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582B1 -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582B1
KR102501582B1 KR1020200144271A KR20200144271A KR102501582B1 KR 102501582 B1 KR102501582 B1 KR 102501582B1 KR 1020200144271 A KR1020200144271 A KR 1020200144271A KR 20200144271 A KR20200144271 A KR 20200144271A KR 102501582 B1 KR102501582 B1 KR 10250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insertion space
pressure difference
fixing devi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992A (ko
Inventor
홍채선
조민석
손준영
최서희
김진성
김동욱
박광우
이호
김호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5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64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radiation treatment in response to monitoring
    • A61N5/1069Target adjustment, e.g. moving the patien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1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alarm; indicating an abnormal si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09Specification of type of protection measures
    • A61B2090/0436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4Shielding, protectin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7Means for immobilizing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110)를 가진 중공 구조로 구비된 삽입 공간부(100); 및 상기 삽입 공간부(100)의 개구부(110)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200)를 포함하며, 삽입 공간부(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감압시키고, 혀(10)를 삽입 공간부(100)에 삽입시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혀(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이다.

Description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Tongue-position Immobilization Apparatus using Pressure Difference}
본 발명은 혀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치료란, 파장이 매우 짧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치료하는 임상의학의 한 방법으로 수술, 항암 화학 요법과 더불어 3대 암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주로 암이라고 불리는 악성 종양을 치료하지만, 양성 종양이나 일부 양성질환도 치료한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 조사기의 위치에 따라서 외부 방사선치료와 근접치료로 나눌 수 있다.
외부 방사선 치료는 몸 외부에서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치료 방법으로 사용하는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광자선 치료, 전자선 치료 및 중성자 치료와 양성자 치료와 같은 입자선 치료로 구분하기도 한다.
한편, 근접 치료는 방사선 발생 장치나 동위 원소를 몸 안이나 표면에 위치시켜서 방사선을 한정된 부위에 조사하는 방법으로, 삽입되는 공간이나 방법에 따라서, 강내 치료, 관내 치료, 조직내 치료, 접촉 치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를 진행할 때, 표적 부위에만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방사선이 표적 부위에 인접한 부위로 조사될 수도 있다. 특히, 구강 내의 표적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 건강한 조직인 혀나 구강 점막에도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어 혀나 구강 점막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체형 변동이나 치료기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의해 계획된 비정보다 더 멀리 방사선이 조사될 경우 혀나 주변 정상장기에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로 인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혀를 고정시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용도로 혀 고정장치가 종래기술로서 있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혀 고정장치를 물고 그 고정장치 내부에 혀를 삽입시켜, 혀를 내민 상태를 스스로 유지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혀를 내민 상태로 안정적으로 장시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로도가 매우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사용자가 혀를 움직이게 되어 혀의 위치가 변경되어, 혀에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3786호 (2019.05.23)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사용자가 혀를 내민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사용자의 혀의 위치가 쉽게 변동되지 않도록 한다.
셋째, 혀의 위치가 변동되기 전에 미리 예측하여 혀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넷째, 사용자의 혀의 길이가 상이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유지되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가진 중공 구조로 구비된 삽입 공간부; 및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개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삽입 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감압시키고, 혀를 삽입 공간부에 삽입시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가진 중공 구조로 구비된 삽입 공간부;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개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 및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개구부에서 연장형성된 중공 구조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삽입 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감압시키고, 혀를 슬리브를 거쳐서 삽입 공간부에 삽입시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는 압착가능한 연질 소재로 구비되며, 삽입 공간부가 압착되어 내부 공기가 배출되면서 감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내측 폐쇄단부에는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내측 폐쇄단부에는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삽입된 혀가 가압하는 측정값을 계측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내측 폐쇄단부에는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삽입된 혀가 가압하는 측정값을 계측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면, 상기 감압밸브를 작동시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 지지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마커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치확인마커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이동된 때에는, 상기 제어부는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면에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조절링이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혀를 내민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압력 차이에 의해, 사용자의 혀의 위치가 쉽게 변동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셋째, 압력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혀의 위치가 변동되기 전에 미리 예측하여, 경보 또는 감압밸브를 구동하여 혀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조절 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혀의 길이가 상이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위치 고정장치로서, 슬리브가 구비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위치 고정장치로서, 슬리브가 미구비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혀 위치 고정장치로서, 슬리브 및 조절링이 구비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혀가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혀가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 혀가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위치 고정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실험한 사진자료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두경부암의 방사선치료에서 방사선치료용적에 포함될 수 있는 혀를 치료 부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혀를 고정하고 혀의 위치 재현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방사선치료 중 혀에 불필요하게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두경부암의 방사선치료에서 혀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다양한 부작용(구감염, 구강건조증, 미각 상실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불필요하게 혀에 조사되는 방사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혀를 방사선치료부위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방사선치료는 여러 차례에 걸쳐 치료하게 되므로 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혀의 위치 재현성을 유지하는 것이 방사선치료의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혀를 감싸 혀를 고정하면서 혀를 입 밖으로 편안하게 내밀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혀 고정장치는 사용자가 혀를 내밀어 혀 고정장치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혀가 혀 고정장치의 특정 부분을 누르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힘든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혀 고정장치는 사용자의 혀가 압력 차이에 의해 뽑혀져(인출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사용자가 편한 구조이므로 동일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한 구조이다.
치료를 받는 중 환자가 스스로 혀를 내밀고, 혀를 내뱉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힘드므로, 환자가 편안하게 혀를 내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압력 차이(흡입진공)에 의한 혀 고정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요소를 생략하거나, 일부 요소를 과장되게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 취지에 비추어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위치 고정장치로서, 슬리브가 구비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위치 고정장치로서, 슬리브가 미구비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혀 위치 고정장치는 슬리브의 구비 여부의 관점에서, 슬리브가 미구비된 실시예와 슬리브가 구비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슬리브(300) 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공통되므로,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슬리브(300)가 미구비된 혀 위치 고정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0)를 가진 중공 구조로 구비된 삽입 공간부(100); 및 상기 삽입 공간부(100)의 개구부(110)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200)를 포함하며, 삽입 공간부(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감압시키고, 혀(10)를 삽입 공간부(100)에 삽입시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혀(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슬리브(300)가 구비된 혀 위치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0)를 가진 중공 구조로 구비된 삽입 공간부(100); 상기 삽입 공간부(100)의 개구부(110)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200); 및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개구부(110)에서 연장형성된 중공 구조의 슬리브(300)를 더 포함하며, 삽입 공간부(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감압시키고, 혀(10)를 슬리브(300)를 거쳐서 삽입 공간부(100)에 삽입시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혀(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 공간부(100)는 압착가능한 연질 소재로 구비되며, 삽입 공간부가 압착되어 내부 공기가 배출되면서 감압될 수 있다.
압착시킨 삽입 공간부(100)를 다시 복원시키면서 혀를 삽입 공간부에 흡입 삽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삽입 공간부(100)의 내부는 진공 상태 내지 감압 상태가 되므로, 삽입된 혀는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착가능한 소재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혀를 흡입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방사선치료 중에는 혀의 염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혀를 감싸는 재질은 부드러우면서 환자가 편안해야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실리콘 등 인체 사용가능한 재질(Generic Food Grade Silicon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삽입 공간부(100)의 일측에 감압밸브(미도시)를 구비하여, 제어부에 의해 작동 여부와 작동 정도가 제어되면서, 삽입 공간부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면서 감압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부는 혀 위치 고정장치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배치되어 무선통신 등을 통해 감압밸브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컴퓨터와 네크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 공간부(100)의 내측 폐쇄단부(120)에는 압력감지센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는 삽입된 혀끝이 센서를 누르는 정도가 달라지거나, 누르지 않는 상태가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된 혀의 작은 유격을 감지하게 되며, 이는 혀의 위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감지센서(130)는 삽입된 혀가 가압하는 측정값을 계측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경보는 소리, 진동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에 경고문구가 현출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예로, 사용자에게 소리 또는 진동으로 경보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혀의 위치이동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에게 소리, 진동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경보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 공간부(100)의 일측에 감압밸브가 구비된 실시예의 경우, 삽입 공간부(100)의 내측 폐쇄단부(120)에는 압력감지센서(130)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130)는 삽입된 혀가 가압하는 측정값을 계측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수신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면, 감압밸브를 작동시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노력과 무관하게 삽입 공간부(100)의 내부 공간에 추가 감압이 수행되고, 혀의 위치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혀 고정장치를 입에 물고, 얼굴에 마스크(20)를 착용하고 방사선 조사를 받게 된다. 두경부암의 방사선치료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마스크(Thermoplastic mask)와 연동하여 자세 안정성/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삽입 공간부(100)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 지지부(140)가 돌출 형성되어, 마스크 지지부(140)가 마스크(20)를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 공간부(100)의 외측 또는 상기 마스크 지지부(14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마커(150)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확인마커(150)는 위치 확인용 영상장치 등을 통해 위치 확인에 사용될 수 있다. 위치확인마커는 저밀도 또는 고밀도 마커로 구비될 수 있다.
혀에 방사능 치료를 할 때는 일 단위의 방사선치료를 20~30회 정도 받게 된다. 이 경우, 혀가 방사능치료의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혀 위치가 변경되면, 치료의 정확도가 저하된다. 그래서 방사선 치료 전에, 엑스레이나 CT 등의 영상장치로 혀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엑스레이 등의 영상에서 확인가능한 위치확인마커(150)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압력감지센서, 위치확인마커 등을 통해 혀과 혀 고정장치의 위치 재현성을 엑스레이 영상과 신호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치확인마커(150)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이동된 때에는, 상기 제어부는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슬리브(300)가 구비된 실시예의 경우, 도 3,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00)의 외면에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조절링(400)이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혀의 길이가 상이할 수 있고, 요구되는 치료에 따라 혀를 인출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절링(400)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입술에는 날개부(200)의 하면이 접촉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조절링(400)이 날개부(200)의 하측에 배치되면, 사용자의 입술에는 조절링(400)의 하면이 접촉하게 될 것이다. 즉 조절링(400)이 배치되면, 조절링(400)의 두께 만큼 인출되는 혀의 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링은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혀 20 : 마스크
100 : 삽입 공간부 110 : 개구부
120 : 폐쇄단부 130 : 압력감지센서
140 : 마스크 지지부 150 : 위치확인마커
200 : 날개부 300 : 슬리브
400 : 조절링

Claims (12)

  1. 개구부를 가진 중공 구조로 구비된 삽입 공간부; 및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개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삽입 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감압시키고, 혀를 삽입 공간부에 삽입시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삽입 공간부의 내측 폐쇄단부에는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2. 개구부를 가진 중공 구조로 구비된 삽입 공간부;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개구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 및 상기 삽입 공간부의 개구부에서 연장형성된 중공 구조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삽입 공간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감압시키고, 혀를 슬리브를 거쳐서 삽입 공간부에 삽입시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혀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삽입 공간부의 내측 폐쇄단부에는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는 압착가능한 연질 소재로 구비되며, 삽입 공간부가 압착되어 내부 공기가 배출되면서 감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내측 폐쇄단부에는 압력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삽입된 혀가 가압하는 측정값을 계측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넘어서면, 감압밸브를 작동시켜, 압력 측정값이 기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스크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공간부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확인마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위치확인마커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이동된 때에는,
    제어부는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외면에는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조절링이 둘러싸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KR1020200144271A 2020-11-02 2020-11-02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KR10250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71A KR102501582B1 (ko) 2020-11-02 2020-11-02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71A KR102501582B1 (ko) 2020-11-02 2020-11-02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992A KR20220059992A (ko) 2022-05-11
KR102501582B1 true KR102501582B1 (ko) 2023-02-20

Family

ID=81606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271A KR102501582B1 (ko) 2020-11-02 2020-11-02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5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47B1 (ko) * 2015-06-29 2016-12-09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JP2018134219A (ja) * 2017-02-21 2018-08-30 聖士郎 宗平 吸引成型カップによる腫瘍位置特定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9966B2 (ja) * 2016-11-21 2021-03-31 東芝エネルギ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動体追跡装置および放射線治療システム
KR101983786B1 (ko) * 2017-04-26 2019-05-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혀 이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47B1 (ko) * 2015-06-29 2016-12-09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JP2018134219A (ja) * 2017-02-21 2018-08-30 聖士郎 宗平 吸引成型カップによる腫瘍位置特定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992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89268B2 (en) Tissue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radiation therapy
US7783006B2 (en) Radiation treatment using x-ray source
US5566221A (en) Apparatus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x-radiation flux to an interior surface of a body cavity
EP2032211B1 (en) System for radiotherapy treatment
US8409070B2 (en) Brachytherapy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minimally invasive surgeries of the lung
US20030028097A1 (en) Immobilizer probe system and method
US7831014B2 (en) Breast treatment machine
US20190143085A1 (en) Endorectal balloon with gas lumen and stopper
US20050240073A1 (en) Devices and methods to conform and treat body cavities
US20090227827A1 (en) Vaginal applicator for brachytherapy treatment of vaginal and endometrial disease
US20100128839A1 (en) Structure and Procedure for X-Ray CT Guided Cancer Treatment
US116175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using brachytherapy
US20180085597A1 (en) Brachytherapy applicator with radiation sensors
US9381334B2 (en) Endorectal balloon with gas release lumen
US200600674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ormal radiation brachytherapy for breast and other tumors
US9707379B2 (en) Rectal balloon with locking stopper
KR102501582B1 (ko) 압력 차이를 이용한 혀 위치 고정장치
US11116993B2 (en) Catheter apparatus and brachytherapy system
US108748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do-rectal retraction and organ immobilization for radiotherapy of the pelvis
WO2019113929A1 (zh) 一种导管装置及近接治疗系统
US20090221899A1 (en) Minimally invasive rectal balloon apparatus with pressure relieving lumen and anal verge dilation collar
CN109925592B (zh) 一种导管装置及近接治疗系统
KR101277642B1 (ko) 비강인두강의 광역학적 치료 장치 및 방법
US20170113066A1 (en) System to produce anatomical reproducibility and detect motion during a medical treatment and methods of use
EP3730187A1 (en) Single-use p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