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120B1 -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 Google Patents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120B1
KR102504120B1 KR1020220112785A KR20220112785A KR102504120B1 KR 102504120 B1 KR102504120 B1 KR 102504120B1 KR 1020220112785 A KR1020220112785 A KR 1020220112785A KR 20220112785 A KR20220112785 A KR 20220112785A KR 102504120 B1 KR102504120 B1 KR 10250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amp
light
sterilization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파워
Priority to KR102022011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선에 의해 어둠을 조명함과 동시에 자외선과 적외선에 의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은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조명프레임, 상기 조명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해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메인조명램프, 상기 조명프레임에서 상기 도광판을 통해 빛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에 의해 살균하는 적외선램프, 상기 조명프레임에서 상기 도광판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빛의 파장에 의해 살균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적외선 또는 자외선으로부터 출입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조명프레임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적외선램프 또는 상기 자외선램프를 소등하는 출입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적외선램프와 자외선램프에 의해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LED lighting with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가시광선에 의해 어둠을 조명함과 동시에 자외선과 적외선에 의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둠을 밝히기 위해 조명을 설치하는 데, 근래에는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증가되면서, 빛을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는 조명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39200호(2022.9.2.공고)의 "살균일체형조명시스템"으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살균일체형조명시스템은 405nm의 광원을 출력하는 제1 LED들과 450nm의 광원을 출력하는 제2 LED들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가 배치된 영역의 복수 의 엣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405nm의 광원을 출력하는 제3 LED들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1 LED들, 상기 제2 LED들 및 상기 제3 LED들 간의 온(On)/오프(Off) 및 조명 비율을 결정하여 유해 세균의 살균과 조명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부 상에는 확산판이 제공되고, 상기 확산판의 복수의 엣지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반사판이 제공되고, 상기 제3 LED들은 상기 반사판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LED가 출력하는 405nm 광원은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살균일체형조명시스템은 405nm 광원인 제3 LED들을 제1 발광부의 엣지에 배치시키고, 제3 LED들에 의해 출력되는 광원은 반사판을 통해 반사되어 실내에 조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살균일체형조명시스템은 자외선 영역에 근접한 빛만을 조사하기 때문에 자외선에 취약한 바이러스 또는 세균만을 살균하여 살균효과가 하락될 뿐만 아니라, 실내의 정체된 공기에 대류를 발생시키지 못해 빛이 제공되는 부분에만 살균되어 살균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살균일체형조명시스템은 실내에 출입자가 진입하더라도 자외선영역의 빛이 출입자에게 조사되면서, 출입자의 피부손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가 혼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살균을 집중하기 위한 부분을 선택하기 어렵고, 실내외의 조도차가 크거나 어두운 밤에도 밝은 조명의 빛이 조사되면서 출입자의 시력이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외선램프에서 적외선을 조사하고 자외선램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에 취약한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외선에 취약한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살균하여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적외선과 자외선의 온도차이로 인해 대류를 발생하여 실내의 정체된 공기를 순환시키며 살균하기 때문에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출입감지센서에 의해 실내로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자외선램프 및 적외선램프를 소등하여 자외선과 적외선에 의해 출입자의 신체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명프레임에서 조명설치부와 살균설치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살균을 집중하기 위한 위치에 살균설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설치부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은 마감커버가 설치되어 미감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마감커버에 간접조명램프가 설치되어 메인조명램프를 점등하기 전에 점등하거나, 메인조명램프 대신 간접조명램프를 설치하여 조도차에 따른 시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은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조명프레임, 상기 조명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해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메인조명램프, 상기 조명프레임에서 상기 도광판을 통해 빛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에 의해 살균하는 적외선램프, 상기 조명프레임에서 상기 도광판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빛의 파장에 의해 살균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적외선 또는 자외선으로부터 출입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조명프레임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적외선램프 또는 상기 자외선램프를 소등하는 출입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는 온도차에 의해 주변 공기에 대류 현상이 발생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거나, 높이차를 두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출입감지센서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적외선램프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배치되는 형태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램프의 적외선 LED소자와 상기 자외선램프의 자외선 LED소자를 하나의 PCB 또는 각 PCB에서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도록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높이차를 가지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감지센서는 상기 조명프레임에 상기 출입감지센서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센서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를 통해 상기 메인조명램프가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도광판과 상기 메인조명램프를 설치하는 측면이 개방된 조명설치홈이 형성된 조명설치부, 및 상기 조명설치부와 구획되어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가 하부로 빛을 조사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살균설치홈이 형성된 살균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설치부와 상기 살균설치부는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 중 원하는 테두리의 위치에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를 설치하도록 상기 조명설치부에서 상기 살균설치부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탈착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프레임은 상기 살균설치부가 미설치되는 상기 조명설치부에 상기 살균설치부가 설치되는 부분을 마감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커버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둘레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간접조명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램프와 적외선램프 및 가시광선램프가 함께 구성되어 가시광선램프에 의해 어둠을 밝힐 수 있으며,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 적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에 의해 살균을 수행함으로써, 자외선과 적외선에 취약한 바이러스 및 세균을 모두 살균하여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출입감지센서에 의해 실내로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자외선램프와 적외선램프를 소등함으로써, 출입자에게 자외선과 적외선이 조사되어 신체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램프와 자외선램프가 서로 높이차를 두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상호 간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을 발생하여 정체된 실내공기를 순환시켜가며 살균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프레임의 조명설치부와 살균설치부가 탈착결합부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살균을 집중하기 위한 위치에 살균설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설치부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는 마감커버를 설치하여 인테리어적인 미감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감커버에 간접조명램프가 설치되어 메인조명램프가 점등하기 이전에 간접조명램프를 점등하거나, 메인조명램프 대신 간접조명램프를 점등하여 갑작스런 조도차이로 인한 눈부심 등에 의한 시력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써, 조명프레임에 가시광선램프 및, 자외선램프 또는 적외선램프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써, 코너연결부재와 조명프레임의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써, 조명프레임에 가시광선램프 및 적외선램프 또는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는 도 1의 B-B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써, 조명프레임에 출입감지센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의 정단면도로써, (a)는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적외선램프와 자외선램프의 높이차를 두고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적외선 LED소자와 자외선 LED소자를 PCB에 높이차를 두고 실장한 상태를 나타내고, (c)는 하나의 PCB에 서로 다른 높이로 적외선 LED소자와 자외선 LED소자가 실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써, 코너연결부재가 위치한 부분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의 측단면도로써, 조명설치부와 살균설치부를 탈착결합부에 의해 결합한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의 측단면도로써, 조명설치부에 마감커버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도면으로써, (a)는 원형의 조명등 형태를 나타내고, (b)는 주차장용 일자조명의 형태를 나타내며, (c)는 경관라인조명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도광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도광판(110)은 하기에 설명할 메인조명램프(130)에서 조사되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확산시켜 어둠을 밝힐 수 있다.
도광판(110)은 다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광판(110)은 측면으로 유입된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고 도광판(110)의 일면으로 확산된 빛이 조사되되록 빛의 방향을 변경하는 도광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광판(110)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하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조명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조명프레임(120)은 도광판(110)과 하기에 설명할 메인조명램프(130), 자외선램프(140), 및 적외선램프(150)가 설치될 수 있다.
조명프레임(120)은 도광판(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도광판(110)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조명프레임(120)은 도광판(110)이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와 같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도광판(110)의 일직선의 각 테두리마다 조명프레임(120)이 위치하고 각 변에 위치하는 조명프레임(120)은 코너연결부재(16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도광판(110)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코너연결부재(160)는 서로 인접한 조명프레임(120)이 양측에 각각 끼워지는 연결돌출부(16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프레임(120)에는 연결돌출부(161)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돌출부끼움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고 코너연결부재(160)에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을 천정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163)이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각 코너연결부재(160)에 형성된 볼트공(163)을 통해 고정볼트가 관통하여 천정에 체결되는 형태로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조명프레임(120)은 압출 또는 인발에 의해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도광판(110)의 테두리의 크기대로 절단하거나, 휘어 사용할 수 있다.
조명프레임(120)은 메인조명램프(130), 자외선램프(140), 적외선램프(150)를 방열하도록 방열성이 높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공의 용이성 또는 재료의 비용에 따라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명프레임(120)은 도광판(110)과 메인조명램프(130)가 설치되는 조명설치부(121)와 하기에 살균을 담당하는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가 설치되는 살균설치부(125)로 구분될 수 있다.
조명설치부(121)는 조명프레임(120)에서 도광판(110)이 위치하는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조명설치부(121)에는 도광판(110)의 테두리가 측면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조명설치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설치홈(122)의 내측에는 메인조명램프(130)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램프설치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설치홈(122)과 램프설치홈(123)은 조명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램프설치홈(123)에는 조명설치홈(122)으로 삽입된 도광판(110)의 테두리로 빛을 조사하여 메인조명램프(130)의 빛이 도광판(110)의 테두리를 향해 측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램프설치홈(123)에서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조명설치홈(122)에서 램프설치홈(123)은 조명지지돌기(123a)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램프설치홈(123)으로 삽입된 메인조명램프(130)가 조명지지돌기(123a)에 의해 지지되며, 조명설치홈(122)으로 삽입되는 도광판(110)이 메인조명램프(1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살균설치부(125)는 조명프레임(120)에서 조명설치부(121)에 대해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살균설치부(125)에는 자외선램프(140) 또는 적외선램프(150)가 조명프레임(120)의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살균설치홈(126)이 하부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부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을 천정에 설치하였을 때의 바닥과 마주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조명프레임(120)의 상부는 LED 조명등(100)을 천정에 설치하였을 때, 천정과 마주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조명프레임(120)의 내측은 조명프레임(120)에서 도광판(110)이 위치하는 부분이고 조명프레임(120)의 외측은 도광판(110)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해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살균설치홈(126)은 조명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살균설치홈(126)에는 살균설치홈(126)에 설치되는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가 걸쳐 지지되는 살균지지돌기(126a)가 살균설치홈(126)의 양측에서 도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살균설치홈(126)에 형성되는 살균지지돌기(126a)는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가 서로 다른 높이(d)에 위치하도록 살균설치홈(126)의 양측에 위치하는 살균지지돌기(126a)가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살균설치홈(126)에는 살균설치홈(126)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살균커버(12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살균설치홈(126)에는 살균커버(127)가 살균설치홈(126)에서 하부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26b)가 양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살균커버(127)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살균커버(127)는 살균설치홈(126)으로 삽입되고, 살균커버(127)에는 살균설치홈(126)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26b)의 상부에 걸쳐지는 커버돌기(127a)가 살균커버(127)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돌기(126b)는 살균설치홈(126)에서 가장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메인조명램프(130), 자외선램프(140), 및 적외선램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조명램프(130)는 가시광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어둠을 조명할 수 있다.
메인조명램프(130)는 조명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PCB에 가시광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가시광선 LED소자가 실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메인조명램프(130)는 조명프레임(120)의 조명설치홈(122)에 삽입되어 조명설치홈(122)으로 삽입되는 도광판(110)의 테두리를 통해 가시광선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메인조명램프(130)는 도광판(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도광판(110)의 둘레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프레임(120) 중 어느 한 테두리에 위치하는 조명프레임(120)에만 메인조명램프(130)를 설치하였다.
메인조명램프(130)는 조명프레임(12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광판(110)의 테두리 중 어느 한 테두리에 전체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메인조명램프(130)에서 조사되는 가시광선의 파장은 400nm 이상 700nm 이하의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30nm의 파장일 수 있다.
자외선램프(140)는 자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의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램프(1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빛의 파장은 400nm 미만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무해한 가시광선에 근접한 405nm의 파장이 적용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140)는 조명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PCB에 자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자외선 LED소자(141)가 실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자외선램프(140)는 도광판(110)의 테두리 중 어느 한 테두리에 위치하는 조명프레임(120)의 살균설치홈(126)에 삽입되어 하방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140)는 메인조명램프(130)가 위치하는 동일한 조명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적외선램프(150)는 적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여 적외선의 열에 의해 공기 중의 바이러스 또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으며, 적외선램프(150)는 적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난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적외선램프(150)는 조명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PCB에 적외선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적외선 LED소자(151)가 실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적외선램프(150)는 도광판(110)의 테두리 중 어느 한 테두리에 위치하는 조명프레임(120)의 살균설치홈(126)에 삽입되어 하방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적외선램프(150)에서 조사하는 적외선 빛의 파장은 600nm를 초과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15nm 내지 850nm의 파장의 빛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적외선램프(150)는 자외선램프(140)와 동일한 조명프레임(120)의 조명설치홈(122)에 나란하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광판(110)의 둘레에 배치되는 조명프레임(120) 중 서로 다른 테두리에 위치하는 조명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하나의 PCB에 자외선 LED소자(141)과 적외선 LED소자(151)이 서로 이격된 형태로 실장될 수도 있다.
적외선램프(150), 자외선램프(140), 메인조명램프(13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경하는 전원공급장치(SMPS)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는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의 온도차에 따라 실내의 열적 대류현상이 발생하도록 조명프레임(120)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d)로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는, 일례로 실시예와 같이, 출입감지센서(170)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자외선램프(140)가 위치하고, 타측에는 적외선램프(150)가 위치하는 형태로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거나, 다른 일례로 도광판(1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조명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는 자외선램프(140)가 설치되고, 자외선램프(140)가 설치된 조명프레임(120)과 인접하거나, 또는 자외선램프(140)가 설치된 조명프레임(120)과 마주하는 조명프레임(120)에 적외선램프(150)가 설치되는 형태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가 서로 다른 높이(d)로 설치되는 경우의 일례로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 중 어느 하나에 높이조절부재(190)를 설치하여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의 높이(d)를 서로 다르게 하거나, 살균설치홈(126)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살균지지돌기(126a)에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가 서로 다른 위치의 살균지지돌기(126a)에 지지되도록 끼워질 수 있다.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가 서로 다른 높이(d)로 설치되는 경우의 다른 일례로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램프(150)의 적외선 LED소자(151)와 자외선램프(140)의 자외선 LED소자(141)의 리드선의 길이를 서로 달리하여 각 PCB에서 실장되는 높이(d)를 서로 다르게 실장하는 형태로 서로 다른 높이(d)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LED소자(151)과 자외선 LED소자(141)가 하나의 PCB에 서로 다른 높이(d)로 실장되는 형태로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이 서로 다른 높이(d)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외 하나의 PCB에 적외선 LED소자(151)과 자외선 LED소자(141)이 서로 다른 높이(d)로 일렬로 배치되거나, 격자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적외선 LED소자(151)의 높이보다 자외선 LED소자(141)의 높이가 PCB에서 더 높은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자외선 LED소자(141)의 높이가 적외선 LED소자(151)의 높이보다 PCB에서 더 높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자외선램프(14)와 적외선램프(150)을 서로 다른 높이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 적외선램프(150)는 상대적으로 자외선램프(140)보다 높은 온도의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적외선램프(150)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자외선램프(140)로 이동하면서, 밀폐된 실내의 정체된 공기를 열에 의해 대류시켜 실내 공기를 전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도 1,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출입감지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감지센서(170)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을 설치한 위치로 출입자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다.
출입감지센서(170)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에서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가 점등된 상태에서 출입자가 진입함으로써, 적외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출입자가 노출되어 피부의 손상 등의 외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출입감지센서(170)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경우,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를 소등하고,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를 점등할 수 있다.
출입감지센서(170)는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카메라 또는 온도, 압력, 방사선 등의 세기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또는 특정주파수의 전파의 반사파를 감지하는 형태의 RF센서일 수 있다.
출입감지센서(170)는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를 소등하면서, 메인조명램프(130)를 점등할 수도 있으며, 출입감지센서(170)에서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메인조명램프(130)는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를 점등하고, 메인조명램프(130)는 소등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감지센서(170)에 의해 메인조명램프(130)를 점등할 때에는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의 조도, 또는 일몰 또는 일출의 시간에 따라 점등하도록 조도센서 또는 타이머 등과 같은 추가적인 점등조건감지수단에 의해 점등할 수 있다.
물론, 메인조명램프(130)를 소등 시에도 작업자가 실내에 위치한 상태에서라도 미리 설정된 점등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점등조건감지수단에 의해 메인조명램프(130)를 소등할 수도 있다.
점등조건감지수단(미도시)은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일 경우, 적외선에 의해 실내를 가열하기 위해 메인조명램프(130)의 점등 시에 적외선램프(150)를 점등하거나, 실내에 출입자가 위치하지 않더라도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적외선램프(150)는 자외선램프(140)와는 별도로 온도센서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도 있다.
출입감지센서(170)는 출입감지센서(170)를 조명프레임(120)에 결합하기 위한 센서결합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결합부재(171)는 조명프레임(120)의 살균설치홈(126)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명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결합부재(171)의 양측에는 살균설치홈(126)에 형성된 살균지지돌기(126a)에 걸쳐지는 센서결합돌기(173)가 돌출 형성되어 살균지지돌기(126a)에 센서결합돌기(173)가 걸쳐지는 형태로 조명프레임(120)에 출입감지센서(170)가 설치될 수 있다.
출입감지센서(170)는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센서결합부재(171)에 의해 조명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출입감지센서(170)는 조명프레임(120)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도광판(110)의 일직선형태의 테두리마다 조명프레임(120)이 배치되고 각 조명프레임(120)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코너연결부재(160)가 배치되어 코너연결부재(160)의 양측에 돌출되는 연결돌출부(161)가 각 조명프레임(120)의 돌출부끼움부(128)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도광판(110)의 테두리마다 끼워지는 조명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조명프레임(120)의 조명설치홈(122)에는 메인조명램프(13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조명설치홈(122)에는 도광판(110)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끼워지며, 조명설치부(121)의 외측에 위치하는 살균설치부(125)의 살균설치홈(126)에는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의 사이에는 출입감지센서(170)가 센서결합부재(171)에 의해 설치된다.
이때,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는 상대적인 온도차이로 인해 열에 의한 대류가 발생하도록 조명프레임(120)에서 서로 다른 위치 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의 하부에는 살균설치홈(126)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살균커버(127)가 설치된다.
그리고,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와 메인조명램프(130)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외선램프(140), 적외선램프(150) 및 메인조명램프(130)가 출입감지센서(170)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거나, 실내의 측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출입감지센서(170)에 의해 실내로 출입자의 진입이 감지되면, 어둠을 조명하기 위해 메인조명램프(130)를 점등하고, 출입자를 자외선 및 적외선에서 보호하도록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는 소등한다.
그리고, 출입감지센서(170)에서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메인조명램프(130)는 소등하고,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는 점등한다.
한편,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가 점등되면,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가 서로 다른 위치 또는 서로 다른 높이 차로 배치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온도 차이로 인해 실내의 정체된 공기가 대류에 의해 순환하면서, 적외선램프(150)에 의해 가열 및 자외선램프(140)의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다.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는 점등조건감지수단이 타이머인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점등된 후 소등될 수 있으며, 점등조건감지수단이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출입감지센서(170)에 의해 출입자가 감지되면,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는 소등하고, 조도센서의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도 이하인 경우에만, 메인조명램프(130)를 점등할 수도 있다.
또한, 점등조건감지수단이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실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램프(150)만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메인조명램프(130)에 의해 어둠을 밝히는 동시에 적외선램프(150)의 적외선과 자외선램프(140)의 자외선에 의해 실내를 살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감지센서(170)에 의해 적외선램프(150) 및 자외선램프(140)가 점등 또는 소등하여 출입자로 하여금 자외선과 적외선의 노출됨에 따른 신체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조명프레임(120)에 특징이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의 조명프레임(120)은 메인조명램프(130)가 설치되는 조명설치부(121)와,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사 설치되는 살균설치부(125)를 분할하고, 조명설치부(121)에 살균설치부(125)를 탈착결합부(12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탈착결합부(124)는 조명설치부(121)와 살균설치부(125) 중 어느 하나에서 끼움돌기(124a)가 돌출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돌기(124a)가 끼워지는 돌기삽입부(124b)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형태로 조명설치부(121)에 살균설치부(125)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끼움돌기(124a)는 조명설치부(121)와 살균설치부(125)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점점 면적이 넓어지는 형태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돌기삽입부(124b)는 끼움돌기(124a)와 대응되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조명설치부(121)에 살균설치부(125)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조명설치부(121)에서 살균설치부(125)를 탈착결합부(124)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도광판(110)의 테두리에서 조명프레임(1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원하는 도광판(110)의 테두리의 위치에 살균설치부(125)를 설치하여 적외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하기 위한 살균위치 예를 들어 실내에서 오염도가 높은 부분 예컨대, 출입자가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책상이 위치하는 부분 또는 습도가 높아 세균과 곰팡이의 증식이 우려되는 부분에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를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살균설치부(125)는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 및 출입감지센서(170)가 함께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도광판(110)의 테두리 중 어느 한 테두리에 위치하는 조명설치부(121)에는 적외선램프(150)만 설치된 살균설치부(125)가 설치되고, 이와 인접하거나,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조명설치부(121)에는 자외선램프(140)만 설치된 살균설치부(125)를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가 각각의 살균설치부(125)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조명설치부(121)에 설치되는 경우, 둘 중의 어느 하나에는 출입감지센서(170)가 설치되어 하나의 출입감지센서(170)에 의해 둘 모두가 함께 작동하도록 결선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마감커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마감커버(180)는 조명설치부(121)에 살균설치부(125)가 미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조명설치부(121)의 탈착결합부(12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할 수 있다.
마감커버(180)는 조명설치부(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조명설치부(121)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탈착결합부(124)가 구성될 수 있으며, 탈착결합부(124)는 조명설치부(121)와 살균설치부(125)의 결합과 마찬 가지로 어느 하나에 끼움돌기(181)가 형성되면, 다른 하나에는 돌기삽입부(124b)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감커버(180)는 조명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탈착결합부(124)를 측면을 덮어 마감하도록 조명설치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감커버(180)는 살균설치부(125)가 미설치되는 조명프레임(12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마감커버(180)는 외면이 빛을 투과하는 투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감커버(180)는 간접적으로 어둠을 조명할 수 있도록 간접조명램프(183)를 포함할 수 있다.
간접조명램프(183)는 마감커버(18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조명램프(130)와 같이 가시광선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간접조명램프(183)는 바닥을 향해 직접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천정을 통해 간접 조명하도록 마감커버(180)의 내부 공간에서 천정을 향해 경사지게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간접조명램프(183)는 살균설치부(125)를 설치한 조명프레임(120)을 제외한 나머지 조명프레임(120)에 마감커버(180)를 설치하여 조명프레임(120)의 둘레에서 가시광선의 빛을 조사하여 조명할 수 있다.
이때, 간접조명램프(183)는 메인조명램프(130)와는 다른 색온도를 갖는 가시광선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조명램프(130)가 6500k의 주광색의 가시광선을 조사한다면, 간접조명램프(183)는 4000~5000k의 주백색 또는 3000k 이하의 전구색의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간접조명램프(183)는 출입감지센서(170)와 함께 점등조건감지수단에 의해 점등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접조명램프(183)는 출입감지센서(170)에서 출입자의 출입을 감지하고 점등조건감지수단이 타이머를 포함하여 타이머에서 측정되는 시간이 야간인 경우, 메인조명램프(130)의 직접조명 대신 간접조명램프(183)를 점등하여 밝기차로 인한 출입자의 시력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점등조건감지수단은 조도센서를 포함하여 조도센서에서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낮은 조도가 측정되는 경우, 출입감지센서(170)에서 출입자를 감지시에 간접조명램프(183)를 점등한 뒤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메인조명램프(130)를 점등하여 실내외의 조도차에 따라 출입자의 시력저하의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조명설치부(121)의 조명설치홈(122)에 메인조명램프(130)가 설치되며, 조명설치홈(122)에는 도광판(110)이 테두리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조명프레임(120)은 조명설치부(121)에서 살균설치부(125)가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110)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조명프레임(120)은 코너연결부재(1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조명프레임(120)에서 집중적으로 살균을 원하는 위치의 조명프레임(120)의 부분에는 살균설치부(125)를 탈착결합부(124)를 통해 조명설치부(121)에 살균설치부(125)를 끼우는 형태로 결합한다.
여기서, 살균설치부(125)에는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가 살균설치홈(126)에 나란하게 설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의 사이에는 출입감지센서(170)가 설치되고,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40)는 열에 의한 대류를 발생하기 위해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갖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설치부(125)가 설치되지 않은 조명설치부(121)에는 마감커버(180)를 탈착결합부(124)를 통해 서로 결합하고, 마감커버(180)에 설치된 간접조명램프(183)를 전원공급장치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출입감지센서(170)에서 출입자가 감지되면,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는 소등하고, 메인조명램프(130)를 점등한다.
이때, 점등조건감지수단이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조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 실내외의 조도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마감커버(180)에 설치되는 간접조명램프(183)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 후 메인조명램프(130)를 점등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야간인 경우, 메인조명램프(130) 대신 간접조명램프(183)만을 점등시킬 수 있다.
반면, 출입감지센서(170)에서 출입자가 미 감지되는 경우, 점등되었던 메인조명램프(130) 또는 간접조명램프(183)를 소등하고, 자외선램프(140)와 적외선램프(150)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점등하여 실내를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100)은 제1 실시예의 효과에 더 해, 조명프레임(120)의 조명설치부(121)에 살균설치부(125)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집중적으로 살균이 필요한 위치에 살균설치부(125)를 설치하여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설치부(121)에 살균설치부(125)가 설치되지 않은 조명프레임(120)에는 마감커버(180)를 설치하여 탈착결합부(124)의 노출로 인한 미감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커버(180)에 간접조명램프(183)가 설치되어 간접조명램프(183)에 의해 간접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야간의 밝기 차이 또는 실내외의 조도차에 의한 출입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사각형의 천정 조명등의 형태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었지만, 다른 일례로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태의 천정 조명등, 또 다른 일례로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일자등의 형태, 또 다른 일례로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관라인조명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에 적용하여 외부를 가시광선램프(130)에 의해 조명하는 동시에 자외선램프(140)과 적외선램프(150)에 의해 살균과 함께 온도차에 따른 대류를 발생하여 살균효과를 항샹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110: 도광판
120: 조명프레임 121: 조명설치부
122: 조명설치홈 123: 램프설치홈
123a: 조명지지돌기 124: 탈착결합부
124a,181: 끼움돌기 124b: 돌기삽입부
125: 살균설치부 126: 살균설치홈
126a: 살균지지돌기 126b: 이탈방지돌기
127: 살균커버 127a: 커버돌기
128: 돌출부끼움부 130: 메인조명램프
140: 자외선램프 141: 자외선 LED소자
150: 적외선램프 151: 적외선 LED소자
160: 코너연결부재 161: 연결돌출부
163: 볼트공 170: 출입감지센서
171: 센서결합부재 173: 센서결합돌기
180: 마감커버 183: 간접조명램프
190: 높이조절부재

Claims (10)

  1.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는 조명프레임,
    상기 조명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을 통해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메인조명램프,
    상기 조명프레임에서 상기 도광판을 통해 빛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에 의해 살균하는 적외선램프,
    상기 조명프레임에서 상기 도광판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빛의 파장에 의해 살균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적외선 또는 자외선으로부터 출입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조명프레임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적외선램프 또는 상기 자외선램프를 소등하는 출입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는
    온도차에 의해 주변 공기에 대류 현상이 발생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거나, 높이차를 두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출입감지센서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상기 적외선램프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배치되는 형태로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적외선램프의 적외선 LED소자와 상기 자외선램프의 자외선 LED소자를 하나의 PCB 또는 각 PCB에서 서로 다른 높이차를 가지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높이차를 가지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감지센서는
    상기 조명프레임에 상기 출입감지센서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센서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를 통해 상기 메인조명램프가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도광판과 상기 메인조명램프를 설치하는 측면이 개방된 조명설치홈이 형성된 조명설치부, 및
    상기 조명설치부와 구획되어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가 하부로 빛을 조사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살균설치홈이 형성된 살균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설치부와 상기 살균설치부는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 중 원하는 테두리의 위치에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자외선램프를 설치하도록 상기 조명설치부에서 상기 살균설치부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는 탈착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프레임은
    상기 살균설치부가 미설치되는 상기 조명설치부에 상기 살균설치부가 설치되는 부분을 마감하는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는
    상기 조명프레임의 둘레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간접조명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KR1020220112785A 2022-09-06 2022-09-06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KR102504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785A KR102504120B1 (ko) 2022-09-06 2022-09-06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785A KR102504120B1 (ko) 2022-09-06 2022-09-06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120B1 true KR102504120B1 (ko) 2023-02-27

Family

ID=8532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785A KR102504120B1 (ko) 2022-09-06 2022-09-06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13B1 (ko) * 2023-06-29 2024-01-18 성풍솔레드(주) 햇빛등이 구비된 실내 등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763A (ko) * 2004-02-11 2005-08-18 양원동 고휘도 엘이디를 이용한 테이블등
KR20140039532A (ko) * 2012-09-24 2014-04-02 유관진 복합램프기구
KR20170058571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케이스
KR102203674B1 (ko) * 2020-07-22 2021-01-18 주식회사 커니스 면조명 살균장치
KR102302403B1 (ko) * 2020-12-04 2021-09-17 주식회사 엘파워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장치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102341303B1 (ko) * 2021-04-29 2021-12-23 주식회사 글로우원 살균 기능을 갖는 평판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763A (ko) * 2004-02-11 2005-08-18 양원동 고휘도 엘이디를 이용한 테이블등
KR20140039532A (ko) * 2012-09-24 2014-04-02 유관진 복합램프기구
KR20170058571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광기술원 능동형 살균 및 치료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케이스
KR102203674B1 (ko) * 2020-07-22 2021-01-18 주식회사 커니스 면조명 살균장치
KR102302403B1 (ko) * 2020-12-04 2021-09-17 주식회사 엘파워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장치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102341303B1 (ko) * 2021-04-29 2021-12-23 주식회사 글로우원 살균 기능을 갖는 평판조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13B1 (ko) * 2023-06-29 2024-01-18 성풍솔레드(주) 햇빛등이 구비된 실내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2905C (en) Germicidal fixture and methods
JP2012527302A5 (ko)
KR102504120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led 조명등
US20120134170A1 (en) Tubular skylight
BR102021009899A2 (pt) Sistema de desinfecção de ar e de superfície
KR20170030166A (ko) 살균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WO2011062230A1 (ja) 間接照明装置
US7287287B2 (en) Shower device with tann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0966728B1 (ko) 도로 교통표지판
JP6905656B1 (ja) 照明装置
US9950136B2 (en) Device for body relaxation and renewal
CN111076282A (zh) 一种带有氛围灯的空调室内机及其照明方法
KR102383570B1 (ko) 가시광을 활용한 살균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10441056U (zh) 一种节能灯照明消毒装置及节能灯
US11471547B1 (en) Light fixture with illumination and germicidal light engines
CN112325433A (zh) 一种空气杀菌消毒系统及方法
JP2007186874A (ja) 面材ユニット及びその面材ユニットを備えた建物
US202203051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ltraviolet disinfection
JPH0643927Y2 (ja) 空気殺菌装置
WO2021237797A1 (zh) 一种消毒照明灯具
JP2005177149A (ja) カーテンレールおよび照明装置
JP6537771B2 (ja) 低誘引性照明装置
RU219184U1 (ru) Биодинамический светильник с бактерицидным облучателем открытого и закрытого типа
KR20220013156A (ko) 항균조명 led 등기구
JPH0613841U (ja) 殺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