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383B1 -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383B1
KR102499383B1 KR1020217041396A KR20217041396A KR102499383B1 KR 102499383 B1 KR102499383 B1 KR 102499383B1 KR 1020217041396 A KR1020217041396 A KR 1020217041396A KR 20217041396 A KR20217041396 A KR 20217041396A KR 102499383 B1 KR102499383 B1 KR 102499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undary
coding unit
blocks
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349A (ko
Inventor
박민수
박민우
최기호
정승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5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9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tempor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DECODING}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영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또는 변환 단위를 이용하여, 영상을 부호화 또는 복호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레지듀얼 블록 및 예측 블록을 이용하여 복원 블록을 생성하고,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Deblocking Filtering)을 수행하여 영상을 부호화 또는 복호화할 수 있다.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영상 컨텐트를 재생,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영상 컨텐트를 효과적으로 부호화 또는 복호화 하는 코덱(codec)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부호화된 영상 컨텐트는 복호화됨으로써 재생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영상 컨텐트를 효과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방법들이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부호화 하려는 영상을 임의적 방법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통한 효율적 영상 압축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영상을 압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 단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단위들 간에 포함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압축에 이용되는 데이터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에 의해 데이터 단위가 분할될 수 있으며 영상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데이터 단위가 결정됨으로써 영상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크기가 4xN 또는 Nx4(N은 4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경우, 상기 4xN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경계 또는 상기 Nx4에 대응하는 수평 방향의 경계에서 행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시에 픽셀 값이 변경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 내 픽셀의 수를 1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값은 1 또는 2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의 예측 모드가 인터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분할 형태 모드는 쿼드 분할, 바이너리 분할 및 트라이 분할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분할 타입에 기초한 모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고,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고,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 및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들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값은 1 또는 2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정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의 예측 모드가 인터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때,
상기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부호화된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고,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하고,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부호화된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Size) 또는 형태(Shape)에 기초하여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부호화된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Size) 또는 형태(Shape)에 기초하여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비-정사각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제1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도 17a 내지 17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원 블록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디블록킹 필터링하는 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여 트라이 분할 타입을 나타내는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내지 19b는 디블록킹 필터링하는 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여 바이너리 분할 타입의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내지 2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에 의해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 내지 2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블록 경계 양쪽에 접하는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에 의해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블록 경계 양쪽에 접하는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에 의해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 또는 참조되는 픽셀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a 내지 2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변환 단위의 블록의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 내지 2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블록들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삼각 파티션을 갖는 블록에 대해 양방향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계 필터링 강도(Bs)의 값 및 그 결정 조건(Conditions)을 나타낸 표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원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고,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고,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 및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들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부호화된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고,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하고,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부호화된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Size) 또는 형태(Shape)에 기초하여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상기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상기 부호화된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Size) 또는 형태(Shape)에 기초하여 상기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이하, "영상"은 비디오의 정지영상와 같은 정적 이미지이거나 동영상, 즉 비디오 그 자체와 같은 동적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샘플"은, 영상의 샘플링 위치에 할당된 데이터로서 프로세싱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간영역의 영상에서 픽셀값, 변환 영역 상의 변환 계수들이 샘플들일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단위를 블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부호화 장치 및 영상 복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이 상술된다. 도 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데이터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되고, 도 1, 도 2 및, 도 1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정된 데이터 단위(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또는 변환 단위)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복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이 설명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단위(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또는 변환 단위)에 기초하여 영상을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상술된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디블록킹 필터링부(105) 및 영상 복호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 및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블록킹 필터링부(105) 및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디블록킹 필터링부(105)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블록은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블록은 변환 단위 또는 예측 단위일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는 블록의 분할 방향 및 분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드일 수 있다.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 분할(binary split), 트라이 분할(tri split), 쿼드 분할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영상 내 제 1 블록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 중 하나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형태 모드가 제 1 블록이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블록은 제 1 블록과 동일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가 제 1 블록이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블록으로부터 복수의 제 2 블록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는 전체 분할 형태 모드들 중 디블록킹 필터링을 고려하여 제한된(limited) 분할 형태 모드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한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에 기초한 예측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는 인트라 예측과 (머지 인덱스 기반)(merge index based) 인터 예측을 결합한 모드일 수 있다. 즉,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예측 블록의 샘플값은 인트라 예측을 기반으로 생성된 예측 블록의 제 1 샘플값과 (머지 인덱스 기반) 인터 예측에 기초하여 생성된 예측 블록의 제2 샘플값의 가중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파티션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파티션은 다양한 형태로 하나의 블록을 분할하여 생성된 복수의 단위로,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의 샘플들의 값들과 레지듀얼 블록의 샘플들의 값들을 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현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을 포함하는 두개의 인접한 복원 블록을 구분짓는 경계로, 경계를 기준으로 좌우로 또는 상하로 두개의 인접한 복원 블록이 구분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경계에서 4행 또는 4열 단위(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행 단위 또는 열 단위가 될 수 있음)로 계산되는 값으로 0,1,2 중 하나의 값(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음)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8x8 단위로 복원 블록의 수직 경계에 대해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4개의 행 단위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수직 경계에 대해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수직 경계의 왼쪽에 위치하는 블록(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이 4행 또는 4열 단위로 계산되는 경우, 4x4 크기의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P 블록, 오른쪽에 위치하는 블록을 Q 블록이라고 한다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계 필터링 강도(Bs)의 값 및 그 결정 조건(Conditions)을 나타낸 표이다.
구체적으로, P 또는 Q 블록(즉, P 또는 Q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인트라 예측 모드로 부호화된 경우,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2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인트라 예측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의 경계에서 큰 경계 필터링 값을 이용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P 및 Q 블록이 인터 예측 모드로 부호화된 경우,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0 또는 1로 결정될 수 있다. P 및 Q 블록에서 픽셀 값의 불연속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라면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0으로 결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P 및 Q 블록에서 픽셀 값의 불연속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는 P 및 Q 블록이 모두 인터 예측 모드로 부호화된 경우, P 및 Q 두 블록 모두에서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존재하지 않고, 두 블록이 동일한 정수 위치에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불연속이 발생되는 경우는 하기와 같은 복수의 조건으로 분기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불연속이 발생되는 경우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P 및 Q 블록이 인터 예측 모드로 부호화되었고, P 또는 Q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 값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P 및 Q 블록이 인터 예측 모드로 부호화되었고, P 또는 Q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 값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P 및 Q 블록이 인터 예측 모드로 부호화되었고, P 및 Q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 값이 존재하지 않지만, P 및 Q 블록이 정수 단위에서 움직임 벡터가 다른 경우,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P 및 Q 블록이 인터 예측 모드로 부호화되었고, P 및 Q 블록에 0이 아닌 변환 계수 값이 존재하지 않지만, P 및 Q 블록이 정수 단위에서 움직임 벡터가 같지만, 서로 다른 픽처에서 움직임 보상을 하거나 움직임 벡터의 개수가 다른 경우,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1로 결정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 즉, P 및 Q 블록이 인터 예측 모드로 부호화되었고, P 또는 Q 블록의 픽셀 값에 불연속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이 0보다 큰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그 값이 0보다 크다고 해서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고, 블록 내 픽셀 값에 기초(예를 들어, 수평 경계의 경우, 첫번째 열과 네번째 열에 위치하는 픽셀 값에 기초, 수직 경계의 경우, 첫번째 행과 네번째 행에 위치하는 픽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d 값(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의 영역에서의 픽셀값의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음)과 P 및 Q 블록의 양자화 파라메터(Quantization Parameter)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β값의 비교를 통해 필터링 적용여부를 재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d와 β값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표준에 정의된 디블록킹 필터링 관련 d와 β값과 동일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블록의 경계에 강한 필터링을 적용할지, 약한 필터링을 적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수직 경계의 경우, 첫번째 행과 네번째 행의 픽셀 값들과 β값 및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된 tc 값을 이용하여 필터링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첫번째 행과 네번째 행의 픽셀 값들, β값 및 tc 값을 이용하여 P 블록과 Q 블록 각각에서 픽셀 값의 변화가 적지만 경계에서 불연속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필터링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tc 값은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된 값으로,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표준에 정의된 디블록킹 필터링 관련 tc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수직 경계의 경우, 행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수직 경계에 강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블록의 3픽셀, Q블록의 3픽셀 단위로 tc값 및 각 행의 픽셀 값들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강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은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 블록의 3픽셀, Q블록의 3픽셀이나, 강한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은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 블록의 4픽셀, Q블록의 4픽셀일 수 있다. 즉,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과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는 상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의 수가 변경되는 픽셀의 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특히, P 블록 내 픽셀값들 및 Q 블록 내 픽셀값들을 참조하여 필터링을 수행하여 P 블록 내 픽셀 값들이 변경될 수 있고, P 블록 내 픽셀 값들 및 Q 블록 내 픽셀 값들을 참조하여 필터링을 수행하여 Q 블록 내 픽셀 값들이 변경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수직 경계에 약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블록의 2픽셀, Q블록의 2픽셀 단위로 tc값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을 수행하여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은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 블록의 2픽셀, Q블록의 2픽셀이나,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은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 블록의 4픽셀, Q블록의 4픽셀일 수 있다. 즉,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과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는 상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의 수가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참조되는 픽셀은 픽셀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관한 조건을 결정할때, 또는 필터링 수행을 통해 픽셀 값을 변경할 때 이용하는 픽셀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8x8 단위의 복원 블록 경계에 대해 필터링(강한 필터링 및 약한 필터링 포함)을 수행할때, 경계 양쪽으로 각각 최대 4개의 픽셀을 참조할 수 있고, 그 중 경계 양쪽으로 각각 최대 3개의 픽셀들의 값들이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참조하는 픽셀의 개수 및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를 가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1 또는 2의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소정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2일 수 있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도 동일하게 2일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2가 아닌 다른 값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도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에 관한 예측 모드가 모두 인터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터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0 또는 1일 수 있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도 동일하게 0 또는 1일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0 또는 1이 아닌 다른 값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도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예를 들어, 1 또는 2)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예를 들어, 1 또는 2)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소정의 크기의 단위를 기준으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소정의 크기의 단위의 경계에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크기는 NxN(N은 정수이거나, 2의 n승일 수 있고, 이때, n은 정수일 수 있음)일 수 있고, 4x4 또는 8x8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이용가능한 제 1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제 1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의 크기 또는 형태를 기초로 이용가능한 제 1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하고, 제한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소정의 크기의 단위를 기준으로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용가능한 제 1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제 1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의 높이 또는 너비가 소정의 크기에 의해 나타내지는 높이 또는 너비의 배수가 아니고, 이보다 작은 높이 또는 너비의 배수인 경우라면, 해당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크기가 8x8인 경우, 소정의 크기에 의해 나타내지는 높이 또는 너비는 8이고, 16x16 크기의 제 1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가 트라이 분할에 기초한 모드인 경우, 제 1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의 크기는 8x4일 수 있다. 이때, 높이 또는 너비 중 하나가 4로, 8의 배수가 아니고, 8보다 작은 배수의 값이므로, 제 1 블록에 대하여 트라이 분할에 기초한 모드를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소정의 크기에 의해 나타내지는 높이 또는 너비가 8이고, 8x16 또는 8x8 크기의 제 1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가 바이너리 분할에 기초한 모드인 경우, 제 1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의 크기는 4x16 또는 4x8일 수 있다.
이때, 높이 또는 너비 중 하나가 4로, 8의 배수가 아니고, 8보다 작은 배수의 값이므로, 제 1 블록에 대하여 바이너리 분할에 기초한 모드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소정의 크기인 8x8에 기초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면, 분할된 블록들의 높이 및 너비가 4의 배수가 아니고, 8의 배수인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소정 크기의 단위에 기초하여 행 단위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려는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즉, 디블록킹 필터링에 의해 그 픽셀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 및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픽셀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4x4 크기의 단위에 기초하여 행 단위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려는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중 하나의 높이 또는 너비가 4인 경우,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각각에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2개 이하(0 개 포함)로 결정하고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각각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를 3개 이하(예를 들어, 2개 또는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수직 블록 경계 또는 수평 블록 경계에서 행 단위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려는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4xN 또는 Nx4(N은 4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각각에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1개로 결정하고,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각각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를 3개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4x4 크기의 단위에 기초하여 행 단위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려는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중 하나의 블록(제 1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가 4이고, 나머지 블록(제 2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가 8인 경우, 제 1 블록에 위치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는 2개로 결정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고, 제 2 블록에 위치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는 4개로 결정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3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제 1 블록에 위치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는 2개로 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고, 제 2 블록에 위치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는 2개로 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0개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소정의 크기의 단위에 관계없이 복원 블록의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소정의 크기의 단위의 경계가 복원 블록의 경계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복원 블록의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블록은 부호화 단위, 변환 단위 또는 예측 단위 중 하나일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에 레지듀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양쪽 블록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의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복원 블록의 경계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다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모드가 특정한 모드일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특정한 모드는 어파인 모델 기반 움직임 보상 모드(affine model based motion compensation mode) 또는 서브-블록 예측 모드일 수 있다. 어파인 모델 기반 움직임 보상 모드는 움직임 보상을 위한 4-파라메터 어파인 움직임 모델 6-파라메터 어파인 움직임 모델 등, 다양한 어파인 움직임 모델들 중 하나에 기초한 움직임 모델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서로 다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휘도 보상(Illummination compensation)의 파라메터가 서로 다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서브-블록 예측 모드는 서브 블록 기반으로 예측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서브-블록 예측 모드는 서브-블록 기반 시간적 머지 모드(sub-block based temporal merge mode) 또는 어파인 모델 기반 움직임 보상 모드(affine model based motion compensation m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예측 모드가 서로 다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터 모드,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터 모드,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트라 모드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 중 하나가 삼각 파티션(Triangular partition) 형태를 갖는 경우, 양쪽 블록의 레지듀얼을 고려하여 디블록킹 필터링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양쪽 블록의 높이, 너비의 크기, 두 값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고려하여 디블록킹 필터링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 모두가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경우, 양쪽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가 특정 크기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삼각 파티션들 간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블록이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경우, 삼각 파티션들에 대해 양방향 인터 예측(Bi-direction Predi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양방향의 두 참조 블록에 포함된 참조 삼각 파티션들에 대한 가중치(Weight)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0, 제 1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 제 2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일 수 있고, 제 2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0일 수 있다. 또는, 제 1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4, 제 1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3/4, 제 2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3/4일 수 있고, 제 2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4일 수 있다. 각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영상 복호화부(110)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가중치에 관한 정보로부터 각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하나 이상의 가중치 후보들 중 하나의 가중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가중치 후보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가중치 후보는 블록별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참조 블록별로, 또는 참조 삼각 파티션별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블록이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들을 포함하는 파티션 마스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블록의 파티션 마스크의 형태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 마스크 형태 후보들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마스크 형태 후보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10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11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12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현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15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복수의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16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레지듀얼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170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17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기초하여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의 높이 및 너비 중 하나가 소정의 크기가 나타내는 높이 또는 너비의 배수가 아닌 경우, 해당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를 허용하지 않고, 다른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으로부터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한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의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대해 소정 크기의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의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형태가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에 기초하여 또는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레지듀얼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또는 삼각 파티션들 간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d 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는,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영상 복호화부(11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비트스트림(6050)으로부터 복호화 대상인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 정보를 파싱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로서, 역양자화부(6200) 및 역변환부(625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부터 레지듀 데이터를 복원한다.
인트라 예측부(6400)는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인터 예측부(6350)는 블록 별로 복원 픽처 버퍼(6300)에서 획득된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6400) 또는 인터 예측부(6350)에서 생성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와 레지듀 데이터가 더해짐으로써 비트스트림(6050)에 포함된 현재 영상의 블록에 대한 공간 영역의 데이터가 복원되고, 디블로킹부(6450) 및 SAO 수행부(6500)는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루프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복원 영상(660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원 픽쳐 버퍼(6300)에 저장된 복원 영상들은 참조 영상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영상 복호화부(6000)의 디블로킹부(645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에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의 단계별 작업들이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디블록킹 필터링부(205) 및 영상 부호화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 및 영상 부호화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블록킹 필터링부(205) 및 영상 부호화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디블록킹 필터링부(205)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부호화부(210)는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블록은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블록은 변환 단위 또는 예측 단위일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는 블록의 분할 방향 및 분할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모드일 수 있다.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 분할(binary split), 트라이 분할(tri split), 쿼드 분할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현재 영상 내 제 1 블록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 중 하나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형태 모드가 제 1 블록이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블록은 제 1 블록과 동일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가 제 1 블록이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복수의 제 2 블록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는 전체 분할 형태 모드 중 디블록킹 필터링을 고려하여 제한된(limited) 분할 형태 모드일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대한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에 기초한 예측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파티션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파티션은 다양한 형태로 하나의 블록을 분할하여 생성된 복수의 단위로,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예측 블록의 샘플들의 값들과 레지듀얼 블록의 샘플들의 값들을 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복원 블록의 샘플들의 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현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하는 두개의 인접한 블록을 구분짓는 경계로, 경계를 기준으로 좌우로 또는 상하로 두개의 인접한 블록이 구분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 또는 Q 블록이 인트라 예측 모드로 부호화된 경우,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2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인트라 예측 모드로 부호화된 블록의 경계에서 큰 경계 필터링 값을 이용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이 0보다 큰 경우,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그 값이 0보다 크다고 해서 항상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고, 블록 내 픽셀 값에 기초(예를 들어, 수평 경계의 경우, 첫번째 열과 네번째 열에 위치하는 픽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d 값(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의 영역에서의 픽셀 값의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음)과 P 및 Q 블록의 양자화 파라메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β값의 비교를 통해 필터링 적용여부를 재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d와 β값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 정의된 디블록킹 필터링 관련 d와 β값과 동일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블록의 경계에 강한 필터링을 적용할지 약한 필터링을 적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수직 경계의 경우, 첫번째 행과 네번째 행의 픽셀 값들과 β값 및 tc 값을 이용하여 필터링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첫번째 행과 네번째 행의 픽셀 값들과 β값 및 tc 값을 이용하여 P 블록과 Q 블록 각각에서 픽셀 값의 변화가 적지만 경계에서 불연속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필터링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tc 값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 정의된 디블록킹 필터링 관련 tc 값과 동일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수직 경계의 경우, 행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수직 경계에 대해 강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블록의 3픽셀, Q블록의 3픽셀 단위로 tc값 및 각 행의 픽셀 값들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을 수행하여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은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 블록의 3픽셀, Q블록의 3픽셀이나,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은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 블록의 4픽셀, Q블록의 4픽셀일 수 있다. 즉,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과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는 상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의 수가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특히, P 블록 내 픽셀 값들 및 Q 블록 내 픽셀 값들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여 P 블록 내 픽셀 값들이 변경될 수 있고, P 블록 내 픽셀 값들 및 Q 블록 내 픽셀 값들을 이용하여 필터링을 수행하여 Q 블록 내 픽셀 값들이 변경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수직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블록의 2픽셀, Q블록의 2픽셀 단위로 tc값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링을 수행하여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은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 블록의 2픽셀, Q블록의 2픽셀이나,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은 각 행의 경계에 인접하는 P 블록의 4픽셀, Q블록의 4픽셀일 수 있다. 즉,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과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는 상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참조되는 픽셀의 수가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참조되는 픽셀은 픽셀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관한 조건을 결정할때, 또는 필터링 수행을 통해 픽셀 값을 변경할 때 이용하는 픽셀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8x8 단위를 기초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경계 양쪽으로 각각 최대 4개의 픽셀을 참조할 수 있고, 그 중 경계 양쪽으로 각각 최대 3개의 픽셀 값들이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참조하는 픽셀의 개수 및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를 가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1 또는 2의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소정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2일 수 있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도 동일하게 2일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2가 아닌 다른 값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도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값은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에 관한 예측 모드가 모두 인터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터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0 또는 1일 수 있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도 동일하게 0 또는 1일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은 0 또는 1이 아닌 다른 값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도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소정 크기의 단위를 기준으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소정 크기의 단위의 경계에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크기는 NxN(N은 정수이거나, 2의 n승일 수 있고, 이때, n은 정수일 수 있음)일 수 있고, 4x4 또는 8x8일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이용가능한 제 1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제 1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의 크기 또는 형태를 기초로 이용가능한 제 1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하고, 제한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하고, 소정 크기의 단위를 기준으로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용가능한 제 1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제 1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의 높이 또는 너비가 소정의 크기에 의해 나타내지는 높이 또는 너비의 배수가 아니고, 소정의 크기에 의해 나타내지는 높이 또는 너비보다 작은 값을 갖는 높이 또는 너비의 배수인 경우라면, 해당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소정의 크기인 8x8 단위에 기초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면, 분할된 블록들의 높이 및 너비가 4의 배수가 아니고, 8의 배수인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소정의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려는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 및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픽셀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4x4 단위에 기초하여 행 단위로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려는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중 하나의 높이 또는 너비가 4인 경우,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각각에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2개 이하(0 개 포함)로 결정하고,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각각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를 3개 이하(예를 들어, 2개 또는 1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수직 블록 경계 또는 수평 블록 경계에서 행 단위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려는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가 4xN 또는 Nx4(N은 4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각각에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1개로 결정하고,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각각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를 3개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4x4 단위에 기초하여 행 단위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려는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두 블록 중 하나의 블록(제 1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가 4이고, 나머지 블록(제 2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가 8인 경우, 제 1 블록에 위치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는 2개로 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고, 제 2 블록에 위치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는 4개로 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3개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제 1 블록에 위치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는 2개로 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1개로 결정할 수 있고, 제 2 블록에 위치하는 디블록킹 필터링을 위해 참조하는 최대 픽셀의 수는 2개로 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이 적용되는 픽셀의 수를 0개로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소정 크기의 단위에 관계없이 복원 블록의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소정 크기의 단위의 경계가 복원 블록의 경계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복원 블록의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블록은 부호화 단위, 변환 단위 또는 예측 단위 중 하나일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에 레지듀얼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양쪽 블록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의 수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복원 블록의 경계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 블록의 움직임 벡터가 다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모드가 특정한 모드일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특정한 모드는 어파인 모델 기반 움직임 보상 모드(affine model based motion compensation mode) 또는 서브-블록 예측 모드일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서로 다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휘도 보상(Illummination compensation)의 파라메터가 서로 다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예측 모드가 서로 다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터 모드,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터 모드,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트라 모드인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 중 하나가 삼각 파티션(Triangular partition) 형태를 갖는 경우, 양쪽 블록의 레지듀얼을 고려하여 디블록킹 필터링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양쪽 블록의 높이, 너비의 크기, 두 값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고려하여 디블록킹 필터링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링부(205)는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 모두가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경우, 양쪽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가 특정 크기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삼각 파티션들 간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210)는 블록이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경우, 삼각 파티션들에 대해 양방향 인터 예측(Bi-direction Predi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양방향의 두 참조 블록에 포함된 참조 삼각 파티션들에 대한 가중치(Weight)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0, 제 1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 제 2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일 수 있고, 제 2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0일 수 있다. 또는, 제 1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4, 제 1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3/4, 제 2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3/4일 수 있고, 제 2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4일 수 있다. 각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영상 부호화부(210)는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를 기초로 가중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하나 이상의 가중치 후보들 중 하나의 가중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가중치 후보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가중치 후보는 블록별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참조 블록별로, 또는 참조 삼각 파티션별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블록이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들을 포함하는 파티션 마스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블록의 파티션 마스크의 형태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 마스크 형태 후보들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마스크 형태 후보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20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21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부호화된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22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에 관한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25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영상 내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블록들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여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26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원본 블록들에 기초하여 블록들의 레지듀얼 블록들을 부호화할 수 있다.
S27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블록들의 예측 블록들 및 부호화된 레지듀얼 블록들을 이용하여 블록들에 대한 복원 블록들을 생성할 수 있다.
S27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현재 영상 내 블록들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의 크기 또는 형태에 기초하여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의 높이 및 너비 중 하나가 소정의 크기가 나타내는 높이 또는 너비의 배수가 아닌 경우, 해당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를 허용하지 않고, 다른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으로부터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제한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의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현재 블록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블록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의 높이 및 너비 중 하나가 소정의 크기가 나타내는 높이 또는 너비의 배수가 아닌 경우, 해당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를 허용하지 않고, 다른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들 중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으로부터 복수의 블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제한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의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블록들의 복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형태가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복원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에 기초하여 또는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레지듀얼 정보에 기초하여 삼각 파티션들 간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200)의 영상 부호화부(21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즉, 인트라 예측부(7200)는 현재 영상(7050) 중 블록별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인터 예측부(7200)는 블록별로 현재 영상(7050) 및 복원 픽처 버퍼(7100)에서 획득된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7200) 또는 인터 예측부(7200)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현재 영상(7050)의 인코딩되는 블록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빼줌으로써 레지듀 데이터를 생성하고, 변환부(7250) 및 양자화부(7300)는 레지듀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여 블록별로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7450), 역변환부(750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수행하여 공간 영역의 레지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공간 영역의 레지듀 데이터는 인트라 예측부(7200) 또는 인터 예측부(7200)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와 더해짐으로써 현재 영상(7050)의 블록에 대한 공간 영역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디블로킹부(7550) 및 SAO 수행부는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인루프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디블록킹 필터링부(105)는 영상 복호화부(6000)의 디블로킹부(6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복원 영상은 복원 픽쳐 버퍼(7100)에 저장된다. 복원 픽처 버퍼(7100)에 저장된 복원 영상들은 다른 영상의 인터예측을 위한 참조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하고, 엔트로피 부호화된 계수가 비트스트림(7400)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가 비디오 부호화 장치(200)에 적용되기 위해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의 단계별 작업들이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영상은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모양은 동일 크기의 정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로 계층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는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분할 방향 정보 및 분할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분할 방향 정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로 분할함을 나타낸다. 분할 타입 정보는 부호화 단위를 바이너리 분할(binary split), 트라이 분할(tri split)(또는 트리플 분할(triple split이라 함) 또는 쿼드 분할(quad split) 중 하나로 분할함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분할 방향 정보 및 분할 타입 정보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빈 스트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나의 빈 스트링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지 여부, 분할 방향 및 분할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와 같은 크기를 가진다.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는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 될 수 있다. 또한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분할을 나타내는 경우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더 작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 될 수 있다. 다만, 영상의 분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대 부호화 단위 및 부호화 단위는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부호화 단위는 영상의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예측 단위는 부호화 단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는 영상의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변환 단위는 부호화 단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변환 단위와 예측 단위의 모양 및 크기는 서로 관련 없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와 구별될 수도 있지만,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분할은 부호화 단위의 분할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현재 블록 및 주변 블록은 최대 부호화 단위,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는 현재 복호화 또는 부호화가 진행되는 블록 또는 현재 분할이 진행되고 있는 블록이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 이전에 복원 블록일 수 있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으로부터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인접할 수 있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좌하측, 좌측, 좌상측, 상측, 우상측, 우측, 우하측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블록 형태는 4Nx4N,4Nx2N, 2Nx4N, 4NxN 또는 Nx4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는 부호화 단위의 모양, 방향, 너비 및 높이의 비율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부호화 단위의 모양은 정사각형(square) 및 비-정사각형(non-square)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가 같은 경우(즉,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가 4Nx4N 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를 정사각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모양을 비-정사각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가 다른 경우(즉,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가 4Nx2N, 2Nx4N, 4NxN 또는 Nx4N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를 비-정사각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모양이 비-정사각형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 중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을 1:2, 2:1, 1:4, 4:1, 1:8 또는 8:1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너비의 길이 및 높이의 길이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가 수평 방향인지 수직 방향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너비의 길이, 높이의 길이 또는 넓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어떤 형태로 분할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이용하는 블록 형태 정보가 어떤 블록 형태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복호화 장치(100) 및 영상 부호화 장치(200)는 블록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또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쿼드 분할(quad split)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분할하지 않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256x256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쿼드 분할로 결정할 수 있다. 쿼드 분할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를 모두 이등분하는 분할 형태 모드이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256x256 크기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128x128 크기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4x4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수직으로 분할할지, 수평으로 분할할지,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300)의 블록 형태 정보가 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복호화부(12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30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310a)를 분할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310b, 310c, 310d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직방향으로 분할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310b)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310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네 개의 부호화 단위(310d)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분할 형태는 상술한 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형태들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비-정사각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비-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비-정사각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소정의 방법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410 또는 460)를 결정하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420a, 420b, 430a, 430b, 430c, 470a, 470b, 480a, 480b, 480c)를 결정할 수 있다.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방법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두 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두 개의 부호화 단위(420a, 420b, 또는 470a, 47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사각형의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긴 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긴 변을 분할하는 방향으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트라이 분할; tri split)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3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4:1 또는 1:4 일 수 있다.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4:1 인 경우, 너비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길므로 블록 형태 정보는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1:4 인 경우, 너비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블록 형태 정보는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홀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블록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분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400)가 수직 방향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 하여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부호화 단위(450)가 수평 방향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5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 하여 부호화 단위(480a, 480b, 480c)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의 크기 모두가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430b 또는 480b)의 크기는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들과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어 결정될 수 있는 부호화 단위는 복수의 종류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가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하여 생성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어 생성된 3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30b, 480b)에 대한 복호화 과정을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30b, 480b)에 대하여는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와 달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도록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만큼만 분할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5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제3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간의 분할 전후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이용된 용어이다. 예를 들면,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면 제2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면 제3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및 제3 부호화 단위의 관계는 상술한 특징에 따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여 결정된 비-정사각형의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적어도 하나의 제3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520d 등)로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510)를 분할할 수 있으며, 제2 부호화 단위(51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된 방식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500)가 제1 부호화 단위(500)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로 분할된 경우, 제2 부호화 단위(510) 역시 제2 부호화 단위(510)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520a, 520b, 520c, 520d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관련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블록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에서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비-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는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하나인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제4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부호화 단위(530a, 530b, 530c, 530d) 중 하나인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4 부호화 단위(530b 또는 530d)는 다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4 부호화 단위(530b 또는 530d)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다시 분할될 수도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520d 등) 각각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소정의 제3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c)에 대하여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설정 가능한 횟수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c)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 형태로 분할(예를 들면 4개의 부호화 단위로만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510)가 분할된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할)되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로만 분할(예를 들면 n회만 분할, n>0)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520c)에 대한 상기 제한은 단순한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520c)가 다른 부호화 단위(520b, 520d)와 다르게 복호화 될 수 있는 다양한 제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 이용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현재 부호화 단위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600, 650)의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65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샘플 중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 690))에서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될 수 있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내의 소정 위치가 도 6에서 도시하는 가운데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소정 위치에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내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예를 들면, 최상단, 최하단, 좌측, 우측,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또는 우측하단 등)가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 위치로부터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개수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 그 중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 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고,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650)를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또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또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또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에 포함되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너비 또는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너비 또는 높이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좌표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이용하거나 좌표간의 차이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a, ya)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b, yb)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c, yc)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좌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30b)의 좌표인 (xb, yb)를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픽쳐 내에서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나아가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b)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b, dyb)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c, dyc)좌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해당 샘플의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샘플의 좌표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산술적 방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할 수 있고,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크기가 다른 부호화 단위(620b)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a, ya) 좌표,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b, yb) 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c, yc) 좌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각각의 너비 또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xa, ya), (xb, yb), (xc, yc)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너비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높이를 yb-ya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너비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높이를 yc-yb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단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와 상단 부호화 단위(620a) 및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너비 및 높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너비 및 높이에 기초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 및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샘플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소정의 샘플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d, yd) 좌표,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e, ye) 좌표,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f, yf) 좌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 각각의 너비 또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xd, yd), (xe, ye), (xf, yf)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너비를 xe-xd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높이를 현재 부호화 단위(650)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너비를 xf-xe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높이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너비 또는 높이는 현재 부호화 단위(650)의 너비 또는 높이와 좌측 부호화 단위(660a) 및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너비 및 높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너비 및 높이에 기초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 및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샘플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소정의 샘플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부호화 단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하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좌측 상단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임의의 샘플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바이 분할; binarysplit)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고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6에서 상술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예를 들면,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응하는 과정일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가운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샘플에 저장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에서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형태 정보 및 상기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된 경우 상기 샘플(640)을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는,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 내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에서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블록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 위치의 샘플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이 포함된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샘플(640)이 포함되는 부호화 단위(620b)를 복호화 과정에서의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다만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제한을 두기 위해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620b)에 포함되는 임의의 위치의 샘플들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형태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가 정사각형인지 또는 비-정사각형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대한 정보 및 높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 상에 위치하는 샘플을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을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에 인접하는 샘플 중 하나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로부터 획득되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블록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 과정에 대하여는 도 5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복호화되는 순서를 소정의 블록(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30a, 73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50a, 750b, 750c, 750d)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수평 방향(710c)으로 처리되도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30a, 730b)의 처리 순서를 수직 방향(730c)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50a, 750b, 750c, 750d)를 하나의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된 후 다음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래스터 스캔 순서((raster scan order) 또는 z 스캔 순서(z scan order)(750e)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 각각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을 분할하는 방법은 제1 부호화 단위(700)를 분할하는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은 각각 독립적으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 각각을 독립적으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로 분할할 수 있고,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는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분할되기 직전의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가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처리되는 순서를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와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결정되었으므로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는 수직 방향(720c)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 및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가 처리되는 순서는 수평 방향(710c)에 해당하므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수직 방향(720c)으로 처리된 후에 우측 부호화 단위(710b)가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부호화 단위들이 각각 분할 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처리 순서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형태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들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로 분할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좌측 부호화 단위(810a)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부호화 단위(810b)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3 부호화 단위들(820a, 820b, 820c, 820d, 820e)이 소정의 순서로 처리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800),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또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가 분할되는 형태 중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중 우측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z-스캔 순서(z-scan order)(830))가 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가 홀수개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가 상기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800)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의 경계에 따라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예를 들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810a)의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를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들의 경계가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의 너비 또는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분할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는 4개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또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을 참조하면, 블록 형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정사각형임을 나타내고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복수개의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또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920a, 920b, 92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900)에 포함되는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920a, 920b, 920c)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920a, 920b, 920c)의 경계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920a, 920b, 92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9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30 또는 950)를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로 분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는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각각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012a, 1012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만일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가 동일한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1014a, 1014b)가 결정된 경우,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가 수평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됨으로써 제3 부호화 단위(1012a, 1012b, 1014a, 1014b)가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한 것과 동일한 결과이며 이는 영상 복호화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20a 또는 1020b)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022a, 1022b, 1024a, 1024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하나(예를 들면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상술한 이유에 따라 다른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하단 부호화 단위(1020b))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에는 정사각형 형태의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르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하지 못한다.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재귀적인 방법을 통해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 각각이 소정의 순서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분할되는 방법에 대응하는 분할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1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2a, 1112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110b)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4a, 111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1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110b) 모두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120a)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2a, 1122b)를 결정할 수 있고,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120b)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4a, 112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120a) 및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120b) 모두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a, 1126b)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할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가 정사각형 형태를 나타내고,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10a, 1210b, 1220a, 12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만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는 각각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의 분할 과정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처리할 수 있다. 소정의 순서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처리에 대한 특징은 도 7와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하여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분할되는 형태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의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2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c)를 수직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21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b, 1216d)를 수직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21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를 수직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22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를 수평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22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26c, 1226d)를 수평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22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가 각각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가 결정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는 서로 다른 형태로 분할된 것이지만, 이후에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에 따르면 결국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분할된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이한 과정을 통해 재귀적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더라도, 동일한 형태로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서로 다른 순서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준은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보다 2n (n>0) 배로 분할된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심도보다 n만큼 심도가 증가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심도가 증가된 부호화 단위를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표현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0: SQUARE′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제3 부호화 단위(130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크기를 2Nx2N이라고 한다면,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를 1/2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302)는 NxN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1302)의 너비 및 높이를 1/2크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1304)는 N/2xN/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 부호화 단위(130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1/4배에 해당한다.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302)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의 1/4배인 제3 부호화 단위(130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임을 나타내는 ′1: NS_VER′ 또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임을 나타내는 ′2: NS_HOR′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312 또는 1322),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2, 1312, 1322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또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20)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2, 1312, 1322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32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또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02)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를 결정하거나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하거나 N/2xN/4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 또는 N/2xN/4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 또는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4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0, 1302, 1304)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결정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2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가 부호화 단위의 가장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심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1/4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312 또는 1322)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너비 및 높이의 1/4배인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한 변의 길이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의 긴 변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1400)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의 심도는 D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로 분할한 경우,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 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20)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22a, 1422b, 1424a, 1424b, 142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 또는 142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 1414a, 1414b, 1414c. 1422a, 1422b, 1424a, 1424b, 1424c)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의 한 변의 길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이므로,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의 심도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심도 D보다 한 심도 하위의 심도인 D+1이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c) 및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c)의 긴 변의 길이 및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b)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하는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2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PID)를 결정함에 있어서,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b, 1414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 순서에 따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즉 인덱스의 값의 불연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의 불연속성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의 값에 기초하여 특정 분할 형태로 분할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분할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1412a, 1412b)를 결정하거나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를 나타내는 인덱스(PID)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ID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좌측 상단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3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3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 각각에 대한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를 비교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인덱스들 중 가운데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갖는 부호화 단위(1414b)를, 제1 부호화 단위(141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결정함에 있어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410)가 분할되어 생성된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이러한 경우처럼 균일하게 인덱스가 증가하다가 증가너비가이 달라지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과 다른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가운데 부호화 단위)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PID)를 이용하여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인덱스, 결정하고자 하는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 또는 위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양한 인덱스, 부호화 단위의 위치 및 크기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이 시작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부호화 단위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되기 시작하는 데이터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현재 픽쳐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최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상 편의를 위해 이러한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기준 데이터 단위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데이터 단위는 소정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는 MxN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2의 승수로 표현되는 정수일 수 있다. 즉, 기준 데이터 단위는 정사각형 또는 비-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후에 정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를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각각의 기준 데이터 단위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 단위의 분할 과정은 쿼드 트리(quad-tree)구조를 이용한 분할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에 포함되는 기준 데이터 단위가 가질 수 있는 최소 크기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갖는 다양한 크기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기준 데이터 단위를 기준으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2000)를 이용할 수 있고, 또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200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sequence), 픽쳐(picture), 슬라이스(slice), 슬라이스 세그먼트(slice segment), 최대부호화단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수신부(미도시)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20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3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고, 비-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200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4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되는 일부 데이터 단위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수신부(미도시)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최대부호화단위 등) 중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슬라이스 이하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최대부호화 단위 등 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의 식별을 위한 인덱스만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인덱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데이터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하는 경우, 비트스트림의 이용 효율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는 대신 상기 인덱스만을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내는 인덱스에 대응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덱스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인덱스 획득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 단위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을 분할하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포함될 수 있고, 각각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 과정을 통해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수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번 분할한 크기일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 번 분할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2100)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픽쳐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이란, 영상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는 특정 순서대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는 다양한 순서의 종류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마다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래스터 스캔(raster scan), Z 스캔(Z-scan), N 스캔(N-scan), 우상향 대각 스캔(up-right diagonal scan), 수평적 스캔(horizontal scan), 수직적 스캔(vertical scan) 등 다양한 순서 중 하나일 수 있으나, 결정될 수 있는 순서는 상기 스캔 순서들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 단위의 소정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수신부(미도시)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특정의 데이터 단위마다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는 영상,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등의 데이터 단위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즉 수신부(미도시)는 상기 여러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정수배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픽쳐(2100)에 포함되는 프로세싱 블록(2102, 1612)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블록(2102, 1612)의 가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 가로크기의 4배, 세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의 세로크기의 4배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픽쳐(2100)에 포함되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2102, 1612)을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싱 블록(2102, 161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은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 또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마다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특정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미도시)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영상,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프로세싱 블록 등의 데이터 단위로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의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를 나타내므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정수개의 프로세싱 블록을 포함하는 특정 데이터 단위 마다 획득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미도시)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2102, 1612)과 관련된 정보로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기 프로세싱 블록(2102, 161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순서를 결정하고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따라 픽쳐(21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2102, 1612)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2104, 1614)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가 프로세싱 블록마다 획득되는 경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2102, 16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210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2104)가 래스터 스캔(raster scan)순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210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른 프로세싱 블록(16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614)가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61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결정된 기준 부호화 단위에 기초하여 영상을 복호화 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 하는 방법은 영상을 복호화 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 또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데이터 단위와 관련된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slice segment header), 타일 헤더(tile header), 타일 그룹 헤더(tile group header)에 포함된 블록 형태 정보 또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기준 부호화 단위, 프로세싱 블록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블록 형태 정보 또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정된 블록(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또는 변환 단위)의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영상을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복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이 설명된다.
도 17a 내지 17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원 블록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8x8 단위로 수직 블록 경계(1710)을 기준으로 양쪽 3개의 픽셀(1715)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타입 중 쿼드 분할만을 허용하는 경우, 분할 타입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또는 변환 단위의 블록들이 결정되면,4x4 크기의 블록을 제외하고는, 8의 배수의 지점에만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8x8 단위로 블록 경계(1720)을 기준으로 양쪽 3개의 픽셀(1725)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이용가능한 분할 타입으로, 쿼드 분할뿐 아니라, 트라이 분할, 바이너리 분할을 허용하게 되면, 8x4, 16x4 크기의 블록이 결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일부 블록의 경계에서는,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될 수 없다.
도 17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8x8 단위의 경계(1730, 1735)마다 모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8x8 단위의 경계(1730, 1735) 양쪽의 3개의 픽셀(174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이용가능한 분할 타입으로, 쿼드 분할뿐 아니라, 트라이 분할, 바이너리 분할을 허용하게 되면, 8x4, 16x4 크기의 블록이 결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일부 블록의 경계에서는,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될 수 없고, 블록의 경계가 아닌 8x8 단위의 경계(1735)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7d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마다 블록 경계(1745)을 기준으로 양쪽 3개의 픽셀(175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픽셀(1750)은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 경계(1745)의 디블록킹 필터링에 의해 두번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블록 경계(1745)의 디블록킹 필터링시 디블록킹 필터링 순서에 따라 디블록킹 필터링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고, 따라서, 디블록킹 필터링 적용 순서에 대한 종속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병렬적으로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되기 어렵게 된다.
도 18은 디블록킹 필터링하는 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여 트라이 분할 타입을 나타내는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16x16 크기의 복원 블록(1800)을 트라이 분할 타입에 기초하여 분할하는 경우, 8x4, 4x8 블록이 결정되게 되고, 이때, 8x8 단위로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중간 블록의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게 되므로, 8의 배수가 아닌 4의 배수인 지점에서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지 않도록 복원 블록(1800)의 이용가능한 블록 분할 모드 중 수직 방향의 트라이 분할 타입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할 수 있고, 나머지 이용가능한 블록 분할 모드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원 블록(1800)을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함으로써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위의 경계에 복원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도록 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이 복원 블록의 경계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19b는 디블록킹 필터링하는 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여 바이너리 분할 타입의 블록의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8x16 크기의 복원 블록(1900)을 트라이 분할 타입에 기초하여 분할하는 경우, 4x16 크기의 블록이 결정되게 되고, 이때, 8x8 단위로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일부 블록의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게 되므로, 8의 배수가 아닌 4의 배수인 지점에서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지 않도록 복원 블록(1900)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 중 수직 방향의 바이너리 분할 타입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할 수 있고, 나머지 이용가능한 블록 분할 모드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원 블록(1900)을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함으로써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위의 경계에 복원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도록 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이 복원 블록의 경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8x8 크기의 복원 블록(1910)을 트라이 분할 타입에 기초하여 분할하는 경우, 4x8 크기의 블록이 결정되게 되고, 이때, 8x8 단위로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일부 블록의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게 되므로, 8의 배수가 아닌 4의 배수인 지점에서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지 않도록 복원 블록(1910)의 이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 중 수직 방향의 바이너리 분할 타입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할 수 있고, 나머지 이용가능한 블록 분할 모드 중 하나를 이용하여 복원 블록(1910)을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함으로써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위의 경계에 복원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도록 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이 복원 블록의 경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9a 내지 19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함으로써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위의 경계에 복원 블록의 경계가 위치하도록 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이 복원 블록의 경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제한하는 분할 형태 모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블록의 크기가 8x4 또는 16x4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높이 또는 너비가 8의 배수가 아닌 4의 배수인 경우, 해당 분할 형태 모드를 제한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2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에 의해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마다 행 단위로 블록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수직 블록 경계(2010)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원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의 너비가 4인 경우, 수직 블록 경계(2010) 양쪽으로 위치하는 2개의 픽셀(202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고, 그 픽셀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마다 행 단위로 블록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수직 블록 경계(2030)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원 블록들 중 하나의 블록의 너비가 4인 경우, 수직 블록 경계(2030) 양쪽으로 위치하는 1개의 픽셀(204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고, 그 픽셀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20a 내지 20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마다 행 단위 또는 열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복원 블록들의 수직(수평) 경계를 기준으로 디블록킹 필터링에 따라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를 경계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동일한 방향의 인접하는 경계에 대해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더라도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이 서로 겹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동일한 방향의 인접하는 경계에서의 디블록킹 필터링 순서에 따른 종속성을 제거할 수 있다. 결국,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동일한 방향의 인접하는 경계에 대해서 병렬적으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a 내지 2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블록 경계 양쪽에 접하는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에 의해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a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마다 블록 경계에 대해 행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수직 블록 경계(2100)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원 블록들 중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너비가 4인 경우, 수직 블록 경계(2100) 양쪽으로 2개의 픽셀(212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기 위해 참조하고, 그 픽셀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마다 블록 경계에 대해 행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수직 블록 경계(2110)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원 블록들 중 좌측에 위치하는 블록의 너비가 4인 경우, 수직 블록 경계(2110)의 좌측으로 2개의 픽셀 그리고 우측으로 4개의 픽셀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기 위해 참조하고, 수직 블록 경계(2110)의 좌측으로 2개의 픽셀 그리고 우측으로 3개의 픽셀(213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그 픽셀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1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마다 블록 경계에 대해 행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수직 블록 경계(2140)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원 블록들 중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의 너비가 4인 경우, 수직 블록 경계(2140) 양쪽으로 위치하는 1개의 픽셀(216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기 위해 참조하고, 그 픽셀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마다 행 단위로 블록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수직 블록 경계(2150)의 양쪽에 위치하는 복원 블록들 중 좌측에 위치하는 블록의 너비가 4인 경우, 수직 블록 경계(2150)의 좌측으로 1개의 픽셀 그리고 우측으로 4개의 픽셀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기 위해 참조하고, 수직 블록 경계(2150)의 좌측으로 1개의 픽셀 그리고 우측으로 3개의 픽셀(217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여 그 픽셀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블록 경계 양쪽에 접하는 블록의 크기를 고려하여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에 의해 픽셀 값이 변경되는 픽셀의 수 또는 참조되는 픽셀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4x4 단위의 블록 경계에 대해 행 단위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수직 블록 경계(2210)의 좌측에 위치하는 블록의 너비가 4이고, 우측에 위치하는 블록의 너비가 8인 경우, 좌측에 위치하는 블록에 대해서는, 수직 블록 경계(2210)의 좌측의 2개의 픽셀(2220)을 참조하고, 디블록킹 필터링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우측에 위치하는 블록에 대해서는, 수직 블록 경계(2210)의 우측의 4개의 픽셀(2240)을 참조하고, 디블록킹필터링은 수직 블록 경계(2210)의 우측의 3개의 픽셀(2230)에 수행되어 그 픽셀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23a 내지 2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변환 단위의 블록의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변환 단위의 블록의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a를 참조하면, 부호화 단위(2300)의 크기는 128x128이고, 이때,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가 64라면, 부호화 단위(2300)로부터 4개의 64x64의 변환 단위(2310)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부호화 단위와 변환 단위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지 못하게 되고, 부호화 단위에 복수의 변환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경계가 변환 단위의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변환 단위의 블록의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변환 단위의 블록의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가 64라면, 부호화 단위(2340)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부호화 단위(2340)의 크기는 변환 단위(2340)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2340)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8x8 단위의 블록 경계에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8x8 단위와 일치하지 않는 블록 경계에서도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a 및 2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링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에 레지듀얼 정보가 없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변환 단위의 경계의 양쪽에 위치하는 블록에 레지듀얼 정보가 없다고 결정되면, 블록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변환 단위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움직임 벡터가 변환 단위의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에서 다를 경우, 해당 변환 단위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관한 모드가 어파인 모델 기반 움직임 보상 모드(affine model based motion compensation mode) 이거나, 서브 블록 예측 모드와 같은 소정의 모드인 경우, 변환 단위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이한 경우, 변환 단위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에서 휘도 보상(Illumination Comepensation)의 파라메터가 상이한 경우 변환 단위의 경계를 기준으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 블록의 모드가 서로 상이한 경우, 변환 단위의 경계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경계를 기준으로 양쪽 블록의 모드가 인터 모드/인트라 모드,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터 모드,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트라 모드로 서로 상이한 경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2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블록들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경계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삼각 파티션들을 갖는 블록(2400)인 경우, 블록 경계(2410)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경계(2410)에 양쪽에 인접한 블록의 레지듀얼 정보를 고려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경계(2410)에 양쪽에 인접한 블록의 높이 또는 너비의 크기, 두 값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고려하여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경계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삼각 파티션들을 갖는 블록(2400)인 경우, 삼각 파티션들 간 경계(2425)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2400)의 높이 또는 너비가 특정 높이, 너비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삼각 파티션들 간 경계(2425)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삼각 파티션을 갖는 블록에 대해 양방향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이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경우, 삼각 파티션들에 대해 양방향 인터 예측(Bi-direction Prediction)을 수행하여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양방향의 두 참조 블록(제 1 참조 블록, 제 2 참조 블록)에 포함된 참조 삼각 파티션들에 대한 가중치(Weight)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제 1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좌측 파티션)의 가중치는 0, 제 1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우측 파티션)의 가중치는 1, 제 2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좌측 파티션)의 가중치는 1일 수 있고, 제 2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우측 파티션)의 가중치는 0일 수 있다.
또는, 제 1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4, 제 1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3/4, 제 2 참조 블록의 제 1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3/4일 수 있고, 제 2 참조 블록의 제 2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1/4일 수 있다. 이외 다양한 삼각 파티션들의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각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영상 복호화부(110)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가중치에 관한 정보로부터 각 참조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삼각 파티션의 가중치는 하나 이상의 가중치 후보들 중 하나의 가중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가중치 후보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가중치 후보는 블록별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참조 블록별로, 또는 참조 삼각 파티션별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블록이 삼각 파티션 형태를 갖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들을 포함하는 파티션 마스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블록의 파티션 마스크의 형태는 하나 이상의 파티션 마스크 형태 후보들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마스크 형태 후보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10)

  1. 제 1 부호화 블록의 제 1 예측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부호화 블록에 대한 제 1 복원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부호화 블록에 인접한 제 2 부호화 블록의 제 2 예측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부호화 블록에 대한 제 2 복원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부호화 블록 및 상기 제 2 부호화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예측 블록 및 상기 제 2 예측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샘플 값은 인트라 예측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제 1 샘플 값과 인터 예측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제 2 샘플 값의 가중 합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1 또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5. 제 1 부호화 블록의 제 1 예측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부호화 블록에 대한 제 1 복원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부호화 블록에 인접한 제 2 부호화 블록의 제 2 예측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부호화 블록에 대한 제 2 복원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부호화 블록 및 상기 제 2 부호화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예측 블록 및 상기 제 2 예측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샘플 값은 인트라 예측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제 1 샘플 값과 인터 예측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제 2 샘플 값의 가중 합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1 또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을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9. 제 1 부호화 블록의 제 1 예측 블록을 이용하여 제 1 부호화 블록에 대한 제 1 복원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부호화 블록에 인접한 제 2 부호화 블록의 제 2 예측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부호화 블록에 대한 제 2 복원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부호화 블록 및 상기 제 2 부호화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combined inter-intra prediction mode)인 경우,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의 경계에 적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boundary filtering strength)의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블록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에 이용되는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과 동일한 소정의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경계 필터링 강도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복원 블록 및 상기 제 2 복원 블록에 대해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모드가 결합된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예측 블록 및 상기 제 2 예측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샘플 값은 인트라 예측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제 1 샘플 값과 인터 예측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 블록의 제 2 샘플 값의 가중 합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0. 제 1 항의 영상 복호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7041396A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499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1850P 2018-07-30 2018-07-30
US62/711,850 2018-07-30
US201862743637P 2018-10-10 2018-10-10
US62/743,637 2018-10-10
PCT/KR2019/009492 WO2020027551A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07033563A KR102341858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563A Division KR102341858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349A KR20210156349A (ko) 2021-12-24
KR102499383B1 true KR102499383B1 (ko) 2023-02-13

Family

ID=6923087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397A KR102499384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17041396A KR102499383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07033563A KR102341858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37004654A KR102633784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47003632A KR20240018689A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397A KR102499384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563A KR102341858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37004654A KR102633784B1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47003632A KR20240018689A (ko) 2018-07-30 2019-07-30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11310499B2 (ko)
EP (1) EP3833030A4 (ko)
KR (5) KR102499384B1 (ko)
CN (1) CN112514402A (ko)
BR (1) BR112021000651A2 (ko)
SG (1) SG11202100154PA (ko)
WO (1) WO2020027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8791A1 (ko) * 2016-02-12 2017-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9135446A1 (ko) * 2018-01-08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EP3633992A1 (en) * 2018-10-02 2020-04-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cessing video
WO2020101559A1 (en) * 2018-11-15 2020-05-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blocking in a video encoder and/or video decoder
CN117857806A (zh) * 2018-12-07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编码器、解码器及去块滤波器的边界强度的对应推导方法
WO2020147782A1 (en) 2019-01-17 2020-07-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 encoder, a decoder and corresponding methods of deblocking filter adaptation
WO2021182816A1 (ko) * 2020-03-09 2021-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사각형 슬라이스의 크기 정보를 선택적으로 부호화 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WO2023106761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WO2024053987A1 (ko) * 2022-09-06 2024-03-1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기하학적 분할을 이용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849A2 (ko) 2011-05-04 2012-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러에 강인한 인-루프 필터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과 그에 관한 시그널링 방법
US20170347127A1 (en) * 2011-07-19 2017-11-30 Tagivan Ii Llc Filtering method for performing deblocking filtering on a boundary between an intra pulse code modulation block and a non-intra pulse code modulation block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n imag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396B1 (ko) 2010-01-14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블로킹 필터링을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디블로킹 필터링을 이용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WO2011129619A2 (ko) 2010-04-13 2011-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트리 구조 부호화 단위에 기반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복호화 방법과 그 장치
TWI600318B (zh) * 2010-05-18 2017-09-21 Sony Corp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10138098A (ko) 2010-06-18 2011-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및 그를 적용한 영상 디코딩 방법 및 장치
WO2012011744A2 (ko) * 2010-07-20 2012-01-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디블록킹 필터링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과 장치
CN105227958B (zh) 2010-07-20 2019-06-25 Sk电信有限公司 用于解码视频信号的解码装置
WO2012134046A2 (ko) * 2011-04-01 2012-10-04 주식회사 아이벡스피티홀딩스 동영상의 부호화 방법
KR101564564B1 (ko) * 2014-05-07 2015-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블로킹 필터링을 이용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과 그 장치, 및 디블로킹 필터링을 이용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10785486B2 (en) 2014-06-19 2020-09-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fied intra block copy and inter prediction modes
US10666940B2 (en) * 2014-11-06 2020-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7105097A1 (ko) 2015-12-17 2017-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머지 후보 리스트를 이용한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
US11032550B2 (en) * 2016-02-25 2021-06-08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video coding
KR20230033027A (ko) * 2016-11-01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11051011B2 (en) * 2017-05-17 2021-06-29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signal processing
EP3614669A4 (en) 2017-07-06 2020-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CODING METHOD AND DEVICE, VIDEO DECODING METHOD AND DEVICE
WO2020147782A1 (en) 2019-01-17 2020-07-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 encoder, a decoder and corresponding methods of deblocking filter adap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849A2 (ko) 2011-05-04 2012-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러에 강인한 인-루프 필터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과 그에 관한 시그널링 방법
US20170347127A1 (en) * 2011-07-19 2017-11-30 Tagivan Ii Llc Filtering method for performing deblocking filtering on a boundary between an intra pulse code modulation block and a non-intra pulse code modulation block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n imag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SCRIPTION OF CORE EXPERIMENT 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00104B2 (en) 2023-10-24
BR112021000651A2 (pt) 2021-04-13
EP3833030A4 (en) 2022-06-22
KR102341858B1 (ko) 2021-12-22
US20220201299A1 (en) 2022-06-23
US11800103B2 (en) 2023-10-24
US20220191491A1 (en) 2022-06-16
KR102499384B1 (ko) 2023-02-13
KR20230022284A (ko) 2023-02-14
SG11202100154PA (en) 2021-02-25
US20220201296A1 (en) 2022-06-23
KR20210156350A (ko) 2021-12-24
WO2020027551A1 (ko) 2020-02-06
KR20210156349A (ko) 2021-12-24
KR102633784B1 (ko) 2024-02-05
US20220201298A1 (en) 2022-06-23
CN112514402A (zh) 2021-03-16
US11870988B2 (en) 2024-01-09
US11310499B2 (en) 2022-04-19
EP3833030A1 (en) 2021-06-09
KR20240018689A (ko) 2024-02-13
KR20210027252A (ko) 2021-03-10
US20210152827A1 (en) 2021-05-20
US11882246B2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383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389868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471075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68007A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25032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386291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55466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39068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37130A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665187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37383A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40068791A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