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178B1 -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들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 Google Patents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들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178B1
KR102505178B1 KR1020217012441A KR20217012441A KR102505178B1 KR 102505178 B1 KR102505178 B1 KR 102505178B1 KR 1020217012441 A KR1020217012441 A KR 1020217012441A KR 20217012441 A KR20217012441 A KR 20217012441A KR 102505178 B1 KR102505178 B1 KR 10250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onitoring
lmpf
liv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008A (ko
Inventor
칭-유 랴오
오즈구르 오이만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5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65Entertainment or amusement; S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4Automatic deployment of services triggered by the service manager, e.g. service implementation by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dia content delivery, e.g. audio, video or 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intermedi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04L41/5025Ensuring fulfilment of SLA by proactively reacting to service quality change, e.g. by reconfiguration after service quality degradation or upgr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MPF)은 5G 시스템에서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 및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프로비저닝한다. LMPF는 5G 네트워크에서 가상 또는 물리적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또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능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들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1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755,386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이로써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ive media production function)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은 다양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통상, 산업 그룹들에게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로서 알려져 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 802.16 표준; 및 통상, 산업 그룹들에게 Wi-Fi로서 알려져 있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들에 대한 IEEE 802.11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LTE 시스템들 내의 3GPP RAN(radio access network)들에서, 기지국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의 E-UTRAN 노드 B(또한, 통상, evolved Node B, enhanced Node B, eNodeB, 또는 eNB로서 표기됨)와 같은 RAN 노드 및/또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 알려진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제5 세대(5G) 무선 RAN들에서, RAN 노드들은 5G 노드, 뉴라디오(new radio, NR) 노드 또는 g 노드 B(gNB)를 포함할 수 있다.
RAN들은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여 RAN 노드와 UE 사이에서 통신한다. RAN들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ERAN(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RAN),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또는 E-UTRAN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RAN들 각각은 특정 3GPP RAT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GERAN은 GSM 및/또는 EDGE RAT를 구현하고, UTRAN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RAT 또는 다른 3GPP RAT를 구현하고, E-UTRAN은 LTE RAT를 구현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RAN 노드를 통해 UE에 접속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 gateway), PGW(packet data network(PDN) gateway), ANDSF(access network detection and selection function) 서버,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 및/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책 및 과금 제어 프레임워크에 대한 전체 아키텍처의 서비스 기반 표현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책 및 과금 제어 프레임워크에 대한 전체 아키텍처의 참조 포인트 표현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몰입형 미디어 제작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3GPP는 실시간 오디오/비디오(A/V)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 5G 시스템(5G system, 5GS)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예컨대, 3GPP TR 22.827 참조). 이러한 본 제안은 5G 시스템에서 실시간 미디어 제작 기능에 의존하는 몰입형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제안된 솔루션들은 대체로, 3GPP TR 23.734, 3GPP TS22.261, 및 3GPP TR22.830에서의, PLMN(public land mobility network) 내의 사설 슬라이스 및 비-공중 네트워크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에 기초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형태들은 5G 시스템에서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프로비저닝(provisioning)하기 위한 솔루션들을 제공한다.
소정 실시 형태들의 예시적인 용례는 스포츠 이벤트들에서 실시간 A/V 제작을 지원하는 것이다. 통계 리포트에 따르면, 2016년 아테네 하계 올림픽의 방송 수익은 약 15억 미국달러였다. 최근 몇 년 동안, 몰입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은 주의를 끌었고, 일부 기술적 돌파구들을 마련했는데, 예컨대 freepoint/FreeD 기술들 및 컴퓨팅 전력 개선이 있다. 올림픽 및 다른 스포츠 이벤트들에서, 몰입형 미디어 서비스들이 현장에 있는 관중들에게 또는 전세계에 있는 원격 관중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그러한 서비스들은 MNO(mobile network operator)들, 제3자들, 및 제작 벤더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운영자들을 위한 잠재적인 비즈니스 기회들일 것이다.
5GS에서의 가요성 및 가상화의 특성, 및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및 비-공중 네트워크의 지원은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 서비스들의 지원이 MNO들 및 제3자들에 대한 배치 난제들을 극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들을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5GS에서의 공개된 문제들은 5GS가 하기를 어떻게 지원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라이브 미디어 제작; 유한 시간 가입 시의 일시적 배치; 및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가입자들(예컨대, 현장 또는 원격 사이트들에 있는 관중들, 여기서 관중들은 그들의 원래 PLMN 서비스들 또는 비-공중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의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 가입을 갖지 않을 수 있음)에게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다수의 운영자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소정의 실시 형태들은 5GS에서의 A/V 라이브 제작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소정의 그러한 실시 형태들은 새로운 물리적/가상 네트워크 기능, 5GS에서의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MPF)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 기능은 특정 위치에서 그리고 유한 시간에 동작된다. LMPF는 하기의 3개의 논리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획득; 미디어 제작; 및 미디어 배포. 실시 형태들은 또한, LMPF가 요청된 미디어들을 캡처하기 위한 UE 능력들을 갖는 디바이스들과 원격으로 상호작용하게 하는 미디어 획득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미디어 배포는 관중들이 유한 시간 방식으로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들에 가입하게 하며, 여기서 현장에 있고/있거나 원격 사이트들에 있는 관중들은 (비-공중 네트워크 및 MNO들로부터의 서비스들에 가입하기 위한) 특정 위치에서 그리고 특정 시간에 서비스를 인에이블(enable)시킬 수 있다.
서론으로,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5GS에 대한 정책 및 과금 제어 프레임워크에 대한 전체 아키텍처의 서비스 기반 표현(100)을 도시한다. 3GPP TS 23.50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서비스 기반 표현(100)은 정책 제어 기능(PCF(policy control function)(110)로서 도시됨), 세션 관리 기능(SMF(116)로서 도시됨), 사용자 평면 기능(UPF(118)로서 도시됨),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114)로서 도시됨), 네트워크 노출 기능(NEF(104)로서 도시됨),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WDAF(106)로서 도시됨), 과금 기능(CHF(112)로서 도시됨), 애플리케이션 기능(AF(application function)(108)로서 도시됨) 및 통합 데이터 저장소(UDR(102)로서 도시됨)의 기능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또한, Nudr, Nnef, Nnwdaf, Naf, Npcf, Nchf, Namf, 및 Nsmf를 포함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들을 도시한다. N4 참조 포인트는 5G 정책 프레임워크의 일부가 아닐 수 있지만, 완성도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5GS에 대한 정책 및 과금 제어 프레임워크에 대한 전체 아키텍처의 참조 포인트 표현(200)을 도시한다. 3GPP TS 23.50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참조 포인트 표현(200)은 PCF(110), SMF(116), UPF(118), AMF(114), NEF(104), NWDAF(106), CHF(112), AF(108) 및 UDR(102)의 기능들을 포함한다. 도 2는 또한, 대응하는 참조 포인트들 N5, N23, N36, N30, N29, N28, N40, N15, N7, 및 N4를 도시한다. N4 참조 포인트는 5G 정책 프레임워크의 일부가 아닐 수 있지만, 완성도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UE 정책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에 의해 개시되는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에서 UE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300)를 도시한다.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300)는 UE(302), RAN 또는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R)AN(304)으로서 도시됨), AMF(114), 및 PCF(110) 사이의 협력을 포함한다.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300)는 PCF(110)가 UE 정책(306)을 업데이트하기로 결정할 때 개시된다. PCF(110)는 UE 구성에서 UE(302) 액세스 선택 및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즉, UE 정책)를 업데이트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비-로밍 경우에 있어서, 방문된 PCF(visited PCF, V-PCF)는 관여되지 않고, 홈 PCF(home PCF, H-PCF)의 역할은 PCF에 의해 수행된다. 로밍 시나리오들에 대해서, V-PCF는 AMF(114)와 상호작용하고, H-PCF는 V-PCF와 상호작용한다. PCF(110)는, UE가 EPS(evolved packet system)로부터 5GS로 이동하거나 UE 정책을 업데이트할 때 초기 등록, 5G 시스템(5GS)에의 등록과 같은 트리거링(triggering) 조건들에 기초하여 UE 정책 절차들을 업데이트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302)가 EPS로부터 5GS로 이동할 때 초기 등록 및 5GS에의 등록의 경우에 대해, PCF(110)는 Npcf_UEPolicyControl_Create 요청 내의 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에 포함된 PSI(public service identifier)들의 리스트를 비교하며, 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가 업데이트되고 DL NAS TRANSPORT 메시지를 사용하여 AMF(114)를 통해 UE(302)에 제공되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트리거된 UE 정책 업데이트 경우(예컨대, UE 위치의 변경, 3GPP TS 23.503의 6.1.2.2.2 항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가입된 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어시스턴스 정보(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S-NSSAI)의 변경)에 대해, PCF(110)는 PSI들의 최신 리스트를 검사하여 어느 UE 액세스 선택 및/또는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들을 UE(302)로 전송할지를 결정한다.
PCF(110)는 생성된 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의 크기가 미리정의된 한계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크기가 한계 미만인 경우, 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단일 Namf_Communication_N1N2MessageTransfer 서비스 동작(310)에 포함된다. 크기가 미리정의된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PCF(110)는 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를, 각각의 것의 크기가 미리정의된 한계 미만임을 보장하는 더 작고 논리적으로 독립적인 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로 분할한다. 이어서, 각각의 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별개의 Namf_Communication_N1N2MessageTransfer 서비스 동작(310)에서 전송될 수 있다.
AMF(114)로부터 UE(302)로의 NAS 메시지들은 NG-RAN(PDCP 계층)에서 허용되는 최대 크기 한계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PCF(110)에서의 미리정의된 크기 한계는 그러한 제한과 관련될 수 있다. 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를 분할하는 데 사용되는 메커니즘은 3GPP TS 29.507에 설명되어 있다.
PCF(110)는 AMF(114)에 의해 제공되는 Namf_Communication_N1N2MessageTransfer 서비스 동작(310)을 호출한다. 메시지는 SUPI 및 UE 정책 컨테이너(cont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트리거된 서비스 요청(308)에서, UE(302)가 3GPP 액세스 또는 비-3GPP 액세스 중 어느 하나에서 AMF(114)에 의해 등록되고 도달가능한 경우, AMF(114)는, 등록되고 도달가능한 액세스를 통해 UE 정책 컨테이너를 UE(302)로 투명하게 전달한다. UE(302)가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 둘 모두에 등록되고, 두 액세스 모두에 도달가능하고 동일한 AMF(114)에 의해 서빙되는 경우, AMF(114)는 AMF 로컬 정책에 기초하여 액세스들 중 하나를 통해 UE 정책 컨테이너를 UE(302)로 투명하게 전달한다. UE(302)가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 둘 모두를 통해 AMF에 의해 도달가능하지 않은 경우, AMF(114)는, UE 정책 컨테이너가 Namf_Communication_N1N2TransferFailureNotification을 사용하여 UE(302)에 전달될 수 없음을 PCF(110)에 리포트한다. AMF(114)가 3GPP 액세스를 통해 UE 정책 컨테이너를 UE(302)로 투명하게 전달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예컨대, UE(302)가 3GPP 액세스에서만 AMF에 의해 등록되고 도달가능한 경우, 또는 UE(302)가 동일한 AMF에 의해 서빙되는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 둘 모두에서 AMF에 의해 등록되고 도달가능하고, AMF(114)가 로컬 정책에 기초하여 3GPP 액세스를 통해 UE 정책 컨테이너를 UE(302)로 투명하게 전달하기로 결정하고, UE(302)가 CM-IDLE에 있고 3GPP 액세스에서 AMF에 의해 도달가능한 경우, AMF(114)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페이징 절차를 시작한다. 페이징 요청의 수신 시, UE(302)는 UE 트리거된 서비스 요청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UE 정책들의 전달(312)에서, UE(302)가 3GPP 액세스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통해 CM-CONNECTED에 있는 경우, AMF(114)는 PCF(110)로부터 수신된 UE 정책 컨테이너(UE 액세스 선택 및 PDU 세션 선택 관련 정책 정보)를 UE(302)로 투명하게 전달한다. UE 정책 컨테이너는 3GPP TS 23.503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정책 섹션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UE(302)는 PCF(110)에 의해 제공된 UE 정책을 업데이트하고, UE 정책들의 전달의 결과들(314)을 AMF(114)로 전송한다.
AMF(114)가 UE 정책 컨테이너를 수신했고, PCF(110)가 UE 정책 컨테이너의 수신을 통지받기 위해 가입했다면, AMF(114)는 Namf_N1MessageNotify 동작(316)을 사용하여 UE(302)의 응답을 PCF(110)로 전달한다. PCF(110)는 UE(302)로 전달되는 PSI들의 최신 리스트를 유지하고, Nudr_DM_Update(SUPI, 정책 데이터, 정책 세트 엔트리, 업데이트된 PSI 데이터) 서비스 동작을 호출함으로써 UDR 내의 PSI들의 최신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3GPP TR 22.827은 핵심 성능 표시자(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들을 제시하는 라이브 오디오 제작에 대한 2개의 용례들을 갖는다. 그러나, 비-공중 네트워크에서의 이러한 용례의 배치는 관중들이 비-공중 네트워크에 가입함을 가정한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솔루션들 및 용례들은 그들이 MNO들 또는 다른 제3자들에 가입하지 않는 UE 디바이스들을 갖는 잠재적 관중들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들은, 5GS가 비-공중 네트워크의 가입자들뿐만 아니라 다른 MNO들/제3자들의 가입자들도 포함한 상이한 통신 소비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A/V 라이브 제작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즉, 라이브 미디어 제작은 다른 MNO들/제3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MNO들/제3자들의 가입자들도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형태는 5GS 내의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MPF)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LMPF는 5G 네트워크에서 가상/물리적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LMPF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는 AF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LMPF의 동작은 일시적일 수 있고, 유한 시간(예컨대, 스포츠 경기의 지속기간) 동안의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를 제공한다.
소정 실시 형태들은 5GS에서 스포츠 경기장 또는 이벤트에서의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 제작의 예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개시로부터 임의의 유형의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들은 극장들 또는 스타디움들에서의 라이브 콘서트들 또는 라이브 공연들과 같은 라이브 미디어 제작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실시 형태들은, 본 명세서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GPP TS 23.503의 도 5.2.1-1 및 도 5.2.1-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5G 시스템 내의 서비스 아키텍처를 참조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는 PLMN 및 비-공중 네트워크의 가입자로서의 UE에 대한 UE 구성을 제공/업데이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LMPF(402)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몰입형 미디어 제작(400)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를 위한 실시간 A/V 제작은 스포츠 스타디움(410)에서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 서비스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미디어 획득 기능(404), 미디어 제작 기능(406), 및 미디어 배포 기능(408)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니라 단지 예로서, 스타디움(410)은, 다수의 시점들로부터 운동선수들의 비디오를 캡처하기 위해 운동장 주위에 배치되는 UE 능력들을 갖는 30대 이상의 카메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들은 MNO들/제3자들(416)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국부적 비-공중 네트워크(414) 내의 NG-RAN들(412)을 통해 5G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LMPF(402)는 5G 네트워크에서 가상/물리적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또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는 AF로서 배치될 수 있다. LMPF(402)의 동작은 일시적일 수 있고, 유한 시간(예컨대, 스포츠 경기의 지속기간) 동안의 것일 수 있다.
LMPF(402)는 라이브 미디어를 제작하고, 제작된 라이브 미디어를 다른 MNO들 및 제3자들을 포함한 상이한 고객들에게 제공한다. 즉, LMPF(402)는 통신 서비스일 수 있고, MNO들/제3자들(416)은 통신 서비스 소비자(communication service consumer, CSC)들일 수 있다. 이용가능한 미디어에 의해, MNO들/제3자들(416)은 그들의 PLMN들 또는 비-공중 네트워크들에서 그들의 가입자들에게 통신 서비스들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평면에서의 LMPF(50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아키텍처(500)를 도시한다. 특히,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기반 표현(100) 예에서의 LMPF(502)를 도시한다. LMPF(502)는, 예를 들어, Nnlmpf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사용자 평면에서의 LMPF(60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아키텍처(600)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기반 표현(100)에서의 LMPF(602)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LMPF(602)는 UPF로서 기능할 수 있다. LMPF(602)는 Nx 참조 포인트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소정의 그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SP)는 LMPF를 포함한 물리적/가상 네트워크 기능들을 갖는 RAN/CN 인프라구조를 배치한다. 라이브 미디어의 통신 서비스 고객(communication service customer, CSC)은 LMPF를 가상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간주하고, 통신 서비스 제공자(CSP-2)로서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통신 서비스 소비자들(CSC-2)로서의 그들의 가입자들에게 프로비저닝한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은 PLMN/비-공중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서 지원될 수 있다.
표 1은 라이브 미디어 제작을 위해, CSP-NS 및 CSC-NS로 나타내진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잠재적 CSP 및 CSC에 대한 예시적인 비즈니스 롤 모델을 보여준다. 또한, CSP-2 및 CSC-2는 운영자와 그의 서비스 가입자(UE) 사이의 롤 모드를 보여준다. 이 표는 LMPF 서비스 개념으로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개념을 보여주며, 이는 더 많은 운영자들이 그들의 UE 가입자들에게 서비스들을 제공하게 한다.
[표 1]
Figure 112021048484252-pct00001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LMPF의 CSP는 하기의 기능들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들을 그의 고객들(예컨대, MNO들, 제3자들)에게 제공한다: LMPF 서비스에 대한 요구되는 미디어 유형들, 미디어 압축 유형들, 미디어 관련 파라미터들, 및 그의 가입자 ID로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기능; 서비스 인증 및 인가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 미디어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들(예컨대, 무결성 키, 암호화 키, 암호화 알고리즘들 등)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 및/또는 라이브 미디어를 검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어드레스(들)(배치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기능 어드레스에 있을 수 있음) 또는 포트 번호(들)를 포함한 액세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
미디어 획득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LMPF에 대한 미디어를 획득하기 위해, 엔티티들/기능들은 센서들, 전문가용 360도 카메라들, 네트워크 기능으로서의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MPF), 및 5G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 제조의 지원에서, 상이한 각도들 및/또는 위치들로부터 가능한 한 많은 라이브 비디오를 캡처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은 필요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카메라들 및/또는 센서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능으로서 LMPF 셋업 동안, LMPF는 배치 설정들, 및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PCF에 제공한다.
동작 동안, LMPF는 모니터링 이벤트를 개시하고 구성 요청을 PCF에 리포트한다. 디바이스들의 정보, 예컨대 디바이스 식별자(ID), 위치 등에 기초하여, PCF는 디바이스 구성, 예컨대 센서들 및 카메라 구성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예컨대, 도 3 및/또는 3GPP TS 23.502 도 4.2.4.3-1 참조)를 사용한다.
모니터링 이벤트는 하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초, 분, 위치 변경들 등별) 위치 업데이트 기준; 및 카메라에 대한 디바이스 동작 정보(예컨대, 촬영 각도, 포커스, 줌인/아웃 비율들, 블랙/화이트 밸런스, 비디오 픽셀 설정 등).
모니터링 리포트는 PCF를 통해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LMPF로 전송될 수 있다. 모니터링 리포트는 모니터링 응답 액션의 표시들일 수 있다. 모니터링 기준이 충족될 때, 디바이스는 리포팅 정보를 포함한 모니터링 리포트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모니터링 응답 액션은 모니터링 이벤트를 검출할 때 디바이스가 특정 액션을 취할 것을 요청하도록 LMPF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에서 특정된 모니터링 이벤트를 검출할 때 디바이스에서의 자동화 액션을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을 초과하는 타깃의 이동을 검출할 때, 디바이스는 타깃과 함께 자동으로 이동한다.
AF로서의 LMPF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LMPF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는 AF로서 구성된다. AF로서의 LMPF는 라이브 미디어를 제작할 수 있고, 라이브 미디어를 다른 MNO들 및 제3자들을 포함한 상이한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LMPF는 통신 서비스 제공자이고, MNO들/제3자들은 통신 서비스 소비자이다. 이용가능한 미디어에 의해, MNO들/제3자들은 그들의 PLMN들/비-공중 네트워크에서 그들의 가입자들에게 통신 서비스들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AF(702)로서의 LMPF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아키텍처(700)를 도시한다. 특히,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기반 표현(100) 예에서의 AF(702)로서의 LMPF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CSP는 물리적 인프라구조를 배치하고, NEF(104)를 사용하여 AF(702)로서의 LMPF와 인터페이싱한다. LMPF의 운영자는 물리적 인프라구조를 배치하는 CSP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CSP는 LMPF 서비스들을 위해 LMPF에 하기의 API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구되는 미디어 유형들, 미디어 압축 유형들, 미디어 관련 파라미터들, 및 그의 가입자 ID를 갖는 요구되는 미디어 파라미터들을 갖는 CSP로부터의 미디어 획득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API; 요구되는 디바이스 구성(예컨대, 카메라 촬영 각도들, 해상도들, 해상도들, 카메라들의 개수 등)을 갖는 CSP로부터의 미디어 획득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API;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들(예컨대, 센서들 및 카메라들)로부터 디바이스 모니터링/리포팅 서비스들을 요청하기 위한 API; 미디어 획득들을 수행할 때 특정 디바이스들(예컨대, 카메라)에 대한 디바이스 파라미터 조정들을 요청하기 위한 API.
소정의 그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라이브 미디어 획득 서비스의 CSP가 또한 LMPF로부터 제작된 라이브 미디어의 고객이 되기를 바라는 경우, 그것은 라이브 미디어를 수신하기 위해 API들을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의 CSC로서 제공할 수 있다. API들은 하기의 메시지들을 지원할 수 있다: LMPF 서비스에 대한 요구되는 미디어 유형들, 미디어 압축 유형들, 미디어 관련 파라미터들, 및 그의 가입자 ID로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인증 및 인가를 얻기 위한 메시지; 미디어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들(예컨대, 무결성 키, 암호화 키, 암호화 알고리즘들 등)을 얻기 위한 메시지; 및/또는 라이브 미디어를 검색하기 위한 LMPF 기능 어드레스(들)(예컨대, 배치에 따라 다른 어드레스에 있을 수 있음) 또는 포트 번호(들)를 포함한 액세스 정보를 얻기 위한 메시지.
미디어 제작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획득된 미디어가 이용가능할 때, LMPF는, 미디어 콘텐츠 저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미디어 제작 콘솔로서의 논리적 기능들을 갖는다. 미디어 콘텐츠 저장을 위해, LMPF는 추가 제작을 위해 센서들 및 카메라들로부터 업로드된 비디오 스트림들/클립들을 저장한다. LMPF는 라이브 미디어가 성공적으로 프로세싱되고 제작된 후에 그를 저장할 수 있다.
미디어 제작 콘솔(console)로서, LMPF는 모니터링 IoT 디바이스들(예컨대, 카메라들)의 액션들을 결정할 수 있고, 카메라들 및 미디어 제작 콘솔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의 (예컨대, 교정 및 비디오 촬영들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커맨드(command)들을 전송할 수 있다. 5GS에 의해 제공되는 모니터링 특징부들은 특정 이벤트들을 LMPF에 리포트하기 위한 카메라들 및 센서들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이한 서비스 요건들에 따라 상이한 가입된 서비스들에 대한 미디어를 제작하기 위한 상이한 미디어 제작 콘솔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에 있는 관중들에게 몰입형 미디어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의 높은 처리량 및 낮은 레이턴시 전달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완화된 레이턴시 요건들을 허용할 수 있는 원격 관중들의 경우, 미디어의 제작은 다른 미디어 소스들(예컨대, 리포팅 및 광고들)과 혼합될 수 있다.
미디어 배포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제작된 미디어가 저장되고 LMPF에 의해 관중들에게 제공될 준비가 될 때, LMPF는 하기에 미디어 배포를 제공할 수 있다: PLMN 내의 사설 슬라이스 또는 비-공중 네트워크에 대한 서비스에 가입한, 현장에 있는 관중; 및/또는 전세계의 원격 사이트들에 있는 관중들로서 그들의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의 서비스에 가입한 관중들.
LMPF는,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계약들이 유효한 경우에,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서비스 가입자들로서의 다른 운영자들(MNO/제3자들)에게 배포함으로써 라이브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풀 모드(pull mode)에서, LMPF는 가입자에 의해 액세스될 어드레스 및 포트를 이미 구성하고 셋업한다. 가입자는 라이브 미디어를 검색할 수 있다. 가입자가 라이브 미디어를 검색하기 위해 대응하는 API가 제공된다. 푸시 모드(push mode)에서, LMPF는 가입자들의 네트워크에서의 어드레스 및 포트 정보를 이미 저장하였다. LMPF는 이에 따라, 이용가능할 때마다 라이브 미디어를 푸시할 수 있다.
LMPF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물(offering)들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배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TS 26.247에 정의된 바와 같은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LMPF는 HTTP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DASH-포맷 라이브 콘텐츠를 배포하기 위해 DASH 서버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3GPP TS 26.234에 정의된 바와 같은 패킷 교환형 스트리밍 서비스(packet-switched streaming service, PS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LMPF는 (i) HTTP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DASH-포맷 라이브 콘텐츠를 배포하거나, 또는 (ii) RTP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RTP-포맷 라이브 콘텐츠를 배포하기 위해 PSS 서버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3GPP TS 26.346에 정의된 바와 같은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LMPF는 (i) FLUTE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DASH-포맷 라이브 콘텐츠를 배포하거나, 또는 (ii) RTP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RTP-포맷 라이브 콘텐츠를 배포하기 위해 BMSC 서버를 포함한다.
LMPF는 또한, 3GPP TS 26.238에 정의된 바와 같은 라이브 업링크 스트리밍용 프레임워크(framework for live uplink streaming, FLUS) 서비스를 사용하여 UE로부터 라이브 업링크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LMPF는 FLUS 싱크(sink)를 포함하고, 3GPP TS 26.114에 정의된 바와 같이, (i) HTTP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DASH-포맷 라이브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ii) MTSI(multimedia telephony service over internet protocol(IP) multimedia subsystem(IMS))에 기초하여 RTP 기반 라이브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LMPF는 3GPP TS 26.118에 정의된 전방향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포맷(omnidirectional media application format, OMAF)들에 따라 포맷화된 몰입형 라이브 콘텐츠를 배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절차
일 실시 형태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 제작을 프로비저닝함에 있어서의 서비스 흐름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0은 사전조건들을 정의한다. 실시간 몰입형 미디어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 시스템에서 자동화의 통신을 달성하기 위해, 스포츠의 유형들, 스포츠 경기장의 크기, 운동선수의 수, 운동선수들의 움직임, 및 이동 속도에 따라 상이한 시스템 배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림픽 경기의 스포츠의 경우에, 축구 경기는 14 내지 22명의 플레이어들이 있고, 빠르고 무작위적인 움직임(예컨대, 가레스 베일(Gareth Bale)(레알 마드리드 소속)의 기록은 36.9 km/h였음)을 포함하고, 110 m × 75 m 치수들을 갖는 경기장을 사용하며; 수영 경기는 적어도 8명의 영자(swimmer)들이 있고, 예측가능한 직선형 움직임을 포함하고, 다소 예측가능한 속도들(예컨대, 마이클 팰프스(Michael Phelps)의 자유형 기록은 1:42.96(1.94 m/sec)이었음)을 포함하고, 50 m × 25 m 치수들을 갖는 수영장을 사용한다.
단계 0.1에서, 센서 구성 및 접속성에 대해, 운동선수들은, UE 능력들을 포함하고 5G 네트워크에 등록되고 LMPF와 접속되는 센서들을 착용할 수 있다. UE들은 5G 네트워크에 위치, 속도, 및/또는 움직임을 리포트하고, 라이브 비디오 스트림들/클립들을 캡처/업로드한다. 운동선수들 및 대응하는 센서들의 식별 정보는 사전구성될 수 있고, LMPF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0.2는 UE 능력들을 갖는 전문가용 비디오 카메라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카메라들은 CMPF와 접속되는 5G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 있고, UE 구성 업데이트들을 수행할 수 있다. LMPF는 센서들 및 카메라들로부터 리포팅 정보를 수신할 때 PCF를 통해 원격으로 카메라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에서, 5G 접속을 통해, 센서들은 구성된 모니터링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그들의 위치를 리포트하기 시작할 수 있고, 비디오 클립들을 선택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들은 구성된 특정 영역 및 동작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라이브 비디오를 업로드하기 시작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수신된 센서들의 정보 및 카메라들로부터의 업로드된 미디어에 기초하여, LMPF는 모든 비디오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조합함으로써 라이브 미디어를 제작하기 시작한다. 일부 포스트-제작 미디어(예컨대, 자막들 및 라이브 리포트)가 또한 제작 프로세스 동안 조합될 수 있다.
단계 3에서, LMPF는 일부 카메라들에 대한 소정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것을 결정한다. LMPF는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를 사용하여 PCF를 통해 하나 이상의 특정 카메라들로 커맨드들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제작 콘솔은 특정 영역 또는 한 명의 특정 운동선수에 포커싱하기 위해 카메라를 줌인할 수 있다. 커맨드들 및 응답된 액션의 전달은 실시간이므로, 그것은 하이라이트 장면(예컨대, 풋볼 경기에서의 터치 다운 순간)을 캡처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LMPF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할 때, 카메라는 미디어 획득의 동작을 위한 수신된 커맨드들 및 카메라 파라미터들(예컨대, 추적 객체, 특정 영역들에 있는 특정 운동선수, 촬영 각도, 포커스, 줌인/아웃 비율들, 블랙/화이트 밸런스, 비디오 픽셀 설정 등)에 기초하여 액션들을 실행한다. 이동성 능력을 갖는(예컨대, 와이어링된 트랙을 가짐) 카메라 또는 비행하는 드론의 경우에, 커맨드들은 특정 촬영 지리적 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에서, LMPF는 실시간 라이브 미디어를 제작하고, 이를 저장하고, 이를 가입자들로부터의 요청 및 관중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배포한다.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 서비스는 하기를 포함한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현장에 있는 관중 - 사용자들은 UE 능력을 구비한 디바이스들을 갖고, 비-공중 네트워크 또는 PLMN 내의 사설 슬라이스에 가입함 -; 및 현장에 있지 않은 원격 관중 - 사용자들은 UE 능력을 구비하지 않은 감상용 디바이스들을 갖고, MNO들 및 제3자들을 포함한 서비스 제공자들로부터 선택적 경기들의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가입함 -.
단계 6은 포스트-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림픽의 다수의 스포츠 경기들에 대한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 서비스들은 전체 올림픽 기간 동안 5G 네트워크를 통해 전세계의 관중들에게 프로비저닝하는 것이다. 현장에 있는 또는 원격 위치에 있는 관중들은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를 수신하고 즐긴다.
네트워크 배치들의 유형들
소정 실시 형태들에서, 5G 네트워크에서의 라이브 몰입형 미디어 제작 서비스는 하기의 2개의 유형들의 네트워크 배치들에서 (5GC 내의 네트워크 기능 또는 AF로서) LMPF를 지원할 수 있다: MNO 또는 제3자 운영자에 의해 동작되는 PLMN 내의 사설 슬라이스에서; 또는 RAN/CN 인프라구조가 하나 이상의 MNO(들)로부터 임차된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제3자에 의해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MNO(들) 및 제3자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RAN 공유 네트워크로서 동작되는 비-공중 네트워크에서.
예시적인 방법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MPF)을 위한 방법(800)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블록(802)에서, 방법(800)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획득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애플리케이션 기능으로서 LMPF를 구성한다. 블록(804)에서, 방법(800)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배치 설정들 및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PCF에 제공한다. 블록(806)에서, 방법(800)은 모니터링 리포트 및 모니터링 이벤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PCF에 제공하기 위한 요청을 개시하며, 여기서 디바이스 구성 정보는 디바이스 동작 정보 및 위치 업데이트 기준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다. 블록(808)에서, 방법(800)은 PCF를 통해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리포팅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리포트를 프로세싱한다.
도 9는 AF가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방법(900)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록(902)에서, 방법(900)은 라이브 이벤트를 위해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획득한다. 블록(904)에서, 방법(900)은 미디어 획득 서비스 및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리포팅 서비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향해 적어도 하나의 API를 통해 라이브 이벤트의 LMPF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시스템들 및 장치들
도 10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1000)는 적어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커플링되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 기저대역 회로부(1004), 무선 주파수(RF) 회로부(RF 회로부(1020)로서 도시됨), FEM(front-end module) 회로부(FEM 회로부(1030)로서 도시됨),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032), 및 PMC(power management circuitry)(PMC(1034)로서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디바이스(1000)의 컴포넌트들은 UE 또는 RAN 노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1000)는 보다 적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RAN 노드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에 EPC로부터 수신되는 IP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프로세서/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메모리/저장소, 디스플레이, 카메라, 센서, 또는 입출력(I/O) 인터페이스와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컴포넌트들은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예컨대, 상기 회로부들은 C-RAN(Cloud-RAN) 구현들을 위해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는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는 범용 프로세서들 및 전용 프로세서들(예컨대, 그래픽 프로세서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들 등)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저장소와 커플링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저장소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운영 체제들이 디바이스(10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의 프로세서들은 EPC로부터 수신되는 IP 데이터 패킷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하나 이상의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RF 회로부(1020)의 수신 신호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그리고 RF 회로부(1020)의 송신 신호 경로에 대한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또는 제어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기저대역 신호들의 생성 및 프로세싱을 위해 그리고 RF 회로부(102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제3세대(3G) 기저대역 프로세서(3G 기저대역 프로세서(1006)), 제4세대(4G) 기저대역 프로세서(4G 기저대역 프로세서(1008)), 제5세대(5G) 기저대역 프로세서(5G 기저대역 프로세서(1010)), 또는 다른 기존의 세대들, 개발 중인 또는 향후 개발될 세대들(예컨대, 제2세대(2G), 제6세대(6G) 등)에 대한 기타 기저대역 프로세서(들)(10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004)(예컨대,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중 하나 이상)는 RF 회로부(102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무선 제어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예시된 기저대역 프로세서들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메모리(1018)에 저장되고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1014)을 통해 실행되는 모듈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제어 기능들은 신호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무선 주파수 변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004)의 변조/복조 회로부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Fourier Transform, FFT), 프리코딩, 또는 콘스텔레이션(constellation) 맵핑/디맵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004)의 인코딩/디코딩 회로부는 콘볼루션(convolution), 테일-바이팅(tail-biting) 컨볼루션, 터보(turbo), 비터비(Viterbi), 또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인코더/디코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변조/복조 및 인코더/디코더 기능의 실시 형태들은 이러한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는, 다른 적합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들)(1016)와 같은 DSP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오디오 DSP(들)(1016)는 압축/압축해제 및 에코 제거를 위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는, 다른 적합한 프로세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의 컴포넌트들은 단일 칩, 단일 칩세트 내에 적합하게 조합되거나, 또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는, 동일한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004) 및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의 구성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SOC(system on a chip) 상에서와 같이,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하나 이상의 무선 기술들과 호환가능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다른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s),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004)가 하나 초과의 무선 프로토콜의 무선 통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실시 형태들은 다중 모드 기저대역 회로부라고 지칭될 수 있다.
RF 회로부(1020)는 비고체 매체(non-solid medium)를 통한 변조된 전자기 방사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020)는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위치들, 필터들, 증폭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1020)는 FEM 회로부(103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down-convert)하고 기저대역 신호들을 기저대역 회로부(1004)에 제공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1020)는 또한, 기저대역 회로부(1004)에 의해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들을 상향 변환(up-convert)하고 RF 출력 신호들을 송신을 위해 FEM 회로부(1030)에 제공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020)의 수신 신호 경로는 믹서 회로부(mixer circuitry)(1022), 증폭기 회로부(1024) 및 필터 회로부(10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020)의 송신 신호 경로는 필터 회로부(1026) 및 믹서 회로부(1022)를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부(1020)는 또한,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에 의한 사용을 위해 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한 합성기 회로부(10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는 합성기 회로부(1028)에 의해 제공되는 합성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FEM 회로부(1030)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하향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기 회로부(1024)는 하향 변환된 신호들을 증폭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필터 회로부(1026)는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향 변환된 신호들로부터 원하지 않는 신호들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LPF(low-pass filter) 또는 BPF(band-pass filter)일 수 있다.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기저대역 회로부(1004)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제로-주파수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지만, 이것이 필요조건은 아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는 수동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주가 이러한 점에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는 FEM 회로부(1030)에 대한 RF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합성기 회로부(1028)에 의해 제공되는 합성된 주파수에 기초하여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을 상향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저대역 신호들은 기저대역 회로부(1004)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필터 회로부(1026)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는 2개 이상의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각기, 직교 하향변환 및 상향변환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는 2개 이상의 믹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제거(image rejection)(예컨대, 하틀리(Hartley) 이미지 제거)를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 및 믹서 회로부(1022)는, 제각기, 직접 하향변환 및 직접 상향변환을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수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 및 송신 신호 경로의 믹서 회로부(1022)는 슈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위는 이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대안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기저대역 신호들 및 입력 기저대역 신호들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020)는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및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RF 회로부(1020)와 통신하기 위한 디지털 기저대역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듀얼 모드 실시 형태들에서, 각각의 스펙트럼에 대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개별 무선 IC 회로부가 제공될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위가 이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1028)는 프랙셔널-N 합성기(fractional-N synthesizer) 또는 프랙셔널 N/N+1 합성기일 수 있지만, 다른 유형들의 주파수 합성기들이 적합할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들의 범주가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합성기 회로부(1028)는 델타-시그마 합성기, 주파수 체배기, 또는 주파수 분주기를 갖는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합성기일 수 있다.
합성기 회로부(1028)는 주파수 입력 및 분주기 제어 입력에 기초하여 RF 회로부(1020)의 믹서 회로부(1022)에 의한 사용을 위해 출력 주파수를 합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1028)는 프랙셔널 N/N+1 합성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주파수 입력은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에 의해 제공될 수 있지만, 그것이 요구사항은 아니다. 분주기 제어 입력은 원하는 출력 주파수에 따라 기저대역 회로부(1004) 또는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분주기 제어 입력(예컨대, N)은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에 의해 표시되는 채널에 기초하여 룩업 테이블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RF 회로부(1020)의 합성기 회로부(1028)는 분주기, DLL(delay-locked loop), 멀티플렉서 및 위상 누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분주기는 DMD(dual modulus divider)일 수 있고, 위상 누산기는 DPA(digital phase accumulator)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DMD는 프랙셔널 분주비를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캐리아웃(carry out)에 기초하여) N 또는 N+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입력 신호를 분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서, DLL은 캐스케이딩되고(cascaded) 튜닝가능한 지연 요소들의 세트, 위상 검출기, 전하 펌프, 및 D형 플립플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지연 요소들은 VCO 주기를 Nd개의 동등한 위상 패킷들로 나누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Nd는 지연 라인에 있는 지연 요소들의 개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DLL은 지연 라인을 통한 총 지연이 하나의 VCO 사이클이라는 점을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네거티브 피드백(negative feedback)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합성기 회로부(1028)는 출력 주파수로서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주파수는 캐리어 주파수의 배수(예컨대, 캐리어 주파수의 2배, 캐리어 주파수의 4배)일 수 있고, 서로에 대해 다수의 상이한 위상들을 갖는 캐리어 주파수에서 다수의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직교 생성기 및 분주기 회로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출력 주파수는 LO 주파수(fLO)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F 회로부(1020)는 IQ/폴라 변환기(IQ/polar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0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032)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들에 대해 동작하도록, 수신된 신호들을 증폭시키도록, 그리고 수신된 신호들의 증폭된 버전들을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RF 회로부(10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03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032) 중 하나 이상에 의한 송신을 위해 RF 회로부(1020)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을 위한 신호들을 증폭시키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는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송신 또는 수신 신호 경로들을 통한 증폭은 RF 회로부(1020)에서만, FEM 회로부(1030)에서만, 또는 RF 회로부(1020) 및 FEM 회로부(1030) 둘 모두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FEM 회로부(1030)는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 동작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TX/RX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030)는 수신 신호 경로 및 송신 신호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030)의 수신 신호 경로는 수신된 RF 신호들을 증폭하고 증폭된 수신된 RF 신호들을 출력으로서 (예컨대, RF 회로부(1020)에) 제공하기 위한 LNA를 포함할 수 있다. FEM 회로부(1030)의 송신 신호 경로는 (예컨대, RF 회로부(1020)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RF 신호들을 증폭시키기 위한 PA(power amplifier), 및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032) 중 하나 이상에 의한) 후속하는 송신을 위해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MC(1034)는 기저대역 회로부(1004)에 제공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PMC(1034)는 전원 선택, 전압 스케일링, 배터리 충전, 또는 DC-DC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가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때,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UE에 포함될 때, PMC(1034)가 종종 포함될 수 있다. PMC(1034)는 바람직한 구현 크기 및 방열 특성들을 제공하면서 전력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PMC(1034)가 기저대역 회로부(1004)에만 커플링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PMC(1034)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 RF 회로부(1020), 또는 FEM 회로부(1030)와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커플링되고 이들에 대한 유사한 전력 관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PMC(1034)는 디바이스(1000)의 다양한 절전 메커니즘들을 제어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디바이스가 트래픽을 곧 수신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RAN 노드에 여전히 접속되어 있는 RRC_Connected 상태에 있다면, 디바이스는 일정 기간의 비활동 이후에 DRX(Discontinuous Reception Mode)라고 알려진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동안, 디바이스(1000)는 짧은 시간 간격들 동안 전력 다운될 수 있고 따라서 절전할 수 있다.
연장된 기간 동안 데이터 트래픽 활동이 없다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로부터 접속해제되고 채널 품질 피드백, 핸드오버 등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지 않는, RRC_Idle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초저전력 상태로 되고, 디바이스는 그것이 또다시 네트워크를 리스닝(listening)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wake up)하고 이어서 또다시 전력 다운되는,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 디바이스(1000)는 이 상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그것은 다시 RRC_Connected 상태로 전환된다.
부가의 절전 모드는, 디바이스가 페이징 간격(몇 초 내지 수 시간의 범위에 있음)보다 긴 기간들 동안 네트워크에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이 시간 동안, 디바이스는 전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불가(unreachable)하고 완전히 전력 다운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전송되는 임의의 데이터는 큰 지연을 초래하고, 이것은 지연이 용인가능한 것으로 가정된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의 프로세서들 및 기저대역 회로부(1004)의 프로세서들은 프로토콜 스택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instance)들의 요소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대역 회로부(1004)의 프로세서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계층 3, 계층 2, 또는 계층 1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의 프로세서들은 이러한 계층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예컨대, 패킷 데이터)를 이용하고 계층 4 기능(예컨대, TCP(transmission communication protocol)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 계층들)을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3은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2는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계층 1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UE/RAN 노드의 물리적(PHY)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기저대역 회로부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들(1100)을 예시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0의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3G 기저대역 프로세서(1006), 4G 기저대역 프로세서(1008), 5G 기저대역 프로세서(1010), 기타 기저대역 프로세서(들)(1012), CPU(1014), 및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활용되는 메모리(10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들 각각은 메모리(1018)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각자의 메모리 인터페이스(110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회로부(1004)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104)(예컨대, 기저대역 회로부(1004) 외부의 메모리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회로부 인터페이스(1106)(예컨대, 도 10의 애플리케이션 회로부(1002)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RF 회로부 인터페이스(1108)(예컨대, 도 10의 RF 회로부(1020)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무선 하드웨어 접속 인터페이스(1110)(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컴포넌트들, Bluetooth® 컴포넌트들(예컨대, Bluetooth® Low Energy),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전력 관리 인터페이스(1112)(예컨대, PMC(1034)로/로부터 전력 또는 제어 신호들을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회로부들/디바이스들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의 컴포넌트들(1200)을 도시한다. CN(1206)의 컴포넌트들은 머신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물리적 노드 또는 별개의 물리적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네트워크 기능들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통해 상기 설명된 네트워크 노드 기능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가상화하기 위해 활용된다(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됨). CN(1206)의 로직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 슬라이스(1202)로 지칭될 수 있다(예컨대, 네트워크 슬라이스(1202)는 HSS(1208), MME(들)(1214), 및 S-GW(121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CN(1206)의 일부분의 로직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 서브슬라이스(1204)로 지칭될 수 있다(예컨대, 네트워크 서브슬라이스(1204)는 P-GW(1216) 및 PCRF(12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NFV 아키텍처들 및 인프라구조들은, 산업-표준 서버 하드웨어, 저장 하드웨어, 또는 스위치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물리적 리소스 상으로, 대안적으로는 사설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기능들을 가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NFV 시스템들은 하나 이상의 EPC 컴포넌트들/기능들의 가상 또는 재구성가능한 구현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NFV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1300)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 따른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시스템(1300)은,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자(VIM(1302)으로서 도시됨),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304)로서 도시됨), VNF 관리자(VNFM(1306)으로서 도시됨), 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들(VNF(1308)로서 도시됨), 요소 관리자(EM(1310)으로서 도시됨), NFV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NFVO(1312)로서 도시됨), 및 네트워크 관리자(NM(1314)으로서 도시됨)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시되어 있다.
VIM(1302)은 NFVI(1304)의 리소스들을 관리한다. NFVI(1304)는 시스템(1300)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가상 리소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하이퍼바이저(hypervisor)들을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VIM(1302)은 NFVI(1304)로 가상 리소스들의 수명 사이클(예컨대, 하나 이상의 물리적 리소스들과 연관된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VM)들의 생성, 유지보수, 및 해체)을 관리하고, VM 인스턴스들을 추적하고, VM 인스턴스들 및 연관된 물리적 리소스들의 성능, 결함 및 보안을 추적하고, VM 인스턴스들 및 연관된 물리적 리소스들을 다른 관리 시스템들에 노출시킬 수 있다.
VNFM(1306)은 VNF(1308)를 관리할 수 있다. VNF(1308)는 EPC 컴포넌트들/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VNFM(1306)은 VNF(1308)의 수명 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고, VNF(1308)의 가상 태양들의 성능, 결함 및 보안을 추적할 수 있다. EM(1310)은 VNF(1308)의 기능적 태양들의 성능, 결함 및 보안을 추적할 수 있다. VNFM(1306) 및 EM(1310)으로부터의 추적 데이터는, 예를 들어, VIM(1302) 또는 NFVI(1304)에 의해 사용되는 성능 측정(performance measurement, PM)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VNFM(1306) 및 EM(1310) 둘 모두는 시스템(1300)의 VNF들의 양을 확장/축소할 수 있다.
NFVO(1312)는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예컨대, EPC 기능, 컴포넌트 또는 슬라이스를 실행하기 위해) NFVI(1304)의 리소스들을 조정, 인가, 해제 및 참여시킬 수 있다. NM(1314)은 네트워크의 관리를 위한 책임을 갖는 최종 사용자 기능들의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VNF들을 갖는 네트워크 요소들, 비-가상화된 네트워크 기능들,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VNF들의 관리는 EM(1310)을 통해 발생할 수 있음).
도 14는 머신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 따른, 컴포넌트들(14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각각이 버스(1422)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412)(또는 프로세서 코어들), 하나 이상의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 및 하나 이상의 통신 리소스들(1420)을 포함한 하드웨어 리소스들(1402)의 도식적 표현을 도시한다. 노드 가상화(예컨대, NFV)가 활용되는 실시 형태들의 경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서브-슬라이스들이 하드웨어 리소스들(1402)을 활용하기 위한 실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하이퍼바이저(1404)가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412)(예컨대,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같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다른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1414) 및 프로세서(141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은 메인 메모리, 디스크 저장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소(solid-state storage)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리소스들(1420)은 네트워크(14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들(1406) 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들(1408)과 통신하기 위한 상호접속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리소스들(1420)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커플링하기 위한) 유선 통신 컴포넌트들, 셀룰러 통신 컴포넌트들, NFC 컴포넌트들, Bluetooth® 컴포넌트들(예컨대, Bluetooth® Low Energy),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1424)은 프로세서들(1412) 중 적어도 임의의 것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앱, 또는 다른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1424)은 프로세서들(1412)(예컨대,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 내에),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게다가, 명령어들(1424)의 임의의 부분이 주변기기 디바이스들(1406) 또는 데이터베이스들(1408)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하드웨어 리소스들(1402)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세서들(1412)의 메모리,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1418), 주변기기 디바이스들(1406), 및 데이터베이스들(1408)은 컴퓨터 판독가능 및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의 예들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 대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의 실시예 섹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 기법들, 프로세스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하는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기저대역 회로부는 아래에 기술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행하는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UE, 기지국, 네트워크 요소 등과 연관된 회로부는 실시예 섹션에서 아래에 기술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섹션
다음 실시예들은 추가의 실시 형태들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MPF)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획득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애플리케이션 기능으로서 LMPF를 구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배치 설정들 및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정책 제어 기능(PCF)에 제공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리포트 및 모니터링 이벤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PCF에 제공하기 위한 요청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디바이스 구성 정보는 디바이스 동작 정보 및 위치 업데이트 기준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방법은, PCF를 통해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리포팅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리포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3은 실시예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모니터링 리포트는, 모니터링 이벤트의 모니터링 기준이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충족될 때, 트리거된 모니터링 응답 액션의 표시를 포함한다.
실시예 4는 실시예 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PCF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한 UE 구성 업데이트가 모니터링 이벤트, 모니터링 리포트, 및 모니터링 응답 액션을 구성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하고,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서의 특정된 모니터링 이벤트의 검출 시에 모니터링 리포트가 전송되고, 모니터링 응답 액션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되는 자동화 액션을 포함한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카메라, 및 센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 6은 실시예 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배치 설정들 및 디바이스 구성 정보는 디바이스 식별자(ID)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위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7은 실시예 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디바이스 동작 정보는 촬영 각도, 포커스, 줌인 및 줌아웃 비율들, 블랙 또는 화이트 밸런스, 및 비디오 픽셀 설정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8은 실시예 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여기서 LMPF는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제어 평면 또는 사용자 평면에서의 물리적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고,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NO) 및 제3자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 소비자들에게 제작된 라이브 미디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9는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기능(AF)을 위한 방법이다. 방법은, 라이브 이벤트를 위해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획득하는 단계; 및 미디어 획득 서비스 및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리포팅 서비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향해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라이브 이벤트의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MPF)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0은 실시예 9의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I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미디어 획득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요청은 미디어 유형들, 미디어 압축 유형들, 미디어 관련 파라미터들, 및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 식별자(ID)를 포함하는 미디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11은 실시예 9의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I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미디어 획득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요청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정책 제어 기능(PCF)에 의해 개시되는 UE 구성 절차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구성을 포함한다.
실시예 12는 실시예 11의 방법이며, 여기서 디바이스 구성은 카메라 촬영 각도들, 비디오 해상도들, 및 카메라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13은 실시예 12의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I는, 미디어 획득들을 수행할 때,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의 디바이스 구성에 대한 디바이스 파라미터 조정들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4는 실시예 13의 방법이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카메라들 및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15는 실시예 9의 방법이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들이고, 적어도 하나의 API는 정책 제어 기능(PCF)에 의해 개시되는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를 통해 IoT 디바이스들을 향해 모니터링 이벤트, 모니터링 리포트, 및 모니터링 응답 액션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것이고,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서의 특정된 모니터링 이벤트의 검출 시에 모니터링 리포트가 전송되고, 모니터링 응답 액션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되는 자동화 액션이다.
실시예 16은 실시예 9의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I는 추가로, LMPF 서비스들에 대한 요청된 미디어 유형들, 미디어 압축 유형들, 미디어 관련 파라미터들, 및 고객의 가입자 식별자(ID)를 갖는 소비자로서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라이브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7은 실시예 16의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I는 LMPF 서비스들의 소비자로서의 하나 이상의 운영자에게 제공되는 라이브 미디어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보안 파라미터들은 무결성 키, 암호화 키, 및 암호화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18은 실시예 16의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I는 라이브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라이브 미디어 서버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세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9는 실시예 9의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I는 무선 네트워크가 LMPF 서비스들의 지원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서비스 인증 및 인가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20은 실시예 19의 방법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API는 서비스 계약들에 기초하여 AF에 의해 하나 이상의 운영자에게 제공되는 LMPF 서비스들의 지원을 인에이블시킬 것을 요청한다.
전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이,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또는 실시예들의 조합)와 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총망라하거나 또는 실시 형태들의 범주를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들 및 변형들이 상기 교시들의 관점에서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실시 형태들 및 구현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들(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로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들은 특정 실시 형태들의 설명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들은 단일 시스템들로 조합될 수 있거나, 다른 시스템들에 부분적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다수의 시스템들로 분할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들로 분할 또는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파라미터들/속성들/태양들/등등이 다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파라미터들/속성들/태양들/등등은 단지 명확함을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서 설명되며, 파라미터들/속성들/태양들/등등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의 파라미터들/속성들/등등과 조합되거나 그에 대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본 발명이 명료함을 위해 어느 정도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그의 원리들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소정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프로세스들 및 장치들 둘 모두를 구현하는 많은 대안적인 방식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그 설명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세부사항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등가물들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Claims (21)

  1.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ive media production function, LMPF)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획득하기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으로서 상기 LMPF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배치 설정들 및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에 제공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 리포트 및 모니터링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를 상기 PCF에 제공하기 위한 요청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는,
    이동성 능력을 갖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의 자동 지리적 위치 변경들(automatic geographic location changes)로서, 상기 모니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는 상기 자동 지리적 위치 변경들을 포함하는 위치 업데이트 기준; 및
    카메라에 대한 촬영 각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동작 정보
    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PCF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리포팅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모니터링 리포트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리포트는, 상기 모니터링 이벤트의 모니터링 기준이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충족될 때, 트리거된 모니터링 응답 액션의 표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F는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한 UE 구성 업데이트가 상기 모니터링 이벤트, 상기 모니터링 리포트, 및 모니터링 응답 액션을 구성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서의 특정된 모니터링 이벤트의 검출 시에 상기 모니터링 리포트가 전송되고, 상기 모니터링 응답 액션은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되는 자동화 액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 상기 카메라, 및 센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설정들 및 상기 디바이스 구성 정보는 디바이스 식별자(ID)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위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동작 정보는 촬영 각도, 포커스, 줌인 및 줌아웃 비율들, 블랙 또는 화이트 밸런스, 및 비디오 픽셀 설정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MPF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제어 평면 또는 사용자 평면에서의 물리적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obile network operator, MNO) 및 제3자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 소비자들에게 제작된 라이브 미디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9.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기능(AF)을 위한 방법으로서,
    라이브 이벤트를 위해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획득하는 단계; 및
    미디어 획득 서비스 및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리포팅 서비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향해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통해 상기 라이브 이벤트의 라이브 미디어 제작 기능(LMPF)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모니터링 리포트 및 모니터링 이벤트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서비스를 위한 요청을 프로세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미디어 획득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요청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 정책 제어 기능(PCF)에 의해 개시되는 UE 구성 절차를 사용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구성은 이동성 능력을 갖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의 자동 지리적 위치 변경들로서, 상기 모니터링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는 상기 자동 지리적 위치 변경들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미디어 획득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요청은 미디어 유형들, 미디어 압축 유형들, 미디어 관련 파라미터들, 및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 식별자(ID)를 포함하는 미디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구성은 카메라 촬영 각도들, 비디오 해상도들, 및 카메라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미디어 획득들을 수행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의 디바이스 구성에 대한 디바이스 파라미터 조정들을 요청하기 위한 것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카메라들 및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은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들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정책 제어 기능(PCF)에 의해 개시되는 UE 구성 업데이트 절차를 통해 상기 IoT 디바이스들을 향해 상기 모니터링 이벤트, 상기 모니터링 리포트, 및 모니터링 응답 액션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서비스에 대한 상기 요청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서의 특정된 모니터링 이벤트의 검출 시에 상기 모니터링 리포트가 전송되고, 상기 모니터링 응답 액션은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행되는 자동화 액션인,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추가로, 상기 LMPF 서비스들에 대한 요청된 미디어 유형들, 미디어 압축 유형들, 미디어 관련 파라미터들, 및 고객의 가입자 식별자(ID)를 갖는 소비자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라이브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상기 LMPF 서비스들의 소비자로서의 하나 이상의 운영자에게 제공되는 라이브 미디어에 대한 보안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안 파라미터들은 무결성 키, 암호화 키, 및 암호화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라이브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한 라이브 미디어 서버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세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가 상기 LMPF 서비스들의 지원을 인에이블(enable)시키기 위한 서비스 인증 및 인가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I는 서비스 계약들에 기초하여 상기 AF에 의해 하나 이상의 운영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LMPF 서비스들의 지원을 인에이블시킬 것을 요청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운영자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대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MNO) 및 비-공중 네트워크에 대한 제3자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12441A 2018-11-02 2019-10-25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들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KR102505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55386P 2018-11-02 2018-11-02
US62/755,386 2018-11-02
PCT/US2019/058177 WO2020092174A1 (en) 2018-11-02 2019-10-25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nabling live media production ser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008A KR20210054008A (ko) 2021-05-12
KR102505178B1 true KR102505178B1 (ko) 2023-02-28

Family

ID=7046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441A KR102505178B1 (ko) 2018-11-02 2019-10-25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들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65404B2 (ko)
KR (1) KR102505178B1 (ko)
WO (1) WO2020092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8262B2 (en) 2020-10-23 2023-04-25 Tencent America LLC Extended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framework for live uplink streaming (FLUS) sink capabilities description
US11750676B2 (en) * 2020-12-04 2023-09-05 Tencent America LLC Network-based media processing (NBMP) deployment with framework for live uplink streaming (FLUS) and 5G application function (AF)
CN113938930B (zh) * 2021-12-16 2022-03-25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二研究所 适应5g网络多业务场景的虚拟网络功能转发图的构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73258A1 (en) 2014-06-24 2015-12-24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apturing Digital Images Based on Adaptive Image-Capturing Templates
US20170064240A1 (en) 2015-08-24 2017-03-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layer position and auxiliary information visualization
US20180317157A1 (en) 2017-04-27 2018-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ration type addition for service negotiation
US20190200872A1 (en) 2017-12-31 2019-07-04 Google Llc Infant monitoring system with observation-based system control and feedback loop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9440B2 (en) * 2009-09-29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 hoc venue-cast service
EP3456090B1 (en) 2016-05-12 2021-03-31 Convida Wireless, Llc Connecting to virtualized mobile core networks
US10531420B2 (en) * 2017-01-05 202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friendly protocol data unit (PDU) session management
AU2018230677B2 (en) * 2017-03-06 2021-02-04 Innovative Signal Analysis, Inc. Target detection and mapping
US10631262B2 (en) * 2017-10-25 2020-04-21 T-Mobile Usa, Inc. Determining device lo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73258A1 (en) 2014-06-24 2015-12-24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Capturing Digital Images Based on Adaptive Image-Capturing Templates
US20170064240A1 (en) 2015-08-24 2017-03-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layer position and auxiliary information visualization
US20180317157A1 (en) 2017-04-27 2018-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ration type addition for service negotiation
US20190200872A1 (en) 2017-12-31 2019-07-04 Google Llc Infant monitoring system with observation-based system control and feedback loop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5G enhanced mobile broadband, Media distribution (Release 15)", 3GPP TR 26.891 V1.2.0 (2018.07.)*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Procedures for the 5G System, Stage 2 (Release 15)", 3GPP TS 23.502 V15.3.0 (2018.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008A (ko) 2021-05-12
US11765404B2 (en) 2023-09-19
WO2020092174A1 (en) 2020-05-07
US20210360294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75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 control for private slices in a PLMN
US1104459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gistration and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10637477B (zh) 用于蜂窝通信系统中的遗留系统回退的系统、方法和设备
US10892957B2 (en) Managing physical network function instances in a network service instance
KR102505178B1 (ko) 라이브 미디어 제작 서비스들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US110187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1-RSRP measurement accuracy for beam detection
JP2022525167A (ja) 動的ネットワーク能力構成
US1170060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USCH default beam in multi-panel operation
EP3821590A1 (en) Core network assisted service discovery
EP3535996B1 (en) Apparatus and machine readable storage medium for handling stickiness of ue-specific ran-cn association
WO2018128875A1 (en) Instantiation and management of physical and virtualized network functions of a radio access network node
US20210410166A1 (en) Transmission, retransmission, and harq process for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in idle mode
US2024002249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nd-to-end measurements and performance data streaming
US20220038884A1 (en) Communication system
WO2017222595A2 (en) Device and method for nfv life cycle management
WO2020117796A1 (en) Congestion control across different public land mobile networks
CN110692266B (zh) 对mt csfb的定时器期满的改进处置
EP4197250A1 (en) User equipment (ue) techniques for constraints on simultaneous use of network slices
WO2021203292A1 (en) Ue power saving in nr using ue assistance information
WO2018128804A1 (en) Measurement job suspension and resumption in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CN116319131A (zh) 一种网络接入的方法和通信装置
CN116132966A (zh) 确定移动性管理策略的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