇.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400) 및 상기 발전부(600)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제어부(700); 를 포함하는 살균로봇.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600)는 공기가 이동하며 전달되는 힘을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터빈부(610);
    상기 터빈부(610)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복수개의 자성체(621)를 회전시키는 회전자(620);
    상기 회전자(620)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내면에 복수개의 코일(631)이 상기 자성체(621)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스테이터(630);
    상기 스테이터(6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기 자성체(621)와 상기 코일(631)의 면적 또는 개수를 조절하는 토크조절수단(640); 을 포함하는 살균로봇.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부(20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송하는 압축팬(210); 을 포함하는 살균로봇.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이송부(200)는 공기가 압축 저장되는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 내부에 위치되는 피스톤(24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와 상기 피스톤(240)을 연결하는 탄성체(250);
    상기 압축공기 저장 케이스(230)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260); 를 포함하는 살균로봇.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물질 공급부(30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수단(310);
    상기 오존발생수단(310)에서 만들어진 오존을 물에 주입하는 오존투입수단(320);
    상기 오존투입수단(320)을 통해 투입된 오존을 상기 노즐(400)로 공급하는 공급수단(330); 을 포함하는 살균로봇.
KR1020210108488A 2021-08-18 2021-08-18 살균로봇 KR10250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88A KR102505307B1 (ko) 2021-08-18 2021-08-18 살균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88A KR102505307B1 (ko) 2021-08-18 2021-08-18 살균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52A KR20230026652A (ko) 2023-02-27
KR102505307B1 true KR102505307B1 (ko) 2023-03-06

Family

ID=8532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88A KR102505307B1 (ko) 2021-08-18 2021-08-18 살균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3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212B1 (ko) * 2007-08-14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감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연결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673A (ko) 2005-12-22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로봇청소기
KR20140066516A (ko) * 2012-11-23 2014-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충전식 청소기용 모터 장치
KR101635593B1 (ko) 2015-03-17 2016-07-01 김정곤 소독 및 살균로봇
KR20170010561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라이프온랩 산소 공급 기능을 갖는 복합 공기 살균 장치
KR101724447B1 (ko) 2015-11-13 2017-04-11 주식회사 파나시아 자외선 살균로봇
KR102274221B1 (ko) 2018-10-29 2021-07-07 이영화 휴대용 살균 로봇
KR102397025B1 (ko) * 2020-02-04 2022-05-17 주식회사 코드스테리 자율주행 소독 로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212B1 (ko) * 2007-08-14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감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연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52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1955B2 (en) Underwater station
CN104169656B (zh) 加湿器
CN1153628C (zh) 微粒物质的静电喷洒装置及方法
JP3140444U (ja) 携帯用水分供給器
CN204146964U (zh) 自走式电子设备
EP1696183A1 (en) A mobile robot having a humidifier therein
US8777132B2 (en) Hair building solids dispenser
KR102505307B1 (ko) 살균로봇
CN208763455U (zh) 一种共享沐浴机
KR101601731B1 (ko) 살균 및 살충처리가 가능한 청소기 헤드 장치 및 그 구성 방법
CN108643612A (zh) 一种共享沐浴机
RU2635456C2 (ru) Наконечник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порошка
KR101922242B1 (ko) 부스형 전신 스프레이 장치
CN112402645A (zh) 一种共享式头盔清洗设备
JP2011156528A (ja) 振動素子及びそれを含む携帯用水分供給装置
KR20220001912A (ko) 게이트형 살균 소독장치
US20220003015A1 (en) Pool cleaning robot with removable filter and impeller
CN213532638U (zh) 一种自消毒的智能防疫机器人
CN220070264U (zh) 一种医用自动消毒机
CN215386216U (zh) 一种自行走超声波喷雾空气消毒器
KR102514995B1 (ko) 고밀도 공기압축식 광촉매 살균장치
CN107411632A (zh) 一种手提便携式杀菌除螨吸尘器
CN213099688U (zh) 一种金融用流通纸币消毒装置
CN212262717U (zh) 一种净化工程用除尘装置
JP2023044604A (ja) 走行型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