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074B1 -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배열체를 갖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배열체를 갖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074B1
KR102503074B1 KR1020237001460A KR20237001460A KR102503074B1 KR 102503074 B1 KR102503074 B1 KR 102503074B1 KR 1020237001460 A KR1020237001460 A KR 1020237001460A KR 20237001460 A KR20237001460 A KR 20237001460A KR 102503074 B1 KR102503074 B1 KR 102503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ductor
conductor tube
contact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500A (ko
Inventor
졸탄 레파시
프레드리크 그라스
에리크 포르스베리
페테르 오스트란드
로니에 블롬베리
알레한드라 라바날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히타치 에너지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15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5Impregnating or encapsu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265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11), 및 전기 전도체 (15) 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의 하우징 (11) 내의 접촉 배열체 (1) 를 포함하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에 관한 것이다. 접촉 배열체는, 전도체 튜브 (2); 전도체 튜브 (2) 에 체결되고, 전기 전도체 (15) 를 수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리시버 접촉부 (4); 및 리시버 접촉부 (4) 가 전도체 튜브의 축방향 (z) 으로 실질적으로 이동 불가능하면서 전도체 튜브의 횡단면에 평행한 평면 (xy) 에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 (11) 에 체결되고 전도체 튜브 (2) 의 외측에 연결되는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배열체를 갖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전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기 유도 디바이스의 하우징 내의 접촉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부싱을 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변압기 내의 부싱의 근위 단부에서 전기 접촉부를 액세스하고 수동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변압기 탱크 내의 맨홀이 필요하다. 대안적으로, 맨홀의 필요 없이 부싱의 원위 단부에서 전기 접촉부를 연결하기 위해 드로우-로드 시스템 (draw-rod system) 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배열체에 수동으로 접근하기 위한 하우징 내의 맨홀 필요 없이 전기 유도 디바이스의 하우징 내의 접촉 배열체에서 전기 유도 디바이스, 예컨대 변압기 또는 리액터와, 예를 들어 부싱, 케이블 엔딩 (cable ending) 또는 서지 어레스터 (surge arrester) 의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접촉 배열체는 작업자가 물리적으로 접근하여 접촉 배열체를 조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인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하우징, 및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기 유도 디바이스의 하우징 내의 접촉 배열체를 포함하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접촉 배열체는, 전도체 튜브; 전도체 튜브에 체결되고, 전기 전도체를 수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리시버 접촉부; 및 리시버 접촉부가 전도체 튜브의 축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이동 불가능하면서 전도체 튜브의 횡단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체결되고 전도체 튜브의 외측에 연결되는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기 유도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 및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는 유도 디바이스 배열체가 제공되며, 접촉 배열체는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기 전도체; 및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본 발명의 접촉 배열체의 일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부가 제공된다.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에 의해, 리시버 접촉부는 접촉 배열체에 도입될 때 전기 전도체의 위치에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xy-평면에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 전도체가 접촉 배열체에 도입될 때 전기 전도체의 위치 및/또는 경사에 대해 제공되는 증가된 공차는 예를 들어 하우징 내의 맨홀을 통해, 접촉 배열체를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 없이, 접촉 배열체의 리시버 접촉부를 통해 전기 전도체를 전도체 튜브와 전기적으로 (갈바니 전기적으로 (galvanically))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전기 전도체는 하우징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단지 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더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임의의 양태의 임의의 특징이 적절하다면 임의의 다른 양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양태의 임의의 이점이 임의의 다른 양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첨부된 실시형태들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첨부된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그리고 도면들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구항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의 그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의/상기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단계 등" 의 모든 언급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사례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개방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상이한 특징들/구성요소들에 대한 "제 1", "제 2" 등의 사용은 단지 특징들/구성요소들을 다른 유사한 특징들/구성요소들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특징들/구성요소들에 임의의 순서 또는 계층을 부여하려는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써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전기 유도 디바이스 및 그에 연결된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는 유도 디바이스 배열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전기 유도 디바이스의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접촉 배열체의 종방향 단면에서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전기 전도체 및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배열체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부의 종방향 단면에서의 개략도이다.
이제, 특정 실시형태들이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들을 이하에서 더 충분히 설명한다. 그러나, 많은 상이한 형태들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오히려, 다음의 실시형태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예로써 제공되며, 본 개시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충분히 전달할 것이다.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들을 가리킨다.
도 1 은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및 전도체 배열체 (16) 를 포함하는 유도 디바이스 배열체 (100) 를 도시한다.
유도 디바이스 (10) 는 예를 들어 변압기 또는 반응기, 예를 들어 고전압 변압기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디바이스 (10) 는 하우징 (11), 예를 들어 변압기 탱크 또는 반응기 탱크를 포함하며, 이는 유도 디바이스의 권선 배열체 (17) 의 전도체 권선들을 둘러쌀 수도 있다. 유도 디바이스 (10) 는 유체 충전될 수도 있고, 하우징 (11) 은 전기 절연 유체 (12), 예를 들어 가스 또는 액체, 전형적으로 변압기 오일 또는 에스테르 액체와 같은 액체로 충전된다. 하우징 (11) 의 상부 또는 측벽 (13) 의 개구를 통해, 유도 디바이스 (10) 에, 전형적으로 권선 배열체 (17) 의 권선들 중 임의의 것에, 예를 들어 상기 벽 (13) 의 터릿 (turret; 14) 에 전기 전도체 (15) 가 갈바니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도체 배열체 (16) 는 전기 전도체 (15) 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부싱, 케이블 엔딩 또는 서지 어레스터, 예를 들어 고전압 부싱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체 배열체는 예를 들어 접촉 배열체 (1) 에 의해 밀봉되어, 전기 절연 유체 (12) (존재하는 경우) 가 예를 들어 전기 전도체 (15) 내에서 또는 이를 따라 전도체 배열체 (16) 에 진입할 수 없다. 전기 전도체는 예를 들어 솔리드 로드 (solid rod), 가요성 와이어 또는 튜브, 바람직하게는 전도체 튜브의 형태일 수도 있다.
접촉 배열체 (1) 는 하우징 (11) 내에 배열되고, 전형적으로 하우징에 체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하우징에 장착된다. 전도체 배열체 (1) 는 전기 전도체 (15) 를 하우징 (11) 내에서 유도 디바이스 (10) 의 전도체 튜브 (2) 와 전기적으로 (갈바니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 연결부 (101) 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도 2 는 하우징 (11) 에, 예를 들어 그의 터릿 (14) 에 장착된 접촉 배열체 (1) 를 도시한다. 하우징 (11) 은 예를 들어 하우징의 벽 (13) 을 통해 관형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개구에는 접촉 배열체가 장착된다.
접촉 배열체 (1) 는, 리시버 접촉부에 수용될 때 전기 전도체 (15) 에 대해 가압하여 전기 전도체와의 갈바닉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가요성 핑거 또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리시버 접촉부 (4) 를 포함한다. 리시버 접촉부 (4) 는 전도체 튜브 (2) 에, 예를 들어 전도체 튜브의 단부 (7) 에 또는 상기 단부 (7) 에서 전도체 튜브의 내측 (8) 에 체결된다. 일례로서, 리시버 접촉부 (4) 는 Staubli 의 MULTILAM flexo ML-CUX™ 일 수도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시버 접촉부 (4) 는 xy-평면 (전도체 튜브 (2) 의 횡단면에 평행한 평면, 예를 들어 전도체 튜브 (2) 의 반경방향 평면) 에서 이동 가능하지만, 전도체 튜브 (2) 의 축 (종방향) 방향인 z-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이동 불가능하다 (또한, x, y 및 z 방향뿐만 아니라 xy-평면을 도시하는, 도 2 의 우측에 도시된 개략적인 3차원 직교 좌표계 참조). xy-평면에서 이동 가능한 리시버 접촉부 (4) 에 의해, 리시버 접촉부는, 벽 (13) 의 개구에 삽입될 때 전기 전도체 (15) 의 근위 단부 (18) 를 수용하고 이와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z-방향으로 하우징 (11) 내로 더 가압됨이 없이, xy-평면에서 자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전기 전도체를 수용할 때 리시버 접촉부 (4) 위치의 조정을 추가로 돕기 위해, 리시버 접촉부 (4) 및/또는 전도체 튜브 (2) 의 단부 (7) 는 xy-평면에서 리시버 접촉부의 이동을 유발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면서 전기 전도체 (15) 의 근위 단부 (18) 를 리시버 접촉부로 안내하기 위한, 예를 들어 챔퍼 등을 포함하는 안내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응하는 안내 표면은, 예를 들어, 테이퍼지거나 둥근 근위 단부 (18) 에 의해, 전기 전도체의 근위 단부 (18) (도 3) 의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리시버 접촉부 (4) 가 전도체 튜브 (2) 에 체결되기 때문에, 또한 상기 전도체 튜브 (2) 가 적어도 전도체 튜브의 단부 (7) 에서 xy-평면에서 이동 가능하지만, 전도체 튜브의 다른 부분들은 고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 암시된다. 전도체 튜브 (2) 는, 전도체 튜브의 다른 부분은 이동 불가능한 (고정된) 반면, 전도체 튜브의 단부 부분이 그의 단부 (7) 에서 xy-평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요성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시버 접촉부 (4) 는 리시버 접촉부 (4) 가 xy-평면에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 (11) 에 체결되고 전도체 튜브 (2) 의 외측 (6) 에 연결된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는 xy-평면에서 스프링 작용을 갖지만 z-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프링은 예를 들어 스프링 강 등의 절곡된 시트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가 전도성이 아니며, 하우징 (11) 으로부터 전도체 튜브 (2) 를 절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는 전형적으로 전도체 튜브 (2) 의 외부 및 주위에, 예를 들어 전도체 튜브의 둘레를 따르는 것과 같이 전도체 튜브의 반경방향 평면에 배열된다.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는 전도체 튜브의 둘레를 따라 전도체 튜브 (2) 의 외측 (6) 에 단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는 스페이서 (5), 예를 들어 전도체 튜브의 반경방향 평면 (xy-평면) 에서 전도체 튜브의 외측 (6) 을 둘러싸는 링을 통해 전도체 튜브 (2) 의 외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리시버 접촉부 (4) 가 축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에 의해, 리시버 접촉부 (4) 는 전형적으로 또한 x 또는 y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즉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는 x 및 y 축을 중심으로 토크를 차지한다. 또한, 전도체 튜브 (2) 뿐만 아니라 리시버 접촉부 (4) 는 전형적으로 축방향 (z)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 은 리시버 접촉부 (4) 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리시버 접촉부를 통해 전도체 튜브 (2)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전도체 (15) 에 의해 형성된 전기 연결부 (101) 를 도시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내 표면은, 예를 들어, 테이퍼지거나 둥글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챔퍼를 나타내는 근위 단부 (18) 에 의해 전기 전도체 (15) 의 근위 단부 (18) 의 외측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전기 전도체 (15) 의 근위 단부 (18) 가 리시버 접촉부 (4) 에 의해 수용될 때 xy-평면에서 리시버 접촉부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리시버 접촉부 (4) 및/또는 전도체 튜브 (2) 의 단부 (7) 에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접촉 배열체 (1) 가 전기 전도체 (15) 와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 리시버 접촉부 (4) 는 휴지 위치 (바이어스되지 않은 위치) 에 있을 수 있는 반면, 리시버 접촉부가 전기 전도체 (15) 의 근위 단부 (18) 를 수용하고 있을 때, 리시버 접촉부 (4) 는 전기 전도체를 수용하고 적절히 연결하기 위해 바이어스된 위치로 xy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리시버 접촉부 (4) 는 xy-평면에서 휴지 위치로부터 상기 바이어스된 위치까지 최대 거리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최대 거리는 예를 들어 10 mm 내지 30 mm 또는 50 mm 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최대 거리는 전형적으로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의 설계에 의존한다.
본 발명은 주로 몇몇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위에서 개시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Claims (11)

  1.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로서,
    하우징 (11); 및
    전기 전도체 (15) 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상기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의 상기 하우징 (11) 내의 접촉 배열체 (1)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배열체는,
    전도체 튜브 (2);
    상기 전도체 튜브 (2) 에 체결되고, 상기 전기 전도체 (15) 를 수용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리시버 접촉부 (4); 및
    상기 리시버 접촉부 (4) 가 상기 전도체 튜브의 축방향 (z) 으로 실질적으로 이동 불가능하면서 상기 전도체 튜브의 횡단면에 평행한 평면 (xy) 에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11) 에 체결되고 상기 전도체 튜브 (2) 의 외측에 연결되는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를 포함하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접촉부 (4) 는 환형이고 상기 전도체 튜브 (2) 의 내측 (8) 또는 단부 (7) 에 체결되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는 상기 전도체 튜브의 둘레 주위에서 상기 전도체 튜브 (2) 의 외측 (6) 에 단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서스펜션 배열체 (3) 는 상기 전도체 튜브의 반경방향 평면 (xy) 에서 상기 전도체 튜브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5) 을 통해 상기 전도체 튜브 (2) 의 외측 (6) 에 연결되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접촉부 (4) 는 10 mm 내지 30 mm 의 범위 내에 있는 평행 평면 (xy) 내의 휴지 위치로부터 최대 거리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11) 은 전기 절연 유체 (12), 예컨대 액체로 충전되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는 변압기 또는 반응기이거나 변압기 또는 반응기를 포함하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8. 유도 디바이스 배열체 (100) 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유도 디바이스 (10); 및
    상기 전기 전도체 (15)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배열체 (1) 는 상기 전기 전도체 (15) 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유도 디바이스 배열체 (10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 (15) 가 포함되는, 부싱, 케이블 엔딩 (cable ending) 또는 서지 어레스터 (surge arrester; 16)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유도 디바이스 배열체 (100).
  10. 삭제
  11. 삭제
KR1020237001460A 2020-07-20 2021-06-24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배열체를 갖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KR102503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86630.8A EP3944270A1 (en) 2020-07-20 2020-07-20 Electrical contact between an induction device and a conductor
EP20186630.8 2020-07-20
PCT/EP2021/067309 WO2022017717A1 (en) 2020-07-20 2021-06-24 Electrical induction device with contact arrangement for electrically conta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500A KR20230015500A (ko) 2023-01-31
KR102503074B1 true KR102503074B1 (ko) 2023-02-23

Family

ID=7172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460A KR102503074B1 (ko) 2020-07-20 2021-06-24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배열체를 갖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69618B2 (ko)
EP (1) EP3944270A1 (ko)
KR (1) KR102503074B1 (ko)
CN (1) CN116134556B (ko)
WO (1) WO202201771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90Y1 (ko) 2002-04-10 2002-07-27 동미전기공업(주) 변압기용 붓싱 고정장치
JP2008027003A (ja) 2006-07-18 2008-02-07 Ricoh Co Ltd 表示制御システム、スクロール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673523B1 (ko) 2016-05-19 2016-11-07 계명전기공업(주) 변압기용 부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3891A (en) * 1959-07-06 1963-01-15 Mc Graw Edison Co Rotatable insulating bushing
US3258524A (en) * 1964-05-07 1966-06-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vable electrical insulating bushing
US5952617A (en) * 1996-04-19 1999-09-14 Jersey Central Power & Light Company Power transformer and coupling means
CN101136280A (zh) * 2006-08-31 2008-03-05 Abb技术有限公司 高压设备、高压套管以及装配所述设备的方法
DE602007011562D1 (de) * 2007-02-20 2011-02-10 Ian Gray Lötfreier rechtwinkeliger Koaxialverbinder
EP2528071B1 (en) * 2011-05-27 2018-08-08 ABB Schweiz AG High voltage arrangement comprising an insulating structure
JP5925443B2 (ja) * 2011-08-02 2016-05-25 株式会社東芝 静止誘導電気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7203205A1 (de) * 2017-02-28 2018-08-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abelbrückenmodul zur flexiblen verknüpfung von verbindungsklemmen
DE102018201160A1 (de) * 2018-01-25 2019-07-25 Pfisterer Kontaktsysteme Gmbh Hochspannungsdurchführung, elektrisches Gerät mit Hochspannungsdurchfüh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elektrischen Gerät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90Y1 (ko) 2002-04-10 2002-07-27 동미전기공업(주) 변압기용 붓싱 고정장치
JP2008027003A (ja) 2006-07-18 2008-02-07 Ricoh Co Ltd 表示制御システム、スクロール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673523B1 (ko) 2016-05-19 2016-11-07 계명전기공업(주) 변압기용 부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34556A (zh) 2023-05-16
KR20230015500A (ko) 2023-01-31
EP3944270A1 (en) 2022-01-26
WO2022017717A1 (en) 2022-01-27
US11769618B2 (en) 2023-09-26
CN116134556B (zh) 2023-12-08
US20230197326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4632B1 (de) Freiluftendverschluss
US7909613B2 (en) Coaxial connecting device
US6916193B2 (en) Subsea connector
JP4621707B2 (ja) 気中終端接続部用がい管ユニット
US7736181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interface
KR102503074B1 (ko) 전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접촉 배열체를 갖는 전기 유도 디바이스
US10760640B2 (en) High-voltage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orheological device
US4234757A (en) Electrical cable accessories configured for lubricated installation
US11295876B2 (en) High-voltage feed-through, electrical device having a high-voltage feed-throug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electrical device
KR960016779B1 (ko) 점화 플러그 케이블용 보강부트
US4978309A (en) Igniter cable connector
US5307037A (en) Shim lead assembly with flexible castellated connector for superconducting magnet
CN213546021U (zh) 高压套管
CN104682090B (zh) 具有线保持管的电连接器
EP2600358B1 (de) Überspannungsableiter
US5185500A (en) Inner conductor contact for coaxial cables with braided inner conductor
EP2528071A1 (en) High voltage arrangement comprising an insulating structure
EP0109836B1 (en) Bushing
US5201666A (en) Adapter for enabling connection of vintage oil fuse cutouts and the like with modern cable lead connector systems
CN114930644A (zh) 用于设置在屏蔽导线上的插接连接器的张力减轻
CN112003041A (zh) 一种电缆连接器组件
Zierhut et al. Influence of expansion o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stress cones for high voltage cable accessories
EP3826035A1 (en) Draw-rod bushing with sealed bottom contact
CN109155177A (zh) 用于将高压导体与电气设备的绕组连接的设备
CN210202346U (zh) 电磁屏蔽装置和屏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