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06B1 -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 Google Patents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06B1
KR102505006B1 KR1020220110765A KR20220110765A KR102505006B1 KR 102505006 B1 KR102505006 B1 KR 102505006B1 KR 1020220110765 A KR1020220110765 A KR 1020220110765A KR 20220110765 A KR20220110765 A KR 20220110765A KR 102505006 B1 KR102505006 B1 KR 10250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slider
event
rai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현
이진우
채민주
Original Assignee
(주)엠나인파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나인파이브 filed Critical (주)엠나인파이브
Priority to KR102022011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implemented so that an issuer other than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can issue NFTs to a desired place and person. The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includes an NFT issuing server which transmits an event NFT issued by an affiliate to a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of an owner who owns an authentication token NFT issued by the affiliate accesses the vicinity of the affiliate which issued the authentication token NFT.

Description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특정 다수가 아닌 발행자가 원하는 장소 및 사람에게 NFT 발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implemented so that a non-unspecified number of issuers can issue NFTs to a desired place and person.

NFT(Non-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여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소유자를 입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통해 누구나 쉽게 해당 디지털 자산의 소유자를 확인할 수 있고 개인 또는 NFT 거래소를 통해 쉽게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NFT (Non-Fungible Token) means non-fungible token, and it is a technology that can prove the owner by assigning a unique code to a digital asset and recording it on the blockchain. Through this technology, anyone can easily identify the owner of the digital asset and easily trade it through an individual or NFT exchange.

특히, 예술적 분야에서 NFT를 활용하여 디지털 아트에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기술이다.In particular, it is a technology that is of great help in revitalizing the market by using NFT in the artistic field to add value to digital art.

특정 시간에 많은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지갑 연결 후에 접속해서 NFT 구매를 시도하는 바람에 네트워크 혼란과 사람 뿐만 아니라 많은 자동화된 봇(bot)으로 인해서 정상적인 구매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t a certain time, many users connect online after connecting their wallets and attempt to purchase NFTs, resulting in network confusion and a situation in which normal purchases cannot be made due to many automated bots as well as people. .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2382272호 (2022.04.01.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382272 (2022.04.01. Notice)

본 발명의 일측면은 불특정 다수가 아닌 발행자가 원하는 장소 및 사람에게 NFT 발행이 가능하고, 온라인으로 발행했을 경우 봇으로부터 대량구매가 시도되는 공격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발행을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NFT 소유자가 NFT를 발행한 곳 근처에 도달했을 때 기프티콘 NFT 등을 Push로 알려주어 해당 소유자가 이벤트 NFT를 사용 후 소각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issue NFTs to a place and person desired by an issuer other than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when issued onlin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general users cannot issue NFTs due to attacks in which mass purchases are attempted from bots, NFT Provides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implemented so that the owner can use the event NFT and then burn it by notifying the owner of the NFT, such as a gifticon, by push when they arrive near the place where the NFT was issu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은, 가맹점이 발행한 인증토큰 NFT를 소유한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토큰 NFT를 발행한 가맹점 근처로 접근할 경우 가맹점이 발행하는 이벤트 NFT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NFT 발행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terminal of an owner who owns an authentication token NFT issued by an affiliate approaches the vicinity of an affiliate that issued an authentication token NFT, an event NFT issued by the affiliate is issued. NFT issuing server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T 발행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맹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할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이벤트 NFT를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FT issuing server may transmit an event NF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affiliated stor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벤트 NFT가 수령되면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에 해당 이벤트 NFT를 저장해 둘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event NFT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may store the corresponding event NFT in the user's cryptocurrency wall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NFT 발행 서버를 통해 수령되는 이벤트 NFT가 사용된 경우 해당 사용된 이벤트 NFT를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으로부터 소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event NFT received through the NFT issuing server is used, the user terminal may incinerate the used event NFT from the user's cryptocurrency wallet.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은,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상기 NFT 발행 서버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정보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ffiliate that issues an event NFT, and when the user terminal's access is detected, the user terminal's access to the NFT issuing server An affiliated store terminal that notifies and displays event NFT information input from the store owner of the affiliated store or product information being sold at the affiliated store; may further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4 개의 각 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상기 NFT 발행 서버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NFT 발행 서버로 전송하는 360º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affiliated store that issues the event NF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and a display module is installed on each of the four sides, and when the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is detected, the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A kiosk terminal for notifying the NFT issuing server and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being sold at the event NFT or affiliated store input from the store owner of the affiliated store; and a 360º photographing device that is installed above the kiosk terminal and transmits an image around the kiosk terminal to the NFT issuing serv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360º 촬영 장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링형 레일; 상기 링형 레일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형 레일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촬영한 뒤 상기 NFT 발행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링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회전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360º photographing device may include a ring-shaped rail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A plurality of units spaced apart and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side of the ring-shaped rail, sliding along the outer side of the ring-shaped rail to individually photograph surrounding images and then transmitting them to the NFT issuing server; and a rotation guide connected to the ring-shaped rail and configured to induce a sliding movement of the photograph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형 레일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 바디; 상기 레일 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대;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바디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레일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ng-shaped rail, the rail body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 rail support install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and an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to support the rail body; and a slid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inner side of the rail body while forming an opening to the outside of the rail body so that the photographing unit can be connected and slidably mov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는 링형 회전체; 및 상기 레일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링형 회전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링형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guidance unit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seated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inside of the sliding groove, a ring-shaped rotating body forming a gear mountai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otation drive gear installed inside the rail body, engaged and connected to a gear mountain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and rotationally driving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as it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can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링형 회전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링형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NFT 발행 서버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lide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and moving along the sliding groove as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rotates; an extension fram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lid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ail body through the opening of the sliding groove; a second slid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frame,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and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as the first slider moves; and a camera that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lider and transmits an image of the surrounding area to the NFT issuing serv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이동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회전휠; 상기 연장 프레임이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연통홀; 상기 연통홀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전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안착홈;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에 안착되며, 후단에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단이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 및 내측을 따라 상기 연장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의 내측과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lider may include a slider body se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Rotating wheel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body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to move the slider body and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a communic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slider body to allow the extension frame to pass through and be inserted; a plate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lider body while form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mmunication hole; an installation plat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seated in the plat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front end of the extension frame installed at the rear end; and a plate support spring disposed along the inside of the extension frame and installed between the inside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and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plate to adhere the slider body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가 아닌 발행자가 원하는 장소 및 사람에게 NFT 발행이 가능하고, 온라인으로 발행했을 경우 봇으로부터 대량구매가 시도되는 공격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발행을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NFT 소유자가 NFT를 발행한 곳 근처에 도달했을 때 기프티콘 NFT 등을 Push로 알려주어 해당 소유자가 이벤트 NFT를 사용 후 소각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NFTs can be issued to a place and person desired by an issuer other than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when issued onlin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general users cannot issue due to an attack in which mass purchases are attempted from bots When the NFT owner arrives near the place where the NFT was issued, the gifticon NFT, etc. is notified by Push, so that the owner can use the event NFT and then incinerate i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360º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showing the 360º photographing device of FIG. 2 .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second slider of FIG. 5 .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on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equivalents as claimed by thos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10)은, NFT 발행 서버(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FT issuing server 100.

NFT 발행 서버(100)는, 가맹점이 발행한 인증토큰 NFT를 소유한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200)가 인증토큰 NFT를 발행한 가맹점 근처로 접근할 경우 가맹점이 발행하는 이벤트 NFT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NFT issuing server 100, when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owner who owns the authentication token NFT issued by the merchant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merchant that issued the authentication token NFT, the user terminal 200 issues an event NFT send to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consist of one or more, and is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such as a desktop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Notebook), a smart phone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Tablet PC), and the like. It is a broad concept mean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that support wired/wireless network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And, the network N may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optical ultrasound, or a combination thereof. Body Area Network (BAN), satellite communications, cellular communications,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IrDA), Wireless Fidelity (WiFi), and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ll b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Ethernet, digital subscriber line (DSL), fiber to the home (FTTH), and 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 are examples of wired communic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Also, a communications network can traverse multiple network topologies and distances. For example, a communications network may include a direct connectio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it may be performed through 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Low Power Wide Area Network) including LoRaWAN, NB-Fi, and RPMA.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network 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y latest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일 실시예에서, NFT 발행 서버(100)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200)가 NFT를 발행받을 수 있는 장소를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해당 장소에 접근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NFT를 발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FT issuing server 100 may set and store a place where a specific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an NFT, and only when the user terminal 200 approaches the place It can be provided by issuing NFT.

일 실시예에서, NFT 발행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가맹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예를 들어, 40 내지 60m 등)로 진입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벤트 NFT를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FT issuing server 100 transmits an event NFT to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 user terminal 200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40 to 60 m, etc.) from the affiliated store. can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이벤트 NFT가 수령되면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에 해당 이벤트 NFT를 저장해 둘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event NFT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200 may store the corresponding event NFT in the user's cryptocurrency wallet.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NFT 발행 서버(100)를 통해 수령되는 이벤트 NFT가 사용된 경우 해당 사용된 이벤트 NFT를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으로부터 소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when the event NFT received through the NFT issuing server 100 is used, the used event NFT can be incinerated from the user's cryptocurrency wallet.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자산이 발급받은 이벤트 NFT를 QR 코드 등의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이벤트 NFT의 사용이 허용된 특정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can use the event NFT for which the asset has been issued at a specific affiliate store where the use of the event NFT is permitted by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QR cod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10)은, 특정 시간에 많은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지갑 연결 후에 접속해서 NFT 구매를 시도하는 바람에 네트워크 혼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 뿐만 아니라 많은 자동화된 봇(bot)으로 인해서 정상적인 구매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network confusion occurs as many users connect online after connecting their wallets and attempt to purchase NFTs at a specific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normal purchases cannot be made due to many automated bots as well as peopl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20)은, NFT 발행 서버(100) 및 가맹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FT issuing server 100 and an affiliated store terminal 300 .

여기서, NFT 발행 서버(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NFT issuing server 100 is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1, so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가맹점 단말기(300)는,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을 NFT 발행 서버(100)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정보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300 is installed in the affiliated store that issues the event NFT, and when the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200 is detected, it notifies the NFT issuing server 100 of the access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inputs from the store owner of the affiliated store. It displays event NFT information or product information being sold at affiliated stores.

일 실시예에서, 가맹점 단말기(300)는, 키오스크 단말기(400) 및 360º 촬영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300 may include a kiosk terminal 400 and a 360º photographing device 500 .

키오스크 단말기(400)는,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4 개의 각 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며,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접근을 NFT 발행 서버(100)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The kiosk terminal 400 is installed in an affiliate store that issues the event NF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and has a display module installed on each of the four sides, and when the approach of the user terminal 200 is detected, the user terminal 200 Access is notified to the NFT issuing server 100, and event NFT input from the store owner of the affiliated store or product information being sold at the affiliated store is displayed.

360º 촬영 장치(500)는, 키오스크 단말기(400)의 상측에 설치되며, 키오스크 단말기(400)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NFT 발행 서버(100)로 전송한다.The 360º photographing device 5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400, captures an image around the kiosk terminal 400, and transmits it to the NFT issuing server 100.

일 실시예에서, NFT 발행 서버(100)는, 360º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360º 촬영 장치(500)로 접근하는 사용자가 NFT 발행이 허용된 정당 사용자 여부를 안면 인식 기술 또는 인공지능 분석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정당 사용자라고 판독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벤트 NFT를 발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FT issuing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a user accessing the 360º shooting device 500 is a legitimate user permitted to issue NFTs us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360º shooting device 500 through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lternatively, it can be confirm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etc., and only when it is read as a legitimate user, an event NFT can be generated with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corresponding use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20)은,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사용자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보다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인식하여 정당 사용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다른 사용자에게 NFT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ore objectively and precisely recognizes whether an approaching user is a legitimate user using video analysis technology, so that the legitimat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NFTs from being generated to other users without permission.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360º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3 to 5 are views showing the 360º photographing device of FIG. 2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360º 촬영 장치(500)는, 링형 레일(510), 다수 개의 촬영 유닛(520) 및 회전 유도부(5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3 to 5 , a 360º photographing device 500 includes a ring-shaped rail 510 ,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units 520 and a rotation induction unit 530 .

링형 레일(510)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상측에 설치된다.The ring-shaped rail 510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100 .

일 실시예에서, 링형 레일(510)은, 레일 바디(511), 레일 지지대(512) 및 슬라이딩홈(513)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ring-shaped rail 510 includes a rail body 511, a rail support 512 and a sliding groove 513.

레일 바디(511)는, 촬영 유닛(520)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레일 지지대(512)에 의해 지지된다.The rail body 511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supported by the rail support 512 so that the photographing unit 520 can be connected and slidably moved.

레일 지지대(512)는, 레일 바디(511)의 내주면과 키오스크 단말기(40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 바디(511)를 지지한다.The rail support 512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511 and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400 to support the rail body 511 .

슬라이딩홈(513)은, 촬영 유닛(520)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바디(511)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레일 바디(51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The sliding groove 513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rail body 511 while forming an opening to the outside of the rail body 511 so that the photographing unit 520 can be connected and slidably moved.

촬영 유닛(520)은, 링형 레일(510)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연결 설치(520-1 내지 520-4)되며, 링형 레일(510)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촬영한 뒤 NFT 발행 서버(10)로 각각 전송한다.A plurality of photographing units 520 are installed (520-1 to 520-4)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side of the ring-shaped rail 510, and slide along the outer side of the ring-shaped rail 510 to capture images of the surroundings. are individually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NFT issuing server 10 respectively.

도 3을 참조하면, 촬영 유닛(520)은, 제1 슬라이더(521), 연장 프레임(522), 제2 슬라이더(523) 및 카메라(52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a photographing unit 520 includes a first slider 521 , an extension frame 522 , a second slider 523 and a camera 524 .

제1 슬라이더(521)는, 후술하는 링형 회전체(53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링형 회전체(531)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홈(513)을 따라 함께 이동한다.The first slider 521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ring-shaped rotating body 531 to be described later and moves along a sliding groove 513 as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531 rotates.

연장 프레임(522)은, 제1 슬라이더(52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슬라이딩홈(513)의 개구부를 통해 레일 바디(511)의 외측으로 노출된다.The extension frame 522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lider 521, and the front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ail body 511 through the opening of the sliding groove 513.

제2 슬라이더(523)는, 연장 프레임(522)의 전단에 설치되어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에 안착되며, 제1 슬라이더(521)가 이동함에 따라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The second slider 523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frame 522 and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511, and mov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511 as the first slider 521 moves. .

카메라(524)는, 제2 슬라이더(523)의 전단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NFT 발행 서버(10)로 전송한다.The camera 524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lider 523, captures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NFT issuing server 10.

회전 유도부(530)는, 링형 레일(510)에 연결 설치되어 촬영 유닛(5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한다.The rotation inducing unit 530 is connected to the ring-shaped rail 510 and induc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hotographing unit 520 .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유도부(530)는, 링형 회전체(531) 및 회전 구동 기어(5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rotation induction unit 530 includes a ring-shaped rotating body 531 and a rotation driving gear 532 .

링형 회전체(531)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홈(513)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기어산(G)을 형성한다.The ring-shaped rotating body 531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is rotatably seated along the inside of the sliding groove 513, and forms a gear mountain 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회전 구동 기어(532)는, 레일 바디(511)의 내측에 설치되며, 링형 회전체(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G)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링형 회전체(531)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The rotation drive gear 532 is installed inside the rail body 511, is engaged with and connected to the gear mountain G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531, and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531 is driven to rotat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360º 촬영 장치(500)는,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다각도로 촬영하여 NFT 발행 서버(10)로 전송함으로써,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사용자의 정당 사용자 여부를 보다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인식하여 정당 사용자가 아닌 권한이 없는 다른 사용자에게 NFT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360º photographing device 50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captures images of the user's surroundings from various angles and transmits them to the NFT issuing server 10, thereby more objectively determining whether the approaching user is a legitimate user using image analysis technology. and can be precisely recognized to prevent NFTs from occurring to other unauthorized users other than legitimate users.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2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second slider of FIG. 5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슬라이더(523)는, 슬라이더 바디(5231), 회전휠(5232), 연통홀(5233), 플레이트 안착홈(5234), 설치 플레이트(5235) 및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236)을 포함한다.6 and 7 , the second slider 523 includes a slider body 5231, a rotating wheel 5232, a communication hole 5233, a plate receiving groove 5234, an installation plate 5235, and a plate support. spring 5236.

슬라이더 바디(5231)는,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에 안착된다.The slider body 5231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511 .

회전휠(5232)은, 슬라이더 바디(5231)의 이동을 위해 슬라이더 바디(5231)의 일측 및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에 안착된다.The rotation wheel 5232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body 5231 so as to move the slider body 5231, and is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511.

연통홀(5233)은, 연장 프레임(522)이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바디(5231)를 관통하고 형성된다.The communication hole 5233 is formed through the slider body 5231 so that the extension frame 522 can pass through and be inserted therein.

플레이트 안착홈(5234)은, 연통홀(5233)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면서 슬라이더 바디(5231)의 전단에 형성된다.The plate receiving groove 5234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5233 an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lider body 5231 .

설치 플레이트(5235)는, 플레이트 안착홈(5234)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플레이트 안착홈(5234)에 안착되며, 후단에 연장 프레임(522)의 전단이 설치된다.The installation plate 5235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ate seating groove 5234 and is seated in the plate seating groove 5234, and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frame 522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236)은, 내측을 따라 연장 프레임(522)이 배치되며, 플레이트 안착홈(5234)의 내측과 설치 플레이트(5235)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 바디(5231)를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으로 밀착시켜 준다.In the plate support spring 5236, an extension frame 522 is disposed along the inside,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inside of the plate seating groove 5234 and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plate 5235 to secure the slider body 5231 to the rail body 511 )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 슬라이더(523)는, 레일 바디(511)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 진동 또는 충격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카메라(524)에 의한 선명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slider 523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minimizes the occurrence of vibration or shock when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511, so that clear images can be captured by the camera 524. can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

10, 20: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100: NFT 발행 서버
200: 사용자 단말기
300: 가맹점 단말기
400: 키오스크 단말기
500: 360º 촬영 장치
10, 20: NFT issuance system based on user location
100: NFT issuing server
200: user terminal
300: Merchant terminal
400: kiosk terminal
500: 360º shooting device

Claims (5)

가맹점이 발행한 인증토큰 NFT를 소유한 소유자의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토큰 NFT를 발행한 가맹점 근처로 접근할 경우 가맹점이 발행하는 이벤트 NFT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NFT 발행 서버; 및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상기 NFT 발행 서버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정보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이벤트 NFT를 발행하는 가맹점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4 개의 각 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근을 상기 NFT 발행 서버로 통지하며, 가맹점의 점주로부터 입력되는 이벤트 NFT 또는 가맹점에서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NFT 발행 서버로 전송하는 360º 촬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360º 촬영 장치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링형 레일
상기 링형 레일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이격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형 레일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촬영한 뒤 상기 NFT 발행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촬영 유닛; 및
상기 링형 레일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촬영 유닛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회전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형 레일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레일 바디;
상기 레일 바디의 내주면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대; 및
상기 촬영 유닛이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바디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레일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도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내주면을 따라 기어산을 형성하는 링형 회전체; 및
상기 레일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링형 회전체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에 따라 상기 링형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 유닛은,
상기 링형 회전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링형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전단에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NFT 발행 서버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An NFT issuing server that transmits an event NFT issued by an affiliate to the user terminal when a user terminal of an owner who owns an authentication token NFT issued by an affiliate accesses the vicinity of an affiliate that issued an authentication token NFT; and
It is installed in the affiliate store that issues the event NFT, and when the user terminal's access is detected, the NFT issuing server is notified of the user terminal's access, and event NFT information input from the store owner of the affiliate store or product information being sold by the affiliate store is displayed. Including; an affiliated store terminal that
The user terminal,
It consists of one or mo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that support wired and wireless networks.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It is installed in the merchant that issues the event NF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and a display module is installed on each of the four sides. When the user terminal's approach is detected, the user terminal's access is notified to the NFT issuing server, and the merchant A kiosk terminal that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being sold at an event NFT or affiliated store input from the storekeeper of the; an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and a 360º photographing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around the kiosk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NFT issuing server; includes,
The 360º shooting device,
A ring-shaped rail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A plurality of units spaced apart and conn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side of the ring-shaped rail, sliding along the outer side of the ring-shaped rail to individually photograph surrounding images and then transmitting them to the NFT issuing server; and
A rotation induction unit connected to the ring-shaped rail to induce a sliding movement of the photographing unit;
The ring-shaped rail,
A rail body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 rail support install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and an upper side of the kiosk terminal to support the rail body; and
And a sliding groove extending along the inside of the rail body while forming an opening to the outside of the rail body so that the photographing unit can be connected and slid.
The rotation guide part,
a ring-shaped rotating body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seated rotatably along the inside of the sliding groove, and forming a gear mountai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otation drive gear installed inside the rail body, engaged with and connected to a gear mountain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and rotationally driving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as it rotate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cludes and
The photographing unit,
a first slide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and moving along the sliding groove as the ring-shaped rotating body rotates;
an extension fram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lid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ail body through the opening of the sliding groove;
a second slid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frame,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and mov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as the first slider moves; and
A camera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lider, capturing an image of the surroundings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NFT issuing server; including,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T 발행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맹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할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이벤트 NFT를 전송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NFT issuing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affiliated store, the user location-based NFT issuing system for transmitting an event NFT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벤트 NFT가 수령되면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에 해당 이벤트 NFT를 저장해 두는,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that stores the event NFT in the user's cryptocurrency wallet when the event NFT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NFT 발행 서버를 통해 수령되는 이벤트 NFT가 사용된 경우 해당 사용된 이벤트 NFT를 사용자의 암호화폐지갑으로부터 소각시키는,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A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that incinerates the used event NFT from the user's cryptocurrency wallet when the event NFT received through the NFT issuance server is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이동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회전휠; 상기 연장 프레임이 관통하고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관통하고 형성되는 연통홀; 상기 연통홀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전단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안착홈;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에 안착되며, 후단에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단이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 및 내측을 따라 상기 연장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안착홈의 내측과 상기 설치 플레이트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상기 레일 바디의 외주면으로 밀착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사용자 위치 기반 NFT 발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lider,
a slider body se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Rotating wheel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body so as to be rotatably installed to move the slider body and se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a communic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slider body to allow the extension frame to pass through and be inserted; a plate receiving groov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lider body while form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mmunication hole; an installation plat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ate receiving groove, seated in the plat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front end of the extension frame installed at the rear end; And a plate support spring in which the extension frame is disposed along the inner side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plate seating groove and the rear end of the installation plate to bring the slider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il body. Based NFT issuance system.
KR1020220110765A 2022-09-01 2022-09-01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KR102505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938A KR102505012B1 (en) 2022-09-01 2022-09-06 User location-based issuance system of non-fungible tok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484 2022-09-01
KR20220110484 2022-09-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938A Division KR102505012B1 (en) 2022-09-01 2022-09-06 User location-based issuance system of non-fungible tok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006B1 true KR102505006B1 (en) 2023-03-02

Family

ID=8550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765A KR102505006B1 (en) 2022-09-01 2022-09-01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0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2422A (en) * 2005-08-22 2007-02-27 주식회사 아이캐시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he issuing log of an electronic receipt, discount coupon, points, ticket and token by means of a mobile phone
KR20180120035A (en)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빔인터랙티브 Self-ordering serving system
KR102382272B1 (en) 2021-07-19 2022-04-01 황교찬 Operation method of space rental and sale system using non-fungible tok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2422A (en) * 2005-08-22 2007-02-27 주식회사 아이캐시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he issuing log of an electronic receipt, discount coupon, points, ticket and token by means of a mobile phone
KR20180120035A (en)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빔인터랙티브 Self-ordering serving system
KR102382272B1 (en) 2021-07-19 2022-04-01 황교찬 Operation method of space rental and sale system using non-fungible tok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2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wireless networks
US106527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controlling and monitoring wireless networks
CN109074691B (en) Capturing individual user intent while interacting with multiple access control devices
CN109074618B (en) Capturing user intent while interacting with multiple access controls
ES2732909T3 (en) Anti-theft system used for customer service
CN110121710A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user authentication
CN108431698A (en) The system and method being authenticated using mobile device
US20140230019A1 (en) Authentication to a first device using a second device
JP6417467B1 (en) Virtual, augmented reality space service providing system, program and method
CN103109259A (en) Location-aware mobile connectivity and information exchange system
US1107432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suring that an individual is authorized to conduct an activity
CN107113354A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headset equipment
JP2017531843A (en) Wear-sensitive hand-attachable wearable device for iris recognition, security strengthening set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440327B2 (en) Crime prevention system, crime prevention method, and robot
US11546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US11109234B2 (en) Reader device with sensor streaming data and methods
KR102505006B1 (en) User location-based NFT issuance system
KR102505012B1 (en) User location-based issuance system of non-fungible tokens
JP6969730B2 (en) How to check access permissions using an access control system
JP6671627B2 (en) Camera system that enables privacy protection
US20220264252A1 (en) Application program and behavior management device
Michael et al. Überveillance and the rise of last-mile implantables: Past, present, and future
KR102516729B1 (en) NFT issuance system
US114387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authorizing reader devices
US20150326617A1 (en) Privacy Control Processes for Mobile Devices, Wearable Devices, other Networked Devices, and the Internet of Th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