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196B1 - 피부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196B1
KR102504196B1 KR1020160040260A KR20160040260A KR102504196B1 KR 102504196 B1 KR102504196 B1 KR 102504196B1 KR 1020160040260 A KR1020160040260 A KR 1020160040260A KR 20160040260 A KR20160040260 A KR 20160040260A KR 102504196 B1 KR102504196 B1 KR 102504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kin cleanser
cleanser composition
weight
glyce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571A (ko
Inventor
이지영
김현영
오영인
전현욱
이인호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7006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05Synthetic so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a)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액상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며, (b) 상기 액상 비누는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을 포함하고, (c)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 및 (d)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여 저온에서도 내용물의 성상이 투명하게 유지되어 안정성이 향상되며 점도 상승 효과가 우수하여 적절한 점도를 가진다.

Description

피부 세정제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cleansing}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투명한 제형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음이온성, 양쪽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디워시, 폼클렌져, 샴푸 등과 같은 각종 클렌징 조성물에 피부나 모발에 부착한 먼지나 오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두피, 안면, 몸 등 피부의 피지를 제거하는 클렌징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또한, 비교적 많은 양의 기포와 기포 안정성을 위해 충분한 계면활성제의 배합 및 수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인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합성 계면활성제는 피부와 눈을 자극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피부와 환경에 안전한 천연 성분에 대한 관심 증가로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고, 천연 성분으로 만들어 피부에 순한 제품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최근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하여 만든 천연 미용 비누와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만든 천연 액상 미용 비누를 함유한 제품이 속속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천연 액상 제품은 투명한 성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이러한 천연 액상 미용 비누를 함유한 제품은 저온에서 동결되기 쉽고, 저온 저장 시 석출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천연 성분으로 만들어 점도가 낮아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고, 천연 성분으로 점도를 올리려면 투명한 성상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6188호는 식물성 오일 및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함은 물론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이 함유된 미용 액상 비누가 천연 물질로만 제조되어 피부에 자극이 없고, 보습 및 피부 노화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생분해가 빨라 환경 오염에 대한 염려가 적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천연 미용 액상 비누는 피부에 자극이 적고 보습력은 우수하나, 유효 성분의 안정성을 위해 콜로이드 분산 유제를 함유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투명한 제형이 아니며, pH를 5.5로 조정하는 단계를 가져 저온에서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6188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액상 비누의 저온에서의 안정성을 개선하여 석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투명 제형으로서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상 적절한 점도를 갖고 있어 사용 편리성을 개선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액상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며, (b) 상기 액상 비누는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을 포함하고, (c)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 및 (d)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액상 비누 중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을 포함하고,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 및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저온에서도 내용물의 성상이 투명하게 유지되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사실과 점도 상승 효과가 우수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액상 비누"란,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액체상의 비누를 의미하며, 이는 식물성 오일과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액상 비누를 만드는 필수 구성 성분으로 포함되는 상기 식물성 오일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로부터 추출된 오일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a)의 식물성 오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코넛 오일, 팜 오일, 팜 커넬 오일,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녹차씨 오일, 동백 오일, 미강 오일, 호호바 오일, 피마자 오일, 스윗 아몬드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아르간 오일, 아보카도 오일, 캐놀라 오일, 포도씨 오일, 피넛 오일, 모링가 오일, 콘 오일, 카야 오일, 퍼릴라 오일, 퍼식 오일, 유채꽃 오일, 헤이즐넛 오일, 아몬드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참깨씨 오일, 콩 오일, 호두 오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은 단독 또는 2 이상의 식물성 오일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화 반응에 적합한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또는 이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액상 비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액상 비누의 함량을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저온에서도 투명한 성상을 나타내는 것과, 사용하기에 적절한 점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액상 비누의 함량이 피부 세정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 후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은,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액상 비누를 의미하며,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과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중화 반응에 적합한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또는 이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은 이중 결합, 삼중 결합을 가지는 지방산인 올레익애씨드(C18-1), 리놀레익애씨드(C18-2) 등이 식물성 오일 총 중량 대비 70 중량% 이상 함유된 오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녹차씨 오일, 동백오일, 미강 오일, 호호바 오일, 피마자 오일, 스윗 아몬드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아르간 오일, 아보카도 오일, 캐놀라 오일, 포도씨 오일, 피넛 오일, 모링가 오일, 콘 오일, 카야 오일, 퍼릴라 오일, 퍼식 오일, 유채꽃 오일, 헤이즐넛 오일, 아몬드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참깨씨 오일, 콩 오일, 호두 오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은 단독 또는 2 이상의 식물성 오일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식물성 오일의 일 예의 조성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식물성오일 C12 C14 C16 C18 C18-1 C18-2
코코넛오일 45 15 10 5 10 -
팜커넬오일 48 14 8 3 15 2
팜오일 - - 45 5 40 10
올리브오일 - - 13 1.5 70 15
아르간오일 - - 12 6 43 37
포도씨오일 - - 7 4 16 70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은 상기 (a)의 액상 비누 총 중량 대비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상기 함량 포함하여 제조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 저온에서도 투명한 성상을 나타내며, 사용하기에 적당한 점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의 함량이 상기 액상 비누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저온 안정성 개선 및 점도 상승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5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포력이 저하되거나 경시에 산패되어 내용물의 향취가 크게 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는 글리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반응으로 만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 통상적인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글리세릴라우레이트, 글리세릴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팔미테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코코에이트, 글리세릴올리에리트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c)의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점도 향상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는 글루코스와 지방알코올의 축합반응으로 만든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통상적인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카프릴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릭글루코사이드, 데실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팜커넬/코코-글루코사이드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d)의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를 상기의 함량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 저온에서도 투명한 성상을 나타내며, 사용하기에 적당한 점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저온 투명성 개선 및 점도 향상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액상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석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형화하는 것이 시각적 심미감 및 제형적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즉, 제형 내에서 조성물 내에 포함된 물질이 석출되지 않도록 제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고온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도 다른 물질이 석출되지 않고 투명한 성상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온은 20℃ 이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 0℃에서도 투명한 성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저온에서 장시간 보관하여도 투명한 제형을 유지하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0℃에서 1주일간 보관하여도 투명한 제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점도가 너무 낮아 묽은 경우에는 사용시 흐름성이 강하여 손실량이 많아 사용상 및 경제상 불편함이 있고,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사용감이 좋지 않고 거품이 빨리 나지 않아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서 우수한 점도를 갖고 있어, 사용 편리성이 개선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12 rpm 으로 60초 동안 스핀들(Spindle) 3,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시료의 점도를 측정하여 측정한 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10 이상의 점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p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ps의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점도를 갖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사용시 편리성을 갖는 것을 실험적으로 우수한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제 조성물로서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정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보습제, 색소,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방부제, pH 조절제, 향료 및 염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액상, 유액상, 크림상, 젤 상 등의 다양한 제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 형태로서 예를 들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피 세정제, 세안제, 바디워시, 핸드워시, 샴푸, 폼클렌져, 액체 세정료 또는 입욕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매에 (i)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액상 비누, (ii)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 및 (iii)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상 비누는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첨가되는 성분의 함량은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설명에 기재된 함량과 동일한 함량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저온에서도 내용물의 성상이 투명하게 유지되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사실과 점도 상승 효과가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9, a 내지 h 및 비교예 1 내지 9
하기 표 2 및 표 3의 각 조성(단위: 중량%)에 따라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 및 3에 기재된 실시예의 조성물을 플라스틱 용기에 실온(25℃)과 저온 0℃에 1주일간 보관한 후, 각 온도에서 시료의 성상을 확인하고 실온으로 유지하여 점도 결과를 얻었다. 점도는 25℃에서 12 rpm 으로 60초 동안 스핀들(Spindle) 3,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시료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코코넛 오일을 비누화한 액상 비누를 포함하는 총 액상 비누의 함량: (a) 15 15 15 15 15 15 15 10 20
(a) 중에 포함된 올리브오일 칼륨 비누의 함량: (b) (3) (-) (4.5) (3) (3) (3) (3) (2) (4)
(a) 중에 포함된 아르간오일 칼륨 비누의 함량: (b) (-) (3) (-) (-) (-) (-) (-) (-) (-)
글리세릴올리에이트: (c) 1 1 1 0.5 2 1 1 1 1
코코-글루코사이드: (d) 5 5 5 5 5 3 6 5 5
방부제 0.5 0.5 0.5 0.5 0.5 0.5 0.5 0.5 5
1 1 1 1 1 1 1 1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a) 중 (b) 함량 20% 20% 30% 20% 20% 20% 20% 20% 20%
성 분 비교
예 1
실시예 a 실시예 b 실시예 c 실시예 d 실시예 e 실시예 f 실시예 g 실시예 h
코코넛 오일을 비누화한 액상 비누를 포함하는 총 액상 비누의 함량: (a) 15 15 15 15 15 15 15 5 30
(a) 중에 포함된 올리브오일 칼륨 비누의 함량: (b) (-) (-) (7.5) (3) (3) (3) (3) (1) (6)
글리세릴올리에이트 - 1 1 0.01 5 1 1 1 1
코코-글루코사이드 - 5 5 5  5 1 12 5 5
방부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1 1 1 1 1 1 1 1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a)중 (b) 함량 0% 0% 50% 20% 20% 20% 20% 20% 20%
실험예
(1) 저온 투명도 평가
상기 표 2 및 표 3의 각 조성(단위: 중량%)에 따라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저온 0℃에 1주일간 보관한 후 각 온도에서 시료의 성상을 확인하였다.
◎ : 저온 상태에서 완전 투명
○ : 저온 상태에서 미세 현탁
△ : 저온 상태에서 반투명
X  : 저온 상태에서 완전 불투명
(2) 점도 평가
상기 표 2 및 표 3의 각 조성(단위: 중량%)에 따라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플라스틱 용기에서 정상(실온)에서 점도 결과를 얻었다. 점도는 25℃에서 12 rpm으로 60초 동안 스핀들(Spindle) 3,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시료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 : 10 ~ 30 ps (사용하기에 적당)
○ : 30 ~ 50 ps (사용하기에 다소 점도가 높음)
△ : 50 ps 초과 (사용하기에 점도 높음)
X  : 10 ps 미만 (사용하기에 점도 묽음)
(3) 결과
상기 (1) - (2) 의 실험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기재하였다.
평가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저온상태투명도
점도 (사용성) 21 17 28 12 35 26 41 28 38
평가 항목 비교예
1
실시예
a
실시예
b
실시예
c
실시예
d
실시예
e
실시예
f
실시예
g
실시예
h
저온상태투명도 X X
점도 (사용성) 1 7 35 6 52 9 56 2 54
상기 표 4 및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실시예 1 내지 9)은 저온(0℃)에서도 내용물의 성상이 투명하게 유지되며, 점도 상승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a)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액상 비누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이며, (b) 상기 액상 비누는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을 포함하고, (c)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 및 (d)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b)의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을 비누화한 세정 성분을 상기 (a)의 액상 비누 총 중량 대비 10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a)의 액상 비누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c)의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d)의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비누는 식물성 오일과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식물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팜 오일, 팜 커넬 오일,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녹차씨 오일, 동백 오일, 미강 오일, 호호바 오일, 피마자 오일, 스윗 아몬드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아르간 오일, 아보카도 오일, 캐놀라 오일, 포도씨 오일, 피넛 오일, 모링가 오일, 콘 오일, 카야 오일, 퍼릴라 오일, 퍼식 오일, 유채꽃 오일, 헤이즐넛 오일, 아몬드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참깨씨 오일, 콩 오일, 호두 오일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불포화지방산이 70 중량% 이상 함유된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녹차씨 오일, 동백 오일, 미강 오일, 호호바 오일, 피마자 오일, 스윗 아몬드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아르간 오일, 아보카도 오일, 캐놀라 오일, 포도씨 오일, 피넛 오일, 모링가 오일, 콘 오일, 카야 오일, 퍼릴라 오일, 퍼식 오일, 유채꽃 오일, 헤이즐넛 오일, 아몬드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참깨씨 오일, 콩 오일, 호두 오일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릴지방산에스테르는 글리세릴라우레이트, 글리세릴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팔미테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코코에이트, 글리세릴올리에리트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는 카프릴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릭글루코사이드, 데실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미리스틸글루코사이드,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코코-글루코사이드, 팜커넬/코코-글루코사이드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1.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점도가 10 내지 30 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0160040260A 2015-11-26 2016-04-01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504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45 2015-11-26
KR20150166645 2015-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571A KR20170061571A (ko) 2017-06-05
KR102504196B1 true KR102504196B1 (ko) 2023-02-28

Family

ID=5922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260A KR102504196B1 (ko) 2015-11-26 2016-04-01 피부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0900B (zh) * 2019-11-27 2021-03-23 中国热带农业科学院海口实验站 一种山茶油磨砂洁面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234B1 (ko) * 2014-07-22 2015-09-21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1542A4 (en) * 2012-04-23 2015-11-25 Basf Se PUNCH-FREE CLEANER FOR BABIES
KR101533331B1 (ko) 2013-12-06 2015-07-03 구동회 천연 미용액상비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234B1 (ko) * 2014-07-22 2015-09-21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세정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571A (ko)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H0778010B2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102083282B1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2336A (ko)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KR101629502B1 (ko) 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CN114144162A (zh) 不含硫酸盐的浓缩的流变流化发泡组合物及其用途
JP2007518678A (ja) 高度不けん化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CN109106621A (zh) 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737028A (zh) 一种温和的三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102504196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2010235514A (ja) 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2023008894A (ja) アミノ酸系界面活性剤を含むクレンジングフォーム化粧料組成物
JP5427970B1 (ja) 水性拭き取り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20090131575A (ko) 겔 또는 밤 타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US10751270B2 (en) Gel base in the form of a translucent gel without triethanolamine
CA2880756C (en) Natural personal care cream to powder compositions
KR101109647B1 (ko) 거품과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비누 조성물
JP2013139411A (ja) 透明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946416B2 (ja) 皮膚洗浄用化粧料
JP2008179584A (ja) 透明状皮膚洗浄剤組成物
KR101977287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JP7176912B2 (ja) 化粧料用組成物とそれを使用した化粧料
KR102376366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99171B (zh) 油性清洗用品
KR101573574B1 (ko) 필름 형성제를 함유하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