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929B1 -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bidirectional modul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bidirectional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1929B1 KR102501929B1 KR1020160028847A KR20160028847A KR102501929B1 KR 102501929 B1 KR102501929 B1 KR 102501929B1 KR 1020160028847 A KR1020160028847 A KR 1020160028847A KR 20160028847 A KR20160028847 A KR 20160028847A KR 102501929 B1 KR102501929 B1 KR 102501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on machine
- camera
- module
- interactive module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양방향 모듈을 상기 건설기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자석;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적어도 1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카메라 구동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 및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부;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를 포함한다.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interactive module is disclosed.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gnet for detachably mounting the bidirectional module to the construction machine by magnetic force; a battery that provides power; a camera rotatably provided in at least one axis; a camer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camera; and an interactive module includ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fac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건설 현장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기계에는 굴삭기, 로더 등이 있다. 건설기계의 한 종류인 굴삭기는 토사의 적재, 굴삭, 하역 등의 다양한 작업과 운반을 위하여 하부주행체, 상부선회체 및 작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주행체는 굴삭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휠 타입 또는 크롤러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부선회체는 하부주행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작업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작업기는 붐, 암, 버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부선회체에 대해 회전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Construction machines that perform various tasks at a construction site include an excavator, a loader, and the like. An excavator, a type of construction machine, is composed of a lower running body, an upper swinging body, and a working machine for carrying out various tasks such as loading, excavating, and unloading of soil. The undercarriage is for moving the excavator and is provided in a wheel type or crawler type, and the upper swing body is provid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undercarriage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work machine. The work machine includes a boom, an arm, and a bucket, and can perform work b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upper swing body.
또한, 굴삭기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이 마련되는데, 캐빈은 상부선회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캐빈 내에는 작업자가 작업기의 제어를 위한 조작장치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excavator is provided with a cabin in which a driver rides. The cabi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wing structure, and a manipulation device for a worker to control the work machine is provided in the cabin.
굴삭기는 부피가 크고, 특히 전방의 경우 작업기에 의해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에 작업기에 의해 가려진 시야를 보완하기 위하여 굴삭기에는 카메라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캐빈 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각지대를 확인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Since the excavator is bulky and the field of view is limited by the working machine, especially in the front, a camera is provided in the excavator to compensate for the obstructed view by the working machine,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the blind spot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 the cabin and proceed with the work. there is.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는 굴삭기의 특정 부위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카메라가 특정 부위에 특정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고정됨으로써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a conventional camera is fixed to a specific part of an excavator and installed, but since the camera is fixed to a specific part and facing a specific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mera's shooting range cannot be adjusted.
또한, 종래의 카메라는 단순히 촬영 기능만을 가졌기 때문에, 캐빈 내의 운전자가 캐빈 외부의 사람에게 의사 또는 경고를 전달할 수 없으며, 외부 인원과 소통을 위해서는 별도의 무전기 등을 이용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amera has only a photographing function, the driver in the cabin cannot deliver a doctor or warning to a person outside the cabi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radio or the like must be used to communicate with outside personnel.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기계의 다양한 부위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일단 건설기계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an interactive module that can be mounted on various parts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can freel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camera even once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intended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캐빈 내의 운전자가 캐빈 외부의 사람에게 의사 또는 경고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that enables a driver inside a cabin to convey a doctor or warning to a person outside the cabi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로서, 자기력에 의해 상기 양방향 모듈을 상기 건설기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자석;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적어도 1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카메라 구동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 및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부;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comprising: a magnet for detachably mounting the bidirectional module to the construction machine by magnetic force; a battery that provides power; a camera rotatably provided in at least one axis; a camer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camera; and an interactive module includ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amer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fac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interactive module, including a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이때, 상기 양방향 모듈은, 적어도 한 가지 색상으로 점등되는 알람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알람램프를 조작하기 위한 알람램프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activ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lamp turned on in at least one color, and the construction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lamp manipul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alarm lamp.
또한, 상기 양방향 모듈은, 청각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스피커에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generating an auditory signal, and the construction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또한, 상기 양방향 모듈은, 적어도 한 가지 색상으로 점등되는 알람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건설기계의 작동상태에 따른 상기 알람램프의 구동모드가 복수로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건설기계의 상기 작동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작동상태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알람램프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n alarm lamp lit in at least one color, and the construction machine includes a memory storing a plurality of drive modes of the alarm lamp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the construction machine Afte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tate to the alarm lamp.
또한, 상기 양방향 모듈은,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울기값을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가 특정한 방향을 향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he tilt of the interactive module, and the construction machine determines that the camera moves in a specific direction based on the tilt value of the interactive module measured by the tilt senso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amera driving unit to be maintained in a facing state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양방향 모듈은, 상기 양방향 모듈의 방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방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양방향 모듈의 방위값을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n orient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orientation of the interactive module, and the construction machine controls the direction the camera faces based on the orientation value of the interactive module measured by the orientation sensor.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o.
또한, 상기 양방향 모듈은,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In addition,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he tilt of the interactive module,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울기값을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하 반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상하반전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을 역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machine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is vertically reversed based on the tilt value of the interactive module measured by the tilt senso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vertically reversed. An image signal provided to the display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image in reverse.
또한, 상기 양방향 모듈은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lamp for irradiating light.
또한,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양방향 모듈이 상기 건설기계에 장착되는 부위별로 상기 양방향 모듈의 수행 가능한 기능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양방향 모듈이 건설기계에 장착되면 상기 양방향 모듈이 상기 건설기계의 어떤 부위에 장착되었는지를 입력받은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장착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양방향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achine may include a memory storing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interactive module for each part where the interactive module is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when the interactive module is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after receiving an input on which part of the construction machine the interactive module is mounted on, controlling the interactive modu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teractiv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art stored in the memory.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를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이 건설기계의 다양한 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건설기계 운전자에게 다양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active module including the camera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various parts of the construction machin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various views to the construction machine operat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양방향 모듈에 알람램프가 포함됨으로써,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운전자가 건설기계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신호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alarm lamp in the interactive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river can easily transmit a signal to people located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even in a noisy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양방향 모듈에 스피커가 포함됨으로써, 별도의 무전기 없이도 운전자가 건설기계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과 쉽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eaker is included in the interactive modu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ommunicate with people located a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without a separate radi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이 기울기 센서 및 방위 센서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카메라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 작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faces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of the inclination sensor and the direction sensor, the driver does not have to operate the camera and can concentrate more on the task.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에 장착되는 양방향 모듈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2의 양방향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에 양방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및 암에 양방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메인프레임 및 캐빈에 양방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카운터웨이트에 양방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mbodiment of a bidirectional module mounted on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of the interactive module of FIG. 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4 is a view showing a part where a bi-directional module can be mounted on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art where a bidirectional module can be mounted on a boom and an arm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art where a bidirectional module can be mounted in a main frame and a cabin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art where a bidirectional module can be mounted on a counterweight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에 장착되는 양방향 모듈의 일 실시예고, 도 3은 도 2의 양방향 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에 양방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부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및 암에 양방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부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메인프레임 및 캐빈에 양방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부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카운터웨이트에 양방향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부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mbodiment of a bi-directional module mounted on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of the bi-directional module of FIG. 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4 is a view showing a site where a bi-directional module can be mounted on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FIG. 5 is a view showing a part where a bi-directional module can be mounted on a boom and an arm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6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part where a bi-directional module can be mounted in a mainframe and a cabin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vely showing a part where a bi-directional module can be mounted on a counterweight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모듈(200)이 장착되는 건설기계(100)는 카메라 조작부(162), 알람램프 조작부(164), 디스플레이(166), 작업기 조작부(168), 메모리(170), 제어부(172), 마이크(174), 무선통신 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이하의 설명에서는 양방향 모듈(200)이 장착되는 건설기계(100)는 굴삭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양방향 모듈(200)이 구비되는 건설기계(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더, 크레인과 같은 다양한 건설기계일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0)는 적어도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0)는 캐빈(110)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20) 및 각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메인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0)는 메인프레임(120)의 균형을 잡기 위한 카운터웨이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캐빈(110)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으로서, 캐빈(110) 내부에는 작업기(130)를 조작하기 위한 작업기 조작부(168)가 구비된다. 또한, 캐빈(110) 내부에는 건설기계(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계기판 및 디스플레이(16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캐빈(110)의 내부에는 카메라 조작부(162), 알람램프 조작부(164), 마이크(1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176), 제어부(172), 메모리(170)는 건설기계(100)의 다양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0)가 굴삭기인 경우, 작업기(130)는 붐(132), 암(134), 버킷(136)을 포함할 수 있다. 붐(132)은 메인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암(134)은 붐(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버킷(136)은 암(1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붐(132), 암(134), 버킷(136)은 유압실린더의 신축동작에 의해 구동되어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듈(200)은 건설기계(100)의 다양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양방향 모듈(200)은 캐빈(110), 메인프레임(120), 작업기(130), 카운터웨이트(140) 등에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도 5를 참조하면, 양방향 모듈(200)은 작업기(130)에 있어서 붐(132) 및 암(134)의 다양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는데, 붐(132)의 상면(132a), 하면(132b), 측면(132c) 및 암(134)의 상면(134a), 하면(134b), 측면(134c) 등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도 6을 참조하면, 양방향 모듈(200)은 캐빈(110) 및 측면상측 모서리(120a), 측면하측 모서리(120b), 전방상측 모서리(120c)를 포함하여 메인프레임(120)의 다양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도 7을 참조하면, 양방향 모듈(200)은 카운터웨이트(140)의 상부(140a) 및 하부(140b) 등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양방향 모듈(200)은 배터리(202), 기울기 센서(204), 방위 센서(206), 스피커(208), 자석(220), 알람램프(210), 조명램프(212), 카메라(214), 카메라 구동부(216), 무선통신 모듈(218)을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모듈(200)은 건설기계(100)에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1 to 3, the
양방향 모듈(200)은 볼트나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장착 용구 없이 건설기계(100)의 다양한 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듈(200)의 일측, 예컨대 후면에는 자석(220)이 구비될 수 있다. 자석(220)은 양방향 모듈(200)에 일체로 결합되고, 양방향 모듈(200)을 건설기계(100)의 다양한 부위에 결합시키기 위한 자기력을 제공한다. 자석(22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양방향 모듈(200)은 건설기계(100)에 있어서 스틸로 이루어진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자석(220)의 자기력이 너무 강할 경우 인력으로 양방향 모듈(200)을 탈부착 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자석(220)의 자기력이 너무 약할 경우 건설기계(100)의 동작시 양방향 모듈(200)이 건설기계(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자석(220)은 적절한 크기의 자기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양방향 모듈(200)은 외부로부터의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방향 모듈(200)에는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02)가 내장된다. 배터리(202)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일 수도 있다. 배터리(202)는 양방향 모듈(200)에 구비되고 구동을 위채 전원공급이 필요한 카메라(214), 카메라 구동부(216), 알람램프(210), 조명램프(212), 스피커(208), 기울기 센서(204), 방위 센서(206), 무선통신 모듈(218)를 포함한 다양한 유닛들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양방향 모듈(200)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218)과 건설기계(100)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176)은 건설기계(100)와 양방향 모듈(200)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건설기계(100)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176)을 제1 무선통신 모듈(176)이라 칭하고, 양방향 모듈(200)에 구비되는 무선통신 모듈(218)을 제2 무선통신 모듈(218)이라 칭한다. 제1 무선통신 모듈(176)과 제2 무선통신 모듈(218)은 각각 건설기계(100) 및 양방향 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제1 무선통신 모듈(176)은 후술할 카메라 조작부(162), 알람램프 조작부(164), 제어부(172), 마이크(17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음성신호 등의 각종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무선통신 모듈(218)은 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구동부(216), 알람램프(210), 스피커(208) 등의 양방향 모듈(200)의 각 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선통신 모듈(218)은 카메라(21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기울기 센서(204) 및 방위 센서(206)로부터 출력되는 센서신호를 포함한 각종 신호를 제1 무선통신 모듈(176)로 전달할 수 있고, 제1 무선통신 모듈(176)은 이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166), 제어부(172) 등의 건설기계(100)의 각 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The
스피커(208)는 캐빈(110)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건설기계(100)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경고음이나 음성과 같은 청각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알람램프(210)는 건설기계(100)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에게 시각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피커(208)는 사이렌 소리와 같은 경고음을 발생시켜 주변 사람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고, 알람램프(210)는 다양한 색상으로 점등되어 주변 사람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208)는 캐빈(110) 내에 탑승한 운전자의 음성을 주변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캐빈(110) 내에는 마이크(174)가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74)는 스피커(208)에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운전자가 마이크(174)에 말을 하면, 마이크(174)로부터 음성신호가 출력되고, 이는 제1 무선통신 모듈(176) 및 제2 무선통신 모듈(218)을 통해 스피커(208)로 전달될 수 있다.The
건설기계(100)의 작동상태에 따라 알람램프(210)의 색상 및 밝기를 서로 다르게 나타내어 건설기계(100) 주변의 사람들이 경고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메모리(170)에는 건설기계(100)의 작동상태에 따른 알람램프(210)의 구동모드가 복수로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알람램프(210)의 구동모드에는 알람램프(210)의 색상, 밝기, 점멸 주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72)에는 건설기계(100)의 각종 작동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제어부(172)는 이들 정보를 바탕으로 건설기계(100)의 작동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알람램프(210)로 출력할 수 있다. 알람램프(210)는 제어부(17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건설기계(100)의 작동상태에 대응되는 구동모드로 발광될 수 있다. 예컨대 알람램프(210)는, 건설기계(1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초록색 및 1단계의 광도로 점멸되지 않고 점등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건설기계(1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빨간색 및 1단계보다 밝은 2단계의 광도로 점멸될 수 있다. 이외에도, 알람램프(210)는 작업의 개시 및 종료를 주변 작업자들에게 알리는 용도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건설기계(100)가 상차작업을 하는 경우, 상차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차량 운전자에 알려주어야 하는데, 건설기계(100)가 작업하는 환경은 매우 시끄러운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를 음성으로 알리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알람램프(210)를 통해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차량 운전자에게 알려주면 시끄러운 소리에도 불구하고 차량 운전자는 쉽게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알람램프(210)를 임의로 제어하기 위하여 캐빈(110)에는 알람램프 조작부(1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drive modes of the
카메라(214)는 운전자의 시야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캐빈(110)의 외부를 촬영한다. 카메라(214)는 특히 캐빈(110)에 탑승한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를 촬영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14)는 캐빈(110) 외부를 촬영하여 이를 디스플레이(166)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6)는 캐빈(11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214)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촬영 대상물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본 실시예의 양방향 모듈에 있어서 카메라(214)는 적어도 1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카메라(214)는 2축 이상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214)가 2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경우, 카메라(214)는 좌우방향,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214)를 회전시키기 위해 카메라 구동부(216)가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216)는 제어부(17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카메라(214)가 향하는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interactive module of this embodiment, the
운전자가 직접 카메라(214)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건설기계(100)에는 카메라 조작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조작부(162)는 캐빈(11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레버, 다이얼, 터치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운전자는 카메라 조작부(162)를 조작하여 카메라(214)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운전자가 카메라 조작부(162)를 조작하면 카메라 조작부(162)로부터 카메라 구동부(216)로 조작신호로 전달되고, 카메라 구동부(216)는 이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카메라(214)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설기계(100)를 통한 작업 중에 시야가 제한되는 영역이 있을 경우, 운전자는 카메라 조작부(162)를 조작하여 카메라(214)가 해당 영역을 촬영하게 할 수 있고, 카메라(214)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안전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A
제어부(172)는 작업기 조작부(168)의 조작에 연동하여 카메라(214)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카메라(214)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메인프레임(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업기 조작부(168)를 조작하는 경우, 작업기 조작부(168)의 조작신호는 제어부(172)로 전달되고, 제어부(172)는 이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카메라(214)가 우측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메인프레임(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업기 조작부(168)를 조작하는 경우, 작업기 조작부(168)의 조작신호는 제어부(172)로 전달되고, 제어부(172)는 이 조작신호를 바탕으로 카메라(214)가 좌측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조명램프(212)는 빛을 조사하여 어두운 곳을 비춤으로써 운전자 또는 카메라(214)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날이 흐리거나 어두울 때 작업하는 경우에는 운전자 및 카메라(214)의 시야가 제한된다. 따라서, 조명램프(212)가 작업대상 및 주변을 밝게 비춤으로써 운전자 또는 카메라(214)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The
기울기 센서(204) 및 방위 센서(206)는 양방향 모듈(200)의 기울기 및 방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기울기 센서(204) 및 방위 센서(206)에 의해 측정된 양방향 모듈(200)의 기울기 및 방위는 제어부(172)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2)는 이 측정값을 바탕으로 카메라(214) 및 조명램프(212)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카메라(214) 또는 조명램프(212)가 항상 지면과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를 원할 경우, 제어부(172)는 기울기 센서(204) 및 방위 센서(206)로부터 전달되는 양방향 모듈(200)의 기울기값 및 방위값을 바탕으로 카메라(214) 및 조명램프(212)가 항상 지면과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카메라 구동부(216)를 제어할 수 있다. The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부(172)는 카메라(214) 및 조명램프(212)가 항상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2)는, 카메라(214) 및 조명램프(212)가 향하는 방향이 항상 작업대상물을 향해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2)는 카메라(214) 및 조명램프(212)가 특정 작업기, 예컨대 버킷(136)을 향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me way, the
또한, 작업기(130)의 회전 정도나 양방향 모듈(200)이 건설기계(100)에 장착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166)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하가 반전될 수 있다. 즉, 카메라(214)에 촬영된 영상의 지면쪽이 디스플레이(166)의 하측에 표시되고 하늘쪽이 디스플레이(166)의 상측에 표시되어야 하나, 작업기(130)가 높이 상승하거나 양방향 모듈(200)이 뒤집혀서 장착된 경우, 지면쪽이 디스플레이(166)의 상측에 표시되고 하늘쪽이 디스플레이(166)의 하측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혼란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166)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하 반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72)는 기울기 센서(204)로부터 전달되는 양방향 모듈(200)의 기울기값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166)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하 반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하반전된다고 판단되면 이를 역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6)에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한편,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모듈(200)은 건설기계(100)의 다양한 부위에 장착될 수 있는데, 양방향 모듈(200)이 건설기계(100)의 어떤 부위에 장착되는지에 따라 양방향 모듈(200)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to 7 , the
예컨대, 양방향 모듈(200)이 작업기(130)에 장착되는 경우, 양방향 모듈(200)은 카메라(214)가 향하는 방향을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유지하는 기능, 카메라(214)가 향하는 방향을 작업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기능, 알람램프(210) 온/오프 기능, 조명램프(212) 온/오프 기능, 카메라(214) 수동 조작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또한, 양방향 모듈(200)이 캐빈(110), 메인프레임(120), 카운터웨이트(140)에 장착되는 경우, 양방향 모듈(200)은 카메라(214)가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기능, 카메라(214)에 의한 주차 보조 기능, 알람램프(210) 온/오프 기능, 조명램프(212) 온/오프 기능, 카메라(214) 수동 조작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이와 같이, 양방향 모듈(200)이 건설기계(100)에 장착되는 부위별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방향 모듈(200)이 건설기계(100)에 장착되면 해당 양방향 모듈(200)이 건설기계(100)의 어떤 부위에 장착되었는지가 제어부(172)에 입력될 수 있다. 메모리(170)에는 양방향 모듈(200)이 장착되는 부위별로 양방향 모듈(200)의 수행 가능한 기능이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72)는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170)에 참조하여 해당 양방향 모듈(2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is embodimen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건설기계 110: 캐빈
120: 메인프레임 130: 작업기
140: 카운터웨이트 162: 카메라 조작부
164: 알람램프 조작부 166: 디스플레이
168: 작업기 조작부 170: 메모리
172: 제어부 174: 마이크
176: 무선통신 모듈 200: 양방향 모듈
202: 배터리 204: 기울기 센서
206: 방위 센서 208: 스피커
210: 알람램프 212: 조명램프
214: 카메라 216: 카메라 구동부
218: 무선통신 모듈100: construction machine 110: cabin
120: main frame 130: work machine
140: counterweight 162: camera control unit
164: alarm lamp control unit 166: display
168: work machine control unit 170: memory
172: control unit 174: microphone
176: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00: bidirectional module
202: battery 204: tilt sensor
206
210: alarm lamp 212: lighting lamp
214: camera 216: camera driving unit
218: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laims (9)
상기 양방향 모듈은,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적어도 1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카메라 구동부; 및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제2 무선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제1 무선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양방향 모듈이 상기 건설기계에 장착되는 부위별로 상기 양방향 모듈의 수행 가능한 기능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양방향 모듈이 건설기계에 장착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장착부위에 대응되는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양방향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As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The interactive module,
a battery that provides power;
a camera rotatably provided in at least one axis;
a camer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camera; and
Including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nstruction machine,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 memory storing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interactive module for each part where the interactive module is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When the interactive module is mounted on the construction machin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teractive module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interactive module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양방향 모듈은, 적어도 한 가지 색상으로 점등되는 알람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알람램프를 조작하기 위한 알람램프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n alarm lamp lit in at least one color,
The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interactive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alarm lamp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alarm lamp.
상기 양방향 모듈은, 청각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스피커에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 speaker for generating an auditory signal,
The construction machine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상기 양방향 모듈은, 적어도 한 가지 색상으로 점등되는 알람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건설기계의 작동상태에 따른 상기 알람램프의 구동모드가 복수로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건설기계의 상기 작동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작동상태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알람램프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n alarm lamp lit in at least one color,
The construction machine,
A memory in which a plurality of drive modes of the alarm lamp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re stored; and
The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tate to the alarm lamp afte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상기 양방향 모듈은,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울기값을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가 특정한 방향을 향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카메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 tilt sensor for measuring a tilt of the interactive module,
The construction machine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amera drive unit so that the camera is maintained in a specific direction based on the tilt value of the interactive module measured by the tilt sensor. machine.
상기 양방향 모듈은, 상기 양방향 모듈의 방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방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양방향 모듈의 방위값을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 direc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orientation of the interactive module,
The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wherein the construction machine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is directed based on an orientation value of the bidirectional module measured by the orientation sensor.
상기 양방향 모듈은,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양방향 모듈의 기울기값을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하 반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영상이 상하반전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영상을 역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제어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active module further includes a tilt sensor for measuring a tilt of the interactive module,
The construction machine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is vertically reversed based on the tilt value of the interactive module measured by the tilt senso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vertically reversed.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n interactive module that controls an image signal provided to the display to display the image in reverse.
상기 양방향 모듈은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모듈을 구비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bidirectional module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lamp for irradiating light,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bidirectional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847A KR102501929B1 (en) | 2016-03-10 | 2016-03-10 |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bidirectional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847A KR102501929B1 (en) | 2016-03-10 | 2016-03-10 |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bidirectional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776A KR20170105776A (en) | 2017-09-20 |
KR102501929B1 true KR102501929B1 (en) | 2023-02-21 |
Family
ID=6003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847A KR102501929B1 (en) | 2016-03-10 | 2016-03-10 |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bidirectional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192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0083B1 (en) * | 2020-12-08 | 2022-10-28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Safety Modules for Agricultural Machinery Using Cameras and Ultrasonic Sensor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0087A (en) | 2000-02-03 | 2001-08-14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Crane hoisted cargo position detector |
KR100797902B1 (en) * | 2006-12-18 | 2008-01-24 | 주식회사 하이엘텍 | Rear view camera for vehicle |
KR101322201B1 (en) * | 2013-03-28 | 2013-10-28 | (주)영신디엔씨 | Approach monitoring system for heavy equipment of construc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11394B2 (en) * | 1996-02-09 | 2005-01-19 | 日立建機株式会社 | Camera direction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s |
KR101678650B1 (en) * | 2008-03-18 | 2016-11-23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warning sound control device of wheel type construction equipment |
KR101163289B1 (en) * | 2009-10-26 | 2012-07-05 | 육상조 | bucket viewer system to be adopted a forkcrane |
KR20110069313A (en) * | 2009-12-17 | 2011-06-2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utomatic control of front lamp lighting angle of construction machinery |
-
2016
- 2016-03-10 KR KR1020160028847A patent/KR10250192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20087A (en) | 2000-02-03 | 2001-08-14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Crane hoisted cargo position detector |
KR100797902B1 (en) * | 2006-12-18 | 2008-01-24 | 주식회사 하이엘텍 | Rear view camera for vehicle |
KR101322201B1 (en) * | 2013-03-28 | 2013-10-28 | (주)영신디엔씨 | Approach monitoring system for heavy equipment of constru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776A (en) | 2017-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203790A1 (en) | Shovel and work suppor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 |
KR102102133B1 (en) | Image display device for backhoe | |
CN106716988B (en) | The periphery monitoring apparatus of Work machine | |
US10145087B2 (en) | Surroundings display device for swing working machine | |
CN107406035B (en) | Engineering operation machine | |
JP5888956B2 (en) | Excavator and surrounding image display method of the excavator | |
JP7571358B2 (en) | Work machine and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work performed by the work machine | |
WO2015122245A1 (en) | Monitoring image display device of industrial machine | |
JP2010121270A (en) | Monitoring equipment of working machine | |
KR20130138227A (en) | Perimeter surveillance device for work machine | |
KR20170136057A (en) | Remote control excavato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sing the system | |
KR102501929B1 (en) |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bidirectional module | |
WO2019181159A1 (en) | Construction machine | |
KR102007535B1 (en) | Monitor display apparatus in construction machinery | |
JP2937003B2 (en) | Industrial machinery safety devices | |
CN206968545U (en) | A kind of loader-digger panorama real-time video transmission device | |
JP2008202331A (en) | Work machine | |
WO2023281826A1 (en) | Work site monitoring system | |
KR20140119911A (en) | A Confirming Device of Backward Direction of Excavator | |
JP2019116343A (en) |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working machine, working machine with the sam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 |
JP2022178057A (en) | System to detect obstacle around heavy machine | |
JP2021075359A (en) | Periphery monitoring device for work vehicle having boom | |
KR102024383B1 (en) | Front and Side View Display Apparatus of Excavator | |
JP2024159193A (en) | Excavator | |
JP2022067276A (en) | Electric construction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