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856B1 - 위생장갑 착용장치 - Google Patents
위생장갑 착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3856B1 KR102503856B1 KR1020220057888A KR20220057888A KR102503856B1 KR 102503856 B1 KR102503856 B1 KR 102503856B1 KR 1020220057888 A KR1020220057888 A KR 1020220057888A KR 20220057888 A KR20220057888 A KR 20220057888A KR 102503856 B1 KR102503856 B1 KR 102503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nitary
- glove
- compressed air
- gloves
- inclined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90—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 A47G25/904—Devices for domestic use for assisting in putting-on or pulling-off clothing, e.g. stockings or trousers for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A61B42/50—Devices for putting-on or remo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배출구로 배출된 압축공기가 위생장갑을 팽창시켜 편리하고 신속하게 위생장갑을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위생장갑 착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기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위생장갑 착용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 설치되고, 외주면에 위생장갑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에는 후단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유입구와 선단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장착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 흡착구와 상기 배출유로를 연통시키는 흡입 유로가 형성되며, 내주면 일측에 상기 배출 유로와 연통되는 제2 흡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착구에 상기 위생장갑의 외면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 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기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위생장갑 착용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 설치되고, 외주면에 위생장갑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에는 후단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유입구와 선단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장착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 흡착구와 상기 배출유로를 연통시키는 흡입 유로가 형성되며, 내주면 일측에 상기 배출 유로와 연통되는 제2 흡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착구에 상기 위생장갑의 외면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 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생장갑 착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가 유입 배출되는 장착플레이트에 위생장갑을 끼운 후 공기가 유동되게 작동시켜 위생장갑이 팽창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갑을 착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주면에 설치된 흡착패드에 위생장갑을 흡착시켜 위생장갑 탈거가 편리해지고 손이 재오염 되지 않는 위생장갑 착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사회적으로 위생을 중시하는 요구에 따라 개인의 일회용 위생장갑의 착용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연구소, 제약회사, 의료업. 미용업 및 음식제조를 수행하는 산업군에서 작업자의 보호를 위하여 보호용 장갑을 사용하도록 산업안전보건법으로 정하고 있다. 그리하여 착용감, 민감성, 장벽 보호력,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니트릴이나 라텍스 장갑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장갑 소재의 탄력성으로 실제 손보다 작은 형태로 제조되어지기에 착용하기 어렵다. 게다가 손에 물기나 땀과 같은 수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생장갑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사람의 피부와 접촉할 때 잘 들어가지 않아 착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위생장갑의 특성으로 인해 위생장갑 사용 후 탈거시에 벗기기가 어려워 오히려 위생장갑 겉면에 뭍은 오염물질이 손에 다시 오염되게 되는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갑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장치가 제시된 바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장갑 착용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장갑 착용장치는 밀폐된 함체 내에 고무장갑형상을 가지는 형틀(120)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형틀(120) 내에 고무장갑을 삽입 시킨 후, 진공수단(110)으로 형틀(120)의 내면과 고무장갑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고무장갑이 팽창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팽창된 고무장갑 내에 손을 손쉽게 삽입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걸림턱(130)으로 장갑을 고정시키기 불편하고 장갑이 쉽게 빠지기 쉬워 고정이 어렵고, 진공압이 약한 경우 실제적으로 손이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고무장갑을 팽창시키는 데 한계가 있어 원활하게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무장갑의 탈거를 위한 장치가 따로 없어 탈거 시 특히 감염에 대한 주의가 각별하게 요구되는 수술용 장갑의 경우 오염물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재오염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위생장갑을 장착 플레이트의 외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위생장갑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위생 장갑을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 사이로 손을 삽입하여 편리하게 위생장갑을 착용할 수 있는 위생장갑 착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착플레이트 내주면에 설치된 흡착패드로 위생장갑을 흡착시켜 위생장갑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하는 위생장갑 착용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기압축기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위생장갑 착용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 설치되고, 외주면에 위생장갑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에는 후단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유입구와 선단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장착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 흡착구와 상기 배출유로를 연통시키는 흡입 유로가 형성되며, 내주면 일측에 상기 배출 유로와 연통되는 제2 흡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착구에 상기 위생장갑의 외면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 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위생장갑이 상기 제1 흡착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외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는 내주면 일측에 상기 배출 유로와 연통되는 제2 흡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착구에 상기 위생장갑의 외면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 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삽입된 위생장갑을 고정하기 위한 장착 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장착 거치부는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상방경사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의 후방으로 하방 경사를 형성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면의 기울기가 제2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크고, 제1 경사면의 길이가 제2 경사면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혹은 제2 장착플레이트의 내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손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배출구로 배출된 압축공기가 위생장갑을 팽창시켜 편리하고 신속하게 위생장갑을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위생장갑이 뒤집어 탈거되게 함으로써, 오염물질이 사용자에게 재오염 되지 않아 오염된 위생장갑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장갑 착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착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갑 착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갑 탈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착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갑 착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갑 탈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갑 착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갑 탈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위생장갑 착용장치는 외주면에 위생장갑이 삽입되는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21,22)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장착플레이트(21,22)는 상호 이격설치되어 그 사이영역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각각의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플레이트형상의 부재로서, 손이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설치 될 수 있다.
각 장착플레이트(21,22)의 외면에는 위생장갑을 고정하기 위한 장착거치부(15)가 형성된다. 장착 거치부(15)는 각 장착플레이트(21,22)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상방경사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61)과 제1 경사면(61)의 후방으로 하방 경사를 형성하는 제2 경사면(62)으로 구성되고, 위생장갑을 외주면에 장착 시 장착거치부(15)의 경사면(61,62)을 통해 형성되는 기울기에 의해, 위생장갑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장착플레이트(21,22)의 내부에는 위생장갑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위생장갑을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위생장갑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압축공기 유입구(31), 압축공기 배출구(32), 배출유로(11), 제1 흡착구(41) 및 흡입유로(12)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공기 유입구(31)는 제1 장착플레이트(21)의 후단 일측에 형성되고 압축공기 탱크와 연결되어 압축공기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압축공기 배출구(32)는 제1 장착플레이트(21)의 선단 일측에 형성되어 압축공기 유입구(31)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로서 배출유로(11)를 통해 압축공기 유입구(31)와 연결된다.
배출유로(11)는 제1 장착플레이트(21) 내부에 위치하여 압축공기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31)와 유입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압축공기 배출구(32)가 연결된 공기유로이다.
제1 흡착구(41)는 제1 장착플레이트(21)의 선단 외면 일측에 형성되고, 흡입유로(12)를 통해 배출유로(11)의 일측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장착 플레이트(21)는 위생장갑을 음압으로 흡착하기 위해 제2 흡착구(42) 및 흡착패드(51)를 포함한다.
제2 흡착구(42)는 제1 장착 플레이트(21)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배출유로(11)와 연결된다.
흡착패드(51)는 제2 흡착구(4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위생장갑의 외면이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연질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플레이트(21)의 후단에는 사용자의 손을 인식하는 감시센서(71)가 설치될 수 있다. 감시센서(71)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인식되면 압축공기 탱크에서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입구(31)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생장갑 착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위생장갑을 제1 흡착구(41)를 충분히 덮을 만큼 당겨 씌워 고정시킨다.
이때, 제1 장착 플레이트(2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22)는 선단에서 후방으로 상방 경사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61)과 제1 경사면(61)의 후방으로 하방 경사를 형성하는 제2 경사면(62)이 형성되어 위생장갑을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21,22)에 씌워 고정하기가 더욱 용이해 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경사면(61)의 기울기가 제2 경사면(62)의 기울기보다 크고, 제1 경사면(61)의 길이가 제2 경사면(62)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위생장갑을 제1 장착플레이트(21) 및 제2 장착플레이트(22)에 고정 한 후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21,22) 사이로 손을 삽입하면 감시센서(71)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장치의 제어를 통해 압축공기 탱크의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유입구(31)를 통해 유입된다. 유입된 압축공기는 배출유로(11)를 거쳐 압축공기 배출구(32)로 배출되어 위생장갑이 팽창되면서 손을 삽입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이때, 압축공기가 배출유로(11)를 따라 이동하면, 배출유로(11)와 연결된 흡입유로(12)에는 배출유로(11)로 공기가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하면서 흡입유로(12)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하고, 이 진공압에 의해 제1 흡입구(41)를 통해 장갑 내면을 흡입하여 장갑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생장갑 탈거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생장갑을 착용한 사용자가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21,22) 사이로 손을 삽입하게 되면 감시센서(71)가 작동하여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배출구(32)로 배출되게 됨과 동시에 흡착패드(51)에 위생장갑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 때 손을 위생장갑에서 빼면 위생장갑이 뒤집어지면서 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오염된 위생장갑은 재오염의 위험 없이 수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위생장갑 착용 장치의 하단에 장갑 수거함을 두어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 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 배출유로 12 : 흡입유로
15 : 장착거치부 21 : 제1 장착 플레이트
22 : 제2 장착 플레이트 31: 압축공기 유입구
32: 압축공기 배출구 41: 제1 흡착구
42: 제2 흡착구 51 : 흡착패드
61: 제1 경사면 62: 제2 경사면
71: 감지센서 110: 진공제거수단
120: 형틀 130: 걸림턱
15 : 장착거치부 21 : 제1 장착 플레이트
22 : 제2 장착 플레이트 31: 압축공기 유입구
32: 압축공기 배출구 41: 제1 흡착구
42: 제2 흡착구 51 : 흡착패드
61: 제1 경사면 62: 제2 경사면
71: 감지센서 110: 진공제거수단
120: 형틀 130: 걸림턱
Claims (7)
- 공기압축기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위생장갑 착용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 설치되고, 외주면에 위생장갑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에는
후단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유입구와 선단 일측에 형성된 압축공기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장착플레이트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 제1 흡착구와 상기 배출유로를 연통시키는 흡입 유로가 형성되며,
내주면 일측에 상기 배출 유로와 연통되는 제2 흡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흡착구에 상기 위생장갑의 외면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 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위생장갑이 상기 제1 흡착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외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
- 삭제
- 제 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는 삽입된 위생장갑을 고정하기 위한 장착 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거치부는 상기 각 제1 및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상방경사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경사면의 후방으로 하방 경사를 형성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의 기울기가 제2 경사면의 기울기보다 크고, 제1 경사면의 길이가 제2 경사면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
- 제1 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혹은 제2 장착플레이트의 내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손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위생장갑 착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7888A KR102503856B1 (ko) | 2022-05-11 | 2022-05-11 | 위생장갑 착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7888A KR102503856B1 (ko) | 2022-05-11 | 2022-05-11 | 위생장갑 착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3856B1 true KR102503856B1 (ko) | 2023-02-24 |
Family
ID=8533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7888A KR102503856B1 (ko) | 2022-05-11 | 2022-05-11 | 위생장갑 착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385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015Y1 (ko) | 1994-12-09 | 1999-12-15 | 김영환 | 웨트스테이션 장치 |
JP2004229872A (ja) * | 2003-01-30 | 2004-08-19 | Misuzu Seiko Kk | 手袋の自動装着装置 |
-
2022
- 2022-05-11 KR KR1020220057888A patent/KR1025038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3015Y1 (ko) | 1994-12-09 | 1999-12-15 | 김영환 | 웨트스테이션 장치 |
JP2004229872A (ja) * | 2003-01-30 | 2004-08-19 | Misuzu Seiko Kk | 手袋の自動装着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435660S (en) | Finger pressure device | |
KR200490850Y1 (ko) | 초미세먼지 대비용 휴대형 방진복 | |
EP1857032A3 (en) | Vacuum cleaner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cyclone units | |
WO2004058125A3 (en) | Disposable hand-held device for collection of exhaled breath condensate | |
WO2012037765A1 (zh) | 乳胶手套穿戴装置和方法 | |
KR102503856B1 (ko) | 위생장갑 착용장치 | |
EP1586468A3 (fr) | Poche de maintien de détecteur électronique | |
CN212141025U (zh) | 吸鼻器 | |
WO2003084413A1 (en) | Dermabras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oval-shaped mixing bottle | |
KR102451147B1 (ko) | 감염증 환자의 검체 채취 시스템 | |
TWI587835B (zh) | 手套配戴裝置 | |
ATE508846T1 (de) | Staubabsaug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und deren verwendung | |
JP2017143967A (ja) | 生体洗浄器、生体洗浄方法 | |
CN213549926U (zh) | 一种方便手套穿戴装置 | |
CN215846391U (zh) | 一种晶圆片切割机 | |
JP2022153532A (ja) | 手袋 | |
CN2745378Y (zh) | 手套透气装置 | |
GB2605954A (en) | A system for treating stab wounds | |
MY135906A (en) | Vacuum cleaner | |
CN205795800U (zh) | 医用手套自动佩戴设备 | |
CN218737392U (zh) | 一种提高用户握持效果的手套 | |
CN113892802A (zh) | 一次性手套的自动佩戴装置 | |
KR200174277Y1 (ko) | 열가압 인쇄용 테이프/파우더 집진장치 | |
JP7396036B2 (ja) | 医療用吸引器具 | |
KR200178938Y1 (ko) | 공기순환식 고무장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