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755B1 - 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755B1
KR102500755B1 KR1020210042986A KR20210042986A KR102500755B1 KR 102500755 B1 KR102500755 B1 KR 102500755B1 KR 1020210042986 A KR1020210042986 A KR 1020210042986A KR 20210042986 A KR20210042986 A KR 20210042986A KR 102500755 B1 KR102500755 B1 KR 10250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se
housing
accommodat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6825A (en
Inventor
김석진
이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4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755B1/en
Publication of KR2022013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8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7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02Castings of light metals
    • B22D21/007Castings of light metals with low melting point, e.g. Al 659 degrees C, Mg 6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부미러의 조립에 이용되는 브라켓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윈드실드 내측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 내부에 수용영역을 포함하는 브라켓; 장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수용영역 내에 삽입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체결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 관통공 및 상기 제2 체결부재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structure used for assembling an interior mirror for a vehicle, comprising: a base member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indshield for a vehicle; A bracket containing an accommodation area therein; a bracket including a mounting area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area of the bracket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bracket; and a fasten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to fasten the bracket and the bracket.

Description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용 브라켓{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Bracket for inside mirror for vehicle {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랑용 인사이드 미러를 윈드실드(windshield)에 부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브라켓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브라켓을 포함함으로서 차랑용 인사이드 미러의 조립공정 시 발생하는 외력에 대해 강인한 내구성을 갖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structure used to attach an inside mirror for a vehicle to a windshield, and more particularly, by including a separate bracket, it has strong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inside mirror for a vehicle. It relates to a bracket for an inside mirror for a vehicle having a.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차량용 내부미러를 자동차용 윈드실드에 부착하는 공정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내부미러를 윈드실드에 부착하는 조립공정의 경우에, 윈드실드에 부착되는 베이스 구조물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을 수용하고 내부미러 본체와 연결되는 브라켓 구조물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켓 구조물을 윈드실드에 부착하는 조립공정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도치 않은 강한 외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브라켓 구조물이 파손되는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automobile industry, a process of attaching a vehicle interior mirror to a vehicle windshield is essential. In the case of an assembling process of attaching the interior mirror for a vehicle to a windshield, a base structure attached to the windshield and a bracket structure accommodating the base structure and connected to the interior mirror body are generally used. However, in the assembly process of attaching the bracket structure to the windshield, a situation in which the bracket structure is frequently damaged due to unintended strong external force being applied to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따라서, 본 발명은 강도가 증가된 브라켓 구조물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강화를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의도치 않은 외력에도 파손이 방지되는 브라켓 구조물에 관련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structure with increased streng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ket structure that further includes a bracket for durability enhancement to prevent breakage even from an unintended external for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다이-캐스팅(Die-Casting) 공법으로 제조되어, 조립공정에서 발생되는 의도치 않은 외력에도 파손되지 않는 자동차 내부미러용 브라켓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ket structure for an automobile interior mirror that is manufactured by a die-casting method and is not damaged even by unintended external forces generated in an assembly proces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관통공 및 내부에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제2 관통공 및 차량 내측에 부착되는 베이스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는 베이스의 양측면이 장착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장착부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 접촉부와 상기 제2 장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의 양측의 삽입을 가이드 하도록 홈이 형성된 베이스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장착부와 예각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housing including a first through hole and a receiving portion therein; And a second through-hole and a mounting portion including a base membe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a bracket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mount the base member to the housing; including, but the mounting portion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ase A first mounting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and a second mounting part to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base is mounted, wherein the first mounting part contacts the base and supports the base, and the base contact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contact the base. and a base accommodat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and having grooves formed therein to guide insertion of both sides of the bas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base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second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base is attached to the bracket. When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racket may provide a structure for a vehicle interior mirror that prevents the base from departing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하우징보다 강한 강도를 가지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발생되는 강한 외력에도 파손되지 않는 자동차 내부미러용 브라켓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acket structure for an automobile interior mirror that is not damaged even by a strong external force generated in an automobile assembly process may be provided by further including a bracket having stronger strength than the housing.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n example of a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shows a bracket structure as a who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half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shows a hou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top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 is a front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 is a rear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8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and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shows a bas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0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base member and a brack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ure 11 shows the deformation of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The foregoing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layers and regions is exaggerated for clarity, and elements or layers may be "on" or "on" other elements or layers. What is referred to includes all cases where an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s intervened in the middle as well as immediately above another component or layer.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essentially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후방을 시인하도록 하는 미러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은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windshield)에 부착되어 차량용 내부 미러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structure for installing a mirror that is installed inside a vehicle and allows a driver to visually see the rear. More specifically,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windshield inside a vehicle to support a vehicle interior mirror.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존재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은 내부미러의 차량 내부에의 설치 과정에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견뎌낼 수 있는 강인성을 가짐으로서, 브라켓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A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bracket. Due to the presence of the bracket, the following effects may occur. That is,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toughness capable of withstanding excessive force appli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inside mirror inside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the bracket structure from being damaged.

본 명세서의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과 그 구현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일 구현예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 is an example of a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shows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a whole.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100)은 윈드실드(2)에 부착되어 차량용 내부미러(1)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내부미러(1)는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후방시인부재, 후방 시인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구조물(100)의 일 측은 윈드실드(2)에 부착되고, 타측은 내부미러(1)에 연결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 the bracke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the windshield 2 to support the vehicle interior mirror 1 . Here, the vehicle interior mirror 1 includes a rear view member providing a rear view to the driver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rear view member.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bracket structure 100 may be attached to the windshield 2,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mirror 1.

여기서, 도면에는 브라켓 구조물(100)이 윈드실드(2)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100)은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미러가 설치될 수 있는 차량 내부 어떠한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100)은 차량 내측 루프(roof)에 장착될 수도 있다.Here,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bracket structure 100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2,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bracke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ounted at any location inside the vehicle where an inside mirror may be installed to provide a driver with a rear view. For example, the bracke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n inner roof of a vehicle.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100)은 하우징(101), 브라켓(10), 베이스 부재(20) 및 체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1)은 브라켓(10)을 수용하고, 베이스 부재(20)가 상기 브라켓(10)에 장착된 상태로 브라켓 구조물(100)이 윈드실드(2, 도 1 참조)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재(20)의 일면이 윈드실드(2, 도 1 참조)에 부착될 수 있다. 체결부재(미도시)는 하우징(101)과 브라켓(10)을 결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bracke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01, a bracket 10, a base member 20, and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pecifically, the housing 101 accommodates the bracket 10, and the bracket structure 100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2 (see FIG. 1) with the base member 20 mounted on the bracket 10. can More specifically,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20 may be attached to the windshield (2, see FIG. 1).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may be used to couple the housing 101 and the bracket 10 .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of a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Figure 3 is a half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1) 내에 우선적으로 브라켓(10)이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하우징(101)은 내부에 브라켓(10)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racket 10 is preferential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01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the housing 101 includes a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bracket 10 can be insert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브라켓(10)이 삽입되면, 베이스부재(20)는, 브라켓(10)이 장착된 하우징(101)에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향에 대하여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20)는, 하우징(101)에 삽입되어 브라켓(10)내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10)은 베이스부재(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은 양측의 형상이 베이스부재(20)의 양측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20)가 삽입된 이후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도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When the bracket 10 is inserted, the base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1 to which the bracket 10 is mount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base membe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1 and mounted in the bracket 10. Here, the bracket 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se member 20 . Specifically, the bracket 10 is formed so that the shapes of both sides correspond to the shapes of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20, so that the base member 2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fter being inserted. This will als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하우징(101) 및 브라켓(10)은 각각 체결부재(3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체결부재 관통공은, 체결부재(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정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1 and the bracket 10 may each include a fastening member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30 can be fastened. Each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is aligned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30 can pass through.

또한, 체결부재(30)는 하우징(101) 및 브라켓(10)를 관통하여 베이스부재(2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베이스부재(20)가 브라켓 구조물(10000)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브라켓(10)은 하우징(101)보다 강한 강도를 가짐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2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상기 하우징(10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도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30 penetrates the housing 101 and the bracket 10 and applies pressure to the base member 20 so that the base member 2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bracket structure 10000. In this case, since the bracket 10 has greater strength than the housing 10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using 101 from being damaged against pressure applied by the base member 20. This will als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각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4 shows a hou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하우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용어에 본 발명의 사상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산업분야에서의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housing is us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it is understoo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erm, and various terms in the corresponding industry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can be used. It will be.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1)은 제1 수용영역(130), 제2 수용영역(120), 가이드부(140) 및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housing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a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a guide part 140, and a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05. can

제1 수용영역(130)은 브라켓(10)의 하면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영역(130)은, 실질적으로 브라켓(10)의 하면의 형상과 대응되어 브라켓(10)이 하우징(101)내에 안착하도록 브라켓(10)를 수용할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accommodates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10. 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may accommodate the bracket 10 so that the bracket 10 is seated in the housing 101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10 .

여기서, 제1 수용영역(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돌기(16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돌기(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and at least one second accommodating protrusion 161 .

제1 수용돌기(160)는 제1 수용영역(13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10)의 일 측과 접촉한다. 또한, 제1 수용돌기(160)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돌기(160)는 하우징(101)의 하부면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돌기(160)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 수용돌기(160)는 브라켓(10)이 제1 수용영역(130)에 삽입되는 경우에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돌기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브라켓(10)와 상기 제1 수용돌기(160)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됨으로서, 브라켓(10)와 하우징(101)간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and contacts one side of the bracket 10 . Also, the first receiving protrusion 16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pecifically, 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may be inclined so as to protrude further towards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 Since 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is inclined, 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may serve as a guide when the bracket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is inclined, the bracket 10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are coupled in an interference fit form,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racket 10 and the housing 101 can be increased.

제2 수용돌기(161)는, 제1 수용영역(130)의 제1 수용돌기(160)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돌기(161) 역시, 제1 수용돌기(16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1)의 하부면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돌기(161)는 제1 수용돌기(160)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The second accommodating protrusion 161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on which 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is formed. Like 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 the second accommodating protrusion 161 may also be inclined so as to protrude further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 Since the second accommodating protrusion 161 can perform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rotrusion 16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제1 수용영역(130)은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63)은 후술할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삽입돌출부(15, 도 6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63)는 제1 수용영역(130)의 좌/우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부(163)가, 삽입돌출부(15, 도 6 참조)를 수용하여, 브라켓(10)이 하우징(101)에 장착되고, 브라켓(10)의 불필요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Also,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accommodating parts 163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63 can accommodate the insertion protrusion 15 (see FIG. 6) of the bracket 10. As shown in the drawing, one or more first accommodating parts 163 are preferably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right of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One or more first accommodating portions 163 accommodate the insertion protrusions 15 (see FIG. 6 ) so that the bracket 10 is mounted on the housing 101 and unnecessary rotation of the bracket 10 can be prevented.

또한, 제1 수용영역(130)은 제3 고정돌기(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돌기(162)는 후술할 바와 같이, 브라켓(10)의 고정돌기 수용부(18, 도 5 내지 도 7 참조)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브라켓(10)이 하우징(101)에 삽입되면, 제3 고정돌기(162)가 고정돌기 수용부(18, 도 5 내지 도 7 참조)에 삽입되어 브라켓(10)이 하우징(101) 내에 고정될 뿐 아니라 불필요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ixing protrusion 162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hird fixing protrusion 162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8 of the bracket 10 (see FIGS. 5 to 7). When the bracket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1, the third fixing protrusion 16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8 (see FIGS. 5 to 7) so that the bracket 10 is fixed in the housing 101. In addition, unnecessary rot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하나 이상의 제2 수용영역(120)은 제1 수용영역(130)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수용영역(120)은 브라켓(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우징(101) 내부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영역(120)은 브라켓(10)의 양 측면을 수용한다. 여기서, 제2 수용영역(120)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영역(120)은 브라켓(1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 또는 경사진 면을 형성하여, 브라켓(10)의 측면을 수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second accommodating areas 1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 Preferably,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inside the housing 101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racket 10 .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accommodates both sides of the bracket 10. Here,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may accommodate the side of the bracket 10 by forming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side of the bracket 10 .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수용영역(120)은 제1 경사면(120a) 및 제2 경사면(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20a)는 제2 수용영역(120)의 측부에 위치하며, 제2 수용영역(120)으로부터 브라켓(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제2 경사면(120b)는 제2 수용영역(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수용영역(120)으로부터 브라켓(10)의 이탈을 방지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120a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120b.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and prevents the bracke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 In additi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0b is located below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and prevents the bracket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

또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40)가 베이스부재(20)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40)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1)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140)의 형상은, 베이스부재(20)의 측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40)는 하우징(101)의 일 면과 예각을 형성하여, 베이스부재(20)의 수직 방향 이탈을 방지한다.In addition, one or more guide parts 140 guide the insertion of the base member 20 . One or more guide parts 140 may also be preferably formed symmetrically to the housing 101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hape of one or more guide parts 14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ide of the base member 20 .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140 forms an acute angle with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1 to prevent the base member 20 from depar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은, 하우징(101)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는 제1 수용영역(130)에 형성된다.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은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 도 5 참조)와 정렬되어, 체결부재(30, 도 3 참조)가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 및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 도 5 참조)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하우징(101) 및 브라켓(1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0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1 . Specifically,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05 is form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05 is aligned wit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see FIG. 5),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30 (see FIG. 3) is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05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e housing 101 and the bracket 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fastened through the member through-hole 19 (see FIG. 5).

여기서,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과 체결부재(3000)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체결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05 and the fastening member 3000 are coupled by screwing,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fastening methods may be used.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5 to 7 show the results shown from various angles for the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구체적으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상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배면도이다..Specifically, FIG. 5 is a top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rear view of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는 제1 장착영역(11) 및 제2 장착영역(1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to 7 , the bracket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area 11 and a second mounting area 12 .

제1 장착영역(11)은 하우징(101)의 제1 수용영역(130)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착영역(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14)는 제1 장착영역(11)의 일면(바람직하게는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14)는 베이스부재(2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14)는 베이스부재(20)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로 베이스부재(20)의 브라켓(10) 내로의 삽입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14)는 쐐기(wedge)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14) 상에 베이스부재(20)이 배치됨으로써, 베이스부재(20)는 제1 장착영역(11)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탈 방지부(12a)와 베이스부재(20)간의 결합이 강해질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베이스부재(20)와 브라켓(10)의 결합구조와 더불어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first mounting area 11 may be se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of the housing 101 . Here, the first mounting area 11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first protrusions 14 . The first protrusion 1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area 11 . At least one or more first protrusions 14 may contact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20 . At least one or more first protrusions 14 may induce insertion of the base member 20 into the bracket 10 whil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20 . Here, the first protrusion 14 may have a wedge shape. In addition, since the base member 20 is disposed on the first protrusion 14, the base member 20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unting area 11 and disposed upwards,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unit 12a. ) and the base member 20 can be strengthen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long wit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ase member 20 and the bracket 10.

제1 장착영역(11)의 적어도 일측은 제1 수용영역(130)의 내벽 일부와 접촉하여, 브라켓(10)이 하우징(101)에 고정되도록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착영역(11)의 적어도 일측은 전술한 제1 고정돌기(160) 및/또는 제2 고정돌기(161)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브라켓(10)이 제1 수용영역(130)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 고정돌기(160)는 제1 수용영역(130)의 일측 측벽에 억지끼움 되고, 제2 고정돌기(161)는 제1 수용영역(130)의 타측 측벽에 억지끼움 되어, 브라켓(10)는 제1 수용영역(130)에 고정될 수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area 11 may contact a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to provide a coupling force so that the bracket 10 is fixed to the housing 101 . Specifically,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mounting area 11 may contact the aforementioned first fixing protrusion 160 and/or second fixing protrusion 161 . More specifically, when the bracket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60 is forcibly fitted to one side wall of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and The two fixing protrusions 161 are forcibly fitted to the other sidewall of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so that the bracket 10 can be fix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제1 장착영역(11)은 고정돌기 수용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돌기 수용부(18)는 하우징(101)의 제3 고정돌기(162)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돌기 수용부(18)는 제3 고정돌기(162)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The first mounting area 11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18 .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18 may accommodate the third fixing protrusion 162 of the housing 101 . To this end, the fixing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18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rd fixing protrusion 162 .

제1 장착영역(11)은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은 체결부재(30, 도 3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은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와 일치하도록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mounting area 11 may includ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may accommodate the fastening member 30 (see FIG. 3 ). 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is preferably aligned to coincide with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05 .

여기서,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은, 나사선이 생략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나사선이 생략된 형상으로 제조된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은, 나사선이 형성되며 체결부재(3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결부재(30)와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in which a thread is omitted. The through-hole 19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which is manufactured in a shape in which the thread is omitted, has a thread and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30 . Due to thi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30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may be increased.

또는,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은, 나사선이 형성된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나사선이 형성된 상태로 제조된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은, 나사선을 통하여 체결부재(30)와 결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 과도 결합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through hole 19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may be manufactured in a threaded stat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hole 19 manufactured in a threaded state can b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30 through the threaded thread, and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hole 105 through this.

제2 장착영역(12)은 베이스 수용부(13) 및 이탈방지부(12a)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의 양측에 형성된 제2 장착영역(12)은 하우징(101)의 내부 양측의 제2 수용영역(120)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장착영역(12)은 전술한 제1 경사면(120a) 및 제2 경사면(120b)에 의해, 하우징(101)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The second mounting area 12 may include a base accommodating part 13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art 12a. The second mounting areas 1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areas 120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01 . Here, the second mounting area 12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1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0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0b described above.

또한, 제2 장착영역(12)는 제1 장착영역(11)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장착영역(12)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장착영역(12)는 곡선 형태로 제1 장착영역(1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엣지(edge) 형태로 외각이 날카롭게 꺾여 제1 장착영역(1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장착영역(12)는 제1 장착영역(1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 형태라면, 본 발명의 사상내에 포함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Also, the second mounting area 12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first mounting area 11 . Here, the shape of the second mounting area 12 may vary. For example, the second mounting area 12 may not onl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mounting area 11 in a curved shape, but also have an outer angle sharply bent in the form of an edge so as to be removed from the first mounting area 11. It may be formed by extending it. That i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mounting area 12 will be included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can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mounting area 11 .

베이스 수용부(13)는 제2 장착영역(12)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수용부(13)는 베이스부재(20)의 양측을 수용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수용부(13)는 후술할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0)의 브라켓 삽입부(23)를 수용하여, 베이스부재(20)가 브라켓(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수용부(13)는 제1 장착영역(11)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수용부(13)가 제1 장착영역(11)과 예각을 형성함으로서, 베이스부재(20)의 브라켓(10)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수용부(13)는 곡면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ase accommodating part 13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second mounting area 12 . The base accommodating part 13 may accommodate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20 . That is, the base accommodating part 13 can accommodate the bracket insertion part 23 of the base member 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base member 2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racket 10. Here, the base accommodating portion 13 may be form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mounting area 11 . Since the base accommodating part 13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mounting area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e member 20 from departing from the bracket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it is not essential to form an acute ang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base accommodating portion 13 may be formed as a curved groove.

이탈 방지부(12a)는 베이스 수용부(1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2a)는 베이스(20)의 브라켓 접촉부(22)에 접촉하여, 베이스부재(20)의 브라켓(10)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베이스부재(20)와 브라켓(10)간의 결합구조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1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ccommodating part 13 .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2a contacts the bracket contact portion 22 of the base 20 to prevent the base member 20 from departing from the bracket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ase member 20 and the bracke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적어도 하우징(101)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racke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greater strength than at least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housing 101 .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은 다이캐스팅(Die-Casting) 공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0)은 알루미늄(Al), 아연(Zn), 마그네슘(Mg) 및/또는 주석(Sn)과 같은 비철금속을 포함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조합된 합금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브라켓(10)은 다이캐스팅(Die-Casting) 공법에 이용되는 다양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형성된 브라켓(10)은, 조직이 치밀하여 일반적인 금속부품에 비해 강도는 크며, 경량화 될 수 있다. The bracket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by a die-casting method. Specifically, the bracket 10 may include non-ferrous metals such as aluminum (Al), zinc (Zn), magnesium (Mg), and/or tin (Sn), or may be an alloy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m are combined.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bracket 10 may be formed of various metals used in a die-casting method. The bracket 10 formed by the die-casting method has a dense structure, so it has high strength and light weight compared to general metal parts.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8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using and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여, 하우징과 브라켓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8,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bracket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브라켓(10)은 하우징(101)에 삽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bracket 1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1 .

구체적으로, 제1 장착영역(11)은 제1 수용영역(130)에 안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돌기(160)는, 제1 수용영역(130)에 삽입된 브라켓(10)의 일측 벽과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장착영역(11)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돌기(160)와 접촉하며 억지끼움 형태로 제1 수용영역(1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돌기(161) 역시도, 제1 장착영역(11)의 다른 일부와 접촉하며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mounting area 11 may be se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 At least one first fixing protrusion 160 may be coupled to one side wall of the bracket 10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area 130 in an interference fit form. That is, a part of the first mounting area 1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area 130 in an interference fit form while contacting at least one first receiving protrusion 160 . 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61 may also contact another part of the first mounting area 11 and be coupled in an interference fit form.

또한, 제2 장착영역(12)은 제2 수용영역(12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mounting area 12 may be supported by being seated on the second receiving area 120 .

구체적으로, 제2 장착영역(12)은 제2 수용영역(12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장착영역(11)이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인 제2 장착영역(12)은, 제2 장착영역(12)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수용영역(120)에 안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mounting area 1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 That is, the second mounting area 12 , which is a portion formed by extending the first mounting area 11 , may be se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area 1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mounting area 12 .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고정돌기(162)는 브라켓(10)의 고정돌기 수용부(18)에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브라켓(10)의 삽입 돌출부(15)는 제1 수용부(163)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1)의 일부인 제3 고정돌기(162)는 브라켓(10)의 고정돌기 수용부(18)에 삽입되고, 브라켓(10)의 일부인 삽입 돌출부(15)는 하우징(101)의 일부인 제1 수용부(163)에 삽입되어, 브라켓(10)과 하우징(101)이 상호 결합됨으로 인해 브라켓(10)과 하우징(101)간의 결합이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Also,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fixing protrusion 162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18 of the bracket 10 . Moreover, the insertion protrusion 15 of the bracket 1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63. That is, the third fixing protrusion 162, which is a part of the housing 10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18 of the bracket 10,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15, which is a part of the bracket 10, is a part of the housing 101. The coupling between the bracket 10 and the housing 101 can be strengthe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63 and coupling the bracket 10 and the housing 101 to each other.

브라켓(10)이 하우징(101)에 삽입되면, 체결부재(30, 도 3 참조)는 서로 정렬된 제1 및 제2 체결부재 관통공(105, 19)를 통해 브라켓(10)과 하우징(101)을 체결할 수 있다.When the bracket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1, the fastening member 30 (see FIG. 3) connects the bracket 10 and the housing 101 through the through-holes 105 and 19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s aligned with each other. ) can be concluded.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를 나타낸 것이다.9 shows a bas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여, 베이스부재(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9,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member 20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재(20)는 윈드실드 접촉면(24), 하부면(21), 브라켓 삽입부(23) 및 브라켓 접촉부(2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member 20 may include a windshield contact surface 24, a lower surface 21, a bracket insertion portion 23, and a bracket contact portion 22.

윈드실드 접촉면(24)은, 차량의 윈드실드(2, 도 1 참조)에 접촉되어, 브라켓 구조물(100)이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windshield contact surface 24 contacts the windshield 2 of the vehicle (see FIG. 1 ) so that the bracket structure 100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윈드실드 접촉면(24)의 반대 면에 하부면(2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면(21)은 브라켓(10)의 제1 장착영역(1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부면(21)은 체결부재(30)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의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 lower surface 21 may be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windshield contact surface 24 . The lower surface 21 may be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area 11 of the bracket 10 .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21 may receive pressure in a vertical direction by the fastening member 30 .

베이스부재(20)의 양측에는 브라켓 삽입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삽입부(23)는 브라켓(10)의 베이스 수용부(13)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브라켓 삽입부(23)의 외형은, 베이스 수용부(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Bracket insertion parts 2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member 20 . The bracket insertion part 23 may be mounted on the base accommodating part 13 of the bracket 10 . More specifically, the outer shape of the bracket insertion portion 2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ase receiving portion 13 .

브라켓 접촉부(22)는 브라켓 수용부(23)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접촉부(22)는 이탈 방지부(12a)와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브라켓 접촉부(22)가 이탈 방지부(12a)에 지지됨으로 인하여, 베이스부재(20)의 브라켓(1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The bracket contact portion 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accommodating portion 23 . The bracket contact portion 22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2a. Since the bracket contact portion 22 is suppor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2a, separation of the base member 20 from the bracket 10 can be prevented.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브라켓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10 illustrate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base member and a bracke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여, 베이스부재(20)가 브라켓(10)에 삽입된 경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a coupling relationship when the base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10 will be described.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부재(20)는 브라켓(10)에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2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브라켓(10)의 제2 장착영역(12)의 형상은 베이스부재(20)의 브라켓 삽입부(23)의 형상과 대응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base membe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bracket 1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hape of the second mounting area 12 of the bracket 1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bracket insertion portion 23 of the base member 20 so that the base member 20 is easily inserted.

여기서, 베이스부재(20)는 제1 돌기(14) 상에 배치된다. 즉, 베이스부재(20)는 제1 돌기(14) 상에 배치된 상태로 브라켓 삽입부(23)이 베이스 수용부(13)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하부면(21)은 제1 장착영역(11)의 제1 돌기(14)에 안착될 수 있다. 하부면(21)은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와 이격될 수 있다. 체결부재(30)가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을 관통하여 하부면(21)에 힘을 가하면, 베이스부재(20)는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Here, the base member 20 is disposed on the first protrusion 14 . That is, the bracket insertion part 23 may be mounted on the base accommodating part 13 while the base member 20 is disposed on the first protrusion 14 . That is, the lower surface 21 may be seated on the first protrusion 14 of the first mounting area 11 . The lower surface 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 When the fastening member 30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and applies force to the lower surface 21, the base member 20 receives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베이스부재(20)가 브라켓(10)에 삽입되면, 이탈 방지부(12a)의 내면은 베이스부재(20)의 브라켓 접촉면(22)에 접촉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2a)의 내면과 브라켓 접촉면(22)의 형상은 대응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탈 방지부(12a)의 내면이 브라켓 접촉면(2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경사짐으로 인하여, 베이스부재(20)에 후술할 바와 같이 체결부재(30)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베이스부재(20)는 브라켓(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base member 2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10,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2a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racket contact surface 22 of the base member 20.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12a and the bracket contact surface 22 may be inclined to correspond. Even if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astening member 30 is applied to the base member 20 as described below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2a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racket contact surface 22, The base member 20 does not separate from the bracket 10.

이하에서는, 체결부재(30)의 결합시에 브라켓 구조물(100)의 변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formation of the bracket structure 100 during coupling of the fastening member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1은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 shows the deformation of the bracket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fastening member.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에 체결부재(30)가 삽입된다. 삽입된 체결부재(30)는,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를 관통하여 베이스부재(20)의 하부면을 가압한다. 여기서, 체결부재(30)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 관통공(105, 19)은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30)는 제2 체결부재 관통공(19)에 체결됨에 있어 나사선을 형성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first, the fastening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05 . The inserted fastening member 30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0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 Here, the fastening member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holes 105 and 19 may be fastened through screw coupling. Also,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member 30 may be fastened while forming a thread in fastening 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19 .

하부면(21)이 가압된 베이스부재(20)는 체결부재(30)가 가압한 방향을 따라서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체결부재(30)에 의한 압력에 의해 베이스부재(20)가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이탈 방지부(12a)는 제2 장착영역(12)를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수용부(13)는 제1 장착영역(11)에 대해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재(20)가 베이스 수용부(13)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시, 제1 장착영역(11)과 예각을 형성하는 이탈 방지부(12a)의 경사진 면에 대응한 수평한 방향으로 제2 장착영역(12)가 벌어질 수 있다. 제2 장착영역(12)이 수평한 방향으로 벌어져 하우징(101)에 압력이 전달되더라도, 하우징(10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10)를 구성하는 재질의 강도는 하우징(101)을 구성하는 재질의 강도보다 강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base member 20 to which the lower surface 21 is pressed receives for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30 presses. When the base member 20 applies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due to the pressure of the fastening member 30 ,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12a may press the second mounting area 12 . More specifically, since the base accommodating portion 13 is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mounting area 11, when the base member 20 presses the base accommodating portion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 is pressed. The second mounting area 12 may spread in a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2a forming an acute angle with the area 11 . Even if the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housing 101 when the second mounting area 12 sprea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racket 10 constitutes the housing 101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housing 101.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stronger strength tha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being used.

이를 다르게 표현하자면, 베이스부재(20)가 하우징(101) 내에 장착되는 경우에, 브라켓(10)이 베이스부재(20)와 하우징(10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체결부재(30)가 더 강한 힘으로 상기 베이스부재(20)와 하우징(101)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Expressing this differently, when the base member 20 is mounted in the housing 101, the bracket 10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member 20 and the housing 101,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30 has a stronger force. As a result, the base member 20 and the housing 101 can be coupled.

또한, 브라켓(10)이 하우징(101)과 베이스부재(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체결부재(30)에 하우징(101)을 구성하는 재질의 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며 체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20)를 가압하더라도, 브라켓(10)가 우선적으로 베이스부재(20)에 의한 압력을 지지하여, 하우징(10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racket 10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01 and the base member 20, a forc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housing 101 is applied to the fastening member 30, and the fastening member 30 is attached to the base. Even if the member 20 is pressed, the bracket 10 preferentially supports the pressure by the base member 20, thereby preventing the housing 101 from being damaged.

정리하자면, 체결부재(30)가 베이스부재(20)를 가압하여 베이스부재(20)를 수직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결합될 때, 브라켓 접촉면(22)이 제2 장착영역(12)를 가압하고, 상기 제2 장착영역(12)는 수평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제2 장착영역(12)가 벌어지더라도, 브라켓(10)의 강도는 하우징(101)의 강도보다 강하여 하우징(101)의 파손은 방지된다. 즉, 하우징(101)의 변형량이 브라켓(10), 구체적으로는 제2 장착영역(12)의 변형량 보다 작게 되어 하우징(10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In summary, when the fastening member 30 presses the base member 20 and pushes the base member 2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coupled, the bracket contact surface 22 presses the second mounting area 12, The second mounting area 12 spreads in a horizontal direction. Even if the second mounting area 12 is widened, the strength of the bracket 10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housing 101, so damage to the housing 101 is prevented. That is, sinc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housing 10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bracket 10, specifically,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second mounting area 12, damage to the housing 101 can be prevented.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10)를 포함하는 브라켓 구조물(10000)은, 자동차용 내부미러(1, 도 1 참조)의 차량 내부에서의 조립과정에서 전동드릴 등의 공구사용으로 인해 체결부재(30)가 필요 이상으로 강한 힘으로 조립되더라도, 브라켓(10)으로 인해 내구성이 강화되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bracket structure 10000 including the bracket 10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housing 1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inside mirror for a vehicle (1, see FIG. 1) inside the vehicle. Even if the fastening member 30 is assembled with a stronger force than necessary due to the use of a tool such as an electric drill, durability is enhanced due to the bracket 10 and damage can be prevented.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 device,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may be us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브라켓 구조물 100 하우징 101
브라켓 10 베이스부재 20
체결부재 30
Bracket Structure 100 Housing 101
Bracket 10 Base member 20
fastening member 30

Claims (10)

제1 관통공 및 내부에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제2 관통공 및 차량 내측에 부착되는 베이스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는 베이스의 양측면이 장착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장착부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 접촉부와 상기 제2 장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의 양측의 삽입을 가이드 하도록 홈이 형성된 베이스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장착부와 예각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브라켓은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
A housing including a first through hole and a receiving portion therein; and
A second through hole and a mounting portion to which a bas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mounted, and a bracket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mount the base to the housing; including,
The mounting part includes a first mounting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so that both sides of the base are mounted and a second mounting part to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is mounted,
The first mounting part includes a base contacting part contacting the base and supporting the base, and a base receiving part located between the base contacting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and having grooves formed to guide insertion of both sides of the b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base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second mounting portion, so that when the base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bracket prevents the base from depart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racket includes one or more second protrusions on the lower surface,
The housing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econd protrusion.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mirr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다이-캐스팅(Die-Casting) 공법으로 제조되며, 알루미늄(Al), 아연(Zn), 마그네슘(Mg) 및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이 포함된 합금 재질로 형성되는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is manufactured by a die-casting method and is formed of an alloy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of aluminum (Al), zinc (Zn), magnesium (Mg), and tin (Sn).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mirr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강도는 상기 하우징의 강도보다 큰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trength of the bracke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housing.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mirr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체결부재가 결합된 경우,
상기 하우징의 변형량은 상기 브라켓의 변형량 보다 작은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housing is smaller than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bracket.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mirrors.
제1 항에 있어서,
제2 장착부는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ncludes one or more first protrusions;
The one or more first protrusions partiall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mirror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3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착부는 제3 수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이 상기 하우징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3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브라켓은 상호결합되는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third protrusion,
The second mounting part further includes a third receiving part,
When the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using,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third protrusion of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bracket. inserted, the housing and the bracket are mutually coupled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mirro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부에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되는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protruding inward of the housing,
The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mirror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고정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된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 모두에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되는
차량 내부미러용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8,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protruding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fixing part,
The bracket is inserted into bo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in an interference fit.
Structure for vehicle interior mirrors.
차량용 내부미러에 있어서,
후방시인부재;
상기 후방시인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차량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 구조물은,
제1 관통공 및 내부에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제2 관통공 및 차량 내측에 부착되는 베이스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베이스의 양측면이 장착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장착부 및 상기 베이스의 하면이 장착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접촉부 및 상기 베이스 접촉부와 상기 제2 장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의 양측의 삽입을 가이드 하도록 홈이 형성된 베이스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장착부와 예각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가 상기 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브라켓은 하면에 하나 이상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부미러.
In the interior mirror for a vehicle,
rear visibility member;
a housing accommodating the rear sight member;
A mounting structur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to mount the housing inside the vehicle;
The mounting structure is
A housing including a first through hole and a receiving portion therein, and
A second through hole and a mounting portion in which a bas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mounted, and a bracket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mount the base to the housing,
The mounting part includes a first mounting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so that both sides of the base are mounted and a second mounting part to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is mounted,
The first mounting part includes a base contacting part contacting the base and supporting the base, and a base receiving part located between the base contacting part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and having grooves formed to guide insertion of both sides of the base,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base forms an acute angle with the second mounting portion, so that when the base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bracket prevents the base from depart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racket includes one or more second protrusions on the lower surface,
The housing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econd protrusion.
Interior mirrors for vehicles.
KR1020210042986A 2021-04-01 2021-04-01 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KR102500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86A KR102500755B1 (en) 2021-04-01 2021-04-01 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86A KR102500755B1 (en) 2021-04-01 2021-04-01 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825A KR20220136825A (en) 2022-10-11
KR102500755B1 true KR102500755B1 (en) 2023-02-16

Family

ID=8359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86A KR102500755B1 (en) 2021-04-01 2021-04-01 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75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938B1 (en) 1996-11-25 1999-06-15 양재신 Mounting bracket for inside rear view mirror of car
US20160031503A1 (en) * 2010-06-04 2016-02-04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Method of mounting an interior assembly with an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440A (en) * 1996-11-01 1999-08-03 Gentex Corporation Regulated attachment for mirror mount
KR101592737B1 (en) * 2014-07-17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tegrated inside mirror assembly of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938B1 (en) 1996-11-25 1999-06-15 양재신 Mounting bracket for inside rear view mirror of car
US20160031503A1 (en) * 2010-06-04 2016-02-04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Method of mounting an interior assembly with an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825A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551B2 (en) Carrier device for attachment to a pane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KR101740268B1 (en) Over head consol lamp plate for vehicle
JP2005075337A (en) Structure for holding clearance between head lamp for automobile and fender
CN109629934A (en) Car door with outdoor handle unit and the method for assembling outdoor handle unit
KR102500755B1 (en) A bracket for insid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JP2008049859A (en) Exterior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KR102499424B1 (en) A structure for mounting a mirror to inside of a vehicle and an inside rearview mirror including the same
KR102433752B1 (en) A structure for mounting a mirror to inside of a vehicle and an inside rearview mirror including the same
US8454211B2 (en) Vehicle headlamp
CN114080350B (en) Swing arm fixing hanger
US11358520B2 (en) Vehicle taillight assembly
JP6987461B2 (en) In-vehicle device
KR100402864B1 (en) Door glass grip of an automobile
US20220314897A1 (en) Mounting part structure of external detection sensor for vehicle
KR101760081B1 (en) Modules with structures that guide assembly for dashboard
JP6310776B2 (en) Vehicle side mirror
JP6824925B2 (en) cover
CN217197940U (en) Coupling mechanism and interior mirror assembly
JPH11240391A (en) Attaching structure of side panel
EP4311749A1 (en) Bicycle seatpost capable of mounting with bicycle accessory
US6955457B2 (en) Connecting assembly of a high mounted stop lamp
KR100482661B1 (en) Bumper cover combining structure
KR20200072718A (en) Roof rack
KR200176427Y1 (en) Mounting bracket for brake lamp
JP2526797Y2 (en)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