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786B1 -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786B1
KR102499786B1 KR1020220148315A KR20220148315A KR102499786B1 KR 102499786 B1 KR102499786 B1 KR 102499786B1 KR 1020220148315 A KR1020220148315 A KR 1020220148315A KR 20220148315 A KR20220148315 A KR 20220148315A KR 102499786 B1 KR102499786 B1 KR 102499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adapter
groove
handle
press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웅
Original Assignee
김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웅 filed Critical 김준웅
Priority to KR102022014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786B1/ko
Priority to PCT/KR2023/016066 priority patent/WO202410170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잠금장치를 조작하여야만 길이가 조절되던 기존의 등산 스틱과 달리, 스틱 간 중첩 부위 및 잠금 구조의 개선으로 스틱을 인출 내지 인입시키는 단순 행위만으로도 잠금장치가 자동 작동함에 따라 길이가 제어될 뿐만 아니라 스틱 내부에 형성된 홈과 잠금장치 간의 간섭 여부에 기인하여 중첩된 스틱이 원치 않게 분리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인체공학적 외형의 손잡이(10);와, 손잡이 하단에 수직으로 연장 배치되어 산행 시 지면을 지지하는 폴대(20);와, 손잡이와 폴대 사이에 배치되어 폴대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폴대의 인출과 인입된 위치를 구속되게 하는 어뎁터(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The structure of a climbing stick}
본 발명은 삽입 결합에 의해 다수 중첩되며 인입과 인출에 기인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잠금장치를 조작하여야만 길이가 조절되던 기존의 등산 스틱과 달리, 스틱 간 중첩 부위 및 잠금 구조의 개선으로 스틱을 인출 내지 인입시키는 단순 행위만으로도 잠금장치가 자동 작동함에 따라 길이가 제어될 뿐만 아니라 스틱 내부에 형성된 홈과 잠금장치 간의 간섭 여부에 기인하여 중첩된 스틱이 원치 않게 분리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등산 스틱은 등산 또는 하산 시 신체의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일률적인 지형을 갖지 못하는 구간에서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에 사용되며, 등반 장비 중 필수 장비로 구분될 만큼 그 쓰임이 중요하다.
상기 등산 스틱은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손잡이를 비롯하여 각 절번으로 이루어진 폴대 내에 다른 작은 직경의 폴대가 출입하도록 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등산 스틱은 최하단에 배치된 폴대의 하부에 지면을 찍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초경 소재의 엔드 팁이 마련되어 산행에서의 지팡이 역할을 발휘함은 물론, 평지에서는 노르딕 워킹 운동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상기 등산 스틱은 대체로 2단이나 3단 또는 4단의 중첩 구조로 이루어졌으며, 사용자의 신체나 사용목적에 맞춰 평균적으로 45~130cm 범위 내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각 폴대 간 중첩 부위마다 구비된 고정수단을 매개로 조절된 길이가 결정된다.
한편, 폴대는 측 부로 고정쇠가 노출되고, 이웃하는 폴대는 측 부에 다수의 홈이 등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고정쇠가 이웃하는 폴대의 홀에 도달 시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양 폴대 간 조절된 길이가 결정된다. 그리고 추후 길이를 재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고정쇠를 눌러 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길이를 재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기존의 등산 스틱은 고정쇠를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가압도구가 요구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일일이 가압하여야만 조절되는 등 많은 체력이 요구되는 등반 활동에서 사실상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졌으며,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902498호 "등산 스틱 길이조절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간단한 구동만으로도 등산 스틱의 길이 조절 및 압력에 의해 등산 스틱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로써, 제1 폴 및 제1 폴의 내 측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외 측에 홈들이 형성되는 제2 폴을 둘러싸며, 일단은 제1 폴과 결합하는 고정부;와, 일단은 고정부의 일단 상부에 노출되는 제1 폴을 둘러싸며, 타단은 고정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조임부;와, 조임부의 일단과 제1 폴 사이에서 조임부와 결합되고 제1 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링; 및 고정부와 이탈방지링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기술은 조임부를 고정부의 타단을 향해 이동시키면 조임부는 고정부의 타단 끝단을 압박하면서 홈에 삽입시켜 고정부의 타단 및 제2 폴을 서로 결합되게 하는 기슬이다.
상기 기술은 고정쇠를 별도의 가압도구나 손가락으로 누를 필요없이 조임부를 조작하는 행위만으로 고정부가 홈에 구속되면서 위치가 결정되는 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여전히 사용자가 조임부를 일일이 힘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되지 않았다.
이와 유사한 기술사례 중 다른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9200호 "최단 수축 길이 확보를 위한 다단 등산 스틱 손잡이의 연결구조"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등산 스틱의 손잡이가 구비되는 메인 폴대의 끝단을 손잡이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캡의 하부 측 폴대 삽입구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조건으로 연결 조합함으로써, 4단 용으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존의 등산 스틱에 비해 전장길이를 3~4㎝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배낭 내부 휴대성을 높이고, 등산 스틱의 손잡이에 마련되는 스트랩은 상부 탭의 측면에서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메인 폴대에 걸어 지지되도록 하여 더욱 안정감 있는 연결은 물론, 상부 캡에 스트랩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어 등산 스틱의 전장길이 축소에 도움을 제공한다. 또한, 상부캡의 외부에서 체결되는 체결나사에 의한 메인 폴대의 고정 외에 상부 캡에 마련한 삽입홈과 걸이봉에 메인폴대의 상단이 삽입되어 회전이 방지되는 연결구조는 오랜 사용으로 인한 메인 폴대로부터 상부 캡이 겉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은 폴대 간 삽입 범위가 확장되어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이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폴대를 일일이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기존부터 등산 스틱의 사용상 편의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졌으나, 스틱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아주 간편하고 스마트한 기술로는 미흡하며, 이로 인해 많은 등산 애호가들이 아직까지도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02498호 "등산 스틱 길이조절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9200호 "최단 수축 길이 확보를 위한 다단 등산 스틱 손잡이의 연결구조"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폴대의 측 부로 고정쇠가 노출되고 해당 고정쇠가 이웃하는 폴대의 내부를 구속하여 위치가 결정되는 통상의 매우 간결한 등산 스틱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되, 사용자가 일일이 고정쇠를 조작하지 않도록 단순히 폴대를 이웃하는 폴대에 삽입하는 행위만으로 위치가 제어되고 제어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는 스마트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틱의 길이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원치않게 폴대가 분리되지 않도록 안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대 간 삽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고정쇠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길이 조절을 위한 조작 시 참고 정보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 제공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등산 스틱은 삽입 결합에 의해 다수 중첩되며 인입과 인출에 기인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등산용 스틱에 기반하며, 특히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인체공학적 외형의 손잡이(10);와, 손잡이 하단에 수직으로 연장 배치되어 산행 시 지면을 지지하는 폴대(20);와, 손잡이와 폴대 사이에 배치되어 폴대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폴대의 인출과 인입된 위치를 구속되게 하는 어뎁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대(20)는 내부가 빈 설정 길이의 환봉(21);과, 환봉의 측 부로 설정 노출된 상태에서 어뎁터(30)와 결합 시 가압에 의해 인·입출됨에 따라 어뎁터와의 억지끼움 및 길이 조절에 대한 위치 결정에 기여하는 고정쇠(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30)는 일 측 단부를 함몰시켜 형성된 설정 깊이의 단턱부(31)에 의해 손잡이(10)의 삽입 개재가 허용되고, 상기 손잡이(10)는 단턱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경이 어뎁터의 내경과 동일하게 연결되어 어뎁터를 관통한 폴대(20)의 내부 개입이 허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30)는 폴대(20)가 개입되는 일 측 단부의 내경 일부 구간에 테이퍼 절삭 가공으로 제1가압면(32)을 형성함에 따라 폴대의 삽입 시 폴대의 고정쇠(22)가 점차 가압되어 억지끼움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어뎁터(30)는 제1가압면(32)을 기준으로 내경을 따라 다방향의 경로로 이루어진 요홈(33)이 구비됨에 따라 폴대(20)의 내부 진입과 위치 선정 및 원치 않는 인출이 차단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요홈(33)은 가압면(32)을 기준으로 수직방향 연장되어 폴대(20)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홈(33-1);과, 제1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폴대의 측부 이동을 유도하는 제2홈(33-2);과, 제2홈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폴대의 추가 삽입을 허용하는 제3홈(33-3);과, 제3홈으로부터 원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폴대의 측부 이동을 재유도함에 따라 제1홈으로 원치 않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홈(3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홈(33-4)은 설정 위치에 격벽(33-4a)이 형성되어 폴대(20)의 회전 반경을 제어하면서 폴대의 고정쇠(22)와 격벽 간의 걸림에 기인하여 고정쇠의 위치가 가늠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홈(33-4)은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퍼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제2가압면(33-5)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면(33-5)은 폴대(20)가 어뎁터(30)를 통해 손잡이(10)의 내부로 인입 시 고정쇠(22)의 가압에 기인한 억지끼움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가압면(33-5)은 제4홈(33-4)에 구비된 격벽(33-4a)을 포함하여 형성됨에 따라 격벽 일 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폴대(22)는 어뎁터(30)의 내부공간에서 격벽(33-4a)을 향하여 인출 시 고정쇠(22)가 격벽 일 측에 형성된 제2가압면(33-5)에 걸림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어뎁터와 폴대가 즉시 분리되지 않도록 간섭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0)는 사선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4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40)은 또 다른 등산 스틱이나 텐트용 폴대가 교차 형태로 결합되게 하여 자립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가압면과 제2가압면이 고정쇠를 자연스럽게 가압하며, 이 상태에서 폴대 간 중첩 삽입 또는 인출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고정쇠를 조작하지 않아도 스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방향의 경로를 가진 요홈에 의해 폴대의 위치가 구속되고, 덧붙여 스틱을 잡아당길 시 요홈에 걸림쇠가 간섭되어 폴대가 원치않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사용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생산성이 뛰어나며,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어 등산이라는 레포츠의 접근성을 한층 더 좁힐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등산 스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등산 스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폴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폴대와 어뎁터가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어뎁터의 내부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어뎁터의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2가압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폴대와 어뎁터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2가압면에 고정쇠의 걸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결합공의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삽입 결합에 의해 다수 중첩되며 인입과 인출에 기인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등산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잠금장치를 조작하여야만 길이가 조절되던 기존의 등산 스틱과 달리, 스틱 간 중첩 부위 및 잠금 구조의 개선으로 스틱을 인출 내지 인입시키는 단순 행위만으로도 잠금장치가 자동 작동함에 따라 길이가 제어될 뿐만 아니라 스틱 내부에 형성된 홈과 잠금장치 간의 간섭 여부에 기인하여 중첩된 스틱이 원치 않게 분리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등산 스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등산 스틱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폴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폴대와 어뎁터가 결합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어뎁터의 내부 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어뎁터의 전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2가압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폴대와 어뎁터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2가압면에 고정쇠의 걸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결합공의 예시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삽입 결합에 의해 다수 중첩되며 인입과 인출에 기인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등산용 스틱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등산 스틱(1)은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손잡이(10);와, 손잡이 하단에 수직으로 연장 배치되어 산행 시 지면을 지지하는 폴대(2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0)는 기초 골조가 되는 바디(11)와, 바디의 표면을 감싸는 스트랩(12)과, 스트랩을 바디에 구속시키는 가압링(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1)는 내부가 빈 원형 파이프로써 스틸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카본, 티타늄 등의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스트랩(12)은 바디(11)의 최상단을 기준으로 설정 범위에 이르는 표면을 포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안한 파지를 유도한다. 상기 스트랩(12)은 촉감이 부드러운 고무 재질이나 스펀지 또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 및 용이한 파지를 위해 인체공학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폴대(20)는 내부가 빈 설정 길이의 환봉(21)과, 환봉의 측 부로 설정 노출된 상태에서 어뎁터(30)와 결합 시 가압에 의해 인·입출됨에 따라 어뎁터와의 억지끼움 및 길이 조절에 대한 위치 결정에 기여하는 고정쇠(22)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환봉(21)은 손잡이(10)와 마찬가지로 스틸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카본, 티타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경은 바디(11)의 내경과 일대일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추후 길이 조절 시 손잡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쇠(22)는 'ㄷ'자 형상의 판스프링과 같은 외형을 가지며, 환봉(2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고정쇠(22)는 환봉(21)의 단부에 끼움되어 내부를 차폐하는 삽입편(22-1)과, 삽입편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환봉의 내부 상단에 밀착 배치되는 제1면(22-2)과, 삽입편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환봉의 내부 하단에 밀착되는 제2면(22-3)과, 제1면의 상측으로 수직 돌출되어 환봉의 측 부로 외부 노출되는 고정돌기(22-4)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제2면(22-3)은 환봉(21)의 내경과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밀착 배치됨에 따라 환봉과 고정쇠(22) 간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한다. 그리고 환봉(21) 또한 고정돌기(22-4)가 외부 노출될 수 있도록 측 부에 노출공(21-1)이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등산 스틱(1)은 손잡이(10)와 폴대(20)를 이음하는 어뎁터(30)를 포함한다.
상기 어뎁터(30)는 손잡이(10)와 폴대(20) 사이에 배치되어 손잡이와 폴대를 상호 연결되게 하면서 폴대의 인입과 인출에 기인하여 길이 조절을 유도함은 물론,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를 구속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상기 어뎁터(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일 측 단부는 손잡이(10)의 삽입과 고정을 유도하고, 타 측 단부는 폴대(20)의 삽입과 인·입출을 허용한다. 상기 어뎁터(30)는 폴대(20)의 정밀한 인·입출을 위해 폴대의 외경과 일대일 대응하는 직경의 내경을 보유한다.
상기 어뎁터(30)는 손잡이(10)와 결합되는 단부 상에 바디(11)의 외경과 일대일 대응하는 직경으로 함몰 형성된 설정 깊이의 단턱부(31)를 포함하고, 해당 단턱부(31)에 결합된 손잡이의 내경은 어뎁터(30)의 내경과 동일하게 연결되며, 이로부터 어뎁터에 개입된 폴대(20)가 손잡이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된다.
특히, 상기 어뎁터(30)는 폴대(20)가 개입되는 단부의 내경에 테이퍼 가공으로 형성된 제1가압면(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가압면(32)은 어뎁터(30)의 단부를 기점으로 약 1 내지 5mm 범위 내로 형성되며, 어뎁터의 단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편심된 원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폴대(20)를 어뎁터(30)에 개입할 때 고정쇠(22)가 어뎁터의 단부에 걸림되어 진입 불가능하지만, 고정쇠가 제1가압면(32)에 위치할 경우 테이퍼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가압되면서 어뎁터 내부로의 개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덧붙여, 상기 고정쇠(22)도 고정돌기(22-4)의 일 측을 사선으로 절삭처리하여 제1가압면(32)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폴대(20)는 제1가압면(32)에 의해 고정쇠(22)가 가압된 상태로 어뎁터(30) 내부로 개입되고, 고정쇠가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힘이 어뎁터의 내부를 가압함에 따라 억지끼움이 이루어져 위치가 결정된다. 다만, 현 상태의 폴대(20)와 어뎁터(30)는 고정쇠(22)의 가압력에 기인한 억지끼움에 의해 위치가 구속될 뿐 사용자가 폴대와 손잡이를 양측에서 잡아당기게 되면 손쉽게 분리되는 구조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어뎁터(30)는 제1가압면(32)을 기준으로 내부공간을 따라 다방향의 경로로 이루어진 요홈(33)이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요홈(33)은 고정쇠(22)의 걸림을 유도하여 폴대(2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삽입 위치의 선정과 폴대의 원치 않는 인출을 차단하는 역할까지 모두 수행한다.
이러한 요홈(33)은 제1가압면(32)을 기준으로 수직방향 연장되어 폴대(20)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홈(33-1);과, 제1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폴대의 측부 이동을 유도하는 제2홈(33-2);과, 제2홈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폴대의 추가 삽입을 허용하는 제3홈(33-3);과, 제3홈으로부터 원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폴대의 측부 이동을 재유도함에 따라 제1홈으로 원치 않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홈(33-4);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폴대(20)가 어뎁터(30)에 삽입되는 과정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폴대가 어뎁터(30)의 일 측 내부공간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며, 고정쇠(22)가 제1가압면(32)을 만나 설정 가압된 상태로 제1홈(33-1)에 진입한다. 상기 폴대(20)는 제1홈(33-1)에 의해 어뎁터(30)의 내부공간으로 설정 깊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쇠(22)가 제1홈의 끝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폴대를 회전시켜 고정쇠가 제2홈(33-2)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고정쇠(22)가 제2홈(33-2)의 끝 부분에 닿게 되면 제3홈(33-3)을 따라 수평 이동시켜 폴대(20)를 어뎁터(30)의 내부공간으로 조금 더 삽입시킨다. 상기 고정쇠(22)가 제3홈(33-3)의 끝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폴대(20)를 회전시켜 고정쇠(22)가 제4홈(33-4)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쇠(22)가 제4홈(33-4)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고정쇠가 제3홈(33-3)이 형성된 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서는 어뎁터로부터 폴대를 인출시킬 수 없다.
한편, 상기 제4홈(33-4)은 설정 위치에 격벽(33-4a)이 형성되어 폴대(20)의 회전 반경을 제어하면서 폴대의 고정쇠(22)와 격벽 간의 걸림에 기인하여 고정쇠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4홈(33-4)에는 손잡이(10)가 결합된 방향으로 테이퍼 절삭되어 형성된 제2가압면(3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가압면(33-5)은 제4홈(33-4)에 도달한 고정쇠(22)를 다시금 가압하여 폴대(20)가 손잡이(10)의 내부공간까지 인입되도록 도모한다.
한편, 상기 고정쇠(22)는 손잡이(10)의 내부공간까지 삽입 시 어뎁터(30)의 내경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고, 추후 사용자가 폴대(20)를 잡아당겨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어뎁터로부터 폴대가 인출되면서 고정쇠 또한 제2가압면(33-5)에 도달하게 된다. 제2가압면(33-5)에 도달한 고정쇠(22)는 가압력이 소정 해제되면서 제2가압면에 걸림되어 어뎁터에서 폴대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만약 어뎁터(30)로부터 폴대(20)를 완전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폴대를 잡아당겨 고정쇠(22)를 제2가압면(33-5)에 위치시키고, 폴대를 설정 선회시켜 고정쇠를 제3홈(33-3)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고정쇠(22)를 제3홈(33-3)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설정 인출시킨 뒤 제2홈(33-2)을 거쳐 제1홈(33-1)을 통해 완벽하게 분리한다.
도 9와 같이 상기 제2가압면(33-5)은 제4홈(33-4)에 구비된 격벽(33-4a)을 포함하여 형성됨에 따라 격벽 일 측에 단턱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폴대(22)는 어뎁터(30)의 내부공간에서 격벽(33-4a)을 향하여 인출 시 고정쇠(22)가 격벽 일 측에 형성된 제2가압면(33-5)에 걸림되어 어뎁터와 폴대가 즉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손잡이(10) 내부까지 삽입된 폴대(20)를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어뎁터로부터 폴대가 인출되면서 고정쇠 또한 제2가압면(33-5)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고정쇠가 홈으로 이루어진 제2가압면(33-5)이 아닌 어뎁터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보유한 격벽(33-4a)을 향하여 인출된다면 고정쇠는 제2가압면에 걸림되지 않고, 원치 않게 폴대가 어뎁터로부터 즉시 인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손잡이로부터 폴대를 잡아당기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동반자의 등반을 도와주기 위해 등산 스틱을 내밀었고, 동반자가 등산 스틱의폴대(20)를 잡고 당겼으며, 손잡이로부터 폴대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고정쇠가 격벽을 향하여 이동될 경우 손잡이와 폴대가 즉시 분리되어 동반자나 사용자가 모두 상해를 입을 수가 있다.
따라서, 고정쇠(22)가 격벽(33-4a)을 향해 인출될 경우에도 제2가압면(33-5)이라는 단턱을 만나 고정쇠의 걸림이 유도됨에 따라 폴대(20)가 어뎁터(30)로부터 즉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등산 스틱(1)은 손잡이(10)에 사선 방향으로 관통된 결합공(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40)은 또 다른 등산 스틱이나 텐트용 폴대의 교차 결합을 허용함으로써 자립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또 다른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골조로써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제1가압면과 제2가압면이 고정쇠를 자연스럽게 가압하며, 이 상태에서 폴대 간 중첩 삽입 또는 인출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고정쇠를 조작하지 않아도 스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방향의 경로를 가진 요홈에 의해 폴대의 위치가 구속되고, 덧붙여 스틱을 잡아당길 시 요홈에 걸림쇠가 간섭되어 폴대가 원치않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사용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에 비해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생산성이 뛰어나며,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어 등산이라는 레포츠의 접근성을 한층 더 좁힐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등산 스틱 10. 손잡이
11. 바디 12. 스트랩
13. 가압링 20. 폴대
21. 환봉 22. 고정쇠
30. 어뎁터 31. 단턱부
32. 제1가압면 33. 요홈
40. 결합공

Claims (9)

  1. 사용자의 파지를 허용하는 인체공학적 외형의 손잡이(10);와, 손잡이 하단에 수직으로 연장 배치되어 산행 시 지면을 지지하는 폴대(20);와, 손잡이와 폴대 사이에 배치되어 폴대의 삽입을 허용하면서 폴대의 인출과 인입된 위치를 구속되게 하는 어뎁터(30);로 구성되는 등산 스틱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30)는 일 측 단부를 함몰시켜 형성된 설정 깊이의 단턱부(31)에 의해 손잡이(10)의 삽입 개재가 허용되고,
    상기 손잡이(10)는 단턱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경이 어뎁터의 내경과 동일하게 연결되어 어뎁터를 관통한 폴대(20)의 내부 개입이 허용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30)는 폴대(20)가 개입되는 일 측 단부의 내경 일부 구간에 테이퍼 절삭 가공으로 제1가압면(32)을 형성함에 따라 폴대의 삽입 시 폴대의 고정쇠(22)가 점차 가압되어 억지끼움되고, 제1가압면(32)을 기준으로 내경을 따라 다방향의 경로로 이루어진 요홈(33)이 구비됨에 따라 폴대(20)의 내부 진입과 위치 선정 및 원치 않는 인출이 차단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33)은 제1가압면(32)을 기준으로 수직방향 연장되어 폴대(20)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홈(33-1);과, 제1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폴대의 측부 이동을 유도하는 제2홈(33-2);과, 제2홈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폴대의 추가 삽입을 허용하는 제3홈(33-3);과, 제3홈으로부터 원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폴대의 측부 이동을 재유도함에 따라 제1홈으로 원치 않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홈(33-4);을 포함하고,
    상기 제4홈(33-4)은 설정 위치에 격벽(33-4a)이 형성되어 폴대(20)의 회전 반경을 제어하면서 폴대의 고정쇠(22)와 격벽 간의 걸림에 기인하여 고정쇠의 위치가 가늠되되,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퍼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제2가압면(33-5)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압면(33-5)은 폴대(20)가 어뎁터(30)를 통해 손잡이(10)의 내부로 인입 시 고정쇠(22)의 가압에 기인한 억지끼움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20)는,
    내부가 빈 설정 길이의 환봉(21);
    환봉의 측 부로 설정 노출된 상태에서 어뎁터(30)와 결합 시 가압에 의해 인·입출됨에 따라 어뎁터와의 억지끼움 및 길이 조절에 대한 위치 결정에 기여하는 고정쇠(22);
    를 포함하는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면(33-5)은 제4홈(33-4)에 구비된 격벽(33-4a)을 포함하여 형성됨에 따라 격벽 일 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폴대(20)는 어뎁터(30)의 내부공간에서 격벽(33-4a)을 향하여 인출 시 고정쇠(22)가 격벽 일 측에 형성된 제2가압면(33-5)에 걸림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어뎁터와 폴대가 즉시 분리되지 않도록 간섭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KR1020220148315A 2022-11-09 2022-11-09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KR102499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315A KR102499786B1 (ko) 2022-11-09 2022-11-09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PCT/KR2023/016066 WO2024101700A1 (ko) 2022-11-09 2023-10-17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315A KR102499786B1 (ko) 2022-11-09 2022-11-09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786B1 true KR102499786B1 (ko) 2023-02-13

Family

ID=8520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315A KR102499786B1 (ko) 2022-11-09 2022-11-09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9786B1 (ko)
WO (1) WO20241017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00A1 (ko) * 2022-11-09 2024-05-16 김준웅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03B1 (ko) * 2007-08-07 2010-09-17 (주) 민성정밀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KR20150056426A (ko) * 2013-11-15 2015-05-26 김현길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용 탄성부재의 탄력 조정장치
KR101902498B1 (ko) 2017-07-24 2018-11-22 김성진 등산스틱 길이조절장치
KR20220029200A (ko) 2020-09-01 2022-03-08 손미란 최단 수축길이 확보를 위한 다단 등산스틱 손잡이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308A (ja) * 2008-06-30 2010-01-14 Kizaki:Kk 歩行用ストック
KR20140137537A (ko) * 2013-05-23 2014-12-03 최진홍 등산용 스틱
KR20190089641A (ko) * 2018-01-22 2019-07-31 김해광 파이프 길이 조절장치
KR102499786B1 (ko) * 2022-11-09 2023-02-13 김준웅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03B1 (ko) * 2007-08-07 2010-09-17 (주) 민성정밀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
KR20150056426A (ko) * 2013-11-15 2015-05-26 김현길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용 탄성부재의 탄력 조정장치
KR101902498B1 (ko) 2017-07-24 2018-11-22 김성진 등산스틱 길이조절장치
KR20220029200A (ko) 2020-09-01 2022-03-08 손미란 최단 수축길이 확보를 위한 다단 등산스틱 손잡이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00A1 (ko) * 2022-11-09 2024-05-16 김준웅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1700A1 (ko)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786B1 (ko) 조립과 조작성이 간편한 등산 스틱의 구조
EP2175942B1 (en) Fixing device of sports stick with variable length
EP2999373B1 (en) Equipment for use when sitting and when walking, skiing or the like
EP0236708A2 (en) Telescopic crutch and walking stick
KR101366722B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5996602A (en) Hiking pole
WO2016061364A1 (en) Walking stick
NZ210922A (en) Ski poles with break-away wrist straps and retractable seat
US4742837A (en) Multi purpose hiking pole
US20130206195A1 (en) Walking aid with support
US10105278B2 (en) Apparatus for aiding mobility of a user
US20110248058A1 (en) Ski Pole Holder
WO2014048890A1 (en) Pole handle
WO2017131398A1 (ko) 높낮이 조절 장치
US20160255926A1 (en) Walking stick
JP3211443U (ja) ロフストランドクラッチ
US20200069009A1 (en) Pole handle
US6926018B1 (en) Hands free umbrella
CN102824001A (zh) 一种登山杖
CN209270758U (zh) 高尔夫球袋上用于锁定球杆保护罩的开关锁
CN212590609U (zh) 一种易脱落的鞋套
JP3172364U (ja)
US9320268B1 (en) Caddy assembly
KR102053824B1 (ko) 등산용 스틱 길이 조절구
KR200448525Y1 (ko) 지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