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678B1 -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678B1
KR102493678B1 KR1020220118203A KR20220118203A KR102493678B1 KR 102493678 B1 KR102493678 B1 KR 102493678B1 KR 1020220118203 A KR1020220118203 A KR 1020220118203A KR 20220118203 A KR20220118203 A KR 20220118203A KR 102493678 B1 KR102493678 B1 KR 10249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ock
rotating
shock absorb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김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석 filed Critical 김진석
Priority to KR102022011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678B1/ko
Priority to KR1020230009700A priority patent/KR102539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장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제어 서버가 구비된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Smart home system with storage cabinet control}
본 발명은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장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제어 서버가 구비된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 적재 창고나 각종 상품의 판매소 또는 가정에는 입고 또는 출고해야할 물품, 수시로 판매되는 각종 상품을 수납 및 진열하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선반이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반에 보관 및 진열되는 물품 및 상품으로는 일반 의약품, 특수 의약품, 일반 소비재 상품, 소형, 신발, 모자, 기타 악세사리로부터 대형에 이르는 각종 공산품이 이에 해당되며, 보관 및 진열되는 물품, 상품의 특성, 크기 등에 따라 해당 선반의 형태 및 크기도 점차 다양화, 전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선반에 보관 및 진열되는 물품 및 상품에는 해당 상품의 전반적 정보가 전자적 수단에 의해 포함되어 있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크 또는 제어 가능한 프로세스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개폐 각도, 개폐 속도, 온습도, 충격, 객체 인지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를 구축하여 이를 수납장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하여 각 상황에 맞는 수납장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장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는 제어 서버가 구비된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폐 각도, 개폐 속도, 충격 인지, 온습도 조절, 객체 인지 등의 기능부들이 구비된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장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는 유닛이 구비된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 충격을 보호하는 완충 유닛이 구비된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은 수납장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납장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수납장의 개폐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 설정부, 상기 각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개폐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장의 개폐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 상기 수납장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인지하는 충격 인지부, 상기 수납장 내부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에 의해 상기 수납장 내부의 온습도를 인지하는 온습도 인지부, 상기 수납장 근처로 접근하는 객체를 인지하는 객체 인지부, 상기 충격 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외부 충격으로 상기 수납장의 폐쇄, 상기 온습도 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내부 온습도에 의해 상기 수납장의 개폐, 상기 객체 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객체에 따라 상기 수납장의 개폐를 명령하는 개폐 명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장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 상기 본체의 전단부에 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 후단면에 설치되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개폐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설치된 완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진 제거 유닛은, 상기 수납부의 후단면에 내장되고,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 상기 에어 탱크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 모터, 전단부에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모터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전단부에 체결되는 베어링,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도록 중앙이 통공되고, 표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와셔, 상기 회전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의 전단부에서 상기 와셔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체결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양 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분사 브라켓, 상기 분사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에어 탱크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에 측면 둘레부를 따라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양 말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호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회전판의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말단부에 가이드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후 상기 체결돌기에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체결되고, 상기 분사 브라켓의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호형 프레임의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각을 조절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진 제거 유닛은, 상기 에어 탱크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로 분사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고, 상기 회전모터가 생성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기어, 상기 회전체가 동시에 회전하여 360도 회전 분사가 가능한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은,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와 일체로 체결되고, 내향하는 고정돌기가 내부 양 측에 형성된 중간 몸체, 상기 중간 몸체와 일체로 체결되는 상부 몸체, 상기 중간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완충 몸체, 상기 완충 몸체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완충 가스가 유동되도록 가스 유동구가 형성된 완충 피스톤부, 상기 완충 피스톤부의 둘레부를 따라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1 완충 스프링, 상기 완충 피스톤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완충 몸체 내부의 일단부까지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2 완충 스프링,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와 맞물려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피스톤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 상기 완충 피스톤부에 삽입되되 상기 완충 몸체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완충 몸체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 플랜지, 상기 완충 피스톤부의 타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완충 피스톤부를 고정하는 피스톤부 고정헤드, 상기 완충 몸체 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인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몸체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도록 외향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가스가 충전되고, 상기 센서부는, 충격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송신하는 충격 센서, 상기 충격 센서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지지부재, 상기 충격 센서를 보호하도록 커버(cover)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도어부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충격 센서가 인지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충격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완충 피스톤부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완충 몸체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완충 가스가 상기 가스 유동구를 따라 상기 완충 피스톤부 내부를 유동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부의 분진 제거가 가능하고, 도어부의 충격 흡수가 가능한 수납장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제어 서버가 구비된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에 대한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에 대한 제어 서버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독립적인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수납장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각도 설정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분진 제거 유닛의 조립도 및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도어부의 완충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에 대한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납장(100)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은 수납장(100)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수납장(100)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에 대한 제어 서버(10)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서버(10)는 각도 설정부(11), 속도 설정부(12), 충격 인지부(13), 온습도 인지부(14), 객체 인지부(15), 및 개폐 명령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설정부(11)는 수납장(100)의 개폐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서 개폐 각도는 135도 내지 270도 사이의 어느 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135도 미만으로 열리는 경우 수납이 용이하지 않고, 270도를 초과하여 열리는 경우 힌지부(130a)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도어부(130)의 손상이 불가피하다.
속도 설정부(12)는 각도 설정부(11)에서 설정된 개폐 각도에 대응하여 수납장(100)의 개폐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 각도 범위인 135도 내지 270도 사이의 어느 한 각도로 개폐 각도가 설정되면, 개폐 속도는 10cm/s 내지 20cm/s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10cm/s 미만으로 개폐 속도가 설정되면, 개폐 속도에 비해 사용자의 수납장(100) 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20cm/s 초과하여 개폐 속도가 설정되면, 개폐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충격 인지부(13)는 수납장(1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 명령부(16)는 수납장(1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수납장(100) 내부에 수납된 물체들을 보호하기 위해 수납장(100)의 폐쇄를 명령할 수 있다.
온습도 인지부(14)는 수납장(100) 내부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에 의해 수납장(100) 내부의 온습도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 명령부(16)는 온습도 인지부(14)에 의해 인지된 내부 온습도가 기설정된 온습도보다 높은 경우 수납장(100)을 개방하여 온습도를 낮추거나, 기설정된 온습도보다 낮은 경우 수납장(100)을 폐쇄하여 온습도를 높일 수 있다.
객체 인지부(15)는 수납장(100) 근처로 접근하는 객체를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 명령부(16)는 객체 인지부(15)에 의해 인지된 객체에 의해 수납장(100)을 개방할 수 있고, 객체가 수납장(100)에서 멀어지면 수납장(100)을 폐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독립적인 동작도를 도시한 것이다.
S110 동작 : 힌지부(130a)의 개폐 각도를 설정한다.
S120 동작 : 도어부(130)의 개폐 속도를 설정한다.
S130 동작 : 수납장(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인지한다.
S140 동작 : 수납장(100) 내부의 온습도를 인지한다.
S150 동작 : 수납장(100) 근처에 접근하는 객체를 인지한다.
S160 동작 : 수납장(100)의 도어부(130) 개폐를 명령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동작은 서로 독립적일 수도 있으며, S160 동작를 기준으로 유기적인 동작이 실시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10 동작에 의해 힌지부(130a)의 개폐 각도를 설정하고, S160 동작에서 수납장(100)의 도어부(130) 개폐를 명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20 동작에 의해 도어부(130)의 개폐 속도를 설정하고, S160 동작에서 수납장(100)의 도어부(130) 개폐를 명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30 동작에 의해 수납장(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인지하고, S160 동작에서 수납장(100)의 도어부(130) 폐쇄를 명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40 동작에 의해 수납장(100) 내부의 온습도를 인지하고, S160 동작에서 수납장(100)의 도어부(130) 개폐를 명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50 동작에 의해 수납장(100) 근처에 접근하는 객체를 인지하고, S160 동작에서 수납장(100)의 도어부(130) 개방을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서버(10)의 기능부들에 의한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S110 동작 내지 S150 동작에 의해 이용자의 편의에 맞는 개폐 각도, 개폐 속도를 설정할 수 있고, 외부 충격, 온습도, 객체 접근의 각각의 상황에 맞는 동작으로 IoT 기술의 활용성을 넓힌 수납장(100)을 구비하여 종래의 수납장(100)보다 스마트홈 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수납장(10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납장(100)은 본체(110), 수납부(120), 및 도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수납장(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종래의 수납장(100) 형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납부(120) 및 도어부(130)를 구비할 수 있는 형태이면 바람직하다.
수납부(120)는 본체(110) 내부에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부(130)는 본체(110)의 전단부에 힌지부(130a)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분진 제거 유닛(200)의 조립도 및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납부(120)는 수납부(120)의 내부 후단면에 설치되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진 제거 유닛(200)은 에어 탱크(210), 회전 모터(220), 회전축(230), 베어링(240), 와셔(250), 회전기어(260), 회전체(270), 파이프(280), 분사 브라켓(290), 및 분사노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탱크(210)는 수납부(120)의 후단면에 내장되고,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모터(220)는 에어 탱크(21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230)은 전단부에 회전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30)은 회전 모터(220)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30)은 에어 탱크(210)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어링(240)은 회전축(230)의 전단부에 체결될 수 있으며, 후술할 와셔(250)와 회전기어(260)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와셔(250)는 회전축(230)에 삽입되도록 중앙이 통공되고, 표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체결돌기(25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기어(260)는 회전돌기(231)에 삽입되어 회전축(23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체(270)는 회전기어(260)의 전단부에서 와셔(250)를 향해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70)는 회전체(270)의 중앙부에 측면 둘레부를 따라 복수 개의 가이드홈(271a)이 형성된 회전판(27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70)는 회전판(271)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대(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70)는 지지대(272)에 설치되고, 양 말단부에 끼움홈(273a)이 형성된 호형 프레임(2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280)는 회전체(270)의 중앙부, 특히 복수 개의 가이드홈(271a) 각각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체결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280)는 회전판(271)의 가이드홈(271a)에 삽입되도록 말단부에 가이드산(28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280)는 가이드홈(271a)에 삽입된 후 체결돌기(251)에 끼움결합되면서 회전기어(260)와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분사 브라켓(290)은 파이프(280)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양 측면에 끼움돌기(291)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 브라켓(290)의 끼움돌기(291)는 호형 프레임(273)의 끼움홈(273a)에 끼움결합되어 분사노즐(300)의 분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분사노즐(300)은 분사 브라켓(290)에 삽입되어 파이프(280)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 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 탱크(210)의 전단부에 설치된 회전모터와 회전축(230)이 조립된다.
회전축(230)의 회전돌기(231)에 베어링(240)이 조립되고, 와셔(250), 회전기어(260)가 순서대로 조립된다.
회전기어(260)를 포함하여 와셔(250)의 체결돌기(251)에 회전판(271)이 조립된다.
회전판(271)의 가이드홈(271a)에 가이드산(280a)을 따라 파이프(280)가 각각 조립되고, 파이프(280)의 일단부에 분사 브라켓(290), 분사노즐(300)이 순서대로 조립된다.
이때, 분사 브라켓(290)의 끼움돌기(291)가 호형 프레임(273)의 끼움홈(273a)에 조립된다.
분진 제거 유닛(200)은 에어 탱크(210)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회전축(230)을 따라 파이프(280)를 통해 분사노즐(300)로 분사되어 수납부(120)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모터가 생성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230), 회전기어(260), 회전체(270)가 동시에 회전하여 360도 회전 분사가 가능하여 다양한 각도로 분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의 도어부(130)의 완충 유닛(40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부(130)는 개폐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도어부(130)의 내부에 설치된 완충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유닛(400)은 하부 몸체(410), 중간 몸체(420), 상부 몸체(430), 완충 몸체(440), 완충 피스톤부(450), 제 1 완충 스프링(460), 제 2 완충 스프링(470), 스프링 지지부재(480), 완충부재(490), 고정 플랜지(500), 피스톤부 고정헤드(510), 및 센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410)는 내부가 완충 몸체(4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중간 몸체(420)는 하부 몸체(410)와 일체로 체결되고, 내향하는 고정돌기(421)가 내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430)는 중간 몸체(420)와 일체로 체결되고, 피스톤부 고정헤드(5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완충 몸체(440)는 중간 몸체(420) 및 하부 몸체(410)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몸체(440)는 고정돌기(421)에 의해 고정되도록 외향하는 지지돌기(44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몸체(440)의 지지돌기(441)와 중간 몸체(420)의 고정돌기(4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몸체(440)는 내부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가스가 충전될 수 있다.
완충 피스톤부(450)는 완충 몸체(440)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완충 가스가 유동되도록 가스 유동구(4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완충 스프링(460)은 완충 피스톤부(450)의 둘레부를 따라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완충 스프링(470)은 완충 피스톤부(450)의 일단부에서 완충 몸체(440) 내부의 일단부까지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부재(480)는 제 1 완충 스프링(46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제 1 완충 스프링(460)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490)는 스프링 지지부재(480)와 맞물려 설치되어 완충 피스톤부(4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플랜지(500)는 완충 피스톤부(450)에 삽입되되 완충 몸체(44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고정돌기(421)와 완충 몸체(440) 사이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부 고정헤드(510)는 완충 피스톤부(450)의 타단부에 삽입되어 완충 피스톤부(450)를 상부 몸체(430)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센서부(520)는 완충 몸체(440) 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인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20)는 충격을 인지하여 제어 서버(10)로 송신하는 충격 센서(5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20)는 충격 센서(521)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지지부재(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20)는 충격 센서(521)를 보호하도록 커버(cover)하는 센서 하우징(5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 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 몸체(410), 중간 몸체(420), 상부 몸체(430) 순으로 조립하고, 상기 조립된 형상에 완충 몸체(440)가 삽입되고, 완충 몸체(440) 내부의 일단부에 센서 지지부재(522), 충격 센서(521), 센서 하우징(523) 순으로 조립된다.
완충 몸체(440) 내부에 제 2 완충 스프링(470)이 체결된 완충 피스톤부(450)가 조립되고, 완충 피스톤부(450)의 둘레부에 완충부재(490), 스프링 지지부재(480), 제 1 완충 스프링(460), 고정 플랜지(500) 순으로 삽입 및 조립된다.
완충 몸체(440)는 중간 몸체(420)의 고정돌기(421)에 의해 지지돌기(441)와 맞닿아 지지된다.
완충 피스톤부(450)의 타단부에 피스톤부 고정헤드(510)가 조립된다.
완충 유닛(400)은 도어부(130)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충격 센서(521)가 인지하여 제어 서버(10)로 충격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서버(10)의 충격 인지부(13)가 이를 전달받아 개폐 명령부(16)와 연동하여 도어부(130)의 개폐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유닛(400)은 완충 피스톤부(450)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제 1 완충 스프링(460), 제 2 완충 스프링(470)의 탄성력을 생성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 유닛(400)은 완충 몸체(440)의 내부에 충전된 완충 가스가 가스 유동구(451)를 따라 완충 피스톤부(450) 내부를 유동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제어 서버(10)
각도 설정부(11)
속도 설정부(12)
충격 인지부(13)
온습도 인지부(14)
객체 인지부(15)
개폐 명령부(16)
수납장(100)
본체(110)
수납부(120)
도어부(130)
힌지부(130a)
분진 제거 유닛(200)
에어 탱크(210)
회전 모터(220)
회전축(230)
회전돌기(231)
베어링(240)
와셔(250)
체결돌기(251)
회전기어(260)
회전체(270)
회전판(271)
가이드홈(271a)
지지대(272)
호형 프레임(273)
끼움홈(273a)
파이프(280)
가이드산(280a)
분사 브라켓(290)
끼움돌기(291)
분사노즐(300)
완충 유닛(400)
하부 몸체(410)
중간 몸체(420)
고정돌기(421)
상부 몸체(430)
완충 몸체(440)
지지돌기(441)
완충 피스톤부(450)
가스 유동구(451)
제 1 완충 스프링(460)
제 2 완충 스프링(470)
스프링 지지부재(480)
완충부재(490)
고정 플랜지(500)
피스톤부 고정헤드(510)
센서부(520)
충격 센서(521)
센서 지지부재(522)
센서 하우징(523)

Claims (3)

  1. 수납장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납장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
    를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수납장의 개폐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 설정부;
    상기 각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개폐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장의 개폐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부;
    상기 수납장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인지하는 충격 인지부;
    상기 수납장 내부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에 의해 상기 수납장 내부의 온습도를 인지하는 온습도 인지부;
    상기 수납장 근처로 접근하는 객체를 인지하는 객체 인지부;
    상기 충격 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외부 충격으로 상기 수납장의 폐쇄, 상기 온습도 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내부 온습도에 의해 상기 수납장의 개폐, 상기 객체 인지부에 의해 인지된 객체에 따라 상기 수납장의 개폐를 명령하는 개폐 명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장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
    상기 본체의 전단부에 힌지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부의 내부 후단면에 설치되어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 제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개폐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설치된 완충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분진 제거 유닛은,
    상기 수납부의 후단면에 내장되고,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
    상기 에어 탱크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생성하는 회전 모터;
    전단부에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모터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전단부에 체결되는 베어링;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도록 중앙이 통공되고, 표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체결돌기가 형성된 와셔;
    상기 회전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의 전단부에서 상기 와셔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체결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양 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분사 브라켓;
    상기 분사 브라켓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에어 탱크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에 측면 둘레부를 따라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양 말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호형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회전판의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말단부에 가이드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후 상기 체결돌기에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려 체결되고,
    상기 분사 브라켓의 상기 끼움돌기는,
    상기 호형 프레임의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각을 조절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분진 제거 유닛은,
    상기 에어 탱크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로 분사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고,
    상기 회전모터가 생성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 상기 회전기어, 상기 회전체가 동시에 회전하여 360도 회전 분사가 가능한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유닛은,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와 일체로 체결되고, 내향하는 고정돌기가 내부 양 측에 형성된 중간 몸체;
    상기 중간 몸체와 일체로 체결되는 상부 몸체;
    상기 중간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완충 몸체;
    상기 완충 몸체에 삽입되고, 일단부에 완충 가스가 유동되도록 가스 유동구가 형성된 완충 피스톤부;
    상기 완충 피스톤부의 둘레부를 따라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1 완충 스프링;
    상기 완충 피스톤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완충 몸체 내부의 일단부까지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2 완충 스프링;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이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와 맞물려 설치되어 상기 완충 피스톤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
    상기 완충 피스톤부에 삽입되되 상기 완충 몸체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완충 몸체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 플랜지;
    상기 완충 피스톤부의 타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완충 피스톤부를 고정하는 피스톤부 고정헤드;
    상기 완충 몸체 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인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몸체는,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되도록 외향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가스가 충전되고,
    상기 센서부는,
    충격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송신하는 충격 센서;
    상기 충격 센서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지지부재;
    상기 충격 센서를 보호하도록 커버(cover)하는 센서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도어부의 개폐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충격 센서가 인지하여 상기 제어 서버로 충격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완충 피스톤부가 피스톤 운동을 하여 상기 제 1 완충 스프링, 상기 제 2 완충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완충 몸체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완충 가스가 상기 가스 유동구를 따라 상기 완충 피스톤부 내부를 유동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18203A 2022-09-19 2022-09-19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KR10249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03A KR102493678B1 (ko) 2022-09-19 2022-09-19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KR1020230009700A KR102539568B1 (ko) 2022-09-19 2023-01-25 스마트 수납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03A KR102493678B1 (ko) 2022-09-19 2022-09-19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700A Division KR102539568B1 (ko) 2022-09-19 2023-01-25 스마트 수납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678B1 true KR102493678B1 (ko) 2023-01-30

Family

ID=851060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03A KR102493678B1 (ko) 2022-09-19 2022-09-19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KR1020230009700A KR102539568B1 (ko) 2022-09-19 2023-01-25 스마트 수납장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700A KR102539568B1 (ko) 2022-09-19 2023-01-25 스마트 수납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36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640A (ko) * 2008-01-30 2009-08-04 박환문 먼지 털이 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치
KR20220026253A (ko) * 2020-08-25 2022-03-04 (주)엘엑스하우시스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90809A (ko) * 2020-12-23 2022-06-30 신흥식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04B1 (ko) * 2017-01-16 2018-12-10 손영전 물품수납장치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640A (ko) * 2008-01-30 2009-08-04 박환문 먼지 털이 기능을 구비한 수납장치
KR20220026253A (ko) * 2020-08-25 2022-03-04 (주)엘엑스하우시스 스마트 주방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90809A (ko) * 2020-12-23 2022-06-30 신흥식 실내외용 다목적 회전형 다단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568B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8375B1 (en) Refrigerator
US20160161176A1 (en) Refrigerator
US9797081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suspension system
US20200157860A1 (en) Refrigerator
CN100419357C (zh) 冰箱
US9903639B2 (en) Refrigerator
KR102493678B1 (ko) 수납장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홈 시스템
US7673840B2 (en) Supporting arm for a projection apparatus and presentation apparatus having a supporting arm
AU2014219574A1 (en)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EP3061382B1 (en) Dishwasher
KR102460242B1 (ko) 냉장고
US10951979B2 (en) Robot
WO2007010500A1 (en) A cooling device
CN111189275B (zh) 家用电器
KR101918122B1 (ko) 홀더
EP2331893A2 (en) A cooling device
KR20190091704A (ko) 냉장고
KR200169568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EP1488109B1 (en) Fan housing
CN212778177U (zh) 冰箱及用于冰箱的瓶座组件
CN217538405U (zh) 递送柜门、递送柜及递送机器人
CN115164499B (zh) 用于冰箱门体的竖梁组件及冰箱
WO2020104172A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position-adjustable door
CN211233517U (zh) 一种冰箱
WO2021256988A1 (en) Cabinet for receiving delivery of parc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