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750B1 -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750B1
KR102503750B1 KR1020220121561A KR20220121561A KR102503750B1 KR 102503750 B1 KR102503750 B1 KR 102503750B1 KR 1020220121561 A KR1020220121561 A KR 1020220121561A KR 20220121561 A KR20220121561 A KR 20220121561A KR 102503750 B1 KR102503750 B1 KR 102503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cycling center
value
design
area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2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4Constraint-based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6Multi-objective optimisation, e.g. Pareto optimisation using simulated annealing [SA], ant colony algorithms or genetic algorithms [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처리에 의해 공공주택에 재활용센터 도면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계자 단말이 메인 서버로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 면적값을 산출하는 제2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설계 면적값을 처리하여 설계도면에서 재활용센터 구역을 할당하는 제3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재활용센터 구역을 분할하여 제활용센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DRAWING DESIGN METHOD FOR PUBLIC HOUSING RECYCLING CENTER IN WHICH LAYOUT IS AUTOMATICALLY CREATED ACCORDING TO IRREGULAR SPACE}
본 발명은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아파트와 같은 공공주택에서 재활용센터의 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설계자는 주민 편의와 관련 법규 충족을 위해 재활용센터의 면적을 기술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종래에는 재활용센터의 면적을 설계자 개개인의 경험과 실무능력에 맡겨 이루어졌다. 만약, 공공주태의 세대수와 입주자수 데이터를 처리하여 재활용센터의 면적을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면, 주민 편의와 관련 법규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설계자의 부담을 시간적/경제적으로 덜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적 설계와 설계비용을 줄이고자,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설계도면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종래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화 설계기술은 재활용센터의 도면을 설계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지 않고, 재활용센터의 각각의 영역을 설정하는 그리드를 설계도면에 맞추어 일정 간격씩 단순 평행이동하는 방법으로 설계가 수행되기 때문에 주동이나 대지 및 경계선이 상호 직교하는 정형적인 도면의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비정형적인 도면에서는 자동화 설계를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처리에 의해 공공주택에 재활용센터 도면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계자 단말이 메인 서버로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 면적값을 산출하는 제2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설계 면적값을 처리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할당하는 제3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분할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제4단계에서, 상기 메인 서버는 원점과 외곽선과 복수의 축으로 구성된 복수의 그리드 타입에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과의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이 가장 작은 그리드 타입을 결정한 다음,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각각 산출하고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과 대응되도록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축의 위치를 1차로 조정한 다음, 복수의 축의 위치가 1차로 조정된 그리드 타입의 원점을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에서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이 최소값이 되는 곳에 위치시킨 다음, 원점이 설정된 그리드 타입의 면적값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과 대응되는 것을 유지하며 불합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원점이 설정된 그리드 타입에서 외곽선과 복수의 축의 위치를 2차로 조정함으로써,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은 세대수와 입주자수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를 기반으로 재활용센터의 면적을 자동으로 할당하기 때문에, 실제 주거환경에 맞추어 주민 편의와 관련 법규를 충족하도록 재활용센터의 면적을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은 복수의 그리드 타입(후보군)에서 실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과 가장 유사한 그리드 타입을 결정하고, 결정된 그리드 타입을 세대수와 입주자수 데이터에 맞추어 복수의 영역(재활용영역, 쓰레기영역, 작업영역, 동선영역)으로 분할하는 1차 조정을 수행한 다음, 1차 조정된 그리드 타입에서 복수의 영역의 면적을 유지하며 실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외곽선에 맞추어 2차 조정하여, 최종 재활용센터 레이아웃을 생성함으로써, 주동이나 대지 및 경계선이 상호 직교하는 정형적인 설계도면뿐만 아니라 비정형적인 설계도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에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할당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에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분할하여 재활용센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에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할당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에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분할하여 재활용센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1000)은 설계자 단말(10)과 네트워크(20)와 메인 서버(30)를 포함하는 시스템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설계자 단말(10)은 설계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1000)과 관련한 웹 페이지, 앱 페이지(앱 리스트),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설계자 단말(10)은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원격지의 메인 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계자 단말(1)은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와, 데스크탑 PC 등 유선 통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20)는 설계자 단말(10)과 메인 서버(3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인 서버(30)는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1000)의 플랫폼 관리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로서,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1000)과 관련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1000)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처리에 의해 공공주택에 재활용센터 도면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계자 단말(10)이 메인 서버(30)로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전송하는 제1단계(100); 메인 서버(30)가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 면적값을 산출하는 제2단계(200); 메인 서버(30)가 설계 면적값을 처리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할당하는 제3단계(300); 메인 서버(30)가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분할하여 제활용센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제4단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설계자 단말(10)이 메인 서버(30)로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전송하는 제1단계(100) 는 설계자 단말(10)이 공동주택의 세대수와 총입주자수를 메인 서버(30)에 업로드하는 단계로서, 이는 설계자가 수작업으로 산출한 자료에 의해 얻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서버(30)가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 면적값을 산출하는 제2단계(200) 는 메인 서버(30)가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여 재활용센터의 설계 면적값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세하게, 제2단계(200)에서 메인 서버(30)는 세대수에 제1상수를 산술적으로 곱하여 전처리 설계 면적값을 산출한 다음, 전처리 설계 면적값에 입주자수를 세대수로 산술적으로 나눈 제1변수를 산술적으로 곱하여 설계 면적값(최종 설계 면적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메인 서버(30)의 기설정된 프로그램에는 세대수에 매칭되는 전처리 설계 면적값이 맵핑되어 있고, 메인 서버(30)는 세대수만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매칭되는 전처리 설계 면적값을 산출한 다음, 세대 당 세대원의 증가로 세대수 대비 입주자수가 많다면 최종 설계 면적값이 증가시키고 세대 당 세대원의 감소로 세대수 대비 입주자수가 적다면 최종 설계 면적값이 감소하도록 최종 설계 면적값을 산출할 수 있다.
메인 서버(30)가 설계 면적값을 처리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할당하는 제3단계(300) 는 메인 서버(30)가 설계도면의 복수의 잉여구역에서 하나를 특정하여 재활용센터 구역을 할당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설계도면은 평면도로서 주거구역과 주차구역 등의 설계가 완료되었고, 생활편의시설구역과 설비/기계실 구역과 재활용센터 구역 등이 아직 특정되지 않은 도면일 수 있다. 이 경우, 설계도면에서 아직 특정되지 않은 구역을 복수의 잉여구역으로 지징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3단계(300)에서 메인 서버(30)는 복수의 잉여 구역에서 면적값이 설계 면적값에서 1.8을 산술적으로 곱한 값보다 작고 설계 면적값에서 1.5를 산술적으로 곱한 값보다 큰 복수의 후보 잉여 구역을 도출한 다음(설계 면적값에서 1.8을 산술적으로 곱한 값보다 같거나 크면 과잉 설계로 비경제적인 공간이 설정될 수 있고 설계 면적값에서 1.5를 산술적으로 곱한 값보다 같거나 작으면 미달된 설계가 되어 주민편의에 합치하지 않음), 복수의 후보 잉여 구역에서 면적이 제일 넓을 곳을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으로 할당(재활용센터 최대 설계)하거나, 복수의 후보 잉여 구역에서 면적이 제일 좁은 곳을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으로 할당(재활용센터 최소 설계)할 수 있다.
메인 서버(30)가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분할하여 제활용센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제4단계(400) 는 메인 서버(30)가 제3단계(300)에서 설정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복수의 구역(재활용영역, 쓰레기영역, 작업영역, 동선영역)으로 분할하는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재활용센터 도면설계를 마무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단계에서 메인 서버(30)는,
4-1) 원점과 외곽선과 복수의 축으로 구성된 복수의 그리드 타입에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과의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이 가장 작은 그리드 타입을 결정한 다음,
4-2)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각각 산출하고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과 대응되도록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축의 위치를 1차로 조정한 다음,
4-3) 복수의 축의 위치가 1차로 조정된 그리드 타입의 원점을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에서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이 최소값이 되는 곳에 위치시킨 다음,
4-4) 원점이 설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과 대응되는 것을 유지하며 불합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원점이 설정된 그리드 타입에서 외곽선과 복수의 축의 위치를 2차로 조정함으로써,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메인 서버(30)는 4-1)에서 복수의 그리드 타입에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과 가장 유사한 그리드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그리드 타입은 각각 원점과, 원점이 위치하는 외곽선과, 외곽선을 분할하는 복수의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그리드 타입 각각은 외곽선과 복수의 축(가로축과 세로축)에 의해 복수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그리드 타입 각각의 복수의 영역은 재활용영역, 쓰레기영역, 작업영역, 동선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그리드 타입 각각은 외곽선이 사각형의 각 변을 구성하는 정형적인 형태일 수 있으며 총 면적값은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총 면적값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그리드 타입 각각은 복수의 영역의 배열에 따라 직렬형과 병렬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서버(30)는 복수의 그리드 타입 각각을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에 투영할 수 있으며 불합치 영역(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에서 복수의 그리드 타입과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이 일치하지 않는 영역, 즉,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의 면적값이 가장 작은 그리드 타입 하나를 결정(일 예로, 직렬형 그리드 타입과 병렬형 그리드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그리드 타입 각각에서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은 설계도면에서 복수의 그리드 타입 각각의 원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그리드 타입 각각에서 원점의 위치에 따른 복수의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의 최소값으로 상호 비교한다.
그 다음, 메인 서버(30)는 4-2)에서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재활용센터는 재활용영역, 쓰레기영역, 작업영역, 동선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메인 서버(30)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의 영역에 면적값을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서버(30)는 입주자수를 세대수로 산술적으로 나눈 변수가 특정값을 초과하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총 면적값에서 재활용영역의 면적값:쓰레기영역의 면적값:작업영역의 면적값:동선영역의 면적값이 2:2:1:0.5가 되도록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입주자수를 세대수로 산술적으로 나눈 변수가 특정값 이하이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총 면적값에서 재활용영역의 면적값:쓰레기영역의 면적값:작업영역의 면적값:동선영역의 면적값이 1.5:2.3:1.2:0.5가 되도록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즉, 세대 당 세대원 수가 적을수록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반영하여 재활용영역의 면적값을 줄이고 쓰레기영역과 작업영역의 면적값을 늘린 것이다.
또한, 메인 서버(30)는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과 대응되도록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축의 위치를 1차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외곽선을 유지(즉, 정형적인 사각형 형태를 유지)하며 상호 직교하거나 평행한 복수의 축만을 가로 방향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켜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메인 서버(30)는 4-3)에서 복수의 축의 위치가 1차로 조정된 그리드 타입의 원점을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외곽선을 따라 이동시키며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이 최소값이 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메인 서버(30)는 복수의 축의 위치가 1차로 조정된 그리드 타입을, 즉, 외곽선을 유지하며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만이 조정된 그리드 타입을,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과 최대한 일치되는 곳으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메인 서버(30)는 4-4)에서 원점이 조정된 그리드 타입의 외곽선과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외곽선이 일치되도록 원점이 조정된 그리드 타입의 외곽선을 조정한 다음 이에 따라 변경된 원점이 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과 대응되도록 원점이 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축만을 가로 방향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킴으로써, 종국적으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1000)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컴퓨터 프로그래밍 처리에 의해 공공주택에 재활용센터 도면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설계자 단말이 메인 서버로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 면적값을 산출하는 제2단계;
    상기 메인 서버가 설계 면적값을 처리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할당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메인 서버가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분할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제4단계에서, 상기 메인 서버는 원점과 외곽선과 복수의 축으로 구성된 복수의 그리드 타입에서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과의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이 가장 작은 그리드 타입을 결정한 다음, 세대수와 입주자수를 처리하여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각각 산출하고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면적값이 대응되는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면적값과 동일하도록 결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축의 위치를 1차로 조정한 다음, 복수의 축의 위치가 1차로 조정된 그리드 타입의 원점을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에서 불합치 영역의 면적값이 최소값이 되는 곳에 위치시킨다음, 원점이 설정된 그리드 타입의 복수의 영역 각각의 면적값이 대응되는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의 면적값과 동일한 것을 유지하며 불합치 영역이 존재하지 않도록 원점이 설정된 그리드 타입에서 외곽선과 복수의 축의 위치를 2차로 조정함으로써,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입주자수를 세대수로 산술적으로 나눈 변수가 특정값을 초과하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총 면적값에서 재활용영역의 면적값:쓰레기영역의 면적값:작업영역의 면적값:동선영역의 면적값이 2:2:1:0.5가 되도록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각각 산출하고, 입주자수를 세대수로 산술적으로 나눈 변수가 특정값 이하이면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의 총 면적값에서 재활용영역의 면적값:쓰레기영역의 면적값:작업영역의 면적값:동선영역의 면적값이 1.5:2.3:1.2:0.5가 되도록 설계도면의 재활용센터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의 면적값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KR1020220121561A 2022-09-26 2022-09-26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KR10250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561A KR102503750B1 (ko) 2022-09-26 2022-09-26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561A KR102503750B1 (ko) 2022-09-26 2022-09-26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750B1 true KR102503750B1 (ko) 2023-02-24

Family

ID=8533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561A KR102503750B1 (ko) 2022-09-26 2022-09-26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7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02B1 (ko) * 2015-07-10 2016-10-28 삼성물산 주식회사 파라메트릭 툴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자동 설계 방법
KR20190044263A (ko) * 2017-10-20 2019-04-30 (주)케이디플래너스 건축사사무소 인터넷상에서의 건축설계 정보제공 방법
KR102304386B1 (ko) * 2020-12-31 2021-09-23 정다은 사용자의 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건축물 설계 대안 생성 시스템
KR102373276B1 (ko) * 2021-06-29 2022-03-18 (주)아인스에스엔씨 빅데이터 기반의 공공 시설물의 입지 선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02B1 (ko) * 2015-07-10 2016-10-28 삼성물산 주식회사 파라메트릭 툴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자동 설계 방법
KR20190044263A (ko) * 2017-10-20 2019-04-30 (주)케이디플래너스 건축사사무소 인터넷상에서의 건축설계 정보제공 방법
KR102304386B1 (ko) * 2020-12-31 2021-09-23 정다은 사용자의 설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건축물 설계 대안 생성 시스템
KR102373276B1 (ko) * 2021-06-29 2022-03-18 (주)아인스에스엔씨 빅데이터 기반의 공공 시설물의 입지 선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lo et al. Development of surrogate model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building shell energy labelling
US10831942B2 (en) Partitioning of a network using multiple poles for each part thereof
US20180285470A1 (en) A Mobile Web Cache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HTML5 Application Caching
CN111898221B (zh) 选址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61390B (zh) 确定口碑场景覆盖小区的方法及装置
CN105700478A (zh) 生成数控机床加工控制数据的系统及方法
US11475175B2 (en) Intelligent design structure selec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computing environment
CN111079263A (zh) 建筑主体结构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EP4250593A1 (en) Satellite terminal access management method, core network, computer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4679802A (zh) 旅游规划装置以及旅游规划方法
Rodríguez et al. Setting intelligent city tiling strategies for urban shading simulations
Maestre et al. Improving direct solar shading calculations within building energy simulation tools
CN114626134B (zh) 基于bim的管线综合优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503750B1 (ko) 비정형 공간에 맞추어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KR102503749B1 (ko) 세대수와 입주자수 데이터를 처리하여 면적이 자동으로 할당되는 공공주택 재활용센터 도면설계 방법
Aish et al. Progress towards multi-criteria design optimisation using DesignScript with SMART form, robot structural analysis and Ecotect building performance analysis
CN107423299B (zh) 一种选址方法及装置
CN113096251A (zh) 基于cim的模型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775852B2 (en) Network optimization
Reynders et al. Towards an IFC-Modelica tool facilitating model complexity selection for building energy simulation
CN114730347A (zh) 用于创建物理空间的布局的计算机实现的技术
CN116321193B (zh) 信号覆盖定量评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Xu et al. A generative computational workflow to develop actionable renovation strategies for renewable built environments: A case study of Sheffield
CN116074852B (zh) Uwb定位基站布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634704A (zh) 一种用于旅游景点的选址优化方法、系统、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