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332B1 - 다중잠금 대응연결체 - Google Patents

다중잠금 대응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332B1
KR102502332B1 KR1020200112469A KR20200112469A KR102502332B1 KR 102502332 B1 KR102502332 B1 KR 102502332B1 KR 1020200112469 A KR1020200112469 A KR 1020200112469A KR 20200112469 A KR20200112469 A KR 20200112469A KR 102502332 B1 KR102502332 B1 KR 10250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coupling
connecting body
connector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209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호브마이어
조세프 베이간드
군터 로르
Original Assignee
오드우 지엠비에치 엔드 코.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드우 지엠비에치 엔드 코. 케이지 filed Critical 오드우 지엠비에치 엔드 코.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21003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Threaded ferrule or bolt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ble or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대응 연결체는 연결체와 결합하고 중공형 실린더형 하우징부를 갖는다. 상기 대응연결체를 상기 연결체에 잠그기 위하여 a) 상기 연결체의 최소 하나 이상의 결합부 또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맞물리는데 적합한 대응결합부는 홈부(groove), 이음고리(collar), 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홀(apertures), 요부(recesses) 또는 돌출부(protrusions)의 형태를 갖고, 상기 하우징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한 슬리브의 실린더형 표면 주위에 배치되며;
b) 상기 연결체의 걸림부와 맞물리도록 적합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최소 하나 이상의 홈부, 이음고리, 홀, 요부 또는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대응연결체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대응걸림부; 및
c)상기 연결체의 나사산과 맞물리는데 적합한 대응 나사산(counter thread)의 세가지 형태의 잠금수단 중 최소 둘, 바람직하게는 세 개를 구성한다. 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응연결체 및 상기 대응연결체와 결합할 수 있는 최소 하나 이상의 연결체를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체는 다음 세가지 형태인 a)푸시풀 연결체; b)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 및 c) 나사산 연결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잠금 대응연결체{Multi-Lock Counter Connector}
본 발명은 연결체와 연결되기 위한 대응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대응연결체 및 최소 하나 이상의 연결체를 구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력공급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체가 무심코 방해받는 일이 없어야할 필요가 있거나 요구되는 다양한 응용사례(application)가 있다. 상태 모니터링을 위하여 환자에게 연결되는 의료 모니터링 장치나 데이터교환을 위한 메인 컴퓨터에 연결되는 휴대용컴퓨터를 예로 들 수 있다. 전력공급이나 데이터 흐름(data flow)이 방해받으면 심각한 문제나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중요한 응용사례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전기케이블이나 데이터 케이블을 위한 연결체가 예를 들어 케이블의 무게에 의하여 또는 케이블에서 당겨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알맞은 잠금시스템을 갖는 연결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반대로, 케이블에서 너무 세게 잡아당겨져 연결된 장치가 바닥에 떨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힘이 연결에 적용될 때 연결이 스스로 해제되는 것이 요구되거나 필요할 수도 있다. 접히는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에게 연결된 의료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접히는 침대를 움직일 때 그리고 어쩌다 연결이 해제되지 않았을 때 연결된 장치가 땅에 떨어져 손상을 입는다는 위험요소가 존재한다.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 연결에 대한 다양한 해결방안이 본 분야에서 많이 알려져 있다. 자주 사용되는 잠금 메커니즘으로는 일명 푸시풀(push-pull) 잠금 메커니즘, 브레이크어웨이(break-away) 잠금 메커니즘 및 나사산기반(thread-based) 잠금메커니즘이 있다.
알려진 메커니즘 각각은 원하는 메커니즘 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게 상호협력하도록 특별히 도안된 연결체 및 대응연결체 한 쌍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푸시풀 메커니즘에서, 연결체는 상기 연결체를 대응연결체에 연결하고 잠그도록 조작부(operator)가 잡을 수 있는 외부하우징부를 갖는다. 상기 잠금은 비록 누군가가 푸시풀 연결체가 제공된 케이블이나 기기를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연결체가 상기 대응연결체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조작부가 상기 외부하우징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연결체의 잠금은 해제되며 분리될 수 있다. 이 기능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외부하우징부는 일반적으로 상기 연결체의 내부하우징부에 대하여 종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잠금 메커니즘을 조작한다. 이러한 잠금메커니즘의 예시는 다음에서 LP형(LP-type) 잠금 메커니즘이라 하고, 이러한 메커니즘을 채택하는 연결체를 LP형 연결체라고 한다. LP형 연결체는 결합부로써 상기 연결체의 탄성잠금핑거(elastic locking fingers)에 적용된 걸고리(claws)를 구성한다. 상기 잠금핑거는, 예를 들어 홈부(groove)일 수 있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대응결합부와 맞물릴 수 있다. 잠금해제를 위하여 상기 핑거를 구부려서 잠금홈부(locking groove)에서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외부하우징부를 이동시켜 상기 연결체의 조임부(fastening part)에 대하여 종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리브를 상기 연결체가 더 구성한다. LP형 연결체의 예시는 EP 1755197 B1에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푸시풀 메커니즘은 다음에서 FP형(FP-type) 잠금 메커니즘이라 하고, 이 메커니즘을 채택하는 연결체는 FP형 연결체라고 한다. FP형 연결체는 결합부로써 상기 연결체의 탄성잠금핑거(elastic locking fingers)에 적용된 걸고리(claws)를 구성한다. 잠금을 위하여 상기 걸고리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대응결합부 및 상기 연결체의 조임부에 견고히 부착된 상기 연결체의 원뿔형 슬리브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외부하우징부를 이동시켜 상기 연결체의 상기 조임부에 대하여 종축방향으로 걸고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해제를 위하여, 상기 외부하우징부에 의하여 조작되는 잠금핑거가 상기 원뿔형 슬리브를 동선에서 배제하여 상기 잠금홈부로부터 스스로를 자유롭게한다. FP형 연결체의 예시는 그 중에서도 CH 364543를 통해 알 수 있다.
푸시풀 메커니즘의 세번째 형태는 볼잠금(ball-lock) 메커니즘이고 예시로써 US 8764473 B2에 공개되어 있다. 여기서, 잠금을 위하여 연결체의 잠금볼(engagement ball)은 대응연결체의 홈부와 결합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파지된다. 잠금해제를 위하여 외부하우징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결합볼로부터 해제하여 잠금홈부로부터 잠금볼이 분리되도록 한다.
티어오프(tear-off) 메커니즘으로도 불리는 브레이크어웨이 메커니즘은 필요에 따라 케이블을 잡아당겨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긴급잠금해제 기능을 위하여 제공된다. 어느 브레이크어웨이 잠금 메커니즘에서는, 연결체의 잠금핑거가 대응연결체에 제공되는 홈부와 맞물려 연결체 및 대응연결체 사이의 믿을만한 연결을 형성한다. 상기 잠금핑거의 테이퍼된(tapered) 또는 모따기된(chamfered) 기하학 구조로 인해 연결체나 케이블에 적용되는 특정 견인력(pulling force)이 초과하는 순간 상기 연결체의 브레이크어웨이(breaking-away) 또는 티어오프(tearing-off)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스냅링(snap-ring) 디자인을 갖는 또 다른 브레이크어웨이 메커니즘은 의복 부분에 있는 스냅온(snap-on) 잠금장치처럼 연결체가 클릭연결(clicking in)되어 견고히 파지되고 적절한 힘이 가해질 때에 한하여 연결체로부터 슬라이드되어 빠져나가는 식으로 거칠게 작동한다. 다른 브레이크어웨이 잠금 시스템은 하나 또는 몇 개의 오형링(O-ring)을 연결체에 사용하여 마찰을 기반에 둔 브레이크어웨이 힘(break-away-force)을 원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오형링은 일반적으로 연결체의 하우징부에 가공된 홈부 주변을 감싼다. 경사진(canted) 코일스프링(coil spring)도 비슷하게 배치되고, 원하는 브레이크어웨이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다. 브레이크어웨이 잠금 시스템의 예시는 EP 2476167 B1, EP 2548272 B1, EP 2779322 A1 및 US 20080032533 A1에 공개되어 있다.
나사산 기반 잠금 메커니즘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응연결체의 대응나사산과 맞물리도록 채택된 나사산을 갖는 연결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연결체 또는 대응연결체에 제공되는 결합너트(coupling nut)의 대응 나사산과 조립되는 나사산을 채택할 수도 있다.
1. EP 1755197 B1 2. CH 364543 3. US 8764473 B2 4. EP 2476167 B1 5. EP 2548272 B1 6. EP 2779322 A1 7. US 20080032533 A1
본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결체와 결합하는 개선된 대응연결체를 제공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두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풀푸시, 브레이크어웨이 및 나사산 기반 잠금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잠금 시스템을 갖는 연결체에 호환되는 대응 연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대응연결체 및 최소 하나 이상의 연결체를 구성하는 개선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의 도면부호는 제한하고자 함이 아닌 그저 상기 청구범위의 가독성을 개선하기 위한 역할을 할 뿐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어느 물체의 하나(정관사 “a” 및 “the”를 포함), 둘 또는 그 외 숫자에 대한 언급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에서 추가적인 물체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연결체와 결합하기 위하여 청구항 1항의 특징을 갖는 대응연결체에 의해 과제가 해결된다. 상기 대응연결체는 중공형 실린더형 하우징부를 갖고 상기 대응연결체를 상기 연결체에 잠그기 위한 다음 세가지 형태의 잠금수단 중 최소한 두 개, 바람직하게는 세 개를 구성한다:
a)상기 연결체의 최소 하나 이상의 결합부 또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맞물리는데 적합한 대응결합부는 홈부(groove), 이음고리(collar), 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홀(apertures), 요부(recesses) 또는 돌출부(protrusions)의 형태를 갖고, 상기 하우징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한 슬리브의 실린더 표면 주위에 배치되며;
b) 상기 연결체의 걸림부와 맞물리도록 적합한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이음고리, 홀, 요부 또는 돌출부 중 최소 하나 이상을 구성하며, 상기 대응연결체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대응걸림부; 및
c)상기 연결체의 나사산과 맞물리는데 적합한 나사산(counter thread)
다양한 형태의 잠금수단이 있어, 예를 들어 풀푸시, 브레이크어웨이 및 나사산 기반 잠금 시스템 중 둘 이상의 조합을 같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상기 연결체가 성취할 수 있는 장점이다. 이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적합한 응용범위를 넓혀줄 수 있다. 또한 표준화를 발전시키고, 편리성을 개선하며 비용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
본 발명의 내용에서, "실린더"라는 단어는 일반적인 실린더의 형태를 말한다. 상기 일반적인 실린더의 단면은 꼭 원형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포함하여 난형(ovoid)과 같은 폐쇄된 평면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최선의 하우징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최선의 대응연결체는 원형(round)의 대응연결체이다. 내부 실린더형 표면 및 외부 실린더표면 모두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의 "실린더 표면"인 것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실린더 표면 주위에 배치된 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내부 실란더 표면이나 외부 실린더 표면 중 어느 곳에나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는 것은 탄성이 상기 걸림부에 내재되었거나 또는 탄성이 상기 걸림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대응연결체 또는 상기 연결체에 대하여 "방사상 방향"이라는 표현이 쓰일 때, 이는 상기 대응연결체 또는 연결체의 종축에 대한 것이다. 이 표현은 상기 종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방사상 외부방향 및 상기 종축을 향하는 방향인 방사상 내부방향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나아가, 대응연결체 및 상기 대응연결체와 결합할 수 있는 최소 하나 이상의 연결체를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체는 다음 세가지 형태인 a)푸시풀 연결체; b)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 및 c) 나사산 연결체 중 하나인 시스템에 의하여 과제가 해결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푸시풀 연결체는 (i) 상기 대응연결체에 케이블 또는 기기를 고정부착하기 위한 조임부, (ii) 상기 연결체에 상기 대응연결체를 잠그기 위해 상기 대응연결체의 대응결합부와 맞물리는 결합부 및 (iii) 상기 대응연결체를 상기 연결체로부터 잠금해제하기 위해 상기 연결체의 상기 외부하우징부가 상기 조임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체의 상기 외부하우징부가 움직여야만 하도록 상기 조임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결합부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외부하우징부를 구성한다. 상기 조임부는 예를 들어 케이블 콜릿(collet)이다. 이는 상기 연결체의 내부하우징부의 일부이거나 상기 내부하우징부에 견고히 부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상기 대응연결체를 상기 연결체에 잠그기 위하여 상기 대응 연결체의 상기 대응걸림부 또는 대응결합부의 상기 홀, 요부 또는 돌출부와 맞물리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를 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가 구성한다. 그 중에서도, 상기 걸림부에 내재된 또는 상기 걸림부에 영향을 미치는 탄성에 의하여 결정된 수치보다 큰 힘에 의하여 상기 연결체가 상기 대응연결체로부터 당겨져 이격되면 상기 연결체는 상기 대응연결체로부터 잠금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상기 연결체에 상기 대응연결체를 잠그기 위하여 상기 대응연결체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을 나사산 연결체(threaded connector)가 구성한다. 잠금을 위하여, 상기 연결체의 나사산은 상기 대응연결체의 나사산에 ㄴ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대응연결체는 기기에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기기의 전면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는 케이블을 기기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체는 상기 케이블에 부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연결체가 상기 기기에 배치되는 실시예들도 포함하는데, 그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연결체는 상기 케이블에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연결체 및 상기 연결체 모두 케이블에 부착되고 또는 둘 모두 기기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암수(male and female) 상관 없이 어떤 종류의 대응연결체 및 연결체를 망라한다. 최선의 대응연결체 및 연결체는 전기연결체이다.
본 발명은 첫번째 효과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수단이 있어, 예를 들어 풀푸시, 브레이크어웨이 및 나사산 기반 잠금 시스템 중 둘 이상의 조합을 같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상기 연결체가 성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두번째 효과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적합한 응용범위를 넓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는 표준화를 발전시키고, 편리성을 개선하며 비용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들은 예시를 통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는 도식적으로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따른 대응연결체의 내부를 보이는 도이고 도면의 상부는 하우징부의 외부를 보여주며 도면의 하부는 하우징부의 겉부분이 잘려나간 것이다.
도2는 본발명에 따라 상기 대응연결체와 결합상태에는 있는 볼잠금 연결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을 보이는 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대응연결체와 결합상태에 있는 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을 보이는 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대응연결체와 결합상태에 있는 나사산 연결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을 보이는 도이다.
독자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최선의 특징은 종속항 및 이후에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서, 대응연결체 및/또는 연결체는 둥글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하우징부의 타단부(distal part), 즉 대응부(counterpart)와 결합하도록 의도된 상기 하우징부의 부분이 원형의 실린더형 단면을 가진다면, 대응연결체 또는 연결체는 둥글다. 유리하게는, 그러한 (대응)연결체는 (대응)나사산을 (대응)잠금수단으로써 용이하게 제공받는다. 대응결합부 또는 대응걸림부의 최선의 홈부 또는 이음고리는 완전 홈부(full groove) 및 완전 이음고리(full collar), 즉 실린더형 표면의 주변을 따라 완전히 연장된 홈부 및 이음고리이다. 그러므로, 상기 홈부 또는 상기 이음고리는 환형의 홈부 또는 환형의 이음고리이다. 원형의 실린더형 표면의 경우, 상기 홈부 또는 상기 이음고리는 원형의 환형홈부 또는 원형의 환형 이음고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연결체는 잠금수단으로써 홈부, 이음고리 또는 다수의 홀, 요부 또는 돌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의 상기 실린더형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의 외부 실린더형 표면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 실린더형 표면에 있는 결합볼이 외부로부터 상기 대응연결체의 잠금수단과 결합하는 볼잠금(ball-lock)형 연결체의 결합볼과의 결합에 상기 잠금수단이 특히 적합하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 상기 이음고리 또는 상기 다수의 홀, 요부 또는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실린더형 표면 주위에 배치된다. 그러한 실시예는 특히 LP 및 FP형 푸시풀 연결체와 결합하는 것에 적합하다.
만약 상기 잠금수단이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한 슬리브에 제공된다면, 상기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하우징부에 견고히 부착된다. 만약 상기 대응연결체가 케이블에 부착되면, 상기 최선의 슬리브는 케이블의 차폐(shield) 및/또는 접지선(ground wire)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상기 연결체의 걸림부와 맞물리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이음고리, 홀, 요부 또는 돌출부 중 최소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는 대응걸림부를 상기 대응연결체가 구성한다.
최선의 대응연결체는 상기 연결체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혀구성의 형태를 갖는 대응걸림부를 잠금수단으로써 구성한다. 상기 최선의 걸림혀(latching tongue)의 구성은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한 슬리브에 부착된다. 상기 최선의 슬리브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하우징부에 견고히 부착된다. 만약 상기 대응연결체가 케이블에 연결되면, 상기 최선의 슬리브는 케이블의 차폐 및/또는 접지선에 전기연결될 수 있다.
상기 혀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가장 먼 방향(distal direction)으로 연장된다. 상기 대응연결체에서, 가장 먼 방향이란 상기 대응연결체의 종축을 따라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연장된 방향을 말한다. 상기 대응연결체의 타단부는 상기 대응연결체를 상기 연결체와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체를 향하도록 의도된 단부를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응연결체의 일단부(proximal end)는 상기 타단부의 반대인 단부이고, 상기 대응연결체의 가장 가까운 방향(proximal direction)은 상기 대응연결체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걸림부는 둘 이상, 예를 들어, 3, 4, 5, 6, 7, 또는 8개의 혀의 형태를 구성한다. 이러한 혀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슬리브에 제공되는 종축 슬릿(longitudinal slits)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리브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걸림부는 탄성을 제공하는 나사선스프링을 구성한다. 최선의 스프링은 구부러져 폐쇠된 고리를 형성하는데, 미국 92610,2510 캘리포니아 풋힐 랜치, 19560 파울링의 Bal Seal Engineering, Inc.에서 구할 수 있는 Bal Spring(R)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또는 외부 실린더형 표면 또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슬리브 주변 위에 있는 환형의 홈부에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체의 환형의 홈부 형태를 띄는 상기 연결체의 걸림부와 맞물린다. 만약 상기 연결체 및 상기 대응연결체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정해진 수치보다 큰 힘에 의하여 서로로부터 당겨져 이격되면,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체가 상기 대응연결체로부터 잠금해제되도록 해준다. 스프링 대신, 다른 링형태의 탄성부재, 예를 들어 고무링 또는 Bal Seal Engineering, Inc.에서 구할 수 있는 Bal Seal (R)을 사용할 수도 있다.
최선의 대응연결체에서, 상기 대응결합부 또는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종축방향으로 테이퍼되거나 챔퍼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상기 대응연결체 또는 상기 대응걸림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체의 결합 또는 걸림부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대응연결체의 나사산 및/또는 상기 연결체의 정합나사산(matching thread)은 여러줄(multi-start) 나사산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체로부터 상기 대응연결체를 잠금해제하기 위한 각도간격은 작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완전한 한 바퀴보다 작다는 성취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나사산은, 예를 들어, 두줄, 세줄, 네줄, 다섯줄 또는 여섯줄 나사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나사산은 마찬가지로 여러줄나사산, 예를 들어, 두줄, 세줄, 네줄, 다섯줄 또는 여섯줄 나사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연결체의 나사산 및/또는 상기 연결체의 정합나사산은 일반적인, 즉 한줄(single-start) 나사산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작은 대응연결체 및 연결체를 갖는다는 것이 특히 장점일 수 있다.
최선의 상기 대응연결체의 나사산 및/또는 상기 연결체의 상기 정합나사산은 사다리꼴이거나 뾰족(sharp)하다.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나사산 및 상기 연결체의 상기 정합나사산은 오른쪽(right handed) 또는 왼쪽(left-handed)을 향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오른손잡이 임으로 오른손 나사산이 더 유리할 수 있고, 그러므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는 것보다는 시계방향으로 돌릴 때 더 많은 회전력(torque)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산은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하우징부의 실린더형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실린더형 표면에 위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연결체의 상기 정합나사산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대응연결체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연결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상기 대응연결체의 결합너트(coupling nut)의 상기 내부 실린더형 표면에 나사산이 제공된다. 잠금을 위하여, 상기 너트는 상기 대응연결체에 대하여 회전한다.
상기 대응연결체의 정합나사산은 상기 연결체의 하우징부, 바람직하게는 내부 하우징부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연결체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상기 연결체의 결합너트의 내부 실린더형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잠금을 위하여, 상기 너트는 상기 연결체에 대하여 회전한다.
최선의 대응연결체는 최소한 대응결합부 및 대응나사산부를 잠금수단으로써 구성하고, 상기 대응결합부 및 상기 나사산은 상기 대응 연결체 하우징부의 같은 실린더형 표면, 바람직하게는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대응결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산의 가장 먼 측(distal side)에 위치한다. 만약 상기 대응결합부가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의 상기 외부 실린더형 표면에 위치한다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산의 짧은 지름을 넘어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만약 상기 대응결합부가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의 상기 내부 실린더형 표면에 위치한다면, 상기 나사산의 짧은 지름을 넘어 방사상 내부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대응연결체와 상기 연결체가 결합할 때,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대응결합부가 상기 연결체의 나사산의 길목에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연결체 및 연결체의 시스템은 상기 대응연결체와 상기 대응연결체와 결합할 수 있는 둘, 더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연결체를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각 연결체는 세 개의 형태인 a)푸시풀 연결체; b)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 및 c)나사산 연결체 중 최소 둘, 바람직하게는 세 개 모두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로, 같은 대응연결체로 여러개의 연결체와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응용 가능한 범위를 늘려주고, 표준화를 진보시키며, 편리성을 개선하고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다.
최선의 푸시풀 연결체는 예를 들어 EP 1755197 B1에 공개된 것과 같은 LP형 연결체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LP형 연결체는 상기 연결체의 탄성 잠금 핑거(elastic locking fingers)에 적용된 결합부 걸고리를 구성하는 연결체인 것이다. 상기 걸고리는 예를 들어 홈부일 수 있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대응결합부와 맞물릴 수 있다. 잠금해제를 위해 상기 잠금홈부(locking groove)로부터 상기 핑거를 구부려 빼내도록, 상기 연결체는 상기 외부하우징부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연결체의 상기 조임부에 대하여 종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리브를 더 구성한다.
다른 최선의 푸시풀 연결체는 예를 들어 CH 364543에 공개된 것과 같은 FP형 연결체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FP형 연결체는 예를 들어 홈부일 수 있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대응결합부와 맞물릴 수 있는 결합부 걸고리를 구성하는 연결체이다. 잠금을 위하여, 상기 걸고리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대응결합부 및 상기 연결체의 조임부에 견고히 부작된 상기 연결체의 원뿔형 슬리브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외부하우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고리는 상기 연결체의 상기 조임부에 대하여 종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해제를 위하여, 상기 외부하우징부에 의하여 조작되는 상기 잠금핑거는 상기 원뿔형 슬리브를 이동하는 길목에서 배제시켜 상기 잠금 홈부로부터 스스로를 자유롭게 한다.
또 다른 최선의 푸시풀 연결체는 예를 들어 US 8764473 B2에 공개된 것과 같은 볼잠금 연결체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볼잠금 연결체는 결합을 위하여 연결체의 결합볼이 상기 대응연결체의 홈부와 결합상태로 있는 연결체이다.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볼은 상기 외부하우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능동적으로 결합상태에서 해제되거나 상기 대응결합부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최선의 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걸림핑거(lacthing finger)를 걸림부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대응걸림부의 상기 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돌출부나 상기 대응연결체의 상기 대응결합부의 상기 홈부, 상기 이음고리 또는 다수의 상기 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는 홀, 요부 또는 돌출부 중 최소 하나 이상을 상기 걸림부가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비슷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1에서 나타나는 대응연결체(1)는 상기 대응연결체(1)를 연결체(3)에 잠그기 위한 세가지 형태의 잠금수단을 갖는 중공형 실린더형(hollow cylindrical) 하우징부(2)를 구성하고, 세가지 형태의 잠금 수단은 다음과 같다:
a) 상기 대응연결체(1)의 상기 하우징부(2)의 외부 실린더형 표면(5) 주위에 배치된 홈부 형태를 띄는 대응결합부(4);
b) 상기 대응연결체(1)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혀의 구성을 가지는 대응걸림부(6) 및 c)나사산(7).
상기 대응연결체(1)는 전기 연결체이고, 그러므로 상기 대응연결체에 케이블(미도시)의 리드(leads)를 부착하는 솔더링러그(8; soldering lugs)를 구성한다. 상기 대응연결체(1)의 장착나사산(10)과 밀봉부(16)와 결합하는 너트(9)는 상기 대응연결체(1)를 기기의 하우징부(미도시), 예를 들어 그러한 기기 하우징부의 연결체 패널에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상기 대응연결체(1)의 상기 대응결합부(4)가 볼잠금 연결체(3)의 결합볼(11)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대응결합부(4)는 챔퍼된(chamfered) 측면을 갖는 환형의 완전한 홈부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볼(11)은 상기 대응결합부(4)의 상기 홈부와 상기 연결체(3)의 원뿔형지지부(12)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홈부는 도2에 나타난 상기 나사산(7)의 가장 먼 측면(distal side)에 있기 때문에, 상기 대응연결체(1)와 상기 연결체(3)가 서로 결합할 때나 서로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결합볼(12)의 과정에 있지 않다.(in the way of the engagement ball) 상기 연결체(3)의 고무밀봉링(13)은 상기 대응연결체(1)의 밀봉면(14)과 맞물려 액체나 먼지가 상기 연결체(3) 및 상기 대응연결체(1) 사이 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3은 상기 대응연결체(1)의 상기 대응걸림부(6)가 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3)의 걸림부(15)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대응걸림부(6)는 상기 대응연결체(1)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다수의 텅들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2) 안쪽에 위치하며 이 하우징부(2)에 견고히 부착되는 슬리브(17)에 상기 텅들이 부착된다. 상기 슬리브(17)는 차폐 또는 케이블의 접지선을 위하여 상기 솔더링러그(8)에 전기연결된다(미도시).
상기 혀의 구성들은 상기 대응연결체의 가장 먼 방향(distal direction)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리브(17)에 제공되는 종축 슬릿(18)을 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슬릿(18)은 상기 슬리브(17)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대응연결체(1)의 고무밀봉링(19)은 상기 연결체(3)의 밀봉면(20)과 맞물려 액체나 먼지가 상기 연결체(3) 및 상기 대응연결체(1) 사이 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1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혀의 구성들의 단부에 방사상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1)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연결체(3)의 하우징부의 상기 내부 실린더형 표면(23)에 있는 평평하게 챔퍼된(chamfered)된 홈부(22)와 맞물린다.
상기 돌출부(22)도 마찬가지로 상기 대응연결체(1)가 상기 연결체(3)에 잠길 때, 용이한 결합을 제공하도록 그 타단부를 특히 모따기(챔퍼)한다. 상기 대응연결체(1)의 가장 가까운 측(proximal side)에 있는 다른 경사면(chamfer)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체(3)의 상기 홈부의 가장 가까운 측(proximal side)에 있는 경사면(chamfer)은 상기 혀의 구성들과 상기 밀봉링(19)의 탄성과 함께 상기 대응연결체(1)를 상기 연결체(3)로부터 잡아당겨 이격시킴으로 잠금을 해제하는데 필요한 힘을 결정한다.
도4는 상기 나사산(7)이 상기 나사산 연결체(3)의 나사골(24)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연결체(3) 및 상기 대응연결체(1) 모두의 상기 나사골(24) 및 나사산(7)은 세줄나사산이다. 상기 대응연결체(1)의 상기 나사산(7)은 상기 대응연결체(1)의 상기 하우징부(2)의 상기 외부 실린더형 표면에 위치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대응결합부(4)의 상기 환형의 홈부가 위치하는 표면과 동일하다.
상기 연결체(3)의 상기 나사골(24)은 상기 연결체(3)의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너트(25)의 내부 실린더형 표면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체(3)의 고무밀봉링(13)은 상기 대응연결체(1)의 밀봉면(14)과 맞물려 액체나 먼지가 상기 연결체(3) 및 상기 대응연결체(1) 사이 공간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도면들에 나타난 상기 대응연결체(1)에 제공된 상기 세가지 형태의 잠금수단으로 인해, 세가지 형태의 연결체, 즉 푸시풀 연결체, 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 및 나사산 연결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들이 서로에게 또는 대응되는 세가지 형태의 연결체(3)의 잠금수단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대응연결체(1)에 배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대응연결체(1)는 이용될 수 있는 응용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연결체의 각기 다른 형태에 대한 표준 대응연결체(1)로써, 표준화를 발전시키고, 편리성을 개선하며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다.
1: 대응연결체 2: 하우징부 3: 연결체 4: 대응결합부
5: 외부 실린더형 표면 6: 대응걸림부 7: 대응나사산
8: 솔더링러그 9, 25: 너트 10: 장착나사산 11: 결합볼
12: 원뿔형 지지부 13, 19: 고무밀봉링 14, 20: 밀봉면 15: 걸림부
16: 밀봉부 17: 슬리브 18: 슬릿 21, 22: 돌출부
23: 내부 실린더형 표면 24: 나사골

Claims (15)

  1. 연결체와 결합하고 중공형 실린더형 하우징부(hollow cylindrical housing)를 갖는 대응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대응연결체를 상기 연결체에 잠그기 위하여
    a) 상기 연결체의 최소 하나 이상의 결합부 또는 최소 하나 이상의 걸림부와 맞물리는 대응결합부는 홈부(groove), 이음고리(collar), 또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홀(apertures), 요부(recesses) 또는 돌출부(protrusions)의 형태를 갖고, 상기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실린더형 표면 또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위치한 슬리브의 내부 실린더형 표면 주위에 배치되며;
    b) 상기 연결체의 걸림부와 맞물리고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이음고리, 홀, 요부 또는 돌출부 중 최소 하나 이상을 구성하며, 상기 대응연결체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대응걸림부; 및
    c)상기 연결체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대응 나사산(counter thread)의 세가지 형태의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연결체는 원형대응연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연결체는 홈부, 이음고리 또는 다수의 홀, 요부 또는 돌출부를 잠금수단으로써 구성하되,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의 상기 실린더의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상기 이음고리 또는 상기 다수의 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의 상기 실린더의 외부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상기 이음고리 또는 상기 다수의 홀, 상기 요부 또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의 상기 실린더의 내부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6. 삭제
  7.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연결체의 방사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수 있는 혀(舌:tongue) 구성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혀구성은 상기 대응연결체의 가장 먼 단부(distal end) 쪽을 향하는 가장 먼 방향(distal direction)으로 연장되되, 여기서 상기 대응연결체의 가장 먼 단부는 상기 연결체에 상기 대응연결체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체를 마주하도록 하는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걸림부는 나사산 스프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결합부 또는 상기 대응걸림부는 상기 대응연결체의 종축방향으로 테이퍼(tapered) 되었거나 모따기(chamfered)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은 멀티줄(multi-start)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나사산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실린더형 표면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 실린더형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결합부 및 상기 나사산은 상기 대응연결체 하우징부의 동일한 상기 실린더형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결합부는 상기 나사산의 가장 먼 측(distal side)에 위치하되, 여기서 상기 대응연결체의 가장 먼 측면은 상기 연결체에 상기 대응연결체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체를 마주하도록 하는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응연결체.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응연결체 및 상기 대응연결체와 결합할 수 있는 최소 하나 이상의 상기 연결체를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연결체는 a)푸시풀 연결체; b)브레이크어웨이 연결체; 및 c) 나사산 연결체의 세가지 형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0112469A 2019-09-06 2020-09-03 다중잠금 대응연결체 KR102502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96034.3A EP3790122A1 (en) 2019-09-06 2019-09-06 Multi-lock counter connector
EP19196034.3 2019-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209A KR20210030209A (ko) 2021-03-17
KR102502332B1 true KR102502332B1 (ko) 2023-02-22

Family

ID=6787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469A KR102502332B1 (ko) 2019-09-06 2020-09-03 다중잠금 대응연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88490B2 (ko)
EP (1) EP3790122A1 (ko)
JP (1) JP7220182B2 (ko)
KR (1) KR102502332B1 (ko)
CN (1) CN112467472B (ko)
IL (1) IL276055A (ko)
RU (1) RU274233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6626S1 (en) * 2019-02-28 2020-09-22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Tool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0805A1 (en) * 2014-05-23 2015-11-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ctrical connector
CN108336548A (zh) * 2017-01-19 2018-07-2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射频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5021A (ko) 1961-12-02
FR1390988A (fr) * 1963-12-06 1965-03-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raccordement électrique à embrochage automatique
US3888559A (en) * 1972-04-13 1975-06-10 Amp Inc High voltage quick disconnect assembly
JPS58110990U (ja) * 1982-01-25 1983-07-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5752847A (en) * 1996-07-08 1998-05-19 G & H Technology, Inc. Close tolerance quick disconnect electrical connector
US6514096B1 (en) * 2001-11-26 2003-02-04 Tzu-Chen Liu Waterproof structure of a rope light
ATE385617T1 (de) 2005-08-17 2008-02-15 Odu Steckverbindungssysteme Gm Steckergehäuse
US7442060B2 (en) 2006-08-01 2008-10-28 Vocollect, Inc. Adapter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cord of a peripheral device with a portable terminal
US8241053B2 (en) 2009-09-10 2012-08-14 Vocollect, Inc. Electrical cable with strength member
US8262403B2 (en) 2009-09-10 2012-09-11 Vocollect, Inc.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DE102010002681B4 (de) * 2010-03-09 2018-10-1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elektrische Steckverbindung sowie 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JP5391137B2 (ja) 2010-04-22 2014-01-15 カナレ電気株式会社 ボールロック式コネクタ
US8348692B2 (en) * 2010-11-30 2013-01-08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Securable multi-conductor cable connection pair having threaded insert
JP5826594B2 (ja) * 2011-10-28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4241265A (ja) * 2013-06-12 2014-12-2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係合方式を選択可能な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を備える電動機
US9147957B2 (en) * 2014-01-14 2015-09-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RU149972U1 (ru) * 2014-06-17 2015-01-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м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ОАО "ОНИИП")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соединителей
CN116131043A (zh) * 2018-07-11 2023-05-16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集束式同轴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0805A1 (en) * 2014-05-23 2015-11-2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Electrical connector
CN108336548A (zh) * 2017-01-19 2018-07-2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射频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88490B2 (en) 2021-08-10
US20210075156A1 (en) 2021-03-11
RU2742334C1 (ru) 2021-02-04
CN112467472A (zh) 2021-03-09
JP2021044233A (ja) 2021-03-18
CN112467472B (zh) 2023-03-10
JP7220182B2 (ja) 2023-02-09
IL276055A (en) 2021-03-25
EP3790122A1 (en) 2021-03-10
KR20210030209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8904B2 (en) Push-pull coupling locking connector
US5984373A (en) Luer connector
US4793821A (en) Vibration resistant electrical coupling
US5713708A (en) Fastener assembly including a self-locking ratchet nut
US11480279B2 (en) Half-ring segment, connection clamp, and connection device
US20100217206A1 (en) Luer-Snap Connection and Luer-Snap Syringe
US20210085951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medical use
KR102502332B1 (ko) 다중잠금 대응연결체
DE60029551T2 (de) Schnellkupplung mit schwenkbarem Halterungsgehäuse
CN114008502B (zh) 机械连接接口
KR20130123386A (ko) 전기 커넥터용 회전식 구조 백쉘
KR102436720B1 (ko) 고토크 중합체 피팅
US9816329B2 (en) Quick connection arrange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JP2008194450A (ja) インスリンポンプのためのバヨネット型ルアー係止結合部材
EP3997374A1 (en) A tube coupling
US20200408344A1 (en) Sub-sea connector
EP3781826B1 (de) Befestigungsvorrichtung mit einem basisteil und einem sperrteil
CN112049996A (zh) 连接器以及连接器的组装方法
US20170052330A1 (en) Connector
US20230204055A1 (en) Tolerance Compensation Fastening Assembly
US11692582B2 (en) Fastener system
US20230100627A1 (en) Coaxial connector with quick locking mechanism with visual assurance of locking
US9601870B1 (en)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ssembly
JP2014202310A (ja) 管継手
JP2012149731A (ja) キャビネット連結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