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989B1 -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989B1
KR102501989B1 KR1020220100788A KR20220100788A KR102501989B1 KR 102501989 B1 KR102501989 B1 KR 102501989B1 KR 1020220100788 A KR1020220100788 A KR 1020220100788A KR 20220100788 A KR20220100788 A KR 20220100788A KR 102501989 B1 KR102501989 B1 KR 10250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pt
user
task
processor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은
신의진
김동한
임상권
정훈엽
김호영
추명이
조민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
Priority to KR102022010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복수의 세부 절차로 구성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1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2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3 스크립트, 및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of Creating Script and Device for Supporting Daily Tasks Performance}
본 개시는 아동의 일상 과업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를 겪고 있는 아동의 일상 과업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일상 과업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일상 과업의 수행을 진행함에 있어 세부 절차의 진행 시 사용자(ADHD 아동)가 집중력을 잃지 않고 세부 절차를 완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다양한 수행 과업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랙션(interaction)하는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인공지능을 통한 음성 인식 기술의 발전을 통해 사용자와 마이크 센서 및 스피커를 이용한 보이스 인터랙션을 통해, 일상 생활 관련 대화를 나누거나 스마트 홈 기능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스피커(SK의 NUGU, 네이버의 클로바, KT의 기가지니 등) 시장은 점차 성장하고 있다.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궁금해하는 질문에 답해주고, 인사말 등을 알려주는 디바이스(진인사 컴퍼니의 뽀로롯 등)도 존재하나 아직까지는 특정 아동 대상 또는 특정 질환 환자를 타겟팅 한 보이스 인터랙션 장치는 상용화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증상으로 보이는 정신질환이며 대개 초기 아동기에 발병하여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ADHD는 아동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본래도 과업의 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아동이 ADHD 성향까지 보이는 경우 일상적인 과업 조차도 혼자 수행하지 못해 부모나 다른 어른들이 지속적으로 돌보아 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나 바쁜 현대사회에 있어 항상 부모나 다른 어른이 ADHD 아동의 모든 일상 과업을 돌보기엔 시간적, 공간적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스피커와 같이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수행하여 ADHD를 겪고 있는 아동들이 일상적인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 세부 절차를 지원하고 집중력을 잃지 않고 과업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21-0158781호
본 개시는 ADHD를 겪고 있는 아동들을 부모나 다른 어른들이 도움이 없이도 일상적인 과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과업의 세부 절차에 맞는 인터랙션을 제공하여 해당 과업의 세부 절차를 알려주고, 과업의 수행 필요한 시간에 기기가 먼저 발화하여 아동의 일상 과업의 수행을 유도할 수 있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ADHD 아동이 자신을 행동을 인지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자기 주도적 담화(self-directed speech)가 가능한 음성 콘텐츠들을 생성하여 과업의 세부 절차마다 각각 제공함으로써 일상 과업을 인지 기반 작업 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방법을 기반으로 진행하여 목표 기반의 행동을 장려하고 ADHD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장치를 이용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마이크, 스피커, 통신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복수의 세부 절차로 구성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1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2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3 스크립트, 및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다음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할 과업이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현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 시간을 제안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시점부터 선택된 시간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을 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선택된 시간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설문으로부터 획득한 설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설문은 인지 기능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설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세부 절차 수행에 있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한 평가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 중 어느 하나의 수행이 종료된 후, 또는 다른 세부 절차를 제공하기 전, 상기 제1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되기 전에 상기 제2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선택된 시간 동안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을 완료하지 못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후에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가 포함한 모든 세부 절차가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4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을 기초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추출된 관심 단어가 포함된 관심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상기 관심 스크립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는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로 구성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본 개시의 일 형태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수행 과업에 대한 과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하고,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여 응답을 분류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음성 분석부; 상기 과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세부 절차를 포함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과업 또는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1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2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3 스크립트, 및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의 마지막 세부 절차까지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출력하는 인터랙션 수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다음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수행할 과업이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현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 시간을 제안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한다.
본 개시로 인하여 ADHD 아동의 일상 과업 수행을 부모나 다른 어른의 도움 없이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으며, 자기 주도적 담화가 가능한 음성 콘텐츠들을 생성하여 과업의 세부 절차마다 각각 제공함으로써 일상 과업을 인지 기반 작업 수행 방법을 통해 진행하여 사용자인 아동이 과업을 수행할 때 끝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고 세부 절차에 따라 과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적인 지원을 통해 아동의 과업 수행 실패를 피해 ADHD 아동의 2차적 문제 발생을 완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스스로 일어나기" 과업에 대한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와 세부 절차에 매칭되도록 생성된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칭찬하기"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도움주기"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참여유도"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생성되는 스크립트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사용자가 응답을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키워드로 사용자가 발화할 수 있도록 생성된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 과업을 목표 정하기(Goal), 계획 세우기(Plan), 실행하기(Do), 점검하기(Check)의 4단계로 진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과업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과업 확인 및 과업 수행 기간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과업에 대한 세부 절차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진행 과업시간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과업 수행 결과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획 세우기의 순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차트 생성의 개념도이다.
도 19 내지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의 일 예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의 관심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알림장 식탁에 놓기" 과업에 대한 미리 설정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와 세부 절차에 매칭되도록 생성된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의 사용자의 관심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모듈"은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사용자 음성 분석부(200),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 및 인터랙션 수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수행 과업에 대한 과업 정보를 수신하고, 수행 완료한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과업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크게 ADHD 아동과 ADHD 아동의 부모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ADHD 아동의 부모가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네트워크가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ADHD 아동이 가지고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정보란,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DHD 아동의 부모 또는 ADHD 아동이 지원받기 원하는 일상 과업의 종류, 지원 기간, 지원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지원받고자 하는 일상 과업에 대한 세부 정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수행 과업을 수행 완료한 이후 결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는 ADHD 아동의 부모 또는 ADHD 아동이 수행한 일상 과업에 대한 평가를 점수를 통한 정량적 평가 또는 코멘트를 통한 정성적 평가를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 받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기간 또는 특정 과업에 대한 결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과 피드백 정보는 수행 횟수, 수행 정도, 전체 수행 평균 점수, 칭찬하기 / 격려하기, 코멘트 평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행한 일상 과업에 대한 평가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분석부(200)는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 음성의 발생 유무를 인지하여 발생된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여 응답을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음성 분석부(200)는 사용자(사용자 중 ADHD 아동)가 선제발화(먼저 대화 시작) 또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는 경우 사용자 음성의 발생을 인지하여 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음성 분석부(200)는 사용자의 응답을 "실행 안함", "무응답", "실행함", "오답", "미인식" 중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응답에 따라 예상 가능 키워드를 미리 학습시켜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실행하지 아니었음을 표시하는 응답인 경우(예를 들어 아니, 안했어, 안했는데 등등)에는 "실행 안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실행하였음을 표시하는 응답인 경우(예를 들어 응, 했어, 했지, 네 등등)에는 "실행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으로 아무 말도 없는 경우 "무응답"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원하는 답과 다른 단 어 또는 문장(예를 들어 일기장 챙겼는지 여부를 질문했는데 "배고파" 등으로 대답한 경우)으로 인식되는 경우 "오답"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특정 단어나 문장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 "미인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에 따라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언어적 스캐폴딩 요인을 적용하여 각 세부 절차 마다 인식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게 사용자가 집중력을 잃지 않도록 선제발화 또는 사용자와 인터랙션 할 수 있는 스크립트 및 상기 스크립트를 이용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립트는 사용자(아동)에게 발화하는 문장의 형태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스크립트를 생성한다는 것은 저장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스크립트를 불러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스크립트를 생성한다는 것은 수행 과업에 대응되는 플로우 차트 및/또는 플로우 차트를 형성하는 세부 단계를 저장부로부터 불러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는 수행 과업 별로 수행 순서 및 각 절차(예를 들어, 세부 절차) 마다 사용자가 응답을 어떻게 하는지 경우에 따라 진행될 다음 절차를 플로우 차트 형태로 생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으로는 "스스로 약먹기", "밤에 스스로 약먹기", "스스로 일어나기", "신발 정리", "알림장 식탁에 놓기", "옷 갈아 입기", "내일 학교 갈 준비하기", "저녁에 핸드폰 내기", "2분 양치하기", "장난감 정리정돈하기", "정해진 시간만큼 TV 보기", "혼자 숙제하기", "온라인 수업 준비하기", "30초 손씻기" 등이 존재하나, 다른 일상 과업도 제한없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행 과업 별로 각각의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가 미리 설정되거나 저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수행 과업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플로우 차트가 미리 설정되거나 저장되고, 하나의 수행 과업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플로우 차트 중 어느 하나가 임의로 선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플로우 차트는 복수의 세부 단계(또는 세부 절차)로 이루어지며, 세부 절차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최종적으로 선택된 수행 과업이 수행될 수 있다. 세부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를 세부 절차 스크립트라 칭할 수 있다. 세부 절차 스크립트는 사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목적어/동사/단어/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절차 스크립트는 세부 절차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와 상기 목적어를 수행하는 동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어적 스캐폴딩이란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문제 출제자가 문제 난이도와 도움의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인지 및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 발달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어적 스캐폴딩을 이용하여 과제 수행 맥락에서, 아동이 혼자 과제를 수행하기는 어렵지만, 누군가의 적절한 인지적 도움과 안내가 있으면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과업을 지원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공받은 과업 지원 콘텐츠에 대한 응답을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키워드로 사용자가 발화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복수로 구성하여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음성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는 콘텐츠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업 지원 콘텐츠는 시각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스크립트가 의문문이 아닌 평서문 형태로 생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응답을 요청하는 미리 설정된 문장을 스크립트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Dialog flow 환경에서는 문장을 의문문으로 출력하는 경우 "~ 할래?", "~ 했어?" 등이 평서문으로 출력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미리 설정된 "네가 말해줘", "뽀미에게 말해줘." 등을 사용자의 응답을 요청하는 문장을 스크립트에 추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TTS를 이용하여 스크립트를 음성 출력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때 발음의 어색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래의 맞춤법대로가 아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구어체로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Dialog flow 환경에서 TTS(Text to Speech) 기술을 활용하는 경우 음성 콘텐츠의 발음이 어색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문장부호 ","를 사용하면 끊어서 읽는 경향이 있어 끊어서 읽을 필요가 있는 곳에 ","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했었잖아"를 "했었자나..."로 바꾸는 등의 방법을 통해 맞춤법대로가 아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구어체로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스캐폴딩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 진행 시 중간에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사용자의 ADHD 성향을 완화하고 근접 발달 영역에 대한 학습을 촉진하도록 "칭찬하기", "도움주기", "참여유도" 스크립트 및 상기 스크립트를 이용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과업의 각 세부 절차 진행에 있어 사용자의 응답이 "실행함"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과업 수행 동기 부여 향상시키는 복수의 "칭찬하기"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칭찬하기" 스크립트 중 하나를 임의로 선정하여 복수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칭찬하기" 스크립트는 질문에 대한 사용자(아동)의 세부 절차 수행을 칭찬하는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사용자의 과업의 세부 절차 수행에 있어 과업의 각 세부 절차 진행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실행 안함", "오답" 시에 세부 절차 진행에 대한 인지 또는 관련 발화를 돕기 위한 문장 형태의 복수의 "도움주기"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움주기" 스크립트 중 하나를 임의로 선정하여 복수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움주기" 스크립트는 사용자(아동)의 이해 혹은 발화를 돕기 위해 대답 형태의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아동)가 세부 절차의 실행에 대한 질문에 모른다 또는 잘못 대답하는 경우 스스로 본인이 해야 하는 일을 떠올릴 수 있도록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크립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움주기" 스크립트는 "실행 안함", "오답"에 대응하는 질문을 변형하여 생성된 스크립트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사용자의 과업의 세부 절차 수행에 있어 과업의 각 세부 절차 진행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무응답" 시에 상기 세부 절차 진행에 대한 주의 제어, 인지적 유연성, 목표 설정, 정보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참여유도"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참여유도" 스크립트 중 하나를 임의로 선정하여 복수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참여유도" 스크립트는 사용자(아동)가 응답을 하지 않은 경우 과업 혹은 세부 절차의 상황을 알려주어 수행과업의 세부 절차의 이행을 유도하도록 주의 제어, 인지적 유연성, 목표 설정, 정보 처리를 유도하기 위한 문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 제어는 과업 수행 중 다른 자극에 영향을 받지 않고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 인지적 유연성은 새로운 과업으로 전환하거나 다음 세부 절차로 전환할 때의 능력, 정보 처리는 주어진 정보를 가공하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사용자에게 응답의 재발화를 유도하는 "되묻기" 스크립트 및 상기 스크립트를 이용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의 각 세부 절차 진행에 있어 사용자의 응답이 "미인식"에 해당하는 경우에 복수의 "되묻기"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되묻기" 스크립트 중 하나를 임의로 선정하여 복수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되묻기" 스크립트는 "미안, 못들었어 다시 말해줄래", "뭐라고 말한거야 다시 말해줘" 등 사용자(아동)에게 질문에 대한 응답의 재발화를 요청하는 문장을 포함하는 스크립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사용자의 세부 절차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세부 절차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는 세부 절차 스크립트에 포함된 목적어/동사/단어/문장을 포함하여 수행 여부를 긍정과 부정의 2가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문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부 절차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는 세부 절차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와 상기 목적어를 수행하는 동사를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절차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는 ○○ 동작을 하였는지 안하였는지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질문일 수 있다. 또한, 세부 절차 스크립트와 세부 절차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 둘다는 상기의 ○○ 동작을 나타내는 목적어 및 동사를 포함할 수 있다. 세부 절차 스크립트는 의역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사용자의 과업 수행 여부를 개시하는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과업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는 과업 수행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 및 동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사용자의 과업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과업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는 과업 수행 여부를 개시하는 스크립트에 포함된 목적어 및 동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수신한 과업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에 따라 진행할 수행 과업에 대한 인지 및 진행의 계획을 유도할 수 있는 복수의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한 수행 과업에 대하여 세부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복수의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동일한 문장만이 계속 출력되면 ADHD 아동이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역할을 하는 문장으로 이루어진 스크립트를 복수로 생성하고, 해당 스크립트로 생성된 음성 형식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임의로 출력하여 사용자(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터랙션 수행부(400)는 사용자가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를 진행할 시에 세부 절차에 매칭되는 과업 지원 콘텐츠 또는 수행 과업 종료 후 결과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랙션 수행부(400)는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매칭되는 수행 과업의 세부 진행 절차에 따라 사용자(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랙션 수행부(400)는 수행 과업 종료 후 수신한 수행 과업 종료 후 결과를 분석하여 생성한 결과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수신한 과업 정보 및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행 과업의 진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인지 기반 작업 수행 기법에 따라 상기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를 목표 정하기(Goal), 계획 세우기(Plan), 실행하기(Do), 점검하기(Check)의 4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목표 정하기는 복수의 수행 과업 중에 적어도 하나의 수행 과업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아동 또는 부모님 등 보호자)는 제1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1주일, 2주일 등) 및 제1 정해진 시간에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행 과업을 선택한다. 선택된 수행 과업 및 제1 정해진 시간, 선택된 수행 과업의 수행 시작은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캘린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수행 과업을 입력할 수 있다. 선택된 수행 과업은 복수의 세부 절차를 포함한다.
계획 세우기는 선택된 수행 과업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 계획하는 단계 및/또는 선택된 수행 과업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선택된 수행 과업의 시작을 통지하는 발화를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제2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매일 특정 시간)에 사용자에게 선택된 수행 과업을 수행할 단계를 계획하도록 할 수 있다. 계획 세우기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선택하여 수행 과업의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거나 변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계획 세우기 단계에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각 세부 절차를 사용자에게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각 세부 절차가 선택되었다는 응답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계획 세우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실행하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된 수행 과업이 실제로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행하기는 계획 세우기 이후 제4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매일 특정 시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하기 단계에서, 선택된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세부 절차가 실제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반복한다. 실행하기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점검하기는 실행하기 단계에서 수행된 세부 절차 및 수행 과업의 수행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반응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매일 저녁) 사용자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에 제3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가 수행한 수행 과업 및 세부 절차의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다. 피드백은 수행 과업 및 세부 절차의 수행 여부, 수행 과업 및 세부 절차의 이해 난이도 여부, 서비스 사용에서의 어려움 여부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점검하기는 계획 세우기 및/또는 실행하기에서 선택한 수행 과업 및/또는 세부 절차를 선택하는 단계,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피드백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과업을 지원할 적어도 하나의 수행 과업 및 진행 시간, 지속 기간을 포함하는 과업 정보를 수신하고, 수행 완료한 수행 과업에 대하여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여 과업에 대한 수행을 점검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스스로 일어나기" 과업에 대한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와 세부 절차에 매칭되도록 생성된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스스로 일어나기" 과업에 대한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가 나타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아동)가 먼저 기상하여 선제발화(나 벌써 일어났어, 나 일어났다고 / 나 일어 났다니깐 등)를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응답 중 "실행함"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늘 첫 실행시에는 "칭찬하기" 스크립트 및 이를 이용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수행 과업의 주요 절차인 인사하기 세부 절차를 요청하는 스크립트로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늘 첫 실시가 아닌 경우에는 "오답"으로 판단하여 "도움주기" 스크립트인 "오늘 이미 인사 했잖아" 등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선제 발화를 하지 아니하는 경우 알람을 울리고 사용자가 알람 버튼을 누르도록 요청하는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이때 사용자가 요청한 대로 알람 버튼을 누르는 경우 "칭찬하기" 스크립트를 이용해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 제공 또는 해당 수행 과업의 주요 절차인 인사하기 세부 절차를 요청하는 스크립트로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사하기 세부 절차를 요청하는 스크립트로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한 후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실행함", "실행안함" "무응답", "오답", "미인식"으로 응답을 분류하여 이에 따라 해당되는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인사하기 요청에 대하여 아무 응답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를 "무응답"으로 판단하여 "참여 유도" 스크립트로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인사하기 요청에 대하여 인식할 수 없는 음성으로 응답을 한 경우 이를 "미인식"으로 판단하여 "되묻기" 스크립트로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사하기 요청에 대하여 "좋은 아침"이라고 사용자가 대답하면 이를 "실행함"으로 판단하여 "칭찬하기" 스크립트로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칭찬하기" 스크립트로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 이후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에 따라 "오늘 하루가 어떨꺼 같은지 말해줘"라는 세부 절차에 대한 요청으로 이루어진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하면 이에 대한 응답에 따라 응답이 "실행함"으로 판단되는 경우 "칭찬하기" 스크립트로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하며 과업 수행 지원을 마무리할 수 있으며 다른 응답일 경우에는 "실행함" 응답이 나올 수 있도록 상술한 기준에 따라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를 계획 세우기(Plan), 실행하기(Do) 2단계의 프로세스 세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일 계획 세우기(Plan) 단계에는 사용자(아동)으로 하여금 "아침에 스스로 일어나기" 과업에 대한 인지를 불러 일으키는 세부 절차인 도 2a까지 포함되며, 실행하기(Do) 단계는 인지 후 실제로 수행하는 세부 절차인 도 2b, 도 2c까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칭찬하기"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칭찬하기" 스크립트가 나타나 있으며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 수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사용자(아동)의 답변이 "실행함"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다수의 "칭찬하기"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그 중 임의로 하나를 선정하여 과업 지원 콘텐츠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도움주기''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도움주기" 스크립트가 나타나 있으며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 수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사용자(아동)의 답변이 "실행 안함", "오답"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다수의 "도움주기"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그 중 임의로 하나를 선정하여 과업 지원 콘텐츠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참여유도''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각 세부 절차에 따라 생성된 "참여유도" 스크립트가 나타나 있으며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 수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사용자(아동)의 답변이 "무응답"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5와 같이 다수의 "참여유도"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그 중 임의로 하나를 선정하여 과업 지원 콘텐츠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생성되는 스크립트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생성되는 스크립트의 종류가 나타나 있으며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 수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사용자(아동)의 답변은 "실행 안함", "무응답", "실행함", "오답", "미인식" 중 하나로 분류되어 판단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다수의 "칭찬하기", "도움주기", "참여유도"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그 중 임의로 하나를 선정하여 과업 지원 콘텐츠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사용자가 응답을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키워드로 사용자가 발화할 수 있도록 생성된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학교 갈 준비하기" 과업에 있어 사용자가 응답을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키워드로 사용자가 발화할 수 있도록 생성된 스크립트가 나타나 있으며 낮은 한국어 인식률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한 가지 키워드 발화만을 요구하면 스크립트에 반영한 키워드 인식이 실패하여 계속 실패 처리(fallback)될 수 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수의 키워드를 사용자가가 발화할 수 있도록 도 7과 같은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그 중 임의로 하나를 선정하여 과업 지원 콘텐츠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 과업을 목표 정하기(Goal), 계획 세우기(Plan), 실행하기(Do), 점검하기(Check)의 4단계로 진행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목표 정하기(Goal)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이루어지며,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으로 송신하면, 이를 이용하여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에서는 계획 세우기(Plan), 실행하기(Do) 단계를 거쳐 수행 과업의 지원이 수행될 수 있다.
수행 과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를 입력 받으며 점검하기(Check)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과업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 10과 같이 사용자에게 제시된 다수의 일상 과업 중 사용자는 그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수행할 과업을 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과업 확인 및 과업 수행 기간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 11과 같이 사용자에게 선택된 과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선택된 과업 수행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여 기간 설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과업에 대한 세부 절차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 11과 같이 수행 과업에 대한 세부 절차 정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진행 과업시간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 11과 같이 진행 과업시간 설정 화면 화면을 제공하여 진행 과업시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과업 수행 결과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 11과 같이 과업 수행 결과 출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방법의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선택한 수행 과업에 대한 과업 정보를 수신한다(S1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수행 과업에 대한 과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크게 ADHD 아동과 ADHD 아동의 부모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ADHD 아동의 부모가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네트워크가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ADHD 아동이 가지고 있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사용자 음성의 발생 유무를 인지하여 발생된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여 응답을 분류한다(S2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 음성의 발생 유무를 인지하여 발생된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고,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여 응답을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사용자 중 ADHD 아동)가 선제발화(먼저 대화 시작) 또는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하는 경우 사용자 음성의 발생을 인지하여 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응답을 "실행 안함", "무응답", "실행함", "오답", "미인식" 중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응답에 따라 예상 가능 키워드를 미리 학습시켜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실행하지 아니었음을 표시하는 응답인 경우(예를 들어 아니, 안했어, 안했는데 등등)에는 "실행 안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실행하였음을 표시하는 응답인 경우(예를 들어 응, 했어, 했지, 네 등등)에는 "실행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으로 아무 말도 없는 경우 "무응답"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원하는 답과 다른 단어 또는 문장(예를 들어 일기장 챙겼는지 여부를 질문했는데 "배고파" 등으로 대답한 경우)으로 인식되는 경우 "오답"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세부 절차의 실행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특정 단어나 문장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 "미인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에 따라 인식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게 사용자와 인터랙션 할 수 있는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한다(S3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에 따라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언어적 스캐폴딩 요인을 적용하여 각 세부 절차 마다 인식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게 사용자가 집중력을 잃지 않도록 선제발화 또는 사용자와 인터랙션 할 수 있는 스크립트 및 스크립트를 이용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는 수행 과업 별로 수행 순서 및 각 절차 마다 사용자가 응답을 어떻게 하는지 경우에 따라 진행될 다음 절차를 플로우 차트 형태로 생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으로는 "스스로 약먹기", "밤에 스스로 약먹기", "스스로 일어나기", "신발 정리", "알림장 식탁에 놓기", "옷 갈아 입기", "내일 학교 갈 준비하기", "저녁에 핸드폰 내기", "2분 양치하기", "장난감 정리정돈하기", "정해진 시간만큼 TV 보기", "혼자 숙제하기", "온라인 수업 준비하기", "30초 손씻기" 등이 존재하나, 다른 일상 과업도 제한없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행 과업 별로 각각의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가 미리 설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어적 스캐폴딩이란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문제 출제자가 문제 난이도와 도움의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인지 및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지 발달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어적 스캐폴딩을 이용하여 과제 수행 맥락에서, 아동이 혼자 과제를 수행하기는 어렵지만, 누군가의 적절한 인지적 도움과 안내가 있으면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과업을 지원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공받은 과업 지원 콘텐츠에 대한 응답을 적어도 2가지 이상의 키워드로 사용자가 발화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복수로 구성하여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 지원 콘텐츠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음성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는 콘텐츠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스크립트가 의문문이 아닌 평서문 형태로 생성된 경우에, 사용자의 응답을 요청하는 미리 설정된 문장을 스크립트에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Dialog flow 환경에서는 문장을 의문문으로 출력하는 경우 "~ 할래?", "~ 했어?" 등이 평서문으로 출력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미리 설정된 "네가 말해줘", "뽀미에게 말해줘." 등을 사용자의 응답을 요청하는 문장을 스크립트에 추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TTS를 이용하여 스크립트를 음성 출력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때 발음의 어색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래의 맞춤법대로가 아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구어체로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Dialog flow 환경에서 TTS(Text to Speech) 기술을 활용하는 경우 음성 콘텐츠의 발음이 어색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문장부호 ","를 사용하면 끊어서 읽는 경향이 있어 끊어서 읽을 필요가 있는 곳에 ","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했었잖아"를 "했었자나.."로 바꾸는 등의 방법을 통해 맞춤법대로가 아닌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른 구어체로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캐폴딩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 진행 시 중간에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사용자의 ADHD 성향을 완화하고 근접 발달 영역에 대한 학습을 촉진하도록 "칭찬하기", "도움주기", "참여유도" 스크립트 및 상기 스크립트를 이용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의 각 세부 절차 진행에 있어 사용자의 응답이 "실행함"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과업 수행 동기 부여 향상시키는 복수의 "칭찬하기"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칭찬하기" 스크립트 중 하나를 임의로 선정하여 복수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칭찬하기" 스크립트는 질문에 대한 사용자(아동)의 세부 절차 수행을 칭찬하는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과업의 세부 절차 수행에 있어 과업의 각 세부 절차 진행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실행 안함", "오답" 시에 세부 절차 진행에 대한 인지 또는 관련 발화를 돕기 위한 문장 형태의 복수의 "도움주기"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움주기" 스크립트 중 하나를 임의로 선정하여 복수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움주기" 스크립트는 사용자(아동)의 이해 혹은 발화를 돕기 위해 대답 형태의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아동)가 세부 절차의 실행에 대한 질문에 모른다 또는 잘못 대답하는 경우 스스로 본인이 해야 하는 일을 떠올릴 수 있도록 더 구체적인 내용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크립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응답의 재발화를 유도하는 "되묻기" 스크립트 및 상기 스크립트를 이용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과업의 각 세부 절차 진행에 있어 사용자의 응답이 "미인식"에 해당하는 경우에 복수의 "되묻기"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되묻기" 스크립트 중 하나를 임의로 선정하여 복수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되묻기" 스크립트는 "미안, 못들었어 다시 말해줄래", "뭐라고 말한거야 다시 말해줘" 등 사용자(아동)에게 질문에 대한 응답의 재발화를 요청하는 문장을 포함하는 스크립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한 과업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미리 설정된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에 따라 진행할 수행 과업에 대한 인지 및 진행의 계획을 유도할 수 있는 복수의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인지한 수행 과업에 대하여 세부 절차를 진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복수의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음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문장만이 계속 출력되면 ADHD 아동이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일한 역할을 하는 문장으로 이루어진 스크립트를 복수로 생성하고, 해당 스크립트로 생성된 음성 형식의 과업 지원 콘텐츠를 무작위로 출력하여 사용자(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다.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를 진행 시 세부 절차에 매칭되는 과업 지원 콘텐츠를 제공한다(S4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과업 지원 콘텐츠를 매칭되는 수행 과업의 세부 진행 절차에 따라 사용자(아동)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 종료 후 수신한 수행 과업 종료 후 결과를 분석하여 생성한 결과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사용자 단말(10)로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화면 또는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수신한 과업 정보 및 과업 별 절차 진행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행 과업의 진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인지 기반 작업 수행 기법에 따라 상기 수행 과업의 세부 절차를 목표 정하기(Goal), 계획 세우기(Plan), 실행하기(Do), 점검하기(Check)의 4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수행 과업 종료 후 수행 완료한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결과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5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완료한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을 수행 완료한 이후 결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는 ADHD 아동의 부모 또는 ADHD 아동이 수행한 일상 과업에 대한 평가를 점수를 통한 정량적 평가 또는 코멘트를 통한 정성적 평가를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 받은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수행 과업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기간 또는 특정 과업에 대한 결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과 피드백 정보는 수행 횟수, 수행 정도, 전체 수행 평균 점수, 칭찬하기 / 격려하기, 코멘트 평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행한 일상 과업에 대한 평가를 나타낼 수 있는 정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과업을 지원할 적어도 하나의 수행 과업 및 진행 시간, 지속 기간을 포함하는 과업 정보를 수신하고, 수행 완료한 수행 과업에 대하여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신하여 과업에 대한 수행을 점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의 블록도이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 메모리(1504), 마이크(1506), 프로세서(1508), 스피커(1510) 및 통신 모듈(15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네트워크 접속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 및 디스플레이 또는 유사한 출력 장치상에 컨텐츠를 디코딩 및 렌딩(rending)할 수 있는 컴퓨터화된 장치(또한 상기 컴포넌트를 포함)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V) 및 커넥티드 TV(Connected TV), 셋톱 박스(set-top box, STB),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 단말에 과업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는 사용자에게 과업 수행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과업 수행에 관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는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과업 수행을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는 사용자로부터 과업 수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를 통해 어떤 과제를 수행할 것인지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는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504)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데이터 및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프로그램들, 함수들 등)의 영구적 저장을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다. 메모리(1504)의 예들은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고정식 및 착탈식 매체 디바이스들, 및 컴퓨팅 디바이스 액세스를 위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임의의 적절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전자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한다. 메모리(1504)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및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 구성의 다른 타입의 저장 매체의 다양한 구현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4)는 프로세서(1508)와 함께 실행가능한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예를 들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 또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는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504)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 수행을 하도록(또는 돕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4)는 과업 수행 콘텐츠 제공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4)는 도 1의 사용자 음성 분석부(200),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 인터랙션 수행부(4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4)는 상술한 스크립트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4)는 수행 과업 및/또는 수행 과업의 스크립트에 대응하는 시각 정보, 예를 들어, 애니메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4)는 수행 과업이 "스스로 약먹기" 인 경우 약먹는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이나 애니메이션을, 수행 과업이 "스스로 일어나기"인 경우 일어나는 동작을 보여주는 화면이나 애니메이션을, 수행 과업이 "신발 정리"인 경우 신발을 정리하는 화면이나 애니메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마이크(1506)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이크(156)를 통해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마이크(1506)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고,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여 응답을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508)는 집적 회로,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반도체들을 사용하여 형성된 로직 디바이스, 및 시스템-온-칩(SoC)으로서 구현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시스템과 같은 실리콘 및/또는 하드웨어의 다른 구현예들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 내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결합하는 임의의 타입의 시스템 버스 또는 다른 데이터 및 명령 전달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버스는 제어 및 데이터 라인들뿐만 아니라 상이한 버스 구조들 및 아키텍처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510)는 과업 정보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 정보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1510)는 과업 지원 콘텐츠를 음성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12)은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가 외부 기기와 통신하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1512)의 통신 방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에 따라 구축된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12)을 통하여 메모리에 저장되는 스크립트, 스크립트에 대응하는 시각 정보 등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의 과업 설정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 과업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수행 과업이 설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 및/또는 스피커(15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구글의 대화형 플랫폼인 Dialogflow 빌더를 탑재할 수 있다. Dialogflow는 상술한 스크립트 및 스크립트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학습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획 세우기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내용은 이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계획 세우기가 시작된다(S1610). 일 실시예에서, 계획 세우기의 시작은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가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과업의 시작하는 메시지를 발화하여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 씻는 과업의 경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손 씻을 시간이 되었음을 통지하는 발화를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먼저 과업 시작을 위한 발언을 발화하여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씻어야 함을 알릴 수 있다.
계획 세우기가 시작하면, 사용자는 과업 수행을 위한 플로우 차트를 생성한다(S1620). 보다 자세히,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과업 수행을 위한 복수의 세부 절차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1622). 상기 통지는 시각적, 청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부 절차를 통지받음으로부터 과업 수행의 절차를 되새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세부 절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이에 따라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부 절차를 수신한다(S1624). 세부 절차의 선택은 사용자가 발화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세부 절차의 선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과업 수행을 위한 세부 절차들은 시계열적으로 순차적으로 정렬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손 씻기 과업의 경우, 물을 틀고(세부 절차 1), 비누를 손에 칠하고(세부 절차 2), 비누 묻은 손을 닦고(세부 절차 3) 물을 닫고(세부 절차 4), 손을 수건에 닦는(세부 절차 5)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부 절차 1-5는 시계열적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세부 절차를 선택할 때 순서를 잘못 선택하거나, 필수 절차를 누락하는 경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필수 절차를 순서를 통지하거나 필수 절차를 상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부 절차는 시계열적으로 순차적으로 정렬될 필요가 없고 각 세부 절차는 동등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방을 싸는 경우, 가방을 갖고 오는 것은 필수이므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필수 절차를 순서를 통지하거나 필수 절차를 상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가방에 들어갈 물건들을 찾는 것은 순차적이지 않을 수 있다. 가방에 책을 넣고(세부 절차 1), 필통을 넣고(세부 절차 2), 공책을 넣는(세부 절차 3) 단계는 시계열적 관련이 없다. 이 경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필수 절차를 순서를 통지하거나 필수 절차를 상기시키지 않는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수신한 세부 절차로 이루어진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한다(S1626). 일 실시예에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필수 세부 절차가 누락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선택된 세부 절차만으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필수 세부 절차가 누락됨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거나, 통지하지 않고 자동으로 선택되지 않은 필수 세부 절차를 삽입하여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가 기 저장된 플로우 차트를 메모리(1504)로부터 불러들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세부 절차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수행 과업의 플로우 차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세부 절차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에 복수의 세부 절차를 보여줄 수 있다. 세부 절차 1-6은 랜덤하게 분포될 수 있고, 1-6은 세부 절차의 시계열적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세부 절차는 그 속성에 따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수 세부 절차는 다른 세부 절차와 다른 색, 모양, 글자체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 시계열로 배치되어야 하는 세부 절차도 다른 세부 절차와 다른 색, 모양, 글자체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가 세부 절차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세부 절차의 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가 세부 절차를 선택하는 것에 대응하여 다음 세부 절차를 선택하도록 발화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스피커(1510)를 통해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세부 절차를 통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세부 절차를 참고하여, 세부 절차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부 절차 2, 세부 절차 3, 세부 절차 1, 세부 절차 6을 순서대로 선택하고, 선택 순서가 세부 절차에 표시된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선택된 세부 절차에 기초하여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9 내지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의 일 예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가 도 18과 같이 선택한 세부 절차의 순서대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필수 세부 절차가 모두 선택되고(또는 누락된 필수 세부 절차가 없거나) 선택한 순서로 세부 절차를 진행하여도 과업 수행 달성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가 도 18과 같이 선택한 세부 절차의 순서대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가 도 18과 같이 선택한 세부 절차의 순서를 수정하여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필수 세부 절차가 모두 선택되었으나 선택한 순서로 세부 절차를 진행하면 과업 수행이 어려운 경우, 즉 세부 절차의 시계열적 순서가 요구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정확한 순서로 세부 절차를 수정하여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한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세부 절차를 수정하여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세부 절차의 순서 지정이 잘못되었음을 피드백 주거나, 세부 절차의 순서 지정이 잘못되었음을 메모리(1504)에 저장하여 추후 점검하기 단계에 이용할 수 있다. 세부 절차의 순서 지정이 잘못되었음은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가 메모리(1504)에 기 저장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와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다.
도 21를 참조하면,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사용자가 도 18과 같이 선택한 세부 절차의 순서대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되, 필수 세부 절차를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부 절차가 순서대로 선택되었으나, 필수 세부 절차가 누락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필수 세부 절차(예를 들어, 도 21에서는 세부 절차 5)를 삽입하여 수정하여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한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세부 절차를 삽입하여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기 전에 필수 세부 절차의 선택이 누락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거나, 필수 세부 절차의 선택이 누락되었음을 메모리(1504)에 저장하여 추후 점검하기 단계에 이용할 수 있다. 세부 절차의 필수 세부 절차가 누락되었음은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가 메모리(1504)에 기 저장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와 비교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생성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메모리(1504)에 저장한다(S1630).
계획 세우기가 종료하고 난 뒤, 실행하기가 수행될 수 있다.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계획 세우기에서 생성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구성하는 세부 절차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세부 절차의 이행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행하기가 종료하고 난 뒤, 점검하기는 실행하기 단계에서 수행된 세부 절차 및 수행 과업의 수행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반응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세부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발생한 문제점, 예를 들어 사용자의 무응답이나 부정적 응답을 메모리(1504)에 저장하고 점검하기에서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의 관심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3 및 도 24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중 "알림장 식탁에 놓기" 과업에 대한 미리 설정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와 세부 절차에 매칭되도록 생성된 스크립트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다시 도 15와 함께 도 22 내지 도 24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를 이용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이다. 여기서, 장치(1500)는 마이크(1506), 스피커(1510), 통신 모듈(1512), 메모리(1504), 및 프로세서(1508)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S17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과업의 수행을 돕기 위해 생성된 복수의 세부 절차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는, 하나의 과업을 시작하여 달성할 때까지 필요한 수행 목록들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행 목록들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순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프로세서(1508)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S1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립트'는, 장치(1500)가 사용자로 하여금 복수의 세부 절차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문장이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하는 단계(S1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스크립트(M01)는,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문장이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립트(M01)는, 상기 사용자를 다음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크립트(M01)는, 다음 세부 절차의 핵심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크립트(M01)는 사용자의 다음 세부 절차가 알림장을 식탁 위에 놓는 것이라면, “도은아! 알림장과 가정통신문을 꺼냈으니, 이제 식탁위에 놓아 볼까?”의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립트(M02)는, 상기 사용자의 과업 또는 세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지원하는 문장이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립트(M02)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할 과업이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립트(M02)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물어보는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크립트(M02)는 “도은아! 학교 다녀오면 알림장 이랑 가정통신문 식탁 위에 꺼내 놓기로 했잖아”의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립트(M03)는,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문장이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립트(M03)는 상기 사용자를 현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립트(M03)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세부 절차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재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문장이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 스크립트(M03)는 “지금은 알림장 꺼내기 중이야”의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스크립트(M04)는,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문장이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스크립트(M04)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 시간을 제안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스크립트(M04)는, “어제는 30초 만에 다 했잖아! 오늘은 더 빨리 끝내 볼까?”의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5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복수의 세부 절차의 순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장치(1500)의 스피커(1510)를 통해 상기 스크립트의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장치(15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0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스크립트의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인지적 유연성),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목표 설정 능력), 상기 사용자의 과업 또는 세부 절차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주의 제어 능력), 및 주어진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정보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시점부터 선택된 시간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을 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부 절차가 무엇인가에 따라 설정된 시간은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옷 갈아 입기'가 사용자의 세부 절차라면, 설정된 시간은 100초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시점부터 선택된 시간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현 단계의 세부 절차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참여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선택된 시간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시점부터 5초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서 부족하다고 평가된 새로운 과업으로 전환하거나, 다음 세부 절차로 전환할 때의 능력(인지적 유연성)을 지원하기 위해 제1 스크립트(M01)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시점부터 5초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서 부족하다고 평가된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세부 절차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목표 설정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 제2 스크립트(M02)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시점부터 5초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서 부족하다고 평가된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주의 제어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 제3 스크립트(M03)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시점부터 5초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서 부족하다고 평가된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정보 처리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 제4 스크립트(M04)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설문으로부터 획득한 설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문은 자기보고식 실행기능 설문지(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self-report version, Brief-SR)일 수 있다. 여기서, 설문은, 인지 기능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으로부터 획득한 설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선택된 시간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과업을 달성하기에 부족한 자신의 능력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 이전에,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설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세부 절차 수행에 있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한 평가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응답일 경우에 사용자가 과업을 달성하기에 부족한 자신의 능력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 중 어느 하나의 수행이 종료된 후, 또는 다른 세부 절차를 제공하기 전, 상기 제1 스크립트(M01)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세부 절차의 수행 종료 후 상기 제1 스크립트(M01)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세부 절차의 수행의 종료된 후, 또는 다른 세부 절차를 제공하기 전 시점에, 사용자의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부 절차의 수행을 종료한 후에 어렵지 않게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에서와 같이, 알림장을 가방에서 꺼내는 세부 절차의 종료 후, 사용자에게 “그러면 이제 알림장을 식탁 위에 가져다 놓자!”의 문구를 포함한 제1 스크립트(M01)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되기 전에 상기 제2 스크립트(M02)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크립트(M02)를 제공하는 단계는,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의 첫번째 세부 절차가 제공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되기 전에 상기 제2 스크립트(M02)를 제공함으로써, 세부 절차를 제공하기 전 시점에,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부 절차의 제공받기 전에 수행에 필요한 세부 계획을 인지할 수 있어, 세부 절차의 수행을 좀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선택된 시간 동안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을 완료하지 못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스크립트(M03)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알림장을 가방으로부터 꺼내는 것을 세부 절차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20초 시간 동안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을 완료하지 못한 것(T)에 대응하여, “도은아! 알림장이랑 가정통신문을 책가방에서 꺼내 놨어?”의 문장을 포함한 제3 스크립트(M03)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선택된 시간 동안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을 완료하지 못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스크립트(M03)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세부 절차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너무 많은 시간을 지체하지 않고 세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후에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스크립트(M03)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아동일 경우, 다른 사용자는 상기 아동의 부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에서와 같이, 아동이 세부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부모가 아동이 세부 절차의 수행에 주의를 집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할 경우, 제3 스크립트(M03)를 아동에게 제공 요청하는 메세지를 부모로부터 입력(R)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R)은, 장치(1500)와 다른 사용자가 소유한 다른 장치(1500) 간의 데이터 통신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는 입력은, 다른 사용자가 상기 장치(15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하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동이 알림장 및 가정통신문을 책가방에서 꺼내 놓는 세부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부모가 아동이 세부 절차의 수행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장치(1500)에 제3 스크립트(M03)를 아동에게 제공을 요청하는 메세지를 입력(R)할 수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장치(1500)에 부모의 상기 메시지를 입력 받은 것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508)에 의해, “도은아! 지금 알림장이랑 가정통신문 가방에서 꺼내고 있는 거지?”의 문구를 포함한 제3 스크립트(M03)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S1740)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가 포함한 모든 세부 절차가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4 스크립트(M04)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와 같이,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알림장과 가정통신문을 식탁위에 올려놓는 과업에 대한 모든 세부 절차가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도록 “다음에 알림장과 가정 통신문을 식탁위에 좀더 빨리 가져다 놓으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의 문구를 포함한 제4 스크립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과업의 모든 세부 절차의 수행을 종료한 후에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4 스크립트(M04)를 제공받음으로써, 다음에 동일한 과업을 수행하게 됐을 때 보다 빠르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다시 도 15와 함께 도 2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마이크(1506)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을 기초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810),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820),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S1830),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추출된 관심 단어가 포함된 관심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S1840), 및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상기 관심 스크립트를 상기 스피커(1510)를 통해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S1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은, 상기 관심 스크립트를 상기 스피커(1510)를 통해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S185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세부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세부 절차를 수행하는데 주의를 집중시키고, 세부 절차에 대한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의 사용자의 관심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S1830)의 세부 단계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다시 도 15 및 도 25와 함께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1504)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S1830)는,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메모리(1504)로부터 저장된 상기 음성 데이터를 불러오는 단계(S1831),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1832);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S1833),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들을 반복된 횟수 별로 분류하는 단계(S1834), 및 프로세서(1508)에 의해 상기 텍스트에서 적어도 소정의 횟수(예: 5회) 이상 반복된 단어를 관심 단어로 추출하는 단계(S18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서술한 관심 단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로, 사용자(예: 아동)와 관련된 웹 사이트를 웹 크롤링(web crawling)하여 수집된 단어들 중 빈출 단어를 관심 단어로 결정하는 방법, 또는, AI가 룰 기반 러닝(rule based learning)을 통해 텍스트를 학습하여 도출한 빈출 단어를 관심 단어로 결정하는 방법, 자연어 처리 모델 (introduction to NLP Model) 활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키워드에 관한 평판 정보 획득하고, 획득한 평판 정보에서 긍정적인 평판을 가진 키워드를 관심 단어로 결정하는 방법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의 제어가 부족한 아동이 세부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아동에게 아동의 관심 단어가 포함된 관심 스크립트(M05)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1500)는 "오늘은 코코몽(애니메이션 제목) 봤어? 그런데, 지금 알림장 꺼내기 약속 중이야."의 문장을 포함하는 관심 스크립트를 스피커(151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5 및 도 17를 참조하면, 본원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통신 모듈(1512), 상기 통신 모듈(1512)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508), 및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1504)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504)는 상기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로 구성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1508)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508)로 하여금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500)는,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인지적 유연성),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목표 설정 능력), 상기 사용자의 과업 또는 세부 절차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주의 제어 능력), 및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정보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
한편, 한편 다시 도 1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원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를 제공한다. 상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의 수행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음성 분석부(200),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 및 인터랙션 수행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수행 과업에 대한 과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음성 분석부(2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하고,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여 응답을 분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상기 과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세부 절차를 포함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과업 또는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1 스크립트(M01), 상기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2 스크립트(M02),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3 스크립트(M03), 및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터랙션 수행부(4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의 마지막 세부 절차까지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터랙션 수행부(400)는,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1000)는, 상기 인터랙션 수행부(400)가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M01), 제2 스크립트(M02), 제3 스크립트(M03), 및 제4 스크립트(M04)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인지적 유연성),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목표 설정 능력), 상기 사용자의 과업 또는 세부 절차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주의 제어 능력), 및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정보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바,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크립트(M01)는, 상기 사용자를 다음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크립트(M02)는, 상기 사용자를 수행할 과업이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크립트(M03)는, 상기 사용자를 현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스크립트(M04)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 시간을 제안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 (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장치를 이용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으로, - 상기 장치는 마이크, 스피커, 통신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함 -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복수의 세부 절차로 구성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1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2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3 스크립트, 및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을 기초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추출된 관심 단어가 포함된 관심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상기 관심 스크립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다음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가 수행할 과업이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현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 시간을 제안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시점부터 선택된 시간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을 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선택된 시간 안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하지 않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평가 데이터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설문으로부터 획득한 설문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설문은 인지 기능 검사를 포함하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설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세부 절차 수행에 있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한 평가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 중 어느 하나의 수행이 종료된 후, 또는 다른 세부 절차를 제공하기 전, 상기 제1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되기 전에 상기 제2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가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선택된 시간 동안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을 완료하지 못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세부 절차를 제공한 후에 상기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가 포함한 모든 세부 절차가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4 스크립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12. 삭제
  13. 마이크, 스피커,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로,
    상기 메모리는 상기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로 구성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을 기초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 단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관심 단어가 포함된 관심 스크립트를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상기 관심 스크립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하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14. 사용자로 하여금 과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수행 과업에 대한 과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수집하고, 수집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의도를 인식하여 응답을 분류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음성 분석부;
    상기 과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세부 절차를 포함한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과업 또는 새로운 세부 절차로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1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2 스크립트, 상기 사용자의 과업에 대한 주의력을 유지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3 스크립트, 및 상기 사용자의 과업을 달성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과업 지원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업 지원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과업 수행 플로우 차트의 마지막 세부 절차까지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전 및 후 중 적어도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용자에게 부족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한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스크립트, 제2 스크립트, 제3 스크립트, 및 제4 스크립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출력하는 인터랙션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는, 마이크, 스피커,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을 기초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심 단어를 추출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관심 단어가 포함된 관심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세부 절차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하나씩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중에 상기 사용자의 관심을 끌도록 상기 관심 스크립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하도록 구성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다음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수행할 과업이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를 현 단계의 세부 절차가 무엇인지 인지시키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스크립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세부 절차의 수행 시간을 제안하는 문장 또는 단어를 포함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KR1020220100788A 2022-08-11 2022-08-11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501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788A KR102501989B1 (ko) 2022-08-11 2022-08-11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0788A KR102501989B1 (ko) 2022-08-11 2022-08-11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989B1 true KR102501989B1 (ko) 2023-02-23

Family

ID=8532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788A KR102501989B1 (ko) 2022-08-11 2022-08-11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9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032A (ko) * 2016-11-17 2019-08-20 코그니토 쎄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시각 자극을 통한 신경 자극 방법 및 시스템
KR102122021B1 (ko) * 2019-11-28 2020-06-26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가상현실을 이용한 인지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210001145A (ko) * 2019-06-27 2021-01-06 (주)해피마인드 종합주의력 검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를 분류 및 치료반응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8781A (ko)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하이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032A (ko) * 2016-11-17 2019-08-20 코그니토 쎄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시각 자극을 통한 신경 자극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1145A (ko) * 2019-06-27 2021-01-06 (주)해피마인드 종합주의력 검사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를 분류 및 치료반응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22021B1 (ko) * 2019-11-28 2020-06-26 주식회사 세븐포인트원 가상현실을 이용한 인지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210158781A (ko)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하이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862B1 (ko) Adhd 아동을 위한 일상 과업 수행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JP6726800B2 (ja) 人工知能に基づく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及び装置
Coniam Evaluating the language resources of chatbots for their potential i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u et al. The impact of input quality on early sign development in native and non-native language learners
JP6719740B2 (ja) 対話方法、対話システム、対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Hiraoka et al. Reinforcement learning of cooperative persuasive dialogue policies using framing
WO2021197301A1 (zh) 辅助阅读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Haas et al. Keep it short: a comparison of voice assistants’ response behavior
JP2017208003A (ja) 対話方法、対話システム、対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501989B1 (ko)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스크립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526005B1 (ko) 일상 과업 수행 지원을 위한 플로우 차트 결정 방법 및 장치
CN117037553A (zh) 辅助学习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59995A (ko) 학습 기반의 외국어 말하기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Lam et al. Repetition reduction during word and concept overlap in bilinguals
JP2020515915A (ja) 人間の発話のきめ細かな評価による発話言語スキルの教育および評価
Ross et al. Speaking with your computer: A new way to practice and analyze conversation
WO2021064947A1 (ja) 対話方法、対話システム、対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Gayathri English master AMMU: Chatbot for English learning
JP2017207693A (ja) 対話方法、対話システム、対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Hjalmarsson Evaluating AdApt, a multi-modal conversational dialogue system using PARADISE
KR102395164B1 (ko) 음성 기반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37704B1 (ko) 아동에게 칭찬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것을 수행하는 서버
Griol et al. Conversational agents as learning facilitators: Experiences with a mobile multimodal dialogue system architecture
Dewatri et al. Potential Tools to Support Learning: OpenAI and Elevenlabs Integration
CN117610510A (zh) 对话引导信息的生成及问答方法、系统、智能对话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