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01B1 -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4501B1 KR102504501B1 KR1020220114821A KR20220114821A KR102504501B1 KR 102504501 B1 KR102504501 B1 KR 102504501B1 KR 1020220114821 A KR1020220114821 A KR 1020220114821A KR 20220114821 A KR20220114821 A KR 20220114821A KR 102504501 B1 KR102504501 B1 KR 1025045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support
- connector
- protective net
- vertical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99 pen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으로서, 상기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은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망 설치장치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설치현장에 이송되며,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설치현장에 설치되되, 보호망 설치장치는,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되며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되고 상기 주탑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파이프; 상기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망 고정대와 상기 하부 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대각 고정 파이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철탑 승탑 작업 중 추락 및 낙하물 방지를 수행하되 이를 위한 수단과 그 주변 상황을 포함하는 전박적 상황관리가 가능한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가 설치되는 송전 철탑의 조립 작업 중에는 해당 각종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추락방지 조치 미흡에 따른 안전사고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송전철탑의 사고는 송전철탑 조립 중 수시로 상부에 철탑 조립용 앵글 등의 자재를 이송시켜야 하므로 추락 방지망 설치를 소홀히 하였기 때문이다. 즉, 추락 방지망 설치시 송전철탑 조립용 각종 자재 운반에 장애가 되므로 형식적인 설치만 시행하고, 추락 방지를 위해 2중 안전벨트만 사용하거나 철탑 승탑 및 이동시 불편함으로 인하여 추락방지만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추락사고 등이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안전관리 수단들의 운용을 위한 모니터링을 위한 수단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을 철탑에 지지하는 강도가 높고, 기존 송전철탑의 어디에서도 고정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 초창기 설치와 유지보수 등에서 대상 감시와 대상에 대한 살균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비를 제공함에 있어 대상 촬영와 대상에 대한 방역을 위한 수단이 복수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링을 위한 수단이 모듈화된 촬영용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장착과 탈거가 용이하고 위치 변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방역의 수준 강화하거나 혹은 대상물 감시의 수준을 강화하도록 그 수량을 증가시켜 설치하거나 반대로 그 수량을 감소시켜 그 수준을 저감하도록 하는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단을 패키지로 하여 다양한 위치의 적재적소에 위치되도록 하여 광역적인 설치시공과 유지관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패키지 자체의 안정적인 설치고정 및 각 구성부의 연동된 고정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설치 관리 유지 보수 이동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송전선로를 고설 설치하는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으로서, 상기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은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망 설치장치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설치현장에 이송되며,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설치현장에 설치되되, 보호망 설치장치는,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되며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되고 상기 주탑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파이프; 상기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망 고정대와 상기 하부 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대각 고정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을 철탑에 지지하는 강도가 높고, 기존 송전철탑의 어디에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낙하물 방지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 초창기 설치와 유지보수 등에서 대상 감시와 대상에 대한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비을 제공함에 있어 대상 촬영와 대상에 대한 방역을 위한 수단이 복수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링을 위한 수단이 모듈화된 촬영용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장착과 탈거가 용이하고 위치 변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방역의 수준 강화하거나 혹은 대상물 감시의 수준을 강화하도록 그 수량을 증가시켜 설치하거나 반대로 그 수량을 감소시켜 그 수준을 저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단을 패키지로 하여 다양한 위치의 적재적소에 위치되도록 하여 광역적인 설치시공과 유지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키지 자체의 안정적인 설치고정 및 각 구성부의 연동된 고정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설치 관리 유지 보수 이동 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에서 보호망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에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 고정대(a) 및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b)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가 철탑에 조립된 상태(a) 및 접히는 상태(b)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 고정대를 철탑에 조립한 후 하부 파이프와 대각 고정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에 행거 클램프를 설치하고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의 4개의 주탑에 보호망 고정대가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로 연결한 모습을 보인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가 철탑에 설치된 전체 외관을 보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을 펴고 접은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 내지 18은 도 1에 따른 추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에서 보호망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에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철탑 고정용 클램프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 고정대(a) 및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b)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가 철탑에 조립된 상태(a) 및 접히는 상태(b)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호망 고정대를 철탑에 조립한 후 하부 파이프와 대각 고정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에 행거 클램프를 설치하고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철탑의 4개의 주탑에 보호망 고정대가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로 연결한 모습을 보인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가 철탑에 설치된 전체 외관을 보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을 펴고 접은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 내지 18은 도 1에 따른 추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 보호망 고정대(200), 하부 파이프(300), 대각 고정 파이프(400), 와이어 로프(170)를 포함한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철탑의 4개의 주탑(2)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주탑(2)의 하측에 보호망 고정대(200)를 조립하기 위해 4개가 설치된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주탑(2)의 상측에 와이어 로프(170)를 연결하기 위해 4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주탑(2)의 하측에 설치되고 주탑(2)의 상측에는 와이어 로프(170)를 연결하기 위해 후술할 행거 클램프(600)를 설치한다. 그러나 설치 부품을 단순화하기 위해 주탑(2)의 상측에 행거 클램프(600) 대신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는 보호망 고정대(200) 및 하부 파이프(300)가 조립되는 지지클램프(110)와 지지클램프(110)를 주탑(2)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20)을 포함한다.
지지클램프(110)에 보호망 고정대(200)가 조립되기 위한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와 하부 파이프(300)가 조립되기 위한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가 형성된다.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는 소정 각도로 이격된다.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는 직각을 이루어 이웃하는 주탑(2')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와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는 지지클램프(110)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와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는 주탑(2) 하나당 하부 파이프(300) 2개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주탑(2) 하나당 하부 파이프(300) 2개를 설치하면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 지지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고정부(111,113,115,117)에는 보호망 고정대(200) 및 하부 파이프(300)를 볼트, 힌지 등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구멍인 고정공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고정부(111,113,115,117)는 지지클램프(11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에는 수평방향 와이어(161)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114)가 형성된다.
수평방향 와이어(161)는 보호망(15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클램프(110)는 후술할 볼트부(121,122)의 머리가 걸어지기 위한 설치공(118)이 형성된다. 지지클램프(110)는 주탑(2)에 고정시 주탑(2)과 접촉되는 면에 주탑(2)과 접촉량을 늘려주기 위한 앵글(119)이 형성된다. 앵글(119)은 90도 각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클램프(110)는 2회 굴곡되어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가 각각 고정되는 양단 두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된 상부 프레임(110a)과 양단 두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일자형의 하부 프레임(110b)이 용접된 구조로 되고, 하부 프레임(110b)에 설치공(118) 및 앵글(119)이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110a)과 하부 프레임(110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하부면을 덮어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가 용접될 수 있도록 덮개부(110c)를 포함하는 형상이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10b)과 상부 프레임(110a)의 중간 부분 서로 연결하는 중간막(110d)을 더 포함하여 강도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형상이다.
그러나 지지클램프(11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를 상호 수직으로 설치하고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와 수직하게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를 용접하여 본 발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이면 그 형상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고정수단(120)은 볼트부(121,122), 고정클램프(123), 너트부(126,127)를 포함한다. 볼트부(121,122)는 지지클램프(110)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대향되는 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볼트부(121,122)는 지지클램프(110)의 설치공(118)을 통해 고정클램프(123)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볼트부(121,122)의 머리는 설치공(118)에 걸어진다.
고정클램프(123)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볼트부(121,122)가 각각 관통하는 관통공(124,125)이 형성된다. 너트부(126,127)는 관통공(124,125)을 관통하여 고정클램프(123)의 타면으로 돌출되는 볼트부(121,122)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126,127)를 포함한다.
지지클램프(110)와 고정클램프(123) 사이에 주탑(2)이 배치되고 고정클램프(123)의 타면으로 돌출되는 볼트부(121,122)의 단부에 너트부(126,127)가 체결되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가 주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볼트부(121,122)는 지지클램프(110)의 설치공(118)을 통해 고정클램프(123) 방향으로 돌출된 후 고정클램프(123)의 관통공(124,125)을 관통하고 그 단부에 너트부(126,127)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트부(121,122)는 지지클램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클램프(123)에 와이어 로프(170)가 통과는 로프 통과공(128)이 형성된다. 로프 통과공(128)은 와이어 로프(170)를 통과시키거나 와이어 로프(170)를 묶어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는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150)이 설치된다. 보호망(150)이 설치된 한 쌍의 보호망 고정대(200)는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보호망(150)은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물코 크기가 2c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망(150)은 그물 형상으로 인해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보호망 고정대(2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호망 고정부(210), 와이어 고정부(230), 파이프 고정부(240)를 구비한다.
보호망 고정부(210)는 보호망(150)의 일측면을 고정끈(220)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보호망 고정대(200)의 외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된다. 보호망 고정부(210)는 고정끈(220)을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와이어 고정부(230)는 보호망 고정대(200)에서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조립되는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형성되며 와이어(163) 및 와이어 로프(170)가 연결된다. 와이어 고정부(23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에 3개가 형성된다.
양측 2개의 와이어 고정부(231,232)에는 보호망 고정대(200) 2개를 연결하는 와이어(163)가 연결되고 상부로 돌출된 나머지 하나에는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의 상측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170)가 연결된다.
파이프 고정부(240)에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타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파이프 고정부(240)는 보호망 고정부(210)에서 타단에 치우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파이프 고정부(240)에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타단을 파이프 고정부(240)에 힌지, 볼트 등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보호망 고정대(200)는 일단에 고정 연결부(250)가 결합된다. 고정 연결부(25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을 제1 고정부(111) 또는 제2 고정부(113)에 조립하기 위한 부품이다.
고정 연결부(25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 외경이 삽입되도록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공(201,202)과 연통되는 고정공(251,252)이 형성되며 단부에는 제1 고정부(111) 또는 제2 고정부(113)와 힌지 또는 볼트로 조립되기 위한 고정공(15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 고정 연결부(250)를 더 결합하여 제1 고정부(111) 또는 제2 고정부(113)에 결합하나,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 고정 연결부(250) 형상을 더 형성하여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을 제1 고정부(111) 또는 제2 고정부(113)에 직접 연결하여도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을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300)는 일단이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조립되고 주탑(2)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된다. 하부 파이프(300)는 길이가 긴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주탑 하나 당 2개가 나란히 설치된다.
즉,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제3 및 제4 고정부(113,117)에 각각 하부 파이프(300)의 일단(301)이 볼트 등을이용하여 조립된다. 대각 고정 파이프(400)는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호망 고정대(200)와 하부 파이프(300)를 대각으로 연결하다.
대각 고정 파이프(400)는 일단(401)이 슬라이딩 수단(450)을 매개로 하부 파이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403)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파이프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슬라이딩 수단(450)은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에 대해 접고 펼 수 있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딩 수단(450)은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451)와, 몸체부(45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일단(401)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조립부(453)를 포함한다.
몸체부(451)는 내부가 빈 사각, 삼각, 원 등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조립부(453)에는 조립공이 형성되어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일단(401)이힌지, 볼트 등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70)는 일단이 보호망 고정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탑(2)의 상측에 연결되어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로프(170)는 일단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233)에 연결되고, 타단은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주탑(2)의 상측에 설치되는 행거 클램프(600)에 연결된다.
행거 클램프(600)는 이격되게 한 쌍의 제1 체결공(611)이 형성되고 주탑(2)과 접촉량을 늘리기 위한 앵글(613)이 형성된 제1 프레임(610)과 한 쌍의 제1 체결공(611)에 대응하는 제2 체결공(621)이 형성된 제2 프레임(62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610)과 제2 프레임(620)의 사이에 주탑(2)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1 프레임(610)의 제1 체결공(611)과 제2 체결공(621)을 관통하여 각각 체결볼트(631)를 체결하고 제1 체결공(611)과 제2 체결공(621)을 관통한 체결볼트(631)의 단부에 체결너트(633)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행거 클램프(600)가 주탑(2)에 고정될 수 있다.
행거 클램프(600)는 제1 프레임(610) 또는 제2 프레임(620)에 와이어 로프(170)가 통과하는 로프 통과공(64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프 통과공(640)은 제1 프레임(610)에 형성된다.
주탑(2) 상측으로 연결한 와이어 로프(170)는 주탑(2)의 상측에 설치된 행거 클램프(600)의 로프 통과공(640)을 통과한 후, 주탑(2)의 하측에 설치된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로프 통과공(128)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될수 있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로프 통과공(128)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은 주탑(2)의 하측에 행거 클램프(700)를 더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주탑(2) 하측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를 하부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으로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들에 의해 보호망(150)이 설치된 한 쌍의 보호망 고정대(200)는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조립되고 주탑(2,2') 하측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를 하부로 당기는 작업으로 주탑(2) 방향으로 접을 수 있으며, 당긴 힘을 제거하는 것에서 주탑(2) 방향으로 접어진 상태가 펴질 수 있다.
상술한 보호망(150)이 설치된 한 쌍의 보호망 고정대(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조립되므로 하나의 철탑에 총 4쌍이 설치된다. 보호망 고정대(200)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조 보호망(650)이 더 설치된다. 보조 보호망(650)은 보호망 고정대(200)들 사이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한 것이다.(도 1 참조)
보조 보호망(650)은 양측 일단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서 소정위치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고, 양측 타단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에 고정된다.
보조 보호망(650)은 양측 일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서 소정위치 이격된 위치에 고정함에 의해 주탑(2)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작업자가 주탑(2)의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s)가 확보되게 한다.
보조 보호망(650)은 보호망 고정대(200)의 보호망 고정부(210)에 고정끈(220)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1)의 4개의 주탑(2)에 수평하게 철탑고정용 클램프(100)를 설치하는 단계(a)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를 한 쌍씩준비하여 낙하물 지지를 위한 보호망(150)을 설치하고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을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b)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300)를 준비하여 일단을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조립하고 주탑(2)과 평행하게 타단(303)을 하부로 연장시키는 단계(c)와,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대각 고정 파이프(400)로 보호망 고정대(200)와 하부 파이프(300)를 대각으로 연결하는단계(d)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70)를 준비하여 일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에 연결하고 타단을 주탑(2)의 상측에 연결하여 와이어 로프(170)로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e)를 포함한다.
(a)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클램프(110)를 주탑(2)에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수단(120)을 이용하여 지지클램프(110)를 주탑(2)에 고정한다. 지지클램프(11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이 각각 조립되게 소정 각도로 이격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가 주탑(2)의 외측을 향하고 하부 파이프(300)의 일단(301)이 조립되게 돌출 형성된 제3 고정부(115)가 하부를 향하도록 주탑(2)에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수단(120)을 이용하여 주탑(2)에 고정한다.
이때, 지지클램프(110)는 제1 및 제2 고정부(111,113)가 돌출 형성된 방향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앵글(119)을 주탑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수단(120) 즉, 주탑(2)이 지지클램프(110)와 사이에 배치되게 고정클램프(123)를 배치하고 볼트부(121,122)로 지지클램프(110)의 설치공(118), 고정클램프(123)의 관통공(124,125)을 관통하도록 한 후, 설치공(118) 및 관통공(124,125)을 관통한 볼트부(121,122)의 단부에 너트부(126,127)를 체결하는 것에서 주탑(2)에 고정한다.
상술한 과정은 4개의 주탑(2)에 설치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를 4개의 주탑(2)에 설치시 하나의 주탑(2)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3)와 이웃하는 주탑(2')에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의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3')와 의 수평 거리를 측정하여 서로 평행하고 제1 고정부(111)와 제2 고정부(113)도 자중 방향에 수평이 되게 설치한다.
각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100')는 송전 철탑(1)의 작업부에서 약 10m 하단에 조립할 수 있다. b) 단계는,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200)를 이격되게 나란히 배치하고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200) 사이에 보호망(150)을 배치한다.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200)는 양 타단, 양 일단을 와이어(161,163)로 연결하고 양 타단과 양 일단을 연결한 와이어(161,163)의 중앙을 다시 와이어(165)로 연결하여 보호망(15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보호망(15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보호망 고정대(200)에 형성된 보호망 고정부(210)에 각각 고정끈(220)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보호망(150)은 보호망 고정대(200) 사이를 연결하는 짧은 변이 12% 이상 처질 수 있게 고정한다.
이는 낙하물의 낙하시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망(150)은 짧은 변이 2cm에서 14cm 정도 처지게 양측면을 보호망 고정부(210)에 고정할 수 있다. 보호망(150)과 보호망 고정대(200) 사이는 고정끈(220)을 고정할 수 있는 틈이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두 개의 보호망 고정대(200)의 각각의 일단에 고정 연결부(250)를 결합한다. 고정 연결부(250)는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 외경에 고정 연결부(250)에 형성된 고정공(251,252)과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 외경에 형성된 고정공(201,202)이 연통되게 한 다음, 고정 연결부(250)의 고정공(251,252)과 보호망 고정대(200)의 고정공(201,202)을 관통하게 볼트, 너트 등을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의 양측 일단에 고정된 두 개의 고정 연결부(250) 중 하나는 지지클램프(110)의 제1 고정부(111)에 힌지, 볼트 등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지지클램프(110)의 제1 고정부(111)와 이웃하는 주탑(2')에 설치된 지지클램프(110')의 제2 고정부(113')에 힌지, 볼트 등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보호망 고정대(200)에 보호망(150)을 설치하고 고정 연결부(250)를 결합하는 과정은 철탑(1) 하부에서 수행하며, 이후 보호망(150)이 설치되고 고정 연결부(250)가 결합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철탑 상부로 이동하여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지지클램프(110)에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철탑(1)에 접었을 때와 폈을 때의 상태는 도 6에서 확인할 수있다. c) 단계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 하부 파이프(30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이프(300)는 주탑(2) 하나당 2개가 조립되며 각 일단(301)을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제3 고정부(115)와 제4 고정부(117)에 각각 조립한다. 하부 파이프(300)의 각 일단이 제3 고정부(115)와 제4 고정부(117)에 각각 조립되면 그 타단(303)은 주탑(2) 하부로 연장된다.
d) 단계는, 대각 고정 파이프(400)로 보호망 고정대(200)와 하부 파이프(300)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그 과정은 하부 파이프(300)의 외면에 슬라이딩 수단(450)을 결합하고, 슬라이딩 수단(450)의 일측에 대각 고정파이프(400)의 일단(401)을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 후, 대각 고정 파이프(400)의 타단(403)을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측 파이프 고정부(24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다.슬라이딩 수단(450)은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접었다 펴는 작업시 하부 파이프(300)를 따라 상하 이동한다.
와이어 로프(170)를 준비하여 일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에 연결하고 타단을 주탑(2)의 상측에 연결하여 와이어로프(170)로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e)를 포함한다.
e)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에 대해 수평하게 고정하고 그 상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와이어 로프(170)를 연결하는 단계이다.e) 단계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에서 약 3m 상부 위치의 주탑(2)에 행거 클램프(600)를 설치하고 설치된 행거 클램프(600)의 로프 통과공(640)을 주탑 상측으로 연결한 와이어 로프(170)가 통과하도록 한 후, 하부로 연장되게 한다.
이때, 와이어 로프(170)는 하중 지지가 용이하도록 직경이 10mm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로프 통과공(640)은 행거 클램프(600)의 러그에 샤클을 연결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행거 클램프(600)의 로프 통과공(640)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은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로프 통과공(128)을 통과시킨 후 주탑(2)의 하측에 행거 클램프(700)를 더 설치하여 고정한다. 주탑(2)의 하측의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는 작업자가 하방으로 잡아당겨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이때, 주탑(2) 상측의 행거 클램프(600)의 로프 통과공(640)을 통과하여 하부로 연장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은 상기 와이어 로프(170)의 일단이 연결된 보호망 고정대(200)가 설치된 주탑(2)이 아닌 상기 주탑(2)과 이웃하는 주탑(2')에 설치된 철탑 고정용 클램프(100')의 로프 통과공(128')과 그 주탑의 하측에 설치되는 행거클램프(700)에 고정한다. 이는 와이어 로프(170)를 잡아당기는 힘의 전달이 용이하여 보호망 고정대(200)를 접고 펴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탑(2)의 하측에 설치되는 행거 클램프(700)는 주탑(2)의 하부로 연장한 와이어 로프(170)의 이탈을 방지하고, 하부에서 와이어 로프(170)를 잡아당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주탑(2)과 주탑(2')의 사이 4방향에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모두 조립한다. 주탑(2)과 주탑(2')의 사이 4방향에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를 모두 조립된 상태는 도 9에서 확인된다.
e) 단계 후, 주탑(2)과 주탑(2) 사이에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200)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조 보호망(650)을 설치하는 단계(f)를 더 수행한다.
보조 보호망(650)은 양측 일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 고정하고 양측 타단을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에 고정하여 주탑(2)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작업자가 주탑(2)의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s)가 확보되게 한다.
통로(s)는 보호망 고정대(200)가 펼쳐진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주탑(2)의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보호망(650)은 와이어 로프(170)를 당겨 보호망 고정대(200)를 주탑(2)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보호망 고정대(200)들 사이에 설치한다. 보조 보호망(650)을 설치한 후에는 보호망 고정대(200)를 펼치면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철탑 승탑 작업시 추락 및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다른구성들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도 1에서 와이어 로프(170)는 하나만 표시하였다. 실제 와이어 로프(170)는 도 9에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상술한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가 수평하게 설치되어 추락방지 및 낙하물 방지용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170)가 보호망(150)이 설치된 보호망 고정대(200)의 하중을 지지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호망 고정대(200)를 접는 작업이 주탑(2) 하측으로 연장되고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을 작업자가 지상에서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작업으로 간단하게 수행 가능하다.
또한, 주탑(2) 하측으로 연장되고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된 와이어 로프(170)의 타단을 작업자가 지상에서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주탑(2) 상측에 고정된 행거 클램프(600)를 통해 힘이 전달되어 와이어 로프(170)의 일단에 연결된 보호망 고정대(200)의 타단이 상부로 당겨지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 고정대(200)가 주탑(2)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이때, 철탑(1)을 이루는 4개의 주탑(2) 하방에 각각 작업자가 배치되어 각 주탑의 하측 행거 클램프(700)에 고정된 각 와이어 로프(170)를 동시에 잡아당기게 된다. 그러나 주탑(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로프(170)의 각 타단을 한 곳으로 모아 와이어 로프 묶음 하나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에서 4쌍의 보호망 고정대가 모두 주탑 방향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작업이 수행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13 내지 18을 참조하면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으로서, 상기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은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망 설치장치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설치현장에 이송되며,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설치현장에 설치된다.
상기 보호망 설치장치는,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되며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조립되고 상기 주탑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파이프; 상기 보호망 고정대가 상기 주탑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망 고정대와 상기 하부 파이프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대각 고정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현장에는 복합유닛(1')이 설치되어 상기 보호망 설치장치의 취급상황, 상기 설치현장의 상황,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설치현장의 작업자를 포함하는 대상물에 대해 촬영에 기반하는 대상물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복합유닛(1')은, 일측 외곽의 제1외곽지지체(110')와 타측 외곽의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제1연결구(11')로 연결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제2연결구(12')로 연결되는 상판패널부(130')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제3연결구(13')로 연결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제4연결구(14')로 연결되는 하판패널부(140')와, 상기 상판패널부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상판패널부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지지체(16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복합구조체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설치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복합구조체와,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3복합구조체를 포함한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된다.
삭제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는, 상기 제1연결구(11')와 상기 제2연결구(12')를 매개로 상기 상판패널부(130')와 근접하는 제1-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하판패널부(140')와 근접하는 제1-2유동을 포함하는 제1유동과, 상기 제1연결구(11')와 상기 제2연결구(12')를 매개로 상기 상판패널부(130')와 이격되는 제2-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하판패널부(140')와 이격되는 제2-2유동을 포함하는 제2유동이 수행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제1장착고정이 수행되되, 상기 제1장착고정은 상기 제1-1유동을 기반으로 장착력이 보강되고,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제2장착고정이 수행되되, 상기 제2장착고정은 상기 제1-2유동을 기반으로 장착력이 보강된다.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노즐(31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제1몸체(312')와, 상기 제1몸체(312') 상부에 구비되는 제1회전유동체(314')와, 상기 제1몸체(312') 하부에 구비되며 제1출몰체(315')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체(316')와, 상기 제1몸체(3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각각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1사이드연결체(313')를 포함하는 제1-1복합구조체(310')와, 촬영체(411')를 통해 대상물 촬영을 수행하며 상기 제1몸체(3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몸체(412')와, 상기 제2몸체(412') 상부에 구비되는 제2회전유동체(414')와, 상기 제2몸체(412') 하부에 구비되며 제2출몰체(415')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체(416')와, 상기 제2몸체(4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각각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2사이드연결체(413')를 포함하는 제1-2복합구조체(410')와, 노즐(51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며 상기 제2몸체(4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3몸체(512')와, 상기 제3몸체(512') 상부에 구비되는 제3-1회전유동체(514')와, 상기 제3몸체(512') 하부에 구비되는 제3-2회전유동체(515')와, 상기 제3몸체(5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각각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3사이드연결체(513')를 포함하는 제1-3복합구조체(51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판패널부(130')는 하부로 출몰하여 상기 제1회전유동체(314')에 삽입되는 사각의 제1삽입체(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유동체(314')는 상기 제1삽입체(131')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1삽입체(131')를 고정한다.
상기 하판패널부(140')는 상부로 출몰하여 상기 제3-2회전유동체(515')에 삽입되는 사각의 제2삽입체(141')를 포함하며, 상기 제3-2회전유동체(515')는 상기 제2삽입체(141')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2삽입체(141')를 고정한다.
상기 제1구동체(316')는 단면이 사각인 상기 제1출몰체(315')를 상기 제2회전유동체(414')로 삽입되도록 구동시키며, 상기 제2구동체(416')는 단면이 사각인 상기 제2출몰체(415')를 상기 제3-1회전유동체(514')로 삽입되도록 구동시킨다.
상기 제2회전유동체(414')는 상기 제1출몰체(315')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1출몰체(315')를 고정하며, 상기 제3-2회전유동체(515')는 상기 제2출몰체(415')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2출몰체(415')를 고정하며, 상기 제1-1복합체(310') 내지 상기 제1-3복합체(510')는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와, 상기 상판패널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서 상호 연동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의 하방단부에는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둘레방향 회전구동되는 제1회전삽입체(11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의 하방단부에는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둘레방향 회전구동되는 제2회전삽입체(121')가 구비되며, 상기 복합유닛(1')은, 상기 제1회전상비체와 상기 제2회전삽입체(121')가 상기 주변현장의 지면에 삽입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는 상기 제1회전삽입체(111')와 제1이격공간(S1')을 두고 구비되는 제1고정구조체(112')(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는 상기 제2회전삽입체(121')와 제2이격공간(S2')을 두고 구비되는 제2고정구조체(122')가 구비되고, 상기 복합유닛(1')은, 상기 제1이격공간(S1')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1외곽진입체를 파지하는 제1파지체(712')와, 상기 제2이격공간(S2')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2외곽진입체를 파지하는 제2파지체(713')와, 상기 제1파지체(712') 내지 상기 제2파지체(713')를 상호 연동시키는 연동브릿지(711')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브릿지(711')는, 상기 제1이격공간(S1')에서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를 파지한 상태의 상기 제1파지체(712')에 수평방향 회전힘을 가하며, 상기 제2이격공간(S2')에서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를 파지한 상태의 상기 제2파지체(713')에 상기 제1파지체(712')와 반대방향으로 수평방향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제1외곽지치체와 상기 제2외곽지치체를 상호간을 연동시켜 고정력이 보강되도록 한다..상기 제1고정구조체(112')는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상하회전체(113')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하회전체(113')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를 파지한 상태의 상기 제1파지체(712') 상부를 눌러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제2고정구조체(122')는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상하회전체(123')가 구비되어, 상기 제2상하회전체(123')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를 파지한 상태의 상기 제2파지체(713') 상부를 눌러 고정한다.
상기 제1상하회전체(113')는 하방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좌우회전체(1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좌우회전체(1131')는 상기 제1파지체(712') 내부로 삽입되고, 좌우회전을 통해 상기 제1파지체(712') 내부에 연동된 고정힘을 가한다.
상기 제2상하회전체(123')는 하방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좌우회전체(12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좌우회전체(1231')는 상기 제2파지체(713') 내부로 삽입되고, 좌우회전을 통해 상기 제2파지체(713') 내부에 연동된 고정힘을 가하며, 성기 제2복합구조체는, 노즐(17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제1사이드몸체(172')와, 상기 제1사이드몸체(172') 상부에 구비되는 제1-1사이드출몰체(174')와, 상기 제1사이드몸체(172') 하부에 구비되는 제1-2사이드출몰체(175')와, 상기 제1사이드몸체(172')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로 각각 삽입되는 제1사이드연결체(313')(173')를 포함하는 제2-1복합구조체(170')와, 촬영체(181')를 통해 대상물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몸체(182')와, 상기 제2사이드몸체(182') 상부에 구비되는 제2-1사이드출몰체(184')와, 상기 제2사이드몸체(182') 하부에 구비되는 제2-2사이드출몰체(185')와, 상기 제2사이드몸체(182')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로 각각 삽입되는 제2사이드연결체(413')(183')를 포함하는 제2-2복합구조체(183')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유닛(1')은, 상기 제1외곽자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1복합구조체(310') 상부에 위치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승하강되는 제1승강패널(15')과, 상기 제1외곽자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1복합구조체(310') 하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제2승강패널(16')과, 상기 제1외곽자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2복합구조체(410') 상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제3승강패널(17')과, 상기 제1외곽자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3복합구조체(510') 하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제4승강패널(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승강패널(15')은 상기 제1-1사이드출몰체(174')측으로 이동하면상기 제1-1사이드출몰체(174')는 상기 제1승강패널(15') 내부로 진입하여 압입힘을 가하고, 상기 제2승강패널(16')은 상기 제1-2사이드출몰체(175')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2사이드출몰체(175')는 상기 제1승강패널(15') 내부로 진입하여 압입힘을 가하고, 상기 제3승강패널(17')은 상기 제2-1사이드출몰체(184')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1사이드출몰체(184')는 상기 제3승강패널(17') 내부로 진입하여 압입힘을 가하고, 상기 제4승강패널(18')은 상기 제2-2사이드출몰체(185')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2사이드출몰체(185')는 상기 제4승강패널(18') 내부로 진입하여 압입힘을 가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합선 방지 시스템이 설치되는 곳을 제1위치(T')라고 할때 상기 제1위치(T')를 구조물(W')이 둘러싼다. 이러한 상기 구조물(W')의 입구측의 제2위치(1L')와 제3위치(2L')에는 상기 복합유닛(T')이 배치되어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위치(T') 주변의 제4위치(3L')와 제5위치(4L')에도 상기 복합유닛(1')이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철탑 2: 주탑
100: 철탑 고정용 클램프 110: 지지클램프
111: 제1 고정부 112: 와이어 고정부
113: 제2 고정부 114: 와이어 고정부
115: 제3 고정부 117: 제4 고정부
100: 철탑 고정용 클램프 110: 지지클램프
111: 제1 고정부 112: 와이어 고정부
113: 제2 고정부 114: 와이어 고정부
115: 제3 고정부 117: 제4 고정부
Claims (2)
-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은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망 설치장치는 이송수단에 의하여 설치현장에 이송되며,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설치현장에 설치되되,
상기 보호망 설치장치는,
철탑의 4개의 주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철탑 고정용 클램프; 한 쌍으로 되어 낙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설치되며 상기 주탑과 주탑 사이에 배치되게 각각의 일단이 상기 철탑 고정용 클램프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보호망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현장에는 복합유닛(1')이 설치되어 상기 보호망 설치장치의 취급상황, 상기 설치현장의 상황,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설치현장의 작업자를 포함하는 대상물에 대해 촬영에 기반하는 대상물 모니터링을 수행하되,
상기 복합유닛(1')은,
일측 외곽의 제1외곽지지체(110')와 타측 외곽의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제1연결구(11')로 연결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제2연결구(12')로 연결되는 상판패널부(130')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제3연결구(13')로 연결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제4연결구(14')로 연결되는 하판패널부(140')와,
상기 상판패널부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상판패널부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지지체(16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복합구조체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설치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복합구조체와,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3복합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는,
상기 제1연결구(11')와 상기 제2연결구(12')를 매개로 상기 상판패널부(130')와 근접하는 제1-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하판패널부(140')와 근접하는 제1-2유동을 포함하는 제1유동과,
상기 제1연결구(11')와 상기 제2연결구(12')를 매개로 상기 상판패널부(130')와 이격되는 제2-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하판패널부(140')와 이격되는 제2-2유동을 포함하는 제2유동이 수행가능하며,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제1장착고정이 수행되되, 상기 제1장착고정은 상기 제1-1유동을 기반으로 장착력이 보강되며,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제2장착고정이 수행되되, 상기 제2장착고정은 상기 제1-2유동을 기반으로 장착력이 보강되고,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노즐(31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제1몸체(312')와, 상기 제1몸체(312') 상부에 구비되는 제1회전유동체(314')와, 상기 제1몸체(312') 하부에 구비되며 제1출몰체(315')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체(316')와, 상기 제1몸체(3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각각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1사이드연결체(313')를 포함하는 제1-1복합구조체(310')와,
촬영체(411')를 통해 대상물 촬영을 수행하며 상기 제1몸체(3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몸체(412')와, 상기 제2몸체(412') 상부에 구비되는 제2회전유동체(414')와, 상기 제2몸체(412') 하부에 구비되며 제2출몰체(415')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체(416')와, 상기 제2몸체(4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각각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2사이드연결체(413')를 포함하는 제1-2복합구조체(410')와,
노즐(51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며 상기 제2몸체(4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3몸체(512')와, 상기 제3몸체(512') 상부에 구비되는 제3-1회전유동체(514')와, 상기 제3몸체(512') 하부에 구비되는 제3-2회전유동체(515')와, 상기 제3몸체(5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각각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3사이드연결체(513')를 포함하는 제1-3복합구조체(510')를 포함하는,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821A KR102504501B1 (ko) | 2022-09-13 | 2022-09-13 |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821A KR102504501B1 (ko) | 2022-09-13 | 2022-09-13 |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4501B1 true KR102504501B1 (ko) | 2023-03-02 |
Family
ID=8550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4821A KR102504501B1 (ko) | 2022-09-13 | 2022-09-13 |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450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071928A (zh) * | 2023-08-24 | 2023-11-17 | 国网山东省电力公司建设公司 | 一种用于电力塔施工的地面防护装置 |
KR102702082B1 (ko) * | 2023-07-04 | 2024-09-04 |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 사고예방 시스템 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0154A (ko) * | 2016-11-04 | 2018-05-14 | 한국전력공사 |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
KR102298156B1 (ko) * | 2021-02-01 | 2021-09-07 | (주)대주기술 |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확인시스템 |
KR102362558B1 (ko) * | 2021-11-11 | 2022-02-16 | (주)광명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 감지 시스템 제공방법 |
-
2022
- 2022-09-13 KR KR1020220114821A patent/KR102504501B1/ko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0154A (ko) * | 2016-11-04 | 2018-05-14 | 한국전력공사 |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
KR102298156B1 (ko) * | 2021-02-01 | 2021-09-07 | (주)대주기술 | 지중 배전선로 고장구간 확인시스템 |
KR102362558B1 (ko) * | 2021-11-11 | 2022-02-16 | (주)광명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 감지 시스템 제공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2082B1 (ko) * | 2023-07-04 | 2024-09-04 |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 사고예방 시스템 제공방법 |
CN117071928A (zh) * | 2023-08-24 | 2023-11-17 | 国网山东省电力公司建设公司 | 一种用于电力塔施工的地面防护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4501B1 (ko) | 송전철탑의 낙하물 보호설비 시스템 | |
US10329781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 |
US9528285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 |
KR102385170B1 (ko) |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 |
US20100126801A1 (en) | Fall arrest apparatus | |
CN101834416B (zh) | 带电修补输电线路断股架空地线的设备及施工方法 | |
US20150284968A1 (en) |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 |
JPS63503234A (ja) | モジュール型足場装置とその接続ジョイント | |
US20130048933A1 (en) | Livestock fence system | |
CN112431399A (zh) | 一种建筑外墙用吊篮及其安装方法 | |
CN108996421B (zh) | 一种成品家具吊装机及成品家具的吊装方法 | |
DE102017128143B3 (de) | Wartungsplattform zur Wartung von Einbauten in einem Turm für eine Windenergieanlage und Anordnung einer Wartungsplattform | |
CN105275251A (zh) | 一种铁路既有线接触网硬横梁架设方法 | |
CN117128039A (zh) | 顶部固定件安装设备和中隔墙安装系统 | |
CN212388956U (zh) | 建筑物倾斜结构柱施工用悬吊作业平台 | |
KR20160114885A (ko) | 송전선로용 가이드 링 로프 장치 | |
JP2008031667A (ja) | 朝顔装置 | |
CA2644824A1 (en) | Fall arrest apparatus | |
CN214412061U (zh) | 安全带挂接器和安全带挂接系统 | |
CN211900003U (zh) | 一种油田地面工程建设用临时隔离装置 | |
CN117166812B (zh) | 塔吊受限时建筑幕墙改造防护结构施工方法 | |
CN113700281B (zh) | 用于烟囱外壁涂装的电动吊篮无配重装置及安装方法 | |
CN211572829U (zh) | 新型索桥跨越杆 | |
CN211470594U (zh) | 塔吊防坠落防攀爬装置 | |
RU2602156C2 (ru) | Секционный транспортер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через пространства с препятствиями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