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770B1 -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770B1
KR102500770B1 KR1020210160131A KR20210160131A KR102500770B1 KR 102500770 B1 KR102500770 B1 KR 102500770B1 KR 1020210160131 A KR1020210160131 A KR 1020210160131A KR 20210160131 A KR20210160131 A KR 20210160131A KR 102500770 B1 KR102500770 B1 KR 10250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pressing
functional
plate
protru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선영
Original Assignee
무발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발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무발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23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using scre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서 발바닥을 지탱하는 기능성깔창의 내구성을 테스트하는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는 신발 기능성깔창에 올려지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 위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을 가압하는 가압핀; 상기 거치판 아래에 배치되어서, 상기 가압핀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거치판이 가하는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Automatic device testing durability of shoe sole}
본 발명은 신발에서 발바닥을 지탱하는 기능성깔창의 내구성을 테스트하는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에서 기능성깔창은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탱하는 구성품으로서, 보행시 발바닥을 지면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을 흡수하여 피로도를 줄여준다.
발바닥 보호와 충격흡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깔창은 신발의 핵심 구성품으로서, 수십만회에서 수백만회 발바닥을 지탱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기능성깔창은 퇴행으로 인해 무너지는 아치를 지지해주기 위하여 푹신푹신한 재질이 아닌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실제 사용시 수십만회에서 수백만회 몸무게의 압력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이 플라스틱 구성품의 내구성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현재, 수십만회 수백만회 테스트를 사람이 직접 눌러서 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은 기능성깔창의 재질과 치수를 이용해 추산하고 있으며, 정확한 내구성을 테스트하는 장치는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자동으로 진행하고 압력센서에 의해 비정상적인 압력이 확인되면 Fail이 난 것을 알려줄 수 있는 자동화시스템이 매우 필요하다.
또한, 기능성깔창의 플라스틱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르게 세팅하여 테스트 하는 기능은 플라스틱 부분의 소재 개발시에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로, 신발의 기능성깔창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20-0488871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등록실용신안 20-0189500 "옥을 설치한 구두중창", 공개실용신안 20-2014-0000658 "압출 성형 항균 기능성깔창 시트" 등이 개시되었고, 신발 기능성깔창의 치수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10-0552407 "신발중창의 자동화 검사 시스템"이 개시되었지만, 현재,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을 검사하는 장치는 개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검사 중에 너트가 풀려 검사의 부정확해지지 않도록 한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는
신발 기능성깔창이 올려지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 위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을 가압하는 가압핀;
상기 거치판 아래에 배치되어서, 상기 가압핀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거치판이 가하는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거치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그판과, 상기 지그판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지그핀을 포함하는 지그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압핀이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을 가압하는 횟수와, 각 횟수에서 상기 압력센서의 계측 압력을 기록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그유닛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내측에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이 배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상기 지그판을 체결하는 볼트 및 너트와,
상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지그판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풀리지 않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는 신발 기능성깔창을 가압하면서 압력을 계측하여 내구성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검사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하여 비용부담이 적고, 검사 중에 너트가 풀려 검사가 부정확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는 전방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풀림방지수단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는 프레임(10), 거치판(20), 지그유닛(30), 가압핀(40), 공압 실린더유닛(50), 압력센서(60),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깔창'은 신발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탱하는 구성품으로서, 좁은 의미에서 기능성깔창 이외에도 발바닥을 지탱하는 신발 밑창과 중창 등도 발바닥을 지탱하는 기능성깔창에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바닥에 수평하게 배열되는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후방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후방판(12)과, 상기 베이스판(11) 위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네 기둥(13)과, 상기 기둥(!3) 위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장착판(14)과, 상기 베이스판(11) 위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장착판(1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1)의 하부에는 검사 중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줄여주는 받침(16)들이 구비된다.
상기 거치판(20)은 상기 베이스판(11) 위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거치판(20)의 네 모퉁이는 상기 베이스판(11)에 구비된 가이드핀(26)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거치판(20) 위에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신발 기능성깔창(1)이 놓인다.
상기 지그유닛(30)은 상기 거치판(20) 위에 놓인 신발 기능성깔창(1)을 잡아주어서, 테스트 중에 신발 기능성깔창(1)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그유닛(30)은 고정판(31), 지그판(35), 지그핀(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판(31)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판(20) 위에 고정설치된다. 'ㄷ'자 모양의 상기 고정판(31) 내측에는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1)의 뒷꿈치 부위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판(31) 위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연결되는 날개(32)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32)에는 볼트(B)가 관통하는 나사공(C3) 다수가 형성된다.
상기 지그판(35)은 상기 고정판(31)의 양측 날개(32)에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 지그판(35)에는 지그핀(39)들이 결합되는 결합홀(36)들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지그핀(39)은 상기 지그판(35)의 결합홀(36)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승하강 가능하다.
상기 지그핀(39)은 다수개가 사용되고, 상기 지그판(35)의 결합홀(36)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승하강이 가능하고, 하강하여 상기 고정판(31) 내측에 배치된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1)의 상부면 곳곳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거치판(20) 위에 올려진 신발 기능성깔창(1)을 반복적으로 가압하면서 그 충격은 상기 지그판(35)을 상기 고정판(31)에 체결시키는 볼트(B) 및 너트(N)에도 전달되고,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너트(N)가 풀릴 수 있다. 너트가 풀리면 지그핀(39)들이 신발 기능성깔창(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게 되어서 테스트가 부정확해진다.
이에 본 발명은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풀림방지수단을 도입하였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너트 풀림 방지수단은,
상기 고정판(30)의 날개(32)에 형성된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도4 기준으로 상부)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도4 기준으로 하부)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진동 등에 의해서 풀리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너트(N)를 풀기 위해 스패너를 상기 누름바(N2)가 있는 육각면에 맞춰서 끼우면, 스패너에 의해 상기 눌림부(N21)가 눌리면서 상기 누름바(N2)가 삽입하며, 이때 상기 가압부(N23)가 수직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N22)가 하강하면서 상기 캠홈(N12)의 경사면을 밀어서 상기 밀림부(N13)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상기 래칫바(N1)가 후진하여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서 이탈하여, 스패너로 상기 너트(N)를 쉽게 풀 수 있다.
상기 가압핀(40)은 상기 거치판(20) 위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거치판(20) 위에 올려진 신발 기능성깔창(1)을 가압한다.
상기 공압 실린더유닛(50)은 상기 가압핀(40)을 승하강시킨다.
상기 공압 실린더유닛(50)은 피스톤(51)에 상기 가압핀(40)이 연결되어서 가압핀(40)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52)와, 동력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미도시)와, 상기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가 상기 실린더(52)의 상부측이나 하부측으로 주입되도록 하여서 실린더(52)의 피스톤(51)이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상기 피스톤(51)에 연결된 가압핀(40)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분배기(53)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52)는 상기 프레임(10)의 수평장착판(14)에 장착되고, 상기 분배기(53)는 상기 프레임(10)의 수직장착판(15)에 장착된다.
상기 컴프레셔와 분배기(53), 그리고 분배기(53)와 실린더(52)는 튜브(54)로 연결된다.
상기 압력센서(60)는 상기 베이스판(11) 위에 장착되고, 상기 거치판(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압력센서(60)는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축되고, 압력이 소멸되면 복원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하강하는 가압핀(40)에 의해 신발 기능성깔창(1)이 눌리면서 거치판(20)이 하강하고, 하강하는 거치판(20)이 압력센서(60)를 가압하게 되고, 압력센서(60)는 수축되면서 압력을 계측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핀(40)이 승강하면 신발 기능성깔창(1)을 누르는 힘이 소멸하여 압력센서(60)는 복원되고, 복원되는 압력센서(60)가 미는 힘에 의해 거치판(20)이 승강하여 원위치된다.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컴프레셔를 가동시켜서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분배기(53)를 제어하여 고압의 에어가 상기 실린더(52)의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교번하여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핀(40)이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1)을 가압하는 횟수를 카운팅하고, 가압하는 각 횟수에서 상기 압력센서(60)가 계측하는 압력을 매칭시켜 기록한다.
신발 기능성깔창(1)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가압 횟수는 수십만회 반복되기에 이를 모두 기록하기에는 요구되는 데이터 양이 크다. 그래서 실시간으로 갱신기록 되는 기록 데이터에서 기준 횟수(예; 1000회) 이전의 기록은 단위 횟수(예; 100회)의 기록은 남겨두고 나머지는 삭제하여 데이터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단위 횟수 기록이 아니더라도 압력에 기준치 이상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 그 주변횟수(예; 10회)의 기록은 남겨둔다. 예를 들면, 테스트를 시작하여 가압 횟수가 10000만회 반복된 경우, 최근의 횟수로 기준 횟수에 해당하는 10000번에서 9000번 횟수의 압력은 남기고, 1번부터 99번까지 횟수의 압력은 삭제하고, 단위 횟수에 해당하는 100번 횟수의 압력은 납기고, 101번부터 199번까지 횟수의 압력은 삭제하고, 단위 횟수에 해당하는 200번 횟수의 압력은 남기는 식이다. 그리고 450번 횟수에서 압력의 변화가 기준치 이상으로 변동된 경우에는 그 주변횟수로서 446번부터 455번 까지의 압력은 남긴다.
상기 컨트롤러(70)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버튼(71)과, 테스트 횟수와 그때의 압력을 보여주는 화면(73), 상기 컴프레셔와 분배기(53)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와, 신발 기능성깔창(10)이 가압 횟수와 그 압력을 기록하는 메모리 등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러(70)의 버튼(71)과 화면(73)을 통해 상기 가압핀(40)을 통해 상기 기능성깔창(1)을 가압하는 압력과 가압횟수 등을 설정하여서, 기능성깔창(1)을 다양한 조건에서 테스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 11 : 베이스판
12 : 후방판 13 : 기둥
14 : 수평장착판 15 : 수직장착판
20 : 거치판 26 : 가이드핀
30 : 지그유닛 31 : 고정판
32 : 날개 35 : 지그판
36 : 결합홀 39 : 지그핀
40 : 가압핀 50 : 실린더유닛
51 : 피스톤 52 : 실린더
53 : 분배기 54 : 튜브
60 : 압력센서 70 : 컨트롤러
71 : 버튼 73 : 화면

Claims (4)

  1. 신발 기능성깔창이 올려지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 위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을 가압하는 가압핀;
    상기 거치판 아래에 배치되어서, 상기 가압핀에 의해 하강하는 상기 거치판이 가하는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센서;
    상기 거치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그판과, 상기 지그판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지그핀을 포함하는 지그유닛;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그유닛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내측에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이 배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상기 지그판을 체결하는 볼트 및 너트와,
    상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지그판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풀리지 않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핀이 상기 신발 기능성깔창을 가압하는 횟수와, 각 횟수에서 상기 압력센서의 계측 압력을 기록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4. 삭제
KR1020210160131A 2021-11-19 2021-11-19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KR10250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131A KR102500770B1 (ko) 2021-11-19 2021-11-19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131A KR102500770B1 (ko) 2021-11-19 2021-11-19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770B1 true KR102500770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131A KR102500770B1 (ko) 2021-11-19 2021-11-19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7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240A (ja) * 1988-07-11 1990-01-24 Roudoushiyou Sangyo Anzen Kenkyusho 靴底・床材滑り試験機
JP3064891U (ja) * 1999-06-15 2000-01-28 財団法人日本化学繊維検査協会 履物等の摩擦特性測定装置
KR20050073861A (ko) * 2004-01-12 2005-07-18 이종년 신발 다목적 기능시험기
US6988416B1 (en) * 2004-05-28 2006-01-24 Craig Norton Sho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60174663A1 (en) * 2014-12-19 2016-06-23 Flextronics Ap, Llc Shoe testing apparatus
CN106687002A (zh) * 2014-08-27 2017-05-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测试缓冲部件的装置和方法
KR102269888B1 (ko) * 2020-03-10 2021-06-25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240A (ja) * 1988-07-11 1990-01-24 Roudoushiyou Sangyo Anzen Kenkyusho 靴底・床材滑り試験機
JP3064891U (ja) * 1999-06-15 2000-01-28 財団法人日本化学繊維検査協会 履物等の摩擦特性測定装置
KR20050073861A (ko) * 2004-01-12 2005-07-18 이종년 신발 다목적 기능시험기
US6988416B1 (en) * 2004-05-28 2006-01-24 Craig Norton Sho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CN106687002A (zh) * 2014-08-27 2017-05-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测试缓冲部件的装置和方法
US20160174663A1 (en) * 2014-12-19 2016-06-23 Flextronics Ap, Llc Shoe testing apparatus
KR102269888B1 (ko) * 2020-03-10 2021-06-25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6080B2 (en) Compression testing device for testing materials automatically
US20120268150A1 (en) Capacitor test fixture and test system employing the same
CN207036553U (zh) 芯片测试头与芯片测试装置
KR102500770B1 (ko) 신발 기능성깔창의 내구성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 장치
US8904877B2 (en) Means to track the cumulative compressions imparted to a shoe
KR101903350B1 (ko) 충격흡수부재의 충격흡수율 측정장비
TW201416655A (zh) 承載裝置及光耦合透鏡檢測系統
US7214072B1 (en) Pusher of IC chip handler
CN212059754U (zh) 一种防火靴生产用硬度检测装置
CN108760621A (zh) 一种鞋底止滑性能测试仪
KR101992313B1 (ko) 피검사체의 모델에 따라 호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연결장치
US964506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easuring viscoelastic foam compression recovery
US20160102961A1 (en) Uneven surface deflection and amplitude measurement tool
CN115813345A (zh) 一种用于全膝关节置换术的膝关节压力测量装置
CN216278827U (zh) 一种组装治具
CN108827806A (zh) 一种塑料制品硬度检测装置
CN112595299B (zh) 一种易于安装的监测用测钉
US65682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idual stress
CN207487621U (zh) 可动自定位自动测量机构
CN107356216B (zh) 可动自定位自动测量机构
JP4325142B2 (ja) プレス機械の試験方法、試験システム、試験用プログラム、および試験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0849301A (zh) 用于奥迪c8底座结构件加工的电子检测整形装置
CN220270675U (zh) 动态检测装置
KR101742469B1 (ko) 액정 방울 카운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펜서
SU712736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верки твердоме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