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302B1 - Device for providing tenti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viding t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302B1
KR102502302B1 KR1020210188727A KR20210188727A KR102502302B1 KR 102502302 B1 KR102502302 B1 KR 102502302B1 KR 1020210188727 A KR1020210188727 A KR 1020210188727A KR 20210188727 A KR20210188727 A KR 20210188727A KR 102502302 B1 KR102502302 B1 KR 102502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tension
tension member
ground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김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열 filed Critical 김정열
Priority to KR102021018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3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for dismantling applied to a tension member in order to remove the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The tension device may comprise: a case part forming an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wedge part disposed on the inner space,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is inserted, and constraining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Description

인장장치{Device for providing tention}Tension device {Device for providing tension}

본 발명은 인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 인장재에 해체용 인장력이 인가될 시, 인가되는 인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인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sion device that adjusts the applied tension when dismantling tension is applied to a tension member to remove the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일반적으로 배후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쉬트 파일 등의 토류벽 구조물이 설치되고, 배후토사에 소정 경사를 가지고 천공된 천공홀에 강선과 같은 인장부재가 몰탈 등에 의해 매립되며, 그 인장부재의 상단은 띠장 등의 받침부재에 설치된 정착구 및 정착판에 의해 정착된다.In general, in or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ackground soil, an earth wall structure such as a sheet pile is installed, and a tension member such as a steel wire is buried in a drilling hole drilled with a predetermined slope in the background soil by mortar or the like, and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It is fixed by an anchorage and an anchoring plate installed on a support member such as a wale.

인장부재의 상단을 정착구에 정착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쐐기식 정착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re are various ways to fix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member to the anchorage, but the wedge type anchoring method is mainly used.

쐐기식 정착 방식은 인장 장치에 의해 인장부재에 인장력을 인가한 후, 쐐기부재를 정착구의 쐐기부재 삽입공에 인장부재와 함께 삽입하고 고정함으로써, 인장부재에 가해진 인장력이 정착구를 통해 토류벽 구조물 전체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the wedge-type anchorage method, after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tension member by a tension device, the wedge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together with the tension member into the wedge member insertion hole of the anchorage, so tha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pplied to the entire earth wall structure through the anchorage play a role in conveying

이러한 인장부재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물이 건설된 후, 안전 상의 문제 및 삽입된 토류벽(지반) 내의 환경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한다.Since these tension member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y must be removed after the structure is built because they cause safety problem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inserted earth wall (ground).

인장부재를 제거 할 경우, 지반 외부로 노출된 인장부재는 삽입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해체용 인장력을 인가 받는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인장력을 해제함에 따라 인장반발력을 받아야 한다.When removing the tension member, the tension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must receive the tensile repulsive force as the tensile force is released momentarily in the state where the tensile force for disassembly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ed direction.

이는, 침투한 콘크리트 또는 몰탈과 지반 내부에 안착된 웨지 간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기 위함이며, 또한 지반 내 삽입된 인장부재에 부착된 흙을 제거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break the chemical bond between the penetrating concrete or mortar and the wedge seated inside the ground, and also to remove soil attached to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ground.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4387 B1호(2007.02.12)에서는 인장부재마다 자유단의 길이나 재질적 특성이 차이가 있으므로, 같은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늘음량이 일정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부재별 인장기를 포함하는 어스앵커용 인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84387 B1 (2007.02.12), since the length or material properties of the free end of each tension member are different, even if the same tension is applied, the amount of stretching is not constant. To this end, a tensioning device for an earth anchor including a plurality of member-specific tensioning devices is disclosed.

그러나, 유압장치에 의해 인장부재 각각에 개별적 인장력을 가하더라도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인장력이 쐐기부재와 인장장치간의 결합력보다 강하게 인가 되는 경우, 인장부재가 파손되거나 인장부재가 쐐기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이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여 인적, 물질적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tension member is individually applied to each tension member by the hydraulic device, if the tension force is applied strong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wedge member and the tension device due to carelessness of the operator, the tension member is damaged or the tension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wedge member, resulting in There was a problem that human and material damage occurred due to an accid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반의 강도에 따라 인장재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하여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기기의 오작동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인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tensioning devi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operator's carelessness or malfunction of external devices by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ing membe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ground. a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는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 인장재에 인가되는 해체용 인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되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인장재를 구속하는 웨지부;를 포함하는, 인장장치 일 수 있다.A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ing device that adjusts a tensioning force for disassembly applied to a tensioning member in order to remove a tensioning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wealth; It may be a tension device including a wedge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pace,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is inserted, and restraining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하면 지반의 강도에 따라 인장재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하여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기기의 오작동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carelessness of a worker or malfunction of an external device by adjusting the tensioning force applied to the tensioning membe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ground.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부분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재에 인가된 인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재에 인가된 인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재에 인가된 인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재에 인가된 인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를 구성하는 웨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
1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djusted by the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djusted by the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djusted by the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djusted by the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wedge portion constituting a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는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 인장재에 인가되는 해체용 인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되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인장재를 구속하는 웨지부; 및 상기 인장재의 상단을 포위하는 포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웨지부와 연결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인장장치 일 수 있다.A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ing device that adjusts a tensioning force for disassembly applied to a tensioning member in order to remove a tensioning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wealth; a wedge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pace, form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is inserted, and constraining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It may be a tension device including; and a head portion that forms an enclosing space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wedge portion.

또한,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 상에 삽입되는 인장재의 높이를 제한하는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장장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space to limit the height of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인장장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ing member may be a tension device that is moved in a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space.

또한, 상기 머리부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인장장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and the adjusting member may be a tension devic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삽입구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인장장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may form a screw thread, and the adjustment member may be a tension device forming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of the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웨지부는, 협동하여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웨지 및 제2 웨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웨지는, 상기 케이스부에 접촉되는 제1 웨지몸체부 및 상기 제1 웨지몸체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장재와 접촉되는 제1 쐐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웨지는, 상기 케이스부에 접촉되는 제2 웨지몸체부 및 상기 제2 웨지몸체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장재와 접촉되는 제2 쐐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쐐기부와 상기 제2 쐐기부는, 상기 제1 쐐기부가 인장재에 가하는 구속력과 상기 제2 쐐기부가 인장재에 가하는 구속력이 다르도록 형상이 다른, 인장장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edge part includes a first wedge and a second wedge that cooperate to form the insertion space, and the first wedge is formed from a first wedge body part contacting the case part and the first wedge body part. A first wedge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space and in contact with the tension member, and the second wedge includes a second wedg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se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second wedge body portion toward the insertion space A second wedge portion formed and having a second wed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ension member, wherein the first wedge portion and the second wedge portion have different shapes so that the restraining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by the first wedge portion and the restraining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by the second wedge portion are different , can be a tension device.

또한, 상기 제1 쐐기부는, 상기 제1 웨지몸체부 상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제1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쐐지부는, 상기 제2 웨지몸체부 상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인장장치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edge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wedge body portion to a first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the second wedge portion, the first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second wedge body portion It may be a tensioning device formed with a smaller second length.

또한, 상기 제1 쐐기부는, 높이 방향으로의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간격이 제1 길이이며, 상기 제2 쐐기부는, 높이 방향으로의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인, 인장장치 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wedge portion, an arbitrary wedg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distance between the arbitrary wedge and the adjacent wedge is a first length, and the second wedge portion is adjacent to any wedge and any wedg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wedges to be a second length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it may be a tension device.

또한, 상기 제1 쐐기부는, 상기 제1 쐐기몸체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가 제1 높이이며, 상기 제2 쐐기부는, 상기 제2 쐐기몸체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가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인, 인장장치 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wedge portion,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wedge body portion is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wedge portion is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wedge body portion A second height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may be a tensioning device.

또한, 상기 웨지부는, 협동하여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웨지 및 제2 웨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웨지와 상기 제2 웨지는, 상기 제1 웨지가 인장재에 가하는 구속력과 상기 제2 웨지부가 인장재에 가하는 구속력이 다르도록 강도가 다른,인장장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edge unit includes a first wedge and a second wedge that cooperate to form the insertion space, and the first wedge and the second wedge are configured to perform a binding force applied by the first wedge to the tension member and a second wedge. It may be a tension device with different strengths so that the binding force applied to the additional tension member is different.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를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부분 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ly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3 (a) to (b) are perspective views and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재에 인가된 인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4 (a) to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djusted by the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재에 인가된 인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5 (a) to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djusted by the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재에 인가된 인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6 (a) to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djusted by the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에 의해 인장재에 인가된 인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7 (a) to (b)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s adjusted by the ten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를 구성하는 웨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8(a) to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wedge part constituting a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simplified or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rver.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장치(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tens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Y방향은 높이 방향을 의미하며, X방향은 폭 방향을 의미한다.First, to define terms for directions, as shown in (a) of FIG. 6, the Y direction means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X direction means the width direction.

인장재(P)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9100(2018.03.09. 등록)에 기술되어 있으며, 간략히 설명하자면, 지반(G)에 삽입되는 한쪽 끝단이 앵커 내부의 웨지체(미 도시)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반(G)에 삽입된 앵커는 외부에서 주입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등과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tension member (P) is describ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39100 (registered on March 9, 2018). Briefly, one end inserted into the ground (G) is combined with a wedge body (not shown) inside the anchor, In addition, the anchor inserted into the ground (G) is chemically bonded to concrete or mortar inject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인장재(P)를 제거 할 경우, 지반 외부로 노출된 인장재(P)에 대해 삽입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해체용 인장력을 인가한 후, 인장력을 순간적으로 제거하여, 인장 반발력을 부여한다.Therefore, when removing the tension member (P), after applying the tensile force for disassembly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ed direction to the tension member (P)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the tensile force is momentarily removed to give a tensile repulsive force .

이는, 침투한 콘크리트 또는 몰탈과 지반 내부에 안착된 웨지체 간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기 위함이며, 또한 지반 내 삽입된 인장부재에 부착된 흙을 제거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break the chemical bond between the penetrating concrete or mortar and the wedge body seated inside the ground, and also to remove soil attached to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ground.

다만, 인장재(P)가 지반(G)으로 삽입되기 전에 지반 조사가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반 조사는 지반의 시공성 분석, 암반 비탈면 분석, 암반등급도 분석, 지층특성분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된 GPR(Ground Penetrating Radar)방법에 의해 실시 될 수 있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und investigation be performed before the tension member (P) is inserted into the ground (G), and the ground investigation may include ground workability analysis, rock slope analysis, rock grade analysis, stratum characteristics analysis, etc. , It can be carried out by the known GPR (Ground Penetrating Radar) method.

한편,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지반(G)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P)의 다른 한쪽 끝단은 인장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P) exposed from the ground (G) may be connected to the tension device (10).

상기 인장장치(10)는 높이방향으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S1)을 형성하는 케이스부(300)와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되되 지반(G)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P)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S2)에 삽입된 인장재를 구속하는 웨지부(100) 및 상기 인장재(P)의 상단을 포위하는 포위공간(S4)을 형성하며 상기 웨지부(100)와 연결되는 머리부(200)를 포함한다.The tension device 10 is disposed on the case portion 300 and the inner space S1 forming the inner space S1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s in the height direction, but the tension member P exposed from the ground G is inserted. forming an insertion space (S2), and forming a wedge portion (100) for restraining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and an enclosing space (S4)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member (P), the wedge portion It includes a head 200 connected to (10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케이스(300)는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이 하측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상광하협의 내부공간(S1)을 형성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can be seen in FIG. 2 , the case 300 forms an inner space S1 of upper and lower narrows, the upper side of which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상기 웨지부(100)는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되며, 지반(G)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P)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S2)을 형성하여, 인장재(P)는 상기 삽입공간(S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웨지부(100)와 결합된다.The wedge part 100 is disposed on the inner space S1 and forms an insertion space S2 into which the tension member P exposed from the ground G can be inserted, so that the tension member P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It is inserted through the space (S2) and combined with the wedge part (100).

상기 웨지부(100)는, 도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의 웨지(110)가 협동하여 콘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삽입공간(S2)을 형성 할 수 있으며, 머리부(200)에 의해 복수의 웨지(110)는 내부공간(S1)상에서 고정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a) of FIG. 3, the wedge portion 100 is formed in a cone shape in cooperation with a plurality of wedges 110 to form an insertion space S2 therein, and the head portion 200 ) By the plurality of wedges 110 can be fixed on the inner space (S1).

또한 상기 웨지(110) 각각은, 도 3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인장재(P)와 접촉하는 부분에 쐐기부(120)가 형성되어 있어서, 삽입된 인장재(P)는 웨지(110)가 형성하는 쐐기부(120)와 결합된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b) of FIG. 3, each of the wedges 110 has a wedge portion 120 form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ension member P, so that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is wedge 110 Is coupled with the wedge portion 120 to form.

도 3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머리부(200)는 삽입된 인장재(P)의 상단을 포위하며 상기 삽입공간(S2)과 연통하는 포위공간(S4)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웨지부(100)와 결합되어 웨지부(100)를 형성하는 복수의 웨지(11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As can be seen in (a) to (b) of FIG. 3, the head portion 200 surrounds the upper end of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and forms an enclosing space S4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space S2.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wedges 110 forming the wedge portion 100 by being coupled with the wedge portion 100 are firmly supported.

즉, 지반(G)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인장재(P)는 도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삽입공간(S2)으로 삽입되어 상기 웨지(110)가 형성하는 쐐기부(120)와 결합되며, 상기 포위공간(S4)에서 상기 머리부(200)에 의해 인장재(P)의 상단이 포위되고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외부로 노출된 인장재(P)가 상기 웨지부(100) 및 상기 머리부(200)에 의해 상기 인장장치(10)와 연결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3, the tension member P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ground 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and the wedge 120 formed by the wedge 110 and coupled, and the upper end of the tension member P is surrounded and fixed by the head portion 200 in the enclosing space S4, and as a result, the tension member P exposed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wedge portion 100 and the head portion 200. It is connected to the tensioning device 10 by the part 200.

여기서, 상기 인장장치(10)는 상기 내부공간(S1) 상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인장재(P)가 상기 삽입공간(S2) 상에 삽입되는 인장재(P)의 높이를 제한하는 조절부재(T)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ension device 10 is an adjusting member (P) disposed on the inner space (S1) and limiting the height of the tension member (P) exposed to the outsid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 T) may be further included.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머리부(200)는 머리부(200)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기 포위공간(S4)과 연통되는 삽입구(S3)를 형성 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T)는 상기 삽입구(S3)에 삽입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can be seen in FIG. 2, the head portion 200 may form an insertion hole S3 that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head portion 200 and communicates with the enclosing space S4. The adjusting member (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3).

상기 삽입구(S3)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삽입구(S3)에 삽입된 조절부재(T)는 상기 내부공간(S1)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S3) may b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us, the adjustment member (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S3) can b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space (S1).

상기 삽입구(S3)는 일례로 나사산을 형성 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재(T)는 상기 삽입구(S3)가 형성하는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부재(T)가 상기 삽입구(S3)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insertion hole (S3) may form a screw thread, for example, and the adjusting member (T) may be a bolt forming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formed by the insertion hole (S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djustment member (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mber (T) may be implemented by sliding in the insertion hole (S3).

지반 조사에 의해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견고한 경우, 인장장치(10)는 도4의 (a)와 같은 형태로, 인장장치(10) 내에서 삽입된 인장재(P)와 웨지(110)가 형성하는 쐐기부(120)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웨지부(100)와 인장재(P)의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킨 후, 외부기기(일례로, 유압기기, 미 도시)로부터 지면과 반대방향으로의 외력(인장력)을 인가받는다.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firm by ground investigation, the tension device 10 is in the form of FIG. 4 (a), the tension member P and the wedge 110 ) After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wedge portion 120 formed by the wedge portion 100 and the tensile member P,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wedge portion 100 and the tension member P is relatively increased, and then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hydraulic device, not shown) An external force (tensile force)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한편, 인장력이라 함은, 인장재(P)를 제거 할 시, 지반 외부로 노출된 인장재(P)에 삽입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해체용 인장력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force refers to the tensile force for disassembly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serted into the tensile member P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when the tensile member P is removed.

이는, 침투한 콘크리트 또는 몰탈과 지반 내부에 안착된 웨지체 간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기 위함이며, 또한 지반 내 삽입된 인장부재에 부착된 흙을 제거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break the chemical bond between the penetrating concrete or mortar and the wedge body seated inside the ground, and also to remove soil attached to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ground.

여기서, 외부기기로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은 지반(G) 내부에 삽입된 인장재(P)와 앵커 간의 물리적 결합력과 콘크리트와 앵커간의 화학적 결합력을 더한 힘보다는 적게 인가 되어야 한다.Her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device 10 from the external device should be less than the force obtained by adding the physical bonding force between the tension member P and the anchor inserted into the ground G and the chemical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anchor.

만약, 이보다 더 큰 힘을 인장력으로 인가할 경우에는 인장재(P)가 끊어지거나 인장재(P)가 지반(G) 외부로 이탈될 수 있으며, 지반(G)과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통한 화학적 결합이 끊어져 이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여 인적, 물질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If a force greater than this is applied as a tensile force, the tension member (P) may be broken or the tension member (P) may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G), and the chemical bond between the ground (G) and concrete or mortar may be broken. This is because accidents may occur resulting in human and material damage.

따라서, 상기 인장장치(10)는 인장력이 삽입된 인장재(P)와 앵커 간의 물리적 결합력과 콘크리트와 앵커간의 화학적 결합력을 더한 힘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가해지는 경우, 인장장치(10) 내의 삽입된 인장재(P)와 웨지부(100)가 먼저 이탈되게 함으로써, 지반(G)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하여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Therefore, the tension device 10 is inserted in the tension device 10 when the tensile force is equal to or relatively greater than the sum of the physical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and the anchor and the chemical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anchor. By causing the tension member P and the wedge portion 100 to separate firs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ground G is adjusted to prevent such accidents in advance.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작업자는 조절부재(T)와 삽입구(S3)가 형성하는 나사산을 조절하여 상기 조절부재(T)를 포위공간(S4) 및 포위공간(S4)과 연통하는 삽입공간(S4)으로 돌출시키거나, 삽입구(S3)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으며, 이는 지반 조사를 기초로 수행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operator adjusts the screw thread formed by the adjusting member (T) and the insertion hole (S3) to surround the adjusting member (T) with the surrounding space (S4) and the insertion space (S4) communicating with the surrounding space (S4). ), or can be retra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hole (S3), which is performed based on ground investigation.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연약한 경우,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작업자는 조절부재(T)가 삽입공간(S4)으로 돌출시킨다.If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weak, as can be seen in (b) of Figure 4, the operator protrudes the control member (T) into the insertion space (S4).

따라서, 삽입된 인장재(P)는 웨지(110)가 형성하는 쐐기부(120)와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결과적으로 인장장치(10)와 인장재(P)의 결합력은 상대적으로 작아지며, 상대적으로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도 지반(G)의 강도와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인가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T)는 상기 삽입공간(S4)에 삽입되는 인장재(P)의 끝단이 쐐기부(120) 상에 배치되도록 하여, 인장장치(10)와 인장재(P)의 결합력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act area of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with the wedge portion 120 formed by the wedge 110 is relatively small, and as a resul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ension device 10 and the tension member P is relatively small, Relatively,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device 10 may also be applied relatively small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That is, the adjusting member (T) arranges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P)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4) on the wedge portion 120,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ension device 10 and the tension member (P) is relatively can be smaller

이에 반해,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견고한 경우,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작업자는 조절부재(T)가 삽입공간(S4)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solid, as can be seen in (a) of Figure 4, the operator adjusts the control member (T)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sertion space (S4).

따라서, 삽입된 인장재(P)는 웨지(110)가 형성하는 쐐기부(120)와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져서, 인장장치(10)와 인장재(P)의 결합력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도 지반(G)의 강도와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인가될 수 있다.Therefore,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has a relatively large contact area with the wedge 120 formed by the wedge 110,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ension device 10 and the tension member P becomes relatively large, and the tension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device 10 may also be applied relatively large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즉, 지반(G)의 상대적 강도에 따라 작업자는 조절부재(T)를 돌출시키거나, 후퇴시킴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인장장치(1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장재(P)가 끊어지거나 인장재(P)가 지반(G) 외부로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ound (G), the operator can adjus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device 10 from the external device by protruding or retracting the adjusting member (T), and accordingly, the tension member (P) It prevents accidents in advance that are cut off or the tension member (P)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G).

따라서, 지반(G)에 삽입된 인장재(P)와 앵커 간의 결합력은 앵커를 지반(G)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측정 가능하므로, 상기 인장장치(10)는 지반 조사에 따른 지반의 상대적 강도에 대응하여, 외부기기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tension member P inserted into the ground G and the anchor can be measured in advance before inserting the anchor into the ground G, the tensioning device 10 responds to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ground according to the ground investigation. Thus, the tensile force applied by the external device can be adjusted.

다만, 인장력이 조절된다는 것은 상기 인장장치(10)내 삽입된 인장재(P)와 웨지부의 결합력을 조절하여 지반 조사에 따른 인가되는 인장력의 최대치(삽입된 인장재(P)와 앵커 간의 물리적 결합력과 콘크리트와 앵커간의 화학적 결합력)보다 적게 인가되도록 조절한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이는 삽입된 인장재(P)와 웨지부(100)의 결합력을 조절하여, 지반 조사에 따른 인장력의 최대치가 인가 될 경우, 인장장치(10) 내 삽입된 인장재(P)가 웨지부(100)로부터 먼저 이탈되게 함으로써 구현되며, 이를 통해 인장재(P)가 끊어지거나, 지반(G)에 삽입된 앵커가 지반(G)과의 화학적 결합이 끊어져 지반이 붕괴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However, adjusting the tensile force means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ension member P inserted in the tension device 10 and the wedge portion is adjusted to maximize the tensile force applied according to the ground investigation (the physical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and the anchor and the concrete It may mean that it is adjusted so that it is less applied than the chemical bonding force between the anchor and the anchor), which adjust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and the wedge portion 100, and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tensile force according to the ground investigation is applied, the tension device It is implemented by causing the tension member P inserted in (10) to be separated from the wedge portion 100 first, and through this, the tension member P is cut or the anchor inserted into the ground G is chemically bonded with the ground G Accidents such as ground collapse due to breakage of coupling are prevented in advanc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3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인장장치(10)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tensioning devic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to 8 .

상기 웨지부(100)는 도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 개의 웨지(110)로 구성되되, 복수의 웨지(110)가 협동하여 삽입공간(S2)을 형성한다.As can be seen in (a) of FIG. 3, the wedge portion 1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edges 110, and the plurality of wedges 110 cooperate to form an insertion space S2.

여기서, 상기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웨지(110)는 각각 형태가 다르게 형성되어 삽입공간(S2)내 삽입된 인장재(P)와의 결합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기기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이 조절된다.Here, the wedges 110 constituting the wedge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so that their bonding force with the tension member P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2 may vary, and accordingly, the tension is regulated.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웨지(110)는 도 5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웨지(110) 각각, 웨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쐐기부(120)의 길이가 동일하며, 이에 따라 삽입된 인장재(P)를 구속하는 결합력이 동일하게 형성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general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ortion 100, as shown in (a) of FIG. 5, each wedge 110, the wedge portion 12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edge 110 The length of is the same, and accordingly, the binding force for restraining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is formed the same.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웨지부(100)는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웨지(110)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In contrast, in the wedge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art 100 is formed differently.

즉, 도 5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웨지부(100)는 협동하여 삽입공간(S2)을 형성하는 제1 웨지(110) 및 제1 웨지(110)와 형태가 다른 제2 웨지(130)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as can be seen in (b) of FIG. 5, the wedge portion 100 cooperates with the first wedge 110 forming the insertion space S2 and the second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 130) may be provided.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웨지(110)는 케이스부(300)에 접촉되는 제1 웨지몸체부 및 상기 제1 웨지몸체부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장재(P)와 접촉되어 인장재(P)를 구속하는 제1 쐐기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웨지(130)는 케이스부(300)에 접촉되는 제2 웨지몸체부 및 상기 제2 웨지몸체부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장재(P)와 접촉되어 인장재(P)를 구속하는 제2 쐐기부(140)를 구비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can be seen in (b) of FIG. 5, the first wedge 110 is in contact with the case portion 300 and the first wedge body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wedge body portion. It has a first wedge portion 120 protruding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tension member P to restrain the tension member P, and the second wedge 130 has a second wedg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se portion 300 and A second wedge portion 140 protrudes from the second wedg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nsion member P to constrain the tension member P.

여기서, 일례로, 도5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쐐기부(120)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제1 길이인 L3이며, 상기 제2 쐐기부(140)의 높이 방향으로의 형성된 길이는 제2 길이인 L4이다.Here, as an example, as can be seen in (b) of FIG. 5, the length of the first wedge portion 120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is the first length L3, a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wedge portion 140 The formed length of is the second length L4.

이에 따라, 상기 제1 웨지(110)가 삽입된 인장재(P)를 구속하는 구속력(삽입된인장재와 웨지부의 결합력 중 일부)은 상기 제2 웨지(130)가 삽입된 인장재(P)를 구속하는 구속력(삽입된 인장재와 웨지부의 결합력 중 일부)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며, 웨지부(100)와 삽입된 인장재(P)와의 전체 결합력은 도 5의 (a)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Accordingly, the restraining force for restraining the tension member P into which the first wedge 110 is inserted (part o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and the wedge portion) restrains the tension member P into which the second wedge 130 is inserted. It may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binding force (part o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and the wedge portion), and the total bonding force between the wedge portion 100 and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in FIG. 5(a).

따라서,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견고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1 웨지(110)만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조립하며,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연약한 경우, 작업자는 웨지부(100)를 조립할 때, 상기 제1 웨지(110) 및 상기 제2 웨지(130)를 이용하거나 상기 제2 웨지(130)만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조립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firm, the operator assembles the wedge portion 100 using only the first wedge 110, and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weak, the operator uses the wedge 110 When assembling the unit 100, by assembling the wedge unit 100 using only the first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130 or using only the second wedge 130, a tension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is provide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10) can be adjusted.

도 6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웨지(110)가 형성되는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겠다.Another example in which the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art 100 is formed will be described using FIG. 6 .

도 6의 (a)는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웨지(110)를 도시한 도면이며동일한 웨지(110)를 사용하여 웨지부(100)를 구성한다.6(a) is a view showing a general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ortion 100, and the wedge portion 100 is constituted using the same wedge 110.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웨지부(100)는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웨지(110)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In contrast, in the wedge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art 100 is formed differently.

즉,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웨지(110)가 형성하는 상기 제1 쐐기부(120)는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간격이 제1 길이인 D1이며, 상기 제2 웨지(110)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쐐기부(120)는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간격이 제2 길이인 D2이다.That is, as can be seen in (b) of FIG. 6, the first wedge portion 120 formed by the first wedge 110 has an arbitrary wedge and a gap in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arbitrary wedge and the adjacent wedge. The first length is D1, and the second wedge portion 120 formed by the second wedge 110 has an arbitrary wedge and a distance between the arbitrary wedge and the adjacent wedge in the height direction is the second length D2 .

이에 따라, 상기 제1 웨지(110)가 삽입된 인장재(P)를 구속하는 구속력(삽입된인장재와 웨지부의 결합력 중 일부)은 상기 제2 웨지(130)가 삽입된 인장재(P)를 구속하는 구속력(삽입된 인장재와 웨지부의 결합력 중 일부)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며, 웨지부(100)와 삽입된 인장재(P)와의 전체 결합력은 도 6의 (a)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Accordingly, the restraining force for restraining the tension member P into which the first wedge 110 is inserted (part o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and the wedge portion) restrains the tension member P into which the second wedge 130 is inserted. It may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binding force (part o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and the wedge portion), and the total bonding force between the wedge portion 100 and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in FIG. 6(a).

따라서,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견고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1 웨지(110)만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조립하며,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연약한 경우, 작업자는 웨지부(100)를 조립할 때, 상기 제1 웨지(110) 및 상기 제2 웨지(130)를 이용하거나 상기 제2 웨지(130)만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조립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firm, the operator assembles the wedge portion 100 using only the first wedge 110, and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weak, the operator uses the wedge 110 When assembling the unit 100, by assembling the wedge unit 100 using only the first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130 or using only the second wedge 130, a tension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is provide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10) can be adjusted.

도 7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웨지(110)가 형성되는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겠다.Another example in which the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art 100 is formed will be described using FIG. 7 .

도 7의 (a)는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웨지(110)를 도시한 도면이며동일한 웨지(110)를 사용하여 웨지부(100)를 구성한다.7(a) is a view showing a general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ortion 100, and the wedge portion 100 is constituted using the same wedge 110.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웨지부(100)는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웨지(110)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In contrast, in the wedge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art 100 is formed differently.

즉, 도 7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웨지(110)가 형성하는 상기 제1 쐐기부(120)는 폭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가 제1 높이인 H1이며, 상기 제2 웨지(110)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쐐기부(120)는 폭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가 제2 높이인 H2 일 수 있다.That is, as can be seen in (b) of FIG. 7, in the first wedge portion 120 formed by the first wedge 110,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H1, which is the first height, and the first In the second wedge portion 120 formed by the two wedges 110,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H2, which is the second height.

이에 따라, 상기 제1 웨지(110)가 삽입된 인장재(P)를 구속하는 구속력(삽입된인장재와 웨지부의 결합력 중 일부)은 상기 제2 웨지(130)가 삽입된 인장재(P)를 구속하는 구속력(삽입된 인장재와 웨지부의 결합력 중 일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며, 웨지부(100)와 삽입된 인장재(P)와의 전체 결합력은 도 6의 (a)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Accordingly, the restraining force for restraining the tension member P into which the first wedge 110 is inserted (part o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and the wedge portion) restrains the tension member P into which the second wedge 130 is inserted. It may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binding force (part o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and the wedge portion), and the total bonding force between the wedge portion 100 and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in FIG. 6(a).

따라서,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연약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1 웨지(110)만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조립하며,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견고한 경우, 작업자는 웨지부(100)를 조립할 때, 상기 제1 웨지(110) 및 상기 제2 웨지(130)를 이용하거나 상기 제2 웨지(130)만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조립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soft, the operator assembles the wedge portion 100 using only the first wedge 110, and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strong, the operator uses the wedge 110 When assembling the unit 100, by assembling the wedge unit 100 using only the first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130 or using only the second wedge 130, a tension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is provide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10) can be adjusted.

도 8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웨지(110)가 형성되는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겠다.Another example in which the wedge 110 constituting the wedge part 100 is formed will be described using FIG. 8 .

도 8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웨지부(100)는 웨지부(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웨지(110)와 상기 제2 웨지(130)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As can be seen in (a) of FIG. 8 , in the wedge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130 constituting the wedge part 100 have different shapes.

여기서 형태라 함은, 도 8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웨지(110)와 상기 제2 웨지(120)가 형성하는 중심각이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웨지(110) 및 상기 제2 웨지(130)의 전체적인 크기를 의미한다.As can be seen in FIG. 110) and the overall size of the second wedge 130.

이에 따라, 웨지부(100)는 상기 제1 웨지(110) 및 상기 제2 웨지(130)가 형성되는 크기를 통해 외부기기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edge part 100 can adjus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device 10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zes of the first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130 .

나아가, 상기 제1 웨지 (110) 및 상기 제2 웨지(130) 내에 형성되는 제1 쐐기부(120) 및 제2 쐐기부(14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가 조절된다.Furthermore, the length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wedge portion 120 and the second wedge portion 140 formed in the first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130 are adjusted.

이에 따라, 상기 웨지부(100)는 상기 제1 쐐기부(120) 및 상기 제2 쐐기부(14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를 통해 외부기기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edge portion 100 can adjust the tensile force a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tension device 10 through the length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wedge portion 120 and the second wedge portion 140 there is.

또한, 상기 제1 쐐기부(120)는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간격이 상기 제2 쐐기부(120)의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간격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wedge portion 120, a distance in a height direction between an arbitrary wedge and an arbitrary wedge and a neighboring wedge is equal to a distance between an arbitrary wedge of the second wedge portion 120 and an arbitrary wedge and a neighboring wedge. It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acing in the height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웨지부(100)는 상기 제1 쐐기부(120) 및 상기 제2 쐐기부(140)에 형성된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간격을 통해 외부기기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edge portion 100 is formed on the first wedge portion 120 and the second wedge portion 140 through an arbitrary wedge and a gap in the height direction between the arbitrary wedge and the adjacent wedge to external devic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device 10 from above.

또한, 상기 제1 쐐기부(120)는 폭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가 상기 제2 쐐기부(120)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edge portion 120 may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wedge portion 120 .

이에 따라, 상기 웨지부(100)는 상기 제1 쐐기부(120) 및 상기 제2 쐐기부(140)에 형성된 폭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를 통해 외부기기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edge portion 100 is applied to the tension device 10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ormed on the first wedge portion 120 and the second wedge portion 140 Tension force can be adjusted.

한편,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인장장치(10)는 웨지(110)와 삽입된 인장재(P)간의 구속력이 다르도록 강도가 다른 웨지(110)를 사용하여 웨지부(100)를 구성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xample, the tension device 10 configures the wedge portion 100 using wedges 110 having different strengths so that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wedge 110 and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is different, The tension applied to the tension device 10 from the device can be adjusted.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웨지(110)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크면 웨지(110)가 인장재(P)를 구속하는 구속력이 상대적으로 커진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in general, when the strength of the wedge 110 is relatively high, the binding force of the wedge 110 to restrain the tension member P is relatively high.

따라서, 작업자는 열처리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제1 웨지(110) 및 상기 제2 웨지(130)의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Therefore, a worker may change the strength of the first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130 through a method such as heat treatment.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웨지(110) 및 상기 제2 웨지(130)는 상호 강도가 다른 동시에,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크기가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first wedge 110 and the second wedge 130 may have different strengths and different sizes forming the insertion space.

따라서,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견고한 경우, 작업자는 열처리 등의 방법으로 강도가 상대적으로 커진 상기 제1 웨지(110)만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조립하며, 지반(G)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연약한 경우, 작업자는 웨지부(100)를 조립할 때, 열처리를 하여 강도가 상대적으로 커진 상기 제1 웨지(110) 및 열처리를 하지 않아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제2 웨지(130)를 이용하거나 열처리를 하지 않아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제2 웨지(130)만을 이용하여 웨지부(100)를 조립함으로써, 외부기기로부터 인장장치(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을 조절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trength of the ground (G) is relatively firm, the worker assembles the wedge portion 100 using only the first wedge 110 whose strength is relatively increased by a method such as heat treatment, When the strength is relatively weak, when the worker assembles the wedge part 100, the first wedge 110 having a relatively high strength through heat treatment and the second wedge 130 having a relatively low strength due to no heat treatment By assembling the wedge part 100 using only the second wedge 130, which is relatively low in strength because it is not used or heat treat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device 10 from an external device.

다만, 인장력이 조절된다는 것은 상기 인장장치(10)내 삽입된 인장재(P)와 웨지부의 결합력을 조절하여 지반 조사에 따른 인가되는 인장력의 최대치(삽입된 인장재(P)와 앵커 간의 물리적 결합력과 콘크리트와 앵커간의 화학적 결합력)보다 적게 인가되도록 조절한다는 의미일 수 있으며, 이는 삽입된 인장재(P)와 웨지부(100)의 결합력을 조절하여, 지반 조사에 따른 인장력의 최대치가 인가 될 경우, 인장장치(10) 내 삽입된 인장재(P)가 웨지부(100)로부터 먼저 이탈되게 함으로써 구현되며, 이를 통해 인장재(P)가 끊어지거나, 지반(G)에 삽입된 앵커가 지반(G)과의 화학적 결합이 끊어져 지반이 붕괴되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However, adjusting the tensile force means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ension member P inserted in the tension device 10 and the wedge portion is adjusted to maximize the tensile force applied according to the ground investigation (the physical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and the anchor and the concrete It may mean that it is adjusted so that it is less applied than the chemical bonding force between the anchor and the anchor), which adjust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serted tension member P and the wedge portion 100, and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tensile force according to the ground investigation is applied, the tension device It is implemented by causing the tension member P inserted in (10) to be separated from the wedge portion 100 first, and through this, the tension member P is cut or the anchor inserted into the ground G is chemically bonded with the ground G Accidents such as ground collapse due to breakage of coupling are prevented in advan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웨지부, 200: 머리부, 300: 케이스부
110: 제1 웨지, 120: 제1쐐기부
130: 제2 웨지, 140: 제2 쐐기부
S1: 내부공간, S2: 삽입공간, S3: 삽입구, S4: 포위공간
T: 조절부재, P: 인장재, G: 지반
100: wedge part, 200: head part, 300: case part
110: first wedge, 120: first wedge
130: second wedge, 140: second wedge portion
S1: Internal space, S2: Insertion space, S3: Insertion hole, S4: Enclosed space
T: control member, P: tension member, G: ground

Claims (11)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 인장재에 인가되는 해체용 인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인장장치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되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인장재를 구속하는 웨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지부는,
상기 케이스부에 접촉되는 웨지몸체부 및 상기 웨지몸체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장재와 접촉되는 쐐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인장재의 끝단이 상기 쐐기부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장장치.
In the tension 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for dismantling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n order to remove the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A case portion forming an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wedge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pac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is inserted, and restraining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includes,
The wedge part,
A wedg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se portion and a wed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wedge body portion toward the insertion space and in contact with the tension member,
Further comprising; an adjusting member for disposing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n the wedge portion.
ten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의 상단측에 배치되며 상기 웨지부와 연결되는 머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공간 상에 삽입되는 인장재의 높이를 제한하는,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head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end side of the tension member and connected to the wedge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member,
Disposed on the inner space to limit the height of the tension member inserted on the insertion space,
tens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내부공간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member,
Position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space,
tens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head,
Equipped with an inlet,
The control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ens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하는,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insertion port,
forming a thread,
The control member,
Forming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of the insertion hole,
tension device.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 인장재에 인가되는 해체용 인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인장장치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되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인장재를 구속하는 웨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지부는,
협동하여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웨지 및 제2 웨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웨지는,
상기 케이스부에 접촉되는 제1 웨지몸체부 및 상기 제1 웨지몸체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장재와 접촉되는 제1 쐐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웨지는,
상기 케이스부에 접촉되는 제2 웨지몸체부 및 상기 제2 웨지몸체부로부터 상기 삽입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장재와 접촉되는 제2 쐐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쐐기부와 상기 제2 쐐기부는,
상기 제1 쐐기부가 인장재에 가하는 구속력과 상기 제2 쐐기부가 인장재에 가하는 구속력이 다르도록 형상이 다른,
인장장치.
In the tension 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for dismantling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n order to remove the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A case portion forming an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wedge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pac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is inserted, and restraining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includes,
The wedge part,
A first wedge and a second wedge that cooperate to form the insertion space,
The first wedge,
A first wedge bod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se portion and a first wed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wedge body portion toward the insertion space and in contact with the tension member,
The second wedge,
A second wedge body portion contacting the case portion and a second wed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wedge body portion toward the insertion space and contacting the tension member,
The first wedge part and the second wedge part,
The shape is different so that the binding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by the first wedge and the binding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by the second wedge are different.
tens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부는,
상기 제1 웨지몸체부 상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제1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쐐지부는,
상기 제2 웨지몸체부 상에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로 형성되는,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wedge portion,
It is formed in a first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first wedge body,
The second wedge part,
Formed on the second wedge body in a second length smaller than the first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tens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부는,
높이 방향으로의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간격이 제1 길이이며,
상기 제2 쐐기부는,
높이 방향으로의 임의의 쐐기 및 임의의 쐐기와 이웃하는 쐐기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길이보다 큰 제2 길이인,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wedge portion,
Any wedg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arbitrary wedge and the neighboring wedge is a first length,
The second wedge portion,
Any wedg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any wedge and the neighboring wedge is a second length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tens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쐐기부는,
상기 제1 쐐기몸체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가 제1 높이이며,
상기 제2 쐐기부는,
상기 제2 쐐기몸체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의 높이가 상기 제1 높이보다 큰 제2 높이인,
인장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wedge portion,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first wedge body is the first height,
The second wedge portion,
The height of the wedg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wedge body is a second height greater than the first height,
tension device.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 인장재에 인가되는 해체용 인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인장장치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상광하협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 및
상기 내부공간 상에 배치되되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인장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인장재를 구속하는 웨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지부는,
협동하여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웨지 및 제2 웨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웨지와 상기 제2 웨지는,
상기 제1 웨지가 인장재에 가하는 구속력과 상기 제2 웨지가 인장재에 가하는 구속력이 다르도록 강도가 다른,
인장장치.
In the tension 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for dismantling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in order to remove the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A case portion forming an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wedge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space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tension member exposed from the ground is inserted, and restraining the tension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includes,
The wedge part,
A first wedge and a second wedge that cooperate to form the insertion space,
The first wedge and the second wedge,
The strength is different so that the binding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by the first wedge and the binding force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by the second wedge are different.
tension device.
제7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웨지와 상기 제2 웨지는,
상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크기가 다른,
인장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8, 9 or 10,
The first wedge and the second wedge,
The size forming the insertion space is different,
tension device.

KR1020210188727A 2021-12-27 2021-12-27 Device for providing tention KR1025023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727A KR102502302B1 (en) 2021-12-27 2021-12-27 Device for providing t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727A KR102502302B1 (en) 2021-12-27 2021-12-27 Device for providing te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302B1 true KR102502302B1 (en) 2023-02-24

Family

ID=8533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727A KR102502302B1 (en) 2021-12-27 2021-12-27 Device for providing te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3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90B1 (en) * 2017-05-17 2017-12-0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Anch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90B1 (en) * 2017-05-17 2017-12-07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Anch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86848A (en) Reinforcing an earth embankment
KR101353882B1 (en) Method of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of pillar of neighboring tunnel
US4634318A (en) Integrated rock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continuous cable
KR101494236B1 (en) Soil nail-Earth anchor Hybrid Structure and Method for Slope Reinforcement
KR102502302B1 (en) Device for providing tention
KR100729667B1 (en) Composition anchor one thing practicable tension and compression
KR101618628B1 (en) A support of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 same
KR101038757B1 (en) Pretension soil nail structure with steel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770250B1 (en) Construn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10136143A (en) Before and after pile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wo rows pile using the same
KR102225888B1 (en) Ground pressure type anchor with wedge having maximum expansion property for cross slope
KR101516777B1 (en) Structure for combine of earth retaining wall and waling
KR102143635B1 (en) Permanent anchor apparatus
KR102029329B1 (en) End expansion type ground reinforc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KR200492647Y1 (en) Joint of steel materials for nailing method
US20120114430A1 (en) Splice for a soil reinforcing element or connector
JP3416935B2 (en) Ground anchor Ground structure
KR20110108589A (en) Shock absorber for ground anchor
JP3564682B2 (en) Anchor method and pressing member used for it
KR101851191B1 (en) Ground anchor with improved pretension wire supprot structure
KR101469875B1 (en) Reinforcement device using pressure of lattice girder and tunne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922333B1 (en) Tunnel supporting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panel
KR102363602B1 (en) Hitch rock bolt
CN217679060U (en) Pile feeder suitable for construction method pile profile steel
KR20120060535A (en) Shock absorber for Ground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