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217B1 - 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217B1
KR102502217B1 KR1020200110104A KR20200110104A KR102502217B1 KR 102502217 B1 KR102502217 B1 KR 102502217B1 KR 1020200110104 A KR1020200110104 A KR 1020200110104A KR 20200110104 A KR20200110104 A KR 20200110104A KR 102502217 B1 KR102502217 B1 KR 10250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engine
shoulder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8719A (en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김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희 filed Critical 김재희
Priority to KR102020011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217B1/en
Publication of KR2022002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2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9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arrying by the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를 메고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예초기 핸들링 장치는, 어깨에 메기 위한 멜빵(118)을 구비하고, 예초기의 구동을 위한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배낭형 프레임(100)과; 배낭형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세로고정프레임(130); 세로고정프레임(130)의 상단부의 수평방향의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의 어깨를 넘을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162)를 포함한다. 긔ㄹ고 좌우회전바아(160)가 연결부재(162)의 전방하단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연결줄(170)이 좌우회전바아(160)와 예초기의 바아 형상 예초부와 연결한다. 한 쌍의 상부링크(144) 및 하부링크(142)를 통하여, 상하이동프레임(150)에 설치된 엔진(2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무게 균형을 잡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uxiliary device that can work more easily while carrying a lawn mower. The brush cutter hand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pack-type frame 100 having a suspender 118 for carrying on the shoulder and supporting an engine for driving the brush cutter; A vertical fixed frame 130 fixed to the backpack frame 100;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162 having a convex shape upwards so as to be rotatab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132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ixed frame 130 and to exceed the user's shoulder. .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is installed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62, and the connecting line 170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and the bar-shaped mowing unit of the mower do. Through a pair of upper links 144 and lower links 142, the engine 210 installed on the vertical moving frame 150 is moved rearward to balance the weight.

Description

예초기 핸들링 장치{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Grass trimmer handling device {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본 발명은 예초기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팔로 들어야 하는 예초기의 전방 부분 무게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예초기의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wnmower hand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wnmower handling device that can reduce fatigue even after long-time use by configuring the front portion of the lawnmower to be held by a user's arm as much as possible.

예초기는 농촌 환경하에서 잡초를 비롯한 다양한 대상물을 커팅하여 제거하는 기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초기는 전기 배터리 구동방식과 소형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엔진 구동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고, 이 중에서 엔진 구동방식은 토크가 크기 때문에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어서 험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 lawnmower is a machine that cuts and removes various objects including weeds in a rural environment. It is known that these lawnmower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electric battery driven methods and engine driven methods using a small internal combustion engine.

이러한 엔진 구동방식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4-0065387호를 들 수 있고, 도 1은 이러한 선행 특허 문헌에서 종래의 기술로 언급하고 있는 예초기를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예초기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엔진(11)을 구비하는 본체부(A)와, 엔진(1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절단력을 발생하는 회전날(30)을 구비하는 예초부(B)로 구성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65387 may be cited as a prior patent document for such an engine driving method, and FIG. 1 shows a lawnmower referred to as a prior art in such prior patent document. As shown, the mowing unit includes a main body A having an engine 11 generating driving force and a rotary blade 30 generating cutting force while rotating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ngine 11 . It consists of (B).

본체부(A)에서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엔진(11) 및 연료탱크(12)는 배낭형프레임(10)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배낭형프레임(10)의 전방에는 멜빵(13)이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멜빵(13)을 이용하여 배낭형 프레임(10)을 어께에 멘 상태에서 엔진(11) 등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체부(A)를 메고, 양손으로는 예초부(B)를 들어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시동스위치(14)가 장작된 부분과 손잡이(21)를 양손으로 들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The engine 11 and the fuel tank 12, which have considerable weight in the body portion A, are mounted on the backpack frame 10. In addition, since the backpack frame 10 has a suspender 13 installed in front of it, the user supports the engine 11 and the like while carrying the backpack frame 10 on the shoulder using the suspender 13. Carrying such a main body part (A), and carrying out the work by lifting the mowing part (B) with both hands. It is normal to do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예초기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에는, 배낭형 프레임(10)을 어께에 멘 상태에서, 양손이 예초부(B)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예초부(B) 전체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예초부(B) 전체를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면서 예초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실질적으로 매우 힘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working using a mowing machin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work must be performed while supporting the entire load of the mowing unit B with both hands while carrying the rucksack frame 10 on the shoulder. However, the entire mowing part (B) has a considerable weight, and mowing work must be performed while manipulating the entire mowing part (B) in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can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잡고 들어여 하는 예초부의 하중의 많은 부분을 사용자의 어께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예초기 핸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wn mower handling device hav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fatigue even during long-time use by distributing a large portion of the load of the mowing unit that the user must hold and lift to the user's shoulder. can

본 발명의 예초기 핸들링 장치는, 어깨에 메기 위한 멜빵을 구비하고, 예초기의 구동을 위한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배낭형 프레임과; 배낭형 프레임에 고정되는 세로고정프레임; 그리고 세로고정프레임의 상단부의 수평방향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의 어깨를 넘을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부재의 전방하단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좌우회전바아가 설치되고, 좌우회전바아의 단부에는 예초기의 바아 형상 예초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줄이 설치된다. A lawnmower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pack-type frame having a suspender for carrying on a shoulder and supporting an engine for driving the lawnmower; A vertical fixed frame fixed to a backpack frame; And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vex shape upwards so as to be pivot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horizontal support shaft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ixed frame, and to exceed the user's shoulder. In addition, a left and right rotation bar is installed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connecting line for connecting to the bar-shaped mowing unit of the lawn mower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그리고 일단부가 세로고정프레임에 각각 핀연결되는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의 타단부에 핀연결되는 상하이동프레임, 하단부가 상부링크의 중간부분에 핀연결되는 연동부재, 그리고 연결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함에 따라서 연동부재를 상승시키기 위한 키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은 상하이동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된다. And the upper and lower links, one end of which is pin-connected to the vertical fixed frame, the other end of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link, the vertical movement frame, the lower end of which is pin-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upper link, and the connecting member As i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a key for raising the interlock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engine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moving frame.

연동부재와 키이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엔진은 상하이동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범용성 또는 호환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A spring is preferably interposed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 and the key, and it is preferable for versatility or compatibility that the engine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moving frame.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예초기 핸들링 장치에 의하면,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예초기의 예초부 무게를 일부 어깨에서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손 및 팔의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장시간 작업에도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ccording to the lawnmower hand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owing part weight of the lawnmower is partially received from the shoulder by using the connecting member. This means that the strength of the hand and arm can be substantially minimized, and it is thought that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inimize fatigue even during long-time work can be expected.

도 1은 선행 특허 문헌의 예초기 구성을 보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핸들링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핸들링 장치의 펼친 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핸들링 장치의 예초부 지지부의 측면도.
1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awnmower of a prior patent document.
2 is a side view of the hand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hand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4 is a side view of a mowing part support of the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while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ooked at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 핸들링 장치가 접힌 상태(미사용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 3은 핸들링 장치가 펼쳐진 상태(사용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예초기 핸들링 장치는, 멜빵(118)을 구비하는 배낭형 프레임(100)을 포함하 있다. 배낭형 프레임(100)은 등판(110)과 짐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멜빵(118)은 당연히 등판(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고, 등판(110) 자체의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FIG. 2 shows the hand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unused state), and FIG. 3 shows the handling device in an unfolded state (used state). As shown, the mower hand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pack-type frame 100 having a sling 118. The backpack frame 100 may include a back plate 110 and a load plate 112. The above-described suspenders 118 are naturally installed in front of the back plate 110,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 plate 110 itself.

그리고 상기 등판(110)의 바로 뒤에는 고정세로프레임(130)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세로프레임(130) 뒤에는 상하이동프레임(150)이 설치되는데, 상하이동프레임(150)은 예를 들면 상부링크(144)와 하부링크(142)에 의하여 고정세로프레임(130)과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어 있다. 상부링크(144)는, 핀(Pa)에 의하여 고정세로프레임(13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핀(Pc)에 의하여 상하이동프레임(1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링크(144) 및 하부링크(142)는 각각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And right behind the back panel 110, a fixed vertical frame 130 is fixed. In addition, a vertical movement frame 150 is installed behind the fixed vertical frame 130, and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50 rotates with the fixed vertical frame 130 by, for example, an upper link 144 and a lower link 142, respectively. Possibly pin connected. The upper link 14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vertical frame 130 by a pin Pa,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50 by a pin Pc. It is more preferable for stable operation to configure the upper link 144 and the lower link 142 as a pai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여기서 상하이동프레임(150)의 하단위치는, 지지부(152)가 짐판(112) 상에 부딪혀서 그 위치가 규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어느 일측의 링크, 예를 들면 하부링크(142)가 고정세로프레임(130)의 측면을 돌출한 스토퍼(142)에 걸려서 그 하부 위치가 규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하이동프레임(150)의 하부위치는 실질적으로 엔진(210)이 가장 낮음과 동시에 배낭형 프레임(100) 쪽으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Here,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oving frame 150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is regulated by the support part 152 colliding with the pan 112, and the link on either side, for example, the lower link 142 is fixed. It is also possible to be caught on the stopper 142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30 so that its lower position is regulated. Here, the lower position of the up-and-down frame 150 is a state in which the engine 210 is substantially at its lowest position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ucksack-type frame 100.

또한 하부링크(142)는, 핀(Pe)에 의하여 고정세로프레임(1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핀(Pf)에 의하여 상하이동프레임(15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세로프레임(130)의 상단부에 성형되는 지지축(132)에는, 회전축(138)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축(13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회전축(138)은 수평 상태의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축(138)은 사용자의 어깨를 넘어갈 수 있는 곡선형의 연결부재(162)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lower link 1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xed vertical frame 130 by a pin Pe,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ing frame 150 by a pin Pf. A rotation shaft 138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 132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vertical frame 130 . Here, since the support shaft 132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rotation shaft 138 can rotate vertically around the support shaft 132 in a horizontal state. And this rotating shaft 138 is connected to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162 that can pass over the user's shoulder.

즉, 상방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오목한 하부가 어께를 건너 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162)의 후단부는 고정세로프레임(13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62)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62)는 세로고정프레임(130)의 우측 또는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62, which is convex upward and has a shape in which a concave lower part can cross the shoulder,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fixed vertical frame 130. It can be seen that this connecting member 162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connecting member 162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vertical fixing frame 130.

그리고 회전축(138)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키이(136)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키이(136)는 스프링(S)을 통하여 하부의 연동부재(140)와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스프링(S)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진동의 감쇄 및 연결부재(162)의 하방 회전에 의한 신장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상단부가 스프링(S)에 연결된 연동부재(140)의 하단부는 상부링크(144)의 중앙부분과 핀(Pb) 연결되어 있다. Further, a key 136 extending outwardly is formed on the rotational shaft 138 . This key 136 is connected to the lower interlocking member 140 through a spring (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pring (S) is thought to be helpful in damping vibration and elongation by downward rot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62,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member 140, the upp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pring (S),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link 144 and the pin (Pb).

따라서 회전축(138)의 회전에 의하여 키이(13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프링을 경유하여 연동부재(140)가 상승하게 된다. 연동부재(140)의 하단부가 핀(Pb) 연결되어 있는 상부링크(144)는 핀(P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하이동프레임(150)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고정세로프레임(130)에서 멀어지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key 136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138, the interlocking member 140 is raised via the spring. Since the upper link 144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interlocking member 140 is connected to the pin Pb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pin Pa, the vertical moving frame 150 substantially mov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t the same time as moving, it moves to the right on the drawing away from the fixed vertical frame 130 .

그러면 상하이동프레임(150)의 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부(152)에 올려져 있는 엔진(210) 및 연료탱크(220)가 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상하이동프레임(150)이 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62)와의 무게 중심의 폭을 더 넓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술한 곡선형의 연결부재(162) 및 그 전방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Then, the engine 210 and the fuel tank 220 mounted on the support 15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50 move further rearward. This movement allows the width of the center of gravity with the connecting member 162 to be widened as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50 is substantially moved backward, as will be described later. Next, the above-described curved connecting member 162 and its front configuration will be reviewed.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곡선형의 연결부재(162)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성형되어, 멜빵(118)을 이용하여 배낭형 프레임(100)을 사용자가 어께에 메게 되면, 연결부재(162)는 사용자의 어께를 넘어서 전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162)는 사용자의 어께를 감싸면서 앞으로 넘어가고,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하단부(162a)에서 좌우회전바아(160)와 연결되어 있다. 좌우회전바아(160)는 연결부재(162)의 전방 하단부(162a)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4, the curved connecting member 162 is convexly molded upward, and when the user wears the backpack frame 100 on the shoulder using the suspenders 118, the connecting member 162 is positioned forward beyond the user's shoulder.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162 is passed forward while wrapping the user's shoulder, and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at the lower front portion 162a located in the front.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is rotatably conne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lower end 162a of the connecting member 162.

즉, 연결부재(162)는 회전축(13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좌우회전바아(160)은 연결부재(16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형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초기를 상하 방향의 높이 조절 및 좌우 방향의 위치 조절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좌우회전바아(160)에는 연결줄(17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연결줄(170)은 도 1에 도시한 예초기의 예초부(B)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162 is rotatably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32, an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is rotatably conne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162.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type of connec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function for more convenient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w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osition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connection line 170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and this connection line 170 is for connecting to the mowing unit B of the mowing machine shown in FIG.

예를 들면 연결줄(170)의 단부에 고리 또는 카라비너 등을 설치하여, 바아 형상의 예초부(B)와 쉽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연결줄(170)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연결줄(170)의 상단부를 고정블럭(172)의 구멍을 통과시킨 후, 나사(174)를 고정블럭(172)에 결합함으로써 구멍을 관통하고 있는 연결줄(17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고정블럭(172)은 좌우회전바아(16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고, 좌우회전바아(160)의 선단에는 링(176)을 설치하여 연결줄(170)을 관통시키고 있다. For example, by installing a ring or a carabiner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line 170,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it to the bar-shaped mowing portion B.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170, after passing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170 through the hole of the fixing block 172, and then coupling the screw 174 to the fixing block 172, the hole It is possible to fix the connecting line 170 passing through. Here, the fixing block 172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and a ring 176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to pass through the connecting line 170.

여기서 본 발명은, 좌우회전바아(160)의 선단부 연결줄(170)을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줄의 길이 조절을 위한 고정블럭(172)를 좌우 회전바아(160)의 선단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예초기 핸들링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install the connecting line 170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and also install the fixing block 172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ine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It can also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do it. Next, the state of use of the brush cutter hand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멜빵(118)을 이용하여 배낭형 프레임(100)을 어께에 메는데, 이때 엔진(210) 및 연료탱크(220)는 배낭형 프레임(100)에서 가장 낮고 배낭형 프레임(100)에 가장 가까운 상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엔진(21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초부(B)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줄(170)의 하단부 고리(170a)를 예초부(B)의 중간 정도의 부분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배낭형 프레임(100)을 어깨에 메는 것에 의하여 엔진(210) 등의 하중은 어께를 이용하여 받고, 손으로 예초기의 손잡이를 잡음으로써 실질적으로 손과 팔에는 예초기의 예초부(B)의 하중을 일부를 받고 있다. The user wears the backpack frame 100 on the shoulder using the suspenders 118, and at this time, the engine 210 and the fuel tank 220 are the lowest in the backpack frame 100 and closest to the backpack frame 100. Have. In addition, the engine 210 is connected to the mowing unit B as shown in FIG. 1 . In this state, by connecting the lower end hook 170a of the connection line 170 to the middle part of the mowing part B, the user carries the backpack frame 100 on his shoulder, thereby carrying the load of the engine 210 and the like on his shoulder. , and by holding the handle of the mowing machine with the hand, the hand and arm substantially receive a portion of the load of the mowing part B of the mowing machine.

그리고 연결부재(162)를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도 3의 상태가 되는데, 이때 회전축(132)의 키이(136)이 연동부재(140)를 상방으로 당기게 된다. 연동부재(140)의 상방 이동에 의하여 상부링크(144)는 핀(P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링크(142)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상하이동프레임(150)이 도면상 우측 및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n, when the connecting member 162 is pulled downward, the state of FIG. 3 is obtained. At this time, the key 136 of the rotation shaft 132 pulls the interlocking member 140 upward.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member 140, the upper link 144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pin Pa, and the lower link 142 also moves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50 moves to the right and upper side in the drawing.

이렇게 되면 상하이동프레임(150) 상에 설치된 엔진(210)이 더욱 후방으로 밀리는 결과로 되고, 전방의 예초부와의 밸런스를 최대한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예초부(B) 전체 하중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예초부(B)의 일부 하중을 배낭형 프레임(110)을 통하여 어깨로 받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손과 팔을, 예초부(B)의 하중에 대하여 최대한 가볍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ngine 210 installed on the vertical moving frame 150 is pushed further backward, and the balance with the mowing part in the front can be maximized. 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the user does not receive the entire load of the mowing unit B, but receives a portion of the load of the mowing unit B through the backpack frame 110 on the shoulde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hands and arms can be made as light a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load of the mowing part B.

그리고 키이(136)과 연동부재(140)를 연결하는 스프링(S)은, 엔진(2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과 연결부재(162)를 하방으로 조작할 때 늘어남으로써 원활한 조작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엔진(210)은 상하이동프레임(150)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부(152)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여기서 호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엔진(210)은 지지부(152) 상에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pring (S) connecting the key 136 and the interlocking member 140 has a function of absorbing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engine 210 and is stretched when the connecting member 162 is operated downward, so that smooth operation is possible. let it And the engine 2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15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50. In order to have compatibility here, the engine 210 is coupled to the support 152 by bolt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 can be separated or separat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할 것으로 생각된다. Of course, other various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nsidered natural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what is described in the claims in view of the provisions of the Patent Act.

100 ..... 배낭형 프레임
130 ..... 고정세로프레임
132 ..... 지지축
138 ..... 회전축
140 ..... 연동부재
142 ..... 하부링크
144 ..... 상부링크
150 ..... 상하이동프레임
152 ..... 지지부
162 ..... 연결부재
210 ..... 엔진
220 ..... 연료탱크
100 ..... backpack frame
130 ..... fixed vertical frame
132 ..... support shaft
138 ..... rotary shaft
140 ..... interlocking member
142 ..... lower link
144 ..... upper link
150 ..... Shanghai East Frame
152 ..... support
162 ..... connection member
210 ..... engine
220 ..... fuel tank

Claims (4)

어깨에 메기 위한 멜빵(118)을 구비하고, 예초기의 구동을 위한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배낭형 프레임(100)과;
배낭형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세로고정프레임(130);
세로고정프레임(130)의 상단부 수평방향의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자의 어깨를 넘을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162);
일단부가 세로고정프레임(130)에 각각 핀연결되는 상부링크(144) 및 하부링크(142);
상부링크(144) 및 하부링크(142)의 타단부에 핀연결되고, 엔진을 지지하기 위한 상하이동프레임(150);
하단부가 상부링크(144)의 중간부분에 핀연결되는 연동부재(140);
연결부재(162)와 연동하여 회전함에 따라서 연동부재(140)를 상승시키기 위한 키이(136);
연결부재(162)의 전방하단부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좌우회전바아(160); 그리고
좌우회전바아(160)에 설치되고, 예초기의 바아 형상 예초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줄(170)로 구성되는 예초기 핸들링 장치.
A backpack-type frame 100 having a suspender 118 for carrying on the shoulder and supporting an engine for driving the lawn mower;
A vertical fixed frame 130 fixed to the backpack frame 100;
A connection member 162 that is pivot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support shaft 13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ixing frame 130 and has a convex shape upward so as to exceed the user's shoulder;
One end of the upper link 144 and the lower link 142 each pin-connected to the vertical fixed frame 130;
Pin-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upper link 144 and the lower link 142, the vertical moving frame 150 for supporting the engine;
An interlocking member 140 whose lower end is pin-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link 144;
A key 136 for raising the interlocking member 140 as i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connecting member 162;
Left and right rotation bars 160 installed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ront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62; and
A brush cutter handling devic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ar 160 and composed of a connecting line 170 for connection with the bar-shaped mowing unit of the brush cutt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연동부재(140)와 키이(136)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예초기 핸들링 장치.
The brush cutter hand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 (140) and the key (136).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210)은 상하이동프레임(1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예초기 핸들링 장치. The lawnmower hand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ine (21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movement frame (150).
KR1020200110104A 2020-08-31 2020-08-31 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KR1025022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04A KR102502217B1 (en) 2020-08-31 2020-08-31 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04A KR102502217B1 (en) 2020-08-31 2020-08-31 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19A KR20220028719A (en) 2022-03-08
KR102502217B1 true KR102502217B1 (en) 2023-02-20

Family

ID=8081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04A KR102502217B1 (en) 2020-08-31 2020-08-31 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2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6704B (en) * 2023-09-08 2024-04-23 武义豪远五金制品有限公司 Backpack mow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2354A (en) 2018-01-11 2019-07-25 義治 井坂 Handlebar vibration-proof device of bush cut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365B1 (en) * 2006-07-12 2008-02-15 박해룡 Auxiliary equipment for a power mower
KR101638169B1 (en) * 2014-05-02 2016-07-11 소종수 Support Device for Weed Cutter
KR101692110B1 (en) * 2014-09-11 2017-01-03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Hanger device working lawnmower bags
KR20200054509A (en) * 2018-11-12 2020-05-20 이영삼 Mow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2354A (en) 2018-01-11 2019-07-25 義治 井坂 Handlebar vibration-proof device of bush c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19A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715B1 (en) Mowing machine
KR100633396B1 (en) Weed cutting machine for excavator
JP3398303B2 (en) Backpack work machine
KR102502217B1 (en) A device for handling a trimmer
WO2011131861A1 (en) Harness for carrying portable cutting devices, and cutting devices comprising such a harness
KR101186020B1 (en) A grass cutter machine be support device of work-bar
KR20200054509A (en) Mower
KR200460767Y1 (en) crops for grass eliminator
KR20160092268A (en) Weeding Apparatus Coupled Separably to Self Propelled Vehicle
SE542135C2 (en) An electrically powered vegetation cutter
KR20180027139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Fruits
GB1496752A (en) Mowers
HU215294B (en) Suspending frame for harvesting machine preferably rotational grass mower
JP2010233472A (en) Hand-carry type power working machine
KR20190023854A (en) Traction apparatus for lawn trimmer
KR200461182Y1 (en) Crop Guide for grass eliminator
KR20080006301A (en) Auxiliary equipment for a power mower
JPH0523819U (en) Vibration cutting work machine
KR102555574B1 (en) Soil moving apparatus for rotavator
KR200472301Y1 (en) Wheel typed brush cutter which can be attached backpack frame
JP2002165509A (en) Handle length regulator for walking-type mower
KR20190037735A (en) Strap for brush cutter
CA3140479C (en) Counterbalanced cutting head for a sod harvester
KR200454177Y1 (en) Mowers
CN216567474U (en) All-round lumbering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