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298B1 - 멀티 팬 유닛 - Google Patents

멀티 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298B1
KR102499298B1 KR1020180060942A KR20180060942A KR102499298B1 KR 102499298 B1 KR102499298 B1 KR 102499298B1 KR 1020180060942 A KR1020180060942 A KR 1020180060942A KR 20180060942 A KR20180060942 A KR 20180060942A KR 102499298 B1 KR102499298 B1 KR 102499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rotating shaft
unit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664A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8006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298B1/ko
Priority to PCT/KR2019/006347 priority patent/WO2019231200A1/ko
Publication of KR2019013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driven by a common gear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 for cooling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4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cooling or heating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외부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제1임펠러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공조기에 공기를 송풍하는 제2임펠러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임펠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축의 동력을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과, 상기 제1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1 공간 및 제2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2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두 공간 사이를 구획하고, 모터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고정용 플랜지로 구성되어 하나의 모터부로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팬 유닛{MULTI FAN UNI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용 송풍팬과 진공 청소기용 송풍팬을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멀티 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실내의 냉방 및 난방을 위해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된다.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난방을 위해 따뜻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난방장치와, 냉방을 위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장치와, 실내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이 구비된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은 등록특허공보 10-1493267(2015년 03월 02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내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덕트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외부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최근에는 자동차 실내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별도의 진공청소기용 모터를 구비하기도 한다. 그런데 차량용 공조장치용 송풍팬과 진공 청소기용 송풍팬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면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493267(2015년 03월 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장치용 송풍팬과 진공 청소기용 송풍팬을 일체형으로 구현하는 멀티 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사이에 멀티 팬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용 플랜지를 배치하여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사이를 구획하고 모터 드라이브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기존의 구획판과 모터 드라이브 설치 공간이 불필요한 멀티 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펠러에 서브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모터 드라이버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멀티 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외부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제1임펠러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공조기에 공기를 송풍하는 제2임펠러와,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임펠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축의 동력을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1 공간 및 제2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2 공간 사이에 멀티 팬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용 플랜지를 설치하여 두 공간 사이를 구획하고, 모터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공간으로 활용한다.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모터 드라이브가 내장되는 드라이브 하우징이 연결되고, 타측에 제1임펠러가 내장되는 팬 하우징이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외면에 상기 고정용 플랜지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외면에는 모터 드라이브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냉각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면에 형성되어 공조기에 공기를 송풍하는 메인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의 일측에 서브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모터 드라이브를 냉각하는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여 제1임펠러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모터부 및 모터 드라이브로 가이드하여 모터부 및 모터 드라이브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제1임펠러와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1임펠러로 전달하는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과, 상기 제2임펠러와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2임펠러로 전달하는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임펠러와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 사이 및 제2임펠러와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 사이에는 D컷 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모터부에 진공 흡입용 제1임펠러와 공기조화기용 제2임펠러가 설치되고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하나의 송풍팬으로 진공 흡입용 송풍팬과 공조기용 송풍팬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1 공간과 제2임펠러가 설치되는 제2공간 사이에 멀티 팬 유닛을 고정하는 고정용 플랜지가 구비되어 두 공간 사이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모터 드라이브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중 어느 하나에 서브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모터 드라이버로 공기를 송풍하여 모터 드라이브의 냉각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팬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팬 유닛의 임펠러와 원웨이 클러치유닛의 고정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팬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 팬 유닛은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20)과,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모터부(30)와, 회전축(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진공 흡입용 공기를 송풍하는 제1임펠러(40)와, 회전축(20)에 타측에 배치되어 공기 조화기용 공기를 송풍하는 제2임펠러(50)와, 회전축(20)과 제1임펠러(40) 및 제2임펠러(5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20)을 회전력을 제1임펠러(40)와 제2임펠러(5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임펠러(40)는 차량 내부를 진공 청소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에 연결되어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진공 흡입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송풍력을 발생하고 진공 덕트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임펠러(50)는 차량의 공기 조화기용 공기를 송풍하는 에어 덕트에 설치되고, 제1임펠러(4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송풍력을 발생하고 공기 조화기용 덕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임펠러(40)는 진공 흡입을 위한 제 1 공간(200)에 설치되고, 제2임펠러(50)는 공기 조화기용 공기를 송풍하는 제 2 공간(300)에 설치되며, 제1 및 제 2 공간(200,300)은 서로 분리 설치될 수 있도록 제 1 공간(200)과 제 2 공간(300) 사이에는 고정용 플랜지(10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용 플랜지(100)는 멀티 팬 유닛을 설치 장소에 고정하는 것으로, 제1임펠러(40)가 설치되는 제 1 공간(200)과, 제2임펠러(50)가 설치되는 제 2 공간(300)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고정용 플랜지(100)가 제 1 공간(200)과 제 2 공간(300) 사이의 배치되어 멀티 팬 유닛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두 공간(200,300) 사이를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두 공간(200,300)을 구획하기 위한 별도의 구획판이 불필요하다.
고정용 플랜지(100)에는 모터부(30)를 제어함과 아울러 전원을 공급하는 모터 드라이브(110)가 내장되는 드라이브 하우징(112)이 장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하우징(112)의 외면에 고정용 플랜지(10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모터 드라이브(110)가 고정용 플랜지(100)에 설치되므로 모터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모터부(30)는 하우징(10)의 내면에 고정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스테이터(32)와, 스테이터(32)의 내면에 일정 갭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축(20)이 고정되는 로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그 일측에 모터 드라이브(110)가 수납되는 드라이브 하우징(112)이 연결되고, 타측에 제1임펠러(40)가 수납되는 팬 하우징(42)이 연결되며, 드라이브 하우징(112)의 외면에 고정용 플랜지(100)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회전축(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22)이 장착될 수 있다.
드라이브 하우징(112)의 외면에는 모터 드라이브(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하기 위한 냉각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임펠러(40)는 회전축(20)에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것으로, 팬 하우징(42)의 중앙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44)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44)에는 진공 흡입용 덕트(46)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임펠러(40)에 의해 진공 흡입용 덕트(46)로 흡입된 공기는 모터부(30)를 통과하면서 모터부(30)의 냉각작용을 수행하고, 다시 모터 드라이브(110)를 통과하면서 모터 드라이브(110) 냉각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입용 덕트(46)로 흡입된 공기는 제1임펠러(40)의 측방향으로 토출되고, 제1임펠러(40)의 측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팬 하우징(42)에 의해 제1임펠러(40)의 배면으로 가이드되고 모터부(30)를 통과하면서 모터부(30)의 냉각 작용을 한다. 모터부(30)를 통과한 공기는 모터 드라이브(110)에 접촉되어 모터 드라이브(110)의 냉각작용을 하고,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되는 토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임펠러(40)가 구동될 때에는 제1임펠러(4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모터 드라이브(110)로 공급되어 모터 드라이브(110)의 냉각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임펠러(50)는 회전축(20)이 배치되는 허브(52)와, 허브(52)의 외면에 형성되어 공기의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블레이드(54)와, 허브(52)의 일단에 형성되어 모터 드라이브(110)를 냉각하는 공기를 송풍하는 서브 블레이드(56)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블레이드(56)는 제2임펠러가 회전되면 공기를 축방향으로 송풍하여 제2임펠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모터 드라이브(110)를 냉각할 수 있다.
즉, 제1임펠러(40)가 구동될 경우 제1임펠러(40)를 통과한 공기가 모터 드라이브(110)로 공급되어 모터 드라이브(110)의 냉각작용을 수행하고, 제2임펠러(50)가 구동될 경우에는 제2임펠러(50)에 형성된 서브 블레이드(56)에서 모터 드라이브(110)로 공기를 송풍하여 모터 드라이브(110)의 냉각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클러치 유닛(60)은 제1임펠러(40)와 회전축(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20)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20)의 회전력을 제1임펠러(40)로 전달하는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62)과, 제2임펠러(50)와 회전축(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20)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20)의 회전력을 제2임펠러(50)로 전달하는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62)과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은 일방향 회전만 동력을 전달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베어링으로,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62)은 제1방향 회전시 동력이 전달되고,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은 제2방향 회전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임펠러(40)와 제2임펠러(50)는 수지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제1임펠러(40) 및 제2임펠러(50)와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62) 및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의 고정부분이 헐거워지면서 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임펠러(40)와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62) 사이 및 제2임펠러(50)와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 사이에는 그 일측이 평면 형태인 D컷 링(130)을 장착하여 동력 전달이 정확하기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팬 유닛의 작동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진공 청소기 작동모드에서는 모터 드라이브(110)는 모터부(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축(20)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62)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20)의 회전력이 제1임펠러(40)로 전달되어 제1임펠러(40)가 회전되면서 진공 청소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2임펠러(50)는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임펠러(40)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모터부(30)를 통과하면서 모터부(30)의 냉각작용을 수행하고, 모터 드라이브(110)로 공급되어 모터 드라이브(110)의 냉각작용을 수행한 후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토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 작동모드에서는 모터 드라이브(110)는 모터부(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축(20)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0)의 회전력이 제2임펠러(50)로 전달되어 제2임펠러(50)가 회전되면서 실내로 공기 조화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이때, 제1임펠러(40)는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62)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임펠러(50)에 일체로 형성된 서브 블레이드(56)가 회전되면서 모터 드라이브(110)로 공기를 송풍하여 모터 드라이브(110)의 냉각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팬 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20)과,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모터부(30)와, 회전축(20)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축(20)과 같이 회전되고 외부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제1임펠러(40)와, 회전축(20)의 타측에 배치되어 공조기에 공기를 송풍하는 제2임펠러(50)와, 회전축(20)과 제2임펠러(5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20)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20)의 회전력을 제2임펠러(50)로 전달하는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팬 유닛은 제1임펠러(40)가 회전축(20)에 고정되어 회전축(20)과 같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임펠러(40)는 회전축(20)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회전축(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기타 고정구조에 의해 회전축(20)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원웨이 클러치 유닛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제1임펠러(40) 및 제2임펠러(50)에 사용할 경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임펠러(40)는 회전축(20)에 고정하여 원웨이 클러치 유닛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임펠러(40)는 제2임펠러(50)에 비해 부하가 월등히 작기 때문에 모터부(30)가 제1임펠러(40)와 제2임펠러(50) 동시에 구동할 경우에도 모터부(30)의 부하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팬 유닛은 모터부(30)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임펠러(40)가 회전축(20)과 같이 회전되면서 공기를 진공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제2임펠러(50)는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64)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지 않는다.
그리고, 모터부(30)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임펠러(50)가 제2원웨이 클러치(64)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0)과 같이 회전되면서 실내로 공기 조화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이때, 제1임펠러(40)는 회전축(20)에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축(20)과 같이 회전되지만,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진공 흡입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회전축
30: 모터부 32: 스테이터
34: 로터 40: 제1임펠러
50: 제2임펠러 52: 허브
54: 메인 블레이드 56: 서브 블레이드
60: 클러치 유닛 100: 고정용 플랜지
110: 모터 드라이브 114: 냉각핀

Claims (9)

  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외부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제1임펠러;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공조기에 공기를 송풍하는 제2임펠러;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축의 동력을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유닛; 및
    상기 제1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1 공간과 제2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2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구획하고, 모터 드라이브가 장착되는 고정용 플랜지;를 포함하는 멀티 팬 유닛으로서,
    상기 제2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면에 형성되어 공조기에 공기를 송풍하는 메인 블레이드와, 상기 허브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 드라이브를 냉각하는 공기를 송풍하는 서브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멀티 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모터 드라이브가 내장되는 드라이브 하우징이 연결되고, 타측에 제1임펠러가 내장되는 팬 하우징이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 외면에 상기 고정용 플랜지가 고정되는 멀티 팬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하우징의 외면에는 냉각핀이 형성되어 모터 드라이브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멀티 팬 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임펠러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모터부 및 모터 드라이브로 가이드하여 모터부 및 모터 드라이브를 냉각하고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멀티 팬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유닛은
    상기 제1임펠러와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1임펠러로 전달하는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 및
    상기 제2임펠러와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2임펠러로 전달하는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는 멀티 팬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펠러와 제1원웨이 클러치 유닛 사이 및 제2임펠러와 제2원웨이 클러치 유닛 사이에는 D컷 링이 장착되는 멀티 팬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이 회전될 때 같이 회전되는 멀티 팬 유닛.
  9.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외부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제1임펠러;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 공조기에 공기를 송풍하고, 모터 드라이브를 냉각하는 공기를 송풍하는 서브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제2임펠러;
    상기 회전축과 제1임펠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1임펠러로 전달하고,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1 임펠러로 전달하지 않는 제1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상기 회전축과 제2임펠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이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제2임펠러로 전달하고 회전축이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제2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및
    상기 제1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1 공간 및 제2임펠러가 설치되는 제 2 공간 사이에 설치되어 두 공간 사이를 구획하고, 모터 드라이브가 수납되는 드라이브 하우징이 고정되는 고정용 플랜지;를 포함하는 멀티 팬 유닛.
KR1020180060942A 2018-05-29 2018-05-29 멀티 팬 유닛 KR102499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42A KR102499298B1 (ko) 2018-05-29 2018-05-29 멀티 팬 유닛
PCT/KR2019/006347 WO2019231200A1 (ko) 2018-05-29 2019-05-28 멀티 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42A KR102499298B1 (ko) 2018-05-29 2018-05-29 멀티 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64A KR20190135664A (ko) 2019-12-09
KR102499298B1 true KR102499298B1 (ko) 2023-02-13

Family

ID=6869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942A KR102499298B1 (ko) 2018-05-29 2018-05-29 멀티 팬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9298B1 (ko)
WO (1) WO2019231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4657A3 (en) * 2020-09-29 2022-06-15 Shanghai Chuanyu Technologies Ltd., Co Impeller assembly and cutting equipment provided with impeller assembly
US20230312123A1 (en) * 2022-03-30 2023-10-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uxiliary fan based hybrid cooling systems for electric machin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289A (ja) * 2004-12-24 2006-07-06 Denso Corp ブロワユニット
US20130192581A1 (en) * 2011-08-05 2013-08-01 Michael Haefner Vehicle heater with integrated fan motor and control device
JP2018013072A (ja) * 2016-07-20 2018-01-2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ポ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43310A (en) * 2005-06-06 2006-12-16 Zong-Yin Zheng Dual-blade electric fan with balanced shaft
JP5032782B2 (ja) * 2006-03-16 2012-09-26 フルタ電機株式会社 冷却手段を設けた送風機
KR101493267B1 (ko) 2012-09-19 2015-03-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팬
KR101803707B1 (ko) * 2016-05-19 2017-12-04 명화공업주식회사 듀얼 타입 워터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289A (ja) * 2004-12-24 2006-07-06 Denso Corp ブロワユニット
US20130192581A1 (en) * 2011-08-05 2013-08-01 Michael Haefner Vehicle heater with integrated fan motor and control device
JP2018013072A (ja) * 2016-07-20 2018-01-2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ポ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64A (ko) 2019-12-09
WO2019231200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8254B (zh) 具有两个轴流式通风机的电机
US8083470B2 (en) Fan and impeller thereof
US7507068B2 (en) Heat-dissipating mechanism for a motor
KR20040101528A (ko) 원심 송풍기 및 원심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US20190389345A1 (en) Cooling fan and seat cooling device comprising same
JP6786823B2 (ja) 遠心流体機械及び遠心送風機及び遠心圧縮機
KR102499298B1 (ko) 멀티 팬 유닛
US20080152525A1 (en) Scroll fluid machine
KR102147730B1 (ko) 송풍량을 증대하며 진동소음을 최소화한 bmc모터를 이용한 블로어
KR100970719B1 (ko) 터보 블로워의 외함
KR100378034B1 (ko) 전동송풍기
US20080292455A1 (en) Centrifugal air blower
CN104541745A (zh) 一种割草机
JP2004353510A (ja) 遠心送風機及び遠心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1889819B1 (ko) 루프 벤틸레이터
CN108678976A (zh) 一种小型干湿两用吸尘器电风机
CN213332299U (zh) 一种易于散热的减速机
KR100808205B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 어셈블리
JPS6240588B2 (ko)
KR102519692B1 (ko) 멀티 팬 유닛
JPH0932796A (ja) 送風機
KR100635910B1 (ko) 소음 저감형 모터
WO1982001447A1 (en) Cooling unit for a normal and reversely rotatable motor
KR100437037B1 (ko) 청소기용 원심송풍기
JPH02166323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