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021B1 - 조립식 진열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021B1
KR102504021B1 KR1020220152373A KR20220152373A KR102504021B1 KR 102504021 B1 KR102504021 B1 KR 102504021B1 KR 1020220152373 A KR1020220152373 A KR 1020220152373A KR 20220152373 A KR20220152373 A KR 20220152373A KR 102504021 B1 KR102504021 B1 KR 102504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onnecting rods
pillar part
pedest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220152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6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movable or removable shelve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18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43Show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조립식 진열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둥부, 상하부 전면 연결대, 상하부 측면 연결대 및 중간 측면 연결대 간의 연결 및 결합구조를 통해 분해 및 재조립이 수월하면서도 그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되는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진열대{ASSEMBLY TYPE RAC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식 진열대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창고, 매장 등에서는 상품, 물품 등을 진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열대가 배치된다. 진열대는 프레임 조립체와 프레임 조립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선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 조립체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그 소재 또한 다양하다. 최근에는 상품, 물품 등의 크기, 무게와 같은 특성에 따라 프레임 조립체를 분해하거나 재조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열대는 프레임 조립체가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이의 분해 및 재조립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간단한 체결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진열대의 경우 그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57683호(2020.09.1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해 및 재조립이 보다 수월하면서도 그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되는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진열대로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 형성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의 단면이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1
형상인 4개의 기둥부; 상호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4개의 기둥부 중 제1 기둥부 및 제2 기둥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를 지지하고, 상기 4개의 기둥부 중 제3 기둥부 및 제4 기둥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상기 제3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의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3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를 지지하는 4개의 상하부 전면 연결대;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를 지지하는 4개의 상하부 측면 연결대; 상기 4개의 기둥부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서 상기 4개의 상하부 측면 연결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중간 측면 연결대; 및 소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내측면에서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받침대 및 상기 중간 측면 연결대의 내측면에서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받침대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선반을 포함하는, 조립식 진열대가 제공된다.
상기 전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걸림홈은, 각각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2
형상 및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3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부는,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의 중앙부분이 상기 기둥부의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단면이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4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전면부의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재가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끼움부재는,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5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하단은,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6
형상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하단 중앙부에는, 단면이 ㄴ 자 형상인 절곡 지지부가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내측에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하단은,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7
형상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상기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하단 중앙부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상기 제1 받침대가 상기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내측에서 형성되고, 상기 절곡 지지부의 최상측 단부 높이와 상기 제1 받침대의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중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하는 선반이 상기 절곡 지지부의 최상측 단부와 상기 제1 받침대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중간 측면 연결대의 하단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상기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2 받침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2 받침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중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은, 상기 제2 받침대에 안착되되 상기 측면 지지부에 의해 양측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둥부, 상하부 전면 연결대, 상하부 측면 연결대 및 중간 측면 연결대 간의 연결 및 결합구조를 통해 분해 및 재조립이 수월하면서도 그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되는 조립식 진열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 완료된 조립식 진열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의 조립 과정에서 선반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조립식 진열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의 주요 구성들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측면 연결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내부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를 전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내부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 완료된 조립식 진열대(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100)의 조립 과정에서 선반(102)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조립식 진열대(1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100)의 주요 구성들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 완료된 조립식 진열대(100)는 선반(102), 기둥부(104),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 및 중간 측면 연결대(110)를 포함한다.
선반(102)은 물품, 상품 등이 안착, 진열될 수 있도록 일면이 편평한 형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이다. 선반(102)은 예를 들어, 소정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반(102)은 조립식 진열대(10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선반(102)은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내측면에서 조립식 진열대(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받침대(108b) 및 중간 측면 연결대(100)의 내측면에서 조립식 진열대(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받침대(110b)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기둥부(104)는 조립식 진열대(100)의 뼈대를 이루는 세로축 프레임이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둥부(104)는 총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시로서, 기둥부(104)는 제1 기둥부(104-1), 제2 기둥부(104-2), 제3 기둥부(104-3) 및 제4 기둥부(10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둥부(104-1), 제2 기둥부(104-2), 제3 기둥부(104-3) 및 제4 기둥부(104-4)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둥부(104-1), 제2 기둥부(104-2), 제3 기둥부(104-3) 및 제4 기둥부(104-4)는 선반(102)의 각 꼭지점(vertex)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둥부(104-1)와 제2 기둥부(104-2) 간의 거리는 제3 기둥부(104-3)와 제4 기둥부(104-4) 간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둥부(104-1)와 제3 기둥부(104-3) 간의 거리는 제2 기둥부(104-2)와 제4 기둥부(104-4) 간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각 기둥부(104)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각 기둥부(104)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는 조립식 진열대(10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각 기둥부(104)를 상호 지지하는 연결대이다.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는 조립식 진열대(100)의 전면 및 후면에서 각 기둥부(104)를 상호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는 제1 기둥부(104-1) 및 제2 기둥부(104-2)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제1 기둥부(104-1) 및 제2 기둥부(104-2)의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제1 기둥부(104-1) 및 제2 기둥부(104-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는 제3 기둥부(104-3) 및 제4 기둥부(104-4)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제3 기둥부(104-3) 및 제4 기둥부(104-4)의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제3 기둥부(104-3) 및 제4 기둥부(104-4)를 지지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양측면에는 각 기둥부(104)의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조립식 진열대(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재가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는 조립식 진열대(10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각 기둥부(104)를 상호 지지하는 연결대이다.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는 진열대(100)의 측면에서 각 기둥부(104)를 상호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는 제1 기둥부(104-1) 및 제3 기둥부(104-3)의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제1 기둥부(104-1) 및 제3 기둥부(104-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는 제2 기둥부(104-2) 및 제4 기둥부(104-4)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제2 기둥부(104-2) 및 제4 기둥부(104-4)의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제2 기둥부(104-2) 및 제4 기둥부(104-4)를 지지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양측면에는 각 기둥부(104)의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조립식 진열대(1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재가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측면 연결대(110)는 조립식 진열대(100)의 중간 부분에서 각 기둥부(104)를 상호 지지하는 연결대이다. 중간 측면 연결대(110)는 각 기둥부(104)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서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진열대(100)의 측면에서 각 기둥부(104)를 상호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측면 연결대(110)는 제1 기둥부(104-1) 및 제3 기둥부(104-3)의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제1 기둥부(104-1) 및 제3 기둥부(104-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측면 연결대(110)는 제2 기둥부(104-2) 및 제4 기둥부(104-4)의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제2 기둥부(104-2) 및 제4 기둥부(104-4)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식 진열대(100)는 4개의 기둥부(104), 4개의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 4개의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진열대(100)는 각 기둥부(104)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서 복수 개의 중간 측면 연결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개수에 따라 선반(102)의 개수가 달라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조립식 진열대(100)의 세부 구성 및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102)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102)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반(102)의 일면은 예를 들어, 소정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선반(102)의 양측면은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8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반(102)의 내측은 선반(102)의 양측면이
Figure 112022121353003-pat00009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정 크기의 빈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선반(102)의 측면 중앙부분은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0
형상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반(102)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선반(102)의 타면, 즉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보강부(102a)가 선반(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반(102)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02a)는 선반(102)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면이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1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반(102)에는 소정 무게를 갖는 각종 상품, 물품 등이 안착되어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선반(102)의 측면 중앙부분의 돌출 구조 및 내측면의 보강부(102a)로 인해 선반(102)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104)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둥부(104)는 전면부(A) 및 상기 전면부(A)의 양측에서 전면부(A)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면부(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면부(A) 및 측면부(B)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 형성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홈(104a, 104b)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104a, 104b)에는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부재(106a) 및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부재(108a)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면부(A)에는 예를 들어 2개의 걸림홈(104a), 측면부(B)에는 1개의 걸림홈(104b)이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되면서 기둥부(10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면부(A)의 걸림홈(104a) 및 측면부(B)의 걸림홈(104b)은 예를 들어, 각각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2
형상 및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3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둥부(104)의 전면부(A)는 전면부(A)에 형성된 걸림홈(104a)의 중앙부분이 기둥부(104)의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4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부재(106a)는 전면부(A)의 걸림홈(104a)에 보다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는 양측면에 복수 개의 끼움부재(10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06a)는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양측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06a)는 예를 들어,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5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06a)는 기둥부(104)의 전면부(A)에 형성된 걸림홈(104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6a)는 제1 기둥부(104-1)의 전면부(A)에 형성된 걸림홈(104a)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6a)는 제2 기둥부(104-2)의 전면부(A)에 형성된 걸림홈(104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6a)는 제3 기둥부(104-3)의 전면부(A)에 형성된 걸림홈(104a)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6a)는 제4 기둥부(104-4)의 전면부(A)에 형성된 걸림홈(104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기둥부(104)의 전면부(A)에는 2개의 걸림홈(104a)이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끼움부재(106a)는 상기 2개의 걸림홈(104a) 중 하나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으며, 선반(102)의 너비 또는 길이에 따라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끼움부재(106a)가 삽입 및 체결되는 걸림홈(104a)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하단은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6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절곡된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하단 중앙부에는 단면이 ㄴ 자 형상인 절곡 지지부(106b)가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내측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곡 지지부(106b)의 최상측 단부 높이와 후술할 제1 받침대(108b)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식 진열대(10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하는 선반(102)은 절곡 지지부(106b)의 최상측 단부 및 제1 받침대(108b)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는 양측면에 복수 개의 끼움부재(108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08a)는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양측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08a)는 예를 들어,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7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08a)는 기둥부(104)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8a)는 제1 기둥부(104-1)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8a)는 제3 기둥부(104-3)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8a)는 제2 기둥부(104-2)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8a)는 제4 기둥부(104-4)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하단은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8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절곡된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하단 중앙부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1 받침대(108b)가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내측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받침대(108b)는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내측면에서 조립식 진열대(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받침대(108b)와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내측면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 지지부(106b)의 최상측 단부 높이와 제1 받침대(108b)의 높이가 상호 동일하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선반 중 조립식 진열대(100)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하는 선반(102)이 절곡 지지부(106b)의 최상측 단부와 제1 받침대(108b)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측면 연결대(110)는 양측면에 복수 개의 끼움부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10a)는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양측면에서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10a)는 예를 들어,
Figure 112022121353003-pat00019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끼움부재(110a)는 기둥부(104)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10a)는 제1 기둥부(104-1)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10a)는 제3 기둥부(104-3)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10a)는 제2 기둥부(104-2)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10a)는 제4 기둥부(104-4)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측면 연결대(110)는 4개의 기둥부(104)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서 4개의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하단에는 제2 받침대(110b) 및 측면 지지대(110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받침대(110b)는 선반(102)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받침대(110b)는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내측면에서 조립식 진열대(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받침대(110b)와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내측면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지지대(110c)는 제2 받침대(110b)에 안착되는 선반(102)을 양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로서, 제2 받침대의 양측면에서 제2 받침대(110b)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 지지대(110c)는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내측면에서 조립식 진열대(10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제2 받침대(110b)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제2 받침대(110b)에 안착되는 선반(10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100)를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내부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진열대(100)를 전면에서 바라봤을 때의 내부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조립식 진열대(100)의 최상단에서의 측면 결합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6a)는 제1 기둥부(104-1)의 전면부(A)에 형성된 걸림홈(104a)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하부 전면 연결대(106)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6a)는 제2 기둥부(104-2)의 전면부(A)에 형성된 걸림홈(104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8a)는 제1 기둥부(104-1)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하부 측면 연결대(108)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08a)는 제3 기둥부(104-3)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절곡 지지부(106b)의 최상측 단부 높이와 제1 받침대(108b)의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선반(102) 중 상기 조립식 진열대(1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선반(102)이 절곡 지지부(106b)의 최상측 단부와 제1 받침대(108b)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10a)는 제1 기둥부(104-1)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중간 측면 연결대(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끼움부재(110a)는 제3 기둥부(104-3)의 측면부(B)에 형성된 걸림홈(104b)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선반(102)은 제2 받침대(110b)에 안착되되 측면 지지부(110c)에 의해 양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조립식 진열대
102 : 선반
102a : 보강부
104 : 기둥부
104-1 : 제1 기둥부
104-2 : 제2 기둥부
104-3 : 제3 기둥부
104-4 : 제4 기둥부
104a, 104b : 걸림홈
106 : 상하부 전면 연결대
106a, 108a, 110a : 끼움부재
106b : 절곡 지지부
108 : 상하부 측면 연결대
108b : 제1 받침대
110 : 중간 측면 연결대
110b : 제2 받침대
110c : 측면 지지부

Claims (3)

  1. 조립식 진열대로서,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 형성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에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측면부의 단면이
    Figure 112023000885628-pat00038
    형상인 4개의 기둥부;
    상호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4개의 기둥부 중 제1 기둥부 및 제2 기둥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의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를 지지하고, 상기 4개의 기둥부 중 제3 기둥부 및 제4 기둥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상기 제3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의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3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를 지지하는 4개의 상하부 전면 연결대;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서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를 지지하는 4개의 상하부 측면 연결대;
    상기 4개의 기둥부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서 상기 4개의 상하부 측면 연결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3 기둥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의 상기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4 기둥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중간 측면 연결대; 및
    소정 크기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내측면에서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받침대 및 상기 중간 측면 연결대의 내측면에서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받침대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 개의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걸림홈은, 각각
    Figure 112023000885628-pat00039
    형상 및
    Figure 112023000885628-pat00040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부는,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의 양측면 및 중앙부분 중 상기 걸림홈의 중앙부분만 상기 기둥부의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단면이
    Figure 112023000885628-pat00041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전면부의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재가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끼움부재는,
    Figure 112023000885628-pat00042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하단은,
    Figure 112023000885628-pat00043
    형상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하단 중앙부에는, 단면이 ㄴ 자 형상인 절곡 지지부가 상기 상하부 전면 연결대의 내측에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하단은,
    Figure 112023000885628-pat00044
    형상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상기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하단 중앙부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상기 제1 받침대가 상기 상하부 측면 연결대의 내측에서 형성되고,
    상기 절곡 지지부와 상기 제1 받침대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 지지부의 최상측 단부 높이와 상기 제1 받침대의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중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위치하는 선반이 상기 절곡 지지부의 최상측 단부와 상기 제1 받침대에 각각 동시에 안착되며,
    상기 선반의 양측면은,
    Figure 112023000885628-pat00045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Figure 112023000885628-pat00046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선반의 양측면과 수직하는 상기 선반의 나머지 가장자리는, |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 지지부의 최상측 단부에는, 상기
    Figure 112023000885628-pat00047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선반의 양측면이 안착되고,
    상기 제1 받침대에는, 상기 선반의 나머지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상기 중간 측면 연결대의 하단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상기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2 받침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2 받침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면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선반 중 상기 조립식 진열대의 최상단과 최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은, 상기 제2 받침대에 안착되되 상기 측면 지지부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조립식 진열대.
  2. 삭제
  3. 삭제
KR1020220152373A 2022-11-15 2022-11-15 조립식 진열대 KR10250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373A KR102504021B1 (ko) 2022-11-15 2022-11-15 조립식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373A KR102504021B1 (ko) 2022-11-15 2022-11-15 조립식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021B1 true KR102504021B1 (ko) 2023-02-24

Family

ID=8533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373A KR102504021B1 (ko) 2022-11-15 2022-11-15 조립식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02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88Y2 (ko) * 1988-04-07 1993-06-10
JP3758479B2 (ja) * 2000-08-11 2006-03-22 株式会社ダイフク 棚の支柱と梁材との連結構造
KR100709487B1 (ko) * 2006-08-11 2007-04-20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전개식 적재용 랙
KR20100008790U (ko) * 2009-02-26 2010-09-03 허징 조립식 랙 선반
JP5147153B2 (ja) * 2001-08-24 2013-02-20 由樹 南 組立棚
KR101797641B1 (ko) * 2017-05-12 2017-11-15 최인호 조립식 앵글 선반
KR102157683B1 (ko) 2020-02-27 2020-09-21 주식회사 비파워 이종재질을 이용한 경량화 랙 프레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488Y2 (ko) * 1988-04-07 1993-06-10
JP3758479B2 (ja) * 2000-08-11 2006-03-22 株式会社ダイフク 棚の支柱と梁材との連結構造
JP5147153B2 (ja) * 2001-08-24 2013-02-20 由樹 南 組立棚
KR100709487B1 (ko) * 2006-08-11 2007-04-20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전개식 적재용 랙
KR20100008790U (ko) * 2009-02-26 2010-09-03 허징 조립식 랙 선반
KR101797641B1 (ko) * 2017-05-12 2017-11-15 최인호 조립식 앵글 선반
KR102157683B1 (ko) 2020-02-27 2020-09-21 주식회사 비파워 이종재질을 이용한 경량화 랙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019B2 (en) Modular cantilevered shelving assembly and method
EP2907418B1 (en) End cap for variable display configurations
US5509541A (en) Bracket construction
US4785946A (en) Gondola merchandising display system
US7641063B2 (en) Modular rack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US8814108B2 (en) Product display system
US7644827B2 (en) Beverage container shelf management system
US9445670B1 (en) Storage rack for barrels
US9307848B2 (en) Product display system
US10681977B2 (en) Shelving post and an adjustable shelving system
US9474393B2 (en) Mattress display fixture
US9351590B1 (en) Adjustable depth wire divider for gondola shelving
WO2009035245A1 (en) Boltless sectional shelving unit
US20210112997A1 (en) Consumer product merchandising racking system
US8342343B2 (en) Free-standing, point-of-purchase display
KR200481811Y1 (ko) 진열 선반의 조립구조
US5299698A (en) Open frame rack assembly
KR102504021B1 (ko) 조립식 진열대
US5016764A (en) Merchandise display unit
US20190340960A1 (en) Tubular display
US5197609A (en) Merchandise rack for supporting product display cards beneath horizontal store shelf supports
US4052081A (en) Bussing cart
KR200203656Y1 (ko) 물품 진열용 조립식 선반
KR100451572B1 (ko) 다단식 상품 진열대
KR200311612Y1 (ko) 쇼케이스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