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05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05B1
KR102505005B1 KR1020200178954A KR20200178954A KR102505005B1 KR 102505005 B1 KR102505005 B1 KR 102505005B1 KR 1020200178954 A KR1020200178954 A KR 1020200178954A KR 20200178954 A KR20200178954 A KR 20200178954A KR 102505005 B1 KR102505005 B1 KR 10250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structure
strut
peak
sten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8600A (ko
Inventor
김태훈
박준규
변대흥
김진우
정순원
남충현
손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7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0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88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Abstract

원통형 구조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스텐트는, 상기 원통형 구조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갖으며, 상기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되고, 상기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링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스트럿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럿부는 상기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제1피크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제1링크부 및 상기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제2피크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제2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텐트는, 상기 스트럿부가 상기 제1링크부 간 연결되어, 오픈 셀을 형성하고, 상기 제2링크부 간 연결되어, 클로즈 셀을 형성하되, 상기 클로즈 셀 및 상기 오픈 셀이 반복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원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혈관의 경우 동맥경화, 동맥박리 등 여러가지 후천적 이유와, 선천적 이유로 혈관의 협착이 올 수 있으며, 이러한 혈관을 확장시키기 위한 용도로 스텐트(stent)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협착뿐만 아니라, 동맥류, 가성 동맥류와 같이 혈관이 부풀어 오르는 질환 등에서도 치료 목적으로 스텐트가 사용될 수 있다.
스텐트는 외측면 방향으로 팽창하려는 래디알 포스(Radial Force)에 의하여 협착부를 관로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하여 관로를 확보하게 되며, 이러한 스텐트는 팽창력 이외에 여러 가지 특성을 갖춰야 인체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유연성(Flexibility)이 중요하다.
유연성은 관로의 굽어진 부위에서 그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성질로서, 유연성이 부족하면 스텐트가 혈관의 굽어진 부위에서 적응성이 떨어지게 되어 관로를 비정상적으로 만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혈관벽에 스텐트가 확장되어 시술되었을 때, 스텐트의 직경의 변화가 생기는 현상인 리코일(Recoil)현상으로 인하여, 혈관병변에 스텐트가 들떠 있는 상태(Malaposition)가 유발될 수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7438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본원은 차세대스텐트 공정 혁신 기술고도화 지원 사업(과제번호: B0080621000341, 전라남도, 전남지역사업평가단이 시행하는 지역특성화육성사업으로 전남테크노파크 레이저 센터가 주관하는 사업(연구기간, 2020.04.01 ~ 2021.03.31))으로 발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심혈관용 다기능 생체흡수성 폴리머 스텐트 시스템 개발(과제번호: 202011A0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이 시행하는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으로 (주) 시지바이오가 주관하는 사업(연구기간, 2020.09.01 ~ 2021.02.28))로 발명된 것일 수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디알 포스(Radial force)를 확보할 수 있는 나선형 링크 구조의 스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코일(Recoil) 현상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과 라디알 포스(Radial force)를 제공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셀 구조의 스텐트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구조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는, 상기 원통형 구조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갖으며, 상기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되고, 상기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링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스트럿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럿부는 상기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제1피크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제1링크부 및 상기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제2피크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제2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텐트는, 상기 스트럿부가 상기 제1링크부 간 연결되어, 오픈 셀을 형성하고, 상기 제2링크부 간 연결되어, 클로즈 셀을 형성하되, 상기 클로즈 셀 및 상기 오픈 셀이 반복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는, 펠렛 타입의 원통형 마커가 상기 링 구조의 내측 방향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럿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홀 가공된 끼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스트럿부의 상기 제1피크와 제2피크 사이의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이고,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스트럿부의 상기 제1피크와 제2피크 사이의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는, Pt-Ir 합금 또는 Tantalium 소재의 Rod를 펠렛타입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는, 상기 원주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상기 마커가 상기 압력에 의하여 압착됨과 동시에 상면 및 하면이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를 감싸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나선형 링크 구조의 스텐트를 제공함으로써, 라디알 포스(Radial force)를 확보하고, 리코일(Recoil)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셀 구조의 스텐트를 제공함으로써, 유연성과 라디알 포스(Radial force)를 확보하고, 리코일(Recoil)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스트럿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스트럿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하이브리드 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끼움부 및 마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끼움부 및 마커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는 상대적으로 향상된 생체적합성 및 낮은 부작용으로 기존의 비분해성 금속 스텐트를 대체하기 위해 이슈가 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스텐트들은 확장된 혈관의 직경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 특히 압축력 또는 팽창력을 가져야만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는 이러한 압축력 또는 팽창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혈관, 위장관, 담도 등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이 악성 혹은 양성질환의 발생으로 순조롭지 못할 때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X-선 투시하에서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에 삽입하여 그 흐름을 정상화 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원통형 구조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갖으며, 상기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되고, 상기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링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스트럿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예시적으로 도면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의 방향(b)과 왼쪽 방향(a)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일측은 왼쪽 방향(a) 또는 오른쪽 방향(b)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측은 오른쪽 방향(b) 또는 왼쪽 방향(a)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통일을 위하여 왼쪽 방향(a)을 상기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일측이라고 명명하겠다. 또한, 후술할 도면들은 도 1과 같이 방향을 표시하지 않았으나, 도면을 정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왼쪽 방향이 상기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해석됨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오픈셀과 클로즈 셀이 번갈아 반복되어 본 장치(100)의 원통형 길이 방향 일측(a) 또는 타측(b)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장치(100)는 오픈 셀과 클로즈 셀을 번갈아 갖는 하이브리드(Hybrid)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스텐트의 주요 성능인 유연성 및 라디알 포스(Radial force)를 확보하고, 리코일(Recoil) 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스텐트의 시술의 성공률을 상승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다른 본 장치(100)는 스트럿과 스트럿이 나선형 링커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장치(100)는 협착이 발생된 혈관 병변에 시술되어 개통 및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능력이 라디알 포스(Radial force)를 더욱 확보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스트럿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링 구조의 형태를 갖는 스트럿부(110)를 평면 상에 편 상태의 개념도일 수 있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럿부(110)는 본 장치(100)의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제1피크(125)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제1링크부(120) 및 상기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제2피크(135)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제2링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트럿부(110)는 예를 들어, 원통형 구조의 일측 및 타측으로 번갈아 변곡됨으로써, 지그재그의 형태(형상, 모양)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럿부(110)는 생분해성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트럿부(110)는 천연계 고분자, 화학 합성 고분자, 미생물 생산 고분자, 화학 합성 고분자의 혼용 등의 소재를 포함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럿부(110)의 소재는 종래의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스텐트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부(120) 및 제2링크부(130)는 스트럿부(110)의 소재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링크부(120) 및 제2링크부(130)는 스트럿부(110)와 상이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피크(125) 및 제2피크(135)는 예를 들어, 동일한 소정의 곡률을 갖고 변곡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피크(125) 및 제2피크(135)는 서로 상이한 곡률을 갖고 변곡되어 지그재그 형태(형상, 모양)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상술한 지그재그 형태의 링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스트럿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장치(1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스트럿부(110)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원통형 구조는 예시적으로, 반지름이 약 1.3714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주 길이는 약 8.6172mm일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의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예시적으로 약 18.4mm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스트럿부(110)는 총 18개가 구비됨으로써, 한 스트럿부(110)가 차지하는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길이는 약 1.022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피크(125)는 본 장치(100)의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지점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트럿부(110)의 지그재그 형태(형상, 모양) 중 소정 거리가 반복되어 왼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변곡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피크(135)는 본 장치(100)의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지점을 말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트럿부(110)의 지그재그 형태(형상, 모양) 중 소정 거리가 반복되어 오른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변곡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정 거리는 예를 들어, 원통형 길이의 원주 방향으로 제1피크(125)와 다음 제1피크 간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 거리는 예를 들어, 약 1.4362mm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원통형 구조의 원주 방향으로 제1피크(125)와 제2피크(135)간의 거리는 예시적으로, 약 0.7181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부(120)는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일측으로 스트럿부(110)에서 돌출된 구성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트럿부(110)의 제1피크(125)와 제2피크(135) 사이에 위치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일정 거리는 예시적으로, 약 2.8724mm가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부(120)는 스트럿부(110)의 제1피크(125) 마다 구비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즉, 제1링크부(120)는 상기 스트럿부(110)의 제1피크(125)를 한 칸씩 건너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부(120)는 스트럿부(110)의 제1피크(125)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링크부(120)는 제1피크(125)보다 하향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의 스트럿부(11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부(120)가 제1피크(125)보다 도면상 하향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의 스트럿부(110)에 구비된 경우, 본 장치(100)는 스트럿과 스트럿이 나선형으로 연결된 구조가 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부(120)의 스트럿부(110)에서의 돌출은 상향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일측과 정확히 동일한 방향 또는 하향 대각성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부(130)는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타측으로 스트럿부(110)에서 돌출된 구성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트럿부(110)의 제1피크(125)와 제2피크(135) 사이에 위치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일정 거리는 예시적으로, 약 1.4362mm가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링크부(130)는 스트럿부(110)의 제2피크(135) 마다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링크부(130)는 상기 스트럿부(110)의 제2피크(135)를 한 칸씩 건너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부(130)는 스트럿부(110)의 제2피크(135)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링크부(130)는 제2피크(135)보다 하향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의 스트럿부(11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부(130)가 제2피크(135)보다 하향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의 스트럿부(110)에 구비된 경우, 본 장치(100)는 스트럿과 스트럿이 나선형으로 연결된 구조가 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부(130)의 스트럿부(110)에서의 돌출은 상향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 일측과 정확히 동일한 방향 또는 하향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스트럿부(11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의 (a)는 도 2와 동일한 스트럿부(110)며, 도 3의 (b)는 도 2와 동일한 스트럿부(110)를 세로 대칭 및 가로 대칭 이동한 개념도이다. 즉, 도 3의 (b)는 도 3의 (a)를 180도 회전한 개념도일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하이브리드(Hybrid) 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스트럿부(110)가 제1링크부(120)간 연결됨으로써, 오픈 셀(3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링크부(130)간 연결됨으로써, 클로즈 셀(20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1 스트럿부(도 3의 (a))와 제2 스트럿부(도 3의 (b)), 제3 스트럿부(도 3의(a)) 와 같은 순서로 나열되고, 각각의 제1링크부(120)간 연결되고, 제2링크부(130)간 연결됨으로써, 오픈 셀(300) 및 클로즈 셀(200)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선형 스트럿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본 장치(100)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동일한 생김새(형태, 모양, 형상)의 스트럿부(110)를 하나는 그대로, 다른 하나는 180도 회전하여 나열하는 방식을 반복하여 생성(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끼움부(140) 및 마커(15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펠렛 타입의 원통형 마커(150)가 스트럿부(110)의 링 구조 내측 방향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럿부(11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홀 가공된 끼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끼움부(140)는 예를 들어, 원통형 구조를 가진 본 장치(100)의 원주 방향과 수직된 방향(링 구조 내측 방향)으로 펠렛 타입의 원통형 마커(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스트럿부(110)상에 홀 가공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끼움부(140)는 예를 들어, 본 장치(100)의 원통형 길이 방향의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을 포함하는 양 측의 끝단 중 적어도 어느 일 단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끼움부(140)는 본 장치(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끼움부(140)는 스트럿부(11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홀 가공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끼움부(140)는 예를 들어, 제1피크(125) 및 제2피크(135) 사이에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정 거리는 예를 들어, 약 2.1543mm일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140)는 클로즈 셀(200)을 구성하는 일단 스트럿부(110)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스트럿부(110)에 홀 가공을 하게 되면, 스트럿부(110)의 내부에 홀이 생김으로 인하여, 기계적인 강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클로즈 셀(200)을 구성하는 스트럿부(110)는 제2링크부(130)간 결합되는 것일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링크를 구비함으로써, 기계적인 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마커(150)를 삽입할 수 있는 홀 가공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커(150)는 예를 들어, X-ray등 을 이용하여 투시함과 동시에 본 장치(100)를 인체 내부로 삽입하게 되는데, 생분해성 소재를 기반으로 제작된 본 장치(100)는 X-ray 등에 표시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마커(150)는 예를 들어, Pt-Ir 합금 또는 Tantalium 소재의 Rod(원통)을 펠렛 타입으로 절단하여, 작은 원통 형태(형상, 모양)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커(150)는 상술한 끼움부(140)에 원통형 구조의 원주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끼움(삽입)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끼움부(140) 및 마커(15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의 (a)는 끼움부(140)에 마커(150)를 삽입(끼움)한 개념도이며, 도 6의 (b)는 압착 가공 후의 개념도 및 도 6의 (c)는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으로 끼움부(140)를 본 개념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커(150)는 끼움부(140)에 삽입되고, 스트럿부(110)의 링 구조 내측 방향(가)으로 압착함으로써, 마커(150)의 상면 및 하면이 연장(눌림)되어 끼움부(140)를 감싸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마커(150)는 예시적으로, 원통형 구조의 원주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상기 마커(150)가 상기 압력에 의하여 압착됨과 동시에 상면 및 하면이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140)를 감싸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서, 마커(150)는 본 장치(100)가 인체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스트럿부(110)에 고정되어 인체 내에서 소실될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텐트
110: 스트럿부 120: 제1링크부
125: 제1피크 130: 제2링크부
135: 제2피크 140: 끼움부
150: 마커
200: 클로즈셀 300: 오픈셀

Claims (5)

  1. 원통형 구조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로서,
    상기 원통형 구조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갖으며, 상기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되고, 상기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링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스트럿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럿부는 상기 원통형 구조의 일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제1피크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제1링크부 및 상기 원통형 구조의 타측 길이 방향으로 변곡된 제2피크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된 제2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텐트는,
    상기 스트럿부가 상기 제1링크부 간 연결되어, 오픈 셀을 형성하고, 상기 제2링크부 간 연결되어, 클로즈 셀을 형성하되, 상기 클로즈 셀 및 상기 오픈 셀이 반복되어 상기 원통형 구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펠렛 타입의 원통형 마커가 상기 링 구조의 내측 방향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럿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홀 가공된 끼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끼움부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 양단 중 클로즈 셀을 구성하는 일단 스트럿부에 구비되고,
    상기 클로즈 셀을 구성하는 스트럿부는 제2링크부간 결합되며,
    상기 마커는,
    상기 원주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는 경우, 상기 마커가 상기 압력에 의하여 압착됨과 동시에 상면 및 하면이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를 감싸 고정되는 것인,
    원통형 구조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스트럿부의 상기 제1피크와 제2피크 사이의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이고,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스트럿부의 상기 제1피크와 제2피크 사이의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인,
    원통형 구조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Pt-Ir 합금 또는 Tantalium 소재의 Rod를 펠렛타입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것인,
    원통형 구조의 혈관 확장용 스텐트
  5. 삭제
KR1020200178954A 2020-12-18 2020-12-18 스텐트 KR10250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954A KR102505005B1 (ko) 2020-12-18 2020-12-18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954A KR102505005B1 (ko) 2020-12-18 2020-12-18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600A KR20220088600A (ko) 2022-06-28
KR102505005B1 true KR102505005B1 (ko) 2023-03-03

Family

ID=8226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954A KR102505005B1 (ko) 2020-12-18 2020-12-18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0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1551A1 (en) 2006-01-04 2007-07-19 Abbo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s with radiopaque markers
JP2008148880A (ja) * 2006-12-15 2008-07-03 Nipro Corp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2009542352A (ja) 2006-07-07 2009-12-03 アボット カーディオ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線不透過性マーカーを備えた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598B1 (en) * 1997-09-24 2001-05-15 Med Institute, Inc. Radially expandable stent
KR101187213B1 (ko) * 2010-04-20 2012-10-02 주식회사 엠아이텍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1551A1 (en) 2006-01-04 2007-07-19 Abbot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nts with radiopaque markers
JP2009542352A (ja) 2006-07-07 2009-12-03 アボット カーディオ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線不透過性マーカーを備えた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48880A (ja) * 2006-12-15 2008-07-03 Nipro Corp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600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2137B2 (en) Flexible stent
KR102471626B1 (ko) 스텐트 보철
KR101314224B1 (ko) 플렉서블 장치
JP5719327B2 (ja) らせん状ステント
RU2566225C2 (ru) Стент
JP6513859B2 (ja) マーカーを有する編組拡張リング
JP6278973B2 (ja) 非対称ステントスプリングを有する血管インプラント
US20150148888A1 (en) Braided stent
KR101937112B1 (ko) 관내 디바이스
JP2009254908A (ja) 再狭窄および血栓形成に対する改善された保護と組み合わせられた、増強した塞栓保護をなすステント配置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4255186A (ja) 血管被覆性を高める嵌合型フィンガ付きステント
CN102573708A (zh) 带卸压槽的血管假体
KR20160101146A (ko) 혈관 스텐트 및 혈관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US20200038169A1 (en) Endoprosthesis
KR102505005B1 (ko) 스텐트
CN106176002B (zh) 自膨胀式支架
US9717608B2 (en) Expandable devices
US10722389B2 (en) Endoluminal stent
CN116407377A (zh) 管腔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