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649B1 -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649B1
KR102501649B1 KR1020200181694A KR20200181694A KR102501649B1 KR 102501649 B1 KR102501649 B1 KR 102501649B1 KR 1020200181694 A KR1020200181694 A KR 1020200181694A KR 20200181694 A KR20200181694 A KR 20200181694A KR 102501649 B1 KR102501649 B1 KR 10250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chain
storage devic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809A (ko
Inventor
신흥식
Original Assignee
신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식 filed Critical 신흥식
Priority to KR102020018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6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65G17/1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and move in contact with a guid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81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guided at least partially along a vertical or inclined dir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111)가 마련되어 사육, 양식, 재배, 부화, 발효, 건조 또는 저장의 대상이 되는 사물이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장치부(110a) 및, 상기 사물에게 제공되는 환경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설비부(110b)로 구분되는 함체부(110); 상기 공간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1체인기어(123)가 각각 장착된 제1회전축(121); 상기 공간부(1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2체인기어(124)가 각각 장착된 제2회전축(122); 상기 제1회전축(121) 또는 제2회전축(122)에 축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 상기 제1체인기어(123)와 제2체인기어(124)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140); 및 상기 사물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마련되고 상기 체인(140)을 따라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수평배치되며 상기 체인(140)에 고정되어 체인(140)의 회전경로를 따라 순환 회전하는 수납부(150);를 포함하는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INDOOR-OUTDOOR MULTIPURPOSE ROTATION TYPE MULTIPLE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이나 식물의 사육, 양식, 재배 및 부화나 식품의 발효, 건조 및 저장과 같이 다양한 사물을 수납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수납대상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에게는 해당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 식물 및 곤충 등을 사육, 양식 및 재배하는 경우 하우스나 건물 실내와 같이 외부환경으로부터 독립된 공간에 설비를 설치하고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온, 다습한 경우와 같이 상기 최적의 생육환경이 인체에는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관리나 작업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실내에 장시간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건강을 해치거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양의 동식물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수납함을 다수 열로 배치해야 하며 각 열별로 관리나 작업을 위한 여유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비 규모가 증대되고 방대한 실내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넓은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비용이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38481호(202007.21), 스마트 팜 큐브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대상에게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해당 생육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 및 설치공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는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는, 내부에 공간부(111)가 마련되어 사육, 양식, 재배, 부화, 발효, 건조 또는 저장의 대상이 되는 사물이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장치부(110a) 및, 상기 사물에게 제공되는 환경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설비부(110b)로 구분되는 함체부(110); 상기 공간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1체인기어(123)가 각각 장착된 제1회전축(121); 상기 공간부(1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2체인기어(124)가 각각 장착된 제2회전축(122); 상기 제1회전축(121) 또는 제2회전축(122)에 축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 상기 제1체인기어(123)와 제2체인기어(124)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140); 및 상기 사물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마련되고 상기 체인(140)을 따라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수평배치되며 상기 체인(140)에 고정되어 체인(140)의 회전경로를 따라 순환 회전하는 수납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설비부(110b)는, 외부공기를 공간부(111)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공간부(11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구(186)와, 상기 사물에게 제공되는 온도, 습도, 수분 및 물, 양분, 공기질, 바람 또는 조명 중 어느 이상의 환경요소를 조절하는 환경조성부(160) 및, 조작부(171)의 입력신호 또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환경조성부(16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50)는, 양측에 배치된 두 체인(140)에 양단이 체결되는 지지바(151)와, 수평 배치된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과 후방측에 지지벽이 각각 형성된 수납틀(152)과, 하단은 상기 수납틀(152)에 체결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바(15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수납틀(152)이 체인(140)을 따라 순환 회전하도록 하는 연결프레임(153)과, 상기 수납틀(152)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157) 및, 상기 레일(157)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함(1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50)는, 상기 수납틀(152)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다단으로 수직 배열 장착되어 상기 함체부(110)의 내벽 또는 별도의 가이드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면서 순환 회전하는 수납틀(152)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롤러(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 상에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도어(114) 및 하부도어(115)를 포함하는 개폐도어부(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도어(114)와 하부도어(115) 중 어느 하나의 도어(115)는 단일의 수납부(1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면적을 가지며 다른 하나의 도어(114)는 복수 개의 수납부(150)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에는 각 수납부(150)별로 수납된 대상의 수납일시, 수납 경과시간정보, 환경요소 조절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납대상 안내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수납부(150)의 전방측에는 각 수납부(150)별 분류코드 정보가 포함된 감지체(181)가 배치되며, 상기 함체부(110) 상에서 개폐도어부(113)와 근접된 위치에는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지한 수납부(150)의 감지체(181)를 감지하기 위한 수납부감지부(182)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70)는 수납부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수납부(150)의 분류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수납부(150) 중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된 위치에서 정지한 수납부(150)를 구분하며 구분된 수납부(150)의 수납대상 안내정보를 함체부(110)에 구비된 표시부(172)를 통해 문자나 수치로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설비부(110b)는, 조작부(171)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수납부(150)가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로 순환 회전하여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에는 조작부(171)의 입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단(183) 및 외부로부터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184)이 각각 구비되며, 복수 개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100')는 측방 또는 전후방으로 연이어 배치되거나 상하로 적층되되, 하나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신호출력단(183)은 인접된 다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신호입력단(184)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조작부(171)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인접된 다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설비부(110b)는, 하단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사물을 수납하거나 물을 저장하는 다기능 보조수납부(18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수납된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74)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170)는 통신모듈(171)을 통해 원격지에 배치된 사용자단말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카메라(174)에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거나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환경조성부(160) 및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조물을 지지 및 형성시킬 수 있는 프레임(117a)이 구비되어 장치 부품 및 함체 구성물을 부착 및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체부(110)는 프레임(117a)과 더불어 구성되며 프레임(117a)의 내부 및 외부에 각기 따로 함체 구조물 및 구성물을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보온 단열재, 판재, 망사형의 보호망을 효과적으로 부착 및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함체부(110)는 제어설비부(110b)와 수납장치부(110a)로 구분되어 나누어지되, 내부 벽면에 서로 연결 및 통할 수 있는 매개체가 별도 구비되어 환경조성을 원활히 하며, 또한 상부에 서로 연결 및 통로 역할하며 각종 감지기와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보조공간부(111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에 의하면,
첫째, 함체부(110)는 경우에 따라 내,외 다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111)가 마련되고 앞면에는 전방 개구된 개구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2)에는 개폐도어부(113)와 다기능 보조수납부(185)가 장착되고, 제1회전축(121)은 상기 공간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1체인기어(123)가 각각 장착되며, 제2회전축(122)은 상기 공간부(1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2체인기어(124)가 각각 장착되며, 구동모터(130)는 상기 제1회전축(121) 또는 제2회전축(122)에 축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고, 체인(140)은 상기 제1체인기어(123)와 제2체인기어(124)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수납부(150)는 사육, 양식, 재배, 부화, 발효, 건조 또는 저장의 대상이 되는 사물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틀(152)과 미닫이 형의 레일(157) 및 수납함(154)이 마련되며 상기 체인(140)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수평배치되고 상기 체인(140)에 고정되어 체인(140)의 회전경로를 따라 순환회전하는 것과 같이, 동물이나 식물의 사육, 양식, 재배 및 부화나 식품의 발효, 건조 및 저장과 같이 다양한 사물을 수납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수납대상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에게는 해당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납함(154)을 전방열과 후방열로 구분하여 다수 개를 동시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는 경우에 따라 내,외 다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기능 보조수납부(185)가 구비되어 상기 사물을 사육, 재배, 건조 또는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거나, 상기 환경조성부(160)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또한, 상기 수납틀(152)의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레일(157)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함(154)은 상기 레일(157)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방된 개폐도어부(113)를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수납함(154)에 수납된 수납대상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둘째, 환경조성부(160)는 상기 함체부(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물에게 제공되는 온도, 습도, 수분, 양분, 산소 또는 조명 중 어느 하나 환경요소를 조절하고, 제어부(170)는 조작부(171)의 입력신호 또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환경조성부(16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수납대상에게 최적인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화상 및 원격제어도 가능하다.
셋째, 상기 수납부(150)는, 수평배치되어 양측에 배치된 두 체인(140)에 양단이 체결되는 지지바(151)와, 수평배치된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과 후방측에 지지벽이 각각 형성된 수납틀(152)과, 하단은 상기 수납틀(152)에 체결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바(15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수납틀(152)이 체인(140)을 따라 순환회전하도록 하는 연결프레임(153) 및,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틀(152)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수납함(154)을 포함함으로써, 수납부(150)가 체인(140)을 따라 순환회전하더라도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체인(14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관리나 작업을 위해 개방된 상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수납부(150)는, 상기 수납틀(152)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함체부(110)의 내벽 또는 별도의 가이드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155)를 더 포함함으로써, 체인(140)을 따라 순환회전하는 수납틀(152)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개폐도어부(113)는, 상기 함체부(110) 상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도어(114) 및 하부도어(11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도어(114)와 하부도어(115) 중 어느 하나의 도어(115)는 단일의 수납부(1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면적을 가지며 다른 하나의 도어(114)는 복수 개의 수납부(150)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면적을 가짐으로써, 관리나 작업 목적에 따라 개방이 필요한 수납부(150)만을 선택적으로 외부노출시킬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상부도어(114) 및 하부도어(11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어는, 외부에서 함체부(110)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관찰용 윈도우가 구비됨으로써 개폐도어부(113)를 개방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하나의 도어(115)는 하나의 문짝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양측이 함체부(110)에 축결합되어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부채꼴의 호를 그리며 회전하는 외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도어(114)는 폭방향 양측으로 구분되는 두 개의 문짝으로 이루어지고 각 문짝의 기단측이 함체부에 축결합되어 기단측을 중심으로 선단측이 부채꼴의 호를 그리며 회전하는 쌍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됨으로써, 관리나 작업 목적에 따라 개방이 필요한 수납부(150)만을 선택적으로 외부노출시키면서도 사용자가 생육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제어부(170)에는 각 수납부(150)별로 수납된 대상의 수납일시, 수납 경과시간정보, 환경요소 조절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납대상 안내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수납부(150)의 전방측에는 각 수납부(150)별 분류코드 정보가 포함된 감지체(181)가 배치되며, 상기 함체부(110) 상에서 개폐도어부(113)와 근접된 위치에는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지한 수납부(150)의 감지체(181)를 감지하기 위한 수납부감지부(182)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70)는 수납부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수납부(150)의 분류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수납부(150) 중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된 위치에서 정지한 수납부(150)를 구분하며 구분된 수납부(150)의 수납대상 안내정보를 함체부(110)에 구비된 표시부(172)를 통해 문자나 수치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출력함으로써 작업 및 관리 효율을 대폭 증대시키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제어부(170)는 조작부(171)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수납부(150)가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수납대상에 대한 관리나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홉째, 상기 제어부(170)는 수납부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수납부(150)의 분류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수납부(150)의 분류코드 정보가 감지부에서 인식되면 구동모터(130)를 정지시켜 해당 수납부(150)가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납부(150)의 순환회전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구동모터(130)를 수동조작할 필요가 없어 관리 및 작업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고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열째, 상기 제어부(170)는 조작부(171)의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30) 및 환경조성부(160)의 동작상태 및 설정상태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제어부(170)에는 조작부(171)의 입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단(183)과, 외부로부터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184)이 각각 구비되며, 복수 개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100')는 복수 개가 측방으로 연이어 배치되거나 상하로 적층되되, 하나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신호출력단(183)은 인접된 다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신호입력단(184)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조작부(171)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인접된 다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입력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한 번의 조작으로 각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를 동시에 조작 및 설정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열한째, 각 수납부(150)에는 제어부(170)와 신호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납부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수납부 선택버튼(188)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70)는 임의 수납부(150)에 구비된 수납부 선택버튼(188)으로부터 수납부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수납부(150)가 순환회전하여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관리 및 작업할 수납부(150)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개폐도어부(113)측으로 위치이동시킬 수납부(150)를 바로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열둘째, 상기 개폐도어부(113)는 함체부(110) 상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된 상부도어(114) 및 하부도어(115)를 포함하고, 각 도어(114,115)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18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70)는 도어감지부(189)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도어(114,115)의 개방상태를 판단하여 임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개방된 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된 수납부(150)가 정지하도록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부(171)를 조작해야 하는 소요를 최소화하여 작업 및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함체부의 앞면 및 개폐도어부를 생략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함체부의 측면을 생략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가 측방으로 연이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신호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지체 및 수납부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는 수납대상에게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해당 생육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관리비용 및 설치공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10), 제1회전축(121), 제2회전축(122), 구동모터(130), 체인(140) 및 수납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함체부(110)는 수납대상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부재로서 내부에 공간부(111, 도 4 참고)가 마련되고 앞면에는 전방 개구된 개구부(112, 도 5 참고)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2)에는 개폐도어부(113)가 장착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공간부(111)와 구분되는 별도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프레임(117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함체부(110)에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환기구(186)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시 상기 환기구(186)에는 환기팬(미도시)이 배치되어 강제 공기순환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함체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다양한 대상물의 모든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 제어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필요에 따라 내장되어 있으며. 필터가 장착되어 있어 외부 오염물질등의 유입을 차단 및 최소화 하고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환기구 역할도 겸하고 하부에는 미닫이 타입의 보조수납부(185)가 구비되어 있으며, 다양한 대상물을 직접 사육, 재배, 건조, 저장이 또한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물을 저장 할수 도 있으며 내부환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기능 보조수납부(185)이다.
더불어, 상기 보조수납부(185)는 함체부(110)의 내부에 전후방으로 연장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폐되거나, 개폐도어(미도시)가 마련되어 필요시 내부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체부(110)의 내면에는 경우에 따라 단열재가 구비되어 외부온도에 의해 공간부(111)의 온도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며, 함체부(110) 및 개폐도어부(113)는 우수나 이슬 등의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체부는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외부광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광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함체부(110)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함체부(110)는 도 1에서와 같이 단일의 함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함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함체로 이루어진 경우 각 함체는 측방 또는 전후방으로 연이어 배치되거나 상하로 적층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방향에 관계없이 형의 크기 및 배열과 규모 또한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대상환경에 따라 그 기능과 구성을 효과적으로 변형 구현 및 통합제작 또는 가능하고 어느 하나의 선택적 기능과 선택적 구성을 별도로 하여 그 형태나 모양 등을 선택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 7a와 같이 복수 개의 함체부(110)와 하나의 제어부(170)가 N:1의 형태로 매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고, 도 7b와 같이 하나의 함체부(110)마다 하나의 제어부(170)가 1:1로 매칭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회전축(121)은 상기 공간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1체인기어(123)가 장착되며, 상기 제2회전축(122)은 공간부(1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2체인기어(124)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130)는 제1회전축(121) 또는 제2회전축(122)에 축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체인(140)은 제1체인기어(123) 및 제2체인기어(124)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구동모터(130)가 제1회전축(121)에 직접 체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회전축(122)에 직접 체결되거나 기어나 벨트 등의 다른 동력전달 수단을 통해 제1회전축(121) 또는 제2회전축(122)에 간접적으로 체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부(150)는 수납대상에게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사육, 양식, 재배, 부화, 발효, 건조 또는 저장의 대상이 되는 사물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마련되며 상기 체인(140)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수평배치되고 상기 체인(140)에 고정되어 체인(140)의 회전경로를 따라 순환회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납부(150)는, 수평배치되어 양측에 배치된 두 체인(140)에 양단이 체결되는 지지바(151)와, 수평배치된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과 후방측에 지지벽이 각각 형성된 수납틀(152)과, 하단은 상기 수납틀(152)에 체결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바(15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수납틀(152)이 체인(140)을 따라 순환회전하도록 하는 연결프레임(153) 및,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홈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틀(152)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수납함(154)을 포함함으로써, 수납부(150)가 체인(140)을 따라 순환회전하더라도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체인(14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관리나 작업을 위해 개방된 상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틀(152)의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레일(157)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함(154)은 상기 레일(157)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방된 개폐도어부(113)를 통해 외부로 인출가능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수납함(154)에 수납된 수납대상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157)과 수납함(154) 사이에는 구동모터 등의 동력수단(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동력수단은 제어부(170)와 신호연결되어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납함(154)이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는 상기 함체부(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물에게 제공되는 온도, 습도, 수분, 물, 양분, 공기질(산소 또는 이산화탄소 포함), 바람 또는 조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환경요소를 조절하는 환경조성부(160) 및, 조작부(171)의 입력신호 또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환경조성부(16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납대상에게 최적인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조작부(171)를 통해 수동 조작되거나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를 구동제어할 수도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외부 통신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PC)이나 서버와 신호연결되어 원격제어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경조성부(160)는 온도, 습도, 수분, 양분, 산소 또는 조명 중 어느 하나 환경요소를 조절하기 위해 온도조절모듈(161), 습도조절모듈(162), 수분공급모듈(163), 양분공급모듈(164), 산소공급모듈(165) 및 조명공급모듈(166)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각 모듈은 함체부(110)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나 각 제공요소들을 수납대상에게 최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각개의 위치에 분산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환경조성부(160)의 자동 및 수동 또는 화상 및 원격제어 설정에 따라 내,외부 모든 상황과 환경에 맞게 상호유기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며, 내외부 상호 모든 환경교환조절 및 조정이 가능한 항온항습, 고온발열, 저온냉각, 건조, 수분 및 물공급, 양분, 대기질, 조명 및 조도, 자연광, 자연바람 조절이 효과적으로 제어 또한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용도에 맞게 통합 전체 기능 또는 어느 특정 기능과 요소만 선택하여 제작 및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70), 구동모터(130) 및 환경조성부(160)의 구동을 위해 상용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 밖에 태양광 발전전원이나 풍력발전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50)는, 상기 수납틀(152)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함체부(110)의 내벽 또는 별도의 가이드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155)를 더 포함함으로써, 체인(140)을 따라 순환회전하는 수납틀(152)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부(113)는, 상기 함체부(110) 상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도어(114) 및 하부도어(115)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도어(114)와 하부도어(115) 중 어느 하나의 도어(115)는 단일의 수납부(1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면적을 가지며 다른 하나의 도어(114)는 복수 개의 수납부(150)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면적을 가짐으로써, 관리나 작업 목적에 따라 개방이 필요한 수납부(150)만을 선택적으로 외부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114) 및 하부도어(115)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도어는, 외부에서 함체부(110)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관찰용 윈도우가 구비됨으로써 개폐도어부(113)를 개방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나의 도어(115)는 하나의 문짝으로 이루어지고 하단 양측이 함체부(110)에 축결합되어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부채꼴의 호를 그리며 회전하는 외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도어(114)는 폭방향 양측으로 구분되는 두 개의 문짝으로 이루어지고 각 문짝의 기단측이 함체부에 축결합되어 기단측을 중심으로 선단측이 부채꼴의 호를 그리며 회전하는 쌍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됨으로써, 관리나 작업 목적에 따라 개방이 필요한 수납부(150)만을 선택적으로 외부노출시키면서도 사용자가 생육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에는 각 수납부(150)별로 수납된 대상의 수납일시, 수납 경과시간정보, 환경요소 조절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납대상 안내정보가 저장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50)의 전방측에는 각 수납부(150)별 분류코드 정보가 포함된 감지체(181)가 배치되며, 상기 함체부(110) 상에서 개폐도어부(113)와 근접된 위치에는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지한 수납부(150)의 감지체(181)를 감지하기 위한 수납부감지부(182)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70)는 수납부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수납부(150)의 분류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수납부(150) 중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된 위치에서 정지한 수납부(150)를 구분하며 구분된 수납부(150)의 수납대상 안내정보를 함체부(110)에 구비된 표시부(172)를 통해 문자나 수치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출력함으로써 작업 및 관리 효율을 대폭 증대시키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조작부(171)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수납부(150)가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서도 수납대상에 대한 관리나 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수납부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수납부(150)의 분류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수납부(150)의 분류코드 정보가 감지부에서 인식되면 구동모터(130)를 정지시켜 해당 수납부(150)가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구동제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수납부(150)의 순환회전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구동모터(130)를 수동조작할 필요가 없어 관리 및 작업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고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조작부(171)의 입력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30) 및 환경조성부(160)의 동작상태 및 설정상태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제어부(170)에는 조작부(171)의 입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단(183)과, 외부로부터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184)이 각각 구비되며, 복수 개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100')는 복수 개가 측방으로 연이어 배치되거나 상하로 적층되되, 하나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신호출력단(183)은 인접된 다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신호입력단(184)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조작부(171)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인접된 다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입력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의 조작으로 각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를 동시에 조작 및 설정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각 수납부(150)에는 제어부(170)와 신호연결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납부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수납부 선택버튼(188)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70)는 임의 수납부(150)에 구비된 수납부 선택버튼(188)으로부터 수납부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수납부(150)가 순환회전하여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관리 및 작업할 수납부(150)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개폐도어부(113)측으로 위치이동시킬 수납부(150)를 바로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부(113)는 함체부(110) 상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된 상부도어(114) 및 하부도어(115)를 포함하고, 각 도어(114,115)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18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70)는 도어감지부(189)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도어(114,115)의 개방상태를 판단하여 임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개방된 도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된 수납부(150)가 정지하도록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부(171)를 조작해야 하는 소요를 최소화하여 작업 및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동물이나 식물의 사육, 양식, 재배 및 부화나 식품의 발효, 건조 및 저장과 같이 다양한 사물을 수납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수납대상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에게는 해당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납함(154)을 전방열과 후방열로 구분하여 다수 개를 동시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공간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110...함체부 113...개폐도어부
121...제1회전축 122...제2회전축
123...제1체인기어 124...제2체인기어
130...구동모터 140...체인
150...수납부 154...수납함
160...환경조성부 170..제어부
171...조작부 172...표시부

Claims (11)

  1. 내부에 공간부(111)가 마련되어 사육, 양식, 재배, 부화, 발효, 건조 또는 저장의 대상이 되는 사물이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장치부(110a) 및, 상기 사물에게 제공되는 환경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설비부(110b)로 구분되는 함체부(110);
    상기 공간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1체인기어(123)가 각각 장착된 제1회전축(121);
    상기 공간부(11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배치되고 양측 단부에는 제2체인기어(124)가 각각 장착된 제2회전축(122);
    상기 제1회전축(121) 또는 제2회전축(122)에 축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
    상기 제1체인기어(123)와 제2체인기어(124)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140); 및
    상기 사물이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마련되고 상기 체인(140)을 따라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수평배치되며 상기 체인(140)에 고정되어 체인(140)의 회전경로를 따라 순환 회전하는 수납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부(110) 상에서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도어(114) 및 하부도어(115)를 포함하는 개폐도어부(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도어(114)와 하부도어(115) 중 어느 하나의 도어(115)는 단일의 수납부(1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면적을 가지며 다른 하나의 도어(114)는 복수 개의 수납부(150)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면적을 갖고,
    상기 제어부(170)에는 각 수납부(150)별로 수납된 대상의 수납일시, 수납 경과시간정보, 환경요소 조절상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납대상 안내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수납부(150)의 전방측에는 각 수납부(150)별 분류코드 정보가 포함된 감지체(181)가 배치되며,
    상기 함체부(110) 상에서 개폐도어부(113)와 근접된 위치에는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정지한 수납부(150)의 감지체(181)를 감지하기 위한 수납부감지부(182)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170)는 수납부감지부(182)에서 감지된 수납부(150)의 분류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수납부(150) 중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된 위치에서 정지한 수납부(150)를 구분하며 구분된 수납부(150)의 수납대상 안내정보를 함체부(110)에 구비된 표시부(172)를 통해 문자나 수치로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설비부(110b)는,
    외부공기를 공간부(111)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공간부(11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구(186)와,
    상기 사물에게 제공되는 온도, 습도, 수분 및 물, 양분, 공기질, 바람 또는 조명 중 어느 이상의 환경요소를 조절하는 환경조성부(160) 및,
    조작부(171)의 입력신호 또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환경조성부(16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50)는,
    양측에 배치된 두 체인(140)에 양단이 체결되는 지지바(151)와,
    수평 배치된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과 후방측에 지지벽이 각각 형성된 수납틀(152)과,
    하단은 상기 수납틀(152)에 체결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바(151)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수납틀(152)이 체인(140)을 따라 순환 회전하도록 하는 연결프레임(153)과,
    상기 수납틀(152)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157) 및,
    상기 레일(157)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함(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50)는,
    상기 수납틀(152)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다단으로 수직 배열 장착되어 상기 함체부(110)의 내벽 또는 별도의 가이드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면서 순환 회전하는 수납틀(152)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롤러(1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설비부(110b)는,
    조작부(171)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수납부(150)가 개폐도어부(113)와 대응되는 위치로 순환 회전하여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0)에는 조작부(171)의 입력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단(183) 및 외부로부터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입력단(184)이 각각 구비되며,
    복수 개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100')는 측방 또는 전후방으로 연이어 배치되거나 상하로 적층되되, 하나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신호출력단(183)은 인접된 다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신호입력단(184)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하나의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조작부(171)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인접된 다른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설비부(110b)는, 하단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사물을 수납하거나 물을 저장하는 다기능 보조수납부(18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수납된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74)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170)는 통신모듈(171)을 통해 원격지에 배치된 사용자단말과 신호연결되어 상기 카메라(174)에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거나 사용자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환경조성부(160) 및 구동모터(130)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조물을 지지 및 형성시킬 수 있는 프레임(117a)이 구비되어 장치 부품 및 함체 구성물을 부착 및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는 프레임(117a)과 더불어 구성되며 프레임(117a)의 내부 및 외부에 각기 따로 함체 구조물 및 구성물을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보온 단열재, 판재, 망사형의 보호망을 효과적으로 부착 및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함체부(110)는 제어설비부(110b)와 수납장치부(110a)로 구분되어 나누어지되, 내부 벽면에 서로 연결 및 통할 수 있는 매개체가 별도 구비되어 환경조성을 원활히 하며, 또한 상부에 서로 연결 및 통로 역할하며 각종 감지기와 부품을 장착할 수 있는 보조공간부(111a)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KR1020200181694A 2020-12-23 2020-12-23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KR10250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694A KR102501649B1 (ko) 2020-12-23 2020-12-23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694A KR102501649B1 (ko) 2020-12-23 2020-12-23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809A KR20220090809A (ko) 2022-06-30
KR102501649B1 true KR102501649B1 (ko) 2023-02-17

Family

ID=8221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694A KR102501649B1 (ko) 2020-12-23 2020-12-23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678B1 (ko) * 2022-09-19 2023-01-30 김진석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77B1 (ko) * 2009-10-29 2012-05-03 오창준 회전식 다단 행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착 챔버 시스템
US20170055471A1 (en) 2014-02-13 2017-03-02 Sky Urban Ip Pte Ltd Rotatable rack system
KR101763514B1 (ko) * 2016-01-25 2017-07-31 홍순창 식물재배시스템
KR102176107B1 (ko) 2018-06-29 2020-11-09 서형석 식물 재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249B1 (ko) * 2011-02-17 2013-03-07 박영환 식물재배시스템
KR20130102245A (ko) * 2012-03-07 2013-09-17 심근섭 침수식 식용 나물 재배 장치
KR102138481B1 (ko) 2019-12-31 2020-07-28 농업회사법인 드림팜 유한회사 스마트 팜 큐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777B1 (ko) * 2009-10-29 2012-05-03 오창준 회전식 다단 행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착 챔버 시스템
US20170055471A1 (en) 2014-02-13 2017-03-02 Sky Urban Ip Pte Ltd Rotatable rack system
KR101763514B1 (ko) * 2016-01-25 2017-07-31 홍순창 식물재배시스템
KR102176107B1 (ko) 2018-06-29 2020-11-09 서형석 식물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809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691B1 (ko) 식물생육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
US9730398B2 (en) Configurable modular hydroponics system and method
KR101275976B1 (ko) 회전타워 식물 재배장치
KR20180074665A (ko) 고밀도 원예 재배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A2793219A1 (en) Semi-automated crop production system
KR102501649B1 (ko)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KR102176107B1 (ko) 식물 재배 장치
US20210400925A1 (en) Beehive
CN105475178B (zh) 一种放大式活体蜜蜂展示观摩箱及物联系统
CN105145410B (zh) 一种蜜蜂行为观察器及蜜蜂观测系统
KR20200063457A (ko) 다목적 소형 스마트팜 장치
KR102259830B1 (ko) 스마트팜 학습용 교구
KR20190048709A (ko) 사물인터넷 기반 곤충사육 시스템
WO2020157351A1 (es) Dispositivo para el cultivo de plantas y/u hongos
CN213715791U (zh) 一种培育房
CN213573563U (zh) 一种环控通风窗控制系统
CN213044751U (zh) 蜂王群外贮存设备
JP2013005772A (ja) 植物育成空間の制御システム
KR102635929B1 (ko) 버섯 재배 자동화 플랫폼
KR20160095424A (ko) 다육식물 재배장치
KR20080064277A (ko) 곤충 사육장을 가지는 열대어항
KR102490063B1 (ko) 블록형 스마트팜 시스템
JPH02299519A (ja) ユニット温室
TWI755288B (zh) 太陽能自動溫控蜂箱
CN211847915U (zh) 一种培养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