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27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27B1
KR102504727B1 KR1020160046908A KR20160046908A KR102504727B1 KR 102504727 B1 KR102504727 B1 KR 102504727B1 KR 1020160046908 A KR1020160046908 A KR 1020160046908A KR 20160046908 A KR20160046908 A KR 20160046908A KR 102504727 B1 KR102504727 B1 KR 102504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lay
stand
panel
cen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135A (ko
Inventor
이만석
김남훈
정민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27B1/ko
Priority to US15/485,058 priority patent/US10327349B2/en
Priority to EP17000637.3A priority patent/EP3236453B1/en
Publication of KR2017011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09F15/0031Tensioned curved signs; Signs with curved tensioning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스탠드 어셈블리; 상기 복수의 스탠드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에 결합된 복수의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curved surface)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에 대응된 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장변이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장변과 인접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곡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곡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곡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스탠드 어셈블리; 상기 복수의 스탠드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에 결합된 복수의 센터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curved surface)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면에 대응된 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장변이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장변과 인접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세로 방향으로 상기 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스탠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의 단변 중 하나는, 상기 스탠드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프레임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적어도 다른 영역보다 함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연장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함몰 영역은, 상기 센터 프레임의 어느 한 장변과 상기 센터 프레임이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어느 한 단변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함몰 영역은, 상기 일면에 대향된 상기 센터 프레임의 타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은, 상호 인접한 제1 센터 프레임과 제2 센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터 프레임의 제1 장변과 상기 제1 장변에 인접한 상기 제2 센터 프레임의 제2 장변을 연결하는 센터프레임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터프레임 브라켓은, 상기 제1,2 센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에서 상기 제1,2 센터 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된 제1,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상기 상기 제1 센터 프레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의 변(side)에 결합하는 복수의 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프레임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센터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제1,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복수의 센터 프레임의 변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응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2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센터 프레임의 두께와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의 합과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 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데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코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 측의 적어도 일 지점과, 상기 적어도 일 지점에 대응된 상기 센터 프레임의 타 지점에 위치하여 상호간 인력을 작용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탠드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스탠드 어셈블리를 차폐하는 복수의 스탠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오목한 곡률(concaved curvature)의 표시면을 가지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과, 볼록한 곡률(convex curvature)의 표시면을 가지는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각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속하여 배치된 후 상기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제1 면에 배치된 전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면의 배면인 제2 면에 배치된 후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어느 하나의 장변(long side)이 다른 하나의 장변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곡면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프레임 어셈블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어셈블리 구성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에),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인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항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의 길이가 제 1, 2 단변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의 길이가 제 1, 2 단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Long Side, LS1)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변(Short Side)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은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 및/또는 명세서상 특정 내용은, 양립불가한 경우가 아니라면 다른 도면 및/또는 명세서상 내용으로 대체, 결합 가능하다.
도 1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곡면이 형성된 복수의 패널 어셈블리(10, 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프레임(30)과, 프레임(30)에 부착된 패널 어셈블리(10, 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은,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30)은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30)은,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한 곡면(conaved curcatre) 형상 및/또는 볼록한 곡면(convex curvature)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한 형태의 프레임(30)과 볼록한 형태의 프레임(30)이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 20)는,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패널 어셈블리(10, 20)는, 프레임(30)에 대응된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오목한 곡면 형상 및/또는 볼록한 곡면 형상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20)은, 프레임(30)의 일면과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4 전면패널(11, 13, 15, 17)을 포함하는 전면패널(10)이 일면에 위치하고, 제1 내지 4 후면패널(21, 23, 25, 27)을 포함하는 후면패널(20)이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장변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패널 어셈블리(10, 20)가 세로방향으로 장변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널 어셈블리(10, 20)는, 단변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로향으로 긴 영상을 표시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프레임(30)을 중심으로 일면과 타면에 대응된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서로 대응된 형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면패널(11)과 제4 후면패널(27)은 오목한 형태과 볼록한 형태로 상호 대응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30)을 중심으로 일면과 타면에 패널 어셈블리(10, 20)가 위치함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다양한 위치에서 관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 등의 로비에 설치하는 경우 영상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내지 4 프레임(31 내지 34)을 기초로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한 형태의 제1,2 프레임(31, 32) 이후에 오목한 형태의 제3,4 프레임(33, 34)이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물결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내지 3 프레임(31 내지 33)을 기초로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 형태의 복수의 프레임(30)와 단수의 오목한 형태의 프레임(30)이 결합된 형태 혹은 그 반대의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오목한 형태의 프레임(30)의 개수와 볼록한 형태의 프레임(30)의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가 비대칭인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적어도 일부가 원형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오목한 형태의 프레임(30)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한 형태의 제1 내지 4 프레임(31 내지 34)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일부가 원형의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의 프레임(30)이 연속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적어도 일부가 평탄하게(flat)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한 플레임(30)의 양측면에 패널 어셈블리(10, 20)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서로 인접한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서로 일정 부분 중첩될 수 있다. 중첩을 고려하여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일정한 순서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0, 20) 중 일부는 평탄한 형상이고, 다른 일부는 곡면인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4 전면패널(11, 17), 제1, 4 후면패널(21, 27) 및 그에 대응된 프레임(30)은 평탄한 형상일 수 있다. 반면, 제2,3 전면패널(13, 15), 제2,3 후면패널(23, 25) 및 그에 대응된 프레임(30)은 곡면인 형상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는 스탠드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어셈블리(4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 어셈블리(40)는,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는, 독립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독립적으로 조립된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는, 조립되어 하나의 스탠드 어셈블리(4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는, 굴곡진 디스플레이 장치(1)의 특정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굴곡진 형태 등이 다를 뿐일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스탠드 어셈블리(40) 또는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 중 어느 하나라는 표현으로, 복수 개 중 다른 것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스탠드 어셈블리(40)는, 베이스(41)와, 베이스(41)에 결합되어 세워진 스탠드 프레임(45)과, 스탠드 프레임(45)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프레임 바(43)와, 베이스(41) 상의 베이스 프레임(47)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1)는, 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탠드 어셈블리(4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베이스(41)에는, 각종 구성품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스탠드 프레임(45)은, 베이스(41)에 세로 방향으로 결합된 바(bar)일 수 있다. 스탠드 프레임(45)의 일측단은 베이스(41)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따. 스탠드 프레임(45)의 타측단은 상방향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스탠드 프레임(45)은, 제1,2 스탠드 프레임(도 8의 45a, 45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43)는, 스탠드 프레임(45)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베이스(41)에 세로 방향으로 결합된 스탠드 프레임(45)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프레임 바(43)는, 제1,2 스탠드 프레임(도 8의 45a, 45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프레임 바(43)는, 스탠드 프레임(45)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프레임 바(43)는, 스탠드 프레임(45)의 배치에 대응된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7)은, 베이스(41)의 평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41) 평면상에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47)은, 베이스(41)가 비틀리지 않도록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7)은, 베이스(41)의 양 변(side)를 따라 결합된 제1,2 베이스 프레임(47a, 4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어셈블리(40)는, 제1,2 스탠드 프레임(45a, 45b) 사이에 제1,2 프레임 바(43a, 43b)가 위치할 수 있다. 제1,2 프레임 바(43a, 43b)는, 제1,2 스탠드 프레임(45a, 45b) 구조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1,2 프레임 바(43a, 43b)는, 제1,2 스탠드 프레임(45a, 45b)가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2 프레임 바(43a, 43b)에 의하여 이격된 공간에 프레임(30)이 삽입될 수 있다.
스탠드 어셈블리(40)는, 볼케스터(49)를 포함할 수 있다.
볼케스터(49)는, 스탠드 어셈블리(40)를 지지하도록 베이스(41)의 하면 복수의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볼케스터(49)는, 각 스탠드 어셈블리(4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케스터(49)에 포함된 볼 및/또는 바퀴가 회전하여 스탠드 어셈블리(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볼케스터(49)는, 베이스(4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베이스(41a, 41b) 중 하면에 위치한 제2 베이스(41b)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어셈블리(40)에는 프레임(3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30)은, 스탠드 프레임(4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a, 1b, 1c 스탠드 프레임(45a1, 45a2, 45a3)와 제 2a, 2b, 2c 스탠드 프레임(45b1, 45b2, 45b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a, 1b, 1c 스탠드 프레임(45a1, 45a2, 45a3)과 제 2a, 2b, 2c 스탠드 프레임(45b1, 45b2, 45b3) 사이에는, 프레임 바(43)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 바(43b)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프레임 바(43b)는, 제 1a, 1b, 1c 스탠드 프레임(45a1, 45a2, 45a3)과 제 2a, 2b, 2c 스탠드 프레임(45b1, 45b2, 45b3)에 강성을 제공하는 한편, 제 1a, 1b, 1c 스탠드 프레임(45a1, 45a2, 45a3)과 제 2a, 2b, 2c 스탠드 프레임(45b1, 45b2, 45b3) 사이에 프레임(30)이 결합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 바(43b)가 제1 두께(T1)이고, 제 1a, 1b, 1c 스탠드 프레임(45a1, 45a2, 45a3)과 제 2a, 2b, 2c 스탠드 프레임(45b1, 45b2, 45b3)의 간격이 제2 두께(T2)일 때, 제1 두께(T1)는 제2 두께(T2)와 같을 수 있다. 제1,2 두께(T1, T2)는, 프레임(30)의 두께인 제3 두께(T3)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30)은, 제2 프레임 바(43b)에 얹혀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스탠드 어셈블리(40)는, 볼케스터(49)와 픽서(42)를 사용하여 적절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의 바닥면에는 볼케스터(49)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는, 볼케스터(49)를 사용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한 후 픽서(42)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에는, 제1 내지 4 스탠드 결합공(Ha1, Ha2, Hb1, Hb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픽서(42)에는 제1 내지 4 픽서 결합공(Hc1, Hc2, Hd1, Hd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내지 4 스탠드 결합공(Ha1, Ha2, Hb1, Hb2)의 제1 직경(D1)은, 제1 내지 4 픽서 결합공(Hc1, Hc2, Hd1, Hd2)의 제2 직경(D2)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위치에서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은 정위치가 아닌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제1 내지 4 픽서 결합공(Hc1, Hc2, Hd1, Hd2)을 통해서 관측되는 제1 내지 4 스탠드 결합공(Ha1, Ha2, Hb1, Hb2)을 통해 직관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탠드 어셈블리(40b)가 정위치에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제4 픽서 결합공(Hd2)을 통해 관측되는 제4 스탠드 결합공(Hb2)의 위치가 틀어지고 제3 픽서 결합공(Hd1)을 통해서는 제3 스탠드 결합공(Hb1)이 관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자는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의 조절은,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의 바닥면에 위치한 볼캐스터(49a, 49b)로 인하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가 정위치에 위치하는가 여부는, 제1 내지 4 스탠드 결합공(Ha1, Ha2, Hb1, Hb2)이 제1 내지 4 픽서 결합공(Hc1, Hc2, Hd1, Hd2)의 중심에 위치하는가 여부로 쉽게 인지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별도의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볼케스터(49a, 49b)와 픽서(42)를 사용하여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를 손쉽게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41)에는 스텐드커버 서포터(41c)가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커버 서포터(41c)는, 인접한 두 스탠드 어셈블리(40)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탠드커버 서포터(41c)는,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를 연결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루(41d)가 스탠드커버 서포터(41c)와 결합공(41e)을 관통하여 스탠드커버 서포터(41c)가 베이스(41)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스탠드커버 서포터(41c)는, 복수 개가 인접한 두 스탠드 어셈블리(4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스탠드 어셈블리(40a, 40b) 사이에 2개의 스탠드커버 서포터(41c)가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어셈블리(4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물이 결합될 수 있다. 구성물은, 전기신호 및/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유닛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영상이 표시되는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LED 패널 등을 적용하여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 부분은 얇고 미려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패널 어셈블리(도 25의 10, 20)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물을 스탠드 어셈블리(40)에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물은, 스탠드 어셈블리(40)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물의 특성에 따라 일부는 스탠드 프레임(45)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는 베이스 프레임(47) 상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물은, 스탠드 프레임(45)을 중심으로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2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측면을 바라보는 제1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과 타측면을 바라보는 제2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20)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에 대응된 구성물은 일측 영역에, 제2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20)에 대응된 구성물은 타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제1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에 대응된 구성물(51a, 53a, 55a,)과 제2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20)에 대응된 구성물(51b, 53b, 55b)이 일측 영역과 타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물은, 파워 유닛(51a, 51b), T-con 유닛(53a, 53b), PCB 유닛(55a, 55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물은, 스탠드 프레임(45)에 부착되거나 베이스 프레임(47)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스탠드 어셈블리(40)의 폭, 길이 및/또는 체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면적이 클 수 있는 T-con 유닛(53a, 53b) 및/또는 PCB 유닛(55a, 55b)은, 스탠드 프레임(45)에 부착할 수 있다. 면적이 큰 구성물이 스탠드 프레임(45)에 세로로 배치되면, 베이스 프레임(47)의 Z-X 평면의 너비가 증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와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와 신호를 교환하는 구성물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con 유닛(53a, 53b) 및/또는 PCB 유닛(55a, 55b)는 영상신호를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의 전달경로가 길어지면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T-con 유닛(53a, 53b) 및/또는 PCB 유닛(55a, 55b)을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에 근접된 스탠드 프레임(45)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구성물간 동작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을 발생시키는 파워 유닛(51a, 51b)은 베이스 프레임(47)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구성물과 거리가 있도록 파워 유닛(51a, 51b)을 배치함으로 인하여, 파워 유닛(51a, 51b)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열로 인해 다른 구성물이 받을 수 있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프레임 어셈블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센터프레임 어셈블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프레임 어셈블리(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가 결합되는 대상물일 수 있다. 센터프레임 어셈블리(30)는,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가 곡면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프레임 어셈블리(30)는, 제1 내지 4 센터프레임(31 내지 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4 센터프레임(31 내지 34)은, 곡면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센터프레임(31, 32)는 오목한 형태이고 제3,4 센터프레임(33, 34)는 볼록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내지 4 센터프레임(31 내지 34)은,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4 스탠드 어셈블리(40a 내지 40d)의 스탠드 프레임(45)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센터프레임 브라켓(70)은, 센터프레임(30)의 장변에 결합될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센터프레임(31, 32) 사이에는 제1 센터프레임 브라켓(71), 제2,3 센터프레임(32, 33) 사이에는 제2 센터프레임 브라켓(73), 제3,4 센터프레임(33, 34) 사이에는 제3 센터프레임 브라켓(75)이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각 센터프레임 브라켓(70)은, 인접한 센터프레임(3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프레임(45)에 센터프레임(30)을 가고정한 후 볼트(66)와 같은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센터프레임(30)을 스탠드 프레임(45)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연통된 제1,2,3 통공(46a, 46b, 30a)가 제1a, 2a 스탠드 프레임(45a1, 45b1)과 센터프레임(3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볼트(66)는 제1,2,3 통공(46a, 46b, 30a)을 통과하여 타측의 너트(67)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프레임(30)은 결합될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의 형태에 대응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9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프레임(30)의 제1 면(35a)과, 제1 면(35a)의 후면인 제2 면(35b)에는 제1 홈(36a)과 제2 홈(36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 홈(36a, 36b)은, 제1,2 면(35a, 35b)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제1,2 홈(36a, 36b)은,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 후면의 구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에서 T-con 유닛(도 14의 53a, 53b), PCB 유닛(55a, 55b) 및/또는 파워 유닛(51a, 51b)에 연결된 케이블에 대응된 영역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홈(36a, 36b)은 제1,2 면(35a, 35b)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 홈(36a, 36b)은 제1,2 면(35a, 35b)의 상호 대응된 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1,2 돌출부(35c, 36c)는, 제1,2 홈(36a, 36b) 상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1,2 돌출부(35c, 36c)는, 제1,2 면(35a, 35b)에 대응된 높이일 수 있다. 즉, 제1,2 홈(35a, 36b)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프레임 브라켓(70)은 센터프레임(30)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센터프레임 브라켓(70)은 서로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센터프레임 브라켓(71)을 설명함으로서 다른 센터프레임 브라켓(70)에 대한 설명에 갈음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센터프레임 브라켓(71)은, 제1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센터프레임 브라켓(71)은, 굴절부(71a)와, 굴절부(71a)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제1,2 연결부(71b, 7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연결부(71b, 71c)는, 서로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연결부(71b)에 의한 가상의 제1 평면에 대해 제2 연결부(71c)에 의한 가상의 제2 평면이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연결부(71b)에 대해 제2 연결부(71c)가 기울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제1,2 연결부(71b, 71c)에 결합된 제1,2 프레임(31, 32)은 기울림각(AS)을 형성할 수 있다. 기울림각(AS)은, 제1,2 프레임(31, 32)이 자연스럽게 곡면을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2 연결부(71b, 71c)와 제1,2 프레임(31, 32)의 통공(31a, 32a)에 결합된 볼트 등에 의하여, 제1,2 연결부(71b, 71c)가 제1,2 프레임(31, 3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프레임 브라켓(70)은 프레임(30)과 패널 어셈블리(10, 20)를 동시에 결합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터프레임 브라켓(7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에 관련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센터프레임 브라켓(71)의 제1 함몰부(71d)에 제1 프레임(31)과 제1 패널(11)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함몰부(71d) 내부의 공간이 제1 프레임(31)과 제1 전면패널(11)의 합에 대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함몰부(71e)에는 제2 프레임(32)과 제3 후면패널(25)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센터프레임 브라켓(71)의 제3, 4 함몰부(71f, 71g)에는 각각 제2 전면패널(13)과 제4 후면패널(27)이 결합될 수 있다.
함몰부(71a 내지 71d)는,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즉, 기울림각(AS)을 형성하여 프레임(30) 및 패널 어셈블리(10, 20)가 자연스럽게 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한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 는 미들 프레임(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80)은, 프레임(30)의 사이드(side) 및/또는 탑(top)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30)에 결합된 미들 프레임(80)은, 프레임(30)에 결합될 패널 어셈블리(도 26의 10, 20)의 측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80)은, 프레임(30)의 장변에 결합되는 제1,2 사이드 미들 프레임(81, 82)과 프레임(30)의 단변에 결합되는 제1 내지 4 탑 미들 프레임(83, 85, 87, 8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 미들 프레임(81)은 제1 프레임(31)의 장변에 결합되고, 제2 사이드 미들 프레임(82)은 제4 프레임(34)의 장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4 탑 미들 프레임(83, 85, 87, 98)는 제1 내지 4 프레임(31, 32, 33, 34)의 단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80)은, 제1 결합공(80a)이 형성된 몸체(80d)와, 몸체(80d)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2 거리(H2)만큼 연장된 제1,2 연장부(80b, 8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거리(H2)는, 프레임(30)의 두께인 제1 거리(H1) 보다 클 수 있다.
프레임(30)에는, 결합홈(30d)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의 변(side)의 일부 영역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들 프레임(80)의 몸체(80d)에 대응된 길이로 프레임(30)의 변에 요홈(recess)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80)은,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80)의 제1 결합공(80a)은, 프레임(30)의 제2 결합공(30c)에 대응될 수 있다. 제1,2 결합공(80a, 30c)에는 볼트 등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미들 프레임(80)과 프레임(3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연장부(80b, 80c)에 의한 제2 거리(H2)는, 결합된 패널 어셈블리(10, 20)를 포함하는 제3 거리(H3)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제2 거리(H2)만큼 연장된 제1,2 연장부(80b, 80c)에 의하여 패널 어셈블리(10, 20)가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어셈블리(10, 20)의 모서리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이 외측의 제1,2 연장부(80b, 80c)에 흡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80)은 프레임(30)과 제1,2 이격공간(30d, 80d)을 형성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미들 프레임(80)이 프레임(3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제1,2 이격공간(30d, 80d)으로 인하여 미들 프레임(30)은 자연스럽게 프레임(80)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과 미들 프레임(80)간에 기울임 각도(AD)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0, 20)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제1,2 이격공간(30d, 80d)은 유지될 수 있다. 제1,2 이격공간(30d, 80d)으로 인하여, 패널 어셈블리(10, 20)는고유의 곡률(R)이 보다 자연스럽게 반영될 수 있다. 특히, 오목 형태인 제1 패널(11)의 끝단에 대응된 제2 이격공간(80d)은, 제1 패널(11) 고유의 곡률에 따라 제1 패널(11)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 고유 곡률과 다르게 결합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도 있을 제1 패널(11)에의 스트레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10, 20)는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30)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10, 20)는, 베젤(bezel) 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30)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오목 또는 볼록 형태로 인한 들뜸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4 전면패널(11, 13, 15, 17)과 제1 내지 4 후면패널(21, 23, 25, 27)이 프레임(30)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전면패널(11, 13)과 제1,2 후면패널(21, 23)은 오목한 형태이고, 제3,4 전면패널(15, 17)과 제3,4 후면패널(25, 27)은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제1 내지 4 전면패널(11, 13, 15, 17)은, 그 순서대로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전면패널(11)이 결합된 후 제2 전면패널(13)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내지 4 후면패널(21, 23, 25, 27)도, 제1 내지 4 전면패널(11, 13, 15, 17)과 같이 그 순서대로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 및 후면패널(20)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와 중첩되어 오버랩영역(OA)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면패널(11)과 제1 전면패널(13)의 사이에 오버랩영역(O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과 후면패널(20)은, 일정한 순서대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면패널(11)은 제2 전면패널(13)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2 전면패널(13)은 제3 전면패널(15)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3 전면패널(15)은 제4 전면패널(17)의 아래에 위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2 이상의 양의 정수를 N 이라고 할 때, N 번째 전면 또는 후면 패널(10, 20)의 적어도 일부는, N-1 번재 전면 또는 후면 패널(10, 20)의 적어도 일부의 전면(前面)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면패널(11)과 제2 전면패널(13)은 오버랩영역(O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면패널(11)과 제2 전면패널(13)에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영역의 비표시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영역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영역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영역은 액티브영역(active area), 비표시영역은 인액티브영역(inactive area)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은, 표시전극 및/또는 터치전극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 및/또는 단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특정 장변 및/또는 단변의 비표시영역은, 서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한 소스 PCB 등이 위치하는 특정 변(side)에 대응된 비표시영역의 크기는 다른 변의 비표시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면패널(11)의 제2 장변(LS1b)과 제2 전면패널(13)의 제1 장변(LS2a)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제1 전면패널(11)의 제2 장변(LS1b)에는 제1a 비표시영역(BM1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전면패널(13)의 제1 장변(LS2a)에는 제2b 비표시영역(BM2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면패널(11)의 경우 제1a 비표시영역(BM1a)은, 제2a 내지 3a 비표시영역(BM1b, BM1c, BM1d)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a 비표시영역(BM1a)은, 제2 전면패널(13)의 제2b 비표시영역(BM2b) 측과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a 비표시영역(BM1a)과 제2b 비표시영역(BM2b)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외부로 표시되는 비표시영역의 크기가 작게 보일 수 있다.
제2b 비표시영역(BM2b)은, 제1a 비표시영역(BM1a)의 내측 경계까지 중첩될 수 있다. 즉, 제1a 비표시영역(BM1a)과 제1 전면패널(11)의 표시영역의 경계와 동일하거나 그에 인접하도록 제2 전면패널(13)이 중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전면패널(11, 13)이 중첩되며 결합되면, 외부에서 관측하기에는 제2 전면패널(13)의 비표시영역만이 관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면패널(11)의 제1a 비표시영역(BM1a)은 제2 전면패널(13)에 의하여 가려지고, 제2 전면패널(13)의 제2b 비표시영역(BM2b)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달리 표현하면, 외부에서 관측되는 비표시영역(WBZ)은, 실제로 패널이 겹쳐지는 오버랩영역(OA)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0, 20)는 프레임(30)의 전면과 후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상호 인접한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 20)는, 접착층(19, 29)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접착층(19, 29)은, 오버랩영역(OA)에 대응된 접착제, 접착테이프일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함몰부가 형성된 센터프레임 브라켓(도 22의 70)을 사용하여 패널 어셈블리(10, 20)를 결합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패널 어셈블리(10)와 중첩(overlap)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프레임(30)과 패널 어셈블리(10)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프레임(30)의 폭과 패널 어셈블리(10)의 폭 및/또는 프레임(30)의 길이와 패널 어셈블리(10)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널 어셈블리(10)는, 복수의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변 중 제1 장변은, 프레임(30)의 제1 장변에 대응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의 제1 장변측은 프레임(30)의 제1 장변 측과 중첩영역(OA)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널 어셈블리(10)의 복수의 장변 중 제1 장변에 대향된 제2 장변은, 프레임(30)의 제2 장변에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의 제2 장변은 프레임(30)의 제2 장변 보다 돌출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달리 표현하면, 패널 어셈블리(10)의 제2 장변 측에는 비중첩영역(UOA)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중첩영역(UOA)은, 제1 프레임(31)이 아닌 프레임(30)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31)의 옆에 위치하는 제2 프레임(32)과 중첩될 수 있다. 다만, 제1 전면패널(11)과 중첩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중첩영역(UOA)으로 표현하였다.
비중첩영역(UOA)의 존재는, 패널 어셈블리(10)의 폭이 프레임(30)의 폭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폭의 차이만큼 패널 어셈블리(10)가 비중첩영역(UOA) 만큼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30)은, 패널 어셈블리(10)과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폭은, 패널 어셈블리(10)의 폭과 다를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의 길이는, 패널 어셈블리(10)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의 길이는, 패널 어셈블리(10)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패널 어셈블리(10)의 단변 중 제1 단변은, 프레임(30)의 제1 단변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것과 달리, 제1 단변에 대향된 패널 어셈블리(10)의 제2 단변은 프레이(30)의 제2 단변의 위치에 대응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레임(30)은 중첩영역(CA)과 비중첩영역(U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중첩영역(UA)은, 프레임(30)이 스탠드 어셈블리(40)에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어셈블리(10)의 후면에는 케이블(CB)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소스 PCB(P), COF(C) 등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신호 및/또는 전원의 공급을 위해 케이블(CB)이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케이블(CB)은, 제1,2 케이블(CB1, CB2)를 포함한 복수 개일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는, 장변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달리 표현하면, 패널 어셈블리(10)의 장변이 설치면인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널 어셈블리(10)의 장변 중 하나에는 소스 PCB(P), COF(C) 등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로부터 케이블(CB)이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CB)은, 적어도 1회 접혀있을 수 있다. 즉, 케이블(CB)이 연결된 장변이 세로로 배치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설치면인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CB)이 적어도 1회 접혀지며 지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케이블(CB)의 방향이 스탠드 어셈블리(40) 측으로 전환된다고 볼 수 있다.
프레임(30)에는 케이블(CB)에 대응된 제1 홈(36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돌출된 케이블(CB)이 제1 홈(36a)에 수용됨으로 인하여, 패널 어셈블리(10)와 프레임(30)이 밀착될 수 있다.
도 3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케이블(CB1, CB2)에는 절연층(IT)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절연층(IT)은, 제1,2 케이블(CB1, CB2)가 밴딩되는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절연층(IT)은 삼각형 및/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절연층은, 제1 내지 3 절연층(IT1 내지 IT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3 절연층(IT1 내지 IT3)는 상호 이격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절연층(IT)은,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IT)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착층으로 인하여, 밴딩된 영역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도 3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케이블(CB1, CB2)는 각각 1회 밴딩될 수 있다. 밴딩된 제1,2 캐이블(CB1, CB2)은, 제1 내지 3 절연층(IT1 내지 IT3)에서 상호 인접될 수 있다. 제1 내지 3 절연층(IT1 내지 IT3)는, 밴딩된 영역에서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내지 3 절연층(IT1 내지 IT3)는, 밴딩된 영역에서 상호 접착되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42는, 패널 어셈블리(10, 20)의 결합과 관련된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오목 및/또는 볼록 형상의 패널 어셈블리(10, 20)로 인한 결합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전면패널(11, 13)과 제1,2 후면패널(21, 23)은 오목한 형태이고, 제3,4 전면패널(15, 17)과 제3,4 후면패널(25, 27)은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패널 어셈블리(10, 20) 중 오목한 형태는,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금속재질의 프레임(30)에 지지되어 오목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하게 펴지고자 하는 탄성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프레임(30)에 지지되어 오목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패널 어셈블리(10, 20) 중 볼록한 형태는, 평탄하게 펴지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프레임(30)과의 간격이 이격될 수 있다. 특히, 제4 전면패널(17)과 제4 후면패널(27)의 마지막 장변은 이격방향(DD)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패널 어셈블리(10, 20)가 프레임(30)으로부터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코(deco, 90)가 결합될 수 있다. 데코(90)는, 패널 어셈블리(10, 20)에 대한 조립절차 이후에 결합될 수 있다. 데코(90)는, 패널 어셈블리(10, 20)의 양쪽 장변 측에 결합되는 제1,2 사이드 데코(91, 92)와, 패널 어셈블리(10, 20)의 단변 측에 결합되는 제1,2 탑 데코(93, 9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코(90)는, 베젤(bezel)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코(9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가 미려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데코(90)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데코(90)는, 패널 어셈블리(10, 20)가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 20)가 프레임(30)에서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코(90)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연장부(94, 96)가 돌출되어 결합영역(92)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연장부(94, 96)가 결합되면 데코(9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2 연장부(94, 9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전면 및 후면패널(10, 20)의 표시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영역(BO)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표시면의 전면으로 돌출된 제1,2 연장부(94, 96)는, 베젤(bezel)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데코(90)는, 전면 및 후면패널(10, 20)을 보호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표시면은, 패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표시면은 패널의 후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데코(90)는, 제1,2 연장부(94, 96)로 인하여 전면 및 후면패널(10, 20)이 프레임(30)에서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는, 스탠드 어셈블리(40)에 결합된 구성물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가 스탠드 어셈블리(4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는 사이드 어셈블리(40)에 스크류 등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는, 스탠드 어셈블리(4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a)와,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 및/또는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LI)이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에 연결될 수 있다. 라인(LI)은, T-con 유닛(53a) 등의 구성물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라인(LI)은, 제1,2 스탠드 사이드 어셈블리(48a, 48b)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패널 어셈블리(10, 20)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물(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물(130)은, 접착제 및/또는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 측에는 제1 고정물(131)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프레임(34)의 장변의 내측면을 따라 제1 고정물(131)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고정물(131)은, 자석일 수 있다. 제1 고정물(131)은, 제2 사이드 데코(92)일 수 있다.
도 3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 20) 측에는 제2 고정물(133)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전면패널(17)의 장변 내측면을 따라 제2 고정물(133)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고정물(133)은, 제1 고정물(131)에 대응된 위치 및/또는 형태일 수 있다. 제2 고정물(133)은, 제1 고정물(131)과 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자석 및/또는 금속일 수 있다.
제2 고정물(133)은, 제4 전면패널(17) 내측면의 다른 구성물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4 전면패널(17)의 내측면에는 소스PCB(P), COF(C) 등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고정물(133)은 소스PCB(P), COF(C) 등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물(133)은 COF(C) 사이의 공백영역(BC)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80)에는 결합홈(80e)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홈(80e)은, 미들 프레임(8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리세스(recess)일 수 있다. 결합홈(80e)에는, 제1 고정물(131)이 삽입될 수 있다.
도 4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물(133)은 전면패널(10)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전면패널(17)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다시말해, 볼록한 형태의 제4 전면패널(17)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도 4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80e)의 깊이는 제1,2 고정물(131, 133)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고정물(131, 133)에 불구하고 패널 어셈블리(10, 20)와 프레임(30) 전체의 두께인 제4 높이(H4)의 증가가 없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 및/또는 이에 대응된 금속체인 제1,2 고정물(131, 133)으로 인하여, 볼록한 형태인 제4 전면패널(17)이 프레임(3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2 고정물(131, 133)에 더하여 데코(도 37의 90)가 더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전면패널(17)의 내측면과 미들 프레임(80)의 결합면(80f) 사이에는 이격영역(34b)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격영역(34b)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 고정물(133)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격영역(34b)으로 인하여, 제4 전면패널(17)은 고유의 곡률에 따라 자연스럽게 휘어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물(131)은 프레임(30)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프레임(34)의 일면측에 제1 고정물(131)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고정물(131)에 대응된 제4 전면패널(17)의 내측면에는 제2 고정물(133)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고정물(133)은, 자석 및/또는 금속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미들 프레임(80) 및/또는 미들 프레임(80)에 대응된 전면패널(10)의 내측 영역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4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어셈블리 구성 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 및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서포터(107)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바텀 픽서(105)는, 프레임(30)의 양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의 전면 패널(10) 측에는 제1 바텀 픽서(105a)가 위차하고, 프레임(30)의 후면 패널(20) 측에는 제2 바텀 픽서(105b)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탠드 서포터(107)는, 스탠드 커버(도 45의 11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스탠드 커버(도 45의 110)의 상측에 결합되기 위한 구조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탠드 서포터(107)와 바텀 픽서(105)는, 체결수단(102, 104)에 의하여 프레임(3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수단(102, 104)은, 볼트(102)와 너트(104)일 수 있다.
도 45 내지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 커버(110)와, 스탠드 사이드 커버(112, 114)와, 바텀 데코(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 커버(110)는, 스탠드 어셈블리(40)를 차폐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각종 구조물이 설치된 스탠드 어셈블리(4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조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텀 데코(100)는, 패널 어셈블리(10, 20)를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어셈블리(10, 20)의 일측에는 제1a, 1b 바텀 데코(101a, 101b)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2a, 2b 바텀 데코(103a, 103b)가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커버(110)는, 일측면에 대응된 제1,2 스탠드 커버(111, 113)와 타측면에 대응된 제3,4 스탠드 커버(115, 117)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스탠드 커버(110)는, 복수의 패널 어셈블리(10, 2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탠드 커버(111)는, 제1,2 패널(11, 13)에 대응된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스탠드 커버(111)와 제3 스탠드 커버(115)는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제2 스탠드 커버(113)와 제4 스탠드 커버(117)는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3 스탠드 커버(111, 115)와 제2,4 스탠드 커버(113, 117)의 공용화가 가능하여 생산 및 조립단가를 낮출 수 있다.
스탠드 사이드 커버(112, 114)는, 스탠드 어셈블리(4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사이드 커버(112, 114)는, 스탠드 커버(110)와 함께 스탠드 어셈블리(4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텀 데코(100)는, 스탠드 커버(110)의 상측면(100a)에 대응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바텀 데코(100)의 결합과 관련된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다.
바텀 데코(100)는, 패널 어셈블리(10, 20)가 중첩된 구조에 불구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4 패널(11, 13, 15, 1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변의 일부가 중첩된 형태일 수 있다. 바텀 데코(100)는, 단차있는 구성을 통해 제1 내지 4 패널(11, 13, 15, 17)의 중첩된 구조에 불구하고 외관은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하단 영역은 스탠드 프레임(45)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스탠드 프레임(45a, 45b)가 프레임(30)의 양측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30)의 하측면은 프레임 바(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30)의 하단 영역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프레임(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 20) 보다 길 수 있다.
제1,2 스탠드 커버(111, 117)는, 프레임(30)의 양측 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1,2 스탠드 커버(111, 117)는, 제1,2 스탠드 서포터(107a, 107b)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바텀 데코(101a, 103b)는, 제1,2 스탠드 커버(111, 117) 상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제1,2 바텀 데코(101a, 103b)는, 제1,2 스탠드 커버(111, 117)와 패널 어셈블리(10, 20)의 경계에 위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4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면패널(13)의 장변은 제1 전면패널(11)의 장변에 오버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전면패널(13)이 제1 전면패널(11) 보다 제2 전면패널(13)의 두께에 대응된 제1 거리(도 48의 HD1) 만큼 전면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동일하게, 제3 전면패널(15)의 장변은 제2 전면패널(13) 보다 제3 전면패널(15)의 두께에 대응된 거리만큼 전면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바텀 데코(100)의 전면(前面, 109)은, 패널 어셈블리(10, 20)의 계단구조에 관계없이 평탄할 수 있다. 즉, 패널 어셈블리(10, 20)가 중첩되며 돌출된 거리를 바텀 데코(100)가 상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탠드 커버(110)는, 패널 어셈블리(10, 20)의 중첩과 관계없이 평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탠드커버(111)와 제2 스탠드커버(113)는, 제2,3 전면패널(13, 15)의 오버랩으로 인한 높이차에 관계없이 평탄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탠드 커버(110)의 평탄면은, 바텀 데코(100)에 의하여 패널 어셈블리(10, 20)의 단차가 상쇄되어 가능할 수 있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a 바텀 데코(101a)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제1 전면패널(11)에 대응되고 제2 영역(A2)은 제2 전면패널(13)에 대응될 수 있다.
제1,2 영역(A1, A2)의 경계는, 제1 거리(HD1) 만큼의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제1a 바텀 데코(101a)의 후면(108)에 제2 영역(A2)에서 제1 거리(HD1) 만큼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a 바텀 데코(101a)는 제1 두께(T1)에서 제2 두께(T2)로 변화될 수 있다. 제1 거리(HD1)는, 제2 전면패널(13)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후면(108)의 형상을 단차지도록 함으로서 외부로 보여지는 전면(107)은, 제1,2 패널(11, 13)의 중첩에 불구하고 단차없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제3,4 영역(A3, A4)의 경계는, 제2 거리(HD2) 만큼의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2 거리(HD2)는 제4 패널(17)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바텀 데코(100)의 두께는 제1 내지 4 두께(T1 내지 T4)로 변화될 수 있다. 즉, 후면(108)에 위치하는 패널의 두께를 상쇄하기 위하여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a, 2b 바텀 데코(103a, 103b)는, 제1a, 1b 바텀 데코(101a, 101b)에 대칭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 전면패널
20 : 후면패널 30 : 프레임

Claims (19)

  1. 스탠드 어셈블리;
    곡면을 가지는 제1 센터 프레임과 상기 제1 센터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곡면을 가지는 제2 센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센터 프레임;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센터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된 제1 디스플레이 패널;
    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센터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된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제1센터 프레임과 상기 제2 센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프레임 브라켓은,
    상기 제1 센터 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연결된 제1 연결부와,과 상기 제2 센터 프레임의 후면 또는 전면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는 굴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서로 나란하지 않고, 상기 제1 연결부에 의한 가상의 제1 평면에 대해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한 가상의 제2 평면이 일정 각도 기울어진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세로 방향으로 상기 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스탠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센터 프레임 및 상기 제2 센터 프레임은 각각 상기 스탠드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터 프레임과 상기 제2 센터 프레임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적어도 다른 영역보다 함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연장된 케이블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함몰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센터 프레임의 어느 한 장변과 상기 제1 및 제2 센터 프레임이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어느 한 단변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함몰 영역은,
    상기 일면에 대향된 상기 제1 및 제2 센터 프레임의 타면에 더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센터 프레임의 변(side)에 결합하는 복수의 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 센터 프레임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제1,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센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변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응된 형태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장부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제1 센터 프레임의 두께와 상기 제1 센터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의 합과 각각 같거나 큰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변 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데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코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및 제2 센터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위치해 둘 사이를 연결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상기 스탠드 어셈블리를 차폐하는 복수의 스탠드 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오목한 곡률(concaved curvature)의 표시면으로 가지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은 볼록한 곡률(convex curvature)의 표시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각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속하여 배치된 후 상기 복수 개의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이 연속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각,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제1 면에 배치된 전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면의 배면인 제2 면에 배치된 후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장변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장변에 접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46908A 2016-04-18 2016-04-1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4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08A KR102504727B1 (ko) 2016-04-18 2016-04-18 디스플레이 장치
US15/485,058 US10327349B2 (en) 2016-04-18 2017-04-11 Display device
EP17000637.3A EP3236453B1 (en) 2016-04-18 2017-04-1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908A KR102504727B1 (ko) 2016-04-18 2016-04-1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35A KR20170119135A (ko) 2017-10-26
KR102504727B1 true KR102504727B1 (ko) 2023-02-28

Family

ID=5870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908A KR102504727B1 (ko) 2016-04-18 2016-04-1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27349B2 (ko)
EP (1) EP3236453B1 (ko)
KR (1) KR102504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986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루멘스 플렉서블 엘이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245B1 (ko) * 2018-01-10 202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99722B1 (ko) * 2018-12-28 2023-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CN114038336B (zh) * 2021-12-06 2023-02-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仿形装置、显示面板的制作方法及显示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1631A1 (en) * 2002-07-30 2004-02-05 Mclaughlin William J. Apparatus for mounting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flat panel video displays
KR101202807B1 (ko) * 2011-06-29 2012-11-19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플렉시블 전광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201B1 (ko) 2007-05-22 2011-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및 이를 갖는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US20090275366A1 (en) * 2008-05-05 2009-11-05 Schilling Donald L Pers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deployable display systems for three dimensional visual representations and/or privacy and methods of use
US8539705B2 (en) * 2008-08-13 2013-09-24 Edward Bullister Crossfold electronic device
CN201274138Y (zh) 2008-09-12 2009-07-15 深圳市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曲面led显示屏的圆心角箱体结构
US9575708B2 (en) * 2012-05-14 2017-02-2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239139A1 (en) 2013-02-28 2014-08-28 Tait Technologies Bvba Video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CN103137031B (zh) 2013-03-25 2014-04-09 湖南新亚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集成度的显示屏单元
KR102081112B1 (ko) * 2013-07-31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곡률 제어 방법
KR102190035B1 (ko) * 2014-02-28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1631A1 (en) * 2002-07-30 2004-02-05 Mclaughlin William J. Apparatus for mounting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flat panel video displays
KR101202807B1 (ko) * 2011-06-29 2012-11-19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플렉시블 전광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986A (ko) *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루멘스 플렉서블 엘이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7484B1 (ko) 2019-03-15 2023-12-26 주식회사 루멘스 플렉서블 엘이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6453A1 (en) 2017-10-25
EP3236453B1 (en) 2020-03-25
US20170303422A1 (en) 2017-10-19
KR20170119135A (ko) 2017-10-26
US10327349B2 (en)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0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47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229064B1 (en) Display device
US9292042B2 (en) Display device
US8599330B2 (en) Display apparatus
US20190239364A1 (en) Display device
US9999152B2 (en) Display device
US10390451B2 (en) Display device
KR1025053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RE46796E1 (en) Display apparatus
US10330966B2 (en) Display device
US20140008041A1 (en) Display apparatus
KR1023795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4870B1 (ko)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US10244643B1 (en) Display device
KR1017912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97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2961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50480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200142629A (ko) 미들 캐비넷 일체형의 백 커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