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055B1 -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055B1
KR102500055B1 KR1020220156890A KR20220156890A KR102500055B1 KR 102500055 B1 KR102500055 B1 KR 102500055B1 KR 1020220156890 A KR1020220156890 A KR 1020220156890A KR 20220156890 A KR20220156890 A KR 20220156890A KR 102500055 B1 KR102500055 B1 KR 102500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extension
buoy
artificial intelligenc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택
최정화
이민창
Original Assignee
이종택
이민창
최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택, 이민창, 최정화 filed Critical 이종택
Priority to KR102022015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4Buoys container type, i.e. having provision for the storage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Zo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에 뜨는 중공의 본체; 및 본체에 내장되며 관제센터의 서버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과 통신 가능한 IoT 센싱 타입의 장력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감지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로프 또는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구에 연결되는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수중에서 하중 변화를 실시간으로 서버 또는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중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하중 변화나 수면의 각종 변화 유발에 따른 장력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 방안 마련이 가능하도록 한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TENSION SENSING BUOY}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에 부유시켜 장력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수중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하중 변화나 수면의 각종 변화 유발에 따른 장력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 방안 마련이 가능하도록 한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하식양식장에서는 생물성장상태를 양식기간에 따라 추정하여 부표 추가 등 관리하고 있어 자연환경 및 실제 생물성장상태를 고려하지 않는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생물성장을 데이터 기반에 의한 과학적인 관리방안 강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부표 사용량이 증가하고 양식장관리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생물성장에 따른 부력상태 관리 부재로 인한 양식장 침몰 발생으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양식장의 침몰문제를 개선하고 지능형 친환경 첨단 양식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한편, 해상 양식장에 주로 사용하는 있는 부력체는 스티로폼을 대체하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만들어진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폴리에틸렌 부력체는 부력이 약해져 침몰되면 수면하에서는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찌그러들어 부력체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줄 전체가 침몰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생산성 저하로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부력 약화에 대한 사전 감지를 할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저렴한 수산먹거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기존의 스티로폼 부표보다는 친환경적인 폴리에틸렌 소재 등으로 만들어진 부표로 교체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는 보급 확산 정책(국가가 대체비용 70% 지원)을 실시하고 있지만, 굴 양식장과 같은 실제 현장에서는 이러한 폴리에틸렌 부표가 수중에서 부력이 약화되는 문제로 인하여 어업 종사자들이 사용을 회피하고 있어 보급이 저조한 실정이다.
한편, 산업 발전과 인구 증가에 따른 해양 쓰레기의 증가 문제에 대하여 범정부적으로 육상에서 해양으로 유입되는 쓰레기 차단 대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쓰레기차단막 제작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쓰레기 차단막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 부유 쓰레기 수거 상태의 원격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260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수면에 부유시켜 장력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수중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하중 변화나 수면의 각종 변화 유발에 따른 장력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 방안 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에 뜨는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관제센터의 서버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과 통신 가능한 IoT 센싱 타입의 장력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로프 또는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구에 연결되는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수중에서 하중 변화를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력센서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상기 연결구의 장력값 데이터와 이미 설정된 정상범위의 장력값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성장 상태 또는 위치 및 하중 변화를 판단하고, 추가적인 부표 설치 여부나 상기 연결구의 교체 또는 보강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고지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AI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양단부에 상기 장력센서가 연결 배치되는 내(耐) 장력부재와, 상기 내 장력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 배치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각각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원통 형상인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원통 형상의 상기 장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각각 상기 장력센서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양단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 장력부재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코어 블록과, 상기 코어 블록의 양측면 중 일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편과, 상기 코어 블록의 양측면 중 타측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장편과 평행한 제2 연장편과, 상기 제1 연장편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 블록의 양측면 중 일측면과 평행한 제1 연장 연결편과, 상기 제2 연장편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 블록의 양측면 중 타측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1 연장 연결편과 평행한 제2 연장 연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 연결편의 외측면과, 상기 제2 연장 연결편의 외측면에 각각 상기 연결봉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장력센서는, 상기 연결봉과 연결되는 선단부 면에 대하여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는 말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봉과, 상기 한 쌍의 연장봉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원호 형상의 걸림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링에 상기 연결구가 걸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시켜 장력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장력센서가 수중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하중 변화나 수면의 각종 변화 유발에 따른 장력변화를 판단하고, 추가적인 부표 설치 여부나 상기 연결구의 교체 또는 보강을 관리자에게 고지하여 신속한 대응 방안 마련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IoT 방식의 장력센서를 채용하고 기존의 스티로폼 부표에 비하여 친환경적인 부표를 널리 보급하고 사용을 늘려 해양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스티로품 부표에서의 수작업 노동집약적인 양식환경에서 탈피하여 과학적인 데이터 기반의 첨단 친환경 고부가가치 양식으로 어업인 소득증대 및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저렴한 수산 먹거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양식시설 및 방법 개선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수산물 생산을 위한 미래의 지속가능 양식어업 발전에 기여하고 부표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해양환경오염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수상펜스(쓰레기차단막)에 적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함으로써 차단된 부유쓰레기를 적시에 수거하여 쾌적한 하천관리를 통한 수생태 보전으로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물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의 주요부인 감지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와 연결된 양식 대상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장력 변화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센싱 부표를 활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센싱 부표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센싱 부표의 주요부인 감지부(2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와 연결된 수중 구조물(80)의 시간 경과에 따른 장력 변화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수면에 뜨는 중공의 본체(10)와, 본체(10)에 내장되며 관제센터의 서버(50)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60)과 통신 가능한 IoT 센싱 타입의 장력센서(21)를 포함하는 감지부(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감지부(2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로프 또는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구(30)에 연결되는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수중에서 하중 변화를 실시간으로 서버(50) 또는 휴대용 단말(60)에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수하식양식장 부력체(이하 미도시)에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센싱 부표를 이용할 경우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장력센서(21)를 본체(10)에 내장하여 장력상태를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생물성장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부력체(이하 미도시)를 추가하는 등의 과학적인 양식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감지부(20)가 내장된 본체(10)는,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과 연결구(30)로 안정감이 있는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부력체에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수상펜스에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센싱 부표를 이용할 경우는 다음과 같다.
우선, 수상펜스(이하 미도시)는 가로로 연결된 로프 등의 연결구(30)에 장력센서(21)를 연결하여 장력상태를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차단 쓰레기량을 파악하고 적시에 해당 쓰레기들을 수거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IoT 방식의 장력센서(21) 작동 방법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코자 한다.
우선, 장력센서(21)는 본체(10)를 설치할 때 장력센서(21)의 초기값이 지정되고 차츰 생물 성장에 따라 장력값이 증가하는 구조이다.
장력센서(21)에 의한 센싱 값을 주기적으로 서버(50) 및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60)을 통하여 알려주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장력센서(21)에 의하여 측정되는 장력값은 일반적으로 급격한 변동은 없으나 큰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알리도록 함으로써 현장 상황을 관리자가 직접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장력센서(21)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장력값은 기존에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의 생물성장 상태를 반영하여 부력체를 추가하는 등 필요한 양식장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장력센서(21)의 센싱방법은 크게 수하식양식장의 수면아래로 수하연에 설치하여 생물성장 무게를 진단하는 수직적 센싱과, 하천, 댐/보, 저수지 등에 설치되는 부유쓰레기 차단막의 가로연결 로프에 설치하여 차단된 부유쓰레기량을 파악하는 수평적 센싱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장력센서(21)의 전력은 배터리를 이용하고 사용기간을 고려하여 1일 단위로 통신하고 전력의 잔량 등 제반 값이 크게 변동할 경우에는 즉시 알람 통보할 수 있게 설정한다.
물론, 장력센서(21)가 사용하는 전력량에 따라 통신 주기는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장력센서(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10) 내주면을 따라 장착하고 통신모듈(이하 미도시)은 외부에 두어 서버(50)나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60)과 통신할수 있도록하고, 밀봉부재(11)에 의하여 본체(10) 양단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40)를 통한 장력센서(21)와 서버(50) 및 휴대용 단말(60)과의 원격통신은 기존 상용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장력센서(21)의 사용 전력은 양식장에 설치된 별도의 전력공급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고, 통신시설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체(10)는 장력센서(21)가 기밀을 유지할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원형 블록 형상의 장력센서(21)를 밀어넣어 고정한다면 기밀유지 및 센스관리 작동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장력 센싱 부표는 수하식양식장의 경우는 대표 부력체(굴 수하식 양식장경우는 양쪽끝 및 가운데 3곳 정도의 부력체 등)에 장력센서(21)가 내장된 본체(10)를 장착하고, 수상펜스의 경우는(양쪽끝 및 가운데 2곳 정도의 부력체 등)에 장력센서(21)가 내장된 본체(10)를 장착한다.
한편, 본체(10)는 양단 관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구(30)에 연결되면 본체(10)의 양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밀봉부재(11)에 의하여 밀봉됨으로써 부력 발생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감지부(20)는, 본체(10)에 내장되며 양단부에 장력센서(21)가 연결 배치되는 내(耐) 장력부재(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20)는, 내 장력부재(2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 배치된 연결봉(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0)는, 연결봉(23) 각각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원통 형상인 본체(10)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원통 형상의 장력센서(2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구(30)는 각각 장력센서(21)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본체(10)의 양단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내 장력부재(22)는, 본체(10)에 내장되는 코어 블록(22a)과, 코어 블록(22a)의 양측면 중 일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편(22b)과, 코어 블록(22a)의 양측면 중 타측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연장편(22b)과 평행한 제2 연장편(2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 장력부재(22)는, 제1 연장편(22b)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코어 블록(22a)의 양측면 중 일측면과 평행한 제1 연장 연결편(22d)과, 제2 연장편(22c)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코어 블록(22a)의 양측면 중 타측면과 평행하며 제1 연장 연결편(22d)과 평행한 제2 연장 연결편(22e)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연장 연결편(22d)의 외측면과, 제2 연장 연결편(22e)의 외측면에 각각 연결봉(23)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장력센서(21)는, 연결구(30)와의 연결 편의를 위하여 연결봉(23)과 연결되는 선단부 면에 대하여 연결구(30)와 연결되는 말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봉(24)과, 한 쌍의 연장봉(24)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원호 형상의 걸림링(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링(25)에 연결구(30)가 걸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체(10)의 내주면에는 걸림편(70)이 장착되며, 내 장력부재(22)의 양단부에 연결봉(23)과 연결된 장력센서(21) 각각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규제하게 된다.
여기서, 걸림편(70)은, 본체(10)의 일측 내주면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 리브(71)와, 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2 걸림 리브(7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내 장력부재(22) 양측의 장력센서(21) 각각은 한 쌍의 제1 걸림 리브(71)와 한 쌍의 제2 걸림 리브(72)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장력센서(21)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연결구(30)의 장력값 데이터와 이미 학습된 정상범위의 장력값과 비교 분석하여 양식 대상물(80) 또는 수중 구조물(이하 미도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성장 상태 또는 위치 및 하중 변화를 판단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AI 서버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서버(50)는, 양식 대상물(80)의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성장으로 인하여 도 5와 같이 연결구(30)에 장력이 설정 범위 이상으로 걸리게 되어 추가적인 부표 설치 여부나 연결구(30)의 교체 또는 보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데이터값 및 사후 조치 여부를 휴대용 단말(60)에 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서버(50)는 센싱한 장력값을 사전에 딥러닝 등의 방식으로 학습한 인공지능 성장모델과 비교하여 성장상태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부표를 추가적으로 설치한다든가 연결구(30)를 보강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시켜 장력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수중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하중 변화나 수면의 각종 변화 유발에 따른 장력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 방안 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력 센싱 부표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본체
11...밀봉부재
20...감지부
21...장력센서
22...내 장력부재
22a...코어 블록
22b...제1 연장편
22c...제2 연장편
22d...제1 연장 연결편
22e...제2 연장 연결편
23...연결봉
24...연장봉
25...걸림링
30...연결구
40...네트워크
50...서버
60...휴대용 단말
70...걸림편
71...제1 걸림 리브
72...제2 걸림 리브
80...양식 대상물
81...연결 로프

Claims (5)

  1.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관제센터의 서버 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과 통신 가능한 IoT 센싱 타입의 장력센서와,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양단부에 상기 장력센서가 연결 배치되는 내(耐) 장력부재와, 상기 내 장력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 배치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 각각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원통 형상인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원통 형상의 상기 장력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 장력부재는,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코어 블록과,
    상기 코어 블록의 양측면 중 일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편과,
    상기 코어 블록의 양측면 중 타측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연장편과 평행한 제2 연장편과,
    상기 제1 연장편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 블록의 양측면 중 일측면과 평행한 제1 연장 연결편과,
    상기 제2 연장편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어 블록의 양측면 중 타측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1 연장 연결편과 평행한 제2 연장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 연결편의 외측면과, 상기 제2 연장 연결편의 외측면에 각각 상기 연결봉이 연결되며,
    상기 감지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로프 또는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구에 연결되는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수중에서 하중 변화를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력센서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상기 연결구의 장력값 데이터와 이미 학습된 정상범위의 장력값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양식 대상물 또는 수중 구조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성장 상태 또는 위치 및 하중 변화를 판단하고, 추가적인 부표 설치 여부나 상기 연결구의 교체 또는 보강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고지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AI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각각 상기 장력센서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양단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력센서는,
    상기 연결봉과 연결되는 선단부 면에 대하여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는 말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봉과,
    상기 한 쌍의 연장봉 각각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원호 형상의 걸림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링에 상기 연결구가 걸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KR1020220156890A 2022-11-22 2022-11-22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KR102500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890A KR102500055B1 (ko) 2022-11-22 2022-11-22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890A KR102500055B1 (ko) 2022-11-22 2022-11-22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055B1 true KR102500055B1 (ko) 2023-02-16

Family

ID=85325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890A KR102500055B1 (ko) 2022-11-22 2022-11-22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0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005Y1 (ko) 1995-10-26 1998-12-15 배순훈 장력센서부를 구비한 예인형 수중음파탐지장치
JP2015034771A (ja) * 2013-08-09 2015-02-19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ケーブルの張力測定器
KR102191134B1 (ko) * 2019-12-11 2020-12-16 주식회사 포어시스 지능형 하천 및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439496B1 (ko) * 2021-12-22 2022-09-02 대한민국 인명 구조 기능을 갖는 부력 로프체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경계 표시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005Y1 (ko) 1995-10-26 1998-12-15 배순훈 장력센서부를 구비한 예인형 수중음파탐지장치
JP2015034771A (ja) * 2013-08-09 2015-02-19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ケーブルの張力測定器
KR102191134B1 (ko) * 2019-12-11 2020-12-16 주식회사 포어시스 지능형 하천 및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439496B1 (ko) * 2021-12-22 2022-09-02 대한민국 인명 구조 기능을 갖는 부력 로프체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경계 표시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28783B (zh) 一种基于浮力驱动的智能自升降通讯潜标系统
KR20190096509A (ko) 가두리 양식장 관리시스템
KR20110047472A (ko) 자동 부침 가두리 양식 시스템
KR102382732B1 (ko) 해상 양식 가두리 설비 및 그 설비의 설치 방법
CN114711177A (zh) 一种智能化多功能海洋牧场及其实现方法
KR102500055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장력 센싱 부표
CN110749713B (zh) 适用于海上风机的结构监测和海洋环境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206579794U (zh) 智能化深海养殖设施的双浮筒单点系泊系统
CN205611549U (zh) 灯笼型深海养殖网箱
CN113266513B (zh) 一种适用于深远海的多模块化牡蛎养殖牧场和筏式波浪能集成装置
CN212709847U (zh) 一种环境监测浮标
CN211312402U (zh) 一种可升降生态重构界面修复结构
CN205946906U (zh) 一种外海养殖抗风浪型铰接式网箱
CN113830231B (zh) 海洋牧场智能化放牧系统
KR20210024951A (ko) Iot기반 해양양식장 이상조류 발생 예측을 위한 환경정보 측정 시스템
CN205511616U (zh) 一种海产品养殖网箱监控系统
CN105528862A (zh) 一种底播海参养殖场的水面监控设备及其运行方法
CN205353710U (zh) 海上平台式综合系统
KR101875775B1 (ko) 태양광 발전형 표시 부상체
Loverich et al. Advances in offshore cage design using spar buoys
CN208917757U (zh) 一种浮式防波堤通信平台
Desai et al. Pisciculture Monitoring System
CN204373651U (zh) 一种海洋环境剖面观测系统
CN105766747A (zh) 灯笼型深海养殖网箱
CN208346782U (zh) 一种防腐蚀的水上漂浮物拦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