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985B1 -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 - Google Patents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985B1
KR102499985B1 KR1020220126126A KR20220126126A KR102499985B1 KR 102499985 B1 KR102499985 B1 KR 102499985B1 KR 1020220126126 A KR1020220126126 A KR 1020220126126A KR 20220126126 A KR20220126126 A KR 20220126126A KR 102499985 B1 KR102499985 B1 KR 102499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
information
shak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카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카이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카이나
Priority to KR102022012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9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66C13/063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comprises: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crane image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a wir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for grasping the shaking state of a wire through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nd a shake reduction unit which reduces wire shaking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crane based on th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wir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camera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

본 발명은 와이어의 흔들림을 저감하여 작업 효율을 증가시키고, 현장의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가능한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capable of assisting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reducing shaking of a wire and to ensure that field work is performed safely.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대상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동력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운반하는 기계 또는 기계 장치로써 제품을 들어올리는 권상, 권하와 수평으로 이동하기 위한 주행, 횡행 등의 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동작이 서로 조합되어 3차원 공간 내에서 하물을 취급한다.In general, a crane plays a role in moving an object to a desired position, and is a machine or mechanical device that transports horizontally using power. It performs operations such as hoisting, hoisting and hoisting and horizontal movement to move, traversing, etc. And these motion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handle the load in the 3D space.

이러한 크레인은 산업 현장에서 제품을 적재 또는 출고하는 과정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These cranes are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loading or shipping products at industrial sites.

크레인을 이용하여 작업 진행 시 크레인의 가속도 변화, 크레인의 진동, 외풍 등의 이유로 와이어 및 와이어에 결합된 훅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는 작업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When working with a crane, the wire and the hook coupled to the wire shake due to changes in the acceleration of the crane, vibration of the crane, draft, etc. This problem not only reduces work efficiency but also causes safety accidents. there is

상세히 설명하면, 와이어 및 훅이 흔들릴 경우 훅에 결합된 물체가 훅에서 이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흔들리는 물체가 사람과 부딪혀 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흔들림이 멈춘 후 작업이 다시 진행되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In detail, if the wire and hook are shaken, not only can the object coupled to the hook be separated from the hook, but also the shaking object can collide with a person and cause an accident. There was a problem that increase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따라서, 와이어 및 훅의 흔들림을 최소화 가능한 기술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minimizing shaking of the wire and the hook.

한국등록특허 제10-1937085호, 타워 크레인 사고예방 안전관리 통합감시 시스템, 공고일(2019.01.03.)Korea Patent No. 10-1937085, Tower Crane Accident Preven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 Date (2019.01.03.)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2153호, 크레인 훅의 ANTI-SNAG & SWAY 제어 시스템, 공개일(2019.01.0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02153, ANTI-SNAG & SWAY control system of crane hook, publication date (2019.01.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94549호, 컨테이너 크레인의 위치 및 흔들림 억제 자동 제어 시스템(2019.08.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4549,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positioning and shaking of container cranes (2019.08.14.) US 2021/0197970A1, Hoist System and Process for Sway Control, 공개일(2021.07.01.)US 2021/0197970A1, Hoist System and Process for Sway Control, publication date (2021.07.0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신뢰성 높은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이러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와이어 및 훅의 흔들림 상태를 파악 후, 트롤리의 움직임 제어를 통해 와이어 및 훅의 흔들림을 최소화 가능한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quire reliable image information using a camera, and after using this imag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shaking state of the wire and hook, the trolley To provide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capable of minimizing shaking of wires and hooks through movement control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은, 카메라를 통해 크레인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정보 획득부(100);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획득한 영상을 통해 와이어의 흔들림 상태를 파악하는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 및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된 정보를 기반으로 크레인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와이어 흔들림을 저감하는 흔들림 저감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는 와이어의 각도를 파악하는 각도정보 파악부(210)와, 와이어의 흔들림 가속도를 파악하는 가속도정보 파악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저감부(300)는 트롤리의 이동모터를 조절하는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트롤리의 와이어모터를 조절하는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와,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되는 와이어의 각도와 와이어의 흔들림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와이어 상태를 복수개의 레벨로 분류하는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와, 상기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에서 분류된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상기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의 작동을 결정하는 흔들림 저감방법 결정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에서의 와이어 상태 레벨 분류는 흔들림 정도에 따라 정상레벨, 저위험레벨, 중간위험레벨, 고위험레벨로 분류되고, 상기 흔들림 저감방법 결정부(340)는 상기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에서 저위험레벨로 분류될 경우 상기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를 작동시키고, 중간위험레벨로 분류될 경우 상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를 작동시키고, 고위험레벨로 분류될 경우 상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를 동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for obtaining crane image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a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00 that grasps a shaking state of the wire through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0; and a shaking reduction unit 300 that reduces shaking of the wire by controlling the motion of the crane based on th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wir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00, wherein the wir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e angle of the wire. It includes an angle information grasping unit 210 for grasping and an acceleration information grasping unit 220 for grasping the shaking acceleration of the wire, and the shake reduction unit 300 controls the moving motor of the trolley to reduce the first shake. The control unit 310,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for adjusting the wire motor of the trolley, and the wire angle and shaking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 identified by the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00 determine a plurality of wire states. Operation of the shake state classification unit 330 classifying into two levels, and the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ler 310 and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ler 320 corresponding to the levels classified by the shake state classifier 330 and a shaking reduction method determining unit 340 for determining the wire state level classification in the shaking state classifying unit 330 into normal level, low risk level, medium risk level, and high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egree of shaking. The shake reduction method determination unit 340 operates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when classified as a low risk level by the shake state classifying unit 330, and when classified as a medium risk level, the shaking reduction method determining unit 340 operates the shaking reduction method. 1 activating the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10, and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10 and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when classified as a high risk level.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되는 와이어의 흔들림 상태를 기반으로 와이어의 운동반경을 파악하는 와이어 운동반경 파악부(400); 상기 와이어 운동반경 파악부(400)에서 파악된 와이어의 운동반경을 위험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위험영역을 표시하는 위험영역 표시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re motion radius determination unit 400 for determining a motion radius of the wire based on the shaking state of the wire identified by the wir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00; A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for setting the movement radius of the wire identified by the wire movement radius determination unit 400 as a danger zone and displaying the set danger z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가 표시한 위험영역 내부에 사람이 위치할 경우 위험을 알리는 위험 알림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danger notification unit 600 for notifying the danger when a person is located inside the danger area indicated by the danger area display unit 500.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결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의 위험영역 설정을 현장 상황에 맞춰 보정하는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anger zone setting optimization unit 700 that corrects the danger zone setting of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according to the field situation by using the decis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nager terminal.

상기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부(700)는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의 위험영역 설정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위험영역 설정정보 제공부(710);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관리자의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가 저장되는 위험영역 수정정보 저장부(720); 상기 위험영역 수정정보 저장부(720)에 저장된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를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에서 설정된 위험영역에 반영하여 보정하는 위험영역 보정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nger zone setting optimization unit 700 includes a danger zone set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710 that provides the danger zon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a risk zone mod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20 storing the manager's risk zone setting mod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anger zone correction unit 730 for correcting the danger zone setting corr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nger zone corr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20 by reflecting it on the danger zone set in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높이정보, 가속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sk area setting mod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includes height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of equipment used in the field.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므로, 보다 신뢰성 높은 영상정보를 획득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rane using the camera, so it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more reliable image information.

또한, 획득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와이어 흔들림 상태를 파악하고, 모터 제어를 통해 흔들림을 최소화하므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 발생위험 또한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aking state of the wire is grasped using the obtained image information and the shaking is minimized through motor control,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can be minimized.

그리고, 흔들림 레벨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와이어 흔들림 저감이 이루어지므로, 와이어 흔들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shaking is reduced by different methods according to the shaking leve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ire shaking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아울러, 와이어 흔들림 상태를 기반으로 와이어의 운동반경을 파악하고 위험을 알리므로, 와이어 흔들림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radius of the wire is identified based on the wire shaking state and the risk is noti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accidents due to wire shaking.

또한, 관리자가 입력한 위험영역 수정정보를 이후 이루어지는 위험영역 설정에 반영하므로, 위험영역 설정이 작업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sk area correc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manager is reflected in the risk area setting that is performed la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isk area setting can be made in a form optimized for the work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트롤리 가속도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와이어의 흔들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영역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resent inventors camera.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shaking of a wire that varies according to a change in trolley accelera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danger area display using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ventors camera.
Figure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timization of the risk area setting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resent inventors camera.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1000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트롤리 가속도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와이어의 흔들림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위험영역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haking of the wir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rolley accelera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risk area display using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resent inventor's camera, Figure 5 explains the optimization of risk area setting of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resent inventor's camera This is a block diagram for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1000)은 카메라(V)를 통해 크레인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정보 획득부(100)와,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획득한 영상을 통해 와이어의 흔들림 상태를 파악하는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와,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된 정보를 기반으로 크레인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와이어 흔들림을 저감하는 흔들림 저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4,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1000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that acquires crane image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V, and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 and the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00 that grasps the shaking state of the wire through the acquired image, and the shaking that reduces wire shaking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rane based on th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00. A reduction unit 300 may be included.

상세히 설명하면, 와이어 및 와이어에 결합된 훅이 흔들릴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를 통해 획득하는 크레인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와이어의 흔들림 상태를 파악하면, 상기 흔들림 저감부(300)에서 크레인의 트롤리(C-1) 작동 제어를 통해 와이어의 흔들림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since a safety accident may occur when a wire and a hook coupled to the wire are shaken, the wire information identification unit 200 determines the number of wires based on the crane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When the shaking state is grasped, the shaking reduction unit 300 can reduce the shaking of the wir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olley C-1 of the crane.

때, 상기 카메라는 작업현장 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추가적으로 크레인으로 이송되는 물체만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amera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work site,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camera that photographs only objects transported by the crane in real time.

그리고,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통해 AI모듈이 작업자, 지게차, 크레인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간 위치파악을 통해 안전영역을 설정 후 작업자나 지게차 등의 차량이 안전영역에 인접하면 경고음으로 위험을 알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amera, the AI module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workers, forklifts, cranes, etc. in real time. If you are nearby, you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notifying the danger with a warning sound.

이러한 안전영역은 위험영역의 경계 표시를 통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권장하고, 위험영역 경계의 경우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는 물체의 크기나 이송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recommended that the safety area be checked visually by the operator through the boundary marking of the danger area, and in the case of the danger area boundary, i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r transfer speed of the object being transported by the crane. .

아울러, 안전영역에 작업자나 지게차 등의 차량이 인접한 것으로 파악 시 경고음 송출과 함께 크레인 작동을 정지시켜, 작업현장의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켜 줄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worker or a vehicle such as a forklift is adjacent to the safety area, the operation of the crane is stopped along with the transmission of a warning soun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afety of the work site.

또한, 위에서 설명한 위험영역 경계표시 및 경고음 송출 및 크레인 정지를 통한 안전성 향상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improving safety through boundary marking of dangerous areas, transmission of warning sounds, and stop of cran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또한, AI모듈의 경우 딥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작업자, 지게차, 크레인 등의 분류 및 위치 파악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딥러닝에 사용되는 학습 알고리즘으로는 RNN(Recursive 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신경망, GRU-CNN Hybrid 신경망 알고리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 module can learn through deep learning to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ying and locating workers, forklifts, cranes, etc. Learning algorithms used for such deep learning include RNN (Recursive Neural Network), SVM (support vector machin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neural network, and a GRU-CNN hybrid neural network algorithm.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Here, RNN is a deep learning technique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current data and past data,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presents a neural network in which connections between units constitut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nstitute a directed cycle. Furthermore, various schemes may be us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configur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for example, a full recurrent network, a Hopfield network, an Elman network, ESN (Echo state network), 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LSTM), bi-directional RNN, continuous-time RNN (CTRNN), hierarchical RNN, and quadratic RNN are representative examples. In addition, as a method for learn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methods such as gradient descent, Hessian Free Optimization, and Global Optimization Method may be used.

크레인(C)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모터(C-1A)와 와이어 모터(C-1B)가 결합되는 트롤리(C-1)와, 트롤리(C-1)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트롤리 레일(C-2)과, 트롤리(C)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C-3)와, 와이어(C-3) 단부에 결합되는 훅(C-4)을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crane (C), as shown in FIG. 2, the trolley (C-1) to which the moving motor (C-1A) and the wire motor (C-1B) are coupled, and the path along which the trolley (C-1) moves It includes a trolley rail (C-2) to form, a wire (C-3) whose length is controlled by the trolley (C), and a hook (C-4) coupled to the end of the wire (C-3).

그리고, 크레인(C)을 이용한 물체(A)의 이동은, 와이어 모터(C-1B)를 작동시켜 와이어(C-3)를 감아 훅(C-4)에 결합된 물체(A)를 들어올리고, 이동모터(C-1A)를 작동시켜 트롤리(C-1)를 이동시킨 후, 다시 와이어 모터(C-1B)로 감긴 와이어를 풀어 물체(A)를 내려놓는 형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object (A) using the crane (C) operates the wire motor (C-1B) to wind the wire (C-3) to lift the object (A) coupled to the hook (C-4) , After operating the moving motor (C-1A) to move the trolley (C-1), it is made in the form of unwinding the wire wound by the wire motor (C-1B) and putting down the object (A).

이때, 트롤리(C)가 가속 또는 감속할 경우 관성에 의해 물체(A), 물체와 연결된 훅(C-4) 및 와이어(C-3)가 흔들리게되며, 이러한 흔들림은 와이어(C-3)를 감거나 푸는 방식 및 와이어(C-3)가 연결된 트롤리(C)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흔들림 저감부(300)가 이동모터(C-1A)와 와이어 모터(C-1B)의 작동을 제어하여 이러한 흔들림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trolley (C)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object (A), the hook (C-4) connected to the object, and the wire (C-3) shake due to inertia, and this shaking is caused by the wire (C-3) Since it can be reduced by a method of winding or unwinding and a method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trolley (C) to which the wire (C-3) is conn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ke reduction unit 300 is the moving motor (C-1A) and the wire This shaking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C-1B.

상세히 설명하면, 흔들림 저감은 와이어(C-3)가 오른쪽으로 흔들리는 것이 확인되면 왼쪽 와이어를 감고 오른쪽 와이어의 길이를 늘려 흔들림 반경을 저감하거나, 트롤리(C)를 오른쪽으로 가속하여 흔들림 지속시간을 줄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o explain in detai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wire (C-3) swings to the right, the shake reduction reduces the shake radius by winding the left wire and lengthening the right wire, or by accelerating the trolley (C) to the right to reduce the shake duration. that can be made in the form

즉, 흔들리는 방향의 와이어를 풀고 반대 방향의 와이어를 감아 힘을 분산시키는 형태로 흔들림 반경을 저감하거나, 흔들리는 방향으로 트롤리를 이동시켜 관성에 의한 흔들림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흔들림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haking radius can be reduced by unwinding the wire in the shaking direction and winding the wir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distribute the force, or by moving the trolley in the shaking direction so that shaking due to inertia is not repeated. It can.

이러한 제어를 위해 상기 이동모터(C-1A)는 트롤리(C-1)를 트롤리 레일이 연장 형성된 양방향으로 모두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하고, 상기 와이어 모터(C-1B)는 와이어의 좌측 단부가 결합되는 좌측 이동모터와 와이어의 우측 단부가 결합되는 우측 이동모터를 포함해야 함은 물론이다.For this control, the moving motor (C-1A) should be able to move the trolley (C-1) in both directions in which the trolley rails are extended, and the wire motor (C-1B)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wire. Of course, it should include a right movement motor to which the left movement motor and the right end of the wire are coupled.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는 와이어의 각도를 파악하는 각도정보 파악부(210)와, 와이어의 흔들림 가속도를 파악하는 가속도정보 파악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흔들림 저감부(300)는 트롤리의 이동모터를 조절하는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트롤리의 와이어모터를 조절하는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와,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되는 와이어의 각도와 와이어의 흔들림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와이어 상태를 복수개의 레벨로 분류하는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와, 상기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에서 분류된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상기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의 작동을 결정하는 흔들림 저감방법 결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00 may include an angl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10 to determine the angle of the wire and an acceler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20 to determine the shaking acceleration of the wire, and the shake reduction unit 300 ) is the angle of the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10 for controlling the moving motor of the trolley,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for controlling the wire motor of the trolley, and the wire information grasped by the wir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0. and a shaking state classification unit 330 that classifies wire states into a plurality of levels based on shaking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 and the first shaking reduction control unit 310 corresponding to the levels classified by the shaking state classification unit 330. ) and a shake reduction method determination unit 340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상세히 설명하면, 와이어(C-3)의 흔들림 정도에 따라 흔들림 저감 방법을 가변하여 와이어(C-3)의 흔들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the shaking reduction method is var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haking of the wire C-3 so that the shaking of the wire C-3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이때, 상기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C-3)의 흔들림이 A도 이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정상레벨로, A도 이상 B도 이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저위험레벨로, B도 이상 C도 이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중간위험레벨로, C도 이상일 경우 고위험레벨로 분류하고, 상기 흔들림 저감방법 결정부(340)는 저위험레벨일 경우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를 작동시키고, 중간위험레벨로 분류될 경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를 작동시키고, 고위험레벨로 분류될 경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를 모두 작동시킨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shaking state classification unit 330 sets the shaking level to a normal level when the shaking of the wire C-3 is within degree A, and to a low risk level when it is made within degree A or more and within degree B. , If it is made within degree B or C, it is classified as medium risk level, if it is greater than C degree, it is classified as high risk level, and the shake reduction method determining unit 340 operates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when it is a low risk level. When classified as a medium risk level, the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10 is operated, and when classified as a high risk level, both the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10 and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are operated.

각 위험레벨의 각도는 관리자가 임의로 지정 가능하지만 일 실시예로 A의 각도는 15도, B의 각도는 25도, C의 각도는 35도일 수 있고, 이러한 각도 파악은 상기 각도정보 파악부(2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속도정보 파악부(220)에 의해 파악되는 와이어의 흔들리 가속도를 기반으로 흔들림 각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각도에 대응하여 흔들림 저감부(300)가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를 작동시킬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흔들림을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ngle of each risk level can be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manager, but in one embodiment, the angle of A may be 15 degrees, the angle of B may be 25 degrees, and the angle of C may be 35 degrees. ), but the shaking angle is predicted based on the shaking acceleration of the wire grasped by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grasping unit 220, and the shaking reduction unit 300 corresponds to the predicted angle, and the first shaking reduction control unit When the 310 and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are operated, of course, the shake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은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되는 와이어의 흔들림 상태를 기반으로 와이어의 운동반경을 파악하는 와이어 운동반경 파악부(400)와, 와이어 운동반경 파악부(400)에서 파악된 와이어의 운동반경을 위험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위험영역을 표시하는 위험영역 표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motion radius grasping unit 400 for grasping the motion radius of the wire based on the shaking state of the wire identified by the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00, and grasping the wire motion radius It may include a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that sets the movement radius of the wire identified in the unit 400 as a danger zone and displays the set danger zone.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운동반경 파악부(400)에서 와이어의 현재각도와 와이어의 가속도를 기반으로 와이어 흔들림 반경을 파악(예측)하고, 파악된 와이어 운동반경을 위험영역 표시부(500)가 표시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자신이 와이어 운동반경에 위치된 것을 인지하고 위험영역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the wire motion radius identification unit 400 determines (predicts) the wire shaking radius based on the current angle and the wire acceleration, and the danger area display unit 500 displays the identified wire motion radius. Thus, the worker can recognize that he is located in the wire movement radius and can escape from the danger area.

이때, 위험영역 표시부(500)는 트롤리(C-1)에 결합되어 위험영역 경계를 표시하는 라이너(L)를 포함하고, 이러한 라이너(L)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하여 파악된 위험영역의 경계(M)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경계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danger area display unit 500 is coupled to the trolley (C-1) and includes a liner (L) displaying the danger area boundary, and this liner (L) is identified using a laser as shown in FIG. The boundary (M) of the designated risk area can be displayed, but the boundary can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is, so it is not limited.

아울러, 위에서 말하는 와이어 흔들림 반경을 통해 파악된 위험영역은, 와이어가 흔들릴 시 와이어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훅(C-4) 및 물체(A)가 흔들리며 작업자 또는 작업에 사용되는 장비와 부딪힐 수 있는 반경으로, 와이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risk area identifi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wire shaking radius is that when the wire is shaken, the hook (C-4) and object (A) coupled to the end of the wire shake and collide with workers or equipment used for work. As for the radiu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wire.

또한, 작업자가 작업에 집중하고 있을 경우 위험영역 표시부(500)로 위험 경계를 표시하더라도 이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위험영역에 위치할 경우 위험 알림부(600)에서 부저(B)를 울려 작업자가 이송되는 물품 또는 훅과 부딪힐 수 있는 위험영역에 위치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if the worker is concentrating on the work, even if the danger boundary is displayed with the danger area display unit 500, he may not be aware of it, so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or is located in the danger zone, the buzzer (B ) sounded so that workers could recognize that they were located in a dangerous area where they could collide with goods or hooks being transported.

또한, 본 발명인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1000)은 관리자 단말(D)에서 입력되는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의 위험영역 설정을 현장 상황에 맞춰 보정하는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1000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risk area setting correc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nager terminal D to correct the risk area setting of the risk area display unit 500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A region setting optimization unit 700 may be included.

그리고, 상기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부(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영역 표시부(500)의 위험영역 설정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위험영역 설정정보 제공부(710)와,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관리자의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가 저장되는 위험영역 수정정보 저장부(720)와, 상기 위험영역 수정정보 저장부(720)에 저장된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를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에서 설정된 위험영역에 반영하여 보정하는 위험영역 보정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5, the danger zone setting optimization unit 700 includes a danger zone set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710 that provides the danger zon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to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The risk area corr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20 in which the manager's risk area setting correction information entered through is stored, and the risk area setting corr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isk area corr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20 is displayed in the danger area display unit 500. It may include a risk area correction unit 730 that corrects by reflecting the set risk area.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 현장마다 사용되는 장비의 높이, 가속도 등이 다르고, 이러한 장비의 높이, 가속도에 따라 위험영역이 더욱 커지거나 좁아져야 하므로, 위험영역 설정정보 제공부(710)에서 초기 위험영역 설정 정보를 관리자 단말(D)로 제공하면, 관리자가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높이 및 가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를 제공하고, 위험영역 보정부(730)에서 이렇게 제공된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를 반영하여 위험영역 표시부(500)에서 만들어진 위험영역을 보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detail, since the height and acceleration of the equipment used for each work site are different, and the danger zone must be larger or narrower according to the height and acceleration of the equipment, the danger zone set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710 sets the initial danger zone When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D), the manager provides the danger zone setting cor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height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used in the field, and the danger zone correction unit 730 provides the danger zone setting mod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danger zone created in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by reflecting the.

다시한번 설명하면, 장비가 높아질 경우 훅 또는 크레인에 의해 이동되는 물체가 장비와 부딪히는 반경이 커지므로 위험반경을 넓혀주는 것이다. 그리고, 장비의 이동속도가 빠를 경우 위험영역 반경을 넓혀 장비가 멈출 수 있는 브레이크 구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equipment is elevated, the radius of collision between the object moved by the hook or the crane and the equipment increases, thereby widening the danger radius. In addition,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equipment is high, the radius of the danger area is widened so that a brake section in which the equipment can stop can be form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 영상정보 획득부
200 : 와이어 정보 파악부 210 : 각도정보 파악부
220 : 가속도정보 파악부
300 : 흔들림 저감부 310 :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
320 :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 330 : 흔들림 상태 분류부
340 : 흔들림 저감방법 결정부
400 : 운동반경 파악부
500 : 위험영역 표시부
600 : 위험 알림부
700 :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부 710 : 위험영역 설정정보 제공부
720 : 위험영역 수정정보 저장부 730 : 위험영역 보정부
100: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0: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10: angle information grasping unit
220: acceler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00: shake reduction unit 310: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second shaking reduction control unit 330: shaking state classifying unit
340: shaking reduction method determination unit
400: movement radius grasping unit
500: danger area display unit
600: danger notification unit
700: Risk area setting optimization unit 710: Risk area setting information provision unit
720: Danger area corr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30: Danger area correction unit

Claims (6)

카메라를 통해 크레인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정보 획득부(100);
상기 영상정보 획득부(100)에서 획득한 영상을 통해 와이어의 흔들림 상태를 파악하는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 및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된 정보를 기반으로 크레인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와이어 흔들림을 저감하는 흔들림 저감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는 와이어의 각도를 파악하는 각도정보 파악부(210)와, 와이어의 흔들림 가속도를 파악하는 가속도정보 파악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저감부(300)는 트롤리의 이동모터를 조절하는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트롤리의 와이어모터를 조절하는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와,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되는 와이어의 각도와 와이어의 흔들림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와이어 상태를 복수개의 레벨로 분류하는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와, 상기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에서 분류된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상기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의 작동을 결정하는 흔들림 저감방법 결정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에서의 와이어 상태 레벨 분류는 흔들림 정도에 따라 정상레벨, 저위험레벨, 중간위험레벨, 고위험레벨로 분류되고,
상기 흔들림 저감방법 결정부(340)는 상기 흔들림 상태 분류부(330)에서 저위험레벨로 분류될 경우 상기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를 작동시키고, 중간위험레벨로 분류될 경우 상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를 작동시키고, 고위험레벨로 분류될 경우 상기 제1 흔들림 저감 제어부(310)와 제2 흔들림 저감 제어부(320)를 동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00 that acquires crane image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a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00 that grasps a shaking state of the wire through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0; and
A shaking reduction unit 300 for reducing wire shaking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crane based on the information found by the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00; includes,
The wir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00 includes an angl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10 to determine the angle of the wire and an acceler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20 to determine the shaking acceleration of the wire,
The shake reduction unit 300 includes a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10 for adjusting the movement motor of the trolley, a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for adjusting the wire motor of the trolley, and the wire information grasping unit 200. A shaking state classification unit 330 that classifies the wire state into a plurality of levels based on the angle of the wire and the shaking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wire identified in the shaking state classification unit 330; 1 shake reduction method determination unit 340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10 and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Classification of wire state levels in the shaking state classification unit 330 is classified into normal level, low risk level, medium risk level, and high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egree of shaking,
The shake reduction method determining unit 340 operates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when classified as a low risk level by the shaking state classifying unit 330, and operates the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when classified as a medium risk level. Operating the reduction control unit 310, and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10 and the second shake reduction control unit 320 when classified as a high risk level; crane safety management using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정보 파악부(200)에서 파악되는 와이어의 흔들림 상태를 기반으로 와이어의 운동반경을 파악하는 와이어 운동반경 파악부(400);
상기 와이어 운동반경 파악부(400)에서 파악된 와이어의 운동반경을 위험영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위험영역을 표시하는 위험영역 표시부(500); 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wire motion radius determination unit 400 for determining a motion radius of the wire based on the shaking state of the wire identified by the wire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200;
A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for setting the movement radius of the wire identified by the wire movement radius determination unit 400 as a danger zone and displaying the set danger zone; Including,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가 표시한 위험영역 내부에 사람이 위치할 경우 위험을 알리는 위험 알림부(600);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including; danger notification unit 600 that informs the danger when a person is located inside the danger area displayed by the danger area display unit 500.
제 2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의 위험영역 설정을 현장 상황에 맞춰 보정하는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부(700);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 risk area setting optimization unit 700 that corrects the risk area setting of the danger area display unit 500 according to the field situation using the risk area setting correc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manager terminal; crane safety management using a camera, including a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영역 설정 최적화부(700)는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의 위험영역 설정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위험영역 설정정보 제공부(710);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관리자의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가 저장되는 위험영역 수정정보 저장부(720);
상기 위험영역 수정정보 저장부(720)에 저장된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를 상기 위험영역 표시부(500)에서 설정된 위험영역에 반영하여 보정하는 위험영역 보정부(730);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danger zone setting optimization unit 700 includes a danger zone sett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710 that provides the danger zone setting information of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a risk zone mod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20 storing the manager's risk zone setting mod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A crane using a camera comprising a; danger zone correction unit 730 for correcting by reflecting the danger zone setting corr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nger zone corr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720 to the danger zone set in the danger zone display unit 500 safety management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위험영역 설정 수정정보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높이정보, 가속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안전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risk area setting correc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includes height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of equipment used in the field;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n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 camera.
KR1020220126126A 2022-10-04 2022-10-04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 KR102499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26A KR102499985B1 (en) 2022-10-04 2022-10-04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26A KR102499985B1 (en) 2022-10-04 2022-10-04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985B1 true KR102499985B1 (en) 2023-02-16

Family

ID=8532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126A KR102499985B1 (en) 2022-10-04 2022-10-04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985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384A (en)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An anti-sway apparatus for a cran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02153A (en) * 2017-06-29 2019-01-08 (주) 케이티에스코리아 Control system for anti-snag and sway of crane hook
KR101937085B1 (en) 2018-02-27 2019-01-09 (주)체리네트웍스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of tower crane
KR20190094549A (en) 2018-02-05 2019-08-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osition and anti-sway control system of a container crane
KR102012639B1 (en) * 2018-09-13 2019-08-21 반도호이스트크레인 주식회사 Anti-sway system for crane
JP2019199357A (en) *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タダノ Anti-sway control guidance system for loa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20200002265U (en) * 2018-02-08 2020-10-15 비타 인클리나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Suspended cargo stabil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10197970A1 (en) * 2019-04-24 2021-07-01 Breeze-Eastern Llc Hoist System and Process for Sway Control
KR20210113418A (en) * 2019-02-04 2021-09-15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Collision-free guidance of suspended rods on cabl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384A (en) * 2009-12-24 2011-06-30 한국과학기술원 An anti-sway apparatus for a crane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02153A (en) * 2017-06-29 2019-01-08 (주) 케이티에스코리아 Control system for anti-snag and sway of crane hook
KR20190094549A (en) 2018-02-05 2019-08-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osition and anti-sway control system of a container crane
KR20200002265U (en) * 2018-02-08 2020-10-15 비타 인클리나타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Suspended cargo stabiliz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937085B1 (en) 2018-02-27 2019-01-09 (주)체리네트웍스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of tower crane
JP2019199357A (en) *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タダノ Anti-sway control guidance system for loa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2012639B1 (en) * 2018-09-13 2019-08-21 반도호이스트크레인 주식회사 Anti-sway system for crane
KR20210113418A (en) * 2019-02-04 2021-09-15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Collision-free guidance of suspended rods on cables
US20210197970A1 (en) * 2019-04-24 2021-07-01 Breeze-Eastern Llc Hoist System and Process for Sway Contro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2021/0197970A1, Hoist System and Process for Sway Control, 공개일(2021.07.0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2153호, 크레인 훅의 ANTI-SNAG & SWAY 제어 시스템, 공개일(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5332B1 (en) Determining movement distance of lifting device
US10495880B2 (en) Controlling of lifting device
US5967347A (en) Lowering collision avoidance device of crane
EP1757554A2 (en) Anti-sway control for crane
US202102066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swaying hoisted load
JP2008152380A (en) Conveyance method of overhead crane using laser pointer and overhead crane system
US11795036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trajectory for a hoisting appliance
CN109179213A (en) Container pier storage yard automated system
CN109179212A (en) Container terminal automates straddle type two-way traffic detection identification and stockyard automation control method in track bridge
EP2402280A1 (en) Calculation of collision avoiding trajectory
KR102499985B1 (en) Safety system for Accident prevention with Camera
CN114455490A (en) Tower crane safety control method and system
CN113396123B (en) Collision-free routing of loads suspended on a cable
JPH07165387A (en) Collision preventing device for moving body
CN211871206U (en) Automatic container system of going to on container truck lane based on laser
CN114180460A (en) Anti-collision protection method, controller and system for lifting appliance and shore bridge
WO20210595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obot,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5941909B (en) Driving safety monitoring system, method and device
CN116199127A (en) Trajectory planning with flexible re-planning function-obstacle
CN117105097B (en) Intelligent tower crane control system, method and control equipment
US2023030555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emote control operation of devices taking into consideration communications latency, environmental conditions, and/or a task to be performed
CN115893209A (en) Crane, active safety method, device and system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15456499A (en) Material handling equipment scheduling control system, scheduling control method, equipment and medium
KR20230062139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obstacle OF crane based on deep learn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THE SAME
CN114655854A (en) Anti-collision method and system for lifting appliance unit and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