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168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168B1
KR102502168B1 KR1020220149126A KR20220149126A KR102502168B1 KR 102502168 B1 KR102502168 B1 KR 102502168B1 KR 1020220149126 A KR1020220149126 A KR 1020220149126A KR 20220149126 A KR20220149126 A KR 20220149126A KR 102502168 B1 KR102502168 B1 KR 10250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ing
housing
filter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네트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네트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네트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2014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168B1/ko
Priority to US18/308,249 priority patent/US2024015631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5Dry filters funnel-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5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vertical type, e.g. tank or buck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63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2Use of the inlet flow in order to clean the filt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containing fixed gas displacement element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03Curv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5/00Casings, housings or mounting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5/06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for filtering material, e.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67/00Multiple 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67/40Different types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10Multipl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20Shape of filtering material
    • B01D2275/201Con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appliances, e.g.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진공청소기는: 더스트컨테이너로써, 일측으로 개방되고 둘레면에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 허용하며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 및 흡입구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케이싱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물질 중 일정치 이상의 크기인 이물질을 케이싱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 유도하고 필터유닛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박리 유도하는 인렛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의 필터를 상부의 직경이 큰 콘(corn) 타입의 프로텍터에 설치하고 프로텍터를 더스트컨테이너 내측에 고정 장착하며 더스트컨테이너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프로텍터의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함에 따라 필터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한 채 정화된 공기를 통과시키고, 정화된 공기의 배기구를 더스트컨테이너의 케이싱 또는 작동부의 하우징의 둘레면에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에 진공발생용 모터와 봉투형의 필터를 설치하고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공력에 의하여 오니가 청소기의 본체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 유입되는 오니를 필터로 필터링하여 오물은 청소기 본체에 있도록 하고 필터를 통과한 오니와 공기만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통상 바닥을 청소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크게 바닥의 먼지가 흡입하는 흡입노즐이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처에 따라 용도에 맞는 흡입노즐로 교체할 수 있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과 흡입노즐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으로 구분된다.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수거된 먼지가 집진되는 본체와, 바닥에 접촉되어 이동되면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과, 이 흡입노즐을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물건이나 바닥의 형태, 재질 등에 따라 흡입노즐을 교체할 수 있고 흡입력이 강하여 업라이트 타입보다 그 사용범위가 넓다.
또한,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흡입노즐과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이동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한 청소를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진공청소기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114132호(발명의 명칭: 진공청소기 흡입관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진공청소기는 먼지 등 이물질을 걸러낸 공기가 상부 방향으로 토출되어 사용자 측으로 유동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진공청소기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의 표면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이물질을 걸러낸 공기의 유동 저항이 증가하여 소음이 크게 발생되고 공기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기능의 필터를 상부의 직경이 큰 콘(corn) 타입의 프로텍터에 설치하고, 프로텍터를 더스트컨테이너 내측에 고정 장착하며, 더스트컨테이너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프로텍터의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함에 따라 필터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한 채 정화된 공기를 통과시키고자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의 배기구를 더스트컨테이너의 케이싱 또는 작동부의 하우징의 둘레면에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더스트컨테이너; 및 상기 더스트컨테이너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의 흐름을 강제 안내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더스트컨테이너는, 일측으로 개방되고 둘레면에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 허용하며, 상기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 및 상기 흡입구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이물질 중 일정치 이상의 크기인 이물질을 상기 케이싱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 유도하고 상기 필터유닛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박리 유도하는 인렛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을 막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의 강제 흐름을 안내하는 모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일측 둘레면에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작동부 또는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고, 형상 유지를 위해 경질로 이루어지며,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망 또는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 바닥에 이물질이 저장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서 높이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프로텍터;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과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면접되게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하고,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 및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의 외측을 감싸는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고정 지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인렛가이드부재와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흐름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인렛가이드부재에 대응되는 둘레면 기울기가 상기 인렛가이드부재에 대향하지 않는 둘레면의 기울기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흡입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프로텍터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프로텍터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공기와 함께 유동되는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하나 이상의 헤파필터; 및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기 프로텍터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초미세한 이물질과 상기 이물질에 함유된 악취성분을 걸러내는 하나 이상의 활성탄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헤파필터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하우징이 결합시,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 테두리에 접한 채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리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모터부재를 구비하며, 둘레면에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아우터하우징;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채 고정되고, 중심축 방향을 따라 개방된 타측으로 걸러진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고, 둘레면에 연결홀을 형성하는 이너하우징;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 둘레면과 상기 이너하우징의 외측 둘레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 안내하는 유동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우터하우징 또는 상기 이너하우징의 공기 유입측에 결합되고, 배기홀을 형성하며, 상기 배기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모터부재를 고정 설치하는 바디; 및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아우터하우징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아우터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필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필터모듈은, 상기 배출구에 설정깊이만큼 슬라이드 삽입되고,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이물질걸름필터;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프레임의 입구측과 출구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재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파티클과 악취물질을 걸러내는 악취걸름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필터모듈은,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고, 상기 공기의 배기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우터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배출구에서 꺼낼 경우 잡을 수 있도록 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이너하우징과 구획되는 내부의 공간에 회전릴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회전릴은 핸들에 의해 회전되며 인출된 전선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회동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인출홀에 대응되는 내측에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전선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다양한 기능의 필터를 상부의 직경이 큰 콘(corn) 타입의 프로텍터에 설치하고, 프로텍터를 더스트컨테이너 내측에 고정 장착하며, 더스트컨테이너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프로텍터의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함에 따라 필터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한 채 정화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정화된 공기의 배기구를 더스트컨테이너의 케이싱 또는 작동부의 하우징의 둘레면에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송풍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스트컨테이너와 작동부의 조립 상태의 크기를 기존 대비 현저히 줄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청소호스가 거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더스트컨테이너와 작동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필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배기필터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필터모듈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삽입되는 전선을 안내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청소호스가 거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더스트컨테이너와 작동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필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배기필터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필터모듈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 삽입되는 전선을 안내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0)는 더스트컨테이너(200), 작동부(300), 청소노즐 조립체(400) 및 청소호스(500)를 포함한다.
더스트컨테이너(200)는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212)를 구비하고,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걸러내어진 이물질은 더스트컨테이너(200)에 저장된다.
그리고, 작동부(300)는 더스트컨테이너(20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의 흐름을 강제 안내한다.
아울러, 청소노즐 조립체(400)는 작동부(300)의 작동으로 바닥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청소호스(500)는 더스트컨테이너(200)와 청소노즐 조립체(400)를 연결하여, 청소노즐 조립체(400)로 흡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더스트컨테이너(200)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더스트컨테이너(200)는 케이싱(210), 필터유닛(220) 및 인렛가이드부재(230)를 포함한다.
케이싱(210)은 더스트컨테이너(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공기로부터 걸러진 이물질을 저장하는 용기이다. 이때, 케이싱(210)은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케이싱(2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케이싱(210)은 둘레면에 흡입구(212)를 형성한다. 흡입구(212)는 청소호스(500)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싱(210)은 캐리어(214)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캐리어(214)는 복수 개의 롤러(215)를 구비한다. 그래서, 케이싱(210)은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캐리어(2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롤러(215)를 고정 설치한다.
또한, 필터유닛(220)은 케이싱(2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흡입구(212)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 허용하며,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때, 필터유닛(220)은 케이싱(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작동부(300)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편의상, 필터유닛(220)은 작동부(300)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인렛가이드부재(230)는 흡입구(212)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케이싱(2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흡입구(2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물질 중 일정치 이상의 크기인 이물질 등을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 유도하고, 설정 궤적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필터유닛(220)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박리 유도한다.
이때, 인렛가이드부재(230)는 케이싱(210)의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공기와 이물질을 토출 안내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인렛가이드부재(230)는 케이싱(21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케이싱(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인렛가이드부재(230)는 케이싱(2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특히, 필터유닛(220)은 프로텍터(221), 필터부재(222) 및 장착부(223)를 포함한다.
프로텍터(221)는 작동부(300) 측 또는 케이싱(210)에 연결 고정되고, 형상 유지를 위해 경질로 이루어지며,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망 또는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로텍터(221)는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에 이물질이 저장되는 공간과 공기가 원주 방향으로 유동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케이싱(210)의 바닥에서 높이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편의상, 프로텍터(221)는 상광하협 형상의 뒤집혀진 고깔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프로텍터(221)는 상부가 작동부(300) 측의 하부 전체를 감싸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필터부재(222)는 프로텍터(221)의 내측과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면접되게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하고,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필터부재(222)는 헤파필터(224) 및 활성탄필터(225)를 포함한다.
헤파필터(224)는 흡입구(212)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프로텍터(221)의 외측을 감싸고, 프로텍터(22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공기와 함께 유동되는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때, 헤파필터(224)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겹으로 구비된다. 헤파필터(224)는 프로텍터(221)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활성탄필터(225)는 프로텍터(221)의 내측에 안착되고, 프로텍터(22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초미세한 이물질과 이물질에 함유된 악취성분을 걸러낸다. 활성탄필터(225)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겹으로 구비되고, 프로텍터(22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인렛가이드부재(230)가 케이싱(210)의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필터유닛(220) 특히 활성탄필터(225)와 인렛가이드부재(230)의 직선거리는 인렛가이드부재(230)를 형성하지 않은 케이싱(210)의 내측면과 활성탄필터(225)의 직선거리보다 짧게 된다. 이로써, 공기와 이물질의 유동 저항이 상이해짐에 따라,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헤파필터(224)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프로텍터(221)는 인렛가이드부재(230)와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흐름량을 확보하기 위해 인렛가이드부재(230)에 대응되는 둘레면 기울기(θ1)가 인렛가이드부재(230)에 대향하지 않는 둘레면의 기울기(θ2)와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프로텍터(221)는 인렛가이드부재(230)에 대응되는 둘레면 기울기(θ1)가 인렛가이드부재(230)에 대향하지 않는 둘레면의 기울기(θ2)보다 크게 된다.(θ1> θ2)
또한, 필터부재(222) 특히 헤파필터(224)는 프로텍터(221)의 외측을 감쌈에 따라 프로텍터(221)와 소정 이격된 채 펄럭거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텍터(221)의 외측면을 감싸는 헤파필터(224)는 상측이 케이싱(210)의 개방측 테두리에 접하게 된 채 작동부(300)에 눌려 고정된다. 아울러, 헤파필터(224)는, 케이싱(210)과 작동부(300)의 하우징(310)이 결합시, 케이싱(210)의 개방측 테두리에 접한 채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리퍼(224a)를 구비한다.
그리퍼(224a)는 케이싱(210)과 하우징(310)을 분리시, 케이싱(210)으로부터 헤파필터(224)를 용이하게 잡고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물론, 그리퍼(224a)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장착부(223)는 프로텍터(221)와, 프로텍터(221)의 외측을 감싸는 필터부재(222)의 헤파필터(224)를 케이싱(210)의 내부에서 고정 지지한다.
이때, 장착부(223)는 장착돌부(226) 및 장착홈부(229)를 포함한다.
장착돌부(226)는 뾰족한 프로텍터(221)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케이싱(210)의 내부 바닥에 돌출된다.
그리고, 장착홈부(229)는 프로텍터(221)의 하부를 수용하도록 장착돌부(226)에 함몰 형성된다.
그래서, 장착돌부(226)의 장착홈부(229)는 프로텍터(221)와 헤파필터(224)의 하측을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프로텍터(221)와 헤파필터(224)의 하측이 장착홈부(229)에 수용됨에 따라, 공기의 흐름 발생에 따라 프로텍터(221)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장착돌부(226)는 케이싱(210) 자체일 수도 있고, 케이싱(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작동부(300)는 하우징(310) 및 모터부재(330)를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케이싱(210)의 개방측을 막는다.
그리고, 모터부재(330)는 하우징(310)에 구비되고, 케이싱(210)과 하우징(31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을 강제한다. 이때, 모터부재(330)는 팬모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이물질을 걸러낸 후 정화된 공기는 배출구(311)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기된다. 이때, 배출구(311)는 케이싱(210) 또는 하우징(310)의 일측 둘레면에 형성된다. 편의상, 배출구(311)는 하우징(310)의 일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하우징(310)은 아우터하우징(312), 이너하우징(313) 및 유동통로(314)를 포함한다.
아우터하우징(312)은 케이싱(210)의 개방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아우터하우징(312)은 클램프(213)에 의해 케이싱(2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래서, 아우터하우징(312)은 케이싱(210)의 개방측을 향하는 하부를 개방되게 형성한다. 물론, 클램프(213)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아우터하우징(312)은 내부에 모터부재(330)를 구비하며, 둘레면에 배출구(311)를 형성한다. 그래서, 공기는 아우터하우징(312)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 후 둘레면의 배출구(311)로 배출된다.
그래서, 공기의 유동 방향 전환을 위해 이너하우징(313)이 구비된다.
이너하우징(313)은 아우터하우징(3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아우터하우징(312)의 내부에 구비된 채 고정된다. 그리고, 이너하우징(313)은 중심축 방향을 따라 개방된 타측(하측)으로 걸러진 공기의 유입을 허용한다.
이때, 아우터하우징(312)의 하측과 이너하우징(313)의 하측 사이 공간은 막힌 상태가 된다. 그래서, 케이싱(210)의 내부에서 필터유닛(220)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이너하우징(313)의 내부로 유입된다. 아울러, 이너하우징(313)은 둘레면에 연결홀(318)을 형성한다.
또한, 유동통로(314)는, 아우터하우징(312)의 내부에 이너하우징(313)을 축 삽입한 상태에서, 아우터하우징(312)의 내측 둘레면과 이너하우징(313)의 외측 둘레면 사이에 형성된다.
그래서, 공기는 이너하우징(313)의 하측으로 유입된 후 연결홀(318)을 통해 아우터하우징(312)과 이너하우징(313) 사이를 유동하면서 배출구(311)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를 위해, 유동통로(314)의 상측과 하측은 막힌 상태가 된다.
아울러, 하우징(310)은 바디(315) 및 배기필터모듈(320)을 포함한다.
바디(315)는 아우터하우징(312) 또는 이너하우징(313)의 공기 유입측에 결합되고, 배기홀(319)을 형성한다. 그래서, 필터유닛(220)을 통과한 공기는 전량 배기홀(319)을 통과 후 이너하우징(313)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바디(315)는 배기홀(319)에 대응되도록 모터부재(33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바디(31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아우터하우징(312)은 이너하우징(313)과 구획되는 내부의 상부 공간에 회전릴(340)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회전릴(340)은 핸들(350)에 의해 회전되며 인출된 전선(352)을 감을 수 있다.
이때, 아우터하우징(312)은 인출홀(316)을 형성하여 모터부재(330)에 연결되는 전선(352)을 외부로 인출 안내한다.
아울러, 하우징(310) 특히 아우터하우징(312) 또는 이너하우징(313)은 인출홀(316)에 대응되는 내측에 가이드롤러(342)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전선(352)을 안내한다. 특히, 회전릴(340)이 회전되며 전선(352)을 당겨 감을 경우, 전선(352)은 가이드롤러(342)에 접하여 마찰을 최소화한 채 이송된다. 아울러, 가이드롤러(342)는 하우징(310)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352)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전선(352)은 팽팽한 상태로 회전릴(340)에 감겨 정렬됨에 따라, 꼬임 등 전선(352)의 감김 불량이 방지된다.
그리고, 인출홀(316)에 대응되는 아우터하우징(312) 또는 이너하우징(313)은 내측에 곡면안내부(344)를 형성한다. 곡면안내부(344)는 곡률지게 형성되어 하우징(310) 내부로 삽입되는 전선(352)에 마찰 저항을 줄이면서 감김 방향성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아우터하우징(312)은 진공청소기(100)를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회동식 또는 접이식의 손잡이(317)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핸들(350)과 손잡이(317)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배기필터모듈(320)은 배출구(311)에 대응되도록 아우터하우징(312)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를 한번 더 정화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아우터하우징(3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배기필터모듈(320)은 프레임(321), 이물질걸름필터(322), 악취걸름필터(323) 및 덮개(324)를 포함한다.
프레임(321)은 배출구(311)에 설정깊이만큼 슬라이드 삽입되고,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321)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물질걸름필터(322)는 프레임(321)의 내측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때, 이물질걸름필터(322)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악취걸름필터(323)는 아우터하우징(312)의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프레임(321)의 입구측과 출구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모터부재(330)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파티클과 악취물질을 걸러낸다. 악취걸름필터(323)는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321)에 고정된다.
물론, 이물질걸름필터(322)와 악취걸름필터(323)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그리고, 덮개(324)는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고, 공기의 배기 유동 저항에 의해 프레임(321)이 배출구(3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레임(321)을 지지한 채 아우터하우징(3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덮개(324)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아우터하우징(3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321)은 배출구(311)에서 꺼낼 경우 잡을 수 있도록 노브(325)를 구비할 수 있다. 노브(32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청소호스(500) 또는 청소노즐 조립체(400)는 거치돌기(510)를 구비하고, 하우징(310)의 아우터하우징(312) 또는 케이싱(210)는 거치돌기(510)를 거치 고정할 수 있는 거치구(520)를 구비한다.
그래서, 청소노즐 조립체(400)가 미사용시 아우터하우징(312) 또는 거치돌기(5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거치돌기(510)와 거치구(5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진공청소기 200: 더스트컨테이너
210: 케이싱 212: 흡입구
213: 클램프 214: 캐리어
215: 롤러 220: 필터유닛
221: 프로텍터 222: 필터부재
223: 장착부 224: 헤파필터
225: 활성탄필터 300: 작동부
310: 하우징 311: 배출구
312: 아우터하우징 313: 이너하우징
314: 유동통로 315: 바디
320: 배기필터모듈 321: 프레임
322: 이물질걸림필터 323: 악취걸림필터
324: 덮개 330: 모터부재
340: 회전릴 350: 핸들
400: 청소노즐 조립체 500: 청소호스

Claims (13)

  1.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더스트컨테이너; 및 상기 더스트컨테이너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기의 흐름을 강제 안내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컨테이너는, 일측으로 개방되고 둘레면에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 허용하며, 상기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 및 상기 흡입구의 일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이물질 중 일정치 이상의 크기인 이물질을 상기 케이싱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 유도하고 상기 필터유닛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박리 유도하는 인렛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을 막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의 강제 흐름을 안내하는 모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하며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일측 둘레면에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모터부재를 구비하며, 둘레면에 상기 배출구를 형성하는 아우터하우징;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채 고정되고, 중심축 방향을 따라 개방된 타측으로 걸러진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고, 둘레면에 연결홀을 형성하는 이너하우징;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측 둘레면과 상기 이너하우징의 외측 둘레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 안내하는 유동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을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이너하우징의 내부로 유입 후,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아우터하우징과 상기 이너하우징 사이의 상기 유동통로를 유동하면서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둘레면의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기 작동부 또는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고, 형상 유지를 위해 경질로 이루어지며,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망 또는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 바닥에 이물질이 저장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의 바닥에서 높이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프로텍터;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과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면접되게 지지되어 형상을 유지하고,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재; 및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의 외측을 감싸는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고정 지지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인렛가이드부재와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흐름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인렛가이드부재에 대응되는 둘레면 기울기가 상기 인렛가이드부재에 대향하지 않는 둘레면의 기울기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흡입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상기 프로텍터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프로텍터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공기와 함께 유동되는 미세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하나 이상의 헤파필터; 및
    상기 프로텍터의 내측에 안착되고, 상기 프로텍터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초미세한 이물질과 상기 이물질에 함유된 악취성분을 걸러내는 하나 이상의 활성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헤파필터는, 상기 케이싱과 상기 하우징이 결합시, 상기 케이싱의 개방측 테두리에 접한 채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리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아우터하우징 또는 상기 이너하우징의 공기 유입측에 결합되고, 배기홀을 형성하며, 상기 배기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모터부재를 고정 설치하는 바디; 및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상기 아우터하우징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아우터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기필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필터모듈은,
    상기 배출구에 설정깊이만큼 슬라이드 삽입되고,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이물질걸름필터; 및
    상기 아우터하우징의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기 프레임의 입구측과 출구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부재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파티클과 악취물질을 걸러내는 악취걸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필터모듈은, 공기의 유동을 허용하고, 상기 공기의 배기 유동 저항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아우터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배출구에서 꺼낼 경우 잡을 수 있도록 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이너하우징과 구획되는 내부의 공간에 회전릴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회전릴은 핸들에 의해 회전되며 인출된 전선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회동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인출홀에 대응되는 내측에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전선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220149126A 2022-11-10 2022-11-10 진공청소기 KR10250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126A KR102502168B1 (ko) 2022-11-10 2022-11-10 진공청소기
US18/308,249 US20240156318A1 (en) 2022-11-10 2023-04-27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126A KR102502168B1 (ko) 2022-11-10 2022-11-10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168B1 true KR102502168B1 (ko) 2023-02-23

Family

ID=8532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126A KR102502168B1 (ko) 2022-11-10 2022-11-10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56318A1 (ko)
KR (1) KR1025021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5132A1 (en) * 1999-04-23 2001-08-23 Rexair, Inc. Vacuum cleaner
KR20100004536A (ko) * 2008-07-04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509738B1 (ko) * 2014-10-27 2015-04-14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JP2018068590A (ja) * 2016-10-28 2018-05-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5132A1 (en) * 1999-04-23 2001-08-23 Rexair, Inc. Vacuum cleaner
KR20100004536A (ko) * 2008-07-04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509738B1 (ko) * 2014-10-27 2015-04-14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JP2018068590A (ja) * 2016-10-28 2018-05-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6318A1 (en)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2414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use in cleaner
CA2447976C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cyclone type vacuum cleaner
KR100651291B1 (ko) 진공청소기
US7404231B2 (en) Dust container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cover thereof
JP5430886B2 (ja) 電気掃除機
KR100647195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60122249A (ko) 진공청소기의 본체
KR101509738B1 (ko) 진공청소기용 더스트컨테이너 조립체
WO2007146444A9 (en)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vacuum cleaner
WO2021126687A1 (en) Vacuum cleaner
KR102502168B1 (ko) 진공청소기
KR100414808B1 (ko) 전기청소기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KR20070021763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WO2012133542A1 (ja) 電気掃除機
KR101174915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KR100635150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 구조
KR200353553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17000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JP2005000331A (ja) 電気掃除機
KR100587097B1 (ko) 싸이클론 방식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KR2006010762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CN1264465C (zh) 真空吸尘器用灰尘过滤器
JP2001314355A (ja) 電気掃除機
KR20070032839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바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