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429B1 -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429B1
KR102502429B1 KR1020220101139A KR20220101139A KR102502429B1 KR 102502429 B1 KR102502429 B1 KR 102502429B1 KR 1020220101139 A KR1020220101139 A KR 1020220101139A KR 20220101139 A KR20220101139 A KR 20220101139A KR 102502429 B1 KR102502429 B1 KR 102502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area
module
service
emergency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소영
정은비
유승민
고상필
이준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0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는 의사결정 지원모듈;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상기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 및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upporting Metropolitan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ervices}
본 개시는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M-DRT, Metropolitan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ervices)는 둘 이상의 시·도 간의 광역 통행을 서비스하기 위한 수요응답형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의 세부 유형으로, 대광위로부터 한정면허를 부여받은 여객자동차운송사업자가 여객자동차운송플랫폼을 통해 이용자의 수요에 응하여 차량의 종류, 운행계통 및 운행시간을 가변적으로 운행하는 여객 운송 서비스이다.
여객 운송 서비스를 위해, 개별 플랫폼 운송사업자가 개별 사업 내에서 차량의 효율적 공급 및 운행, 이용자에게 신속한 배차를 위한 플랫폼, 즉 개별 관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나, 타 교통수단, 타 플랫폼 사업자의 운영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체계는 도입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수요응답형 운송서비스의 경우, 데이터 표준, 운영체계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각종 비상 대응 주체가 개별 운전자이기 때문에 기존 대중교통시스템 등 연계한 통합 센터 관리 대응 체계가 필요하다.
본 개시는, 수요응답형 운송수단 정보를 활용한 정책평가, 안전지도 구축 및 비상대응 체계확보 지원을 위한 관한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수요응답형 운송수단 정보를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수집하여, 이용자가 필요한 교통 서비스 유형, 특징 등 잠재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실시간, 정기, 또는 비정기적인 쌍방향 정보 소통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교통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제적 의사 결정 및 디지털 인프라 수집 체계 확보를 지원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는 의사결정 지원모듈;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상기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 및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상기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및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하드웨어인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및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수요응답형 운송수단 정보를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수집하여, 이용자가 필요한 교통 서비스 유형, 특징 등 잠재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실시간, 정기, 또는 비정기적인 쌍방향 정보 소통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교통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제적 의사 결정 및 디지털 인프라 수집 체계 확보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통서비스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최저 서비스의 정량적 평가 체계 확보하여 이용객 만족도를 향상시킬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무적 지속가능성 판단에 근거하여, 수요응답형 서비스 모델 유형 기준 및 객관적 평가를 통한 투명한 사업 관리 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요응답형 운송수단에 적합한 미래형 도로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의 유지관리 효율성 확보를 위한 시민 참여형 정보수집이 가능하며, 담당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즉각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편리한 저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RT 지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RT 서비스 운영 지원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RT 지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RT 지원장치(10)는 의사결정 지원모듈(100),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120) 및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140)의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M-DRT 지원장치(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M-DRT 지원장치(10)의 하위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기능 요소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M-DRT 지원장치(10)는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이하, M-DRT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14), 및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운영기관(16)으로부터 실시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평가, 안전지도 구축 및 비상대응 체계확보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플랫폼 운송사(12), 지자체(14) 및 대중교통 운영기관(16)은, 각각 플랫폼 운송사, 지자체 및 대중교통 운영기관(이하 '관련 기관')에서 운용하는 서버 및/또는, 관련 기관의 직원이 사용하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플랫폼 운송사(12)는, 예컨대 민간 또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여객 운송 서비스 사업자이고, 대중교통 운영기관(16)은, 예컨대 교통공사일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사결정 지원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의사결정 지원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실시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의사결정 지원모듈(100)은, 각 플랫폼 운송사(12)들이 이용자의 최저 서비스 기준을 만족하면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의사결정 지원모듈(100)은, 각 플랫폼 운송사(12)별 또는 노선별 운영 실적을 분석할 수 있으며, 플랫폼 운송사(12)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운영 효율이 저조하다고 판단될 경우, 민간 서비스를 지속할지, 아니면 정부에서 재정을 투입하여 운영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의사결정 지원모듈(100)은 사전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가, 수집 또는 분석된 데이터를 열람하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의사결정 지원모듈(100)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12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 및 하나 이상의 지자체(14)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프라는 예컨대, 이용자의 승하차를 위해 모빌리티가 정차하는 구역, 정류장, 및 이들의 인근 도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120)은 각 인프라의 안정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인프라의 등급을 구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120)은 사전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예컨대, 지자체의 M-DRT 서비스 관련 담당자)가 데이터베이스 내 정보를 열람하고,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120)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140)은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140)은 대중교통 운영기관(16)으로부터 비상대응 상황을 접수하여, 실시간 모빌리티 서비스 물량 및 비상상황 영향권을 분석하고, 영향권 내의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140)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모듈(100)은 운송사 정보 수집모듈(200), 분석모듈(220), 평가모듈(240),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260)의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의사결정 지원모듈(1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운송사 정보 수집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실시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표 1은 운송사 정보 수집모듈(200)이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 정보들의 일 예를 나타낸다.
구분 상세 정보
이용자 정보 모빌리티 요청 기록(요청시 장소, 시간, 서비스 요청 내역 등)
제공 서비스 기록(서비스 제공받기까지 대기시간, 탑승확인 기록, 도착지 등 서비스 변경했을 경우 이에 대한 변경 기록 등)
서비스 종료 기록 (최종도착지 정보, 도착시간 정보, 요금지불 기록 등)
운영자 정보 이용자 서비스 요청 후 배차까지 대응하는 시간 기록, 해당 서비스를 위한 시간대별 차량 투입대수, 운전자 기준 일 주행시간, 주행거리, 차량 기준 일 주행시간, 주행거리 등
사고(이벤트) 정보 차대차, 차대사람 등 통상적으로 인식하는 교통사고 이력 정보
플랫폼 오류로 인한 차량 운행일시 중단 이력 정보 - 차량은 플랫폼에서 제시하는 경로만 따라서 주행하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임의로 운행하면 이 또한 사고(이벤트) 정보로 인식
이용자가 앱을 통한 경로 변경 절차 없이, 운행 중 갑자기 하차를 요청하는 경우의 이력 정보
분석모듈(220)은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M-DRT 서비스의 운영현황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석모듈(22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설정된 배차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획득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운행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배차알고리즘에 따라, 최적 배차가 이루어졌을 때, 소요되는 차량, 개별 이용자 통행시간 및/또는 거리 정보를 추정하고, 추정된 결과를 각 플랫폼 운송사의 실제 운행결과와 비교하여, M-DRT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석모듈(22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모듈(220)은 이용자의 승하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정차구역 목록을 생성하고, 각 정차구역의 이용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석모듈(22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분석모듈(220)은 다수의 플랫폼 운송사(12)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구역 및 서비스 음영 지역을 파악할 수 있다. 분석모듈(220)은 파악된 정보를 기초로, 지자체(14) 및/또는 플랫폼 운송사(12)의 권장 서비스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석모듈(220)은, 지자체(14) 및/또는 플랫폼 운송사(12)가 서비스 음영지역에 대한 즉각 대응 전략 수립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석모듈(22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다. M-DRT 서비스는 디지털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일반 사고와 달리, 사소한 에러 등의 징후가 향후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분석모듈(220)은 기존 주행 이력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지자체(14) 및/또는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서비스 운용시 발생가능한 안전 문제를 사전에 검지하여 예방할 수 있다.
평가모듈(24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에 대해, 최저 서비스 기준 충족 여부, 재무적 지속 가능성 및 서비스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가모듈(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 서비스 지표 산출모듈(300),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 및 안정성 지표 산출모듈(34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평가모듈(24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최저 서비스 지표 산출모듈(300)은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개별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실적치, 기설정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 및 기설정된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에 근거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실적치는, 플랫폼 운송사(12)의 개별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 이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값으로, 예컨대, 콜 응답시간, 서비스 대기시간, 서비스 이용 차내 시간 및 통행 비용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 및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는 서비스 실적치의 각 항목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최저 서비스 지표 산출모듈(300)은,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사전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실적치의 각 항목에 대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 및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서, 최저 서비스 지표 산출모듈(30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의 서비스 실적치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 및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최저 서비스 지표 산출모듈(300)은, 각 항목에 대해, 서비스 실적치와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 간의 차가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 이하인 서비스를 제공한 횟수를 집계하여, 최저 서비스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콜 응답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는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2084512255-pat00001
여기서, C_indexresponse는 특정 플랫폼 운송사(12)의 콜 응답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이고, tresponse(i)는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i번째 서비스(또는 이용자)에서의 콜 응답시간, tresponse(0)은 콜 응답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이며, a는 콜 응답시간에 대한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이다. 한편, n은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총 서비스 제공횟수(또는 총 이용자 수)이다.
다른 예로, 서비스 대기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는 수학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2084512255-pat00002
여기서, C_indexwait는 특정 플랫폼 운송사(12)의 서비스 대기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이고, twait(i)는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i번째 서비스(또는 이용자)에서의 서비스 대기시간, twait(0)은 서비스 대기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이며, b는 서비스 대기시간에 대한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이다.
다른 예로, 서비스 이용 차내 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는 수학식 3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2084512255-pat00003
여기서, C_indexinVehicle는 특정 플랫폼 운송사(12)의 서비스 이용 차내 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이고, tinVehicle(i)는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i번째 서비스(또는 이용자)에서의 서비스 이용 차내 시간, tinVehicle(0)은 서비스 이용 차내 시간에 대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이며, c는 서비스 이용 차내 시간에 대한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이다.
다른 예로, 통행 비용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는 수학식 4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2084512255-pat00004
여기서, C_indexcost는 특정 플랫폼 운송사(12)의 통행 비용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이고, tcost(i)는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i번째 서비스(또는 이용자)에서의 통행 비용, tcost(0)은 통행 비용에 대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이며, c는 통행 비용에 대한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이다.
M-DRT 서비스의 이용자는 어떠한 플랫폼 운송사(12)의 서비스를 활용하더라도, 정부에서 정하는(할) 최저 서비스 기준을 만족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권리가 있다. 최저 서비스 지표 산출모듈(300)은 각 플랫폼 운송사(12)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최저 서비스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이를 위배할 경우, 이에 따른 정당한 댓가가 지불되었는지를 점검할 수 있다.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운영 실적데이터, 기설정된 재정지원 비율 및 기설정된 최저 보장이윤에 근거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에 대한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 실적데이터는,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 및 운송 수익을 포함할 수 있다.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운송 수익과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 간의 차를 기반으로,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가 복수개의 등급 중 어느 등급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플랫폼 운송사(12)의 운송 수익과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 간의 차가 기설정된 최저 보장이윤 이상이면,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S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특정 플랫폼 운송사(12)의 운송 수익과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 간의 차가 '0'인 경우, 즉 운송 수익과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이 동일한 경우,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A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특정 플랫폼 운송사(12)의 운송 수익과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 간의 차와 기설정된 재정보조금의 합이 '0'보다 큰 경우,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재정보조금의 금액에 따라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B 등급, C 등급 또는 D 등급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정보조금의 금액이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에 제1 가중치를 곱한 값 이하인 경우,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B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재정보조금의 금액이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에 제2 가중치를 곱한 값 이하인 경우,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C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재정보조금의 금액이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에 제3 가중치를 곱한 값 이하인 경우,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해당 플랫폼 운송사(12)의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D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중치 내지 제3 가중치는 운송 비용 대비 재정지원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높은 등급에 해당할수록 낮은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 기준은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22084512255-pat00005
여기서, y는 운송 수익이고, x는 운송단가 기준 운송 비용, r은 최저 보장이윤, z는 재정보조금이며, a, b 및 c는 각각 운송 비용 대비 재정지원 비율이다.
한편, 최저 보장이윤 및 운송 비용 대비 재정지원 비율은,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사전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서,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32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의 운영 실적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최저 보장이윤 및 운송 비용 대비 재정지원 비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안정성 지표 산출모듈(340)은 플랫폼 운송사(12)의 주행 이력데이터를 기초로, 주행 이력데이터의 각 항목에 기설정된 위험도 등급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에 대한 안정성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이력데이터는, 안정성 지표 산출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로, 예컨대, 플랫폼 운송사(12)가 운영하는 모빌리티의 급제동 횟수, 급정거 횟수, 교통사고 횟수, 도로 안전 인프라 맵 기준 안전 지역 정차 횟수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안전 지역은, 관련법 등에 근거하여 사전에 설정된 승하차 금지 구역을 제외한 구역을 의미할 수 있다. 승하차 금지 구역은, 예컨대, 도로교통법 제23조에 의거하여 이용자의 모빌리티 호출이 제한된 지역, 자동차 전용도로 내 휴게소를 제외한 모든 구역, 고속도로 내 휴게소를 제외한 모든 구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성 지표 산출모듈(340)은 주행 이력데이터의 각 항목에 대해, 위험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정성 지표 산출모듈(340)은 각 항목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위험도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안정성 지표 산출모듈(340)은 주행 이력데이터의 각 항목에 대해, 교차테이블에서 위험도 등급에 따른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표 2는 안정성 지표 산출모듈(340)이 이용할 수 있는 교차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위험도 등급
1 2 3 4 5 6 7 8


항목
급제동 a1 a2 a3 a4 a5 a6 a7 a8
교통사고 b1 b2 b3 b4 b5 b6 b7 b8
안전벨트 미착용 출발 c1 c2 c3 c4 c5 c6 c7 c8
안전지역정차 d1 d2 d3 d4 d5 d6 d7 d8
...
안정성 지표 산출모듈(340)은 항목별로 부여된 점수를 합산한 값을 안정성 지표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급제동, 교통사고, 안전벨트 미착용 출발 및 안전지역 정차의 각 항목에 대한 위험도 등급이 모두 1등급인 경우, 안정성 지표는 a1, b1, c1 및 d1을 합산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급제동', '교통사고', '안전벨트 미착용 출발' 항목 등과 같이 안정성 평가에 있어 부정적인 요소의 위험도 등급 구분을 위한 기준치 및/또는 등급별 점수는, 해당 항목의 횟수가 많을수록 안정성 지표가 낮게 산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안전 지역 내 정차' 항목 등과 같이 안정성 평가에 있어 긍정적인 요소의 위험도 등급 구분을 위한 기준치 및/또는 등급별 점수는, 해당 항목의 횟수가 많을수록 안정성 지표가 높게 산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안정성 지표 산출모듈(340)은 산출된 안정성 지표를 미리 설정된 기준치에 따라 복수개의 등급(예컨대, A 등급 내지 F)으로 구분하여, 위험수준(Level of Risk)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260)는, 사용자와 의사결정 지원모듈(100) 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접근을 목적으로 구현된 물리적 매체(physical medium) 또는 가상 매체(virtual medium)일 수 있다.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26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 및 사용자의 이용 결과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화면, 키보드, 마우스, 텍스트 또는 아이콘 등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object)를 포함할 수 있다.
의사결정 지원 인터페이스(260)는, 분석모듈(220)에 의해 분석된 결과, 평가모듈(240)에 의해 산출된 평가 지표들을 시각적으로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각종 설정 값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120)은 인프라 정보 수집모듈(400), 인프라 평가모듈(420), 데이터베이스 구축모듈(440) 및 유지관리 모듈(460)의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12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인프라 정보 수집모듈(400)은 M-DRT 서비스 운용을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프라 정보 수집모듈(400)은 의사결정 지원모듈(100)로부터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프라 정보 수집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지자체(14) 또는 별도의 외부 서버로부터 정차금지 구역 및/또는 기존 정류장에 대한 지리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인프라 정보 수집모듈(400)은 하나 이상의 지자체(14) 또는 별도의 외부 서버로부터 특정 위치(또는 구역)에 대한 속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해당 위치(또는 구역)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횡단보도가 존재하는지 여부,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신호 교차로가 존재하는지 여부,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불법주차 차량이 많은지 여부, 사고 발생 이력, 해당 위치(또는 구역)가 속하는 도로의 법정 유형(예컨대,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소로, 중로, 또는 대로 등) 및/또는 해당 위치(또는 구역)를 촬영한 현장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수집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현재 M-DRT 서비스 운용을 위한 인프라가 적절하게 구축되어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인프라의 지리정보 및/또는 속성정보를 기초로, 인프라의 안전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관련법 등에 근거하여 각 인프라에서의 승하차가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미리 설정된 안전 등급 기준에 따라 각 인프라에 안전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기초로, 정차구역 또는 정차구역 인근의 도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판단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기초로, 고정적 정류장이 필요한 고빈도 정차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결정된 정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정차구역에 상응하는 지자체(14)에 제공하여, 정차구역을 개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많은 지역에는, 가변적 임시 정류장을 이용하는 것 대신, 고정적으로 안전한 승하차 탑승 구역 지정하고 정보제공 시스템을 설치하는 중점 승하차 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기초로, 도로구조 개선이 필요한 위험 정차구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인프라 평가모듈(420)은 결정된 정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정차구역에 상응하는 지자체(14)에 제공하여, 정차구역 인근의 도로 환경을 개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지역이 주정차 위험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빈번한 호출이 발생한다면, 이러한 정보를 지자체(14)에 제공함으로써, 지자체(14)가 즉각적으로 도로구조 개선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구축모듈(440)은 각 인프라에 대한 지리 데이터를, 속성 데이터, 안전 등급 및 개선 필요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시켜, 인프라에 대한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지자체(14)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실시간으로 배포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모듈(440)은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정보가 저장되거나, 기존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 사전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예컨대, 지자체의 담당자)에게 데이터베이스 배포 승인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받은 이후에 다른 지자체(14) 및/또는 플랫폼 운송사(12)에게 갱신된 데이터베이스를 배포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구축모듈(440)은 각 인프라에 대한 지리 데이터를 안전 등급과 연관시켜 도로 안전 인프라 맵을 생성하여, 의사결정 지원모듈(100), 플랫폼 운송사(12) 및/또는 지자체(14) 등에 공유할 수도 있다.
유지관리 모듈(460)은 하나 이상의 지자체(14)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와 연계하여, 인프라를 유지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유지관리 모듈(460)은 하나 이상의 지자체(14)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인프라의 유지관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지관리 모듈(460)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인프라에 대한 이용자 민원 데이터 및/또는 사고 이력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지관리 모듈(460)은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14)로부터 인프라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지관리 모듈(460)은 사전에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예컨대, 지자체의 담당자)가 데이터베이스 내의 각종 정보를 열람하고, 속성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지관리 모듈(460)은 수집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내의 해당 인프라에 대한 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랫폼 운송사(12)는 갱신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서비스 이용자가 안전성이 보장된 위치 및/또는 관련법상 허용되는 위치에서 승하차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으며, 지자체(14)는 민원 및/또는 사고가 발생한 인프라에 대한 개선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140)은 영향권 분석모듈(500),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 사고 이력 데이터베이스(540) 및 정산모듈(560)의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14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영향권 분석모듈(500)은 하나 이상의 지역의 대중교통 운영기관(16)으로부터 획득한 비상 대응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 중에서 비상 대응 상황의 영향권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대응 상황에 대한 정보는, 사고 유형, 사고 위치, 노선 방향, 사고 발생시간, 사고처리 완료 예상시간 및 해당 시간 평균 수송 실적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은, 선별된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제공할 비상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일 예로,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은 운행중인 모빌리티에 대한 비상대응 전략으로서, 목적지를 변경하거나 비상 대응 상황에 대응하는 지역을 우회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은 유휴 모빌리티에 대한 비상대응 전략으로서, 비상 대응 상황에 대응하는 잠재수요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은 비상 대응 상황 종료의 감지에 응답하여, 정상 운행을 개시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향권 분석모듈(500) 및/또는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은, 비상 대응 상황의 영향권을 분석하고/거나, 플랫폼 운송사를 선별하고/거나, 비상대응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사고 이력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된 과거 사고 이력을 참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비상 대응 상황과 관련성이 있는 과거 사고 이력이 사고 이력 데이터베이스(5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영향권 분석모듈(500) 및/또는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은 관련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비상 대응 상황의 영향권을 분석하고/거나, 플랫폼 운송사를 선별하고/거나, 비상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영향권 분석모듈(500) 및/또는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이 수집 또는 가공한 데이터들(예컨대,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수립한 대응 전략 등)은 사고 이력 데이터베이스(540)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비상 대응 상황 종료 이후, 사고처리 소요시간 및/또는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지원 실적 등이 사고 이력 데이터베이스(540)에 추가적으로 기록되어, 추후에 영향권 분석모듈(500) 및/또는 비상대응 전략 수립모듈(520)이 참조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사고 이력 데이터베이스(540)에 기록된 정보들은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120)이 인프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고 이력 데이터베이스(540)에 기록된 정보들을 관련 기관에 제공하여, M-DRT 서비스 운영과 관련된 정책 마련 및 법 제도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정산모듈(560)은 대중교통 운영기관(16)과 선별된 플랫폼 운송사(12) 간의 정산을 중개할 수 있다. 예컨대, 정산모듈(560)은 선별된 플랫폼 운송사(12)들의 지원 실적에 기초하여, 대중교통 운영기관(16)에 정산을 요청할 수 있다. 대중교통 운영기관(16)과 선별된 플랫폼 운송사(12) 간의 정산은, 비상 대응 상황이 종료한 이후에 사후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에서는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140)이 대중교통 운영기관(16)으로부터 비상 대응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140)은 특정 플랫폼 운송사(12) 또는 지자체(14)로부터 비상 대응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다른 플랫폼 운송사(12) 또는 지자체(14)에게 지원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RT 운영 지원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M-DRT 지원장치(10) 또는 이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을 생략한다.
컴퓨팅 장치는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14), 및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운영기관(16)으로부터 실시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600).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S620).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각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설정된 배차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획득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실제 운행이력을 비교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각 플랫폼 운송사(12)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최저 서비스 기준 충족 여부, 재무적 지속 가능성 및 서비스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컴퓨팅 장치는,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개별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실적치, 기설정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 및 기설정된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에 근거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는,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운영 실적데이터 및 기설정된 재정지원 비율에 근거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에 대한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는, 각 플랫폼 운송사(12)의 주행 이력데이터를 기초로, 주행 이력데이터의 각 항목에 기설정된 위험도 등급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12)에 대한 안정성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지자체(14)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40).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의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기초로, 정차구역 또는 정차구역 인근의 도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판단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컴퓨팅 장치는,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기초로, 고정적 정류장이 필요한 고빈도 정차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결정된 정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정차구역에 상응하는 지자체(14)에 제공하여, 해당 정차구역에 가변적 임시 정류장을 이용하는 것 대신, 정보제공 시스템을 설치하는 중점 승하차 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컴퓨팅 장치는,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기초로, 도로구조 개선이 필요한 위험 정차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결정된 정차구역에 대한 정보를 해당 정차구역에 상응하는 지자체(14)에 제공하여, 지자체가 해당 정차구역에 도로구조 개선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모빌리티의 정차구역에 대한 지리 데이터를 정차구역에 대한 속성 데이터, 사고 이력 데이터 및 이용자 민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시켜, 인프라에 대한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로부터 정차구역에 대한 이용자 민원 데이터 및 사고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14)로부터 정차구역에 대한 속성 데이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내의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할 수 있다(S660). 여기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대중교통 운영기관(16)으로부터 획득한 비상 대응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비상 대응 상황의 발생 및/또는 비상 대응 상황의 종료를 감지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획득한 비상 대응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12) 중에서 상기 비상 대응 상황의 영향권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운행중인 모빌리티에 대한 비상대응 전략으로서, 목적지를 변경하거나, 비상 대응 상황에 대응하는 지역을 우회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유휴 모빌리티에 대한 비상대응 전략으로서, 비상 대응 상황에 대응하는 잠재수요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비상 대응 상황 종료의 감지에 응답하여, 정상 운행을 개시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흐름도/타이밍도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흐름도/타이밍도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흐름도/타이밍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M-DRT 지원장치

Claims (10)

  1.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는 의사결정 지원모듈;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상기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 및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 지원모듈은,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설정된 배차알고리즘에 적용하여 획득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운행결과를 비교하는 분석모듈; 및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에 대해, 최저 서비스 기준 충족 여부, 재무적 지속 가능성 및 서비스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하는 평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모듈은,
    상기 플랫폼 운송사의 개별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실적치, 기설정된 최저 서비스 기준 지수 및 기설정된 최소 서비스 수준 허용치에 근거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에 대한 최저 서비스 지표를 산출하는 최저 서비스 지표 산출모듈;
    상기 플랫폼 운송사의 운영 실적데이터 및 기설정된 재정지원 비율에 근거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에 대한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를 산출하는 재무적 지속가능성 지표 산출모듈; 및
    상기 플랫폼 운송사의 주행 이력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주행 이력데이터의 각 항목에 기설정된 위험도 등급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에 대한 안정성 지표를 산출하는 안전성 지표 산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 지원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의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은,
    상기 정차구역별 이용빈도를 기초로, 고정적 정류장이 필요한 구역 또는 도로구조 개선이 필요한 위험구역을 결정하는 인프라 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은,
    모빌리티의 정차구역에 대한 지리 데이터를 상기 정차구역에 대한 속성 데이터, 사고 이력 데이터 및 이용자 민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시켜, 상기 인프라에 대한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인프라 관리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상기 정차구역에 대한 이용자 민원 데이터 및 사고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로부터 상기 정차구역에 대한 속성 데이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상기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유지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은,
    상기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대중교통 운영기관으로부터 획득한 비상 대응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 중에서 상기 비상 대응 상황의 영향권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를 선별하는 영향권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형 비상 대응모듈은,
    운행중인 모빌리티에 대한 비상대응 전략으로서, 목적지를 변경하거나 상기 비상 대응 상황에 대응하는 지역을 우회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제공하고,
    유휴 모빌리티에 대한 비상대응 전략으로서, 상기 비상 대응 상황에 대응하는 잠재수요 지역으로 이동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상기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및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하드웨어인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플랫폼 운송사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는 과정;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및 상기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가 운영되는 하나 이상의 지역의 지자체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를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및
    비상 대응 상황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운송사들 중에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운송사에게 비상대응 전략을 제공하는 과정
    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220101139A 2022-08-12 2022-08-12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02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39A KR102502429B1 (ko) 2022-08-12 2022-08-12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139A KR102502429B1 (ko) 2022-08-12 2022-08-12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429B1 true KR102502429B1 (ko) 2023-02-23

Family

ID=8532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139A KR102502429B1 (ko) 2022-08-12 2022-08-12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745B1 (ko) * 2011-12-19 2014-06-25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화주중심의 녹색물류 진단평가시스템
KR20170137040A (ko) * 2014-12-31 2017-12-12 에어맵, 인크. 자율 비행체 비행 경로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27350B1 (ko) * 2020-04-07 2021-03-12 인포뱅크 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예약기능을 가지는 자율주행버스의 동적 정류장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20067929A (ko) * 2020-11-18 2022-05-25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자율주행 도로 위험도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745B1 (ko) * 2011-12-19 2014-06-25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화주중심의 녹색물류 진단평가시스템
KR20170137040A (ko) * 2014-12-31 2017-12-12 에어맵, 인크. 자율 비행체 비행 경로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27350B1 (ko) * 2020-04-07 2021-03-12 인포뱅크 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예약기능을 가지는 자율주행버스의 동적 정류장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20067929A (ko) * 2020-11-18 2022-05-25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자율주행 도로 위험도 평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6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mobile payment
US20170140468A1 (en) Vehicle router
US10217169B2 (en) Computer system for determining geographic-location associated conditions
Lomax Quantifying congestion
US201102136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afety score associated with a user location
Chaudhari et al. Pedestrian crossing warrants for urban midblock crossings under mixed-traffic environment
Oskarbski et al. Potential for ITS/ICT solutions in urban freight management
Sándor et al. Role of integrated parking information system in traffic management
McDonald et al. Freight loading space provision: evidence from the US
Dowling et al. Incorporating travel-time reliability into the congestion management process: a primer.
KR102502429B1 (ko) 대도시권 수요응답형 광역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han Prediction and display of delay at road border crossings
CN113192338B (zh) 基于多源数据的提升货运车辆通行效率的方法及装置
Djordjevic et al.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impacts of ITS on transport
Amiegbebhor et al. The Lagos bus rapid transit: Review of users’ perception
CN109615170A (zh) 一种用于高速路网管理的决策支持系统
Oh et al. Costs and benefits of MDOT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deployments.
Jeon et al.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and the number of vehicles involved in a freeway traffic accident: investigating their heterogeneous effects by facility type using a latent class approach
Garber et al. A proposed methodology for implementing and evaluating a truck parking information system
Jung et al. Connecting motor vehicle crashes w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performance: Spatial assessment for the Korean freeway system
Hadi et al. Evaluation tools to support ITS planning process: development of a sketch planning tool in FSUTMS/cube environment.
Vilke et al. Traffic management system in the city of Rijeka
Abdulsalam The effect of automated speed cameras on fatal traffic collisions in the state of Kuwait
Sweeney et al. Analysing freight movement in Birmingham’s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
Clark A Microscopic Simulation Approach to Performance Evaluation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orridors: A Case in Michig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